KR102228264B1 -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8264B1 KR102228264B1 KR1020190136657A KR20190136657A KR102228264B1 KR 102228264 B1 KR102228264 B1 KR 102228264B1 KR 1020190136657 A KR1020190136657 A KR 1020190136657A KR 20190136657 A KR20190136657 A KR 20190136657A KR 102228264 B1 KR102228264 B1 KR 1022282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capillary
- soil
- water storage
- filtration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9
- 210000000352 storage cell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9000010903 husk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9000003610 charco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1179 sorption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704 biodegradable plastic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1049 fil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abstract description 27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8400 supply wa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5446 dissolved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7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7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IJGRMHOSHXDMSA-UHFFFAOYSA-N Atomic nitrogen Chemical compound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45 natur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51 per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62 perl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742 Cott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4000020551 Helianthus annu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222 Helianthus annu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878007 Miscanth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627 Phaseolus vulgar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46052 Phaseolus vulgar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237 artifici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63 carb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271 coa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45 coag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19 fin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6 geotexti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8 particulate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61 polyme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56 precipi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9 wheat bra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2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provided in an open container
- B01D24/24—Downward filtration, the container having distribution or collection headers or pervious condui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natural organic sorbents or derivatives thereo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21/00—Applications of separation devices
- B01D2221/12—Separation devices for treating rain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처리부, 여과침투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여과침투부는,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모세관재가 구비된 물저장셀과, 모세관배수재와, 이들을 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으로 덮는 침투층; 상기 침투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것으로 왕겨숯을 포함하는 기능성여과층; 및 상기 기능성여과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침투부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토양여과층과 기능성여과층을 순차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침투층 내의 모세관배수재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우수가 집수되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거나, 또는 상기 침투층 하부의 지하로 침투되고, 동시에 상기 물저장셀에 저장된 우수가 건기시에 상기 수직모세관재를 따라 상기 토양여과층으로 상향이동하여 상기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로서, 여과침투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공관을 대신하여 모세관배수재를 설치함으로써, 부직포 설치나 높은 자갈층의 설치가 불필요하고, 배수재의 설치가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이 대폭 감소하고, 또한 건기시에 물저장셀에 저장된 우수를 토양여과층에 공급하여 식물생육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고, 또한 기능성여과층을 포함하여 식물의 생육과 유효미생물의 번식을 촉진하여 토양여과층내의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인 분해, 흡수 등의 작용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용존유기물, 중금속, 농약 같은 비점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초기우수를 식생이 활성화된 토양층을 통과시켜 토양에 의한 여과 및 흡착, 식물에 의한 흡착 및 흡수,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 등의 작용에 의하여 비점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점오염원은 건기 시 다양한 토지표면에 축적된 유기물, 영양염류, 중금속, 입자상 물질, 각종 유해 화학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우수와 함께 유출되어 수질 및 토양오염을 일으키는 배출원을 말한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가정하수, 공장폐수 등과 같은 점오염원과는 달리 그 발생원과 운반과정이 다양하고 초기우수에 오염물질 유출량이 집중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제거하거나 감소시키는 시설을 비점오염저감시설이라 칭하는데, 여기에는 저류시설, 인공습지, 침투시설, 식생형 시설 등의 자연형 시설과, 여과형 시설, 와류형 시설, 스크린형 시설, 응집·침전 처리형 시설, 생물학적 처리형 시설 등의 장치형 시설이 있다.
비점오염저감시설은 토지이용 특성, 유역특성, 지역사회의 수인가능성, 유지관리 용이성, 비용의 적정성, 안전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가장 적합한 시설을 설치해야 하나, 통상은 자연형 시설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중 초기우수를 식물이 식재된 토양층에 침투시켜 비점오염물질을 저감시키는 식생수로, 식생체류지 등의 식생형 시설은 저류, 여과, 침투, 증발산, 생물서식처, 지하수 함양, 심미성 등의 기능을 가지고 있고 농경지, 주거단지, 산업단지, 각종 공원, 도로, 주차장 등 다방면의 입지에 적용이 가능하여 선호하는 시설 중의 하나이다. 다만 토사에 의해 토양층이 막혀 본래의 기능이 상실되기 쉬우므로 전처리 과정을 통해 토사가 최대한 시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식생형 시설은 크게 조대물질과 토사 등을 제거하는 전처리부, 전처리된 초기우수를 식물이 식재된 토양층에 유입시켜 오염물질을 처리하고 처리된 우수는 지하로 침투시키거나 하부에 설치된 유공관에 집수하는 여과침투부, 여과침투부 하부에 설치된 암거용 유공관을 통해 집수되어 유출된 우수를 모아서 시설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출부 등을 포함된다.
여과침투부는 기본적으로 상부의 토양여과층과 하부의 집수 및 지하침투층으로 구성된다. 그 중 집수 및 지하침투층은 상기 토양여과층을 통과한 우수를 집수하여 수평이동 시키거나 지하로 수직침투시키기 위한 층으로서 통상 부직포와 자갈층, 그리고 자갈층 사이에 포설된 암거 유공관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종래 방법은 일반적인 암거유공관을 사용함으로써 암거유공관의 내측으로 미세 토양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굴착한 토양바닥면에 부직포를 덮는 작업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암거유공관을 둘러싼 자갈층의 높이가 최소 30cm 이상이 되어야 하므로 굴착 깊이가 깊어져 시공이 어렵고 공기가 길어져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암거유공관의 경우 1개 당 길이가 6m, 직경이 최소 10cm 이상으로서 취급이 어렵고, 배수길이가 긴 경우 요구되는 암거유공관 간의 연결작업이 번거로우며, 배수되는 방향 쪽으로 하향 경사를 유지해야 하는 정밀한 작업이 요구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 시설의 경우 여과침투부의 집수 및 지하 침투층내에 별도의 물저장공간이 구비되지 않아 강우 이후 일정 시간 동안은 집수 및 지하 침투층내에 수분이 함유되어 있어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으나, 일정시간이 지나면 잔류하던 수분이 지하로 침투해버려 식물생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기존 집수 및 지하침투층을 조성하는데 사용되어온 배수용 맹암거 유공관 대신에 모세관배수재를 사용함으로써, 부직포 설치나 높은 자갈층의 설치가 불필요하고, 배수재의 설치가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이 대폭 감소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여과침투층은 왕겨숯을 포함하는 기능성여과층을 포함함으로써, 표면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과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하고, 식물과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용존유기물, 중금속, 농약과 같은 비점오염물질 잘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기능성여과층의 중간에 농업부산물을 화학처리하여 적층한 농업부산물흡착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우수 속의 오염물질을 잘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여과침투부는 침투층에 설치되는 물저장셀과 물저장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모세관재를 포함함으로써, 강우시 침투층까지 침투되어 정화된 우수가 물저장셀에 저장되었다가 건기에 여과침투부 표면의 식물에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잘 유지할 수 있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전처리부, 여과침투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여과침투부는,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모세관재가 구비된 물저장셀과, 모세관배수재와, 이들을 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으로 덮는 침투층; 상기 침투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것으로 왕겨숯을 포함하는 기능성여과층; 및 상기 기능성여과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침투부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토양여과층과 기능성여과층을 순차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침투층 내의 모세관배수재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우수가 집수되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침투층 하부의 지하로 침투되고, 동시에 상기 물저장셀에 저장된 우수가 건기시에 상기 수직모세관재를 따라 상기 토양여과층으로 상향이동하여 상기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전처리부는, 우수로부터 조대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조와, 상기 스크린조에서 이송되어온 우수에 포함된 토사가 침강되는 침강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조와 침강지의 사이에는 이송관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의 후방에는 스크린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토양여과층은 흙, 모래, 입상재료가 혼합될 수 있다.
상기 모세관배수재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을 흡수시킬 수 있는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중앙에 위치하여 흡수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로와, 상기 수로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다공성관을 포함하고, 상기 침투층과 배출부에 걸쳐 설치되어 우수를 배출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섬유층과 다공성관은 유리섬유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거나, 또는 코이어섬유와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며, 상기 섬유층은 X자 형상으로 엮어진 것일 수 있다.
상기 기능성여과층의 중간에 농업부산물을 화학처리하여 적층한 농업부산물흡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농업부산물의 화학처리는 농업부산물을 산성 또는 알카리성 수용액으로 세척, 청수로 세척, 및 건조하는 과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상기 농업부산물흡착층은 펄라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업부산물흡착층은 매트의 내부에 상기 화학처리한 농업부산물을 충진하여 적층할 수 있다.
상기 여과침투부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횡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설치되는 모세관침투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모세관침투부는 상기 여과침투부의 표면에서 상기 침투층까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저장셀은 상기 모세관배수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이며, 상기 수직모세관재는 상기 물저장셀 각각에 하나 이상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침투층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물저장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시공방법은,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시공방법에 있어서,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될 구역을 굴착하여 굴착부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굴착부의 일측에 전처리부를 시공하고, 타측에 배출조와 배출관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부와 배출부 사이의 상기 굴착부에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모세관재가 구비된 물저장셀과, 모세관배수재와, 이들을 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으로 덮는 침투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침투층의 상측에 왕겨숯을 포함하는 기능성여과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여과층의 상측에 흙, 모래, 입상재료를 혼합한 토양여과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토양여과층의 상측단부 양측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사면을 조성하고, 상기 사면과 토양여과층의 표면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여과층을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능성여과층의 중간에 농업부산물을 화학처리하여 적층한 농업부산물흡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농업부산물의 화학처리는 농업부산물을 산성 또는 알카리성 수용액으로 세척, 청수로 세척, 및 건조하는 과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해, 기존 집수 및 지하침투층을 조성하는데 사용되어온 배수용 맹암거 유공관 대신에 모세관배수재를 사용함으로써, 부직포 설치나 높은 자갈층의 설치가 불필요하고, 배수재의 설치가 간단하여, 시공이 간편할 뿐 아니라 시공기간과 시공비용이 대폭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여과침투층은 왕겨숯을 포함하는 기능성여과층을 포함함으로써, 표면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과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하고, 식물과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용존유기물, 중금속, 농약과 같은 비점오염물질 잘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기능성여과층의 중간에 농업부산물을 화학처리하여 적층한 농업부산물흡착층을 더 포함함으로써, 초기우수 중의 오염물질을 잘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여과침투부는 침투층에 설치되는 물저장셀과 물저장셀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수직모세관재를 포함함으로써, 강우시 침투층까지 침투되어 정화된 우수가 물저장셀에 저장되었다가 건기에 여과침투부 표면의 식물에 공급됨으로써 식물의 생장을 잘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여과침투부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공관을 대신하여 모세관배수재를 설치함으로써, 중력이 아닌 모세관현상에 의해 집수가 실시됨에 따라 집수효율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모세관배수재를 원하는 길이로 용이하게 절단하여 사용함으로써, 배수길이가 긴 비점오염시설을 시공하더라도 그 길이에 알맞게 모세관배수재를 설치할 수 있고, 모세관배수재의 설치작업이 간단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스크린통에서 조대물질을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2f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여과침투부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3d는 여과침투부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모세관배수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모세관재가 구비된 물저장셀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상세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종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횡평면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스크린통에서 조대물질을 제거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a 내지 2f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여과침투부의 시공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3d는 여과침투부의 다양한 배치 형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는 모세관배수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모세관재가 구비된 물저장셀을 도시하는 사시도 및 상세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종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5a의 횡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 1 내지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은, 전처리부(10), 여과침투부(20) 및 배출부(30)를 포함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여과침투부(20)는,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모세관재(221)가 구비된 물저장셀(22)과, 모세관배수재(23)와, 이들을 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으로 덮는 침투층(21); 상기 침투층(21)의 상측에 적층되는 것으로 왕겨숯을 포함하는 기능성여과층(27); 및 상기 기능성여과층(27)의 상측에 적층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여과층(25);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침투부(20)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토양여과층(25)과 기능성여과층(27)을 순차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침투층(21) 내의 모세관배수재(23)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우수가 집수되어 상기 배출부(30)로 배출되거나, 상기 침투층(21) 하부의 지하로 침투되고, 동시에 상기 물저장셀(22)에 저장된 우수가 건기시에 상기 수직모세관재(221)를 따라 상기 토양여과층(25)으로 상향이동하여 상기 식물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전처리부(10)는 초기우수(눈 등 포함)에 포함된 조대물질과 토사를 걸러낼 수 있다. 전처리부(10)는 스크린조(11)와 침강지(13)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조(11)는 우수에 포함된 조대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침강지(13)는 우수에 포함된 토사가 침강될 수 있다. 침강지(13)는 우수가 여과침투부(20)로 오버플로우하게 함으로써, 우수에 포함된 토사가 바닥에 자연적으로 침강되게 할 수 있다. 퇴적된 토사, 오염물질 등은 유지보수 작업 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스크린조(11)와 침강지(13)의 사이에는 이송관(15)이 설치되고, 이송관(15)의 후방에는 스크린(111)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이송관(15)의 후방이면서 스크린조(11)의 내측에는 스크린(111)이 설치되어 조대물질들을 걸러내고 이송관(15)에 의해 스크린조(11)에서 침강지(13)로 우수가 이송될 수 있다. 이송된 후 우수에 포함된 토사를 자연적으로 침강시켜 우수로부터 오염물질들을 걸러내는 전처리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하, 비점오염저감시설(1)에서 우수가 흘러가는 방향으로 보아 앞쪽을 전방, 그 뒤쪽을 후방으로, 또한 전후방 방향을 종방향으로 칭한다.
스크린(111)은 이송관(15)의 후방에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스크린조(11)로 유입된 조대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스크린(111)은 철망이거나,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는 복수의 철선일 수 있다. 상하방향으로 길게 설치된 복수의 철선으로 형성된 스크린(111)은 포집된 조대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여과침투부(20)는 하측 방향으로 토양여과층(25), 기능성여과층(27) 및 침투층(2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과침투부(20)는 전처리부(10)의 전방인 하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여과침투부(20)는 전처리부(10)와 후술하는 배출부(3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여과침투부(20)는 전처리부(10)에서 오버플로우 한 우수가 전방인 배출부(30) 방향 즉, 종방향으로 흘러내리면서 동시에 하측으로 침투되어 토양여과층(25)과 기능성여과층(27)을 통해 정화된 후 침투층(21)을 거쳐 지하로 침투되거나, 후술하는 모세관배수재(23)로 집수된 후 배출부(30)로 배출되거나, 물저장셀(22)에 저장되었다가 건기에 식물에 공급될 수 있다. 여과침투부(20)의 표면은 종방향으로 미세하게 하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토양여과층(25)을 통해 침투되는 동안 표면에 식재된 식물에 의한 흡착·흡수, 토양에 의한 여과·흡착, 미생물에 의한 생물학적 분해 등으로 유기물, 질소, 인, 부유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될 수 있다.
기능성여과층(27)은 왕겨숯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왕겨숯만으로 구성되거나, 그 구성으로서 왕겨숯을 포함할 수 있다.
왕겨숯은 왕겨가 탄화하는 과정에서 수많은 구멍이 형성되는데, 이는 통기성과 보비력이 뛰어나고 수분 조절기능이 있어 유효미생물에 최적의 서식공간을 만들고 부패미생물의 밀도를 저하시키며, 오염물질의 흡착 능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능성여과층(27)은 토양여과층(25)의 표면에 식재된 식물의 생육과 유효 미생물의 번식을 촉진하여, 토양여과층(25) 내의 오염물질을 생물학적인 분해, 흡수 등의 작용에 의해 효율적으로 제거하며, 용존유기물, 중금속, 농약과 같은 비점오염물질을 흡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왕겨숯은 자기 체적의 수배 이상의 수분을 보유할 수 있어 초기우수의 저류용량을 증대시키고 건기 시 토양여과층(25) 상부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다.
침투층(21)은 물저장셀(22)과 모세관배수재(23)가 설치되고 이들을 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으로 덮을 수 있다.
침투층(21)은 우수가 모세관배수재(23)에 의하여 집수되어 후술하는 배출부(30)로 이동되거나, 일부는 지하로 침투될 수 있다.
침투층(21)에 사용되는 모래는 중모래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입경은 0.25~0.5mm 사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굵은 모래는 상기 중모래보다 더 굵은 것을 지칭한다.
침투층(21)은 전술한 바와 같이 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다만, 후술하는 모세관배수재(23)의 주변에는 모래가 포설되는 것이 모세관 현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모세관배수재(23)의 상측과 하측에는 각각 3~5cm정도의 두께로 모래 즉, 중모래가 포설되고, 그 하측과 상측에는 동일한 중모래가 포설되거나, 전술한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등이 포설될 수 있다.
모세관배수재(23)는 침투층(21)으로 침투되는 우수를 모세관현상에 의해 집수할 수 있다. 모세관배수재(23)에 의해 집수된 우수는 후술하는 배출부(30)로 이송될 수 있다.
모세관배수재(23)는 여과침투부(20)의 상류측 시작 지점에서부터 배수방향인 하류측 최종지점 즉, 배출부(30)까지 설치될 수 있다. 모세관배수재(23)는 필요한 길이만큼 용이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유공관처럼 관의 연결 작업이나, 관의 경사를 일정하게 맞추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시공이 용이함으로써 시공비용과 시공기간이 절약될 수 있다.
모세관배수재(23)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1)이 설치되는 지역에서 요구되는 집수 효율에 따라 설치 개수를 선택할 수 있다. 2개 이상의 모세관배수재(23)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 모세관배수재(23) 간의 이격 간격은 토양여과층(25)의 높이, 투수성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나, 통상적으로 3~5m가 적당할 수 있다.
또한, 모세관배수재(23)의 설치는 집수된 우수의 원활한 배출을 위하여 모세관배수재(23)의 최종 배출 지점의 높이까지 하향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세관배수재(23)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우수를 흡수시킬 수 있는 섬유층(231)과, 섬유층(231)의 중앙에 위치하여 흡수된 우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수로(235)와, 수로(235)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다공성관(233)을 포함할 수 있다. 모세관배수재(23)는 전체 직경이 3~5cm로 형성될 수 있고, 이 중 섬유층(231)의 두께는 2~3cm, 수로(235)의 직경이 1~2cm 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층(231)은 모세관배수재(23)의 가장 외측에 형성될 수 있다. 섬유층(231)은 내구성과 강도가 있는 유리섬유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섬유층(231)은 밧줄 형태 즉, X자 형상으로 엮어진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의 섬유층(231)은 우수가 통과하는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모래 등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모세관배수재(23)의 기능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즉, 섬유층(231)을 형성하는 섬유와 물 사이의 부착력 및 응집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세관현상으로 모세관배수재(23) 주변의 우수를 내부로 집수하여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섬유층(231)은 다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X자 형상으로 엮어진 섬유층(231)이 1층, 2층 등으로 형성됨으로써, 우수의 유입은 용이하게 하고, 동시에 모래 등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1층, 2층 등의 섬유층(231)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치밀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치밀도를 증가시키는 경우 모세관현상이 우수하고 동시에 모래 등의 유입을 잘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섬유층(231)은 최 외측에 섬유가 원주방향으로 감겨진 원주층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원주방향으로 감겨진 원주층은 모래 등이 모세관배수재(23)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아니하고 하측으로 흘러내리게 함으로써 모세관배수재(23)의 막힘을 잘 방지할 수 있다.
다공성관(233)은 섬유층(231)의 내측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다공성관(233)은 내구성과 강도가 있는 스테인레스로 구성될 수 있다. 다공성관(233)은 수로(235)의 형상을 형성 또는 유지시키는 것으로서, 횡방향으로 길이가 긴 원통형상이고 구멍들이 관통된 형상일 수 있다. 다공성관(233)은 스테인레스선이 짜여진 형상이거나, 스테인레스관에 관통구들이 형성된 형상일 수 있다. 즉, 다공성관(233)은 섬유층(231)을 지지하여 수로(235)가 형성되게 하고, 섬유층(231)과 함께 적절히 굽혀지는 것으로써 모세관배수재(23)의 시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모세관배수재(23)를 친환경적으로 조성하여 한시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섬유층(231)은 코이어섬유로 형성되고, 다공성관(233)은 생분해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 재료들로 제작된 모세관배수재(23)는 장기간 사용 후 자연적으로 생분해될 수 있다.
토양여과층(25)은 침투층(21)의 상측에 흙, 모래, 입상재료가 혼합되어 적층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입상재료로는 나무조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모래, 입상재료 등이 혼합된 토양여과층(25)은 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잘 제거하면서도 우수를 잘 침투시킬 수 있다.
토양여과층(25)을 통해 우수가 침투되면서 표면에 식재된 식물에 의한 흡착·흡수, 토양에 의한 여과·흡착, 미생물의 생물학적 분해 등으로 유기물, 질소, 인, 부유물질 등의 오염물질이 제거됨으로써, 우수를 지하수로 사용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나무조각 등의 입상재료는 미생물의 증식을 돕고 오염물질의 흡착을 증대시킬 수 있다.
토양여과층(25)은 투수성을 증대시키고, 오염물질의 흡착, 제거를 위해 다공성세라믹, 활성탄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여과층(27)의 중간에 농업부산물을 화학처리하여 적층한 농업부산물흡착층(2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농업부산물로는 밀대, 콩대, 옥수수대, 볏집, 억새대, 해바라기 껍질, 목화 잔사물, 왕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농업부산물은 유입되는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농업부산물의 화학처리는 농업부산물을 산성 또는 알카리성 수용액으로 세척, 청수로 세척, 및 건조하는 과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수 속의 오염물질을 잘 흡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농업부산물흡착층(28)은 펄라이트를 더 포함함으로써 오염물질을 더욱 잘 흡착할 수 있다. 상기 수용액은 수산화나트륨(NaOH) 수용액 등일 수 있다.
상기 농업부산물흡착층(28)은 매트의 내부에 상기 화학처리한 농업부산물을 충진하여 적층한 것일 수 있다. 이는 농업부산물흡착층(28)을 포설하거나 기능이 저하된 경우 제거하는데 매우 효율적일 수 있다.
상기 여과침투부(20)는,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횡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설치되는 모세관침투부(24)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세관침투부(24)는 여과침투부(20)의 표면에서 침투층(21)까지 설치될 수 있다. 즉, 모세관침투부(24)의 상측은 여과침투부(20)의 표면에 일정 높이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모세관침투부(24)는 천연재료 또는 고분자 물질의 섬유로 제작될 수 있다. 모세관침투부(24)는 섬유 매트 또는 섬유 다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처리부(10)에서 여과침투부(20)로 월류된 우수는 종방향으로 흐르는 과정에서 모세관침투부(24)들에서 하측으로 잘 침투하고, 동시에 미립자들이 모세관침투부(24)의 돌출부에 걸러지면서 다음 모세관침투부(24)로 흐르게 된다. 즉, 모세관침투부(24)들은 우수를 지하로 잘 침투되게 하고, 동시에 건기에는 하측에 저장된 우수가 모세관침투부(24)를 통해 상측의 식물에 공급됨으로써 식생이 잘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침투층(21)의 하면과 측면을 감싸는 물저장조(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물저장조(40)는 하면과 횡방향의 양 측면이 형성된 ㄷ자 형상이거나, 하면과 사방둘레가 형성된 사각 통 형상일 수 있다. 이 물저장조(40)는 우수의 일부를 저장함으로써 건기에 상측의 식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물저장조(40)는 침투층(21)의 전체에 설치되기보다는 일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침투층(21)의 종방향으로 이격되게 하나 이상 설치되거나, 횡방향으로 이격되게 하나 이상 설치되거나, 종횡방향으로 이격되게 하나 이상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물저장조(40)를 설치하는 것은 침투층(21)으로 침투한 초기우수의 일부는 물저장조(40)에 저장되고, 일부는 지하로 침투되게 하기 위함이다.
도 5a~5c를 참조하면, 상기 여과침투부(20)는 수분공급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수분공급모듈은 침투층(21)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물저장셀(22)과 상기 각 물저장셀(22)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수직모세관재(221)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여과침투부(20)는 건기시 토양여과층(25) 표면에 식재된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기 위해 침투층(21)에서 토양여과층(25)에 걸쳐서 수분공급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수분공급모듈은 침투층(21) 내에 설치되어 정화된 우수를 저장할 수 있는 물저장셀(22)과 물저장셀(22)에 저장된 물을 토양여과층(25)까지 상향이동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직모세관재(221)를 일체화 시켜 구성할 수 있다.
수분공급모듈은 강우시 침투층(21) 내에 설치된 물저장셀(22)에 정화된 우수를 저장하였다가 건기시 수직모세관재(221)에 의해 토양여과층(25) 상측까지 정화된 우수를 상향이동시켜 식물성장에 필요한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물저장셀(22)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부면과 측면이 밀폐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다면체 또는 기둥체 형태로서 내부는 외부 토압 등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격자상 구조틀과 수직모세관재(221)가 삽입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부는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구멍과 외부의 물을 물저장셀(22)로 이동시켜주는 다공판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다공판은 침투층(21)에 포설되는 모래 등의 유입을 막기 위해 토목섬유가 다공판, 즉 상부면 외부 또는 내부에 적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모세관재(221)는 천연 또는 인공 재질의 섬유가 복수개의 모세관을 감싸고 있는 형태로서 물저장셀(22)에 삽입가능하며, 설치작업시 편의성을 위해 수직성을 확보하도록 제작된 형태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수직모세관재(221)는 복수개의 모세관을 토목섬유가 감싸고 있는 판상의 모세관재를 둥글게 말아서 물저장셀(22)에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물저장셀(22)과 수직모세관재(221)는 사전에 일체화시켜 모듈형태, 즉 수분공급모듈로 제작되는 것이 설치의 편의성을 위해 바람직하며, 하나의 물저장셀(22)에 복수의 수직모세관재(221)가 삽입되어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모듈은 굴착부 바닥에 적당한 간격을 두고 설치될 수 있으며, 굴착부 바닥에 그대로 안장하거나 굴착부 바닥에 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을 포설한 후 안장할 수 있다. 또한 설치된 수분공급모듈 사이의 공간은 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을 채울 수 있다.
여과침투부(20)는 토양여과층(25)의 상측단부 양측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사면(2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사면(29)과 토양여과층(25)의 표면에는 식물이 식재될 수 있다. 식재된 식물들에 의하여 오염물질들이 흡착·흡수가 이루어져 초기우수로부터 오염물질들이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부(30)는 여과침투부(20)에서 이송되어온 우수가 집수되는 배출조(31)와 배출조(31)에 집수된 우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 시 우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배출관(3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조(31)의 일측에는 모세관배수재(23)가 결합되고, 타측에는 일정 수위 이상 시 우수를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1)의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관(33)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배출부(30)는 여과침투부(20)를 통해 오염물질이 제거된 우수를 집수하여 배출조(31)에 저류시키고 집수된 우수의 수위가 일정 높이 이상이 되면 배출관(33)을 통해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1)의 외부로 유출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시공방법을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의 구성들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들을 유추하여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시공방법은,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시공방법에 있어서,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1)이 설치될 구역을 굴착하여 굴착부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굴착부의 일측에 전처리부(10)를 시공하고, 타측에 배출조와 배출관을 포함하는 배출부(30)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부(10)와 배출부(30) 사이의 상기 굴착부에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모세관재(221)가 구비된 물저장셀(22)과, 모세관배수재(23)와, 이들을 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으로 덮는 침투층(21)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침투층(21)의 상측에 왕겨숯을 포함하는 기능성여과층(27)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여과층(27)의 상측에 흙, 모래, 입상재료를 혼합한 토양여과층(25)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토양여과층(25)의 상측단부 양측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사면을 조성하고, 상기 사면과 토양여과층(25)의 표면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굴착부를 시공하는 단계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1)이 설치될 구역을 굴착하는 단계이다. 굴착부는 전처리부(10), 배출부(30), 및 침투층(21)과 기능성여과층(27)과 토양여과층(25)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정도의 깊이와 폭으로 굴착될 수 있다.
전처리부(10)와 배출부(30)는 동시에 시공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시공될 수 있다. 전처리부(10)와 배출부(30)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처리부(10)와 배출부(30)는 미리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시공될 수 있다.
전처리부(10)의 시공은 굴착부의 바닥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굴착부의 일측에 스크린조(11), 침강지(13) 및 이송관(15)을 연결하여 전처리부(10)를 시공할 수 있다.
배출부(30)의 시공은 굴착부의 바닥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굴착부의 타측에 배출조(31)와 배출관(33)을 설치하여 배출부(30)를 시공할 수 있다.
침투층(21)은 전처리부(10)와 배출부(30)의 사이의 굴착부 바닥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수직모세관재(221)가 구비된 물저장셀(22)을 설치하고, 또한 모세관배수재(23)를 상류측 시작 지점에서부터 배수방향인 하류측 최종지점 즉, 배출조(31)의 내측까지 설치하고, 이들을 모래 등으로 덮을 수 있다.
물저장셀(22)은 전처리부(10)와 배출부(30)의 사이의 굴착부 바닥을 평탄하게 정리한 후 바닥에, 혹은 모래 등을 일정 높이로 포설한 후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설치가 완료된 물저장셀(22) 사이의 공간에는 모래 등이 채워질 수 있다.
기능성여과층(27)은 왕겨숯만을 적층하거나, 또는 왕겨숯에 토사, 나무조각 등을 일부 혼합하여 적층할 수 있다.
토양여과층(25)은 흙, 모래, 입상재료 등을 혼합하여 시공할 수 있다.
토양여과층(25)의 상측단부 양측면에서는 굴착단계에서 굴착한 토양을 이용하여 상향 경사지게 사면(29)을 조성할 수 있다. 이는 여과침투부(20)로 유입된 우수가 하측으로 침투하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
사면(29) 조성 이후에는 사면(29)과 토양여과층(25)의 표면에 식물을 식재할 수 있다. 따라서, 초기우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이 식재된 식물의 흡착·흡수 작용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상기 과정 중 농업부산물흡착층(28), 모세관침투부(24), 물저장조(40) 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비점오염저감시설
10: 전처리부
11: 스크린조
111: 스크린
13: 침강지
15: 이송관
20: 여과침투부
21: 침투층
22: 물저장셀
221: 수직모세관재
23: 모세관배수재
231: 섬유층
233: 다공성관
235: 수로
24: 모세관침투부
25: 토양여과층
27: 기능성여과층
28: 농업부산물흡착층
29: 사면
30: 배출부
31: 배출조
33: 배출관
40: 물저장조
10: 전처리부
11: 스크린조
111: 스크린
13: 침강지
15: 이송관
20: 여과침투부
21: 침투층
22: 물저장셀
221: 수직모세관재
23: 모세관배수재
231: 섬유층
233: 다공성관
235: 수로
24: 모세관침투부
25: 토양여과층
27: 기능성여과층
28: 농업부산물흡착층
29: 사면
30: 배출부
31: 배출조
33: 배출관
40: 물저장조
Claims (10)
- 전처리부, 여과침투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에 있어서,
상기 여과침투부는,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모세관재가 구비된 물저장셀과, 주변에 중모래가 포설되는 모세관배수재와, 이들을 중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으로 덮는 침투층;
상기 침투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것으로 왕겨숯을 포함하는 기능성여과층; 및
상기 기능성여과층의 상측에 적층되는 것으로 상면에는 식물이 식재되는 토양여과층;을 포함하고,
상기 여과침투부로 유입된 우수가 상기 토양여과층과 기능성여과층을 순차로 통과하면서 정화된 후 상기 침투층 내의 모세관배수재의 모세관현상에 의해 우수가 집수되어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거나, 상기 침투층 하부의 지하로 침투되고, 동시에 상기 물저장셀에 저장된 우수가 건기시에 상기 수직모세관재를 따라 상기 토양여과층으로 상향이동하여 상기 식물에 수분을 공급하고,
상기 물저장셀은 상기 모세관배수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이며, 상기 수직모세관재는 상기 물저장셀 각각에 하나 이상 삽입 설치되고,
상기 물저장셀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부면과 측면이 밀폐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다면체 또는 기둥체 형태로서 내부는 외부 토압 등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격자상 구조틀과 수직모세관재가 삽입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부는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구멍과 외부의 물을 물저장셀로 이동시켜주는 다공판 구조이고,
상기 모세관배수재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을 흡수시킬 수 있는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중앙에 위치하여 흡수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로와, 상기 수로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다공성관을 포함하고, 상기 침투층과 배출부에 걸쳐 설치되어 우수를 배출부로 배출하고,
상기 섬유층은 X자 형상으로 엮어져 다층으로 형성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치밀도가 증가하고,
상기 토양여과층 내부에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횡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설치되는 모세관침투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세관침투부는 토양여과층 상면보다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으면서 토양여과층의 표면에서 상기 침투층까지 설치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부는,
우수로부터 조대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조와, 상기 스크린조에서 이송되어온 우수에 포함된 토사가 침강되는 침강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조와 침강지의 사이에는 이송관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의 후방에는 스크린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양여과층은 흙, 모래, 입상재료가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섬유층과 다공성관은 유리섬유와 스테인레스로 구성되거나, 또는 코이어섬유와 생분해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여과층의 중간에 농업부산물을 화학처리하여 적층한 농업부산물흡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농업부산물의 화학처리는 농업부산물을 산성 또는 알카리성 수용액으로 세척, 청수로 세척, 및 건조하는 과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농업부산물흡착층은 매트의 내부에 상기 화학처리한 농업부산물을 충진하여 적층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 삭제
-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시공방법에 있어서,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될 구역을 굴착하여 굴착부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굴착부의 일측에 전처리부를 시공하고, 타측에 배출조와 배출관을 포함하는 배출부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부와 배출부 사이의 상기 굴착부에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모세관재가 구비된 물저장셀과, 주변에 중모래가 포설되는 모세관배수재와, 이들을 중모래, 굵은 모래, 잔자갈, 쇄석 중 하나 이상으로 덮는 침투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침투층의 상측에 왕겨숯을 포함하는 기능성여과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기능성여과층의 상측에 흙, 모래, 입상재료를 혼합한 토양여과층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토양여과층의 상측단부 양측면에서 상향 경사지게 사면을 조성하고, 상기 사면과 토양여과층의 표면에 식물을 식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저장셀은 상기 모세관배수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복수개이며, 상기 수직모세관재는 상기 물저장셀 각각에 하나 이상 삽입 설치되고,
상기 물저장셀은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부면과 측면이 밀폐되고 상부면은 개방된 다면체 또는 기둥체 형태로서 내부는 외부 토압 등을 견딜 수 있도록 하는 격자상 구조틀과 수직모세관재가 삽입되는 통로를 포함하며, 상부는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구멍과 외부의 물을 물저장셀로 이동시켜주는 다공판 구조이고,
상기 모세관배수재는,
모세관현상에 의해 물을 흡수시킬 수 있는 섬유층과, 상기 섬유층의 중앙에 위치하여 흡수된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수로와, 상기 수로의 형상을 유지시키는 다공성관을 포함하고,
상기 침투층과 배출부에 걸쳐 설치되어 우수를 배출부로 배출하고,
상기 섬유층은 X자 형상으로 엮어져 다층으로 형성되고,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그 치밀도가 증가하고,
상기 토양여과층 내부에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횡방향으로 띠 형상으로 설치되는 모세관침투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모세관침투부는 토양여과층 상면보다 돌출되는 돌출부를 갖으면서 토양여과층의 표면에서 상기 침투층까지 설치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시공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여과층을 시공하는 단계는,
상기 기능성여과층의 중간에 농업부산물을 화학처리하여 적층한 농업부산물흡착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농업부산물의 화학처리는 농업부산물을 산성 또는 알카리성 수용액으로 세척, 청수로 세척, 및 건조하는 과정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6657A KR102228264B1 (ko) | 2019-10-30 | 2019-10-30 |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36657A KR102228264B1 (ko) | 2019-10-30 | 2019-10-30 |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28264B1 true KR102228264B1 (ko) | 2021-03-29 |
Family
ID=75249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36657A KR102228264B1 (ko) | 2019-10-30 | 2019-10-30 |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8264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47135A (zh) * | 2022-05-25 | 2022-08-05 | 西北农林科技大学 | 用于山地果园的集雨补灌促渗排涝综合系统及其实施方法 |
CN114857904A (zh) * | 2022-04-20 | 2022-08-05 | 智鑫隆科技(广东)有限公司 | 泥坯二次干燥系统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8551B1 (ko) | 1995-08-02 | 1998-12-15 |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 일회용 기저귀 |
KR200266826Y1 (ko) * | 2001-11-27 | 2002-03-04 |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 건축 지하 구조물 기초바닥의 폴리에틸렌 흡수 드레인을이용한 지하수 배수처리구조 |
KR100912708B1 (ko) * | 2008-12-22 | 2009-08-19 | 이경섭 |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
KR100945371B1 (ko) * | 2009-10-13 | 2010-03-08 | 김세희 | 천연 유분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
KR101268084B1 (ko) * | 2010-01-12 | 2013-05-29 | 주식회사 유기산업 | 정화용 습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정화장치 |
KR101612620B1 (ko) * | 2014-08-20 | 2016-04-14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
KR101724155B1 (ko) * | 2016-07-26 | 2017-04-18 | (주) 일신네이쳐 |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
KR101907843B1 (ko) | 2018-06-28 | 2018-10-12 | 이창우 | Lid 토양침투 우수처리장치 |
-
2019
- 2019-10-30 KR KR1020190136657A patent/KR10222826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0158551B1 (ko) | 1995-08-02 | 1998-12-15 | 다카하라 게이이치로 | 일회용 기저귀 |
KR200266826Y1 (ko) * | 2001-11-27 | 2002-03-04 | (주)토형이엔지건축사사무소 | 건축 지하 구조물 기초바닥의 폴리에틸렌 흡수 드레인을이용한 지하수 배수처리구조 |
KR100912708B1 (ko) * | 2008-12-22 | 2009-08-19 | 이경섭 | 비점오염 침전분리 침투형 정화장치 |
KR100945371B1 (ko) * | 2009-10-13 | 2010-03-08 | 김세희 | 천연 유분 흡착제 및 그 제조방법 |
KR101268084B1 (ko) * | 2010-01-12 | 2013-05-29 | 주식회사 유기산업 | 정화용 습지대 및 이를 이용한 정화장치 |
KR101612620B1 (ko) * | 2014-08-20 | 2016-04-14 |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
KR101724155B1 (ko) * | 2016-07-26 | 2017-04-18 | (주) 일신네이쳐 | 수목용 빗물정화 및 물공급시설 |
KR101907843B1 (ko) | 2018-06-28 | 2018-10-12 | 이창우 | Lid 토양침투 우수처리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857904A (zh) * | 2022-04-20 | 2022-08-05 | 智鑫隆科技(广东)有限公司 | 泥坯二次干燥系统 |
CN114857904B (zh) * | 2022-04-20 | 2023-09-08 | 智鑫隆科技(广东)有限公司 | 泥坯二次干燥系统 |
CN114847135A (zh) * | 2022-05-25 | 2022-08-05 | 西北农林科技大学 | 用于山地果园的集雨补灌促渗排涝综合系统及其实施方法 |
CN114847135B (zh) * | 2022-05-25 | 2023-09-15 | 西北农林科技大学 | 用于山地果园的集雨补灌促渗排涝综合系统及其实施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2620B1 (ko) | 식생 성장 촉진 및 비점오염물질의 저감 제거를 갖는 빗물 정원 시설의 시공 방법 | |
EP0734478B1 (en) | Underground drainage system | |
CN107893469B (zh) | 一种基于海绵城市雨水渗排一体化系统 | |
CN105714911B (zh) | 区域低影响雨水处理利用系统及区域雨水处理方法 | |
US8287728B2 (en) | Elevated swale for treatment of contaminated stormwater | |
KR101105368B1 (ko) | 녹지 집수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우수 처리방법 | |
KR101923926B1 (ko) | 도시형 레인가든 시스템 | |
CN109098268B (zh) | 一种雨水渗蓄系统 | |
KR101728208B1 (ko) | 빗물 침투에 의한 저류 및 증발로 식생 성장이 가능토록 한 확장형 침투 화분 시설물 | |
KR101294715B1 (ko) | 도로의 비점오염물질 처리장치 | |
CN105850264A (zh) | 适合盐碱地雨水收集和排盐的植被恢复方法 | |
KR102228264B1 (ko) | 식생형 비점오염저감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CN112144633B (zh) | 一种防堵塞海绵城市建设用雨水花园系统 | |
CN111350233A (zh) | 一种北方地区田间大棚区雨洪资源利用装置及构建方法 | |
US20120125841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osal and treatment of waste water, sewage and/or effluent | |
WO2010116748A1 (ja) | 汚水処理装置 | |
CN204898828U (zh) | 一种雨水涵养-修复一体装置 | |
JP3284346B2 (ja) | 地下貯水システム | |
CN108951829A (zh) | 一种带有分层过滤结构的雨水净化生态树池系统 | |
CN209179164U (zh) | 一种雨水渗蓄系统 | |
CN110357267A (zh) | 梯级多段潜流人工湿地处理池及其施工方法 | |
CN216451816U (zh) | 一种盐碱地隔盐排盐结构 | |
KR101362253B1 (ko) | 가로수목 식재 박스 | |
EP1135340B1 (fr) | Reacteurs sols artificialises pour des procedes d'epuration et de resorption combines | |
JP3693176B2 (ja) | 雨水地下濾過給水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