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8095B1 -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 - Google Patents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8095B1
KR102228095B1 KR1020200035377A KR20200035377A KR102228095B1 KR 102228095 B1 KR102228095 B1 KR 102228095B1 KR 1020200035377 A KR1020200035377 A KR 1020200035377A KR 20200035377 A KR20200035377 A KR 20200035377A KR 102228095 B1 KR102228095 B1 KR 1022280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ing liquid
dispenser
floating
uni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5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종훈
Original Assignee
현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종훈 filed Critical 현종훈
Priority to KR1020200035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80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80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80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9/03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consisting of a separate container with an outlet through which the agent is introduced into the flushing water, e.g. by suction ; Devices for agents in direct contact with flushing water
    • E03D9/033Devices placed inside or dispensing into the cister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2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 E03D2009/028Devices adding a disinfecting, deodorising, or cleaning agent to the water while flushing using a liquid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기의 물탱크에서 자동으로 세정액을 토출하기 위한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디스펜서 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세정액을 보관하는 세정액 보관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부유부, 상기 부유부의 슬라이딩 높이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세정액의 토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DISPENSER FOR TOILET TANK}
본 발명은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좌변기의 물탱크에 침전되어 적절한 양으로 세정액을 배출하는 디스펜서에 관한 것이다.
수세식 변기의 세척용수에 세정 성분을 용해하기 위한 종래방식을 살펴보면, 수세식 변기의 수조 내부에 가용성고체형태의 세정블록을 투입하여 일정량의 세척용수가 배출될 때마다 세정블록이 자연적으로 용해되어 흘러나와 변기나 배관의 오물을 세척하는 방식이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세정블록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양이 줄어들어 세정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또한 장기간의 외출 등으로 변기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조 내부의 세척용수에 세정블록이 포화상태까지 용해되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고체형태의 세정블록의 단점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액체 형태의 세척액을 사용하기도 하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13341호(2003.05.16. 공고)에는 "자동유출 변기세정액 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변기 및 배관내부의 오염물을 세척하는 세정액을 수용하는 용기부; 및 상기 세정액의 배출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유동부;로 구성되되, 상기 용기부와 유동부는 부력에 의하여 자동으로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상기의 종래기술은 세척용수 배수시 하강 되었던 유동부가 다시 상승될 때까지 세정액이 계속하여 유출되는 구조로서 세정액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세척용수가 수조에 만수위를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계속하여 세척용수를 배수시킬 때 원추형패킹이 세정액 배출구를 정확하게 폐쇄시켜주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어 세정액의 손실이 큰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물탱크 내부에 설치하는 형태로 제공되어, 사용자들이 사용하는데 있어서 불편함을 초래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물탱크 내부에 별도의 디스펜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변기의 사용에 맞는 적당량의 세정액을 토출해주는 디스펜서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좌변기 물탱크에 침전시키는 형태의 세정액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디스펜서 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세정액을 보관하는 세정액 보관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부유부; 상기 부유부의 슬라이딩 높이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세정액의 토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정액 디스펜서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별도의 디스펜서를 설치할 필요 없이 좌변기 물탱크에 넣기만 해도 적정량의 세정액을 토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100, 이하 디스펜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측면부(101)와 바닥부(103)를 분리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부유부(202)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부(101)에 형성되는 전선 경로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경로를 따라 내려오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형성된 바닥부의 접촉 전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액 보관부(203)과 바닥부(103)의 분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100, 이하 디스펜서)의 사시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의 정면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는, 변기의 물탱크에 침전된 상태에서 내부의 세정액을 토출할 수 있는 구조를 제안한다. 특히, 디스펜서(100)는 소정 방향으로 긴 형상(알약과 비슷한 형상)으로, 물에 잠긴 상태에서 길이방향이 수직방향으로 설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서는 수위(물 수면 높이)를 감지하여, 수위의 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세정액을 뿜어내기 위함이다. 즉, 수위 변화를 제대로 감지하기 위해서는, 물의 수위가 움직이는 방향(위아래 방향)으로 길이 방향이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디스펜서(100)의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하우징(101, 102 및 103)은, 헤드부(102), 측면부(101) 및 바닥부(103)를 포함한다. 하우징(101, 102 및 103)은 디스펜서의 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헤드부(102)는 디스펜서(100)의 상부에 형성되고, 바닥부(103)는 디스펜서의 하부에 형성된다.
디스펜서(100)가 물에 침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몸체가 서있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헤드부(102)에 제 1 부유부(미도시)를 구비하고, 바닥부(103)에는 중량부를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디스펜서(100)의 하부에 구비되는 중량부는, 물속에 침전된 상태에서 바닥아 가라앉을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오뚜기가 설 수 있듯이 몸체를 세우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디스펜서(100)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1 부유부는, 상부에서 부력을 형성하여 중량부와 함께 몸체를 세우는 역할을 할 것이다.
측면부(101)의 외면에는 하우징(101, 102 및 103)의 내부에 물이 찰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구멍(104)을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겠지만, 이렇게 형성된 구멍(104)를 통하여 측면부(101) 물이 들어올 수 있어, 물탱크의 수면 변화에 따라 측면부(101) 내부에서도 수면 변화가 생길 수 있을 것이다.
도면에서는 측면부(101)의 하단에만 구멍(104)이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측면부(101)의 상단이나 중앙 부근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바닥부(103)에는 세정액을 토출하기 위한 세정액 분사 노즐(105)이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디스펜서(100)는 노즐(105)을 통하여 세정액을 분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측면부(101)와 바닥부(103)를 분리한 도면이다. 예를 들어, 바닥부(103)는 수나사부(201)가 형성되고, 수나사부(201)에 대응되는 암나사부가 측면부(101)에 형성되어, 마치 마개를 돌리듯이 바닥부(103)를 돌려 분리할 수 있을 것이다.
측면부(101)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며, 형성된 공간의 중심에 세정액 보관부(20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세정액 보관부(203)는 막대 형상일 수 있으며, 디스펜서(100) 몸체의 방향과 같은 길이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이하에서 후술할 제 2 부유부(202)가 수면의 변화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움직여야 하는데, 제 2 부유부(202)가 움직이는 경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막대 형상은 위아래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보관부(203)의 막대 형상은, 원형 막대 형상일 수 있다.
제 2 부유부(202)는 중앙에 관통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세정액 보관부(203)에 끼워진 상태에서, 세정액 보관부(203)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 구멍에 상기 세정액 보관부(203)의 막대 형상이 관통되는 형태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하 이동은, 제 2 부유부(202) 자체의 부력에 의해서 수면의 변화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즉 제 2 부유부(202)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공기로 채워지거나 기타 밀도가 작은 물질로 채워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정액 보관부(203)이 원형 막대 형상일 경우, 상기 제 2 부유부(202)는 도넛 형상과 같이 중앙에 원형 관통 구멍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 구조에서 제 2 부유부(202)의 이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하우징(101, 102 및 103) 내부에서의 제 2 부유부(202)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하여 측면부(101)를 도시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부유부(202)는 수면(490)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디스펜서(100) 몸체 및 세정액 보관부(203)의 길이 방향이 수면과 수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디스펜서(100) 상부의 제 1 부유부 및 하부의 중량부가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4에서와 같이 수면(490)이 낮을 때에 제 2 부유부(202) 역시 아래로 내려와 있을 것이며, 도 5에서와 같이 수면(490)이 높아지면 제 2 부유부(202) 역시 수면(490) 높이에 따라 올라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제 2 부유부(202)의 높이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 및 센싱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세정액의 토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도록 제안한다. 즉, 제 2 부유부(202)가 수면에 따라 이동할 경우 세정액을 토출하도록 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한 번의 변기 사용에 한 번의 세정액만이 토출되도록 제어하여, 변기의 사용 주기에 상관없이 항상 적정량의 세정액만을 토출시키기 위함이다.
제어부는, 센싱부의 감지 결과 상기 제 2 부유부(202)가 소정 높이로 올라오게 되면(소정 높이에 위치하면), 세정액을 토출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때 세정액의 토출은, 전자식일 수도 있고 기계식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전자식으로 토출하도록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센싱부는, 두 쌍을 이루는 제 1 내지 제 4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 2 부유부(202)의 상부면에 제 1 및 제 2 전극(401-1, 401-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전극(401-1, 401-2)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헤드부(102)의 하단면에 제 3 및 제 4 전극(401-2, 402-2)이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 2 부유부(202)가 수면의 변화에 따라서 위로 슬라이동 이동하여 제 1 내지 제 4 전극이 서로 맞닿게 되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세정액을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센싱부는 하나의 예시일 뿐, 다른 형태로 상기 제 2 부유부의 높이를 감지하는 것 역시 본 발명에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센싱부, 제어부 및 전원공급부가 헤드부(102)의 내부 수용 공간에 실장되도록 제안한다. 왜냐하면, 바닥부(103)에는 중량부가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공간이 부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자부품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제어부나 전원공급부에 물이 들어가면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부(101)에 형성되는 전선 경로의 일예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선 경로를 따라 내려오는 제어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형성된 바닥부의 접촉 전극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어부가 세정액 토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가 하부 분사 노즐(105)로 이동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측면부(101)의 벽면을 따라 전선 경로(602)가 구비되고, 측면부(101)와 바닥부(103)의 연결부위에 접촉전극(701-1, 701-2)이 형성되어 헤드부(102)에서 바닥부(103)까지 토출 제어신호가 전달되도록 제안한다.
상기 접촉전극(701-1, 701-2)과 대응되는 전극이 상기 측면부(101)에도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측면부(101)에는 길이방향으로 홈(601)이 형성되고, 형성된 홈을 따라 전선 경로(60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척액 보관부(203)과 바닥부(103)의 분리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세척액 보관부(203)는, 내부의 세척액이 다 소진될 경우 리필 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세척액 보관부(203) 내에 세척액을 새로 채울 수도 있겠지만, 세척액 보관부(203) 자체가 교체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서 바닥부(103)와 세척액 보관부(203)는 서로 탈착될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바닥부(103)는 세척액 보관부(203)이 끼워질 수 있는 홈(801)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세척액 보관부(203)와 바닥부(103)가 끼워진 상태에서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고무패킹(802)으로 마감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를 도시한다.
상기 도 5 및 도 6의 센싱부는, 제 2 부유부(202)의 상부면에 전극을 구비하였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별도의 전극패드(1001) 상부면에 제 1 및 제 2 전극(401-1, 401-2)가 구비되도록 제안한다. 왜냐하면, 제 2 부유부(202)의 상부면에 구비되는 전극은, 물에 노출될 위험이 높기 때문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전극패드(1001)와 헤드부(102)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1002)에는 물이 스며들어오지 못하도록 패킹되어 있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극 간에 접촉되는 것을 감지해야 하는데, 물이 있을 경우 접촉을 감지하기 어렵거나 센싱부 자체의 고장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된 상태에서와 같이, 전극패드(1001) 상단면에 구비되는 실시예의 경우 제 1 내지 제 4 전극은 살짝의 간극만 벌어진 상태로 유지될 수 있을 것이다.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제 2 부유부(202)가 슬라이딩되어 올라오면, 전극패드(1001)의 하부면과 접촉하게 될 것이며(도 11), 더 올라오면 전극패드(1001)를 밀어 올릴 수 있을 것이다(도 12).
도 11에서와 같이 전극패드(1001)이 충분히 밀려서 제 1 내지 제 4 전극이 서로 맞닿게 되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세정액을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의 실시예에 의할 경우, 전극들을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센싱부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한편, 경우에 따라서는 물탱크의 수위가 필요 이상으로 높지 못한 경우도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전극패드(1001)를 위로 밀어 올리기 위한 스페이서(1201)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2 부유부(202)와 연결시킬 수 있을 것이다.
도시된 도면과 같이 제 2 부유부(202)는 수위(490)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되며, 스페이서(1201)를 통하여 전극패드(1001)가 함께 상하"?戮막*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이때 도시된 도면에서와 같이 스페이서(1201)는 막대형상일 수도 있지만, 다른 형상으로도 밀어올릴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또한, 제 2 부유부(202), 스페이서(1201) 및 전극패드(1001)는 모두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도 있지만, 각각 분리되어 있는 상태일 수도 있다, 즉 제 2 부유부(202)에 의해서 밀려 올라가는 형태이기만 하면, 세 구성 간에 결합여부는 어떤 상태이던지 무관하다.
전극패드(1001)이 충분히 밀려서 제 1 내지 제 4 전극이 서로 맞닿게 되면, 제어부는 이를 감지하고 세정액을 토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3을 참조하면, 도 10이나 도 11에서 요구하는 수위 보다 낮은 수위임에도 불구하고 전극이 맞닿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세정액 디스펜서의 실시예를 설시하였으나 이는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도면 또는 도면을 참조한 설명에 의해 한정/제한되지는 아니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발명의 개념과 실시예가 본 발명의 동일 목적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른 구조로 수정하거나 설계하기 위한 기초로써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사용되어질 수 있을 것인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수정 또는 변경된 등가 구조는 청구범위에서 기술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구속되는 것으로서, 청구범위에서 기술한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화, 치환 및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Claims (3)

  1. 디스펜서 본체를 형성하는 하우징;
    세정액을 보관하는 세정액 보관부;
    수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제 1 부유부;
    상기 제 1 부유부의 슬라이딩 높이를 감지하는 센싱부; 및
    상기 센싱부의 센싱 결과에 따라 상기 세정액의 토출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센싱부는, 제 1 전극, 상면에 상기 제 1 전극을 구비하는 전극패드 및 상기 제 1 전극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된 상태에서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수위가 높아짐에 따라 상기 제 1 부유부가 슬라이딩되어 올라오면 상기 전극패드를 밀어 올려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이 맞닿는 방식으로 상기 높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은 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패킹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은 헤드부, 측면부 및 바닥부를 포함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헤드부에는 제 2 부유부가 구비되고, 상기 바닥부에는 중량부가 구비되어, 상기 디스펜서가 물속에 침전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설 수 있도록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 적어도 하나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물이 들어올 수 있으며,
    상기 측면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세정액 보관부는 상기 형성된 공간에 상기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막대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부유부의 중앙에는 관통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부유부는, 상기 관통 구멍이 상기 막대 형상의 세정액 보관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
  2. 삭제
  3. 삭제
KR1020200035377A 2020-03-24 2020-03-24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 KR1022280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377A KR102228095B1 (ko) 2020-03-24 2020-03-24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5377A KR102228095B1 (ko) 2020-03-24 2020-03-24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8095B1 true KR102228095B1 (ko) 2021-03-12

Family

ID=75177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5377A KR102228095B1 (ko) 2020-03-24 2020-03-24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809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264B1 (ko) * 2014-09-11 2015-05-11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부력을 이용한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20170017710A (ko) * 2015-08-06 2017-02-15 구교필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264B1 (ko) * 2014-09-11 2015-05-11 (주) 제이앤케이사이언스 부력을 이용한 세정제 자동 배출장치
KR20170017710A (ko) * 2015-08-06 2017-02-15 구교필 변기물 살균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132985A (ja) 洗浄弁アセンブリ及び洗浄弁アセンブリを含むトイレ洗浄システム
JP3188963U (ja) 貯水フロートの給水構造
CN209030835U (zh) 一种自动出水宠物饮水机
JP2014070376A (ja) 男性用水洗トイレ
KR102228095B1 (ko) 변기용 세정액 디스펜서
WO2016131114A1 (pt) Sistemas e dispositivos para otimizar o uso de efluentes de lavatório em vasos sanitários
CN109680776A (zh) 一种抽水马桶清洁液加注装置
CN208183894U (zh) 进水阀结构件、控制开关以及坐便器
CN107227780B (zh) 具有分级冲水功能的抽水马桶
JP6024668B2 (ja) 蓄電池用補水栓
CN105544672A (zh) 一种带补水装置的侧进水阀
US10100503B2 (en) Flush toilet
CN103526816A (zh) 一种随冲蹲便器
CN106176248A (zh) 一种多功能泡沫痰盂
ES2320112T3 (es) Controlador de nivel de liquido mejorado.
CN103290903A (zh) 自动冲水蹲便器
CN210541226U (zh) 一种皂液器的储液装置
JP6427977B2 (ja) 水洗大便器装置
KR101226143B1 (ko) 친환경 화장실
KR20140115506A (ko) 이동식 화장실용 변기
WO2007141704B1 (en) A dispenser for dispensing a dosing liquid into a toilet cistern
KR20200136682A (ko) 소변기
CN108505600B (zh) 一种防溅水马桶
CN203498977U (zh) 一种随冲蹲便器
CN213640550U (zh) 一种带双进水管式水罐的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