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901B1 -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드럼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드럼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901B1
KR102227901B1 KR1020157036997A KR20157036997A KR102227901B1 KR 102227901 B1 KR102227901 B1 KR 102227901B1 KR 1020157036997 A KR1020157036997 A KR 1020157036997A KR 20157036997 A KR20157036997 A KR 20157036997A KR 102227901 B1 KR102227901 B1 KR 102227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ull
anchor plate
drum brake
brake modul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36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8592A (ko
Inventor
우베 바흐
옌스 호프만
니클라스 괴리쎈
볼프강 리터
아메드 세포
하인 폴거 폰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filed Critical 콘티넨탈 테베스 아게 운트 코. 오하게
Publication of KR20160018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8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both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ir pivots
    • F16D51/2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both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from their pivots mechanically actu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8Electric or magnetic
    • F16D2121/24Electric or magnetic using mo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적어도 하나의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의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은 어댑터 (10) 에 의해 앵커 플레이트 (2) 에 체결되는 전기기계식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를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는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플랜지를 갖는 일편의 박벽 프레임으로서 구성되고 앵커 플레이트 (2) 에서 제위치에 유지된다.

Description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드럼 브레이크{DRUM BRAKE WHICH CAN BE OPERATED BY AN ELECTRIC MOTOR}
본 발명은, 전기기계적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는 앵커 플레이트의 외부측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 구동 입력 회전 운동을 브레이크 패드들의 병진 작동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병진 컨버터를 구동하는 역할을 하고, 브레이크 패드들은 브레이크 드럼의 내부에서 앵커 플레이트의,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로부터 돌려진 내부측에 배치되어서, 브레이크 패드들이 브레이크 드럼의 방향으로 작동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와 앵커 플레이트 사이에 어댑터가 배치되는,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드럼 브레이크, 특히 개선된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장치 (arrangement) 를 갖는, 자동차용 전동 (electromotively)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드럼 브레이크는 원칙적으로 상이한 구성 원리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도 있다 (심플렉스, 듀플렉스, 듀오-듀플렉스, 서보, 듀오-서보). 구성의 관점에서 드럼 브레이크의 균일한 장점은 적어도 하나의 회전 방향에서의 자체-부스팅 효과이어서, 브레이크력 부스터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기기계적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통상은, 서비스 브레이크의 종래의 유압 휠 브레이크 작동 요소들에 부가하여, 비교적 긴 케이블 풀을 통해 드럼 브레이크의 적어도 하나의 브레이크 패드에 작용하는 나사식 너트-스핀들 장치 및 감속 기어링 및 전기 모터를 갖는 중앙 전기기계적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가 제공된다. 이런 식으로, 소형 및 경량의 차량에 대해 또한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의 배치를 위한 작은 설치 공간이 휠 브레이크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중차량에 대해 보편적으로 적합한 전기기계적 주차 브레이크 (EPB) 가 실현된다.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가이드에 배치된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플로팅) 팽창 로크를 갖는 전기기계적으로 작동가능한 주차 브레이크가 또한 알려져 있다. 팽창 로크는, 병진 방식으로 변위가능하고 또한 대향 방향으로 브레이크 패드들에 작용하는 두 개의 작동 요소들을 갖는다. 각 경우에, 팽창 로크가 브레이크 패드에 직접 작용하도록,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에는 통합 방식으로 감속 기능을 갖는 하나의 기어휠 기구가 제공된다.
공지의 전기기계적으로 작동가능한 드럼 브레이크 고정화 시스템들은 각각 그 구조에 대한 그리고 그 공간 요건에 대한 경비와 관련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 중앙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를 갖는 주차 브레이크 케이블 풀 시스템들은 불리한데, 그 이유는 차량 제조업체에 있어서 휠 브레이크에 대한 케이블 풀의 별도의 설치 및 관절화가 필요해서,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케이블 풀 및 휠 브레이크의 최종 설치가 오직 차량 제조업체에서의 조립 라인에서만 수행될 수 있고, 이는 그 부위에서의 제조의 복잡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대량 생산의 경우, 기본적으로 차량 제조업체는 최소한의 제조 복잡성을 갖는 특히 효율적인, 유연한, 모듈식으로 적응가능한 차량 생산을 추구한다. 또한, 서비스 브레이크 기능을 포함하도록 주차 브레이크의 기능 범위를 확장하고자 한다.
따라서, EP 0 920 390 B1 은 특히 작은 전체 구조 크기를 갖는 전기기계적으로 작동가능한 드럼 브레이크 모듈을 개시하였다. 여기서, 원통형 작동 유닛의 외부 둘레는 앵커 플레이트의 개구를 통해 삽입된다. 회전가능한 구동 너트는 모터 하우징을 통해 캐리어 플레이트에 지지된다. 작동 유닛의 구조 길이를 단축시키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전기 모터의 로터가 스핀들 장치의 외측 주위에서 반경방향으로 결합하여 상기 스핀들 장치를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안내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러한 타입의 구조는 전기 모터가 비교적 높은 동력이 되도록 설계될 것을 요구하고, 전기 모터는 특별한 하우징 및 특별히 적응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갖는다.
EP 594 233 B1 으로부터는 케이블 풀 관절화없는 전기기계적으로 작동가능한 듀오-서보 드럼 브레이크가 알려지고 있다. 여기서, 전기 모터는 앵커 플레이트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그러므로 모터 축선은 브레이크 드럼의 회전 축선에 대해 항상 직각으로 배치되고, 회전가능한 그리고 축방향으로 변위불가능한 방식으로 위치된 나사식 스핀들을 구동한다. 나사식 스핀들은 모터 축선에 평행하게 브레이크 드럼에 제공되고 하우징에 장착된다. 나사식 스핀들은 하우징에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한 그리고 회전불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된 요소와 결합하는데, 상기 요소는 레버 기구와 작용한다. 이러한 타입의 구성은 전기 모터가 비교적 높은 동력이 되도록 뿐만 아니라 매우 특별하게 설계된 부품이 되도록 치수화될 것을 요구하고, 그러므로 대량 생산의 관점에서 간단한 변화를 허용하지 않는다. 핫 셧다운의 경우에 문제가 발생한다.
이전에 공지된 시스템의 경우, 상이한 자동차 모델들에 있어서 상이한 차량 요건 및 상이하게 이용가능한 설치 조건은 드럼 브레이크 모듈의 다양한 부품들에 대한 고도로 개별적인 적응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높은 효율과 관련하여 다양한 상이한 자동차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브럼 브레이크 모듈의 특히 간단하고 효율적인 적응을 허용하는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의 고정을 위한 어댑터 및 앵커 플레이트를 갖는 드럼 브레이크 모듈이 제공되는 것이 제안되며, 또한 어댑터는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체결 플랜지를 갖는 별개의 박벽 프레임 형태이고, 체결 플랜지는 케이블 풀을 위한 통로를 갖는다. 이런 식으로 설계된 어댑터는,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좌측에 설치된 휠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들과 동일한 구성인 이동 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우측에 설치된 휠 브레이크 액추에이터들의 하우징에 의해, 액추에이터 하우징들의 생산에 있어서 동일-부품 전략을 허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의 프레임 타입의 구성은 매우 효율적인, 강성적인 따라서 손실없는 모듈식 구성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지지 때문에,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의 바람직하지 않은 탄성 및 마찰 손실이 제거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프레임은 설치 조건에 따라 액추에이터 하우징을 수정할 필요없이 앵커 플레이트에 관하여 스큐이드 (skewed) 방식으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는 평면형의 체결 플랜지를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측에 갖고, 체결 플랜지는 서로에 대해 각을 이루고 경사지게 배치된 다수의 스트럿들을 일체형으로 구비한다. 임의로 스큐이드 방식으로 기본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체결 플랜지는,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의 배치를 위한 이용가능한 설치 공간이 최적으로 활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박형 스트럿들은, 프레임워크 방식으로 조합되거나, 또는, 대안적으로는, 각 경우에 휨 강성 접합부에 의해 서로에 대해 그리고/또는 체결 플랜지에 대해 연결되는 평면형의 지지 벽들 형태로 되는 것이 가능하다. 벽 패널들 방식으로 폐쇄된 지지 벽들은, 액추에이터와 앵커 플레이트 사이에 특히 강력하고 보호된 계면과 케이블 풀 리드쓰루 (leadthrough) 가 실현된다고 하는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또한, 지지 벽들은 중량 절감을 허용하기 위해 컷아웃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프레임을 보강하기 위해, 형성된 접합부들은 리브들에 의해 부가적으로 보강될 수도 있다. 힘의 도입을 위해 그리고 스트럿들 또는 지지 벽들의 지지를 위해, 이들은 특히 경량 구조의 경우에 간단하고 규정된 좌굴-저항성의 그리고 또한 안정한 지지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지지 영역들을 갖고서 그리고 앵커 플레이트의 외부측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앵커 플레이트에서 종결된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공간적으로 경사지게 배치된 3개 이상의 스트럿들 또는 지지 벽들에 의해 정적으로 확실한 지지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지지 벽들 또는 스트럿들은, 정다면체 또는 부정다면체를 형성하기 위해 서로에 대해서 특히 피라미드 또는 사면체 방식으로 각을 이루며 배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런 방식으로 분할되는 힘의 도입때문에,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와 앵커 플레이트 사이의 특히 효율적인 힘의 도입이 가능해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어댑터는 단체의 시트-금속 변형 부분의 형태로 또는 단체의 내열성 플라스틱 부분의 형태로 제공된다.
수명 기간에 걸쳐 드럼 브레이크 모듈의 일정한 효율을 유지함과 동시에 상이한 설치 조건에 대한 적응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에는 곡선형 케이블 리셉터클을 갖고 U형 단면을 갖는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가 할당된다.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는, 별개 부품으로서, 캐리어 플레이트의 내부측에서, 케이블 풀 힘을 작용시킴으로써 리셉터클 안으로 강제되도록 포지티브 잠금 리셉터클 안으로 삽입될 수도 있다. 케이블 풀 안내 기능은 채널 방식의 융기 형태인 벽들 (U 림들) 에 의해 부가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형성된 케이블 풀 가이드 채널은 케이블 입구로부터 진행하여 깔때기형 방식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블 풀 가이드 채널의 U 림들은 특히 브레이크의 릴리즈 상태에서 슬랙 케이블의 바람직하지 못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케이블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캠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캠들은 각 경우에 대향 U 림들에 서로 축방향 간격을 갖고서 제공될 수도 있다.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는 단일 부품 또는 다중 부품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다중 부품 변형예에 따르면, 적절한 마찰 특성을 갖는 케이블 풀 가이드 채널 부품을 홀딩 부품이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단일 부품 또는 다중 부품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는 체결 수단에 의해 앵커 플레이트에 최종적으로 체결된다. 이를 위해,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에는, 바람직하게는, 앵커 플레이트의 캠에서 또는 리세스에서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스프링 레그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디텐트 수단이 제공된다.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는 혼입된 고체 윤활제 성분을 가질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내고온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될 수도 있다. 케이블 축선에 수직하게, 비탈착식으로 그리고 지지 디바이스와 함께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앵커 플레이트에 용접되거나 리벳이음되는 하나 이상의 홀딩 아암들이 제공될 수도 있다.
도면은 여러 가지의 도면을 상이한 단면에서, 상이한 시각에서 또는 상이한 관점에서 부분적으로 개략적이고 부분적으로 상이한 축척으로 나타낸다.
도 1 은 설명의 목적으로 WO 2012/104395 A2 따라 단면적으로 브레이크 드럼없이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및 앵커 플레이트를 갖는 이전에 공개된 드럼 브레이크 모듈을 나타낸다.
도 2 는 브레이크 드럼없이 앵커 플레이트의 후방측에서 보았을 때에 차량의 우측에서 사용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은 앵커 플레이트의 전방측에서 보았을 때에 도 2 와 유사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 모듈을 통한 두 개의 선택된 섹션을 나타낸다.
도 5 는 도 4 에 따라 드럼 브레이크 모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 내지 도 11 은 바람직한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의 제 1 설계 변형예를 상이한 시각에서 바란 본 것을 나타낸다.
도 12 내지 도 15 는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의 제 2 설계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6 은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의 제 3 변형예를 나타낸다.
도 17 은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를 위한 특히 유리한 체결 변형예이다.
자동차의 차축 부품에서의 배치를 위한 알려진 전동 작동가능한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은, 도 1 에 따라, 브레이크 패드들 (6a,b) 이 장착된 앵커 플레이트 (2) 를 포함하며, 브레이크 패드들은 브레이크 드럼 (미도시) 내에 제공된다. 앵커 플레이트 (2) 의 대향측에는, 기어링 (gearing: 4) 및 하류에 연결된 케이블 풀 (5) 에 의해 하나 이상의 브레이크 패드들 (6a,b) 에서 결합하는 전동 구동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가 체결되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들 (6a,b) 은 서비스 브레이크 및/또는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브레이크 드럼을 향하는 방향으로 작동 이동 (B) 을 수행할 수 있다. 브레이크 패드들 (6a,b) 사이에는 지지 디바이스 (11) 가 제공될 수도 있다.
기어링 (4) 은 모터 (7) 를 수용하거나 적어도 지탱하는 기어링 하우징 (8) 을 포함한다. 모터 (7) 는 직류 전압을 소모하고,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정류되고, 저가로 이용할 수 있는 표준 타입이다.
도 1 은, 모터 (7) 의 축선 (A1) 이 스핀들 장치 (9) 의 축선 (A2) 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간격 (x) 을 갖고서 배치되는 것을 기껏해야 간접적으로 도시한다. 어댑터 (10) 는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와 앵커 플레이트 (2) 사이에 포함된다.
드라이브 및 기어링 트레인은 감속 토크 컨버터로서 다중-스테이지, 특히 2-스테이지, 기어휠 및/또는 벨트 및/또는 워엄 기구 및/또는 유성 기어 세트 (전술한 타입들의 혼합된 조합이 가능하고 바람직하다) 를 갖는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2-스테이지 기어휠 기구는 대략 7:1 내지 25:1 범위의 감속비를 허용한다. 브레이크 패드들 (6a,b) 의 영역에서 하류에 연결된 레버 기구가 대략 5:1 의 감속비를 허용한다면, 대략 125:1 의 감속비가 실현된다. 또한, 회전-병진 컨버터에 의해 부가적인 감속 작용이 실현되며, 따라서 전체 드라이브 트레인에 걸쳐 적어도 대략 250:1 크기 정도의 전체 감속 작용이 허용된다. 이 기어링 트레인에 의해, 모터 (7) 에 대한 비용 및 동력 요구가 부가적으로 상당히 감소된다.
도 1 로부터는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구조를 상세히 볼 수 있다.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는 이 경우에 별도로 취급가능한 구조 유닛으로서 앵커 플레이트 (2) 의 일측 (12) 에 제공된다. 회전-병진 컨버터는, 스핀들 장치 (9) 로서 기어링 하우징 (8) 에 통합되고 또한 기어링 하우징 (8) 에서 회전적으로 고정된, 자유 이동의 그리고 유격없는 방식으로 안내되는 것이 가능하다. 설계의 수정은, 회전-병진 컨버터가 기어링 하우징 (8) 외측에 그리고 브레이크 드럼내에 제공되고, 앵커 플레이트 (2) 에 장착된 피벗가능한 레버 또는 스핀들 장치 (9) 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체결은 탈착가능한 플랜지 장착의 형태이다.
도 1 로부터 부분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어링 하우징 (8) 은 다중-부품 구조이다. 기어링 하우징 (8) 은, 토크 전환 (저 입력 토크, 고 출력 토크) 을 위해 주로 역할하고 자가-잠금에 의해 비통전 상태 주차 브레이크 기능을 또한 허용할 수 있는 다수의 기어링 부품들을 수용한다. 모터 및 기어링 샤프트의 축선들 (A1, A2) 은 간격 (X) 만큼 어긋나도록 서로에 대해 평행하게 제공된다. 적어도 어떤 기어링 부품들은 저렴한 플라스틱 재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가질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통전 상태 자가-잠금은 회전-병진 컨버터 (스핀들 장치 (9)) 에 제공되어서, 기어링 트레인의 나머지는 원칙적으로 브레이크-인가력에서 실질적으로 해방된다.
도 1 에 따라, 기어링 하우징 (8) 은 회전 드라이브 입력 로터리 운동의 병진 드라이브 출력 운동으로의 전환을 위해 스핀들 장치 (9) 와 회전-병진 컨버터 조립체를 부가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한다. 따라서, 컨버터는, 공지의 드럼 브레이크 장치에의 공간-절약적 통합을 위해,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와 앵커 플레이트 (2) 사이의 계면에서 저렴하고 공간-절약적인 (집중된) 방식으로 합체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어링 하우징에서 안내되어서, 전기기계적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장치의 개조를 위해, 드럼 브레이크 기구에 대해, 특히 레버 기구에 대해 또는 앵커 플레이트 (2) 에 대해 어떠한 수정을 가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효과적인, 마찰-감소 전기기계적 브레이크 기능과의 적용을 위해, 원칙적으로 금속 형태의 드라이브 너트 (14) 와 원칙적으로 금속 형태의 스핀들 장치 (9) 사이에 다수의 롤링 본체들이 위치한다. "비통전시에 릴리즈되는" 변형예의 경우, 주차 브레이크 기능은 별개의 고정화, 잠금 또는 차단 디바이스에 의해 가능해진다. 특히 유리한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문헌 DE 19826785 A1 로부터 알려져 있는데, 이 문헌의 개시 내용은 상기 고정화 디바이스의 원리와 관련하여 여기에 전체적으로 병합된다.
브레이크 작동력의 힘 흐름은 다음과 같다: 브레이크 패드 (6a,b) 및 케이블 풀 (5) 로부터 선행하여, 인장력이 스핀들 장치 (9) 를 통해 드라이브 너트 (14) 로 통과한다. 평면형의 접촉 표면 (16) 에서의 제동력의 직접적인, 강성적인 지지를 위해, 금속성의 스페이서 부싱이 제공될 수도 있다. 후자는 앵커 플레이트 (2) 에서 베어링 (15) 의 외부 링을 지지한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 부싱은, 인서트 부품으로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기어링 하우징 (8) 으로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베어링 (15) 은 저-마찰 구름 베어링 (각도-접촉 베어링, 숄더 베어링, 엑시얼 베어링 또는 딥-그루브 볼 베어링) 으로서 설계된다. 설명된 베어링 (15) 은 또한 드라이브 너트 (14) 를 위한 반경방향을 향하는 장착을 허용한다. 드라이브 너트 (14) 의 특히 정교한, 경사-방지 지지를 위한 설계의 수정예에 있어서, 각 경우에,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서, 하나의 드라이브 입력측 및 부가적으로 하나의 드라이브 출력측 베어링이 제공될 수도 있다.
스핀들 장치 (9) 는 드라이브 너트 (14) 와 결합하고 기어링 하우징 (8) 에서 회전적으로 고정된 그리고 축방향으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이를 위해, 기어링 하우징 (8) 은, 포지티브 작용 수단으로서 안내 및 회전 저지 기능에 기여하는 적어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정합 슬롯구비-안내 요소들을 갖는 각형 또는 원통형 가이드 (19) 를 포함한다.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의 유리한 전기적 비활성화를 허용하도록, 스핀들 장치 (9) 는 하우징에서 카운터베어링 (21) 에 대한 맞닿음을 위한 역할을 하는 스톱 (20) 을 구비한다. 또한, 카운터베어링 (21) 과 스톱 (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 요소 (22) 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탄성 요소 (22) 는 작은 공간 요건으로 강성의 스프링 특성 곡선을 실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디스크 스프링 장치의 형태이다. 이는, 모터 (7) 의 전류 수요의 측정 및 모니터링과 함께, 제어 유닛에 의해 유리한 그리고 초기 자동의 전기적 비활성화를 허용한다. 일정하게 재현가능한 비활성화를 허용하기 위해, 시스템은 가급적 일정한 작동 조건을 필요로 한다 (케이블 가이드 마찰).
집중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설계는, 스핀들 장치 (9) 가 기어링 하우징 (8) 의 커넥터 (23) 에 변위가능한 안내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것을 포함한다. 커넥터 (23) 는 앵커 플레이트 (2) 의 통로 개구 (24) 에 관하여 중앙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23) 는 통로 개구 (24) 를 통해 연장하여서, 스핀들 장치 (9) 의 적어도 일부가 브레이크 드럼의 내부로 변위될 수 있다. 이는 또한 케이블 풀 (5) 의 자동 센터링을 위한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댑터들 (10) 을 갖는 드럼 브레이크 모듈들의 특별한 특징들은 이하에서 논의될 것이다. 이러한 신규한 적응의 목적은, 주로, 모든 차량 적용에 있어서, 특히 앵커 플레이트 (2) 및 기어링 하우징 (8) 과 같은 드럼 브레이크 모듈의 부품들과 관련하여 동일-부품 전략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우측 브레이크측에서의 배치를 위한 그리고 차량의 좌측 브레이크측에서의 배치를 위한 모든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들 (3) 이 각각의 경우에 구조적으로 동일한 형태로 되는 것이 가능하고, 각각의 경우에 실질적으로 오직 어댑터 (10) 가 각각 제공된 계면, 설치 공간, 앵커 플레이트 (2) 및 차량의 측면에 따라 변하는 차량-종속 설계이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에 있어서 상이한 공간 및 설치 조건에 대한 간단한 적응이 처음으로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 (10) 는,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의 박형 체결 플랜지 (31) 를 일측에 갖는 단체의 박벽 프레임의 형태로 제공되고, 프레임은 타측에서 앵커 플레이트 (2) 에 고정된다. 이런 식으로, 비교적 관리가 가능한 경비와 공구 사용으로 저렴하게 적응될 수 있는 특히 경량의 그리고 안정한 프레임워크 구조가 실현된다. 여기서, 유리하게는, 프레임은, 서로에 대해서 경사지게 각도를 이루고서 배치되고 또한 체결 플랜지 (31) 와 앵커 플레이트 (2) 사이에서 연장하는 다수의 박형 스트럿들 (32, 33, 34) 을 갖는 단체 형태로 제공된다. 따라서 스트럿들 (32, 33, 34) 은 체결 플랜지 (31) 를 지탱한다. 스트럿들 (32, 33, 34) 의 길이 및 각도상 위치는 자유롭게 변할 수 있어서, 체결 플랜지 (31) (및 따라서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의 축선들 (A1, A2)) 는 앵커 플레이트 (2) 에 관하여 임의의 소망하는 각도상 위치를 취할 수 있다. 박형 스트럿들 (32, 33, 34) 은 특히 튜브들, 프로파일드 빔들 또는 평면형 시트들과 같은 휨 강성 프로파일들의 형태일 수도 있다. 따라서, 도 2-6 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휨 강성 접합부들에 의해 서로에 그리고/또는 체결 플랜지에 연결된 박벽 패널들의 도움으로 자가-지지 섀시를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중량 절감을 위해 또는 다른 임무를 위해, 벽 패널들 중의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컷아웃들을 구비할 수도 있다. 효율성의 증가를 위해, 접합부들은 리브들에 의해 부가적으로 보강된다.
스트럿들 (32, 33, 34) 은 앵커 플레이트 (2) 에 대해서 스큐이드 방식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지지 부위의 영역에서 정적으로 확정적인 3점 지지를 실현하기 위해, 적어도 3 개의 스트럿들 (32, 33, 34) 의 풋 포인트 (FP) 는 브레이크 작동 부하가 차량에 대해서 고정된 앵커 플레이트 (2) 에 방출되도록 앵커 플레이트 (2) 의 외부측 (12) 에 배치된다. 다수의 지지부 (32, 33, 34) 또는 평면형 벽 패널에 의한 체결 플랜지 (31) 의 형성된 배열체는 특히 사면체 또는 피라미드 형태인 정다면체 또는 부정다면체의 형상을 공동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설명된 어댑터 (10) 는 용접된 강 와이어 또는 강 시트로부터 일편으로 구성된다. 유리하게는, 시트는 특히 시어 커팅 (shear cutting), 벤딩 및 펀칭과 같은 비절단 시트 변형 기술을 이용하여 3차원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벤딩, 딥드로잉 및/또는 냉간 가공과 관련하여, 접합부의 형성중에 변형 구역에 가공 경화가 자동적으로 실현되는 부가적인 이점이 달성된다. 또 다른 실제적인 변형예는, 어댑터 (10) 가 내고온성인 단체의 플라스틱 부품의 형태인 것으로 이루어진다.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로부터의 출현 지점에서 케이블 풀 축선이 축선 (A2) 과 동축이고 각각의 경우에 체결 플랜지 (31) 에 대해서 직교하여 연장하고 그 다음으로 체결 플랜지 (31) 는 앵커 플레이트 (2) 에 관하여 임의로 스큐이드 방식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각 앵커 플레이트 (2) 는 한편으로는 체결 플랜지 (31) 에 관하여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작동 브레이크 슈 (6a, 6b) 의 작동 방향 (B) 에 관하여 기능적으로 신뢰성있고 또한 손실없는 저마찰의 정렬된 방식으로 케이블 풀 (5) 이 공급되도록 배치된, 접촉 표면을 포함하는 곡선형 케이블 풀 리셉터클 (36) 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별개의 저마찰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를 갖는다.
이를 위해, 케이블 풀 리셉터클 (36) 은, 적어도 지역적으로 U형 형태이고 또한 융기된 형태의 적어도 두 개의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 벽들 (U 림들) 을 갖는 케이블 풀 가이드 단면을 갖는다. 별개의, 따라서 용이하게 교환가능한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는 앵커 플레이트 (2) 의 내부측 (13) 으로부터 진행하여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리셉터클 (39) 에 삽입되며, 케이블 풀 (5) 의 섹션에 의해 결합된다. 케이블 풀의 전환은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를 그의 리셉터클 (39) 에 고정하는 기생 가압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에는, 유리하게는 좁은 케이블 풀 가이드 채널이 형성되며, 케이블 풀 (5) 은, 제 위치에 고정되도록 도 13 및 도 14 에 따라 캠들에 의해 깔때기 모양의 좁아진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거나 맞물린다. 특성의 최적화를 위해, 모든 개선에 있어서,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는 홀딩 부품 (40) 및 케이블 풀 가이드 채널 부품 (41) 으로 구성된 다부품 구조인 것이 유리하다. 이에 따르면, 특히, 케이블 풀 가이드 채널 부품 (41) 이 혼입된 고체 윤활제 입자를 갖는 자가-윤활 플라스틱 재료로 목표로 하여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설계에 의하면, 이러한 기여에 의해, 개선된 케이블 풀 가이드에서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의 영구적으로 재현가능한 제어의 실현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편리하고 재현가능한 마찰 특성이 수명에 걸쳐 보장된다. 반대로, 홀딩 부품 (40) 은 시트 강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7 은 다부품 형태인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및 지지 디바이스 (11) 를 앵커 플레이트 (2) 의 내부측 (13) 에 간접적으로 조인트 체결하는 것을 나타낸다. 체결 수단 (42) 은 형성된 구조 유닛을 고정한다.
1 드럼 브레이크 모듈
2 앵커 플레이트
3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4 기어링
5 케이블 풀
6 브레이크 패드
7 모터
8 기어링 하우징
9 스핀들 장치
10 어댑터
11 지지 디바이스
12 외부측
13 내부측
14 드라이브 너트
15 베어링
16 접촉 표면
17 가이드
18 시스 (sheath)
19 가이드
20 스톱
21 카운터베어링
22 탄성 요소
23 커넥터
24 통로 개구
25 출구 개구
26 밀봉 요소
30 체결 수단
31 체결 플랜지
32 스트럿/벽
33 스트럿/벽
34 스트럿/벽
35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6 케이블 풀 리셉터클
37 벽
38 벽
39 리셉터클
40 홀딩 부품
41 케이블 가이드 채널 부품
40 체결 수단
A1 축선
A2 축선
B 작동 방향
D 회전 축선
ax 축방향
r 반경방향
U 투영 길이
X 간격
FP 풋 포인트/레스트 포인트 (rest point)

Claims (12)

  1. 개선된 케이블 풀 (cable pull) 액추에이터 장치 (arrangement) 를 갖는, 자동차용 전동 (electromotively)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로서,
    전기기계적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는 앵커 플레이트 (2) 의 외부측 (12) 에 배치되고, 또한 회전 구동 입력 회전 운동을 브레이크 패드들 (6a, b) 의 병진 작동 운동 (B) 으로 변환하기 위한 회전-병진 컨버터를 구동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브레이크 패드들은 브레이크 드럼의 내부에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 (2) 의, 상기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로부터 돌려진 (averted) 내부측 (13) 에 배치되어서, 상기 브레이크 패드들이 상기 브레이크 드럼의 방향으로 작동 운동을 수행할 수 있고,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와 앵커 플레이트 (2) 사이에 어댑터가 배치되고,
    상기 어댑터 (10) 는 단체의 (unipartite) 그리고 박벽의 프레임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케이블 풀 액추에이터 (3) 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평면형 체결 플랜지 (31) 를 일측에 구비하고, 또한 상기 프레임은 타측에서 상기 앵커 플레이트 (2) 에 고정되고,
    상기 프레임은, 각을 이루고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되며 또한 체결 플랜지 (31) 와 앵커 플레이트 (2) 사이에서 연장하는 다수의 박형 스트럿들 (32, 33, 34) 을 갖고서 단체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어댑터 (10) 의, 상기 앵커 플레이트 (2) 에 대해 스큐이드 (skewed) 방식으로 배치된 스트럿들 (32, 33, 34) 은 적어도 3 개의 지지 영역들 또는 풋 포인트들 FP 에 의해 상기 앵커 플레이트 (2) 의 외부측 (12) 에 대해 평행하게 상기 앵커 플레이트 (2) 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형 스트럿들 (32, 33, 34) 은, 휨 강성 조인트에 의해 서로에 대하여 및 상기 체결 플랜지 (31) 에 대하여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평면형의 박벽 패널들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3. 제 2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벽 패널들이 하나 이상의 컷아웃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4. 제 2 항에 있어서,
    접합부들이 리브들에 의해 보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체결 플랜지 (31) 및 벽 패널들은 사면체 또는 피라미드 형태인 정다면체 또는 부정다면체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 (10) 는 시트 금속 성형 부품 또는 플라스틱 부품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6 항 및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플랜지 (31) 를 갖는 상기 어댑터 (10) 에는 곡선형 케이블 풀 리셉터클 (36) 을 갖는 별개의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가 할당되고, 상기 케이블 풀 리셉터클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U형의 가이드 단면을 갖고 또한 융기된 형태의 적어도 2 개의 상호 대향하여 배치된 벽들 (U 림들: 37, 38)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는 캐리어 플레이트 (2) 의 내부측 (13) 으로부터 진행하여 포지티브 잠금 방식으로 리셉터클 (39) 안으로 삽입되고 케이블 풀 (5) 의 섹션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는, 케이블 풀 (5) 이 깔때기 모양의 좁아지는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하거나 맞물리는 좁은 케이블 풀 가이드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는 홀딩 부품 (40) 및 케이블 풀 가이드 채널 부품 (41) 으로 구성된 다부품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는 적어도 하나의 혼입된 고체 윤활제 성분을 포함하는 플라스틱 재료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블 풀 가이드 본체 (35) 는 지지 디바이스 (11) 와 함께 상기 앵커 플레이트 (2) 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전동 작동식 드럼 브레이크 모듈 (1).
KR1020157036997A 2013-06-06 2014-06-03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드럼 브레이크 KR1022279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210528.2A DE102013210528A1 (de) 2013-06-06 2013-06-06 Elektrisch betätigbare Trommelbremse
DE102013210528.2 2013-06-06
PCT/EP2014/061514 WO2014195329A1 (de) 2013-06-06 2014-06-03 Elektrisch betätigbare trommelbrem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8592A KR20160018592A (ko) 2016-02-17
KR102227901B1 true KR102227901B1 (ko) 2021-03-12

Family

ID=50877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36997A KR102227901B1 (ko) 2013-06-06 2014-06-03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드럼 브레이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1248672B2 (ko)
EP (1) EP3004679B1 (ko)
KR (1) KR102227901B1 (ko)
CN (1) CN205639388U (ko)
DE (1) DE102013210528A1 (ko)
ES (1) ES2709340T3 (ko)
WO (1) WO201419532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31151B1 (fr) * 2014-12-30 2018-04-06 Foundation Brakes France Dispositif d'ajustement du jeu d'un frein a tambour, procede de commande, et procede d'industrialisation d'un tel frein
DE102016209783A1 (de) 2015-12-10 2017-06-1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isches Trommelbremssystem mit rationalisiertem elektrischem Feststellbremsaktuator
DE102018202261A1 (de) * 2017-09-29 2019-04-0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rommelbremse mit Elastizität
DE102017217410A1 (de) * 2017-09-29 2019-04-04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Trommelbremse
CN111226055B (zh) * 2017-10-20 2021-10-26 日信工业株式会社 电动驻车制动装置
EP3755590B1 (en) * 2018-02-23 2023-01-11 Continental Automotive Technologies GmbH Electric parking brake actuator mounting assembly, supporting bracket, brake backplate and a process for mounting
EP3771844A4 (en) * 2018-03-30 2021-12-22 Nissin Kogyo Co., Ltd. ELECTRIC PARKING BRAKE DEVICE
DE102018216509A1 (de) 2018-09-26 2020-03-26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ischer Radbremsaktuator mit verbesserter Endlagenerkennung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8876B2 (ja) * 1989-05-23 1998-02-04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のパーキングケーブル用口金具
JP2002310207A (ja) * 2001-04-11 2002-10-23 Nisshinbo Ind Inc ドラムブレーキのブレーキケーブル取着装置
WO2012104395A2 (de) * 2011-02-02 2012-08-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otorisch betreibbares trommelbremsmodul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63879A (en) 1929-05-24 1939-06-27 Bendix Brake Co Brake
US1926374A (en) 1930-05-22 1933-09-12 Bendix Brake Co Brake
US2404054A (en) 1944-12-13 1946-07-16 Bendix Aviat Corp Brake construction
US3575266A (en) * 1969-07-28 1971-04-20 Ford Motor Co Self-adjusting parking brake
US4147239A (en) * 1977-09-30 1979-04-03 The Bendix Corporation Drum brake assembly having integral cable support
DE3018296A1 (de) 1980-05-13 1981-11-19 Deutsche Perrot-Bremse Gmbh, 6800 Mannheim Einrichtung zum umlenken des zur mechanischen betaetigung einer innenbackenbremse dienenden seils
US4955458A (en) * 1987-11-04 1990-09-11 General Motors Corporation Blind assembly of parking brake cable to parking brake lever
DE4035237A1 (de) 1990-11-06 1992-05-07 Lucas Ind Plc Trommelbremse mit fuehrungsrohr zur fuehrung des handbremsseiles
US5310026A (en) 1992-10-19 1994-05-10 General Motors Corporation Electric drum brake
DE19714046A1 (de) 1997-04-05 1998-10-08 Itt Mfg Enterprises Inc Elektromechanisch betätigbare Feststellbremse für Kraftfahrzeuge
AUPP291498A0 (en) 1998-04-09 1998-05-07 Pbr Automotive Pty Ltd Brake shoe and brake assembly
DE19826785A1 (de) 1998-06-16 1999-12-23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Kombinierte Betriebs- und Feststellbremsanlage
GB9922003D0 (en) * 1999-09-18 1999-11-17 Automotive Prod Italia Parking brake actuating mechanism
SG87906A1 (en) 1999-10-25 2002-04-16 Asahi Chemical Ind Modified oxymethylene polymers
WO2003024756A2 (en) 2001-09-21 2003-03-27 Petrak Gregory H Method and apparatus for tensioning an emergency brake system on a vehic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8876B2 (ja) * 1989-05-23 1998-02-04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のパーキングケーブル用口金具
JP2002310207A (ja) * 2001-04-11 2002-10-23 Nisshinbo Ind Inc ドラムブレーキのブレーキケーブル取着装置
WO2012104395A2 (de) * 2011-02-02 2012-08-09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Elektromotorisch betreibbares trommelbremsmodu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3210528A1 (de) 2014-12-11
US11248672B2 (en) 2022-02-15
WO2014195329A1 (de) 2014-12-11
CN205639388U (zh) 2016-10-12
US20170307034A1 (en) 2017-10-26
KR20160018592A (ko) 2016-02-17
EP3004679B1 (de) 2018-10-31
US20160102720A1 (en) 2016-04-14
EP3004679A1 (de) 2016-04-13
ES2709340T3 (es)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7901B1 (ko) 전기 모터에 의해 작동가능한 드럼 브레이크
US9175737B2 (en) Drum brake module which can be operated by electric motor
KR101806219B1 (ko) 주차 브레이크의 전기기계식 액추에이터용 유성 캐리어, 액추에이터 및 조립 방법
US8863920B2 (en) Electronic parking brake
US10316914B2 (en) Selectively self-locking electromechanically and hydraulically actuated motor vehicle brake
JP5693572B2 (ja) 電気的にブーストされたブレーキシステム
JP6602306B2 (ja) ギヤードモータ、ドラムブレーキ、ブレーキ装置、および、ディスクブレーキ
US9915309B2 (en) Drum brake module which can be operated by electric motor
US8037974B2 (en) Self-energizing disc brake with brake pad stabilization
EP2690301A2 (en) Drum brake type electric parking brake apparatus
CN110425236B (zh) 一种自增力线控制动器
JP2016050629A (ja) ギヤユニットおよびブレーキ装置
JP2022501253A (ja) 改善された端部位置検知を有する電気式のホイールブレーキアクチュエータ
KR101250830B1 (ko) 전동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CN111350780B (zh) 盘式制动器执行机构及其控制方法
CN110486392B (zh) 一种自增力线控制动器
US20230400070A1 (en) Electric drum brake module comprising an integrated operating brake and an integrated electric parking brake
JP7320171B2 (ja) 改良されたブレーキ用電気油圧式アクチュエータ
US11879512B2 (en) Wheel hub drive for a vehicle
US20220055595A1 (en) Reduction motor for drum brake
CN116771829A (zh) 车辆制动装置
KR20230026133A (ko) 브레이크용 액츄에이터
KR20180096294A (ko)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