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7607B1 - 물품 배출 장치 - Google Patents

물품 배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7607B1
KR102227607B1 KR1020180131421A KR20180131421A KR102227607B1 KR 102227607 B1 KR102227607 B1 KR 102227607B1 KR 1020180131421 A KR1020180131421 A KR 1020180131421A KR 20180131421 A KR20180131421 A KR 20180131421A KR 102227607 B1 KR102227607 B1 KR 102227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sidewall
discharged
loading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858A (ko
Inventor
백승구
Original Assignee
백승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승구 filed Critical 백승구
Priority to KR102018013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76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8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7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76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8Separating or stopping elements, e.g. fing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41Quantity of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Fina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eeding Of Articles To Conveyors (AREA)

Abstract

물품 배출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 물품을 배출하는 적재부; 및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적재함; 및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적재된 물품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는 물품 배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물품 배출 장치{APPARATUS FOR DISCHARGING GOODS}
본 발명은 물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를 기초로 해당 물품을 자동 배출하는 물품 배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쇼핑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인터넷 쇼핑과 연계된 물류 시스템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에는 소비자가 인터넷 쇼핑몰과 같은 판매 서버 등을 통해 물품주문 정보를 입력하면, 판매자가 해당 물품주문 정보를 직접 확인하면서 해당 물품주문 정보에 맞게 물품을 선별 및 포장한 후 전문 배송업체에 의뢰하여 소비자에게 배송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즉, 물품주문 정보가 접수된 이후의 절차는 대부분 작업자의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단순 실수로 인해 다른 물품이 배송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해당 물품을 선별 및 포장함에 따라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물품주문 정보가 접수되는 즉시 해당 물품의 재고수량을 파악할 수 없어, 물품 배송이 늦어지는 등 소비자 불만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물품 관리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KR 제10-1523533호 "자동화 물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등이 있다.
실시 예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를 기초로 해당 물품을 자동 배출하는 물품 배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외부로 물품을 배출하는 적재부; 및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적재함; 및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적재된 물품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는 물품 배출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이 적재되고, 상기 적재부는 동일한 종류의 물품이 동일한 적재함에 적재되도록 상기 적재함을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물품주문 정보는 상기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물품의 물품종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종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의 물품이 배출되도록 복수의 상기 적재함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2 이송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제3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3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적재된 물품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주문 정보는 상기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물품의 배출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적재된 물품의 재고수량을 산출한 후, 상기 재고수량이 상기 배출수량 이상이면 상기 제2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수량만큼 물품을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 1을 기초로 상기 재고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Y = (L1 - L2) / L3
(Y: 재고수량(개), L1: 적재함의 길이(m), L2: 거리감지센서의 센싱 값(m), L3: 물품의 길이(m))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물품이 상기 배출수량만큼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외부로 낙하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감지센서의 감지 횟수를 기초로 물품이 상기 배출수량만큼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고수량이 상기 배출수량 미만이면 외부 서버로 재고부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품을 가압하여 물품을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출시키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측벽 또는 상기 제2 측벽에 결합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스토퍼부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에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스토퍼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압박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지는 물품이 적재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적재된 물품이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스토퍼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지지대가 접촉하는 측에 경사면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상기 압박부에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상벽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상벽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외부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주문 정보는 상기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물품의 배출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1 이송부에 상기 외부로 낙하하는 물품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감지센서는 상기 경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감지센서의 감지 횟수를 기초로 물품이 상기 배출수량만큼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르면,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를 기초로 해당 물품을 자동 배출함으로써, 물품을 선별 및 포장하는 물류 시스템의 대부분을 자동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출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적재함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적재함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이다.
도 7은 도 5의 다른 변형 예이다.
도 8은 도 1의 제어부의 제어 로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물품 배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출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출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물품 배출 장치는 제1 이송부(10), 적재부(20) 및 제어부(30)를 포함할 수 있고, 경사부(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자판기에 적용될 경우에는 적재부(20)에서 배출된 물품(G)은 단순 낙하할 수 있으므로 제1 이송부(10)은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제1 이송부(10)를 활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님을 분명히 밝혀둔다.
제1 이송부(10)는 적재부(20)에서 배출된 물품(G)을 이송할 수 있다. 도면에는 적재부(20) 별로 각각 마련되는 제1 이송부(10)가 예로서 표현되어 있으나,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하나의 제1 이송부(10)가 각각의 적재부(20)가 배출하는 물품(G)을 이송할 수도 있다.
제1 이송부(10)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이송부(10)의 후단에는 물품 포장 장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이송부(10)에 의해 이송된 복수의 물품(G)은 물품 포장 장치에 의해 하나의 박스에 자동으로 포장될 수도 있다.
적재부(20)는 제1 이송부(10)로 배출할 물품(G)을 수용할 수 있고, 수용된 물품(G)을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제1 이송부(10)로 배출할 수 있다.
적재부(20)는 복수의 적재함(100), 및 복수의 적재함(100)의 각각에 배치되는 제2 이송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물품감지센서(41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재부(20)는 복수가 아닌 하나의 적재함(100)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적재부(20)가 복수의 적재함(100)을 포함하는 경우, 적재부(20)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G)이 적재될 수 있고, 동일한 종류의 물품(G)은 동일한 적재함(100)에 적재될 수 있다. 동일한 종류의 물품(G)은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적재함(100)은 배출구(100a), 및 배출구(100a)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은 제2 이송부(200)에 의한 물품(G)의 이송 방향인 X축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직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고, 배출구(100a)는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의 X축 방향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된 물품(G)은 배출구(100a)를 통해 적재함(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 사이에는 복수의 물품(G)이 적재될 수 있다. 복수의 물품(G)은 X축 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적재함(100)의 최대 적재수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품(G)이 직립 상태로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특별한 설명이 없는 한, 물품(G)은 직립 상태로 적재된 상태인 것으로 본다.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의 서로 마주보는 일면에는 돌기(150)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돌기(150)는 배출구(100a)에 배치될 수 있고, 물품(G)이 안착되는 제2 이송부(200)의 상면 또는 적재함(100)의 바닥면으로부터 Z축 방향으로 상향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Z축 방향은 연직 방향일 수 있고, X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따라서, 돌기(150)는 배출구(100a)를 통해 배출되는 물품(G)의 상부를 가압하여 물품(G)이 제2 이송부(200)에 의해 배출되는 과정에서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고, 나아가 자연스럽게 눕게 할 수 있다.
돌기(150)는 제2 이송부(20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적재함(100)에 적재된 물품(G)이 넘어져서 적재함(100)에서 임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제2 이송부(200)는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 사이에서 적재함(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부(200)는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 사이에 적재된 물품(G)을 배출구(100a) 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제2 이송부(200)는 벨트 컨베이어(belt conveyor)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볼 스크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후술하는 지지대가 볼 스크류에 의해 이동하면서 물품(G)을 배출구(100a) 측으로 가압하여 이송되게 할 수 있다.
물품감지센서(410)는 배출구(100a)로부터 제1 이송부(10)에 낙하하는 물품(G)을 감지할 수 있다.
물품감지센서(410)는 물품(G)이 낙하할 때 발생하는 조도 변화를 감지하는 조도감지센서, 또는 투광부 및 수광부로 구성되는 광센서를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0)는 외부 서버(S)로부터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를 기초로 적재부(20)를 제어하여 적재부(20)에 적재된 물품(G)이 제어부(30)에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에 맞게 제1 이송부(10)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물품주문 정보는 적재부(20)에서 제1 이송부(10)로 배출되어야 할 물품(G)의 물품종류 정보 및 물품종류별 배출수량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서버(S)는 쇼핑몰 서버와 같은 판매 서버이거나 물품 배출 장치가 설치된 물류센터의 통제 서버일 수 있다.
제어부(30)는 외부 서버(S)로부터 물품주문 정보를 무선통신 방식으로 수신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사부(40)는 제1 이송부(10)와 적재부(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적재함(100)의 배출구(100a)로부터 제1 이송부(10)까지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40a)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경사면(40a)은 제1 이송부(10) 또는 제2 이송부(200)에 의한 물품(G)의 이송 방향에 대해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150)에 의해 기울어진 상태로 배출된 물품(G)은 경사면(40a)과 만나면서 누운 상태로 보다 용이하게 변환될 수 있다. 또한, 경사부(40)는 물품감지센서(410)가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품감지센서(410)는 경사면(4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경사부(40)가 없는 경우, 물품감지센서(410)는 적재함(100)의 배출구(100a) 측 하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적재함의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적재함(100)은 제1 측벽(110)과 제2 측벽(120)을 연결하는 제3 측벽(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측벽(130)은 Y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Y축 방향은 X축 방향 및 Z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제3 측벽(130)은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의 X축 방향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배출구(100a)는 제1 측벽(110)의 일단에 배치되는 반면에, 제3 측벽(130)은 제1 측벽(110)의 타단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3 측벽(130)은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 사이에 적재된 물품(G)이 이송 방향의 반대로 넘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제3 측벽(130)에는 거리감지센서(400)가 배치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400)는 제3 측벽(130)으로부터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 사이에 적재된 물품(G)까지의 거리(L2)를 감지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400)는 초음파 센서,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부호 L1은 적재함(100)의 전체 길이, 예를 들어 제3 측벽(130)에서 돌기(150)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고, 도면부호 L3는 물품(G)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L1, L2 및 L3는 X축 방향으로의 길이로 측정될 수 있다.
제2 이송부(200) 상에는 지지대(300)가 배치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제2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지지대(300)는 제2 이송부(200)에 고정된 상태로 이송될 수도 있지만, 물품(G)과 같이 제2 이송부(200) 상에 안착된 상태로 이송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 지지대(300)는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 사이에 적재되는 물품(G)이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물품(G)보다 훨씬 큰 중량을 가질 수 있다.
돌기(150)는 배출구(100a)를 통해 배출되는 물품(G)을 가압하여 물품을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돌기(150)는 배출구(100a)를 통해 배출되는 물품(G)의 상부를 가압하여 물품을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일례로, 돌기(150)는 압박부(153)를 포함할 수 있고, 다르게는 돌기(150)는 스토퍼부(151) 및 압박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50)는 제1 측벽(110), 제2 측벽(120) 및 이들의 조합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어느 하나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에 결합되는 돌기(150)를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설명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할 의도가 아님을 밝혀둔다.
스토퍼부(151)는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고, 압박부(153)는 스토퍼부(15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압박부(153)는 스토퍼부(151)를 통해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압박부(153)가 스토퍼부(151)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 스토퍼부(151)는 생략될 수 있다. 이 경우, 압박부(153)가 직접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압박부(153)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송부(200)가 구동되지 않는 경우 압박부(153)는 물품(G)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한편, 제2 이송부(200)가 구동되는 경우 물품(G)은 압박부(153)를 굽힘 변형시키면서 적재함(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압박부(153)는 물품(G)이 배출된 후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적재함(100)에는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스토퍼부(151) 사이의 간격(W1)보다 작고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압박부(153) 사이의 간격(W2)보다 큰 폭(W3)을 가지는 물품(G)이 적재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지지대(300)의 폭(W4)은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 사이의 간격(W5)보다 작고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스토퍼부(151) 사이의 간격(W1)보다 클 수 있다. 따라서, 한 쌍의 스토퍼부(151)는 지지대(300)의 이탈을 막을 수 있다. W1, W2, W3, W4 및 W5는 Y축 방향으로의 길이로 측정될 수 있다.
스토퍼부(151)는 지지대(300)가 접촉하는 경사면(151a)을 구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스토퍼부(151) 사이의 간격은 물품(G)의 이송 방향을 따라 점차 증가할 수 있다. 경사면(151a)은 곡면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따라서, 물품(G) 또는 지지대(300)가 제1 측벽(110) 또는 제2 측벽(120) 측으로 치우친 경우 경사면(151a)에 의해 중앙 측으로 이동하여 정렬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A-A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돌기(150)는 제2 이송부(200) 상에 배치된 물품(G) 및 지지대(300)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돌기(150)는 물품(G)이 제2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될 때 물품(G)의 상부를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다르게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달리, 돌기(150)는 제2 이송부(200) 상에 배치된 물품(G)의 상단보다는 낮고, 지지대(300)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돌기(150)는 물품(G)이 제2 이송부(200)에 의해 이송되어 배출될 때 물품(G)의 상부를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며, 동시에 물품(G)이 지지대(300)의 상단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할 수 있다.
거리감지센서(400)는 지지대(300)의 상단보다 높고 제2 이송부(200) 상에 배치된 물품(G)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어 제3 측벽(130)으로부터 물품(G)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다르게는, 지지대(300)에 관통홀(미도시)이 마련되는 경우에는 거리감지센서(400)는 지지대(300)에 마련되는 상기 관통홀을 통하여 제3측벽(130)으로부터 물품(G)까지의 거리를 감지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1의 적재함의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한 쌍의 돌기(150)는 서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돌기(150)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
도 6은 도 5의 변형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돌기(150)는 중량추(155)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추(155)는 압박부(153)에 결합되어 물품(G)에 대한 압박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중량추(155)의 하중에 의하여 물품(G)에 가해지는 압박력은 증대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이송부(200)를 통하여 이송되는 물품(G)은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다른 변형 예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적재함(100)은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상벽(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돌기(150)는 상벽(14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측벽(110) 및 제2 측벽(12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적재함(100)이 상벽(140)을 구비한 경우, 물품(G)은 적재함(100)의 배출구를 통해 적재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벽(140)에 형성된 개구(미도시)를 통해 적재될 수도 있다.
도 8은 도 1의 제어부의 제어 로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 도 2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어부(30)는 외부 서버(S)로부터 물품주문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0).
제어부(30)는 외부 서버(S)로부터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에 포함된 물품종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의 물품이 적재된 적재함(100)의 거리감지센서(400)로부터 제3 측벽(130)으로부터 물품(G)까지의 거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제어부(30)는 거리감지센서(400)에서 수신된 거리 정보를 기초로 해당 적재함(100)에 적재된 물품(G)의 재고수량을 산출할 수 있다(S120). 물품(G)의 재고수량은 하기 수학식 1을 통해 산출될 수 있다.
[수학식 1]
Y = (L1 - L2) / L3
상기 수학식 1에서 Y는 물품(G)의 재고수량(개), L1은 적재함(100)의 전체 길이(m), L2는 거리감지센서(400)의 센싱 값(m), L3는 물품(G)의 길이(m)일 수 있다. L1 및 L3는 적재함(100)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제어부(30)는 데이터베이스(50)를 통해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제어부(30)는, 산출된 재고수량이 외부 서버(S)로부터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에 포함된 배출수량 정보에 따른 배출수량 미만이면 외부 서버(S)에 재고부족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산출된 재고수량이 배출수량 이상이면 해당 적재함(100)의 제2 이송부(200)를 제어하여 물품(G)이 배출수량만큼 배출되게 할 수 있다(S130). 또한, 제어부(30)는 물품(G)을 배출하기 전에 외부 서버(S)에 주문완료 신호를 요청할 수도 있고, 이 경우 물품(G)의 배출은 외부 서버(S)로부터 주문완료 신호가 수신된 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30)는 거리감지센서(400)의 감지 값을 기초로 물품(G)이 배출수량만큼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40). 예를 들어, 제어부(30)는 거리감지센서(400)에서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감지 값을 기초로, 물품(G)이 배출됨에 따라 변화하는 재고수량을 산출할 수 있고, 최종 산출된 재고수량이 초기 산출된 재고수량에서 배출수량만큼을 뺀 값과 동일해질 때를 배출 완료 시점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서, 제어부(30)는 물품감지센서(410)의 감지 횟수를 기초로 물품(G)이 배출수량만큼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제어부(30)는 거리감지센서(400)의 감지 값과 물품감지센서(410)의 감지 횟수를 기초로 중복적으로 판단함으로써 판단 오류 가능성을 줄일 수도 있다.
제어부(30)는 물품(G)이 배출수량만큼 배출되었다고 판단한 후에는 제2 이송부(200)를 제어하여 물품(G)의 배출 공정을 종료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외부 서버(S)에 배출완료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제1 이송부 20: 적재부
30: 제어부 40: 경사부
40a: 경사면 50: 데이터 베이스
100: 적재함 100a: 배출구
110: 제1 측벽 120: 제2 측벽
130: 제3 측벽 140: 상벽
150: 돌기 151: 스토퍼부
151a: 경사면 153: 압박부
155: 중량추 200: 제2 이송부
300: 지지대 400: 거리감지센서
410: 물품감지센서

Claims (17)

  1. 외부로 물품(G)을 배출하는 적재부; 및
    외부 서버(S)로부터 수신된 물품주문 정보를 기초로 상기 적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 측벽 및 제2 측벽을 포함하는 적재함; 및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적재된 물품(G)을 상기 배출구 측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제1 측벽과 상기 제2 측벽을 연결하는 제3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제3 측벽으로부터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적재된 물품(G)까지의 거리를 감지하는 거리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주문 정보는 상기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물품(G)의 배출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적재된 물품(G)의 재고수량을 산출한 후, 상기 재고수량이 상기 배출수량 이상이면 상기 제2 이송부를 제어하여 상기 배출수량만큼 물품(G)을 배출하며,
    상기 적재함은 상기 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물품(G)을 가압하여 물품(G)을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배출시키는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결합되되, 상기 돌기는 상기 제1 측벽 또는 상기 제2 측벽에 결합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스토퍼부에 결합되는 탄성 재질의 압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이송부 상에는 지지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대는 물품(G)과 같이 상기 제2 이송부 상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에 적재되는 물품(G)이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넘어지지 않도록 물품(G)보다 큰 중량으로 마련되며,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지지대가 접촉하는 경사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의 폭(W4)은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 사이의 간격(W5)보다 작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스토퍼부 사이의 간격(W1)보다 크게 마련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제2 이송부 상에 배치된 물품(G)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고,
    상기 거리감지센서는 상기 지지대의 상단보다 높고 상기 제2 이송부 상에 배치된 물품(G)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된 것을 포함하는 물품 배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에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물품(G)이 적재되고,
    상기 적재부는 동일한 종류의 물품(G)이 동일한 적재함에 적재되도록 상기 적재함을 복수로 구비하고,
    상기 물품주문 정보는 상기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물품(G)의 물품종류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종류 정보에 상응하는 종류의 물품(G)이 배출되도록 복수의 상기 적재함에 각각 배치되는 상기 제2 이송부를 제어하는 물품 배출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하기 수학식 1을 기초로 상기 재고수량을 산출하는 물품 배출 장치.
    [수학식 1]
    Y = (L1 - L2) / L3
    (Y: 재고수량(개), L1: 적재함의 길이(m), L2: 거리감지센서의 센싱 값(m), L3: 물품의 길이(m))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거리감지센서의 감지 값을 기초로 물품(G)이 상기 배출수량만큼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품 배출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외부로 낙하하는 물품(G)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감지센서의 감지 횟수를 기초로 물품(G)이 상기 배출수량만큼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품 배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재고수량이 상기 배출수량 미만이면 외부 서버(S)로 재고부족 신호를 전송하는 물품 배출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에는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스토퍼부 사이의 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상기 압박부 사이의 간격보다 큰 폭을 가지는 물품(G)이 적재되는 물품 배출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압박부에 결합되는 중량추를 포함하는 물품 배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2 측벽을 상호간에 연결하는 상벽을 포함하고,
    상기 돌기는 상기 상벽에 결합되는 물품 배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로부터 상기 외부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경사면을 구비하는 경사부를 포함하는 물품 배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주문 정보는 상기 외부로 배출되어야 할 물품(G)의 배출수량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상기 외부로 낙하하는 물품(G)을 감지하는 물품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감지센서는 상기 경사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물품감지센서의 감지 횟수를 기초로 물품(G)이 상기 배출수량만큼 배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물품 배출 장치.
KR1020180131421A 2018-10-31 2018-10-31 물품 배출 장치 KR102227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21A KR102227607B1 (ko) 2018-10-31 2018-10-31 물품 배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421A KR102227607B1 (ko) 2018-10-31 2018-10-31 물품 배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58A KR20200048858A (ko) 2020-05-08
KR102227607B1 true KR102227607B1 (ko) 2021-03-17

Family

ID=70677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421A KR102227607B1 (ko) 2018-10-31 2018-10-31 물품 배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76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394B1 (ko) * 2021-06-21 2022-09-30 (주)로보티즈 다중 목적지로의 배송이 가능한 무인 이송 로봇
KR20240013398A (ko) * 2022-07-22 2024-01-30 주식회사 씨젠 물품 박스 공급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619A (ja) * 2001-11-09 2003-08-19 Yuyama Manufacturing Co Ltd アンプル収納容器
KR200462822Y1 (ko) * 2009-04-01 2012-10-02 주식회사 코텍전자 물류시스템의 물품 공급장치
WO2018025536A1 (ja) * 2016-08-05 2018-02-0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払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5572U (ja) * 1993-01-05 1994-08-02 ジューキ株式会社 ハンガー搬送装置
KR20160123728A (ko) * 2015-04-17 2016-10-26 주식회사 티에스피지 셔틀랙 자동창고시스템의 운영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30619A (ja) * 2001-11-09 2003-08-19 Yuyama Manufacturing Co Ltd アンプル収納容器
KR200462822Y1 (ko) * 2009-04-01 2012-10-02 주식회사 코텍전자 물류시스템의 물품 공급장치
WO2018025536A1 (ja) * 2016-08-05 2018-02-0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払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858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9985B2 (en) Packaging aid, packing method and packing workplace
CN113213178B (zh) 物品装载设备
US840691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ndom mixed palletizing of products
US10954065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livering items in delivery containers
KR102227607B1 (ko) 물품 배출 장치
CA320928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a pallet load
KR102212589B1 (ko) 물류 창고 관리 시스템
JP2020520330A (ja) デブリカートならびにその使用システム及び方法
WO2019128324A1 (zh) 异常出货处理方法及自动售货机
KR20190069309A (ko) 물품 반송 설비
KR20190069308A (ko) 물품 반송 설비
JP2020075793A (ja) 仕分け装置
JP2020117337A (ja) パレット交換システム
JP2018047997A (ja) 仕分システム
JP2016094286A (ja) 仕分設備および仕分方法
KR102246221B1 (ko) 물품 박스 공급 장치
KR102124816B1 (ko) 물품 박스 공급 장치용 메인 공급 유닛
CN116452089A (zh) 货物管理方法、装置、系统及电子设备
JP2005206259A (ja) パレットレス自動倉庫
CN105143070B (zh) 用于交付产品的方法和系统
JP7394695B2 (ja) ロボット制御装置
KR20090110112A (ko) 무선인식을 이용한 농산물 중량측정 및 물류관리 장치
US10431053B2 (en) Determination of filling levels at the checkout terminal
JP2016000661A (ja) パック保管デバイスに装填するための装置
JP2019018992A (ja) 仕分け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