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886B1 -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 Google Patents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886B1
KR102226886B1 KR1020190029454A KR20190029454A KR102226886B1 KR 102226886 B1 KR102226886 B1 KR 102226886B1 KR 1020190029454 A KR1020190029454 A KR 1020190029454A KR 20190029454 A KR20190029454 A KR 20190029454A KR 102226886 B1 KR102226886 B1 KR 102226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material
fluid
unit
mixer
fluid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9796A (ko
Inventor
김성용
백승환
김남중
박경민
Original Assignee
캐비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비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캐비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886B1/ko
Publication of KR20200109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9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F15/0014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1Flow rate
    • B01F35/21111Mass flow r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01F23/53Mixing liquids with solids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10Mixing by creating a vortex flow, e.g. by tangential introduction of flow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3/1221
    • B01F5/0057
    • B01F7/02
    • B01F7/1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06Jet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18Use of auxiliary physical effects, e.g. ultrasonics, irradiation, for disinteg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9/00Other disintegrating devices or methods
    • B02C19/22Crushing mills with screw-shaped crushing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우더와 유체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액을 배출하는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파우더와 유체가 1차로 교반되도록 예비혼합과정이 더 수행되고, 예비혼합액을 전달받은 후 사용목적에 따라 파우더를 미세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이 더 수행되는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Powder dispersion system}
본 발명은 파우더와 유체를 혼합하고 혼합된 혼합액을 배출하는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파우더와 유체가 1차로 교반되도록 예비혼합과정이 더 수행되고, 예비혼합액을 전달받은 후 사용목적에 따라 파우더를 미세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이 더 수행되는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도료, 연마제 등과 같이 미세 분말입자로 이루어지는 각종의 산업재료들은 보통 다종의 원료를 혼합(mixing)한 후 미세입자로 분쇄(milling)하는 공정을 거쳐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보통 별도의 믹싱장치를 이용해 용기 내에서 믹싱용 블레이드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원료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다시 분쇄기에 넣어서 분쇄처리를 하는 작업방식이 널리 사용되었다.
상기의 혼합장치는 원료의 혼합물을 투입하기 위한 유입부와, 투입되는 혼합물을 챔버 내로 이송시키는 스크류 샤프트와, 상기 챔버 내에 유입된 혼합물을 분쇄하기 위한 반발판 및 로터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믹싱장치를 통해 혼합된 원료가 상기 유입부를 통해 공급되었을 때, 스크류 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원료가 챔버 내로 이송된다. 아울러, 상기 챔버 내에서는 반발판에 대하여 로터부가 저속 혹은 고속회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로터부의 외주를 따라 가동결합된 해머와 반발판이 상기 원료를 사이에 두고 기계적으로 접촉되면서 분쇄처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혼합 및 분쇄 시스템은 믹싱장치를 통해 혼합된 원료를 소정의 용기에 담아서 다시 분쇄장치에 투입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혼합작업과 분쇄작업 간의 시간간격으로 인해 혼합된 원료가 다시 침전 혹은 응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투입되는 원료 상호간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유체와 원료간의 혼합율이 저하되거나 응집된 원료의 이송으로 인한 장치의 오작동 및 결함 발생이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또한, 상기와 같은 파우더 혼합장치는 그 구조상 챔버 내로 원료를 유입시키도록 회전하는 별도의 스크류 샤프트가 구성되어야 하므로 전력소모는 물론이며, 장치 전체의 부피가 커지는 취약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유체와 원료의 혼합율을 향상시키고, 동시에 장치의 오작동 발생을 감소시키며, 유체와 원료의 혼합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성이 구비된 파우더 혼합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투입되는 파우더의 중량 및 유체의 중량을 계측하여 최적의 혼합비율을 제공하고, 파우더와 유체의 혼합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원료의 사용목적에 따라 파우더를 미세입자로 분쇄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고 독립 제어 시스템을 적용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은 일측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는 원료투입부(100); 상기 원료투입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원료와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부(200);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원료혼합부(200)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원료투입부(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원료를 일정크기로 분쇄하는 상기 원료혼합부(200)로 원료를 이송하는 원료이송부(4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원료혼합부(200)는 상기 유체공급부(300)로부터 유체를 전달받아 유체와 상기 원료를 1차로 혼합하는 제1 혼합기(210); 상기 제1 혼합기(210)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전달받아 1차로 혼합된 혼합물에 일정크기로 뭉쳐진 원료를 분쇄하면서 상기 유체와 원료를 2차로 혼합하는 제2 혼합기(220); 상기 제2 혼합기(220)에서 혼합된 혼합물이 수용되며, 수용된 혼합물에서 유체와 원료의 분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된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제3 혼합기(230); 상기 제1 혼합기(210)로 전달되는 원료의 투입량과 상기 유체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량 및 제2 및 제3 혼합기(220,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기(220)는 모터(221); 일측에 메인입구(h)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스테이터홀더(222); 상기 스테이터홀더(222)의 공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테이터(223-1, 223-2, 223-3)가 고정되는 스테이터어셈블리(223); 및 상기 모터(221)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어셈블리(223)에 대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로터(224-1, 224-2, 224-3)를 포함하는 로터어셈블리(224);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홀더(222)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갖는 가스를 상기 스테이터홀더(22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스유입구(222-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체공급부(300)는 소정의 직경을 가지며 일측이 제1 혼합기(210)와 연결되고 타측으로 소정압력의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관(310); 상기 유체공급관(310)을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량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500)로 전송하는 유량측정부(320); 상기 제1 혼합기(210)로 투입되는 원료량에 따라 상기 유체공급관(310)을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량을 조절하도록 상기 유체공급관(310)의 개도를 조절하는 유량조절부(330); 상기 유체공급관(310)에 장착되어 유체의 공급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유량제어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원료이송부(400)는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으로 원료를 공급받아 타측으로 원료를 배출하는 외부케이싱(410); 상기 외부케이싱(4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원료를 일정크기로 분쇄하며 이송시키도록 외측면에 다수의 블레이드(421)를 구비하는 이송스크류(420);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421)의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외부케이싱(410)의 내측면에 고착된 원료를 분쇄하기 위한 다수의 고착방지부(421-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420)는 내부가 중공되며 중공된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공(422)이 형성되되, 상기 이송스크류(420)의 중공된 내측으로 소정압력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분사공(422)으로 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원료이송부(400)를 통과하는 원료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뭉친상태로 상기 원료가 제1 혼합기(31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투입되는 파우더의 중량 및 유체의 유량을 계측하여 최적의 혼합비율을 제공하고 예비혼합과정이 더 수행되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혼합되는 파우더의 입자를 사용목적에 따라 조절하여 분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흐름과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 는 본 발명의 원료혼합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제2 혼합기 일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 은 본 발명의 제2 혼합기 일부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원료이송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단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은 일측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는 원료투입부(100)와 외부에서 유입되는 유체와 원료투입부(100)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전달받아 상호 교반시키며 균질화 공정을 수행하여 혼합물을 생성하는 원료혼합부(200) 및 상기 원료혼합부(200)로 유체를 전달하도록 외부로부터 유체를 전달받는 유체공급부(300)를 포함한다.
상기의 원료는 ECA powder, 폴리머, 벤토나이트 등의 화학제품에 사용되는 다양한 파우더에 해당할 수 있으며, 원료투입부(100)에 일정량 수용되면서 정량 공급된다.
이때, 원료투입부(100)는 상단에 원료를 공급받는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원료에 포함된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여과필터부(110)가 더 구비되고, 하측에는 원료의 수용량을 측정하는 원료계측기(12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원료투입부(100)의 하측에는 원료가 원료투입부(100)에서 배출될 때 원료의 상호간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원료투입부(100)의 배출구가 막히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소정의 압력을 갖는 압축공기(Air)를 분사하거나 진동을 전달하는 별도의 진동부(130)가 응집현상으로 뭉친 원료를 파쇄해줌으로써 원료의 원활한 배출을 유도한다.
도 1 을 참조하면 원료투입부(100)의 하단에는 원료이송부(400)가 더 구비된다. 원료이송부(400)는 원료투입부(100)로부터 원료를 전달받아 원료혼합부(200)로 이송하는데, 이송하면서 원료를 일정크기로 분쇄한다. 즉, 원료는 미세한 입자를 갖는 파우더(Powder)인데, 이러한 원료는 원료의 성분에 따라서 상호 뭉쳐지는 응집현상이 발생한다. 원료가 뭉쳐진 상태에서 원료혼합부(200)로 이송되면 원료가 액상의 유체와 혼합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원료이송부(400)에서 뭉쳐진 원료를 일정크기로 분쇄하거나 원료를 파우더(powder) 형태로 유지시켜주면서 원료혼합부(200)로 전달하면 원료혼합부(200)에서의 혼합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원료혼합부(200)는 제1 혼합기(210), 제2 혼합기(220) 및 제3 혼합기(230)를 포함한다.
제1 혼합기(210)는 원료이송부(400)로부터 원료와 유체공급부(300)로부터 유체를 전달받아 유체와 원료를 1차로 혼합한다. 제1 혼합기(210)는 내부가 중공되는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되, 하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제작되며 내측면을 따라 다수의 교반돌기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원료가 제1 혼합기(210)의 상측으로 유입되고, 유체는 제1 혼합기(210)의 측면으로 유입된다. 이때 유체는 교반돌기에 의해 제1 혼합기(210)의 내측면을 따라 소용돌이를 일으키며 하측으로 이동하고 원료가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유체에 공급되면서 유체와 원료가 상호 혼합된다. 제1 혼합기(210)에서 1차로 원료와 유체가 혼합됨으로 인해 혼합물이 제2 혼합기(220)로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다.
제2 혼합기(220)는 제1 혼합기(210)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전달받아 1차로 혼합된 혼합물에 일정크기로 뭉쳐진 원료를 분쇄하면서 상기 유체와 원료를 2차로 혼합한다.
도 2 를 참조하면 제2 혼합기(220)는 모터(221), 스테이터홀더(222), 스테이터어셈블리(223) 및 로터어셈블리(224)를 포함한다. 모터(221)는 로터어셈블리(22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외부로부터 전력을 인가받아 작동하며, 공지된 각종 모터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모터(100)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 을 참조하면 스테이터홀더(222)는 내부 중앙부를 관통하며 외부로부터 물질이 유입될 수 있는 메인입구(h)를 구비한다. 메인입구(h)로 제1 혼합기(210)에서 혼합된 혼합물이 유입되며 스테이터홀더(222)의 내측에 상기의 스테이터어셈블리(223)가 안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스테이터홀더(222)의 일측 원주면에는 내측으로 관통되는 가스유입구(222-1)가 형성된다. 가스유입구(222-1)로 소정의 압력을 갖는 가스가 스테이터홀더(22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으며, 가스 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체가 유입될 수 있다.
스테이터홀더(222)의 내부공간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테이터(223-1, 223-2, 223-3)가 구비되는 스테이터어셈블리(223)가 안착 고정된다. 그리고, 스테이터홀더(222)의 내부공간에는 계단형태를 갖는 다수의 단턱(222-2)이 형성되며, 각각의 단턱(222-2)에 스테이터(223-1, 223-2, 223-3)가 안착 고정된다.
본 발명의 경우 스테이터는 제1 내지 제3 스테이터(223-1, 223-2, 223-3)로 구분한다. 제1 내지 제3 스테이터(223-1, 223-2, 223-3)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1 스테이터(223-1)부터 제3 스테이터(223-3)까지 지름이 점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도시되었다. 그리고 계단형태를 갖는 다수의 단턱(222-2)에 각각의 스테이터가 원활하게 안착 및 고정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스테이터(223-1, 223-2, 223-3)는 순차적으로 스테이터홀더(222)의 단턱(222-2)에 안착되는데, 일부가 겹쳐지도록 안착된다. 따라서, 외곽에 배치되는 제3 스테이터(223-3)와 스테이터홀더(222)가 상호 고정될 경우에 겹쳐진 제1 및 제2 스테이터(223-1, 223-2)까지 고정될 수 있다.
스테이더어셈블리(223)의 제1 내지 제3 스테이터(223-1, 223-2, 223-3)에는 로터어셈블리(224)가 회전하면서 스테이터홀더(222)로 유입되는 혼합물과 접촉면적을 확보하도록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며 형성되는 다수의 접촉돌기(223-1P, 223-2P, 223-3P)가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원료와 유체가 보다 잘 섞일 수 있도록 제1 스테이터(223-1)에 형성되는 접촉돌기(223-1P)의 간격보다 제3 스테이터(223-3)에 형성되는 접촉돌기(223-3P)의 간격이 더 가까워지며, 접촉돌기의 개수가 제1 스테이터(223-1) 보다 제3 스테이터(223-3)에 더 많이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4 를 참조하면 로터어셈블리(224)는 모터(221)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스테이터어셈블리(223)에 대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의 로터(224-1, 224-2, 224-3, 224-4)를 포함한다.
로터어셈블리(224)는 제1 내지 제4 로터(224-1, 224-2, 224-3, 224-4)로 구성된다. 제1 로터(224-1)의 중앙부에는 홀(224-1h)이 천공되어 있다. 제1 로터(224-1)는 별도의 볼트가 홀(224-1h)을 관통하여 모터(221)의 샤프트(221-1)와 체결되어 회전된다.
제1 로터(224-1)는 방사상으로 다수의 베인(224-1P)이 형성되며, 이는 메인입구(h)로 유입되는 1차 혼합물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제2 내지 제4 로터(224-2, 224-3, 224-4)는 링 형상으로 제작되며, 제2 내지 제4 로터(224-2, 224-3, 224-4)의 가장자리에는 다수의 치형부(224-2P, 224-3P, 224-4P)가 형성된다. 상기의 치형부의 간격은 제3 로터(224-3)가 제2 로터(224-3)보다 조밀하며 제4 로터(224-4)가 제3 로터(224-3)보다 더 조밀한 간격을 유지한다. 이때 제2 내지 제4 로터(224-2, 224-3, 224-4)의 직경에 따라 개수는 점차적으로 증가한다.
로터어셈블리(224)는 로터하우징(224-5)을 더 포함하고, 제4 로터(224-4)와 로터하우징(224-5)는 상호 체결된다. 로터하우징(224-5)의 일측에는 계단형상의 단턱이 다수개 구비되며, 최외곽 단턱에는 제4 로터(224-4), 이웃한 두번째 단턱에는 제3 로터(224-3), 이웃한 세번째 단턱에는 제2 로터(224-2)가 체결된다.
도 4 를 참조하면 로터어셈블리(224)와 모터(221) 사이에는 어댑터(225)가 더 구비된다. 어댑터(225)는 모터(221)와 로터어셈블리(224)를 연결하기 위한 매개체에 해당하며, 어댑터(225)의 일측이 모터(221)의 하우징과 결합되어 고정된다.
어댑터(225)와 스테이터홀더(222) 사이에는 내부에 로터어셈블리(224)와 스테이터어셈블리(223)가 배치되며, 스테이터홀더(222)로 유입된 1차 혼합물이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싱(226)이 더 구비된다. 즉, 케이싱(226)의 양측에는 각각 어댑터(225)와 케이싱(226)이 상호 밀폐되도록 장착됨에 따라 내부공간으로 1차 혼합물이 수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케이싱(226)의 내부공간에서는 로터어셈블리(224)가 회전함에 따라 유입된 1차 혼합물이 로터어셈블리(224)와 케이싱(226) 내부공간을 유동하고, 스테이터어셈블리(223)에 접촉되면서 균질화가 진행되어 2차혼합물이 생성된다. 이후 균질화된 2차 혼합물이 로터어셈블리(224)의 회전력에 의해 외부로 토출되도록 케이싱(226)의 측면에는 출구(226-1)가 마련된다.
도 2 의 확대도를 참조하면 메인입구(h)의 내측 가장자리에는 스테이터홀더(222)의 가스유입구(222-1)로 유입되는 가스를 전달받는 가스유로(222-3)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스테이터(223-1, 223-2)에는 가스유로(222-3)로부터 가스를 스테이터홀더(22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가스유로(222-3)와 연통되는 가스홀(223-1h, 223-2h)이 각각 천공된다. 가스홀(223-1h, 223-2h)은 제1 및 제2 스테이터(223-1, 223-2)의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가스테이터홀더(222)의 내부공간에 소정 압력의 가스가 유입되면서 균질화된 2차 혼합물이 케이싱(226)의 출구(226-1)로 원활하게 배출되는 것을 유도할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제2 혼합기(220)에서 균질화된 2차 혼합물을 전달받아 일정량 수용하도록 내부가 중공되는 제3 혼합기(230)가 구비된다. 제3 혼합기(230)는 수용된 혼합물에서 유체와 원료의 분리현상을 방지하도록 지속적으로 수용된 혼합물을 별도의 교반기를 사용하여 교반시킨다. 상기의 교반기는 모터와 교반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공지된 교반기에 해당한다. 이후 제3 혼합기(230)에 수용된 혼합물은 다음공정에 따라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된다.
도 1 을 참조하면 원료투입부(100)에서 제1 혼합기(210)로 전달되는 원료의 투입량과 유체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량을 측정하는 제어부(500)가 더 구비된다. 제어부(500)는 각각의 투입량과 공급량을 조절하여 혼합물의 원료와 유체의 혼합비를 조절할 수 있으며, 투입되는 원료의 조건과 유체의 종류 및 점성에 따라 제2 및 제3 혼합기(220,230)의 구동을 제어하여 균질화된 혼합물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도 1 을 참조하면 유체공급부(300)는 유체공급관(310), 유량측정부(320), 유량조절부(330) 및 유량제어부(340)를 포함한다.
유체공급관(310)은 일측이 제1 혼합기(210)와 연결되고 타측이 제1 혼합기(210)와 연결되어 소정의 압력으로 유체가 공급되는 관 형상을 이룬다. 유량측정부(320)는 유체공급관(310)에 설치되며, 유체공급관(310)을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량을 측정하여 측정된 유체의 공급량의 데이터를 제어부(500)로 전송한다.
유량조절부(330)는 유체공급관(310)을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목적을 갖는다. 즉, 제1 혼합기(210)로 투입되는 원료량에 따라 원료와 유체의 혼합비율을 조절하기 위해 유체공급관(310)의 개도를 조절한다. 이로 인해 투입되는 원료에 따라 유체의 혼합비를 조절할 수 있다.
유량제어부(340)는 유체공급관(310)에 장착되어 유체의 공급을 차단 또는 개방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이는 원료혼합부(200) 내에서 오작동이 발생하여 비상상황이 발생하는 경우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하도록 제어부(500)에 의해 개폐가 제어된다.
도 1 및 도 5 를 참조하면 원료이송부(400)는 외부케이싱(410) 및 이송스크류(240)를 포함한다. 외부케이싱(410)은 일측으로 원료를 공급받아 타측으로 원료를 배출하기 위해 내부에 원료가 수용되도록 중공된 형상을 이룬다.
이송스크류(420)는 외부케이싱(410)의 내측에 구비되며 일측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송스크류(420)의 끝단에는 이송스크류(420)를 회전시키는 별도의 모터가 구비된다. 이송스크류(420)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블레이드(421)가 구비된다. 블레이드(421)는 외부케이싱(410) 내측에 수용된 원료를 이송시키고 동시에 뭉쳐진 원료를 분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블레이드(421)의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 이격되는 다수의 고착방지부(421-1)가 마련된다. 고착방지부(421-1)는 블레이드(421)의 내측으로 함입 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이송스크류(420)가 회전함에 따라 외부케이싱(410)의 내측면에 고착된 원료를 탈락시키거나 외부케이싱(410)의 바닥에 수용된 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쇄할 수 있다.
도 5 를 참조하면 이송스크류(420)의 내부는 중공된 형상을 가지며, 측면에는 중공된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공(422)이 형성된다. 이때, 중공된 이송스크류(420)의 내부에 소정 압력의 공기가 유입되고, 소정 압력의 공기는 분사공(422)을 통해 외부케이싱(410) 내부로 분사된다. 분사공(422)에서 소정 압력의 공기가 지속적으로 분사되면 외부케이싱(410) 내부를 통과하는 원료가 응집되는 현상(뭉침현상)의 발생을 방지해줄 수 있고, 뭉친 원료의 원활한 분쇄를 유도해줄 수 있다.
100 : 원료투입부 200 : 원료혼합부
210 : 제1 혼합기 220 : 제2 혼합기
230 : 제3 혼합기 300 : 유체공급부
310 : 유체공급관 320 : 유량측정부
330 : 유량조절부 340 : 유량제어부
400 : 원료이송부 410 : 외부케이싱
420 : 이송블레이드 500 : 제어부

Claims (4)

  1. 일측으로부터 원료를 공급받는 원료투입부(100); 상기 원료투입부(100)로부터 전달되는 원료와 외부로부터 유입된 유체를 혼합하는 원료혼합부(200);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유체를 상기 원료혼합부(200)로 공급하는 유체공급부(300);를 포함하는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원료투입부(100)의 하단에 구비되며, 원료를 일정크기로 분쇄하는 상기 원료혼합부(200)로 원료를 이송하는 원료이송부(400);
    상기 원료혼합부(200)는 상기 유체공급부(300)로부터 유체를 전달받아 유체와 상기 원료를 1차로 혼합하는 제1 혼합기(210);
    상기 제1 혼합기(210)에서 혼합된 혼합물을 전달받아 1차로 혼합된 혼합물에 일정크기로 뭉쳐진 원료를 분쇄하면서 상기 유체와 원료를 2차로 혼합하는 제2 혼합기(220);
    상기 제2 혼합기(220)에서 혼합된 혼합물이 수용되며, 수용된 혼합물에서 유체와 원료의 분리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된 혼합물을 교반시키는 제3 혼합기(230);
    상기 제1 혼합기(210)로 전달되는 원료의 투입량과 상기 유체공급부(300)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공급량 및 제2 및 제3 혼합기(220,23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공급부(300)는 일측이 제1 혼합기(210)에 연결되어 유체가 공급되는 유체공급관(310);
    상기 유체공급관(310)에 설치되어 유체공급관(310)을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량을 측정한 데이터를 제어부(500)로 전송하는 유량측정부(320);
    상기 유체공급관(310)의 개도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혼합기(210)로 투입되는 원료에 따라 유체의 혼합비를 조절하는 유량조절부(330);
    유체공급관(310)에 장착되어 상기 원료혼합부(200)에서 오작동이 발생하면 공급되는 유체를 차단하는 유량제어부(340);를 포함하고,
    상기 원료이송부(400)는 내부가 중공되며 일측으로 원료를 공급받아 타측으로 원료를 배출하는 외부케이싱(410);
    상기 외부케이싱(410)의 내측에 구비되어 일측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원료를 일정크기로 분쇄하며 이송시키도록 외측면에 다수의 블레이드(421)를 구비하는 이송스크류(420); 를 포함하되,
    상기 블레이드(421)의 가장자리에는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며 상기 외부케이싱(410)의 내측면에 고착된 원료를 탈락시키기 위한 다수의 고착방지부(421-1); 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혼합기(220)는 모터(221);
    일측에 메인입구(h)를 구비하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스테이터홀더(222);
    상기 스테이터홀더(222)의 공간에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테이터(223-1, 223-2, 223-3)가 고정되는 스테이터어셈블리(223); 및
    상기 모터(221)의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스테이터어셈블리(223)에 대해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적어도 2개 이상의 로터(224-1, 224-2, 224-3)를 포함하는 로터어셈블리(224);를 포함하며,
    상기 스테이터홀더(222)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소정의 압력을 갖는 가스를 상기 스테이터홀더(222)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가스유입구(222-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420)는 내부가 중공되며 중공된 내부공간과 연통되는 다수의 분사공(422)이 형성되되,
    상기 이송스크류(420)의 중공된 내측으로 소정압력의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분사공(422)으로 공기가 배출되면서 상기 원료이송부(400)를 통과하는 원료의 응집현상으로 인해 뭉친상태로 상기 원료가 제1 혼합기(310)로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KR1020190029454A 2019-03-14 2019-03-14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KR102226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54A KR102226886B1 (ko) 2019-03-14 2019-03-14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9454A KR102226886B1 (ko) 2019-03-14 2019-03-14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96A KR20200109796A (ko) 2020-09-23
KR102226886B1 true KR102226886B1 (ko) 2021-03-11

Family

ID=72708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9454A KR102226886B1 (ko) 2019-03-14 2019-03-14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8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154B2 (ja) * 1993-11-02 1998-07-30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粉体溶解装置
JP2001139153A (ja) * 1999-11-11 2001-05-22 Dainippon Ink & Chem Inc 粉粒体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KR100872540B1 (ko) * 2008-06-30 2008-12-08 주식회사 세지테크 연속식 혼합기
KR101737431B1 (ko) * 2017-02-17 2017-05-18 주식회사 케이디 하이브리드형 자동 제어 폴리머 용해 처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96379B (zh) * 2009-11-02 2015-04-01 曼康公司 以沉淀过程产生药物颗粒的反应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82154B2 (ja) * 1993-11-02 1998-07-30 東レ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粉体溶解装置
JP2001139153A (ja) * 1999-11-11 2001-05-22 Dainippon Ink & Chem Inc 粉粒体供給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静電荷像現像用トナーの製造方法
KR100872540B1 (ko) * 2008-06-30 2008-12-08 주식회사 세지테크 연속식 혼합기
KR101737431B1 (ko) * 2017-02-17 2017-05-18 주식회사 케이디 하이브리드형 자동 제어 폴리머 용해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9796A (ko) 202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180B2 (en) Pipeline beads mill and dispersing system having the pipeline beads mill
KR101658410B1 (ko) 고점도 유체 분산유화장치
US7883041B2 (en) Media mixing mill
US11059004B2 (en) Device and method for mixing, in particular dispersing
EP3229950B1 (en) Device for mixing, in particular dispersing
TWI604891B (zh) Media mixing mill
KR102226886B1 (ko) 균질기를 이용한 파우더 분산 시스템
KR102181672B1 (ko) 균질기를 이용한 폴리머 분산 시스템
KR101245869B1 (ko) 미디어 교반형 습식 분산기
JPWO2018128114A1 (ja) 分散装置、脱泡装置
JP2008055288A (ja) メディア攪拌型湿式分散機及び微粒子の分散方法
JPH10230182A (ja) 粉砕機
JP3217671U (ja) ビーズミル
EP0015647B1 (en) Improved milling, mixing or dispersing apparatus
JP2014083528A (ja) 分散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方法
TWI460008B (zh) Centrifugal dispersing device
KR101755562B1 (ko) 분쇄분산기용 분리기
KR20190135191A (ko) 분쇄 분산기
WO2007141992A1 (ja) メディア式分散機
JP2000254535A (ja) 混練粉砕機
WO2006112164A1 (ja) 原料スラリー処理装置
JP6919940B1 (ja) 分散装置
KR102334946B1 (ko) 쿨링시스템이 구비된 로터-로터방식 임펠러구조
JPH08332402A (ja) 粒子状材料の処理方法
KR20020032496A (ko) 원통형 분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