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598B1 -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598B1
KR102226598B1 KR1020200027085A KR20200027085A KR102226598B1 KR 102226598 B1 KR102226598 B1 KR 102226598B1 KR 1020200027085 A KR1020200027085 A KR 1020200027085A KR 20200027085 A KR20200027085 A KR 20200027085A KR 102226598 B1 KR102226598 B1 KR 102226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base
holder
bracke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유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27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5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에 열융착되는 베이스로 부터 보스공이 형성된 홀더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홀더의 보스공에 형성된 나사산이 뭉개진 경우에는 상기 홀더를 베이스로 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홀더를 베이스에 교체 조립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연료탱크(200)의 저면에 열융착되며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20)와, 상기 홀더(120)에 록킹력을 제공하도록 베이스(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3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Bracket for fuel tank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더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에 열융착되는 베이스로 부터 보스공이 형성된 홀더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홀더의 보스공에 형성된 나사산이 뭉개진 경우에는 상기 홀더를 베이스로 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홀더를 베이스에 교체 조립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탱크가 설치되어 연료와 공기를 혼합하거나 또는 연료만을 실린더에 공급하여야 만이 자동차가 구동되는 것인데 연료탱크의 용량은 1일분의 소요량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배기량이 큰 엔진일수록 그 용량이 크다.
이러한 연료탱크는 턴시드(주석-납도금 강판)에 의한 상,하 또는 전,후 2부품의 프레스 성형품을 팥고물 넣은 과자식으로 외부 플랜지부를 심용접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연료탱크내에는 주행중 연료의 급격한 유동에 의한 소리와 연료계 플로트의 변동을 방지함과 동시에 연료탱크의 강성 및 강도를 보완해주기 위하여 다수개의 베플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탱크내에는 연료의 잔유량을 체크하여 운전자에게 알려주는 장치가 설치되는데 즉, 연료탱크내에 센서가 설치되고 센서는 자동차의 계기판과 연결되어 연료가 센서에서 벗어날 경우 계기판에 설치된 연료경고등이 점등되도록 하여 즉, 자동차가 일정거리만큼 운행한 후에는 연료가 떨어져서 운행할 수 없다는 경고를 운전자에게 알려주므로서 운전자가 이를 보고 미리 연료탱크에 연료를 보충할 수 있도록 하고있다.
이와 같은 자동차용 연료탱크는 차체의 하면부에 설치되고, 연료탱크의 하면상에는 엔진에서 생성된 고온의 배기가스를 차량의 후면으로 배출하는 배기구가 배치되기 때문에, 연료탱크의 하면을 도로면의 돌기나 비석 등의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고, 고온의 배기구로 인한 열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방지하기 위해 연료탱크의 하면부를 보호하는 보호커버를 장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구체적으로, 차량용 연료탱크 보호용 프로텍터로 열이 많이 집중되는 연료탱크의 저면 중앙 부위를 가려주도록 설치되어 연료탱크 저면으로 가해지는 열 차단용의 제1 프로텍터; 및 제1 프로텍터의 밑면에 포개져서 연료탱크 저면의 중앙 부위를 이중으로 가려주고, 중앙부 양단에는 충격이 많이 집중되는 연료탱크의 전면부를 가려주기 위한 날개부가 구비된 충격 보호용의 제2 프로텍터;를 연료탱크 저면에 이중으로 설치하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이와같이 프로텍터를 자동차의 저면에 장착된 연료탱크에 설치시에는, 상기 연료탱크의 저면에 다수개의 고정용브라켓을 설치하고,
상기 고정용브라켓에 형성된 보스공의 중심에 일치되도록 체결공 중심과 나사공의 중심이 일치되도록 제1프로텍터와 제2프로텍터를 포개어준 후 나사를 체결공과 나사공을 관통되게 삽입시키면서 보스공에 체결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종래 고정용브라켓은 보스공이 형성된 홀더가 연료탱크에 고정되게 열융착되는 베이스에 고정되게 결합되는 관계로, 상기 홀더의 보스공에 형성된 나사산이 뭉개진 경우에는 변형 및 파손이 발생된 제1프로텍터와 제2프로텍터를 분리한 후 연료탱크의 저면에 새로운 제1프로텍터와 제2프로텍터를 고정되게 교체 설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70507호(등록일자 2012년 07월 26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탱크의 저면에 열융착되며 고정되게 설치된 베이스에 보스공이 관통되어 형성된 홀더를 분리가능하게 결합시켜, 상기 홀더의 보스공 내측면에 형성된 나사산이 뭉개진 경우, 상기 홀더만 교체 수리해 가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연료탱크(200)의 저면에 열융착되며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20)와, 상기 홀더(120)에 록킹력을 제공하도록 베이스(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30)로 구성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는 연료탱크(200)의 저면에 상부면이 고정되게 열융착되는 몸체(111)의 하부에 일측이 개구되게 인입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113)가 형성된 몸체(111)의 외측면 좌우양측부에는 고정부(112)가 각각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홀더(120)는 베이스(110)의 몸체(111)에 형성된 인입부(113)에 삽입되는 삽입부(121)와, 상기 인입부(1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122)가 단차지게 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삽입부(121)와 돌출부(122)가 단차지게 형성된 홀더(120)의 중앙부위에는 내측면에 나사산을 갖는 보스공(123)이 관통되어 형성됨을 밝혀 둔다.
또한, 상기 홀더(120)의 삽입부(121)가 몸체(111)의 인입부(113)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커버(130)에는 돌출부(12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과공(131)이 중앙부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131)이 형성된 커버(130)의 좌우 양측부에는 고정부(112)에 고정 및 분리되는 후크(132)가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132)와 후크(13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감합홈(134b)이 파여져 형성된 지지면(133)이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133)중 베이스(110)의 인입부(113)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면(133)의 내부에는 인입부(113)에 인입된 홀더(120)의 삽입부(121) 일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4)의 상부에는 회전방지돌기(134a)가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형성됨을 밝혀 둔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의 몸체(111)에는 커버(130)에 형성된 후크(132)가 걸리는 후크걸림부(112a)와, 상기 커버(130)에 형성된 감합홈(134b)에 삽입되는 감합리브(112b) 및 지지부(134)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34a)가 삽입되는 삽입공(114)이 각각 형성됨을 밝혀 둔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베이스의 몸체에 형성된 인입부에 홀더를 인입시킨 상태에서 커버를 베이스의 몸체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상기 홀더가 베이스에 고정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됨은 물론, 상기 커버를 베이스로 부터 분리시키는 것에 의해, 베이스의 몸체에 형성된 인입부에 인입되어 있는 홀더를 인출시켜 교체 수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홀더의 보스공에 형성된 나사산이 뭉개진 경우에는 상기 홀더를 베이스로 부터 분리시킨 후 새로운 홀더를 교체 조립시켜 가면서 사용할 수 있게되는 효과가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의 베이스에 홀더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의 베이스에 커버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저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의 베이스에 홀더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의 베이스에 커버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이고, 도 4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의 조립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다.
본 발명인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은 도 1내지 도 4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연료탱크(200)의 저면에 열융착되며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20)와, 상기 홀더(120)에 록킹력을 제공하도록 베이스(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3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는 연료탱크(200)의 저면에 상부면이 고정되게 열융착되는 몸체(111)의 하부에 일측이 개구되게 인입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113)가 형성된 몸체(111)의 외측면 좌우양측부에는 고정부(112)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120)는 베이스(110)의 몸체(111)에 형성된 인입부(113)에 삽입되는 삽입부(121)와, 상기 인입부(1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122)가 단차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부(121)와 돌출부(122)가 단차지게 형성된 홀더(120)의 중앙부위에는 내측면에 나사산을 갖는 보스공(123)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120)의 삽입부(121)가 몸체(111)의 인입부(113)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커버(130)에는 돌출부(12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과공(131)이 중앙부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131)이 형성된 커버(130)의 좌우 양측부에는 고정부(112)에 고정 및 분리되는 후크(132)가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132)와 후크(13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감합홈(134b)이 파여져 형성된 지지면(133)이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지지면(133)중 베이스(110)의 인입부(113)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면(133)의 내부에는 인입부(113)에 인입된 홀더(120)의 삽입부(121) 일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3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134)의 상부에는 회전방지돌기(134a)가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110)의 몸체(111)에는 커버(130)에 형성된 후크(132)가 걸리는 후크걸림부(112a)와, 상기 커버(130)에 형성된 감합홈(134b)에 삽입되는 감합리브(112b) 및 지지부(134)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34a)가 삽입되는 삽입공(114)이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베이스(110)의 몸체(111)에 형성된 인입부(113)에 홀더(120)의 삽입부(121)가 삽입되고, 상기 홀더(120)의 삽입부(121)가 인입부(113)에 삽입된 베이스(110)의 몸체(111)에 착탈가능하게 커버(130)가 결합되는 것에 의해 연료탱크용 브라켓(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커버(130)의 좌우 양측부에 상부로 연장형성된 후크(132)는 베이스(110)의 몸체(111)에 형성된 후크걸림부(112a)에 걸리도록 고정부(112)에 삽입되고, 상기 커버(130)의 지지면 하부에 형성된 감합홈(134b)에는 베이스(110)의 몸체(111)에 형성된 감합리브(112b)가 인입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커버(130)의 지지부(134)에 상부로 돌출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34a)는 베이스(110)의 몸체(111)에 형성된 삽입공(114)에 삽입되어, 상기 커버(130)에 외력이 가해는 경우에도 커버(130)가 몸체(111)의 일측 및 타측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면서 베이스(11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홀더(120)는 삽입부의 일측면은 커버(130)의 지지부에 접촉되면서 지지되고 타측면과 전후면은 각각 인입부(113)의 내측벽면과 접촉되면서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커버(130)를 베이스(110)에 결합시에는 홀더(120)의 상부에 형성된 외측면이 커버(0에 형성된 통과공(131)의 내측면과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면서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연료탱크용 브라켓(100)은 베이스(110)가 연료탱크(200)에 고정되도록 몸체(111)의 하부를 열융착시키게 된다.
이로인해 연료탱크(200)의 하부에 제1프로텍터(300)와 제2프로텍터(400)를 포개어준 후 나사()를 나사공()에 관통되게 삽입시키면서 홀더(120)의 보스공(123)에 체결시켜 주는 것에 의해, 상기 제1프로텍터(300)와 제2프로텍터(400)가 연료탱크(200)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연료탱크(200)가 충격과 열로 부터 보호되도록 하게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연료탱크(200)의 하부에 설치된 제1프로텍터(300)와 제2프로텍터(400)가 외부의 충격이나 열에 의해 변형 및 파손되어 교체수리를 수행하기 위해 홀더(120)의 보스공(123)에 형성된 나사산에 나사(500)를 반복 체결하는 것에 의해 상기 나사(500)의 체결이 이루어어지는 보스공(123)의 나사산이 뭉개져 제기능을 상실한 경우에는 커버(130)를 베이스(110)의 몸체(111)로 부터 분리시킨 다음 인입부(113)에 인입되어 있는 홀더(120) 인출시킨 다음 새로운 홀더(120)를 인입부(113)에 인입시킨 후 커버(130)를 베이스(110)의 몸체(111)에 결합시켜 주는 것에, 홀더(120)의 보스공(123)에 체결력이 유지되도록 나사(500)가 체결되어지게 된다.
100 : 브라켓 110 : 베이스
111 : 몸체 112 : 고정부
112a: 후크걸림부 112b: 감합리브
113 : 인입부 114 : 삽입공
120 : 홀더 121 : 삽입부
122 : 돌출부 123 : 보스공
130 : 커버 131 : 통과공
132 : 후크 133 : 지지면
134 : 지지부 134a: 회전방지돌기
134b: 감합홈 200 : 연료탱크

Claims (6)

  1. 연료탱크(200)의 저면에 열융착되며 고정되게 설치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인입출가능하게 설치되는 홀더(120)와, 상기 홀더(120)에 록킹력을 제공하도록 베이스(11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1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는 연료탱크(200)의 저면에 상부면이 고정되게 열융착되는 몸체(111)의 하부에 일측이 개구되게 인입부(113)가 형성되고, 상기 인입부(113)가 형성된 몸체(111)의 외측면 좌우양측부에는 고정부(112)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120)는 베이스(110)의 몸체(111)에 형성된 인입부(113)에 삽입되는 삽입부(121)와, 상기 인입부(113)의 외부로 노출되는 돌출부(122)가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1)와 돌출부(122)가 단차지게 형성된 홀더(120)의 중앙부위에는 내측면에 나사산을 갖는 보스공(123)이 관통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120)의 삽입부(121)가 몸체(111)의 인입부(113)에 인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록킹력을 제공하는 커버(130)에는 돌출부(122)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통과공(131)이 중앙부에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통과공(131)이 형성된 커버(130)의 좌우 양측부에는 고정부(112)에 고정 및 분리되는 후크(132)가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후크(132)와 후크(132)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감합홈(134b)이 파여져 형성된 지지면(133)이 하부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133)중 베이스(110)의 인입부(113)의 선단부에 위치하는 지지면(133)의 내부에는 인입부(113)에 인입된 홀더(120)의 삽입부(121) 일측면에 접촉하는 지지부(134)가 형성되며, 상기 지지부(134)의 상부에는 회전방지돌기(134a)가 상부로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10)의 몸체(111)에는 커버(130)에 형성된 후크(132)가 걸리는 후크걸림부(112a)와, 상기 커버(130)에 형성된 감합홈(134b)에 삽입되는 감합리브(112b) 및 지지부(134)에 형성된 회전방지돌기(134a)가 삽입되는 삽입공(114)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KR1020200027085A 2020-03-04 2020-03-04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KR102226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85A KR102226598B1 (ko) 2020-03-04 2020-03-04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7085A KR102226598B1 (ko) 2020-03-04 2020-03-04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598B1 true KR102226598B1 (ko) 2021-03-11

Family

ID=7514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7085A KR102226598B1 (ko) 2020-03-04 2020-03-04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59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7411U (ko) * 1987-10-03 1989-04-10
US20110127761A1 (en) * 2008-08-08 2011-06-02 Yachiyo Industry Co., Ltd. Protective plate mounting structure for a fuel tank
KR101170507B1 (ko) 2010-06-22 2012-08-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탱크 보호용 프로텍터
JP2019113091A (ja) * 2017-12-21 2019-07-1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用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7411U (ko) * 1987-10-03 1989-04-10
US20110127761A1 (en) * 2008-08-08 2011-06-02 Yachiyo Industry Co., Ltd. Protective plate mounting structure for a fuel tank
KR101170507B1 (ko) 2010-06-22 2012-08-0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탱크 보호용 프로텍터
JP2019113091A (ja) * 2017-12-21 2019-07-1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車両用部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76733B1 (en) Hood airbag device for use in a vehicle
EP1457406B1 (en) Reservoir with an integrated bracket
JP2010036843A (ja) キャニスタの取付構造
KR102226598B1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US20040041379A1 (en) Airbag apparatus for front passenger seat
WO2009081694A1 (ja) ヘッドランプ取付構造
JP5015734B2 (ja) 車輌用ヘッドランプ
KR20220117486A (ko) 자동차의 연료탱크용 브라켓
KR102654533B1 (ko) 자동차용 연료탱크 보강 기둥
KR100527122B1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구조
CN219172525U (zh) A柱护板组件和具有其的侧气帘子系统及车辆
KR100774317B1 (ko) 차량용 플라스틱 연료탱크
KR20080054896A (ko) 차량의 라디에이터 상부 장착구조
JP5937344B2 (ja) エアバッグ装置
KR102602444B1 (ko) 자동차용 필러넥의 에어드레인 케이스
CN220248170U (zh) 油位传感器盖及包括其的发动机
JP4823033B2 (ja) 車両吸気ダクト
KR200144912Y1 (ko) 조립성이 향상된 퓨얼필라 도어로크의 아우터 사이드 바디패널 체결구조
KR200144916Y1 (ko) 에어백 하우징 체결구조
KR19980048281U (ko) 에어백의 캠 결합구조
KR200311159Y1 (ko) 스티어링휠의 커버어셈블리
KR0122040Y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970006403Y1 (ko) 자동차용 위험표지판
KR100406701B1 (ko) 자동차의 트림 장탈착구조
KR200149881Y1 (ko) 자동차의 후방 차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