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505B1 -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505B1
KR102226505B1 KR1020200093136A KR20200093136A KR102226505B1 KR 102226505 B1 KR102226505 B1 KR 102226505B1 KR 1020200093136 A KR1020200093136 A KR 1020200093136A KR 20200093136 A KR20200093136 A KR 20200093136A KR 102226505 B1 KR102226505 B1 KR 102226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joint
molding
pair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성근
김옥태
강동우
Original Assignee
노성근
김옥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성근, 김옥태 filed Critical 노성근
Priority to KR1020200093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5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505B1/ko
Priority to PCT/KR2021/004737 priority patent/WO2022025389A1/ko
Priority to US18/013,284 priority patent/US20230249238A1/en
Priority to JP2022580541A priority patent/JP7501881B2/ja
Priority to EP21849971.3A priority patent/EP4151328A4/en
Priority to CN202180042881.1A priority patent/CN115734828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0Making tubes with riveted seams or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 B21C37/101Making of the s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37/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 B21C37/06Manufacture of metal sheets, bars, wire, tubes or like semi-manufactured produc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e of tubes of special shape of tubes or metal hoses; Combined procedures for making tubes, e.g. for making multi-wall tubes
    • B21C37/10Making tubes with riveted seams or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 B21C37/104Making tubes with riveted seams or with non-welded and non-soldered seams the tubes having a special shape, e.g. polygonal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4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tubes with tubes; of tubes with r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는 엘보우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부재 중 인접한 한 쌍의 단위부재의 플랜지를 절곡하여 록이음부를 성형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단위부재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상기 베이스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지지하는 고정척; 상기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한 쌍의 단위부재의 플랜지가 맞닿은 상태에서 절곡하여 이음부를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SEAM FORMING APPARATUS FOR ELBOW DUCT}
본 발명은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엘보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에 록이음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의 설계가 복잡해 질수록 배관의 연결부에 필연적으로 굴곡이 많이 발생한다. 이러한 배관의 굴곡 부분에 사용되는 엘보 배관의 신뢰성, 또한 배관시공작업의 효율성에 있어서 더욱더 부각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엘보 배관의 제조시, 여러개의 연결관들을 연결하고, 각각의 연결관들이 맞물리는 부분을 해머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타격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엘보 배관의 제조시간 및 제조비용이 과다하게 청구될 수밖에 없고, 이와 동시에 숙련된 작업자들만이 수작업으로 제조를 해야함에 따라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7619호에는 복수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지는 엘보형 덕트의 연결부위에 플랜지 모양의 제1폴드와, 상기 이중 폴드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2폴드로 이루어지는 폴드 이음매 연결부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연결부는 초기 상태에서 밀폐력을 확보할 수는 있으나, 덕트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덕트 구조가 비틀리거나 휘어지는 경우 연결부 사이의 접촉면이 벌어져 밀폐력이 쉽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엘보 덕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단편 파이프들에 각각 형성된 플랜지를 통해 폴드 이음매 연결부를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데, 이러한 반복 공정이 직선 상에 배치되지 않고 엘보 덕트의 형상을 따라 굴절 배치되므로 작업이 매우 곤란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3-0087619호(2003년11월14일)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엘보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에 록이음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하부 지지면의 각도가 서로 다른 단위유닛들의 연결부위에 이음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밀착 지지한 상태에서 이음부를 성형함으로써, 이음부의 성형과정에서 연결부위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엘보우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부재 중 인접한 한 쌍의 단위부재의 플랜지를 절곡하여 록이음부를 성형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단위부재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상기 베이스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지지하는 고정척; 상기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한 쌍의 단위부재의 플랜지가 맞닿은 상태에서 절곡하여 이음부를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테이블 및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테이블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테이블의 하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승강샤프트, 상기 승강샤프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접한 한 쌍의 승강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 및 상기 연결샤프트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샤프트와 승강샤프트의 연결부위에는 래크와 피니언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샤프트의 축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샤프트의 축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승강테이블과 베이스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승강테이블과 베이스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승강테이블과 베이스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척은 척본체 및 상기 척본체 상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면은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척은 복수의 지지부재의 중앙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확장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척은, 상기 척본체와 지지부재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수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의 판면에는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척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바깥쪽에서 상기 고정척의 중심을 향해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구동부; 및 상기 이동부 상에서 이동부와 함께 전후진하고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롤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이동부 상에서 이동부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브라켓; 및 상기 이동부와 롤러브라켓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롤러브라켓을 전진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형부는 상기 고정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배치되는 제1성형부, 제2성형부 및 제3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성형부의 성형롤러는 하부 단위부재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된 'ㄴ'자 형태의 제2플랜지의 상측으로 상부 단위부재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된 'ㅡ'자 형태의 제1플랜지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1플랜지의 단부를 절곡하여 스탠딩 이음부를 형성하는 제1성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성형부의 성형롤러는 상기 제1성형부에 의해 성형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이음부를 덕트의 외측면을 향해 경사지도록 절곡하는 제2성형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성형부의 성형롤러는 상기 제2성형부에 의해 절곡된 이음부를 덕트의 외측면에 밀착시켜 록이음부를 형성하는 제3성형면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단위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성형부의 이동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 상에서 고정척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거치대의 선단에는 롤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엘보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에 록이음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하부 지지면의 각도가 서로 다른 단위유닛들의 연결부위에 이음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는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밀착 지지한 상태에서 이음부를 성형함으로써, 이음부의 성형과정에서 연결부위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승강부 및 각도조절부의 발췌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고정척 및 회전부의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고정척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성형부 및 거치대의 발췌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성형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정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한 쌍의 단위부재를 공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고정척의 작용도,
도 12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거치대 및 승강부의 작용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성형부에 의한 록이음부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작용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를 통해 엘보우형 덕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승강부 및 각도조절부의 발췌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고정척 및 회전부의 발췌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고정척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성형부 및 거치대의 발췌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성형부의 분해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는 엘보우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부재 중 인접한 한 쌍의 단위부재(Da,Db)에 형성된 제1플랜지(F1)와 제2플랜지(F2)를 록이음부(lockseam) 형태로 성형하여 밀폐력과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서, 크게 장치본체(10), 베이스(20), 승강부(30), 각도조절부(40), 고정척(50), 회전부(60), 성형부 및 거치대(80)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본체(10)는 상기 베이스(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부(30), 고정척(50) 및 회전부(60)를 지지하는 제1테이블(11)과, 상기 성형부를 지지하는 제2테이블(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테이블(12)의 판면에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테이블(11)은 상기 개구부의 하측에서 제2테이블(12)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가 고정척(50) 및 성형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것으로서, 한 쌍의 단위부재(Da,Db) 중 하부 단위부재(Da)의 하단부를 지지할 수 있는 링형지지대(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링형지지대(21)는 다양한 사이즈로 복수 마련되고, 작업 대상이 되는 덕트의 규격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제1테이블(11) 상에서 상기 베이스(2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베이스(20)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테이블(31) 및 상기 승강테이블(3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42)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구동부(42)는 상기 제1테이블(11) 상에서 상기 승강테이블(31)의 이동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승강테이블(31)의 하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승강샤프트(32), 상기 승강샤프트(32)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접한 한 쌍의 승강샤프트(32)를 각각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샤프트(33) 및 상기 복수의 연결샤프트(33) 중 어느 하나의 연결샤프트(33)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모터(3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샤프트(33)와 승강샤프트(32)의 연결부위에는 래크(32a)와 피니언(33a)이 각각 형성됨에 따라, 상기 연결샤프트(33)의 축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샤프트(32)의 축방향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부(30)는 상기 연결샤프트(33)와 승강샤프트(32)의 연결부위를 감싸고 상기 연결샤프트(33)와 승강샤프트(32)의 축위치를 각각 지지하는 하우징(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20)는 승강부(30)에 의해 상승한 상태에서 상하로 적층되는 한 쌍의 단위부재(Da,Db) 중 하부 단위부재(Da)를 지지하여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조립 위치를 안내할 수 있으며, 하부 단위부재(Da)가 거치대(80)에 의해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된 후에는 승강부(30)에 의해 하강한다. 이에 따라, 록이음부의 성형을 위해 하부 단위부재(Da)가 회전하는 과정에서 베이스(20)와 하부 단위부재(Da)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부(30)에 의한 베이스(20)의 하강 위치는 상기 하부 단위부재(Da)의 회전 영역으로부터 충분히 벗어날 수 있는 위치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엘보우 덕트는 복수의 단위부재(D1,D2,D3,D4,D5)로 구성되고, 복수의 단위부재(D1,D2,D3,D4,D5)는 양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단위부재(D1,D5)와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단위부재(D2,D3,D4)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단위부재(D1,D2,D3,D4,D5)의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절단면은 각 단위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교하지 않는 사이각을 갖도록 설계되고, 단부 단위부재(D1,D5)의 바깥쪽 절단면은 각 단위부재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설계된다. 즉, 상기 각도조절부(40)는 하부 단위부재(Da)로서 중간 단위부재(D2,D3,D4)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하부 단위부재(Da)의 조립 위치를 안내하는 베이스(20)를 제1지지각도(a1)로 조절하고, 하부 단위부재(Da)로서 단부 단위부재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베이스(20)를 상기 제1지지각도와 상이한 제2지지각도(a2)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도 16 참조)
이러한 각도조절부(40)는 상기 승강테이블(31)과 베이스(20)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41) 및 상기 회동축(4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승강테이블(31)과 베이스(20)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베이스(20)와 승강테이블(31)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20)의 각도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간격조절부는 상기 베이스(20)와 승강테이블(31)의 일측을 연결하고 연결길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신축구동하는 구동부(42), 상기 회동축(41)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테이블(31)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42)가 신장하였을 때 베이스(20)와 접촉하여 베이스(20)의 제1지지각도를 안내하는 제1스토퍼(43) 및 상기 회동축(41)을 기준으로 상기 승강테이블(31)의 타측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42)가 수축하였을 때 베이스(20)와 접촉하여 베이스(20)의 제2지지각도를 안내하는 제2스토퍼(4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각도와 제2지지각도는 덕트의 규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스토퍼(43)와 제2스토퍼(44)는 덕트의 규격에 따라 베이스(20)의 지지각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제1스토퍼(43)와 제2스토퍼(44)는 상기 승강테이블(31) 상에 나사결합되어 베이스(20)를 향해 돌출되는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고정척(50)은 상기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의 내주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이동홀(51a)이 형성된 척본체(51), 상기 척본체(51) 상에서 이동홀(51a)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52b)이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지지부재(52), 상기 이동홀(51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동홀(51a) 내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52)를 확장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핀(53), 상기 척본체(51)의 상측에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52)의 상측을 덮는 커버(54) 및 상기 커버(54)와 척본체(51) 사이 간격을 유지하는 스페이서(55)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재(52)의 판면에는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홈(52a)이 마련되고, 상기 척본체(51)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홈(52a)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51b)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51b)와 가이드홈(52a) 사이에는 상기 지지부재(52)를 수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체(57)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핀(53)이 상승하여 지지부재(52)가 확장 방향으로 이동하면 지지면(52b)이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지지하는 동시에 탄성체(57)가 압축되고, 승강핀(53)이 하강하면 탄성체(57)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52)가 수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지지면(52b)이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다.
또한, 상기 고정척(50)은 상기 지지부재(52)의 상면과 하면에서 상기 척본체(51) 및 커버(54)와의 사이에 각각 개재되는 슬립패드(56)를 더 포함하며, 이러한 슬립패드(56)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52)가 척본체(51) 및 커버(54)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이동마찰을 최소화 함으로써, 다수의 지지부재(52)가 승강핀(53)의 승강 위치에 따라 각각 원활하게 방사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승강핀(53)의 상단부 테두리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지지부재(52)의 상기 승강핀(53)의 상단부와 맞닿는 부분은 상기 승강핀(53)의 경사면에 대응하는 기울기를 갖는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부재(52)는 부채꼴 모양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척본체(51)의 이동홀(51a)을 중심으로 다수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원형 디스크의 형태가 된다.
여기서, 엘보우 덕트를 구성하는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는 중심축이 소정의 사이 각을 이루고 있으므로, 연결부위의 중심을 기준으로 3시 방향과 9시 방향은 각각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내측면이 서로 평행하고, 6시 방향은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내측면의 사이각이 180도 보다 큰 우각으로 이루어지고, 12시 방향은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내측면의 사이각이 180도 보다 작은 둔각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52b)은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52)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덕트에 대응하는 지지면(52b)을 각각 구비하고, 원하는 덕트의 규격에 대응하는 지지면(52b)을 선택하여 상기 지지부재(52)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규격의 엘보우 덕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52)의 전체 외곽 테두리 형상은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고정척(50)을 이용해 한 쌍의 단위부재(Da,Db)를 파지하였을 때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의 단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엘보 덕트를 구성하는 다수의 단위부재 중 인접한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의 내주면 형상은, 연결부위의 중심점을 기준으로, 3시 방향과 9시 방향의 사이각은 180도로 이루어지고, 12시 방향의 사이각은 우각(180도보다 큰 각)으로 이루어지고, 6시 방향의 사이각은 둔각(180도보다 작은 각)으로 이루어지며, 중간 영역에서는 이러한 형상이 점진적으로 변형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다수의 지지부재(52)의 외측에 각각 배치되는 지지면(52a)의 형상을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의 내주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함으로써, 제1플랜지(F1)와 제2플랜지(F2)를 절곡하여 이음부를 성형하는 과정에서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의 내주면 형상이 변형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승강핀(53)의 하단에는 상기 승강핀(53)의 승강을 위한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부(42)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42)는 에어실린더와 같이 신축구동이 가능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부(60)는 상기 고정척(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승강핀(53)을 이동 가능한 상태로 수용할 수 있는 중공부가 마련되고 상기 고정척(50)의 하부에 고정되는 샤프트(61) 및 상기 샤프트(61)를 축회전시키는 회전구동부(62)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구동부(62)는 구동모터와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벨트와 풀리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샤프트(61)는 상기 승강핀(53)과 동축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내부 공간에 상기 승강핀을 수용할 수 있는 중공파이프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성형부는 하부 단위부재(Da)의 제1플랜지(F1)와 상부 단위부재(Db)의 제2플랜지(F2)가 맞닿은 상태에서 절곡하여 록이음부의 형태로 성형하기 위한 것으로서, 평면 상에서 상기 고정척(5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71), 상기 이동부(71)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구동부(72), 상기 이동부(71) 상에서 이동부(71)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브라켓(73), 상기 롤러브라켓(73)의 선단부에 축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성형롤러 및 상기 이동부(71)와 롤러브라켓(73)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롤러브라켓(73)을 전진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75)를 포함한다.
상기 전후진 구동부(72)는 구동모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볼스크류, 상기 이동부(71)에 고정되고 상기 볼스크류와 맞물리는 볼너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볼스크류는 벨트와 풀리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부(71)와 롤러브라켓(73)은 각각 LM가이드 등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이 안내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성형부는 복수 마련되고 상기 고정척(5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배치되며, 복수의 성형부가 하부 단위부재(Da)의 제1플랜지(F1)와 상부 단위부재(Db)의 제2플랜지(F2)를 단계적으로 절곡하여 록이음부의 형태로 성형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성형부는 'ㄴ'자 형태의 제1플랜지(F1)의 상측으로 'ㅡ'자 형태의 제2플랜지(F2)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1플랜지(F1)의 단부를 절곡하여 스탠딩 이음부(standing seam)를 형성하는 제1성형롤러(74a)를 구비한 제1성형부(70a), 상기 제1성형롤러(74a)에 의해 1차 성형되고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이음부를 덕트의 외측면을 향해 경사지도록 절곡하는 제2성형롤러(74b)를 구비한 제2성형부(70b) 및 상기 제2성형롤러(74b)에 의해 상향 절곡된 이음부를 덕트의 외측면에 밀착시켜 록이음부를 형성하는 제3성형롤러(74c)를 구비한 제3성형부(70c)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성형롤러(74a)는 외주면 중앙에 제1성형면(74a1)이 수평방향으로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1성형롤러(74a)가 고정척(50)을 향해 전진하는 과정에서 제1플랜지(F1)의 단부가 제2플랜지(F2)를 감싸는 형태로 절곡되어 스탠딩 이음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성형롤러(74b)는 외주면 중앙에 제2성형면(74b1)이 상측 방향으로 대략 45도 정도 경사배치되도록 함몰된 형태로 이루어지고, 제2성형롤러(74b)가 고정척(50)을 향해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기 스탠딩 이음부가 제2성형면(74b1)을 따라 상측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성형롤러(74c)는 외주면에 제3성형면(74c1)이 형성되고, 제3성형롤러(74c)가 고정척(50)을 향해 전진하는 과정에서 상향 절곡된 이음부가 상기 제2성형롤러(74b)의 제3성형면(74c1)에 의해 상부 단위부재(Db)의 외측면에 밀착되면서 록이음부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 하부 단위부재(Da)와 상부 단위부재(Db)의 연결부위는 타원형의 단면 형상을 갖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성형롤러가 탄성부재(75)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탄성부재(75)의 탄성범위 내에서 전후진하면서 연결부위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한 상태로 이음부를 성형하므로, 연결부위의 뒤틀림이나 이음부의 성형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탠딩 이음부는 성형시 마찰저항이 크기 때문에 회전하는 단위부재에 편심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이로 인해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제1플랜지(F1)와 제2플랜지(F2)가 제1성형롤러(74a)의 제1성형면(74a1)으로부터 이탈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제1성형부(70a)를 복수 마련하고,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양측에 비교적 대칭이 되는 형태로 배치하였다. 즉,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 양측에서 스탠딩 이음부를 동시에 성형하는 경우,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회전시 편심하중이 발생하지 않거나 크게 작용하지 않으므로 마찰저항이 큰 스탠딩 이음부를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거치대(80)는 상기 장치본체(10)의 제2테이블(12) 상에서 상기 하부 단위부재(Da)의 제1플랜지(F1)를 지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제1성형부(70a)의 이동부(71)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이동부(71) 상에서 고정척(50)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됨에 따라, 작업 대상이 되는 덕트의 규격에 따라 거치대(8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성형롤러를 전후진하는 과정에서 제1플랜지(F1)를 지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거치대(80)의 선단에는 덕트와의 접촉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 단위부재를 지지한 상태로 자유회전하는 롤러(81)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거치대(80)가 복수의 제1성형부(70a)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 외에도 상기 제2테이블(11) 상에서 단위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예컨대, 대형 엘보 덕트 제조시에도 단위부재의 회전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거치대(80)의 개수가 작업 대상이 되는 덕트의 직경에 따라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7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측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정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는 승강부(30)에 의해 장치본체(10)의 제1테이블(11) 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고, 베이스(20)와 승강부(30) 사이에 배치된 각도조절부(40)에 의해 하부 단위부재(Da)의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20)의 지지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고정척(50)은 베이스(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테이블(12) 상에 축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고, 상단부는 베이스(20)의 상측에서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선택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단위부재(Da,Db)를 고정 또는 고정해제할 수 있으며, 하단부는 회전부(60)에 연결되어 축회전을 위한 구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성형부를 구성하는 제1성형부(70a), 제2성형부(70b) 및 제3성형부(70c)는 장치본체(10)의 제2테이블(12) 상에서 상기 고정척(5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제1성형부(70a)는 복수 마련되고 제2성형부(70b)와 제3성형부(70c)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되어 고정척(5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거치대(80)는 복수 마련된 상기 제1성형부(70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필요에 따라 전진하여 한 쌍의 단위부재(Da,Db)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플랜지(F1)가 'ㄴ'자 형태로 제공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한 쌍의 단위부재(Da,Db)는 제1플랜지(F1)와 제2플랜지(F2)를 각각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상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성형부는 제1성형부(70a)에 앞서 하부 단위부재(Da)의 제1플랜지(F1)를 'ㄴ'자 형태로 성형할 수 있는 성형부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를 통해 한 쌍의 단위부재 연결부위에 록이음부를 성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10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한 쌍의 단위부재를 공급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고정척의 작용도, 도 12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거치대 및 승강부의 작용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의 성형부에 의한 록이음부의 성형과정을 나타낸 작용도, 도 16은 본 발명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를 통해 엘보우 덕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대상이 되는 한 쌍의 단위부재(Da,Db) 중 하부 단위부재(Da)를 베이스(20) 상에 안착시킨 다음, 상부 단위부재(Db)를 상기 하부 단위부재(Da)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베이스(20)의 승강위치 및 지지각도는 승강부(30)와 각도조절부(40)에 의해 각각 제어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베이스(20) 상에 안착되는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를 상기 고정척(50)과 제1성형부(70a) 내지 제3성형부(70c)의 사이영역으로 위치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한 쌍의 단위부재(Da,Db)를 베이스(20) 상에 거치한 상태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 내측에 고정척(50)이 위치하게 되는데, 도 11의 (a)와 같이 고정척(50)의 승강핀(53)이 하강한 상태에서는 고정척(50)의 척본체(51)와 커버(54) 사이에 마련된 복수의 지지부재(52)가 수축한 상태가 되어 상기 지지부재(52)의 외주면에 마련된 지지면(52b)이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내주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이어, 도 11의 (b)와 같이 승강핀(53)을 상승시키면, 승강핀(53)이 지지부재(52)의 내측 단부를 가압함에 따라 복수의 지지부재(52)가 각각 고정척(5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부재(52)의 외주면에 마련된 지지면(52b)이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정척(50)에 의해 한 쌍의 단위부재(Da,Db)가 고정된 이후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제1성형부(70a) 양측에 각각 배치된 거치대(80)를 전진시켜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플랜지(F1,F2) 하부를 회전가능한 상태로 지지한 다음, 승강부(30)를 통해 베이스(20)를 하강시킴으로써 하부 단위부재(Da)의 회전시 베이스(2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5는 록이음부의 성형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것으로서, 먼저, 도 13과 같이, 회전부(60)를 이용해 고정척(50)을 축회전시키면, 고정척(50)에 지지된 한 쌍의 단위부재(Da,Db)가 고정척(50)과 함께 회전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성형부의 제1성형롤러(74a)를 전진시키면, 제1성형롤러(74a)의 제1성형면(74a1)에 의해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제1플랜지(F1)와 제2플랜지(F2)가 서로 맞물리면서 결합이 이루어진다. 즉, 'ㄴ'자 형태의 제1플랜지(F1)의 상측으로 'ㅡ'자 형태의 제2플랜지(F2)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1플랜지(F1)의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단부가 상기 제1성형롤러(74a)의 외주면에서 수평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1성형면(74a1)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제2플랜지(F2)의 상측으로 밀착됨에 따라, 제1플랜지(F1)가 제2플랜지(F2)의 하면과 상면을 감싸는 스탠딩 이음부의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1차 성형이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성형부의 전후진 구동부(72)를 통해 이동부(71)를 후진시켜 제1성형롤러(74a)를 한 쌍의 단위부재(Da,Db)로부터 이격시킨다.
이어, 도 14와 같이 한 쌍의 단위부재(Da,Db)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성형부의 전후진 구동부(72)를 통해 제2성형롤러(74b)를 전진시키면, 제2성형롤러(74b)의 외주면에 경사 방향으로 형성된 제2성형면(74b1)이 스탠딩 이음부 형태의 플랜지(F1,F2)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플랜지(F1,F2)가 상측 방향으로 경사배치된다.
이어, 도 15와 같이 한 쌍의 단위부재(Da,Db)가 회전하는 상태에서, 성형부의 전후진 구동부(72)를 통해 제3성형롤러(74c)를 전진시키면, 제3성형롤러(74c)의 외주면에 형성된 성형면이 상측 방향으로 경사 배치된 플랜지(F1,F2)를 상부 단위부재(Db)의 외측면을 향해 가압 밀착시킴에 따라 플랜지(F1,F2)가 록이음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성형롤러(74a), 제2성형롤러(74b) 및 제3성형롤러(74c)를 이용하여 플랜지(F1,F2)를 록이음부 형태로 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 내주면은 고정척(50)에 의해 지지되므로, 플랜지(F1,F2)의 원활한 성형이 가능하며, 성형압력에 의해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한 쌍의 단위부재(Da,Db)를 연결하는 과정을 수 회 반복하여 엘보우 덕트를 완성할 수 있다. 도 16은 복수의 단위부재(D1,D2,D3,D4,D5)를 연결하여 엘보우 덕트를 제조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엘보우 덕트가 5개의 단위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6의 (a)와 같이 제2단위부재(D2)를 베이스(20) 상에 위치시키고 제1단위부재(D1)를 상기 제2단위부재(D2)의 상측에 위치시킨 다음, 성형부를 이용해 제1단위부재(D1)와 제2단위부재(D2)를 접합한다. 이어, 베이스(20) 상에 안착된 제2단위부재(D2)를 분리하고, 도 16의 (b)와 같이 제3단위부재(D3)를 위치시킨 다음 제3단위부재(D3)와 제2단위부재(D2)를 접합하고, 베이스(20) 상에 안착된 제3단위부재(D3)를 분리하고, 도 16의 (c)와 같이 제4단위부재(D4)를 위치시킨 다음 제4단위부재(D4)와 제3단위부재(D3)를 접합하고, 베이스(20) 상에 안착된 제4단위부재(D4)를 분리하고, 도 16의 (d)와 같이 제5단위부재(D5)를 위치시킨 다음 제5단위부재(D5)와 제4단위부재(D4)를 접합함으로써, 복수의 단위부재(D1,D2,D3,D4,D5)로 구성된 엘보우 덕트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엘보우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부재(D1,D2,D3,D4,D5)는, 인접 단위부재과 연결되는 면이 중심축에 대하여 소정의 기울기를 갖게 되고, 엘보우 덕트의 양측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단위부재, 즉 제1단위부재(D1) 및 제5단위부재(D5)의 바깥쪽 면은 다른 덕트와의 연결을 위해 중심축에 대하여 직교하도록 설정된다.
즉, 한 쌍의 단위부재(Da,Db)의 연결부위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고정척(5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성형부에 의해 접합되므로, 도 16의 (a), (b), (c)와 같이 하부 단위부재(Da)로서 제2단위부재(D2), 제3단위부재(D3) 및 제4단위부재(D4)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20)가 제1지지각도(a1)로 하부 단위부재(Da)를 지지하고, 도 16의 (d)와 같이 하부 단위부재(Da)로서 제5단위부재(D5)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20)가 제2지지각도(a2)로 하부 단위부재(Da)를 지지한다.
이러한 베이스(20)의 지지각도는 각도조절부(40)에 의해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도 16의 (a) 내지 (c)와 같이 베이스(20)는 승강테이블(31) 상에서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구동부(42)는 승강테이블(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신축구동하는 작동로드가 베이스(20)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42)가 수축 방향으로 구동하면 상기 베이스(20)가 회동축(41)을 중심으로 일측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베이스(20)의 기울기를 제1지지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테이블(31) 상에 마련된 제1스토퍼(43)가 상기 베이스(20)의 일측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베이스(20)의 제1지지각도에 대한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한편, 도 16의 (d)와 같이 구동부(42)가 신장 방향으로 구동하면 상기 베이스(20)가 회동축(41)을 중심으로 타측 방향으로 회동하므로, 베이스(20)의 기울기를 제2지지각도로 조절할 수 있다. 여기에서도 상기 승강테이블(31) 상에 마련된 제2스토퍼(44)가 상기 베이스(20)의 타측 하부를 지지함에 따라 베이스(20)의 제2지지각도에 대한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르면, 엘보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에 록이음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고, 연결부위의 내주면을 고정척(50)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록이음부를 성형함으로써 록이음부의 성형과정 중 연결부위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장치본체, 11:제1테이블, 12:제2테이블, 20:베이스,
21:링형 지지대, 30:승강부, 31:승강테이블 , 32:승강샤프트,
32a:래크, 33:연결샤프트, 33a:피니언, 34:승강용 구동모터,
35:하우징, 40:각도조절부, 41:회동축, 42:구동부,
43:제1스토퍼, 44:제2스토퍼, 50:고정척, 51:척본체,
51a:이동홀, 51a:가이드돌기, 52:지지부재, 52a:가이드홈,
52b:지지면, 53:승강핀, 54:커버, 55:스페이서,
56:슬립패드, 57:탄성체, 60:회전부, 61:중공관,
62:회전구동부, 70a:제1성형부, 70b:제2성형부, 70c:제3성형부,
71:이동부, 72:전후진 구동부, 73:롤러브라켓, 74:성형롤러,
74a:제1성형롤러, 74a1:제1성형면, 74b:제2성형롤러, 74b1:제2성형면,
74c:제3성형롤러, 74c1:제3성형면, 75:탄성부재, 80:거치대,
81:롤러, Da:하부 단위부재, Db:상부 단위부재,
F1:제1플랜지, F2:제2플랜지

Claims (16)

  1. 엘보우 덕트를 구성하는 복수의 단위부재 중 인접한 한 쌍의 단위부재의 플랜지를 절곡하여 록이음부를 성형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에 있어서,
    한 쌍의 단위부재 하부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부;
    상기 베이스의 지지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지지하는 고정척;
    상기 고정척을 회전시키는 회전부; 및
    한 쌍의 단위부재의 플랜지가 맞닿은 상태에서 절곡하여 이음부를 성형하는 성형부;를 포함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의 하부를 지지하는 승강테이블 및 상기 승강테이블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승강테이블의 이동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고 상기 승강테이블의 하부에 고정되는 복수의 승강샤프트, 상기 승강샤프트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인접한 한 쌍의 승강샤프트를 연결하는 연결샤프트 및 상기 연결샤프트에 회전구동력을 제공하는 승강용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샤프트와 승강샤프트의 연결부위에는 래크와 피니언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샤프트의 축회전에 의해 상기 승강샤프트의 축방향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승강테이블과 베이스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회동축 및 상기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승강테이블과 베이스의 일측을 연결하고, 상기 승강테이블과 베이스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상기 베이스의 각도를 조절하는 간격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척은 척본체 및 상기 척본체 상에서 방사상으로 각각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외주면에는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내주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지지부재에 탈착 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척은 복수의 지지부재의 중앙에서 승강 가능하게 배치되고 승강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를 확장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승강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척은, 상기 척본체와 지지부재 사이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지지부재를 수축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1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판면에는 이동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마련되고, 상기 척본체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홈 내에 삽입되는 가이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한 쌍의 단위부재의 연결부위 바깥쪽에서 상기 고정척의 중심을 향해 근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구동부; 및 상기 이동부 상에서 이동부와 함께 전후진하고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성형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성형롤러를 지지한 상태로 상기 이동부 상에서 이동부의 이동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롤러브라켓; 및 상기 이동부와 롤러브라켓 사이에 개재되고 상기 롤러브라켓을 전진 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13.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부는 상기 고정척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배치되는 제1성형부, 제2성형부 및 제3성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성형부의 성형롤러는 하부 단위부재의 상측 테두리에 형성된 'ㄴ'자 형태의 제2플랜지의 상측으로 상부 단위부재의 하측 테두리에 형성된 'ㅡ'자 형태의 제1플랜지가 안착된 상태에서, 제1플랜지의 단부를 절곡하여 스탠딩 이음부를 형성하는 제1성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성형부의 성형롤러는 상기 제1성형부에 의해 성형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이음부를 덕트의 외측면을 향해 경사지도록 절곡하는 제2성형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3성형부의 성형롤러는 상기 제2성형부에 의해 절곡된 이음부를 덕트의 외측면에 밀착시켜 록이음부를 형성하는 제3성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한 쌍의 단위부재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거치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성형부의 이동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 상에서 고정척을 향하는 방향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의 선단에는 롤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엘보우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KR1020200093136A 2020-07-27 2020-07-27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KR1022265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136A KR102226505B1 (ko) 2020-07-27 2020-07-27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PCT/KR2021/004737 WO2022025389A1 (ko) 2020-07-27 2021-04-15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US18/013,284 US20230249238A1 (en) 2020-07-27 2021-04-15 Seam forming apparatus for elbow duct
JP2022580541A JP7501881B2 (ja) 2020-07-27 2021-04-15 エルボダクト用シーム部成形装置
EP21849971.3A EP4151328A4 (en) 2020-07-27 2021-04-15 JOINT FORMING APPARATUS FOR ELBOW DUCT
CN202180042881.1A CN115734828A (zh) 2020-07-27 2021-04-15 弯管用接头成型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136A KR102226505B1 (ko) 2020-07-27 2020-07-27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505B1 true KR102226505B1 (ko) 2021-03-11

Family

ID=75142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136A KR102226505B1 (ko) 2020-07-27 2020-07-27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249238A1 (ko)
EP (1) EP4151328A4 (ko)
JP (1) JP7501881B2 (ko)
KR (1) KR102226505B1 (ko)
CN (1) CN115734828A (ko)
WO (1) WO20220253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389A1 (ko) * 2020-07-27 2022-02-03 노성근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KR102437743B1 (ko) * 2021-11-30 2022-08-29 황진국 이중파형강관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520A (en) * 1975-01-20 1977-02-08 Sulzer Brothers Limited Machine for connecting workpieces, especially pipe bend segments or the like
KR20030087619A (ko) 2000-12-15 2003-11-14 스피로 에스에이 폴드 이음매 연결부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EP1320698B1 (en) * 2000-09-29 2004-08-18 Eminox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rimped joint between a tubular body and a cap
KR100846878B1 (ko) * 2007-05-29 2008-07-17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원형 덕트의 플랜지 성형장치
CA2707779A1 (en) * 2010-06-16 2011-12-16 Imperial Sheet Metal Ltd. Dryer duct elbow
KR101128336B1 (ko) * 2012-01-16 2012-03-23 프리론 주식회사 덕트 엘보우 이음장치
KR101616041B1 (ko) * 2014-09-22 2016-04-28 노성근 엘보형덕트 제작장비
KR102130985B1 (ko) * 2019-08-23 2020-08-05 이재화 엘보형 덕트 제작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14486U (ja) 1995-02-08 1995-08-08 株式会社フカガワ 円筒のヒモ及びハゼ成型装置
ITMO20070403A1 (it) * 2007-12-24 2009-06-25 Digisystem S R L Metodo e apparati per realizzare connessioni a gomito in elementi tubolari
US20100170318A1 (en) * 2009-01-08 2010-07-08 Formtek, Inc. Elbow formation apparatus
KR102226505B1 (ko) * 2020-07-27 2021-03-11 노성근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6520A (en) * 1975-01-20 1977-02-08 Sulzer Brothers Limited Machine for connecting workpieces, especially pipe bend segments or the like
EP1320698B1 (en) * 2000-09-29 2004-08-18 Eminox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crimped joint between a tubular body and a cap
KR20030087619A (ko) 2000-12-15 2003-11-14 스피로 에스에이 폴드 이음매 연결부와 그 제조 방법 및 장치
KR100846878B1 (ko) * 2007-05-29 2008-07-17 주식회사 우진아이엔에스 원형 덕트의 플랜지 성형장치
CA2707779A1 (en) * 2010-06-16 2011-12-16 Imperial Sheet Metal Ltd. Dryer duct elbow
KR101128336B1 (ko) * 2012-01-16 2012-03-23 프리론 주식회사 덕트 엘보우 이음장치
KR101616041B1 (ko) * 2014-09-22 2016-04-28 노성근 엘보형덕트 제작장비
KR102130985B1 (ko) * 2019-08-23 2020-08-05 이재화 엘보형 덕트 제작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389A1 (ko) * 2020-07-27 2022-02-03 노성근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KR102437743B1 (ko) * 2021-11-30 2022-08-29 황진국 이중파형강관 및 그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51328A1 (en) 2023-03-22
CN115734828A (zh) 2023-03-03
JP7501881B2 (ja) 2024-06-18
JP2023532684A (ja) 2023-07-31
US20230249238A1 (en) 2023-08-10
EP4151328A4 (en) 2023-12-06
WO2022025389A1 (ko) 202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505B1 (ko) 엘보 덕트용 이음부 성형장치
JP5530802B2 (ja) パイプの曲げ加工装置
JP6659846B2 (ja) ロボットアーム機構
JPWO2018198194A1 (ja) 貼合装置
CN211387369U (zh) 一种切管用激光切割装置
CN111168278A (zh) 一种自动焊接机
KR20000042618A (ko) 원통좌표계로봇
KR20110065199A (ko) 관부재 용접용 지그장치
KR102148627B1 (ko) 원형 덕트의 플랜지 성형장치
CN110549065A (zh) 一种适用于拼焊型管路焊接装配的柔性装配装置
CN113634664B (zh) 一种具有多位置打孔功能筒状工件成型模具
KR100293556B1 (ko) 파이프 고정장치
JP2017001314A (ja) 管曲げ加工装置
JPH10109230A (ja) リング組付方法及び装置
JP2021133494A (ja) 工作機械用の小幅昇降回転台
KR101980626B1 (ko) 스파이럴 엘보우관 컬링 장치
CN215199126U (zh) 一种钢管弯曲防皱褶装置
CN209793017U (zh) 不锈钢管材焊缝开裂补焊支撑装置
CN115555443B (zh) 一种环保型钢衬四氟弯头加工装置
CN217369863U (zh) 一种角钢火曲机用模具组件
CN117506321B (zh) 一种航空发动机用管道焊接定位装置
CN115301499B (zh) 一种给水管道安装定位装置
KR101945999B1 (ko) 전선배관용 스포트 용접기
CN212703811U (zh) 一种固定效果好的折弯机
CN117140042B (zh) 一种用于谐波减速器波发生器的无损伤装配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