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518B1 - 조임 부재 - Google Patents

조임 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518B1
KR102225518B1 KR1020167030850A KR20167030850A KR102225518B1 KR 102225518 B1 KR102225518 B1 KR 102225518B1 KR 1020167030850 A KR1020167030850 A KR 1020167030850A KR 20167030850 A KR20167030850 A KR 20167030850A KR 102225518 B1 KR102225518 B1 KR 102225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tightening member
child
guide
belt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0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790A (ko
Inventor
마틴 포스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023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5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2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to the child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39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front guard or barri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 B60R22/105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or animals for childr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18Adaptations for seat belts characterised by guiding means for children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재는 어린이시트(21)와 사용되도록 형성되며, 대각 벨트부(7)와 수평 벨트부(17)를 포함하는 차량벨트 시스템에서 어린이(25)를 잡기 위한 조임부재(1)는 상기 조임부재(1)가 시트면(29)에 앉은 어린이의 허벅지 위쪽으로 대략 가로방향으로 제공되며, 상기 조임부재(1)는 대각 벨트부(7)를 위한 제1 벨트 가이드(5)를 포함하고, 수평 벨트부(17)는 제2 벨트 가이드(15)와 상호작용하고, 상기 수평 벨트부(17)는 상기 어린이(25)의 허벅지 위에 직접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조임 부재{restraining element}
본 발명은 차량 벨트 시스템을 포함하는 어린이를 조임하고자 하는 조임부재(restraining element )에 관한 것이다.
차량 벨트 시스템에 포함된 조임부재는 EP 206 11 59 A1의 예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조임부재는 사고나 급제동의 경우에 특별히 시트에 있는 어린이시트에 앉은 어린이를 지키기 위해 제공된다. 충격 실드 시스템(Impact shield system)은 조수석 시트 또는 뒷좌석 시트에서 사용할 수 있고 (종래의) 3점 벨트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3점 벨트의 허리 벨트부는 일반적으로 충격 실드의 가로방향으로 홈형상(groove-shaped)의 오목한 부분(recess)으로 제공되거나 또는 충격 실드의 외측면을 받친다.
이러한 어린이시트에서의 조임부재는 일반적으로 등받이 함께 또는 없이 그리고 측면받이 함께 또는 없이 사용된다. 충격 실드는 어린이의 허벅지 위 및/또는 어린이시트 위에 놓여질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충격 실드는 또한 차량 시트 위에 지지될수 있다. 특별히 좀 더 큰 어린이의 경우, 조임부재는 어린이시트 없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이미 큰) 어린이는 차량 시트에 바로 앉고 조임부재는 상기 시트나 차량에 고정된다.
급제동 또는 차량의 전면 충격인 경우에는, 어린이의 몸체가 충격 실드 외면 (안쪽면)으로 밀린다. 따라서 부상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종 폼(foam)이나 패딩처리된 인서트(padded insert)가 제공된다.
조임부재 자체가 어린이시트에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어린이 시트는 차량시트 또는 차량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종래의 기술에서는 시트는 종종 시트의 ISOFIX고정 지점에 고정될 수 있는 ISOFIX 고정을 통해 즉, 다시 말해 볼트의 교차를 통해 받침대에 고정된다.
종래의 기술에서 알려진 조임부재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예컨대 사고가 난 경우, 어린이는 조임부재에 의해 감속될 때까지 비교적 긴 거리를 감당해야 한다. 가장 극단적인 경우에는, 어린이의 머리가 앞시트나 차량 내 기구에 부딪힐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임부재에 있어서, 특별히 어린이시트와 연결되고, 특별히 차량이 전복할 경우 어린이 좌석 또는 차량 좌석에서 안전하고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어린이를 잡아주는 조임부재를 제공하는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항의 특징을 가진 조임부재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조임부재는 대각 벨트부와 수평 벨트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벨트 시스템으로 어린이를 잡아주기 위해 사용되며, 특히 어린이시트와 사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조임부재는 시트면에 앉아있는 어린이의 허벅지 위쪽으로 일치하도록 가로방향으로 제공된다. 조임부재는 대각 벨트부를 위한 제1 벨트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벨트부가 제2 벨트 가이드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수평 벨트부(17)가 상기 어린이(25)의 허벅지 위에 직접적으로 제공되도록 한다. 제2 벨트 가이드는 조임부재 또는 특별히 조임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어린이시트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3점 벨트 시스템의 수평 벨트부, 즉 허리안전벨트가 어린이에 직접 닿는 것이다. 따라서 사고가 일어난 경우 특히 전복이 동반될 때, 어린이가 좌석에서 안전한 방법으로 잡히도록 보장된다. 대각 벨트부는 어린이의 몸체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팽팽하게 인장된다. 전방으로 이동한 대각 벨트부는 차량의 벨트 연결 영역에서의 벨트의 굴절을 통해 수평 벨트부를 조이게된다. 결과적으로, 수평 벨트부(허리안전벨트)는 시트면 방향으로 밑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차량이 전복될 때 어린이가 차량의 루프 라이너(roof liner) 방향으로 이동하며 수평 벨트부가 이동될 때 대각 벨트부가 벨트의 굴절로 인해 조여지게된다. 따라서 어느 상황에서건 어린이는 안전하게 시트면 또는 등받이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어느 상황에서건 수평 벨트부가 직접 어린이를 받치고 그러므로 벨트가 직접적으로 어린이한테 조여지면서 어린이는 안전하게 시트면 또는 등받이면에 고정된다. 요약하자면,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가 대각 벨트부에 장력을 가하거나 또는 허벅지가 수평 벨트부에 장력을 가할 때 어린이의 골반이 안전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임부재는 차량 사고가 난 경우, 특별히 전복사고가 난 경우에 어린이의 안전성 향상을 보장한다.
제1 벨트 가이드 및/또는 제2 벨트 가이드는 슬롯형상의(slot-shaped) 개구부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벨트 가이드는 조임부재의 전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벨트 가이드는 조임부재의 양쪽면에 각각 배치된 두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그 사이에 수평가이드부가 자유롭게 가이드 될 수 있다. 제2 벨트 가이드의 두 개의 가이드부는 바람직하게는 조임부재의 측면홈(lateral recesses)으로 제공된다. 제2 벨트부 가이드 또는 가이드부는 바람직하게는 조임부재의 하부에서 제1 벨트 가이드로부터 (수직으로) 일정 거리에 배치된다. 따라서, 수평 벨트부는 조임부재 사용상황에서 어린이 특히 어린이의 허벅지를 직접적으로 받치도록 보장한다.
제1 벨트 가이드와 제2 벨트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대각 벨트부의 가이드와 수평 벨트부의 가이드가 서로에 대해 주로 수직으로 생성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조임부재의 최적의 조임기능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슬롯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벨트 가이드는 조임부재 사용상황에서 주로 어린이의 허벅지에 평행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과적으로 수평 벨트부 역시 주로 어린이의 허벅지에 평행하게 제공됨으로써 사고상황에서 최적의 조임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수평 벨트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벨트 가이드는 바람직하게는 조임부재의 전면부를 향해 개방된다. 따라서 수평 벨트부는 조임부재와 특별히 제1 벨트 가이드와 특별히 단순한 방법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1 벨트 가이드는 특별히 조임부재의 두 측면사이에 제공되고 주로 곡선 진행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각 또는 가능한 최대 경사로 제공되는 대각 벨트부의 최적의 가이드는 자동차의 좌측과 우측 양측에 조임부재를 위치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대각 벨트부의 조임효과가 훨씬 향상될 수 있다.
특별히 조임부재가 시트면, 특별히 어린이시트의 시트면에 조절가능하게 장착되면 유리하다. 조임부재는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부터 전방으로 상승되는 각도로 제공된다. 조임부재는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더 조정될 수 있다.
사고가 발생할 경우 어린이의 부상 위험을 최대한 줄이기 위해, 조임부재는 어린이의 흉부쪽을 향하는 쿠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흉부지지 영역을 나타낸다. 추가로, 조임부재는 대략 “U”자형 단면을 가진 중공체를 포함할 수 있고, 중공체는 장착 위치에서 전방으로 개방되어 있으며, 슬롯형상 제1 벨트 가이드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전개는 조임부재의 하부는 조임부재와 결부된 등받이면과 예각, 예컨데 각도 < 90° 을 이룬다. 각도는 특별히 60° ~ 85°, 바람직하게는 70° ~ 85° 이다. 조임부재의 장착 상태에서의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조임부재와 결부된 시트면의 기울기에 대응한다. 따라서 시트면은 또한 결부된 등받이면과 예각을 이룬다. 이런 실시예에서의 시트면과 조임부재의 하부는 조임부재의 사용상황에서 주로 서로에 대해 평행한 상태를 이룬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재에 따르면, 사고시 어린이의 부상 위험을 최대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시트와 상호작용하는 조임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결부된 시트면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개에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세부사항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시트와 상호작용하는 조임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3은 결부된 시트면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개에 따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임부재(1)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조임부재(1)는 바람직하게는 전면부(3) 예컨대, 어린이로부터 떨어져 향하는 면에서 개방되고 3점 벨트 시스템의 대각 벨트부(7) 예컨대, 흉부벨트를 수용하기 위한 제1 벨트 가이드(5)를 수용하고 그 안에 가이드하는 주로 'U'자형 단면의 중공체 또는 폼(foam) 몸체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벨트 가이드(5)는 한편으로는 대각 벨트부(7)가 제1 벨트 가이드(5)로 쉽게 삽입될수 있도록 슬롯 방식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능한 최대한도로 뒤틀림이 방지된다.
도면은 추가로 조임부재(1)의 후면(9) 예컨대 어린이를 향하는 조임부재(1)면과 특별히 또한 어린이를 위한 팔걸이를 형성하는 윗면(11)은 패딩방법(padded manner)으로 형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조임부재(1) 사용상황에서 어린이의 허벅지를 향하는 하부(13)영역에서, 조임부재(1)는 제2 벨트 가이드(15)를 포함한다. 제2 벨트 가이드(15)는 3점 벨트 시스템의 수평 벨트부(17) 예컨대 허리안전벨트를 수용하기 위해 사용된다. 제2 벨트 가이드(15)는 반드시 조임부재(1)에 직접적으로 배치될 필요는 없다. 오히려 제2 벨트 가이드(15)를 어린이시트 또는 조임부재(1)가 결부된 것 등에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제2 벨트 가이드(15)는 수평 벨트부(17)가 쉽게 슬롯형상의 제2 벨트 가이드(15) 내부에 삽입될 수 있도록, 대략 본 실시예와 같이 슬롯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서 뒤틀려서는 안된다.
본 경우에는, 도 1에서 단지 하나의 가이드부(19)만을 보여주지만, 제2 벨트 가이드(15)는 서로 마주보고 서로에게서 거리를 두고 배치된 두 개의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가이드부(19)는 잔여 조임부재(1)와 일체로 형성되고 조임부재(1)의 측면의 영역에서 조임부재(1)의 하부(13)를 따라 제공된다. 제2 벨트 가이드(15) 또는 가이드부(19)는 조임부재(1)의 전방부분으로 개방되어서, 조임부재(1)의 사용자가 수평 벨트부(17) 안으로 쉽게 삽입할 수 있다.
도 1은 슬롯형상의 제1 및 제2 벨트 가이드(5, 15)의 수평 방향 및 대각 벨트부(7, 17)의 표면은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도시한다. 이는 어린이의 앉은 위치에 따른 벨트의 가이던스(guidance)가 최적으로 조절되도록 생성한다.
도 2 는 사용상황에서 조임부재(1)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2에 나타난 실시예에서, 조임부재(1)는 차량, 특히 자동차의 카시트(23)에 위치한 어린이시트와 상호작용한다. 조임부재(1)는 추가로 대각 벨트부(7, 흉부벨트부)와 수평 벨트부(17, 허리안전벨트부)를 포함하는 통상의 차량의 3점 벨트 시스템과 상호작용한다.
조임부재(1)는 어린이시트(21)에 위치하고 벨트 시스템에 의해 거기에 고정될 수 있다. 어린이 시트(21) 또한 벨트 시스템에 의해 카시트(2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그렇지 않으면 조임부재(1)는 어린이시트(21)에 조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특히, 조임부재(1) 또는 어린이시트(21)는 각각 특별히 수평 및/또는 수직방향에서 조임부재(1)의 조절가능성을 허용하는 걸쇠부재(latching element)와 같은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임부재(1)는 이런 방법으로 다른 크기의 어린이들에게 맞춰질 수 있다.
도 2는 수평 벨트부(17)가 제2 벨트 가이드(15)를 통해 가이드될 때, 조임부재(1)를 고정하기 위해 대각 벨트부(7)가 제1 벨트 가이드(5)를 통해 가이드 될 수 있음을 추가로 도시한다. 수평 벨트부(17)를 수용하기 위한 제2 벨트 가이드(15)가 조임부재(1)의 하부(13) 영역에 위치하고 따라서 시트면에 가깝게 위치함으로써, 수평 벨트부(17)는 조임부재(1) 사용상황에서 어린이(25)에 바로 닿고 그리고 특별히 허벅지 위에 받치는 방식으로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두 개의 벨트 가이드(5, 15)는 서로 수직방향으로 적절한 거리에 배치된다. 특히, 제2 벨트 가이드(2)가 조임부재(1)의 하부(13)에 결부되는 반면, 제1 벨트 가이드(5)는 조임부재(1)의 상부(11)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이드부는 각각 조임부재(1)의 양측면(20,20')에 서로 마주보고 각각 배치되므로, 제2 벨트 가이드(15)가 2개의 상호 분리된 가이드부(19)를 포함하고, 수평 벨트부(17)는 사용상황에서 두개의 가이드부(19) 사이에 주로 자유롭게 제공되어, 수평 벨트부(17)는 어린이(25)의 허벅지를 받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며, 이는 어린이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임부재(1)의 하부(13)는 사용상황에서 조임부재(1) 또는 어린이의 흉부면(32)과 결부된 등받이면(27)과 예각을 이룬다. 각도는 특별히 60°와 85° 사이일 수 있으며, 특별히 70°와 85°사이일 수 있다. 등받이면(27)은 어린이시트의 등받이 또는 차량시트의 등받이와 특별히 관련이 있다.
도면은 조임부재(1)가 설치된 상황에서 각도 a가 대략 조임부재(1)와 결부된 시트면(29)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것을 추가로 보여준다. 따라서 시트면(29)은 역시 되도록이면 등받이면(27)과 예각을 이룬다. 이런 실시예에서의 시트면(29)과 조임부재(1)의 하부는 조임부재(1)의 사용상황에서 주로 서로에 있어서 각각 평행한 방법으로 지향되고 어린이의 허벅지(33)가 사이에 배치된다.
추가로, 어린이 조임부재(1)의 후면부(9)에 있는 흉부지지면(31)은 조임부재(1)의 하부(13)와 둔각 b > 90°를 이루고, 흉부지지면(31)은 조임부재(1)의 사용상황에서 어린이(25)의 흉부면(32)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다. 어린이의 크기에 따라, 쐐기형상(wedge-shaped)시트(35)가 짧거나 또는 길게 추가로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어린이의 허벅지(33)의 길이에 맞춰 조정될 수 있다. 각도 a와 b, 예컨대 조임부재(1)와 시트면(29)의 기울기는 또한 어린이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시트부(35)와 충격실드(1)가 바닥(37)에 평행하게 지향되는 통상의 차량용 아동 보호 장치와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시트부(35)와 충격실드(1) 또는 시트면(29)과 하부(13)는 어린이 방향으로 경사진다. 이로 인해 어린이의 오금 공간이 허벅지(33) 반대쪽 끝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어린이의 몸을 향하는 조임부재(1)의 일부가 어린이의 몸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부분보다 낮은 고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트부(35)와 충격실드(1) 사이의 "미끄러짐 경로(slippage channel)"를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화살표(39, 41)로 표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전복된 경우 어린이는 시트로부터 증가된 힘의 입력과 함께 단지 당겨질 뿐이다.
사고상황에서 어린이(25)의 몸체에 힘을 가하는 결과를 낳으며, 수평 벨트부(17)가 팽팽하게 조여지고 따라서 어린이가 어린이시트(21) 또는 카시트(23)에 직접 고정되도록 본발명에 의해 바람직하게 보장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임부재(1)는 사고상황에서 어린이의 부상 위험성이 현저하게 낮아지는걸 보장한다.
1: 조임부재 3: 전면부
5: 제1 벨트 가이드 7: 대각 벨트부
9: 후면부 11: 상부
13: 하부 15: 제2 벨트 가이드
17: 수평 벨트부 19: 가이드부
20: 측면 21: 어린이시트
23: 카시트 25: 어린이
27: 등받이면 29: 시트면
31: 흉부지지면 32: 흉부면
33: 허벅지 35: 시트(부)
37: 바닥 39: 화살표
41: 화살표 a: 예각
b: 둔각

Claims (17)

  1. 대각 벨트부(7)와 수평 벨트부(17)를 포함하는 차량벨트 시스템으로 어린이(25)를 잡기 위한 조임부재(1)로서, 어린이시트(21)와 사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조임부재(1)는 시트면(29)에 앉은 어린이의 허벅지 위쪽으로 가로방향으로 제공되고, 상기 조임부재(1)는 상기 대각 벨트부(7)를 위한 제1 벨트 가이드(5)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 벨트부(17)가 제2 벨트 가이드(15)와 상호 작용하여, 상기 수평 벨트부(17)가 상기 어린이(25)의 허벅지 위에 직접적으로 제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가이드(15)는 상기 조임부재(1) 또는 어린이시트(21)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벨트 가이드(5, 15)는 슬롯형상의 개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가이드(5)는 상기 조임부재(1)의 전면부(3)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가이드(15)는 상기 수평 벨트부(17)가 자유롭게 가이드 될 수 있는 사이에서, 상기 조임부재(1)의 양측(20, 20')에 각각 배치되는 두 개의 가이드부(1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가이드(15) 또는 상기 가이드부(19)가 상기 조임부재(1)의 하부에 위치한 제1 벨트 가이드(5)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가이드(5)와 상기 제2 벨트 가이드(15)는 상기 대각 벨트부(7)와 상기 수평 벨트부(17)와 서로에 대해 수직으로 지향되어 가이던스(guidance)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가이드(15)는 상기 조임부재(1)의 사용상황에서 어린이(25)의 허벅지와 평행하게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벨트 가이드(15)는 상기 조임부재(1)의 전면부(3)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가이드(5)는 상기 조임부재(1)의 사용상황에서 어린이(25)의 흉부와 평행하게 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벨트 가이드(5)가 상기 조임부재(1)의 두 측면(20, 20') 사이에 곡선 진행(progression)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는 시트면에 대해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는 연속적으로 또는 단계적으로 조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는 흉부 지지 영역으로 정의되는 어린이의 흉부(25)를 향하는 쿠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가 장착된 위치에서 전방을 향해 개방되어 있고, 제1 벨트 가이드(5)를 정의하는 단면이 'U'자 형인 중공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의 하부(13)가 등받이면(27)과 예각(a)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1)가 장착된 상황에서의 예각(a)은 상기 조임부재(1)와 결부된 시트면(29)의 기울기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임부재.
KR1020167030850A 2014-05-05 2014-05-05 조임 부재 KR102225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EP2014/059069 WO2015169330A1 (de) 2014-05-05 2014-05-05 Fange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790A KR20170023790A (ko) 2017-03-06
KR102225518B1 true KR102225518B1 (ko) 2021-03-09

Family

ID=50678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0850A KR102225518B1 (ko) 2014-05-05 2014-05-05 조임 부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70113577A1 (ko)
EP (1) EP3140156B1 (ko)
JP (1) JP6495942B2 (ko)
KR (1) KR102225518B1 (ko)
CN (1) CN106458063A (ko)
WO (1) WO20151693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7105118U1 (de) * 2017-08-25 2018-11-29 Cybex Gmbh Kindersitz zur Anbringung auf einem Kraftfahrzeugsitz
DE202023107306U1 (de) 2023-12-11 2024-01-09 Cybex Gmbh Kindersitz mit Fangkörp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4590A1 (de) * 1998-06-02 1999-12-16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Kindersitz für Kraftfahrzeuge
WO2013113406A1 (de) * 2012-01-30 2013-08-08 Columbus Trading-Partners Gmbh Kindersitz und fangkörper für einen kindersitz für ein 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84224A (en) * 1971-12-08 1974-01-08 Irvin Industries Inc Passenger safety device
GB1598398A (en) * 1977-09-15 1981-09-16 Britax Excelsior Child's safety equipment for motor vehicles
DE3422340A1 (de) * 1984-06-15 1985-12-19 Curt Würstl Vermögensverwaltungs-Gesellschaft mbh & Co KG, 8670 Hof Kinder-sicherheitssitz
EP0191118B1 (de) * 1985-02-09 1987-09-30 Römer-Britax Autogurte GmbH Kindersicherungseinrichtung in Fahrzeugen
US4984845A (en) * 1989-04-14 1991-01-15 Gerry Baby Products Company Vehicle seat for a child
JPH0540060U (ja) * 1991-02-04 1993-05-28 貴子 山田 妊婦用シート用具
US5468020A (en) * 1994-09-30 1995-11-21 Scime; Danya Auxiliary safety harness
US5599060A (en) * 1995-11-06 1997-02-04 Gerry Baby Products Company Child's booster seat for vehicles
US6322149B1 (en) * 1999-07-22 2001-11-27 The First Years Inc. Strap cover and positioner
US6086158A (en) * 1999-08-06 2000-07-11 Zeoli; Dorothy Padded cushioning device
DE102004007768A1 (de) * 2004-02-18 2006-06-01 Volkswagen Ag Rückhaltevorrichtung für einen auf einem Fahrzeugsitz sitzenden Fahrzeuginsassen, insbesondere für ein Kind
ATE518318T1 (de) 2007-11-19 2011-08-15 Alcatel Lucent Verfahren zur rückgewinnung eines bitstroms aus einem funksignal
JP5710204B2 (ja) * 2010-10-18 2015-04-30 コンビ株式会社 子供用シート
CN103600671A (zh) * 2013-11-14 2014-02-26 天津市杰飞塑业有限公司 一种儿童约束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24590A1 (de) * 1998-06-02 1999-12-16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Kindersitz für Kraftfahrzeuge
WO2013113406A1 (de) * 2012-01-30 2013-08-08 Columbus Trading-Partners Gmbh Kindersitz und fangkörper für einen kindersitz für ein 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13577A1 (en) 2017-04-27
EP3140156B1 (de) 2019-07-10
JP2017514750A (ja) 2017-06-08
JP6495942B2 (ja) 2019-04-03
EP3140156A1 (de) 2017-03-15
WO2015169330A1 (de) 2015-11-12
KR20170023790A (ko) 2017-03-06
CN106458063A (zh) 2017-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2436B1 (ko) 구조적 지지를 갖는 아동 안전 좌석
KR102100080B1 (ko) 어린이 시트 및 차량 어린이 시트용 충격 보호구
US8251457B2 (en) Child restraint safety device
KR101332737B1 (ko) 에너지 흡수 장치를 구비한 아동 안전 좌석
KR101225929B1 (ko) 차량용 유아안전시트
GB2438529A (en) Seat belt guide secured to a headrest support
KR20100106461A (ko) 수직으로 연장되는 유지 벨트 루프에 현수된 안전 시트
US8534757B2 (en) Child safety seat and its installation method
KR102225518B1 (ko) 조임 부재
US20080030055A1 (en) Child car seat incorporating means of guiding the lap strap
JP2006298091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WO2017127496A1 (en) Belt-mount system for juvenile vehicle seat
KR101620312B1 (ko) 머리 지지대가 부착된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KR101747533B1 (ko) 내충돌성 트림 홀더를 포함한 차량 시트
WO2020058273A1 (en) Child safety seat with side impact energy absorption
US11498462B2 (en) Child safety seat
KR20130125719A (ko) 전방으로 플립되는 버클 조립체
KR101847442B1 (ko) 자동차용 안전띠 보조장치
KR20140115799A (ko) 차량용 유아 안전시트의 벨트 가이드부재
KR20140005046U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목 받침
AU2009201823B2 (en) Control means for shoulder straps of a restraint harness
FI125296B (fi) Sovitelma kulkuvälineen istuimessa
KR20010100399A (ko) 자동차의 유아착석용 리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