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412B1 - 시트벨트 버클 - Google Patents

시트벨트 버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412B1
KR102225412B1 KR1020190110353A KR20190110353A KR102225412B1 KR 102225412 B1 KR102225412 B1 KR 102225412B1 KR 1020190110353 A KR1020190110353 A KR 1020190110353A KR 20190110353 A KR20190110353 A KR 20190110353A KR 102225412 B1 KR102225412 B1 KR 102225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gue plate
seat belt
base frame
load
latch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0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4886A (ko
Inventor
이학구
신페이 오다테
덴 우에하라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200064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48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32Devices for releasing in an emergency, e.g. after an accident ; Remote or automatic unbuck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06Anchoring devices for b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022/1812Connections between seat belt and buckle tong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Abstract

시트벨트 버클에 관한 것으로, 텅 플레이트의 잠금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에 의해 시트벨트 버클에 급격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래치부재의 변형을 방지하여 텅 플레이트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는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시트벨트 버클{SEAT BELT BUCKLE}
본 발명은 시트벨트 버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충돌에 의해 급격한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승객이 버클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시트벨트 버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운전자 등 탑승자의 운행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서 자동차 시트에 시트벨트를 구비하고 있다. 자동차에 설치된 시트벨트는 자동차 충돌 시 탑승자의 몸을 구속하여 2차 충돌 방지 및 충격 완화를 꾀하면서 탑승자가 차체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시트 벨트 장치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는 어깨 구속용 숄더 벨트와 허리 구속용 랩 벨트가 조합된 3점식 시트 벨트 장치가 있다.
시트 벨트 장치는 나일론이나 폴리에스테르 등 합섬 섬유의 띠 모양으로 직조된 시트 벨트, 시트벨트를 사용하지 않거나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따라 벨트 길이 조절 시 시트 벨트를 격납하기 위한 리트랙터, 시트벨트를 장착 또는 해제하기 위한 버클과 텅 플레이트 및 시트 벨트의 일단을 차체에 고정시키는 시트벨트 가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시트 벨트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시트벨트의 벨트텅은 벨트의 중간에 매달린 상태에서 필라 트림 및 시트 사이에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수출 시 해당 지역 또는 국가에서 요구하는 자동차 인증이 필요하고, 제조업자는 인증기관에서 신청 및 인증 절차를 수행한 후 인증서를 발급받게 된다. 이러한 인증에 관한 정보, 예컨대, 인증기관, 인증번호, 인증 일자 등이 표시된 라벨을 시트벨트 앵커에 부착하거나, 시트벨트 텅의 그립부 등에 각인하는 라벨링공정이 실시된다.
시트벨트의 텅 플레이트는 중앙부에 래치홀이 형성되고, 버클 내부의 래치부재 선단에 하방을 향해 절곡된 잠금편이 래치홀에 삽입되어 걸리면서 텅 플레이트를 고정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04228호(2015년 3월 19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시트벨트에서는 사고 등의 이유로 탑승자의 하중이 벨트에 전달되는 경우, 도면 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강한 힘이 작용하고, 이 힘에 의해 래치부재의 잠금편에 변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래치부재가 변형되는 경우, 탑승자가 시트벨트를 해제하기 위해 해제버튼을 조작하더라도, 변형된 잠금편이 래치홀에서 분리되지 못하고 걸리게 된다.
또한, 잠금편이 래치홀에 걸리는 경우가 아니더라도, 시트벨트 버클의 내부는 그 소형화를 위해 다양한 부품들이 집적된 상태이므로, 하중에 위한 래치부재의 변형은 다른 부품들과의 간섭을 일으킬 수 있고, 벨트의 해제가 불가능한 상태와 같은 고장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시트벨트의 텅 플레이트가 잠금상태에서 시트벨트의 웨빙에 상하좌우 방향으로 작용하는 장력으로 인해 잠금편이 래치홀에 불안정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의 특허문헌 1에는 프레임의 양측벽에 내측으로 돌출된 부하 지지 돌기부와, 텅의 버클과의 안정적인 결합 및 웨빙에 장력이 발생할 경우, 텅이 버클과의 결합시 상방향으로 발생하는 변형을 방지하는 텅 스토퍼와 일체로 형성된 부하 지지 돌기부재와, 래치부재의 양측에 부하 지지대를 형성해서 래치부재를 당기는 방향으로 부하가 발생하면 부하 지지대가 부하 지지 돌기부재와 맞닿아 부하를 분산시켜 래치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시트벨트 버클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이 프레임과 래치부재에 각각 부하 지지 돌기부재와 부하 지지대를 형성하는 경우, 잠금편의 변형과 함께 래치부재가 부하 지지 돌기부재와 충돌하면 래치부재가 순간적으로 상방 또는 하방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
따라서 특허문헌 1을 적용하더라도, 텅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래치부재의 변형을 방지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충돌에 의해 시트벨트 버클에 급격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승객이 버클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는 시트벨트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돌에 의한 하중이 가해지면 래치 부재를 단계적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부하가 제거되면 본래의 안정적인 형상으로 복원시켜 잠금 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시트벨트 버클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은 텅 플레이트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버클 어셈블리와 내부에 상기 버클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상부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커버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벽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텅 플레이트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래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부재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단에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에 형성된 래치홀에 결합 또는 해제되는 잠금편 및 상기 바디의 후측에 형성되며, 상기 텅 플레이트의 잠금 상태에서 텅 플레이트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부하가 발생하면 평판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부하가 제거되면 본래의 경사진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벽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한 쌍의 지지돌기부재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에 의하면, 텅 플레이트의 잠금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에 의해 시트벨트 버클에 급격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래치부재를 평판 형상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부하가 제거되면 본래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충돌 등에 의해 갑작스러운 부하가 인가되는 경우, 래치부재가 변형되면서 텅 플레이트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승객이 버클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부하 작용시 잠금편의 하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잠금편이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면서 발생하는 케이스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의 버클 어셈블리에 텅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는 텅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프레임과 래치부재의 구성도,
도 4 내지 도 7은 시트벨트 버클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의 버클 어셈블리에 텅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2는 텅 플레이트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베이스 프레임과 래치부재의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버클 어셈블리를 기준으로 텅 플레이트가 배치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한다. 이외에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 즉 '상방', '하방', '좌측' 및 '우측'은 상기한 전방과 후방을 기준으로 각각의 방향을 지시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텅 플레이트(13)를 잠금/해제하는 버클 어셈블리(14)와 내부에 버클 어셈블리(14)가 내장되는 상부 및 하부 커버(11,12)를 포함한다.
버클 어셈블리(14)는 하부커버(12)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20), 베이스 프레임(20)의 양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텅 플레이트(13)의 래치홀(15)에 끼워지는 래치부재(30) 및 릴리스 버튼(50)에 가해지는 조작에 의해 래치부재(30)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이젝터 조립체(40)을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베이스 프레임(20)과 래치부재(3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즉,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20)과 래치부재(30)의 형상 및 구조를 개선해서 충돌에 의해 래치부재(30)에 가해지는 부하에 의한 래치부재(30)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래치부재(30)의 변형으로 인해 시트벨트 버클(10)과 텅 플레이트(13)의 잠금 상태의 해제가 불가능한 상태와 같은 고장을 방지한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버클 어셈블리(14)의 구성을 설명하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버클 어셈블리(14)에 마련되는 각 장치, 즉 베이스 프레임(20)과 래치부재(30), 이젝터 조립체(40) 및 릴리스 버튼(50)의 형상과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베이스 프레임(20)은 바닥판(21)과 바닥판(21)의 양단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양 측벽(22)을 포함하여 단면이 대략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닥판(21)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래치부재(30)의 잠금편(32)이 텅 플레이트(13)의 래치홀(15)을 관통해서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편(32)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간(23)이 형성될 수 있다.
결합공간(23)의 전면벽은 잠금편(32)의 전방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잠금편의 이동을 제한하는 힘을 증대하기 위해, 바닥판에 형성된 결합공간의 전면벽 상부에 상방을 향해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결합공간(23)의 전면벽과 상기 스토퍼는 래치부재(30)의 잠금편(32) 선단면과 미리 설정된 설정거리만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정거리가 커지면, 부하에 의한 래치부재(30)의 변형량이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잠금편(32) 선단의 이동을 고려해서 결합공간(23)의 전면벽과 잠금편(31) 사이의 거리를 최소화하여 설정할 수 있다.
양 측벽(22)의 후단부에는 각각 아래에서 설명할 래치부재(30)의 후측부에 형성되는 탄성 지지부(33)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홈(24)이 형성된다.
각 결합홈(24)은 내부에 결합된 탄성 지지부(33)가 텅 플레이트(13)의 잠금 또는 해제를 위해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홈(24)의 전단면은 수직으로 형성되고, 결합홈(24)의 후단면은 탄성 지지부(33)의 회전 각도에 대응되는 각도만큼 후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양 측벽의 후단부에 결합홈을 형성해서 탄성 지지부의 양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부하에 의해 래치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경우, 결합홈의 전면벽을 수직으로 형성해서 탄성 지지부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양 측벽(22)의 전단부 하측에는 이젝터 조립체(40)에 마련되는 이동부재(43)의 양단이 삽입되는 한 쌍의 이젝터 슬롯(25)이 전후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양 측벽(22)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베이스 프레임(20)의 내측을 향해 지지돌기(26)와 텅 가이드(27)가 돌출된 한 쌍의 지지돌기부재(28)가 형성된다.
지지돌기(26)는 텅 플레이트(13)가 버클(10)에 결합되는 위치를 한정하는 스토퍼 기능과, 충돌에 의해 시트벨트 버클(10)에 급격한 하중이 발생하는 경우, 텅 플레이트(13)에 결합된 래치부재(30)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거리를 한정하는 기능을 한다.
텅 가이드(27)는 버클(10) 내부로 결합되는 텅 플레이트(13)를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한 쌍의 지지돌기부재(28)는 각각 양 측벽(22) 외측에서 내측 후방을 향해 돌출되도록 엠보싱(embossing)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 지지돌기(26)의 선단부는 양 측벽(22)에서 내측으로 굽혀지고(bend), 각 지지돌기(26)의 후단부는 바디(31)의 양측 선단부(38)를 지지할 수 있도록 양 측벽(22)으로부터 전단(shear)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쌍의 지지돌기(26)는 평상시에는 래치부재(30)의 바디(31) 양측 선단부(38)와 미리 설정된 설정간격(G)만큼 이격된다.
그리고 한 쌍의 지지돌기(26)는 래치부재(3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바디(31)의 양측 선단부(38)와 맞닿는다.
예를 들어, 상기 설정간격(G)은 자동차의 충돌시 발생하는 부하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래치부재(30)에 마련되는 탄성 지지부(33) 및 탄성변형부(34)의 탄성 변형량을 고려해서 일정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벽에 한 쌍의 지지돌기를 형성하고, 바닥판에 결합공간을 형성하며, 벨트에 부하가 작용하는 경우, 한 쌍의 지지돌기와 결합공간의 전면벽을 이용해서 래치부재의 양측 선단부와 잠금편의 하단부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래치부재의 양측 선단부와 잠금편이 전방으로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정함으로써, 부하에 의한 잠금편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래치부재(30)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바디(31), 바디(31)의 선단부에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바디(31)의 선단부에 하방을 향해 절곡 형성되고 텅 플레이트(13)에 형성된 래치홀(15)에 결합 또는 해제되는 잠금편(32), 바디(31)의 후단에 마련되고 래치부재(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양 측벽(22)에 결합되는 탄성 지지부(33) 및 바디(31)와 탄성 지지부(33) 사이에 마련되고 후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부하가 가해지면 순간적으로 평판 형상으로 탄성 변형된 후 상기 부하가 제거되면 본래의 경사진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변형부(34)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31)의 중앙부에는 이젝터 조립체(4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래치 스프링(36)이 설치되는 설치공간(35)이 형성되어 상부에서 보았을 때 대략 직사각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디(31) 양측의 대략 중앙부에는 각각 텅 플레이트(13)의 스토퍼 기능을 하는 걸림돌기(37)가 하방을 향해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37)는 버클 어셈블리(14) 내부에 텅 플레이트(13)가 삽입되는 위치를 한정해서 텅 플레이트(13)의 과도한 삽입으로 인해 이젝터 조립체(40)와 릴리스 버튼(50)에서 플라스틱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 부품들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이와 함께, 걸림돌기(37)는 텅 플레이트(13)의 잠금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에 의해 시트벨트 버클(10)에 급격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래치부재(30)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변형제한부재의 기능을 한다.
즉, 걸림돌기(37)는 래치부재(30)가 탄성 변형되면서 래치부재(30)의 바디(31)가 하방 이동함에 따라, 전측 하방을 향해 경사지게 이동한다.
이때, 래치부재(30)와 베이스 프레임(20)의 바닥판(21) 사이에 텅 플레이트(13)가 결합된 상태이므로, 래치부재(30)의 최대 하방 이동 위치는 텅 플레이트(13)의 두께로 한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충돌시 텅 플레이트를 분리하는 방향으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래치부재의 하방 이동 거리를 제한해서 래치부재 선단에 형성된 잠금편이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면서 발생하는 케이스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잠금편(32)은 바디(31)의 선단 중앙부에서 양측단에 비해 돌출 형성되고, 하방을 향해 수직 또는 거의 수직에 가까운 각도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잠금편을 바디의 선단에 하방을 향해 절곡 형성함에 따라, 래치부재, 특히 잠금편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래서 잠금편(32)은 텅 플레이트(13)의 잠금 상태에서 텅 플레이트(13)를 배출하는 방향, 즉 전방으로 부하가 발생하면, 잠금편(32)의 하단부가 베이스 프레임(20)의 바닥판(21)에 형성된 결합공간(23)의 전면벽 및 스토퍼에 의해 고정된다.
탄성 지지부(33)는 상하 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되고, 탄성 지지부(33)의 양단은 베이스 프레임(20)의 양 측벽(22) 후단부에 형성된 결합홈(2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33)는 텅 플레이트(13)의 잠금 상태에서 텅 플레이트(13)를 배출하는 방향, 즉 전방으로 부하가 발생하면, 양단이 베이스 프레임(20)의 결합홈(24)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탄성 지지부(33)의 중앙부는 전방을 향해 볼록하게 탄성 변형되고, 상기 부하가 제거되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탄성변형부(34)는 래치부재(30)에서 전방으로 부하가 발생하면 평판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부하가 제거되면 본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를 위해, 탄성변형부(34)는 바디(31)와 탄성 지지부(33) 사이에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젝터 조립체(40)는 베이스 프레임(20)의 바닥판(21)에 형성된 이동공간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43), 베이스 프레임(21)의 양 측벽(22)에 형성된 한 쌍의 이젝터 슬롯(25)을 가로질러 결합되는 록킹 바(41) 및 이동부재(43)에 축 결합되어 래치 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록킹 바(41)를 가압하도록 회전운동하는 이젝터(4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이젝터(42)는 이동부재(43)의 상단에 축 결합되어 회전 운동해서 록킹 바(41)를 가압 또는 해제한다.
그래서 이동부재(43)는 텅 플레이트(13)가 분리된 경우에는 래치 스프링(36)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이동부재(43)는 래치부재(30)의 선단에 형성된 잠금편(32) 하부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동부재(43)는 텅 플레이트(13)가 결합되면 후방으로 이동해서 래치부재(30)의 양측면에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37) 하부에 배치된다.
릴리스 버튼(52)은 베이스 프레임(20)의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이젝터 조립체(40)의 전방에 장착되고, 벨트 착용자가 텅 플레이트(13)의 잠금을 해제하고자 할 때 후방으로 가압되어 텅 플레이트(13)와 래치부재(30)의 잠금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릴리스 버튼(50)은 벨트 착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젝터 조립체(40)에 마련된 록킹 바(41)를 후방으로 가압하는 가압부(51) 및 가압부(51)의 후단에 축 결합되어 록킹 바(41)를 고정 또는 해제하도록 회전운동하는 회전부재(52)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벨트 버클의 결합관계 및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7은 시트벨트 버클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예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는 각각 텅 플레이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과 도 7에는 각각 텅 플레이트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래치부재의 작동상태를 보인 평면도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텅 플레이트(13)가 버클 어셈블리(14) 내부로 삽입되면, 래치부재(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지지부(3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래치부재(30)의 선단에 절곡 형성된 잠금편(32)은 텅 플레이트(13)의 래치홀(15)을 관통해서 베이스 프레임(20)의 바닥판(21)에 형성된 결합공간(23)에 결합된다.
이때, 래치부재(30)의 양측단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걸림돌기(37)는 텅 플레이트(13)의 선단과 접촉되어 텅 플레이트(13)가 버클 어셈블리(14) 내부에 삽입되는 거리를 한정한다.
상기한 래치부재(30)의 회전 동작에 의해, 텅 플레이트(13)는 잠금 상태가 된다.
텅 플레이트(13)의 잠금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 등으로 인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A 방향을 따라 텅 플레이트(13)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부하가 발생하면, 텅 플레이트(13)의 래치홀(15)에 결합된 잠금편(32)을 화살표 A 방향으로 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그러면, 래치부재(30)의 탄성 지지부(33)는 양단이 베이스 프레임(20)의 양 측벽(22)에 형성된 결합홈(24)에 결합된 상태에서(P1) 중앙부가 전방으로 향해 볼록하게 탄성 변형된다.
그리고 래치부재(30)의 탄성변형부(34)는 후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C 방향을 따라 평판 형상이 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이때, 탄성 지지부(33)는 탄성변형부(34)가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바디(31)의 양측 선단부(38)와 잠금편(32)의 하단부는 각각 베이스 프레임(20)의 양 측벽(22)에 형성된 지지돌기부재(28)와 바닥판(21)에 형성된 결합공간(23)의 전면벽 및 상기 스토퍼에 맞닿으면서(P3, P2) 전방 이동이 차단된다.
이와 함께, 래치부재(30)는 탄성변헝제한부재의 기능을 하도록 바디(31)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7)에 지지되어(P4)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즉, 래치부재(3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4개의 포인트(P1 내지 P4)에서 베이스 프레임(20)의 양 측벽(22)과 결합공간(23), 지지돌기부재(28) 및 바디(31)의 걸림돌기(37)와 접촉 및 지지된다.
다시 부하가 제거되면, 탄성변형부(34)는 본래의 후측 상방으로 경사진 형상으로 복원되고, 탄성 지지부(33)는 본래의 수직 벽 형상으로 복원된다.
이와 같이, 래치부재(30)는 텅 플레이트(13)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부하가 작용하더라도, 잠금편(32)의 하단부가 상방으로 휘어지는 등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잠금편(32)에 상기 부하가 작용하면, 래치부재(3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37)는 상기 부하에 의해 전측 하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래치부재(30)는 래치부재(30)와 베이스 프레임(20)의 바닥판(21) 사이에 텅 플레이트(13)가 배치된 상태이므로, 텅 플레이트(13)의 두께에 의해 하방 이동이 제한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본 발명은 텅 플레이트의 잠금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에 의해 시트벨트 버클에 급격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래치부재를 평판 형상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부하가 제거되면 본래 형상으로 복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충돌 등에 의해 갑작스러운 부하가 인가되는 경우, 래치부재가 변형되면서 텅 플레이트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소하여 승객이 버클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갑작스러운 부하가 인가되는 경우, 탄성변형제한부재를 이용해서 잠금편의 하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잠금편이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면서 발생하는 케이스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텅 플레이트의 잠금 상태에서 차량의 충돌에 의해 시트벨트 버클에 급격한 부하가 발생하는 경우, 래치부재의 변형을 방지하여 텅 플레이트의 잠금을 해제하지 못하는 고장을 예방하는 시트벨트 버클 기술에 적용된다.
10: 시트벨트 버클
11,12: 상부, 하부 커버 13: 텅 플레이트
14: 버클 어셈블리 15: 래치홀
20: 베이스 프레임 21: 바닥판
22: 측벽 23: 결합공간
24: 결합홈 25: 이젝터 슬롯
26: 지지돌기 27: 텅 스토퍼
28: 지지돌기부재
30: 래치부재 31: 바디
311: 제2 경사면 32: 잠금편
33: 탄성 지지부 34: 탄성변형부
35: 설치공간 36: 래치 스프링
37: 걸림돌기 38: 바디의 양측 선단부
40: 이젝터 조립체 41: 록킹 바
42: 이젝터 43: 이동부재
50: 릴리스 버튼 51: 가압부
52: 회전부재

Claims (8)

  1. 텅 플레이트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버클 어셈블리와
    내부에 상기 버클 어셈블리가 내장되는 상부 및 하부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 어셈블리는 상기 하부 커버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벽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텅 플레이트를 잠금 또는 해제하는 래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부재는 수평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전단에 하방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텅 플레이트에 형성된 래치홀에 결합 또는 해제되는 잠금편 및
    상기 바디의 후측에 형성되며, 상기 텅 플레이트의 잠금 상태에서 텅 플레이트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부하가 발생하면 평판 형상으로 탄성 변형되고, 상기 부하가 제거되면 본래의 경사진 형상으로 복원되는 탄성 변형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 측벽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한 쌍의 지지돌기부재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양측에는 상기 텅 플레이트의 삽입되는 위치를 한정하도록, 하방을 향해 한 쌍의 걸림돌기가 절곡 형성되며,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부하 작용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접촉되어 상기 래치부재의 하방 이동을 제한하는 탄성변형제한부재의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는
    상기 바디의 후단에 마련되고 상기 래치부재가 회전 가능하도록 양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벽에 결합되는 탄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바디와 탄성 지지부 사이에 후측 상방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부하가 작용하면 양측 선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부재에 걸려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판에는 상기 텅 플레이트의 래치홀에 결합된 상기 잠금편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부하가 작용하면, 상기 잠금편이 상기 결합공간의 전면벽에 걸려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벽에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내측을 향해 한 쌍의 지지돌기와, 버클에 결합되는 텅 플레이트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텅 가이드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바닥판에는 상기 텅 플레이트의 래치홀에 결합된 상기 잠금편의 하단부가 결합되는 결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부하가 작용하면 양측 선단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돌기에 걸리고, 상기 잠금편이 상기 결합공간의 전면벽에 걸려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6. 삭제
  7. 제3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돌기의 선단부는 상기 양 측벽에서 내측으로 굽혀지고(bend),
    상기 지지돌기의 후단부는 상기 양 측벽으로부터 전단(shear)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부하가 작용하면, 상기 지지돌기의 후측 하단부를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잠금편은 상기 결합공간의 전면벽에 걸려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벨트 버클.
KR1020190110353A 2018-11-28 2019-09-05 시트벨트 버클 KR102225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0120 2018-11-28
KR20180150120 2018-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886A KR20200064886A (ko) 2020-06-08
KR102225412B1 true KR102225412B1 (ko) 2021-03-10

Family

ID=71089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0353A KR102225412B1 (ko) 2018-11-28 2019-09-05 시트벨트 버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4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228B1 (ko) * 2013-11-08 2015-03-19 (유)삼송 변형이 방지되는 시트벨트 버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5667A (ja) * 1997-10-07 1999-04-20 Nippon Seiko Kk バックル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4228B1 (ko) * 2013-11-08 2015-03-19 (유)삼송 변형이 방지되는 시트벨트 버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4886A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2309B2 (en) Seat belt connector tongue assembly having locking mechanism
KR20140031142A (ko) 개선된 설치를 위한 벨트 텐셔닝기구를 구비한 차일드시트
US5014401A (en) Seat belt system
KR100850045B1 (ko) 비관성 해제형 안전구속벨트 버클
US7543363B2 (en) Seat belt buckle for use with pretensioner
KR102225412B1 (ko) 시트벨트 버클
US7306260B1 (en) Lap fuse belt for a seat belt
EP1671558B1 (en) Buckle device
US7775558B2 (en) Webbing holding device
JP3844179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US11192520B2 (en) Seat belt device for a vehicle seat
JP3886087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3859401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CN111511611B (zh) 车辆用乘车人员约束装置
CN113682260A (zh) 用于机动车辆的乘员约束安全带的安全带引导设备
JP5653741B2 (ja) バックルおよびこれを備えたシートベルト装置
JPS6040370Y2 (ja) シ−トベルトアンカ−装置
KR200416588Y1 (ko) 관성 해제가 방지된 차량용 시트벨트의 버클장치
KR102168231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고정장치
JP4565957B2 (ja) ウエビング挿通部材
JPH05278564A (ja) 安全ベルト用バックル
US20200216014A1 (en) Cinch locking tongu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KR102168232B1 (ko) 자동차의 시트벨트 고정장치
KR0138888Y1 (ko) 자동차용 시트벨트 잠금장치
CN116685231A (zh) 安全带锁单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