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228B1 - 향미 흡인기 - Google Patents
향미 흡인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5228B1 KR102225228B1 KR1020187024876A KR20187024876A KR102225228B1 KR 102225228 B1 KR102225228 B1 KR 102225228B1 KR 1020187024876 A KR1020187024876 A KR 1020187024876A KR 20187024876 A KR20187024876 A KR 20187024876A KR 102225228 B1 KR102225228 B1 KR 1022252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generation unit
- generator
- atomization
- resistance valu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24F47/008—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02—Cigars; Cigarettes with additives, e.g. for flavouring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2—Cartridges or containers for inhalable precursors
-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24F40/51—Arrangement of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5/00—Inhalators
- A61M15/06—Inhaling appliances shaped like cigars, cigarettes or pipe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40—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 H05B3/42—Heating elements having the shape of rods or tubes non-flexi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Pulmo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향미 흡인기는,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발생부와, 복수의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발생부는, 인렛으로부터 아웃렛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어 있고, 제어부는, VA 및 VC에 근거하여 D1을 산출함과 동시에, D1에 근거하여 전력량을 제어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발생부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발생부를 가지는 향미 흡인기가 알려져 있다. 복수의 발생부의 각각을 가지는 복수의 카트리지가 착탈 가능한 향미 흡인기도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제1 특징은,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1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1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1 발생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2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2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2 발생부와,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인렛으로부터 아웃렛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지의 출력전압값은, VA에 의해 표현되고, 상기 전지의 기준전압값은, VC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보정항은, D1에 의해 표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VA 및 상기 VC에 근거하여 상기 D1을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D1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량을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2 특징은, 제1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생부는, 상기 공기유로 상에서 상기 제1 발생부와 비교하여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3 특징은, 제1 특징 또는 제2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4 특징은,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1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1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1 발생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2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2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2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인렛으로부터 아웃렛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5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4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 유닛과, 상기 제2 발생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2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은 별체(別體)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6 특징은, 제5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7 특징은, 제5 특징 또는 제6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을 접속할 때에 접속점 또는 도전부재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상기 접속점 또는 상기 도전부재를 개재시키는 전기회로 상에서 상기 제어부를 경유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8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7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인성분원 및 상기 제2 흡인성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에어로졸원이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인 것을 요지로 한다.
제9 특징은, 제8 특징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0 특징은, 제4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지의 출력전압값은, VA에 의해 표현되고, 상기 전지의 기준전압값은, VC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보정항은, D1에 의해 표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VA 및 상기 VC에 근거하여 상기 D1을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D1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량을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1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3 특징 및 제10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D1=VC 2/VA 2의 식에 따라 상기 D1을 산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2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3 특징, 제10 특징 및 제11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VA를 취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3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3 특징, 제10 특징 내지 제12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의 합성 저항값을 취득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4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3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은, R1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제2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은, R2에 의해 표현되고, 상기 제1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보정항은, D2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R1 및 상기 R2에 근거하여 상기 D2를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D2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5 특징은, 제14 특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D2=(R1+R2)2/R1 2의 식에 따라 상기 D2를 산출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6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5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발생부의 전기저항값 또는 상기 제1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 대응된 식별정보를 가지는 정보원을 구비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제17 특징은, 제1 특징 내지 제16 특징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회의 퍼프 동작으로 상기 제1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이 상한(上限) 역치(문턱값)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도 1]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L 및 E가 가지는 선형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변경예 1에 따른 무화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도 7은, 변경예 1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변경예 2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변경예 2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변경예 2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변경예 2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2는, 변경예 3에 따른 무화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도 13은, 변경예 6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L 및 E가 가지는 선형성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변경예 1에 따른 무화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도 7은, 변경예 1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도 8은, 변경예 2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도 9는, 변경예 2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도 10은, 변경예 2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도 11은, 변경예 2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도 12는, 변경예 3에 따른 무화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도 13은, 변경예 6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도면의 기재에 있어서,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 또는 유사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단, 도면은 모식적인 것이며, 각 치수의 비율 등은 현실의 것과 다른 경우가 있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구체적인 치수 등은 이하의 설명을 참작하여 판단해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 상호 간에 있어서도 서로의 치수 관계나 비율이 다른 부분이 포함되는 경우가 있는 것은 물론이다.
[개시의 개요]
상술한 배경기술 하에서,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복수의 발생부가 설치되는 케이스에 있어서는, 복수의 발생부의 배치 관계나 전기적 접속 관계를 연구할 필요가 있고, 전지로부터 복수의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정확하게 관리할 필요가 있는 것을 찾아냈다.
첫째로,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1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1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1 발생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2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2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2 발생부와,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인렛으로부터 아웃렛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지의 출력전압값은, VA로 나타내고, 상기 전지의 기준전압값은, VC로 나타내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보정항은, D1로 나타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VA 및 상기 VC에 근거하여 상기 D1을 산출함과 동시에, 상기 D1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량을 제어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는, VA 및 VC에 근거하여 D1을 산출함과 동시에, D1에 근거하여 전력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발생부의 접속 개수나 각 발생부의 구성(특히, 전기저항값)에 의해 전지의 출력전압값이 변동할 수 있는 경우여도, 소망량의 전력을 제1 발생부 및 제2 발생부에 공급할 수 있다.
둘째로,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는,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1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1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1 발생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2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2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2 발생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인렛으로부터 아웃렛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발생부 및 제2 발생부 중 적어도 한쪽은, 공기유로를 따라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된다. 따라서, 저항발열체를 가지는 발생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도전부재의 배치가 용이하다.
[실시형태]
(향미 흡인기)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무화유닛(11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향미 흡인기(10)는, 연소를 수반하지 않고 향끽미 성분을 흡인하기 위한 기구이며, 비흡구단(非吸口端)으로부터 흡구단(吸口端)으로 향하는 방향인 소정 방향 A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진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는, 흡인기 본체(100)와, 흡구유닛(200)을 가진다.
흡인기 본체(100)는, 향미 흡인기(10)의 본체를 구성하고 있으며, 흡구유닛(200)을 접속 가능한 형상을 가진다. 흡인기 본체(100)는, 제1 본체유닛(110)과, 제2 본체유닛(120)을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흡인기 본체(100)는, 통체(100X)를 가지고 있으며, 흡구유닛(200)은, 통체(100X)의 흡구측 끝에 접속된다.
제1 본체유닛(110)은, 통체(100X)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1 통체(110X)를 가진다. 제1 본체유닛(110)은, 후술하는 전지(121)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하는 복수의 발생부를 가진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본체유닛(110)은, 복수의 발생부의 각각을 가진 복수의 무화유닛(111)으로서,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을 가진다.
여기서,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별체의 유닛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저버(111P)와, 윅(111Q)과, 발생부(111R)를 가진다. 리저버(111P)는, 흡인성분원을 저장한다. 예를 들면, 리저버(111P)는, 수지(樹脂)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孔質體)이다. 윅(111Q)은, 리저버(111P)에 저장되는 흡인성분원을 보유한다. 예를 들면, 윅(111Q)은, 유리섬유에 의해 구성된다. 발생부(111R)는, 윅(111Q)에 의해 보유되는 흡인성분원으로부터 흡인성분을 발생한다.
실시형태에서는, 발생부(111R)는, 예를 들면, 윅(111Q)에 소정 피치로 둘러 감기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된다. 저항발열체는, 인렛(120A)으로부터 후술하는 아웃렛(200A)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흡인성분원은, 흡인성분을 발생시키기 위한 재료이다. 실시형태에서는, 흡인성분원은, 흡인성분으로서 에어로졸을 발생하기 위한 에어로졸원이다. 따라서, 발생부(111R)는, 흡인성분원(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의 일례이다.
흡인성분원은, 예를 들면, 글리세린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등의 액체(에어로졸원)이다. 흡인성분원은, 예를 들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지 웹 등의 재료에 의해 구성되는 공질체에 의해 유지된다. 공질체는, 비(非)담배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담배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흡인성분원은, 향미성분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혹은, 흡인성분원은, 향미성분을 함유하는 향미원을 포함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여기서,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저버(111P), 윅(111Q) 및 발생부(111R)에 더해, 통상(筒狀)부재(111X), 전극(111E), 리드선(111L) 및 절연부재(111I)을 가진다.
통상부재(111X)는, 하나의 무화유닛(111) 내에서 공기유로를 구성한다. 상술한 리저버(111P)는, 공기유로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통상부재(111X)에 의해 공기유로와 구획된다. 상술한 윅(111Q)은, 통상부재(111X)를 관통하고 있으며, 공기유로를 횡단한다. 상술한 발생부(111R)는, 통상부재(111X)의 공기유로 내에 배치된다. 하나의 무화유닛(111)에 설치되는 전극(111E)은, 공기유로 상에서 발생부(111R)에 대해 상류에 설치되는 전극쌍(111E1) 및 공기유로 상에서 발생부(111R)에 대해 하류에 설치되는 전극쌍(111E2)을 포함한다. 하나의 무화유닛(111)에 설치되는 전극쌍(111E1) 및 전극쌍(111E2)은, 각각이 한 쌍의 전극(음극 및 양극)을 구성한다. 리드선(111L)은, 하나의 무화유닛(111) 내에서, 전극쌍(111E1) 및 전극쌍(111E2)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력선이다. 또한, 전극쌍(111E1)을 구성하는 양극 및 음극은, 리드선(111L) 및 발생부(111R)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전극쌍(111E2)을 구성하는 각 전극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절연부재(111I)는, 하나의 무화유닛(111) 내에서 각 전극(음극 및 양극)이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절연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이 통체(100X) 내에서 직렬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 때에, 제2 무화유닛(111B)의 전극쌍(111E1)이 제어회로(50)(제어부(51))를 통하지 않고 제1 무화유닛(111A)의 전극쌍(111E2)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2 본체유닛(120)은, 통체(100X)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2 통체(120X)를 가진다. 제2 본체유닛(120)은, 향미 흡인기(10)를 구동하기 위한 전지(121), 향미 흡인기(10)를 제어하는 제어회로(후술하는 제어회로(50))를 가지는 전장유닛이다. 전지(121)나 제어회로(50)는, 제2 통체(120X)에 수용된다. 전지(121)는, 예를 들면, 리튬이온 전지이다. 제어회로(50)는, 예를 들면, CPU 및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실시형태에서, 제2 본체유닛(120)은, 인렛(120A)을 가진다. 인렛(120A)으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무화유닛(111)(발생부(111R))으로 안내된다. 바꿔 말하면, 복수의 무화유닛(111)(발생부(111R))은, 인렛(120A)으로부터 후술하는 아웃렛(200A)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 상에 설치된다.
흡구유닛(200)은, 향미 흡인기(10)를 구성하는 흡인기 본체(100)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흡구유닛(200)은, 유저의 구강 내에 흡인성분을 운반하기 위한 아웃렛(200A)(흡구)을 가진다.
(에어로졸 유로)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유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에어로졸 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2는,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 모식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향미 흡인기(10)는, 무화유닛(111)에 의해 발생되는 에어로졸을 아웃렛(200A)측으로 안내하는 에어로졸 유로(140)를 가진다. 바꿔 말하면, 흡인기 본체(100)에 흡구유닛(200)이 수용된 상태에서, 무화유닛(111)에 의해 발생되는 에어로졸을 아웃렛(200A)측으로 안내하는 에어로졸 유로(140)가 형성된다. 에어로졸 유로(140)로서는, 제1 무화유닛(111A)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을 안내하는 제1 유로(140A)와, 제2 무화유닛(111B)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을 안내하는 제2 유로(140B)를 포함한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흡구유닛(200)을 통해 아웃렛(200A)으로 안내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 내에서 직렬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다. 바꿔 말하면, 제2 무화유닛(111B)은, 인렛(120A)으로부터 아웃렛(200A)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 상에서 제1 무화유닛(111A)과 비교하여 하류측에 설치된다.
(블록 구성)
이하에서,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의 블록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향미 흡인기(10)의 블록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술한 무화유닛(111)(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발생부(111R) 등에 더해, 메모리(111M)를 가진다. 상술한 전장유닛에 설치되는 제어회로(50)는, 제어부(51)를 가진다.
메모리(111M)는, 무화유닛(111)(윅(111Q) 및 발생부(111R) 등)의 고유 파라미터 또는 고유 파라미터와 대응된 식별정보를 가지는 정보원의 일례이다.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111M)는, 무화유닛(111)의 고유 파라미터를 기억한다.
메모리(111M)는,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 또는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과 대응된 식별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111M)는,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을 기억한다. 여기서,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된 메모리(111M)는,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된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을 기억하고 있으며,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된 메모리(111M)는,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된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을 기억한다.
메모리(111M)는, 리저버(111P)에 저장되는 흡인성분원의 잔량을 나타내는 잔량(殘量)정보 또는 잔량정보와 대응된 식별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111M)는, 잔량정보를 기억한다.
여기서,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은, 전기저항값의 실측값이어도 되고, 전기저항값의 추정값이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발생부(111R)의 양끝에 측정장치의 단자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으로서 실측값을 사용할 수 있다. 혹은, 향미 흡인기(10)에 설치되는 전원과 접속하기 위한 전극이 발생부(111R)에 접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발생부(111R)에 접속된 전극에 측정장치의 단자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경우에는, 발생부(111R) 이외의 부분(전극 등)의 전기저항값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는, 발생부(111R) 이외의 부분(전극 등)의 전기저항값을 고려한 추정값을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으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크기는,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 발생부(111R)에 대해 인가되는 전압값 및 발생부(111R)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여기서는, 발생부(111R)에 대해 인가되는 전압값 및 발생부(111R)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에 관해서 주로 고려한다. 예를 들면, 발생부(111R)에 대해 연속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케이스에 있어서는, 발생부(111R)에 대해 인가되는 전압값의 변경에 의해,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크기가 변경된다. 한편, 발생부(111R)에 대해 단속(斷續)적으로 전압이 인가되는 케이스(펄스 제어)에 있어서는, 발생부(111R)에 대해 인가되는 전압값 또는 듀티비(즉, 펄스 폭 및 펄스 간격)의 변경에 의해,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크기가 변경된다.
제어부(51)는,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51)는, L=aE+b의 식에 따라, 1회의 퍼프 동작으로 소비되는 흡인성분원의 양을 산출한다.
E: 1회의 퍼프 동작으로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
a, b: 무화유닛(111)의 고유 파라미터
L: 1회의 퍼프 동작으로 소비되는 흡인성분원의 양
상세하게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한 결과, E 및 L이 선형성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선형성의 관계가 무화유닛(111)마다 다른 것을 찾아냈다. 도 4에서, 종축은, L[mg/puff]이며, 횡축은, E[J/puff]이다. 예를 들면, 무화유닛 A에 관해서는, E가 EMIN(A)에서부터 EMAX(A)의 범위에 있어서 E 및 L이 선형성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무화유닛 A의 고유 파라미터는 aA 및 bA이다. 한편, 무화유닛 B에 관해서는, E가 EMIN(B)에서부터 EMAX(B)의 범위에 있어서 E 및 L이 선형성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무화유닛 B의 고유 파라미터는 aB 및 bB이다.
이처럼, 적어도, E 및 L의 선형성의 관계를 정의하는 파라미터 a, b는, 무화유닛(111)마다 다르기 때문에, 무화유닛(111)의 고유 파라미터이다. 또한, E 및 L이 선형성의 관계를 가지는 범위를 정의하는 파라미터 EMIN 및 EMAX에 관해서도, 무화유닛(111)마다 다르기 때문에, 무화유닛(111)의 고유 파라미터로 고려해도 된다.
여기서, 무화유닛(111)의 고유 파라미터는, 윅(111Q)의 조성, 발생부(111R)의 조성, 흡인성분원의 조성, 무화유닛(111)(윅(111Q) 및 발생부(111R))의 구조 등에 의존한다. 따라서, 고유 파라미터는, 무화유닛(111)마다 다른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상술한 메모리(111M)는, 파라미터 a, b에 더해, 파라미터 EMIN 및 EMAX 또는 이들 고유 파라미터와 대응된 식별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단, E는, 발생부(111R)에 인가되는 전압 Vs 및 전압 Vs의 인가 시간 T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EMIN 및 EMAX는, 전압 Vs, TMIN 및 TMAX에 의해 특정되어도 된다. 즉, 상술한 메모리(111M)는, 파라미터 a, b에 더해, 파라미터 전압 Vs, TMIN 및 TMAX 또는 이들 고유 파라미터와 대응된 식별정보를 기억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전압 Vs는, EMIN 및 EMAX를 TMIN 및 TMAX로 치환하기 위해 이용하는 파라미터이며, 일정값이어도 된다. 전압 Vs가 일정값인 경우에는, 전압 Vs가 메모리(111M)에 기억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전압 Vs는 후술하는 기준전압값 VC에 상당하며, 메모리(111M)는, 파라미터 TMIN 및 TMAX를 기억한다.
제어부(51)는, E(T)가 EMAX(TMAX)를 초과하지 않도록,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전력량(인가 시간)이 EMAX(TMAX)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부(51)는 발생부(111R)로의 전력 공급을 종료한다. 따라서, 제어부(51)는, E가 EMAX에 도달할 경우에, L=aEMAX+b의 식에 따라, 1회의 퍼프 동작으로 소비되는 흡인성분원의 양을 산출해도 된다. 한편, 제어부(51)는, E(T)가 EMIN(TMIN) 이하인 경우에, L=aEMIN+b의 식에 따라, 1회의 퍼프 동작으로 소비되는 흡인성분원의 양을 산출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51)는, E가 EMIN에서부터 EMAX의 범위에서, L=aE+b의 식에 따라, 1회의 퍼프 동작으로 소비되는 흡인성분원의 양을 산출해도 된다.
여기서, 제어부(51)는, 복수의 무화유닛(111) 중 어느 하나의 전력량(인가 시간)이 EMAX(TMAX)에 도달한 경우에, 제어부(51)는 발생부(111R)로의 전력 공급을 종료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1)는, L에 근거하여 흡인성분원의 잔량(mg)을 추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는, 1회의 퍼프 동작마다 L(mg)을 산출함과 아울러, 메모리(111M)에 기억된 잔량정보에 의해 나타나는 흡인성분원의 잔량으로부터 L을 감산함과 동시에, 메모리(111M)에 기억된 잔량정보를 갱신한다.
제어부(51)는, 흡인성분원의 잔량이 역치를 밑돌고 있는 경우에, 발생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금지해도 되고, 혹은, 흡인성분원의 잔량이 역치를 밑돌고 있는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제어부(51)는, 잔량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금지해도 되고, 혹은, 잔량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던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유저에의 통지는, 예를 들면, 향미 흡인기(10)에 설치되는 발광소자의 발광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여기서, 제어부(51)는, 복수의 무화유닛(111) 중 어느 하나의 흡인성분원의 잔량이 역치를 밑돌고 있는 경우에, 발생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금지해도 되고, 혹은, 흡인성분원의 잔량이 역치를 밑돌고 있는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제어부(51)는, 복수의 무화유닛(111) 중 어느 하나의 잔량정보를 취득할 수 없는 경우에, 발생부(111R)에 대한 전력 공급을 금지해도 되고, 혹은, 잔량정보를 취득할 수 없었던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1)는, 복수의 발생부(111R) 중, n번째의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 En에 관해서, En=Vn 2/Rn×T의 식에 따라, En을 산출해도 된다. En은, n번째의 무화유닛(111)의 흡인성분원의 잔량의 추정에 이용되어도 된다.
En: n번째의 발생부(111R)에 Vn이 인가되는 케이스에 있어서의 전력량
Vn: n번째의 발생부(111R)에 인가되는 전압값
T: 복수의 발생부(111R)에 전압이 인가되는 시간
Rn: n번째의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
또한, Vn은, 전지의 출력전압값 VA, 복수의 발생부(111R)의 전기적 접속 관계 및 각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에 근거하여 특정할 수 있다. 복수의 발생부(111R)가 병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Vn은, VA의 값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복수의 발생부(111R)가 병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Vn은, 각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에 의해 VA를 분할한 값이라고 생각해도 된다.
또한, VA 및 T는, 제어부(51)가 검출 가능한 값이며, R은, 메모리(111M)로부터의 판독에 의해 제어부(51)가 취득 가능한 값이다. 또한, R은, 제어부(51)에 의해 추정되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1)는, 전지의 출력전압값 VA 및 전지의 기준전압값 VC에 근거하여 보정항 D1을 산출함과 아울러, 보정항 D1에 근거하여 복수의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51)는, 퍼프 동작의 개시에 대응하여, 각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는,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보정하는 보정항 D1을 산출하고, 산출된 보정항 D1을 설정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향미 흡인기(10)를 실제로 사용한 때의 회로 구성에 대응한 보정항 D1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회로 구성이 변경될 수 있는 경우에도, 적절한 보정항 D1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51)는, 퍼프 동작의 개시가 검출되고 나서 발생부(111R)의 온도가 흡인성분의 비등점에 도달할 때까지(발생부(111R)를 실질적으로 구동할 때까지) 사이에, 전지의 출력전압값 VA를 검출함과 아울러, 검출된 전지의 출력전압값 VA 및 기준전압값 VC에 근거하여, 검출된 퍼프 동작에 적용할 보정항 D1을 산출한다. 제어부(51)는, 공기유로에 설치되는 센서에 의해 검출된 값이 소정값을 초과한 경우에, 퍼프 동작의 개시를 검출해도 되고, 발생부(111R)를 구동하기 위한 스위치(예를 들면, 누름 버튼)의 압하(押下)가 행해진 경우에, 퍼프 동작의 개시를 검출해도 된다. 이러한 타이밍으로 전지의 출력전압값 VA의 검출 및 보정항 D1의 산출을 행하는 것에 의해, 검출된 퍼프 동작에 적용할 보정항 D1을 적절하게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한 퍼프 동작의 개시가 검출된 후의 타이밍에서의 전지의 출력전압값 VA의 검출 및 보정항 D1의 산출은, 소비 전력량의 억제와 보정항 D1의 정밀도 유지의 점에서 이점을 가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타이밍에서의 보정항 D1의 취득은 전지의 출력전압값 VA의 검출 및 보정항 D1의 산출을 일정 간격으로 행하는 케이스, 특히 일정 간격이 장기간(예를 들면 1분간)인 경우와 비교하여, 검출된 퍼프 동작에 적용할 보정항 D1의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지의 출력전압값 VA의 검출 및 보정항 D1의 산출을 일정 간격으로 행하는 케이스에 있어서, 일정 간격이 단기간(예를 들면 1초간)인 경우와 비교하여, 전지의 출력전압값 VA의 검출 및 보정항 D1의 산출에 수반하는 소비 전력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정항 D1의 산출에 있어서, 제어부(51)는, 복수 회에 걸쳐 전지의 출력전압값 VA를 검출함과 아울러, 검출된 복수의 출력전압값 VA로부터 출력전압값 VA의 대표값을 도출해도 된다. 출력전압값 VA의 대표값은, 예를 들면, 복수의 출력전압값 VA의 평균값이다.
VC는, 각 발생부(111R)에 인가해야 할 전압값 및 전지의 종류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값이며, 적어도 전지의 종지(終止) 전압보다 높은 전압이다. 전지가 리튬이온 전지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기준전압값 VC를 3.2V로 할 수 있다. 발생부(111R)에 대해 공급하는 전력량의 레벨을 복수 레벨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한 케이스, 즉, 1회의 퍼프 동작으로 발생되는 에어로졸의 양이 다른 복수의 모드를 향미 흡인기(10)가 가지는 케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기준전압값 VC가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상세하게는, 전지의 출력전압값 VA는, 발생부(111R)의 접속 개수 및 각 발생부(111R)의 구성(특히, 전기저항값)에 의해 변동한다. 이러한 변동을 억제하기 위해, 제어부(51)는, D1=VC/VA의 식에 따라, 보정항 D1을 산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부(51)는, D1=VC 2/VA 2의 식에 따라, 보정항 D1을 산출한다. 제어부(51)는, E=D1×EA의 식에 따라, 복수의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 E를 제어한다. 바꿔 말하면, 제어부(51)는, E=D1×VA 2/R×T의 식에 따라, 복수의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 E를 제어해도 된다. 또한, EA는, D1을 이용한 보정이 행해지지 않은 케이스에 있어서 복수의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량이다.
여기서, D1을 이용하는 E의 보정 방법으로서는, 발생부(111R)에 인가되는 전압의 보정(예를 들면, D1×VA)이어도 되고, 듀티비(즉, 펄스 폭 및 펄스 간격)의 보정(예를 들면, D1×T)이어도 된다. 또한, 발생부(111R)에 인가되는 전압의 보정은, 예를 들면, DC/DC 컨버터를 이용해서 실현된다. DC/DC 컨버터는, 강압 컨버터여도 되고, 승압 컨버터여도 된다.
(회로 구성)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A)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B)는, 병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케이스에서는,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을 서로 접속할 때에,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1, EC2)을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1, EC2)을 개재하는 전기회로 상에서 제어회로(50)를 경유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1 무화유닛(111A)에 구비된 전극쌍은 제어회로(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작용 및 효과)
실시형태에서는, 제어부(51)는, VA 및 VC에 근거하여 D1을 산출함과 아울러, D1에 근거하여 전력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발생부(111R)의 접속 개수나 각 발생부(111R)의 구성(특히, 전기저항값)에 의해 전지의 출력전압값이 변동될 수 있는 경우라도, 소망량의 전력을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에 공급할 수 있다.
[변경예 1]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1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첫째로, 실시형태에서는, 발생부(111R)를 구성하는 저항발열체는, 인렛(120A)으로부터 아웃렛(200A)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이에 대해, 변경예 1에서는, 발생부(111R)를 구성하는 저항발열체는, 인렛(120A)으로부터 아웃렛(200A)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형상을 가진다.
둘째로, 실시형태에서는,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 내에서 직렬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다. 이에 대해, 변경예 1에서는,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 내에서 병렬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 내에서 병렬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된다. 향미 흡인기(10)는, 복수의 무화유닛(111)에 더해, 캡부재(180)를 가진다.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은, 리저버(111P), 윅(111Q) 및 발생부(111R)에 더해, 도전부재(111E)를 가진다.
도전부재(111E)는, 공기유로를 구성하는 통 모양의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한 쌍의 전극(음극 및 양극)을 구성하는 한 쌍의 전극 부분을 가진다. 한 쌍의 전극 부분은,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상술한 리저버(111P)는, 공기유로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도전부재(111E) 및 윅(111Q)에 의해 공기유로와 구획된다. 상술한 윅(111Q)은, 통 모양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공기유로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윅(111Q)은, 한 쌍의 전극 부분이 가지는 간격에서 공기유로에 노출된다. 상술한 발생부(111R)는, 도전부재(111E)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유로를 따라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된다. 발생부(111R)의 일단은, 한 쌍의 전극 부분의 한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발생부(111R)의 타단은, 한 쌍의 전극 부분의 다른 쪽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캡부재(180)는, 도전부재(181E) 및 절연부재(181X)에 의해 구성된다. 도전부재(181E)는, 무화유닛(111)의 도전부재(111E)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절연부재(181X)는, 캡부재(180)의 하류 단면 또는 측면에 도전부재(181E)가 노출되지 않도록 도전부재(181E)를 피복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A)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B)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7에 나타내는 케이스에서는,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을 캡부재(180)에 의해 접속할 때에,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캡부재(180)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캡부재(180)(도전부재(181E))를 통하는 전기회로 상에서 제어회로(50)를 경유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1 무화유닛(111A)에 구비된 한쪽의 전극(캡부재(180)측과는 반대측의 전극)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구비된 한쪽의 전극(캡부재(180)측과는 반대측의 전극)은 제어회로(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작용 및 효과)
변경예 1에서는, 제어부(51)는, VA 및 VC에 근거하여 D1을 산출함과 동시에, D1에 근거하여 전력량을 제어한다. 따라서, 각 발생부(111R)의 구성(특히, 전기저항값)에 의해 전지의 출력전압값이 변동될 수 있는 경우에도, 소망량의 전력을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에 공급할 수 있다.
[변경예 2]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2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2에서는,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각각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의 회로 구성의 베리에이션에 관해서 설명한다.
첫째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A)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B)는, 병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발생부(111R)를 구성하는 저항발열체는, 인렛(120A)으로부터 아웃렛(200A)에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 내에서 병렬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을 서로 접속할 때에,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을 통하는 전기회로 상에서 제어회로(50)를 경유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1 무화유닛(111A)에 구비된 전극쌍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구비된 전극쌍은 모두 제어회로(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구비된 같은 극(+극 또는 -극)의 전극은 EC를 공유한다.
둘째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A)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B)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발생부(111R)를 구성하는 저항발열체는, 인렛(120A)으로부터 아웃렛(200A)에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 내에서 병렬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을 서로 접속할 때에,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을 통하는 전기회로 상에서 제어회로(50)를 경유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1 무화유닛(111A)에 구비된 한쪽의 전극(EC와는 반대측의 전극)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구비된 한쪽의 전극(EC와는 반대측의 전극)은 제어회로(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셋째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A)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B)는, 병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발생부(111R)를 구성하는 저항발열체는, 인렛(120A)으로부터 아웃렛(200A)에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 내에서 병렬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을 서로 접속할 때에,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1, EC2)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1, EC2)을 통하는 전기회로 상에서 제어회로(50)를 경유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접속점(EC1, EC2)은 제어회로(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넷째로,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A)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B)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발생부(111RA)를 구성하는 저항발열체는, 인렛(120A)으로부터 아웃렛(200A)에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생부(111RB)를 구성하는 저항발열체는, 인렛(120A)으로부터 아웃렛(200A)에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 내에서 직렬적인 위치 관계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을 서로 접속할 때에,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1, EC2)을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는, 접속점(EC1, EC2)을 통하는 전기회로 상에서 제어회로(50)를 경유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여기서, 제1 무화유닛(111A)에 구비된 전극쌍은 제어회로(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변경예 3]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3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3에서는, 복수의 무화유닛(111)의 위치 관계 및 발생부(111R)를 구성하는 저항발열체의 구성의 베리에이션에 관해서 설명한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본체유닛(110)은, 제1 무화유닛(111A)을 수용하는 통체(111Xin) 및 제2 무화유닛(111B)을 수용하는 통체(111Xout)를 가진다. 통체(111Xin) 및 통체(111Xout)는, 동축(同軸)의 통 모양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통체(111Xout)는, 통체(111Xin)의 외측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무화유닛(111A)은, 통체(111Xin)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11Xin)와 통체(111Xout)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11Xout) 내에서 동축이고 내외(內外)의 관계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위치 관계는, 병렬적인 위치 관계라고 생각해도 된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는, 인렛(120A)으로부터 아웃렛(200A)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를 따라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의 기본적인 구성은, 변경예 1(도 7)과 동일하기 때문에, 그 상세한 설명에 관해서는 생략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1 무화유닛(111A)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통체(111Xin)의 내측의 공간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유로를 통과한다. 한편, 제2 무화유닛(111B)으로부터 발생되는 에어로졸은, 통체(111Xin)와 통체(111Xout) 사이의 공간에 의해 구성되는 공기유로를 통과한다.
[변경예 4]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4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4에서는,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 제어의 베리에이션에 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D1에 근거하여 보정된 전력량(즉, D1×EA)에 따라, 복수의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51)는,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VA를 취득함과 동시에, 보정항 D1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51)는,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가,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케이스에 있어서, R1 및 R2에 근거하여 보정항 D2를 산출함과 동시에, D2에 근거하여 발생부(111RA)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51)는, D2=(R1+R2)2/R1 2의 식에 따라 보정항 D2를 산출한다. 구체적으로는, 제어부(51)는, 상술한 바와 같이, D2에 근거하여 보정된 전력량(즉, D2×EA), 혹은, D1 및 D2에 근거하여 보정된 전력량(즉, D1×D2×EA)에 따라, 발생부(111R)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한다.
R1: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2: 발생부(111RB)의 전기저항값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발생부(111R)의 접속 개수나 각 발생부(111R)의 구성(전기저항값)에 의해 전지의 출력전압값 VA가 변동될 수 있는 경우에도, 발생부(111RA)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안정화할 수 있다. 또한, 발생부(111RB)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안정화하기 위해서는, 보정항 D2가 D2=(R1+R2)2/R2 2의 식에 따라서 산출되면 된다.
여기서, 제2 무화유닛(111B)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무화유닛(111A)의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을 검출할 수 있는 케이스(예를 들면, 실시형태의 도 5에 나타내는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51)는,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과,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의 합성 저항값을 취득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51)는, 제1 무화유닛(111A)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을 검출하고,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합성 전기저항값을 검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또한,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이 메모리(111M)를 갖고 있지 않아도,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의 전기저항값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2 무화유닛(111B)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무화유닛(111A)의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을 검출할 수 없는 케이스(예를 들면, 변경예 1의 도 7에 나타내는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51)는,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된 메모리(111M)로부터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을 판독함과 아울러,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이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태에서 합성 저항값을 검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2 무화유닛(111B)이 메모리(111M)를 갖고 있지 않아도,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의 전기저항값을 취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무화유닛(111B)이 접속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제1 무화유닛(111A)의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을 검출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 양쪽이 메모리(111M)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변경예 5]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5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실시형태에서는, 메모리(111M)가 가지는 정보는, 무화유닛(111)의 고유 파라미터(a, b, TMIN, TMAX), 발생부(111R)의 전기저항값(R) 및 흡인성분원의 잔량(Mi)을 나타내는 잔량정보이다. 이에 대해, 변경예 1에서는, 메모리(111M)가 가지는 정보는, 이들 정보와 대응된 식별정보이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51)는, 향미 흡인기(10)에 접속되는 외부 장치에 액세스하여,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정보를 외부 장치로부터 취득해도 된다. 외부 장치는, 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이다. 외부 장치에 대한 액세스 방식은, USB 방식이어도 되고, Bluetooth(등록상표)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무선 방식이어도 된다.
혹은, 각종 파라미터와 대응된 식별정보를 가지는 정보원은, 무화유닛(111)에 설치되는 메모리(111M)가 아니라, 무화유닛(111)과는 별개로 설치되는 매체(媒體) 등이어도 된다. 매체는, 예를 들면, 식별정보가 표시된 종이 매체(무화유닛(111)의 외측면에 첩부(貼付)되는 라벨, 무화유닛(111)과 동봉되는 설명서, 무화유닛(111)을 수용하는 상자 등의 용기 등)이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51)는, 매체에 표시된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기능(예를 들면, 바코드 리더 기능)을 가지고 있어, 매체로부터 식별정보를 판독한다.
[변경예 6]
이하에서, 실시형태의 변경예 6에 관해서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실시형태에 대한 차이점에 관하여 주로 설명한다.
변경예 6에서, 향미 흡인기(10)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된 때에, 발생부(111RA)와 전기적으로 병렬 접속으로 도통되는 발생부(111RB)를 가진다. 구체적으로는, 향미 흡인기(10)는, 발생부(111RA)와 발생부(111RB)를 병렬로 전기접속하는 전기경로(302)를 가지며, 전기경로(302)의 일부는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어 있다. 발생부(111RB)는,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어 있다.
변경예 6에서는, 전기경로(302)는, 제2 본체유닛(120)(제어회로(50))과 제1 무화유닛(111A)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단자(300a, 300b, 301a, 301b)를 포함하며, 제1 무화유닛(111A)과 제2 무화유닛(111B)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단자(302a, 302b, 303a, 303b)를 포함한다. 발생부(111RB)는 발생부(111RA)와 병렬로 접속되기 때문에, 발생부(111RA)에 인가되는 전압값(VIN-VOUT)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전압이 발생부(111RB)에 인가된다.
향미 흡인기(10)는,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와 직렬로 전기접속되며, 기지의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기지(旣知) 저항기(310)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기지 저항기(310)는, 제2 본체유닛(120)(제어회로(50))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지 저항기(310)에는, 발생부(111RA)의 출력전압 VOUT과 그라운드 전극과의 차에 상당하는 전압이 인가된다.
제어부(51)는, 발생부(111RA)와 발생부(111RB)의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과의 차에 근거하여, 제1 무화유닛(111A)과 제2 무화유닛(111B)의 접속을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어회로(50)의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은,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과 실질적으로 일치한다.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을 때에, 제어회로(50)의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은, 실질적으로,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과 발생부(111RB)의 전기저항값 R2의 합성 저항값 Rc(<R1)가 된다. 따라서, 제어부(51)는,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과 합성 저항값 Rc의 차에 근거하여,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지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제어부(51)는, 이하와 같은 수순으로,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는지 어떤지를 검지할 수 있다. 우선,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제어부(51)가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을 측정한다. 전기저항값 R1은, 제어부(51)의 메모리에 기억시켜 놓는다. 제어부(51)는, 소정의 타이밍에서,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 이 전기저항값은,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된 때에, 상기한 합성 저항값 Rc(<R1)이 된다. 제어부(51)는, 전기저항값 R1보다 작은 전기저항값을 검출한 때에,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한다. 또한, 전기저항값의 측정 정밀도를 고려하여, 제어부(51)는, 전기저항값 R1보다 충분히 작은 전기저항값을 검출한 때에,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단해도 된다.
제어부(51)가,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하는 타이밍은, 유저가 흡인 동작을 행한 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공기유로 내에 설치된 센서가 흡인 동작을 검지한 때에, 제어부(51)가 전기저항값을 측정한다.
이 대신에, 유저가 발생부(111RA)를 구동하는 스위치, 예를 들면 누름 버튼을 누른 때에, 제어부(51)가,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51)는, 소정의 시간 간격마다,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또한, 제어부(51)는, 발생부(111RA)(또는/및 발생부(111RB))의 통전을 허용하지 않는 슬립 모드(전력 절약 모드)로부터 발생부(111RA)(또는/및 발생부(111RB))를 제어 가능한 레디 모드로 전환되었을 때에,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슬립 모드로부터 레디 모드로의 전환은, 예를 들면, 슬립 모드 중에 누름 버튼이 소정 시간 이상 눌러진 때, 또는 슬립 모드 중에 유저에 의해 특정 패턴의 흡입 동작(예를 들면, 2초 정도의 단시간에서의 흡입 동작을 소정 시간 내에서 3회 행하는 등)이 행해졌을 때에 실행된다.
또한, 향미 흡인기(10)가 유저 인증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경우, 제어부(51)는, 유저 인증을 위한 동작이 행해진 타이밍에서,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을 측정해도 된다. 유저 인증은, 예를 들면, 공기유로 내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유저에 의한 흡인 동작의 특징을 검출하는 것에 의해 행할 수 있다. 다만, 유저 인증 방법은, 이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은, 이하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우선, 발생부(111RA)로의 입력전압 VIN과, 발생부(111RA)의 출력전압 VOUT(=기지 저항기(310)의 입력전압)을 측정한다.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 R은, 전압값 VIN, VOUT과 기지 저항기(310)의 전기저항값 R3을 이용하여,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된다:
R=((VIN-VOUT)/VOUT)×R3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위 식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이 산출된다. 또한,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는 경우에는, 위 식으로부터, 실질적으로 합성 저항값 Rc가 산출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부(51)는, 기지 저항기(310)의 전기저항값 R3을 이용하여 합성 저항값 Rc를 추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3에 나타내는 기지 저항기(310)의 배치는 일례이다. 기지 저항기(310)는,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 발생부(111RA)와 발생부(111RB)의 합성 저항값 Rc를 측정 가능하면, 전기회로 상의 임의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기지 저항기(310)의 전기저항값 R은, 10mΩ∼100mΩ의 범위여도 된다.
제어부(51)는, 제1 무화유닛(111A)과 제2 무화유닛(111B)의 접속을 검지한 후에, 발생부(111RA)(또는/및 발생부(111RB))로 공급하는 전력량의 제어, 또는 향미 흡인기(10)에 구비된 통지수단의 통지 제어를 행해도 된다. 통지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발광소자, 음성 출력 디바이스, Haptics 등의 감각 피드백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다. 통지수단으로서 감각 피드백 디바이스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발진소자 등을 구비하여, 진동을 유저에게 전달하는 것에 의해 통지를 행해도 된다.
제어부(51)는,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의 차가 소정의 제1 역치 이하인 경우에 발생부(111RA)로 전력 공급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향미 흡인기(10)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정규의 제2 무화유닛(111B)과는 달리, 발생부(111RB)를 가지고 있지 않은 비정규의 부품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된 때에, 발생부(111RA)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정규품의 사용을 금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의 차가 소정의 제2 역치(상술한 제1 역치보다 큰 값) 이상인 경우에 발생부(111RA)로의 전력 공급을 금지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에 의해, 전기단자(302a)와 전기단자(302b) 사이에서 단락(短絡)이 생긴 때에, 발생부(111RA)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1)는, 합성 저항값 Rc와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의 차가 상기한 소정의 제1 역치 이하인 경우와, 상기한 소정의 제2 역치 이상인 경우에, 발생부(111RA)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해도 된다. 이에 의해, 정규품의 발생부(111RB)의 전기저항값과는 전혀 다른 전기저항값을 가지는 저항기를 구비한 비정규품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된 경우에, 발생부(111RA)로의 전력 공급을 금지할 수 있다.
상술한 케이스에서는, 제어부(51)는,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 때에,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을 측정함과 동시에, 측정된 전기저항값 R1을 제어부(51)의 메모리에 기억시킨다. 그러나 변경예 6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은, 제1 무화유닛(111A)의 메모리(111M)에 기억되어 있으며, 제어부(51)는,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을 측정하지 않고, 제1 무화유닛(111A)의 메모리(111M)로부터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을 판독해도 된다.
또한,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이 제1 무화유닛(111A)의 메모리(111M)에 기억되어 있고, 발생부(111RB)의 전기저항값 R2가 제2 무화유닛(111B)의 메모리(111M)에 기억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제어부(51)는, 메모리(111M)로부터 판독된 전기저항값 R1 및 R2에 근거하여 발생부(111RA) 및 발생부(111RB)의 합성 저항값 Rc를 산출해도 된다. 제어부(51)는, 전기단자(300a) 및 전기단자(300b)에 접속되는 전기회로의 전기저항값의 측정값(즉, 상술한 합성 저항값 Rc의 측정값)과 발생부(111RA)의 전기저항값 R1과의 비교 결과가 아니라, 제1 무화유닛(111A)의 메모리(111M)로부터 판독된 전기저항값 R1과 합성 저항값 Rc의 산출값과의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51)는, 제1 무화유닛(111A)의 메모리(111M)로부터 판독된 전기저항값 R1과 합성 저항값 Rc의 산출값과의 차가 소정값 이상인 경우에, 제2 무화유닛(111B)이 제1 무화유닛(111A)에 접속되어 있다고 판정한다. 이러한 케이스에 있어서, 기지 저항기(310)는 설치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설명했지만, 이 개시의 일부를 이루는 논술 및 도면은, 이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된다. 이 개시로부터 당업자에게는 다양한 대체 실시형태, 실시예 및 운용 기술이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무화유닛(111A)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발생부(111RA))는,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1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1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1 발생부의 일례이다. 마찬가지로, 제2 무화유닛(111B)에 설치되는 발생부(111R)(발생부(111RB))는,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2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2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2 발생부의 일례이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제1 발생부 및 제2 발생부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발생부 및 제2 발생부는, 가열을 수반하지 않고 초음파 무화에 의해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부재여도 된다. 혹은, 제1 발생부 및 제2 발생부는, 무화를 수반하지 않고 흡인성분원의 가열에 의해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부재여도 된다. 제1 발생부 및 제2 발생부가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방식(무화 방식이나 가열 방식)은 서로 달라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발생부 및 제2 발생부를 구성하는 저항발열체의 전기저항값은 서로 달라도 된다. 제1 발생부 및 제2 발생부로부터 발생되는 흡인성분의 양은 서로 달라도 된다. 제1 발생부 및 제2 발생부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에어로졸이 발생되지 않아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흡인성분원 및 제2 흡인성분원은, 에어로졸원이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제1 흡인성분원 및 제2 흡인성분원은, 에어로졸원을 포함하지 않고 멘톨 등의 향미성분을 포함하는 부재여도 된다. 제1 흡인성분원 및 제2 흡인성분원의 조성이나 종류는 서로 달라도 된다. 제1 흡인성분원 및 제2 흡인성분원은, 액체여도 되고, 고체여도 된다. 제1 흡인성분원 및 제2 흡인성분원 중 한쪽이 액체이고, 제1 흡인성분원 및 제2 흡인성분원 중 다른 쪽이 고체여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흡인성분원은, 제1 발생부를 가지는 유닛에 조립되어 있으며, 제2 흡인성분원은, 제2 발생부를 가지는 유닛에 조립되어 있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흡인성분원은, 제1 발생부를 가지는 유닛과는 별체의 저장유닛에 저장되어도 되고, 제2 흡인성분원은, 제2 발생부를 가지는 유닛과는 별체의 저장유닛에 저장되어도 된다.
실시형태에서는,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서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도 된다. 그러나 실시형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통체(100X)에 대해 고정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제1 무화유닛(111A) 및 제2 무화유닛(111B)은 일체의 유닛이어도 된다.
Claims (17)
- 전력을 축적하는 전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1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1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1 발생부와,
상기 전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제2 흡인성분원으로부터 제2 흡인성분을 발생시키는 제2 발생부와,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인렛으로부터 아웃렛으로 연통하는 공기유로 상에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병렬 접속 또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전지의 출력전압값은, VA에 의해 표현되고, 상기 제1 흡인성분 및 상기 제2 흡인성분을 발생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에 전력이 공급된 예비가열상태에서 측정된 값이고,
상기 전지의 기준전압값은, VC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보정항은, D1에 의해 표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VA 및 상기 VC에 근거하여 상기 D1을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D1에 근거하여 상기 전력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생부는, 상기 공기유로 상에서 상기 제1 발생부와 비교하여 하류측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 적어도 한쪽은, 상기 공기유로를 따라 연장되는 코일 모양의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1 유닛과,
상기 제2 발생부를 적어도 가지는 제2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은 별체(別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닛은, 상기 제1 유닛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상기 제1 유닛 및 상기 제2 유닛을 접속할 때에 접속점 또는 도전부재를 통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상기 접속점 또는 상기 도전부재를 통하는 전기회로 상에서 상기 제어부를 경유하지 않고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흡인성분원 및 상기 제2 흡인성분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에어로졸원이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에어로졸원을 무화하는 무화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무화부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D1=VC 2/VA 2의 식에 따라 상기 D1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VA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의 합성 저항값을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직렬 접속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발생부 및 상기 제2 발생부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은, R1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제2 발생부의 전기저항값은, R2에 의해 표현되고,
상기 제1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의 보정항은, D2에 의해 표현되며,
상기 R1 및 상기 R2에 근거하여 상기 D2를 산출함과 아울러, 상기 D2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D2=(R1+R2)2/R1 2의 식에 따라서 상기 D2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생부는, 저항발열체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발생부의 전기저항값 또는 상기 제1 발생부의 전기저항값과 대응된 식별정보를 가지는 정보원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1회의 퍼프 동작으로 상기 제1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이 상한(上限) 역치를 초과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발생부에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흡인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16/054487 WO2017141358A1 (ja) | 2016-02-16 | 2016-02-16 | 香味吸引器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11880A KR20180111880A (ko) | 2018-10-11 |
KR102225228B1 true KR102225228B1 (ko) | 2021-03-08 |
Family
ID=59625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7024876A KR102225228B1 (ko) | 2016-02-16 | 2016-02-16 | 향미 흡인기 |
Country Status (9)
Country | Link |
---|---|
US (1) | US10881148B2 (ko) |
EP (1) | EP3400815A4 (ko) |
JP (1) | JP6738357B2 (ko) |
KR (1) | KR102225228B1 (ko) |
CN (1) | CN108601404B (ko) |
CA (1) | CA3013420C (ko) |
EA (1) | EA038385B1 (ko) |
HK (1) | HK1257316A1 (ko) |
WO (1) | WO2017141358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60345631A1 (en) | 2005-07-19 | 2016-12-01 | James Monsees | Portable devices for generating an inhalable vapor |
US10279934B2 (en) | 2013-03-15 | 2019-05-07 | Juul Labs, Inc. | Fillable vaporizer cartridge and method of filling |
US10058129B2 (en) | 2013-12-23 | 2018-08-28 | Juul Labs, Inc. |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
US10159282B2 (en) | 2013-12-23 | 2018-12-25 | Juul Labs, Inc. | Cartridge for use with a vaporizer device |
US20160366947A1 (en) | 2013-12-23 | 2016-12-22 | James Monsees | Vaporizer apparatus |
GB2560651B8 (en) | 2013-12-23 | 2018-12-19 | Juul Labs Uk Holdco Ltd | Vaporization device systems and methods |
US10076139B2 (en) | 2013-12-23 | 2018-09-18 | Juul Labs, Inc. | Vaporizer apparatus |
USD825102S1 (en) | 2016-07-28 | 2018-08-07 | Juul Labs, Inc. | Vaporizer device with cartridge |
USD842536S1 (en) | 2016-07-28 | 2019-03-05 | Juul Labs, Inc. | Vaporizer cartridge |
RU2709926C2 (ru) | 2014-12-05 | 2019-12-23 | Джуул Лэбз, Инк. | Контроль калиброванной дозы |
UA125687C2 (uk) | 2016-02-11 | 2022-05-18 | Джуул Лебз, Інк. | Заповнювальний картридж випарного пристрою та способи його заповнення |
MX2018009703A (es) | 2016-02-11 | 2019-07-08 | Juul Labs Inc | Cartuchos de fijacion segura para dispositivos vaporizadores. |
US10405582B2 (en) | 2016-03-10 | 2019-09-10 | Pax Labs, Inc. | Vaporization device with lip sensing |
USD849996S1 (en) | 2016-06-16 | 2019-05-28 | Pax Labs, Inc. | Vaporizer cartridge |
USD836541S1 (en) | 2016-06-23 | 2018-12-25 | Pax Labs, Inc. | Charging device |
USD851830S1 (en) | 2016-06-23 | 2019-06-18 | Pax Labs, Inc. | Combined vaporizer tamp and pick tool |
BR112019011291A2 (pt) | 2016-12-02 | 2019-10-08 | Vmr Products Llc | vaporizador de combinação |
USD887632S1 (en) | 2017-09-14 | 2020-06-16 | Pax Labs, Inc. | Vaporizer cartridge |
DE102017121664A1 (de) * | 2017-09-19 | 2019-03-21 | Hauni Maschinenbau Gmbh | Komponententeil und Basisteil für einen Inhalator, sowie Verfahren zur Fertigung derselben |
GB201717498D0 (en) | 2017-10-24 | 2017-12-06 |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 Aerosol provision device |
GB201717496D0 (en) | 2017-10-24 | 2017-12-06 |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 A cartridge for an aerosol provision device |
GB201719578D0 (en) * | 2017-11-24 | 2018-01-10 |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 inhalable medium |
US10813384B2 (en) * | 2017-12-29 | 2020-10-27 | Altria Client Services Llc | Electronic vaping device having formulation level indicator |
CN111903030A (zh) | 2018-01-26 | 2020-11-06 | 尤尔实验室有限公司 | 充电盒组件 |
JP6532076B1 (ja) * | 2018-10-26 | 2019-06-19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本体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非燃焼式吸引器 |
CN111096489A (zh) * | 2018-10-26 | 2020-05-05 |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 气溶胶生成装置及其主体单元、非燃烧式吸取器 |
EP3932228A4 (en) * | 2019-02-27 | 2022-11-02 | Japan Tobacco Inc. | DEVICE FOR CONTROLLING THE PRODUCTION OF AN AROMA INGREDIENT, DEVICE FOR GENERATING AN AROMA INGREDIENT, CONTROL METHOD AND PROGRAM |
KR102360135B1 (ko) * | 2019-08-08 | 2022-02-08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JP7261311B2 (ja) * | 2019-09-25 | 2023-04-19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バッテリユニット、エアロゾル生成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FR3106472A1 (fr) * | 2020-01-27 | 2021-07-30 | Enovap | Dispositif et procédé d’ajustement d’une quantité de substance active inhalée par un utilisateur |
KR102479092B1 (ko) * | 2020-02-24 | 2022-12-19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KR102478152B1 (ko) * | 2020-03-02 | 2022-12-15 |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
JP6749513B1 (ja) * | 2020-03-05 | 2020-09-02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吸引器用コントローラ |
WO2021260894A1 (ja) * | 2020-06-25 | 2021-12-30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WO2021260897A1 (ja) * | 2020-06-25 | 2021-12-30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吸引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2022015341A (ja) * | 2020-07-08 | 2022-01-21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ユニット |
JP2022015342A (ja) * | 2020-07-08 | 2022-01-21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ユニット |
JP2022015340A (ja) * | 2020-07-08 | 2022-01-21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制御ユニット |
JP6890205B1 (ja) * | 2020-11-20 | 2021-06-18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エアロゾル生成装置の電源ユニット |
CN112369689A (zh) * | 2020-11-27 | 2021-02-19 |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 一种可两向抽吸的气溶胶产生装置 |
EP4250987A1 (en) * | 2020-11-29 | 2023-10-04 | Ditch Labs Inc. | Vaporization device with two liquid reservoirs |
WO2024013927A1 (ja) * | 2022-07-14 | 2024-01-18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吸引装置及び制御方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2542A (ja) * | 1996-10-22 | 2001-02-27 | フイリップ モーリス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電気喫煙システムを作動させる電力制御器及びその方法 |
JP5041016B2 (ja) * | 2010-03-01 | 2012-10-03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熱処理装置、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
US20120260927A1 (en) * | 2010-11-19 | 2012-10-18 | Qiuming Liu | Electronic cigarette, electronic cigarette smoke capsule and atomization device thereof |
US20140270727A1 (en) * | 2013-03-15 | 2014-09-18 |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 Heating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
US20150196059A1 (en) * | 2014-01-14 | 2015-07-16 | Qiuming Liu |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us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372148A (en) * | 1993-02-24 | 1994-12-13 | Philip Morris Incorporated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energy to a heating load in a smoking article |
JP2949114B1 (ja) * | 1998-08-04 | 1999-09-13 |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 電気式香味生成物品加熱制御装置 |
KR102010104B1 (ko) * | 2011-12-08 | 2019-08-12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공기류 노즐들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
US9289014B2 (en) * | 2012-02-22 | 2016-03-22 | Altria Client Services Llc |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improved heater element |
CN104114049A (zh) * | 2012-03-26 | 2014-10-22 | 韩国极光科技有限公司 | 雾化控制单元及包括该雾化控制单元的便携式雾化装置 |
US10004259B2 (en) * | 2012-06-28 | 2018-06-26 | Rai Strategic Holdings, Inc. | Reservoir and heater system for controllable delivery of multiple aerosolizable materials in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
GB2504077A (en) * | 2012-07-16 | 2014-01-22 | Nicoventures Holdings Ltd | Electronic smoking device |
AU2012388598B2 (en) * | 2012-08-31 | 2016-11-24 | Huizhou Kimree Technology Co., Ltd., Shenzhen Branch | Electronic cigarette |
GB2519101A (en) * | 2013-10-09 | 2015-04-15 | Nicoventures Holdings Ltd |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
KR102378679B1 (ko) * | 2013-12-19 | 2022-03-28 |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 니코틴 염 입자의 양을 발생시키고 제어하기 위한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
PL3142506T3 (pl) * | 2014-05-13 | 2019-07-31 | Fontem Holdings 4 B.V. | Elektroniczne urządzenie do palenia i aplikacje wymiany danych |
CN203986125U (zh) * | 2014-07-17 | 2014-12-10 | 深圳市康尔科技有限公司 | 一种电子烟 |
-
2016
- 2016-02-16 KR KR1020187024876A patent/KR10222522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2-16 EA EA201891849A patent/EA038385B1/ru unknown
- 2016-02-16 CN CN201680081554.6A patent/CN108601404B/zh active Active
- 2016-02-16 CA CA3013420A patent/CA3013420C/en active Active
- 2016-02-16 EP EP16890500.8A patent/EP3400815A4/en active Pending
- 2016-02-16 JP JP2017567864A patent/JP6738357B2/ja active Active
- 2016-02-16 WO PCT/JP2016/054487 patent/WO2017141358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8
- 2018-08-16 US US16/104,016 patent/US10881148B2/en active Active
- 2018-12-22 HK HK18116473.2A patent/HK1257316A1/zh unknow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502542A (ja) * | 1996-10-22 | 2001-02-27 | フイリップ モーリス プロダクツ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電気喫煙システムを作動させる電力制御器及びその方法 |
JP5041016B2 (ja) * | 2010-03-01 | 2012-10-03 |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 熱処理装置、熱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
US20120260927A1 (en) * | 2010-11-19 | 2012-10-18 | Qiuming Liu | Electronic cigarette, electronic cigarette smoke capsule and atomization device thereof |
US20140270727A1 (en) * | 2013-03-15 | 2014-09-18 |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 Heating control arrangement for an electronic smoking artic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
US20150196059A1 (en) * | 2014-01-14 | 2015-07-16 | Qiuming Liu | Electronic cigarette atomizer and electronic cigarette us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013420A1 (en) | 2017-08-24 |
EP3400815A1 (en) | 2018-11-14 |
US10881148B2 (en) | 2021-01-05 |
JP6738357B2 (ja) | 2020-08-12 |
CN108601404B (zh) | 2021-11-09 |
KR20180111880A (ko) | 2018-10-11 |
CN108601404A (zh) | 2018-09-28 |
HK1257316A1 (zh) | 2019-10-18 |
JPWO2017141358A1 (ja) | 2018-09-13 |
US20180352863A1 (en) | 2018-12-13 |
EA201891849A1 (ru) | 2019-01-31 |
EP3400815A4 (en) | 2019-12-11 |
WO2017141358A1 (ja) | 2017-08-24 |
EA038385B1 (ru) | 2021-08-19 |
CA3013420C (en) | 2020-07-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25228B1 (ko) | 향미 흡인기 | |
US10966465B2 (en) | Non-combustion-type flavor inhaler,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 |
KR102445513B1 (ko) |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 및 에어로졸 흡인기용 전원 공급 장치의 제어 방법 | |
KR102022814B1 (ko) | 비연소형 향미 흡인기 및 무화 유닛 | |
KR102436285B1 (ko) | 흡인성분 생성 장치, 흡인성분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 |
KR102402904B1 (ko) | 흡인성분 생성 장치, 흡인성분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및 프로그램 | |
KR20200068703A (ko) | 흡인성분 생성 장치, 흡인성분 생성 장치를 제어하는 방법, 흡인성분 생성 시스템, 및 프로그램 | |
US20210259317A1 (en) |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and aerosol inhaler | |
US11178911B2 (en) | Aerosol inhaler and control device of aerosol inhaler | |
US20220095693A1 (en) |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generation device | |
US20210259322A1 (en) |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and aerosol inhaler | |
US20210259320A1 (en) | Power supply unit for aerosol inhaler and aerosol inhaler | |
US11253005B2 (en) | Control device of aerosol inhaler | |
US12089649B2 (en) | Aerosol generation apparatus, and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for operating same | |
EA044427B1 (ru) | Блок питания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ингалятор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программа блока питания для аэрозольного ингалятора | |
EA040434B1 (ru) | Ароматический ингалятор негорящего типа, способ, программа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