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9092B1 - 에어로졸 생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로졸 생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9092B1
KR102479092B1 KR1020200022411A KR20200022411A KR102479092B1 KR 102479092 B1 KR102479092 B1 KR 102479092B1 KR 1020200022411 A KR1020200022411 A KR 1020200022411A KR 20200022411 A KR20200022411 A KR 20200022411A KR 102479092 B1 KR102479092 B1 KR 102479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porizer
aerosol
generating device
mode
aerosol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7426A (ko
Inventor
박인수
기성종
김영중
이존태
정순환
정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00022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9092B1/ko
Priority to JP2021518788A priority patent/JP7197241B2/ja
Priority to PCT/KR2020/018439 priority patent/WO2021172722A1/ko
Priority to US17/283,807 priority patent/US11974600B2/en
Priority to CN202080074737.1A priority patent/CN114650740A/zh
Priority to EP20875661.9A priority patent/EP3892121A4/en
Publication of KR20210107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7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9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9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30Devices using two or more structurally separated inhalable precursors, e.g. using two liquid precursors in two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BMANUFACTURE OR PREPARATION OF TOBACCO FOR SMOKING OR CHEWING; TOBACCO; SNUFF
    • A24B15/00Chemical features or treatment of tobacco; Tobacco substitutes, e.g. in liquid form
    • A24B15/10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 A24B15/167Chemical features of tobacco products or tobacco substitutes of tobacco substitutes in liquid or vaporisable form, e.g. liquid compositions for electronic cigarette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10Devices using liqu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65Devices with integrated communication means, e.g. wireless communication mea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증기화기, 제2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증기화기 및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제2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증기화기 및 상기 제2 증기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에어로졸 생성 장치{AEROSOL GENERATING DEVICE}
본 개시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증기화기의 전력 제어를 통하여 무연 에어로졸 또는 유연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일반적인 궐련의 단점들을 극복하는 대체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궐련을 연소시켜 에어로졸을 생성시키는 방법이 아닌 궐련 또는 액체 저장부 내의 에어로졸 생성물질이 가열됨에 따라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방법에 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무연 에어로졸(smokeless aerosol)을 생성하는 모드에서 유연 에어로졸(smoke aerosol)을 생성하는 모드로의 전환이 불가능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향미, 니코틴 등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에어로졸의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제1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증기화기, 제2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증기화기 및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제2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증기화기 및 상기 제2 증기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액상 조성물은 제1 보습제 및 니코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Vegetable Glycerin)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Vegetable Glycerin)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보습제의 상기 식물성 글리세린 대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의 중량 비율은 4:1 내지 9:1 사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증기화기 및 상기 제2 증기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정보 및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증기화기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모드는 복수의 서브 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드들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증기화기가 최대 출력의 5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2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증기화기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모드는 복수의 서브 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드들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증기화기가 최대 출력의 8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1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증기화기가 최대 출력의 0% 내지 7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2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상기 제1 에어로졸 및 상기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되는 챔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증기화기 및 상기 제2 증기화기의 결합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증기화기 및 상기 제2 증기화기는 일체로써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체화된 제1 증기화기 및 제2 증기화기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필요에 따라,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무연 모드 및 유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유연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향미, 니코틴 등의 이송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 제2 증기화기 및 챔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 제2 증기화기 및 챔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 및 제2 증기화기의 결합 방법 및 챔버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 및 제2 증기화기의 결합 방법 및 공동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증기화기들의 출력은 증기화기들이 소비하는 소비 전력과 동일한 의미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제1 증기화기(130), 제2 증기화기(140), 통신부(150) 및 입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되는 챔버(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이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 외에 다른 범용적인 구성요소들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더 포함될 수 있음을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도 1의 배터리(110), 제어부(120), 제1 증기화기(130), 제2 증기화기(140), 통신부(150) 및 입력부(160)의 배치는 예시일 뿐,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설계에 따라, 배터리(110), 제어부(120), 제1 증기화기(130), 제2 증기화기(140), 통신부(150) 및 입력부(160)의 배치는 변경될 수 있다.
사용자의 입력 또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의 압력이 가변되는 경우,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증기화기를 작동시켜,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 및/또는 제2 증기화기(140)에 의하여 발생된 에어로졸은 챔버(170)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하는데 이용되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11)는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가 가열될 수 있도록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제어부(12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센서, 모터 등이 동작하는데 필요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배터리(110),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뿐 만 아니라 에어로졸 생성 장치(1)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구성들 각각의 상태를 확인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가 동작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내부에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으며, 챔버(170)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액상 조성물을 수용한 상태에서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액상 조성물을 모두 소진한 경우 새로운 증기화기로 교체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액체 저장부(도 2의 131, 141)만 교체될 수도 있다.
액상 조성물은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내부의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phase)을 기체의 상으로 변환하여 에어로졸(aerosol)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에어로졸은 에어로졸 생성 물질로부터 발생한 증기화된 입자와 공기가 혼합된 상태의 기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제어부(120)로부터 전기 신호를 공급받아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거나, 유도 가열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에어로졸 생성 물질의 상을 변환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에어로졸 생성 물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는 유연 에어로졸(smoke aerosol)을 생성하는 제1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기화기(140)는 무연 에어로졸(smokeless aerosol)을 생성하는 제2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는 제1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증기화기(140)는 제2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은 챔버(170)에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혼합된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은 토출구(190)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함으로써, 유연 에어로졸 및/또는 무연 에어로졸의 발생 여부, 발생량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모드 및 에어로졸 생성 물품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제2 모드에 기초하여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1 모드에서 제2 증기화기(140)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모드는 복수의 서브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서브 모드들에 대응하여 제2 증기화기(140)가 최대 출력의 5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모드들은 최소 전력으로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한 제1 서브 모드 및 제2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송량을 최대로 하기 위한 제2 서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브 모드들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제2 증기화기(140)가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제2 히터(도 2의 145)의 온도가 제2 액상 조성물의 기화 온도 보다 높아야 한다. 따라서, 최소 전력은 제2 액상 조성물의 기화 온도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최소 전력은 제2 증기화기(140)의 가열 요소가 제2 액상 조성물의 기화 온도에 도달하였을 때, 가열 요소의 소비 전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소 전력은 제2 증기화기(140)가 최대 출력의 50%로 동작하는 경우, 제2 증기화기(140)의 소비 전력과 동일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제1 서브 모드에서 제2 증기화기(140)가 최대 출력의 50%로 동작하도록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제2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송량과 제2 증기화기(140)의 출력은 비례하므로, 제2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송량이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제2 증기화기(140)가 최대 출력(100%)로 동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제2 서브 모드에서 제2 증기화기(140)가 최대 출력(100%)으로 동작하도록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2 모드에서, 제1 증기화기(130)에 전력을 공급한 상태에서,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복수의 서브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서브 모드들에 대응하여 제1 증기화기(130)가 최대 출력의 8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제1 증기화기(13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증기화기(140)가 최대 출력의 0% 내지 7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제2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모드들은 무화량을 최대로 하면서도 니코틴의 이송량을 최소로 하기 위한 제3 서브 모드 및 정상 모드(normal mode)인 제4 서브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서브 모드들의 개수는 증가될 수 있다.
무화량은 제1 증기화기(130)에 포함된 제1 히터(도 2의 135)의 온도에 비례하여 증가하므로, 무화량이 최대가 되기 위해서는 제1 증기화기(130)가 최대 출력(100%)으로 동작하여야 한다. 반면, 니코틴의 이송량을 최소로 하기 위해서는 제2 증기화기(140)가 최소 출력으로 동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제3 서브 모드에서 제1 증기화기(130)가 최대 출력(100%)으로 동작하도록 제1 증기화기(13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증기화기(140)에는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서브 모드와 달리, 제3 서브 모드에서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는 것은 제1 증기화기(130)에 의해 제1 에어로졸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4 서브 모드는 정상 모드에 해당될 수 있다. 제4 서브 모드는 적정량의 니코틴 이송 및 적정량의 무화를 위한 모드일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4 서브 모드에서, 제1 증기화기(130)가 최대 출력의 80%로 동작하도록 제1 증기화기(13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증기화기(140)가 최대 출력의 70%로 동작하도록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60)는 가압식 푸쉬(push) 버튼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동작 명령을 수신한 경우, 동작 명령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제어부(1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명령은 on/off 명령, 모드 변경 명령, 전력 제어 명령, 외부 기기와의 통신 명령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부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부(150)는 외부 기기(도 6의 3)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5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기(3)는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와 이에 준하는 고정 단말과, 노트북, 태블릿, 모바일 폰(mobile phone)과 같은 휴대용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배터리(110), 제어부(120), 제1 증기화기(130), 제2 증기화기(140), 통신부(150) 및 입력부(160) 외에 범용적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시각 정보의 출력이 가능한 디스플레이 및/또는 촉각 정보의 출력을 위한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퍼프 감지 센서, 온도 감지 센서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 제2 증기화기 및 챔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을 각각 생성할 수 있으며,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은 챔버(170)에서 혼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제1 증기화기(130)는 연소형 궐련을 사용하는 경우와 유사한 감정이 들도록 연기를 발생시키고, 제2 증기화기는 제2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송량을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제1 증기화기(130)는 제1 액체 저장부(131), 제1 액체 전달 수단(133) 및 제1 히터(13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기화기(140)는 제2 액체 저장부(141), 제2 액체 전달 수단(143) 및 제2 히터(14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체 저장부(131)는 제1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제1 액상 조성물은 가열되는 경우, 연기를 생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액상 조성물은 연기를 생성할 수 있는 담배 함유 물질 또는 비 담배 물질 일 수 있고, 제1 액상 조성물의 가열 시 생성되는 제1 에어로졸은 유연 에어로졸일 수 있다.
제1 액상 조성물은 제1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Vegetable Glycerin: VG)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보습제는 제1 액상 조성물의 물성(흐름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식물성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식물성 글리세린 대 프로필렌 글리콜의 중량 비율은 4:1 내지 9:1 사이일 수 있다.
제1 액상 조성물은 제1 보습제외에도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액체 저장부(141)는 제2 액상 조성물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액상 조성물은 휘발성 담배 향 성분을 포함하는 담배 함유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 있고, 비 담배 물질을 포함하는 액체일 수도 있다. 제2 액상 조성물은 가열되는 경우에도 연기를 생성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제2 액상 조성물은 연기를 생성하지 않는 담배 함유 물질 또는 비 담배 물질일 수 있고, 제2 액상 조성물의 가열 시 생성되는 제2 에어로졸은 무연 에어로졸일 수 있다.
제2 액상 조성물은 제2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보습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PG)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보습제는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상 조성물은 제2 보습제외에도 물, 솔벤트, 에탄올, 식물 추출물, 향료, 향미제, 또는 비타민 혼합물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액상 조성물은 니코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향료는 멘솔, 페퍼민트, 스피아민트 오일, 각종 과일향 성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향미제는 사용자에게 다양한 향미 또는 풍미를 제공할 수 있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비타민 혼합물은 비타민 A, 비타민 B, 비타민 C 및 비타민 E 중 적어도 하나가 혼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액체 전달 수단(133)은 제1 액상 조성물을 제1 히터(135)에 전달할 수 있다. 제2 액체 전달 수단(143)은 제1 액상 조성물을 제2 히터(145)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체 전달 수단(133) 및 제2 액체 전달 수단(143)은 면 섬유, 세라믹 섬유, 유리 섬유, 다공성 세라믹과 같은 심지(wick)가 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히터(135)는 제1 액체 전달 수단(133)에 의해 전달되는 제1 액상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제2 히터(145)는 제2 액체 전달 수단(143)에 의해 전달되는 제2 액상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히터(135) 및 제2 히터(145)는 금속 열선, 금속 열판, 세라믹 히터 등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히터(135) 및 제2 히터(145)는 니크롬선과 같은 전도성 필라멘트로 구성될 수 있고, 액체 전달 수단(133, 143)에 감기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히터(135) 및 제2 히터(145), 전류 공급에 의해 가열될 수 있으며, 제1 히터(135) 및 제2 히터(145)와 접촉된 액상 조성물에 열을 전달하여, 액상 조성물을 가열할 수 있다. 그 결과, 제1 에어로졸 및/또는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히터(135)는 제1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1 에어로졸은 제1 경로(137)를 통해 챔버(170)에 전달될 수 있다. 제2 히터(145)는 제2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생성할 수 있다. 제2 에어로졸은 제2 경로(147)를 통해 챔버(170)에 전달될 수 있다.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은 챔버(170)에서 혼합되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카토마이저(cartomizer) 또는 무화기(atomizer)로 지칭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 제2 증기화기 및 챔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와의 차이점은 챔버(170)의 형성 방법에 있다. 도 2는 챔버(170)가 별도로 구비되는 반면, 도 3은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가 챔버(170)의 일부를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 가능하거나, 일체로써 형성될 수 있다. 챔버의 일부(170a)는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는 챔버의 일부(170a)와 유체 연통하는 제1 관통홀(171)을 포함하고, 제2 증기화기(140)는 챔버의 일부(170a)와 유체 연통하는 제2 관통홀(17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가 공통되는 챔버(170)의 일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관통홀(171)은 제1 히터(135)의 상하 방향 중심선(O1)과 챔버(170)의 상하 방향 중심선(O3) 사이에 배치되고, 제2 관통홀(173)은 제2 히터(145)의 상하 방향 중심선(O2)과 챔버(170)의 상하 방향 중심선(O3)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하 방향은 에어로졸 생성 장치(1)의 길이 방향과 동일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가 챔버의 일부(170a)를 형성하는 경우가, 챔버(170)가 별도로 구비되는 경우에 비하여 챔버(170)의 용적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이 보다 균일하게 혼합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 및 제2 증기화기의 결합 방법 및 챔버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 중 어느 하나의 증기화기는 후크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의 증기화기는 걸림홈을 구비하고 있어, 각각의 증기화기들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 중 어느 하나의 증기화기는 돌기를 구비하고, 다른 하나는 돌기에 대응하는 홈을 구비하고 있어, 각각의 증기화기들이 끼워 맞춤 방식에 의해 체결될 수도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의 결합 방식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가 분기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방식이라면,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의 결합에 의하여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되는 챔버의 일부(170a)가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모드 또는 니코틴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제2 모드로 동작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사용 패턴에 따라 제1 액상 조성물 및 제2 액상 조성물의 소진 정도가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로졸 생성 장치(1)는 소진된 증기화기만 교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 및 제2 증기화기의 결합 방법 및 공동 형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는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액체 저장부(131) 및 제2 액체 저장부(142)는 격벽(180)에 의해 구분될 수 있다.
일체화된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에는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되는 챔버의 일부(170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 및 제2 증기화기(140)가 일체로써 형성되는 경우, 제작의 용이성이 증대된다.
도 6은 본 개시의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S610 단계에서, 외부 기기(3)는 원격 제어 신호를 에어로졸 생성 장치(1)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신호에는 모드 선택 정보 및 전력 제어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에어로졸 생성 장치(1) 내의 통신부(150)는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통신부(150)는 하나 이상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50)는 와이파이(Wi-Fi)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지그비(zigbee) 통신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S62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통신부(150)가 수신한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분석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모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분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동작 모드는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모드 및 제2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제2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S63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모드 선택 정보에 포함된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제2 증기화기(140)에만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어부(120)는 동작 모드가 제1 모드인 경우, 제1 증기화기(130)에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증기화기(140)는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액상 조성물은 제2 보습제를 포함하고, 제2 보습제는 프로필렌 글리콜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무연의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제2 에어로졸에는 니코틴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에어로졸은 챔버(170)를 통과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1 모드는 복수의 서브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서브 모드들에 대응하여 제2 증기화기(140)가 최대 출력의 5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S64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모드 선택 정보에 포함된 동작 모드가 제1 모드가 아닌 경우,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지 여부를 분석할 수 있다.
S65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동작 모드가 제2 모드인 경우, 제1 증기화기(130)에 전력을 공급한 상태에서, 제2 증기화기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는 유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액상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액상 조성물은 제1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혼할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물성 글리세린 대 프로필렌 글리콜의 비율은 4:1 내지 9:1 사이일 수 있다. 제1 보습제가 프로필렌 글리콜을 더 포함하는 경우, 제1 액상 조성물의 물성(흐름성)이 개선될 수 있다.
제1 증기화기(130)에 전력이 공급됨에 따라, 유연의 제1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무연의 제2 에어로졸이 생성될 수 있다.
제1 에어로졸은 챔버(17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2 증기화기(140)에 전력이 공급되는 경우, 제1 에어로졸 및 제2 에어로졸은 챔버(170)에서 혼합되어 사용자에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제2 모드는 복수의 서브 모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서브 모드들에 대응하여 제1 증기화기(130)가 최대 출력의 8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제1 증기화기(130)에 전력을 공급하고, 제2 증기화기(140)가 최대 출력의 0% 내지 7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제2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S660 단계에서, 제어부(120)는 동작 모드가 제1 모드 및 제2 모드 어느 것도 아닌 경우, 오류로 판단하여, 원격 제어 신호의 재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상술한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 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상기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방법에서 사용된 데이터의 구조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여러 수단을 통하여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램, USB,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외부 기기
110: 배터리
120: 제어부
130: 제1 증기화기
140: 제2 증기화기
150: 통신부

Claims (15)

  1.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 있어서,
    제1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제1 액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1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증기화기;
    상기 제1 액상 조성물과 상이한 제2 액상 조성물을 저장하는 제2 액체 저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액상 조성물을 가열하여 제2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2 증기화기; 및
    무연 에어로졸을 생성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제2 액상 조성물에 포함된 니코틴의 이송량을 조절하는 제2 모드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증기화기 및 상기 제2 증기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1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한 상태에서, 상기 제2 증기화기에 선택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모드는
    복수의 서브 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드들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증기화기가 최대 출력의 8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1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2 증기화기가 최대 출력의 0% 내지 7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2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상 조성물은
    제1 보습제 및 니코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Vegetable Glycerin)만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습제는
    식물성 글리세린(Vegetable Glycerin) 및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이 일정한 비율로 혼합된 혼합물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습제의 상기 식물성 글리세린 대 상기 프로필렌 글리콜의 중량 비율은 4:1 내지 9:1 사이인 에어로졸 생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생성 장치는
    외부 기기와 통신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격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증기화기 및 상기 제2 증기화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모드 및 상기 제2 모드에 대한 모드 선택 정보 및 선택된 모드에 대응하는 전력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2 증기화기에만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모드는
    복수의 서브 모드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브 모드들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증기화기가 최대 출력의 50% 내지 100% 사이의 범위로 출력되도록 상기 제2 증기화기에 전력을 공급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에어로졸 및 상기 제2 에어로졸이 혼합되는 챔버;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증기화기 및 상기 제2 증기화기의 결합에 의하여 생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증기화기 및 상기 제2 증기화기는 일체로써 형성되고,
    상기 챔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일체화된 제1 증기화기 및 제2 증기화기에 의하여 생성되는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0200022411A 2020-02-24 2020-02-24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479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11A KR102479092B1 (ko) 2020-02-24 2020-02-24 에어로졸 생성 장치
JP2021518788A JP7197241B2 (ja) 2020-02-24 2020-12-16 エアロゾル生成装置
PCT/KR2020/018439 WO2021172722A1 (ko) 2020-02-24 2020-12-16 에어로졸 생성 장치
US17/283,807 US11974600B2 (en) 2020-02-24 2020-12-16 Aerosol generating device
CN202080074737.1A CN114650740A (zh) 2020-02-24 2020-12-16 气溶胶生成装置
EP20875661.9A EP3892121A4 (en) 2020-02-24 2020-12-16 AEROSOL GENERAT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411A KR102479092B1 (ko) 2020-02-24 2020-02-24 에어로졸 생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7426A KR20210107426A (ko) 2021-09-01
KR102479092B1 true KR102479092B1 (ko) 2022-12-19

Family

ID=76444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411A KR102479092B1 (ko) 2020-02-24 2020-02-24 에어로졸 생성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974600B2 (ko)
EP (1) EP3892121A4 (ko)
JP (1) JP7197241B2 (ko)
KR (1) KR102479092B1 (ko)
CN (1) CN114650740A (ko)
WO (1) WO20211727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3888B1 (ko) * 2018-01-31 2021-12-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102635852B1 (ko) * 2021-10-28 2024-02-13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복수의 카트리지를 구비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360517A1 (en) * 2011-08-11 2014-12-11 Wisplite Technologies Inc. Portable electronic vapor-producing device and method
US9326547B2 (en) 2012-01-31 2016-05-03 Altria Client Services Llc Electronic vaping article
US9936731B2 (en) 2012-04-12 2018-04-10 Jt International Sa Aerosol-generation devices
AR095306A1 (es) 2013-03-15 2015-10-07 Philip Morris Products Sa Sistema generador de aerosol con calor diferencial
MY188389A (en) * 2013-12-19 2021-12-07 Philip Morris Products Sa Aerosol-generating system for generating and controlling the quantity of nicotine salt particles
GB201410171D0 (en) 2014-06-09 2014-07-23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system
KR101677547B1 (ko) * 2015-03-20 2016-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향미 유지 무연화 가능 전자 담배 장치
WO2016178377A1 (ja) * 2015-05-01 2016-11-10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非燃焼型香味吸引器、香喫味源ユニット及び霧化ユニット
GB201511349D0 (en) 2015-06-29 2015-08-12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GB201511358D0 (en) * 2015-06-29 2015-08-12 Nicoventures Holdings Ltd Electronic aerosol provision systems
US9936737B2 (en) 2015-10-28 2018-04-10 Lunatech, Llc Methods and systems for a dual function vapor device
EP3400815A4 (en) 2016-02-16 2019-12-11 Japan Tobacco, Inc. INHALER OF AROMA
US10455863B2 (en) * 2016-03-03 2019-10-29 Altria Client Services Llc Cartridge for electronic vaping device
WO2017185051A1 (en) * 2016-04-22 2017-10-26 Pax Labs, Inc. Aerosol devices having compartmentalized materials
KR102135892B1 (ko) 2016-12-16 2020-07-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장치에서 흡연 제한 기능을 제공하는 방법
GB201702207D0 (en) * 2017-02-10 2017-03-29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Vapour provision system
GB201705550D0 (en) * 2017-04-06 2017-05-2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Electronic vapour provision device with variable power supply
US11771138B2 (en) 2017-04-11 2023-10-03 Kt&G Corpora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smoking restriction function in aerosol generating device
KR20180124739A (ko) * 2017-05-11 2018-11-21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의 종류별로 에어로졸 생성장치에 포함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방법 및 궐련의 종류별로 히터의 온도를 제어하는 에어로졸 생성장치
KR102180421B1 (ko) 2017-10-30 2020-11-18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190049392A (ko) * 2017-10-30 2019-05-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GB201807497D0 (en) 2018-05-08 2018-06-20 Nicoventures Trading Ltd An aerosol provision device
US20190380381A1 (en) * 2018-06-18 2019-12-19 Duo IQ Labs, LLC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Vapor Distribution
KR102478152B1 (ko) * 2020-03-02 2022-12-15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97241B2 (ja) 2022-12-27
CN114650740A (zh) 2022-06-21
US20220400749A1 (en) 2022-12-22
KR20210107426A (ko) 2021-09-01
EP3892121A1 (en) 2021-10-13
US11974600B2 (en) 2024-05-07
JP2022525714A (ja) 2022-05-19
WO2021172722A1 (ko) 2021-09-02
EP3892121A4 (en) 2021-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7815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에어로졸 생성 시스템
RU2720566C2 (ru) Система аутентификации на основе радиочастотной идентификации для устройств подачи аэрозоля
JP7128894B2 (ja) 1つのバッテリから2つのヒータに電力を供給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
RU2710771C2 (ru)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ий интерфейс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RU2702025C2 (ru) Беспроводная передача данных на основании запускающих событий для устройств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RU2739975C2 (ru) Камера для устройства доставки аэрозоля
JP2020521438A (ja) シガレット挿入感知機能を有するエアロゾル生成装置及びその方法
JPWO2020039589A1 (ja) 吸引成分生成装置、吸引成分生成装置を制御する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479092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102281869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885933B (zh) 电子汽化器
KR20210014013A (ko) 카트리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463898B1 (ko) 에어로졸 생성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86583B1 (ko) 에어로졸 생성 장치
KR20230120683A (ko)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
KR20230095877A (ko) 에어로졸 제공 디바이스
WO2023057631A1 (en) Aerosol 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led
CN118139549A (zh) 气溶胶生成装置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