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859B1 -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 - Google Patents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859B1
KR102224859B1 KR1020200071199A KR20200071199A KR102224859B1 KR 102224859 B1 KR102224859 B1 KR 102224859B1 KR 1020200071199 A KR1020200071199 A KR 1020200071199A KR 20200071199 A KR20200071199 A KR 20200071199A KR 102224859 B1 KR102224859 B1 KR 1022248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block
far
air purifica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필
Original Assignee
(주)에코제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제이피 filed Critical (주)에코제이피
Priority to KR1020200071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48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8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8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3/00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28B3/02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 B28B3/04Producing shap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by using presses; P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herein a ram exerts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Ram heads of special form with one ram per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24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curing, setting or hard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06Combustion residues, e.g. purification products of smoke, fumes or exhaust gases
    • C04B18/10Burned or pyrolised refuse
    • C04B18/101Burned rice husks or other burned vegetabl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0/00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 C04B20/0076Use of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C04B14/00 - C04B18/00 and characterised by shape or grain distribution; Treatment of material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groups C04B14/00 - C04B18/00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xpanding or defibrillat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grain distrib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0068Ingredients with a function or property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04B2103/00
    • C04B2103/0097Anion- and far-infrared-emitt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54Pigments; Dy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에 관한 것으로, 보강토 옹벽 블록, 식생 블록, 호안블록의 제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시멘트, 부순잔골재, 잔골재 ,숯, 혼화제를 혼합하여 원재료를 제조하는 1공정; 혼합된 원재료를 형틀에 투입하고, 가압하여 반제품을 생산하는 2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르면, 보강토 옹벽 블록, 식생 블록, 호안블록을 제조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각종 질병의 원인이되는 세균을 없애는데 도움이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세포조직의 활성화로 노화방지, 신진대사촉진, 마성피로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항균, 제습, 공기정화 등에도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Far-infrared air purification block using charcoal}
본 발명은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강토 옹벽 블록, 식생 블록, 호안블록에 숯을 첨가하여 숯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항균력이 콘크리트 블록에서 발생하게 하여 일반인들의 일상생활시 미세먼지에 시달리는 인체에 이로움을 줄 수 있도록 제작된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보도블럭은 도시미관과 보행의 편의성을 고려하여 인도나 보도 및 주택단지, 광장, 공원, 주차장등의 보도에 연속적으로 배열하여 서로 맞대어 포장되게 된다.
이러한 보도블럭으로는 다양한 형태(정육면체, 직육면체 등)와 용도(점자블럭, 유도블럭, 보도블럭)로 사용되고 있다.
통상 보도블럭은 대부분 석재와 시멘트를 포함한 콘크리트재로 성형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이러한 인.보도블럭은 제조시 대부분 시멘트 블럭(인트로킹 블럭)이나 폐고무칩 등의 단일재료로 성형제작됨에 따라서 그 단일 재질적 요소가 가지는 문제점을 그대로 보유할 수 밖에 없었다.
시멘트 블럭의 경우 제작비가 저렴하고, 내구성 및 표면강도가 높아 차량 등과 같은 중량체의 통행에도 파손의 우려가 적으며, 외부환경의 급격한 변화에도 비교적 변형이 적다는 이점이 있었다.
종래의 보도블럭은 일반 보도블럭과 같이 물을 통과시키지 아니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으나, 최근에는 자갈 등과 같은 골재를 시멘트와 물 및 에폭시 수지를 혼재하여 블럭화한 투수성 보도블럭이 있다.
인터로킹(시멘트 블럭)은 다량의 시멘트를 함유함으로써 투수성이 없으며, 도심의 열섬현상(주변 지역 온도 상승)을 초래하여 국가적인 차원의 비용이 발생되고, 시멘트 조성물로부터 인체에 해로운 성분이 발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05-0029401호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콘크리트에 숯을 첨가하여 숯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 음이온, 항균력을 갖도록 한 보강토 옹벽 블록, 식생블록, 호안블록 등을 제공함으로써 공기 정화 성능이 발휘될 수 있도록 한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강토 옹벽 블록, 식생 블록, 호안블록의 제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시멘트, 부순잔골재, 잔골재 ,숯, 혼화제를 혼합하여 원재료를 제조하는 1공정; 혼합된 원재료를 형틀에 투입하고, 가압하여 반제품을 생산하는 2공정;을 포함하는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유색안료, 잔골재를 혼합하는 3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골재는 0.1mm~10mm정도 크기의 골재를 사용한다.
상기 숯은 0.1mm~6mm정도의 숯을 사용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시멘트, 굵은골재, 잔골재, 숯, 혼화제를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토 옹벽 블록, 식생 블록, 호안블록을 제조할 수 있으며,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각종 질병의 원인이되는 세균을 없애는데 도움이되고,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액순환과 세포조직 생성에 도움을 주며, 세포조직의 활성화로 노화방지, 신진대사촉진, 마성피로등 각종 성인병 예방에 효과가 있으며 항균, 제습, 공기정화 등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음이온이 방사되므로 공기정화작용, 먼지제거 및 살균작용, 혈액의 정화, 세포의 활성작용, 저항력 증가작용, 자율신경의 조절작용, 통증 완화작용의 효과가 있다.
또한 균에 저항하여 균이 번식하는것을 막는 항균작용이 있으며, 항균에 탁월한 숯을 원재료로 사용하여 인체에 많은 도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의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의 제조방법은,
보강토 옹벽 블록, 식생 블록, 호안블록의 제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시멘트, 부순잔골재, 잔골재 ,숯, 혼화제를 혼합하여 원재료를 제조하는 1공정;
혼합된 원재료를 형틀에 투입하고, 가압하여 반제품을 생산하는 2공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유색안료, 잔골재를 혼합하는 3공정이 추가될 수 있다.
상기 골재는 0.1mm~10mm정도 크기의 골재를 사용한다. 골재의 크기가 0.1mm 이하면 투수가 잘 안되는 문제점이 있고, 10mm 이상이면 공극이 너무 커서 외관상 좋지 않고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숯은 0.1mm~6mm정도의 숯을 사용한다. 숯의 크기가 0.1mm 이하면 골재와 공기정화 성능이 미약하고, 6mm 이상이면 색상이 검게 되어 외관상 좋지 않고 강도가 약해질 우려가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멘트 15~25중량%, 부순잔골재 30~45중량%, 잔골재 25~35중량% ,숯 8~12중량%, 혼화제 0.5~1.2중량% 를 혼합하여 원재료를 형성한다.
상기 부순잔골재 또는 잔골재는 0.1mm~10mm정도 크기의 원석을 사용한다.
상기 숯은 0.1mm~6mm정도의 크기로 된 숯 알갱이를 사용한다.
상기 원재료를 형틀에 넣고 1회 또는 수회 가압하여 밀도를 높이고 고체화시켜 일정 두께를 갖는 반제품을 생산한다(S3).
한편 전술한 반제품으로 된 원재료에 유색안료 3~10중량%, 잔골재 50~97중량%를 혼합하여 색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성형된 반 제품을 양생실로 이동시킨후 양생실에서 500도시 이상 양생시킨다(S4).
KS 규정집을 참고하면, 상기 도시라 함은 온도(℃)와 양생 시간(h)을 서로 곱한 값이다.
일 예에 따르면, 양생온도 500도시 이상 이란 양생실 온도(30℃)×양생시간(24h)=720도시일 수 있다.
500도시 이상 양생실에서 양생을 거친 제품을 파렛트에 조적한 후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의 2차가공을 거친후 KS규정강도를 만족하기 위하여 3000도시 이상 야적 양생 후 각 현장에 납품한다(S5).
상기에서 500도시 이상 양생실 양생은 초기강도(KS규정강도의 70 내지 80%) 달성하기 위함이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원재료 혼합시 물 100중량 기준으로 시멘트비는 20~25중량부 이하(KS F4419규정)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에 대한 품질 관련 기준으로는 보차도용 콘크리트 블록은 KS F4419의 기준을 충족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블록에 대한 해당제품의 한국산업규격 또는 단체 규격 및 인증 규격의 해당 품질 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시험 방법
모든 실험은 공인기관 시험성적서를 원칙으로 한다. 랜덤 샘플링 한다.
공통 기준,
대상 제품별 인증 기준에 규정된 소비자 정보 기준은 제품표면 또는 포장 표면 등 소비자가 인지할수 있는 적당한 부분에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가장 최근에 개정된 것을 적용 한다.
규정된 시험 방법에 따른 시험성적서는 국가공인 시험.검사기관의 성적서로 한다.
전술한 KS F 4419규정은 다음과 같다.
1.겉모양
블록의 겉모양에는 해로운 균열 또는 흠 등의 결점이 없어야 한다.
블록에 무늬를 넣거나 표면 가공(연마, 씻어내기, 두드리기 등)을 수 있으며, 표면의 가장자리 는 미려한 모떼기를 하여도 된다.
유색 블록의 색상은 균일해야 하며, 색얼룩 등이 없어야 한다.
블록에는 식물이 생육할 수 있도록 구멍 또는 홈을 두어 제작할 수 있다.
2.성능
블록은 8.2 및 8.3에 규정한 시험을 하여 표 1의 규정에 적합해야 한다.
3. 휨강도 (MPa) 압축강도 (MPa) 흡수율 (%) 투수계수 (mm/sec) 보도용 차도용 보도용 차도용 개개 평균
보통 블록 5.0 이상 32.0 이상 10 이하 7 이하.
투수성 블록 4.0 이상, 5.0 이상, 25.0 이상, 32.0 이상, 0.1 이상.
블록의 강도에 대한 성능은 휨강도를 기본으로 하며, 블록의 모양에 따라서 휨강도 시험이 불가능한 경우에는 압축강도로 성능을 판정할 수 있다.
4. 유색층
유색층이 있는 경우 유색층의 두께는 표면에서 8 mm 이상이어야 하며, 휨 강도 시험 후 유색층의 분리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
한편 상기 성형된 반 제품을 양생실로 이동시킨후 양생실에서 500도시 이상 양생시킨다(S9).
500도시 이상 양생 실에서 양생을 거친 제품을 파렛트에 조적한 후 필요에 따라 여러가지의 2차가공을 거친후 3000도시 이상 야적 양생 각 현장에 납품한다(S10). 단, 워싱제품은 양생실 이동전에 표층부를 살수한후 양생실로 이동한다.
야적온도 3000도시 이상이란 기온(20℃)×야적(양생)시간(7일~168시간)=3360도시이다.
여기서 야적양생 3000도시 이상 하는 이유는 양생실 500도시 양생시 초기강도(KS규정강도의 70~80%) 달성을 위함이며, KS규정강도를 만족하기 위하여 야적 양생 3000도시를 실시한 후 KS규정강도 달성 후 현장(거래처)에 출고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S1 : 1공정 S2 : 2공정
S3 : 3공정 S4 : 4공정
S5 : 5공정

Claims (2)

  1. 보강토 옹벽 블록, 식생 블록, 호안블록의 제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시멘트, 0.1mm~10mm 크기의 골재 ,숯, 혼화제를 혼합하여 원재료를 제조하는 1공정;
    혼합된 원재료를 형틀에 투입하고, 가압하여 반제품을 생산하는 2공정;
    상기 2공정의 반제품에 유색안료, 0.1mm~10mm 크기의 골재를 투입하여 혼합하는 3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숯은 0.1mm~6mm크기인 것이며,
    상기 원재료에 유색안료 3~10중량%, 골재 50~60중량%를 혼합하여 색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3공정에서 성형된 반 제품을 양생실에서 500도시 이상 양생시키고,
    상기 500도시 이상 양생을 거친 제품을 파렛트에 조적한 후 3000도시 이상 야적 양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1공정은,
    시멘트 15~25중량%, 부순잔골재 30~45중량%, 잔골재 25~35중량% ,숯 8~12중량%, 혼화제 0.5~1.2중량% 를 혼합하여 원재료를 형성하고,
    상기 부순잔골재 또는 잔골재는 0.1mm~10mm정도 크기의 원석이며,
    상기 2공정은, 원재료를 형틀에 넣고 1회 또는 수회 가압하여 밀도를 높이고 고체화시켜 반제품을 생산하고,
    상기 3공정은, 상기 반제품으로 된 원재료에 유색안료 3~10중량%, 골재 50~97중량%를 혼합하여 색상을 갖도록 하고,
    상기 500도시 이상은 양생실 온도(30℃)×양생시간(24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록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기재된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록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며, 보강토 옹벽 블록, 식생 블록, 호안블록의 제조에 적용되는 것으로,
    시멘트, 0.1mm~10mm 크기의 골재, 숯, 혼화제를 혼합하고,
    상기 숯은 0.1mm~6mm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록.
KR1020200071199A 2020-06-11 2020-06-11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 KR1022248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99A KR102224859B1 (ko) 2020-06-11 2020-06-11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199A KR102224859B1 (ko) 2020-06-11 2020-06-11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4859B1 true KR102224859B1 (ko) 2021-03-08

Family

ID=75184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199A KR102224859B1 (ko) 2020-06-11 2020-06-11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485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0767A (ja) * 2000-03-27 2001-10-02 Dainichi:Kk 炭入り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9401A (ko) 2003-09-22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토출관 보호장치
KR100628515B1 (ko) * 2005-04-08 2006-09-27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투수성 인터로킹 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22413B1 (ko) * 2010-10-14 2011-03-15 대명콘텍 주식회사 대기 및 수질정화작용을 갖는 기능성 콘크리트블록
KR101703913B1 (ko) * 2016-05-31 2017-02-08 (주) 에코제이피 천연 광물을 이용한 보도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도 블록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0767A (ja) * 2000-03-27 2001-10-02 Dainichi:Kk 炭入り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50029401A (ko) 2003-09-22 2005-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왕복동식 압축기의 가스토출관 보호장치
KR100628515B1 (ko) * 2005-04-08 2006-09-27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투수성 인터로킹 블럭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022413B1 (ko) * 2010-10-14 2011-03-15 대명콘텍 주식회사 대기 및 수질정화작용을 갖는 기능성 콘크리트블록
KR101703913B1 (ko) * 2016-05-31 2017-02-08 (주) 에코제이피 천연 광물을 이용한 보도 블록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보도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862B1 (ko)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 겸용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로킹 블록의 제조방법 및 이의 인터로킹 블록
KR101058439B1 (ko) 탄성 포장용 가공코르크 칩과 그 시공방법
JP2010505719A (ja) 複合透水性レンガ及び複合透水性レンガの表面層製造用混合材料
CN104276670A (zh) 一种含天然矿物质的污水处理剂以及制备方法
CN109650777A (zh) 一种复合透水砖及其制备方法
KR101400959B1 (ko) 도막형 바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KR102224859B1 (ko) 숯을 사용한 원적외선 공기정화블럭
KR101013035B1 (ko) 친환경 자전거 전용도로 및 산책로 포장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CN105254235A (zh) 彩色透水混凝土地坪材料及其制造方法
KR100991594B1 (ko) 자전거 도로용 포장체의 시공방법
CN106995300A (zh) 一种陶粒透水路面砖的制备方法
KR102273558B1 (ko) 경량 투수 기층 블록 및 폴리머 포장을 포함하는 바닥포장 구조물과 이의 제조 방법
KR100975608B1 (ko) 친환경 탄성포장재 칩
KR100969164B1 (ko) 자전거 도로용 포장체
CN1232701C (zh) 利用废旧轮胎碎片制作的砖材及其制造方法
KR100788633B1 (ko) 투수성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179041Y1 (ko) 표면연마층을 갖는 보도블럭
KR101363971B1 (ko) 흙포장재
KR101682142B1 (ko) 경하중도로용 조성물을 이용한 경하중도로의 시공방법
KR100976759B1 (ko) 보습성 콘크리트 블록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63654B1 (ko) 황토석을 이용한 바닥판 시공방법과 그 바닥판 제품
KR100272802B1 (ko) 콘크리트 포장의 표면층 처리방법
CN216006474U (zh) 软木跑道结构
CN107759148A (zh) 一种地质聚合物轻骨料透水砖及其制作方法
KR101057805B1 (ko) 친환경 마감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