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4429B1 - 프레임 및 내부 피팅 구성요소를 갖는 스위치 캐비닛,대응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및 대응 내부 피팅 구성요소 - Google Patents

프레임 및 내부 피팅 구성요소를 갖는 스위치 캐비닛,대응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및 대응 내부 피팅 구성요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4429B1
KR102224429B1 KR1020197007176A KR20197007176A KR102224429B1 KR 102224429 B1 KR102224429 B1 KR 102224429B1 KR 1020197007176 A KR1020197007176 A KR 1020197007176A KR 20197007176 A KR20197007176 A KR 20197007176A KR 102224429 B1 KR102224429 B1 KR 102224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profile
mounting
row
switch cabi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1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8641A (ko
Inventor
티모 쉰들러
다니엘 브뤽크
하이코 홀릭하우스
Original Assignee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filed Critical 리탈 게엠베하 운트 코.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386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86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4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4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3Profiles for cabinet fram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8Mounting of cabinets toge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3Bases or fee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2Mounting of devices there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1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mainly consisting of a frame onto which plates are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Assembled Shelv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4개의 수직 프로파일형 요소(3) 및 8개의 수평 프로파일형 요소(4)로 이루어진 입방체 프레임(2)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1)에 관한 것으로, 프로파일형 요소(3, 4) 중 4개는 직사각형 프로파일형 요소 프레임을 형성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는 프로파일형 요소 프레임을 형성하는 4개의 프로파일형 요소(3, 4) 중 2개는 각각 일정한 간격(M)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열의 체결 리셉터클(6)을 갖는 제1 체결 프로파일형 요소 측면(5)을 가지며, 제1 체결 프로파일형 요소 측면(5)은 공통 평면(E)에 놓이고, 평행한 프로파일형 요소 사이에서 연장되는 제1 내부 피팅 구성요소(7)는 이들 2개의 제1 체결 프로파일형 요소 측면(5) 상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내부 피팅 구성요소는 제1 열(6)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열의 체결 리셉터클(9)을 갖는 장착 측면(8)을 가지며, 이 스위치 캐비닛은 제2 열의 체결 리셉터클(9)이 제1 열의 체결 리셉터클(6)의 연장 방향(y)으로 제1 열의 체결 리셉터클(6)의 간격(M)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임 및 내부 피팅 구성요소를 갖는 스위치 캐비닛,대응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및 대응 내부 피팅 구성요소
본 발명은 4개의 수직 프로파일 및 8개의 수평 프로파일로 구성된 직사각형 랙을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닛에 관한 것으로, 프로파일 중 4개는 직사각형 프로파일 프레임을 형성하고, 프로파일 프레임을 형성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4개의 프로파일 중 2개는 각각 일정한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서로 이격된 제1 열의 체결 장착부를 갖는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을 포함하며,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공통 평면에 배치되고, 이 2개의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 상에는 평행 프로파일 사이에서 연장하는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장착되고,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제1 열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제2 열의 체결 장착부를 갖는 장착 측면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위치 캐비닛은 DE 196 47 802 C1에 공지되어 있다. 유사한 조립체는 또한 DE 196 47 727 A1 및 DE 196 47 753 C2에 설명되어 있다.
스위치 캐비닛의 랙을 구성하는 수평 프로파일 및 수직 프로파일은 종종 그리드 천공부를 갖는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에 대면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파일 측면을 포함하고, 그리드 천공부를 통해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 구조를 위한 구조 구성요소가 스위치 캐비닛의 랙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원론적으로 임의의 특정 구성요소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하게 대향 배치된 스위치 캐비닛의 랙의 2개의 프로파일 사이에 장착될 수 있는, 장착 섀시(mounting chassis)라고도 지칭되는 종래 기술로부터 인용된 공지된 장착 레일을 단지 예로서 들 수 있으며, 이는 스위치 캐비닛 랙의 프로파일의 체결 장착부 뿐만 아니라 장착 레일의 도움으로 제공된 추가적 체결점이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 구조를 위한 고정점으로서 가용하도록 체결 장착부로 구성되는 추가적인 열의 구멍 형태로 이들 프로파일 사이에 추가적인 장착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는 스위치 캐비닛 구성에서 기본 목적은 열적 제한과 같은 모든 경계 조건을 고려하면서 스위치 캐비닛에 수용된 구성요소의 팩킹 밀도를 가능한 많이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공지된 조립체에 임의의 추가적인 장착 레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내부 구조 구성요소, 예를 들어 앞서 설명한 종류의 장착 레일을 제공할 필요가 있으며, 장착 레일은 필수적으로 랙의 프로파일을 거쳐 고정되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공지된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 구조 옵션을 제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최대로 유연한 내부 구조를 보장하는 방식으로 앞서 설명한 종류의 스위치 캐비닛을 더 정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스위치 캐비닛에 의해 달성된다. 청구항 10은 대응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에 관련되고 청구항 17은 대응 내부 구조 구성요소에 관한 것이다.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따라서, 제2 열의 체결 장착부는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의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이 제공된다.
따라서, 기능적인 관점에서,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장착 측면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는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제1 열의 체결 장착부를 연장하지만, 종래 기술과는 달리,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의 그리드 치수를 유지한다. 예를 들어, 제1 열의 체결 장착부는 프로파일 프레임의 수직 프로파일의 수직 프로파일 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열의 체결 장착부는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규칙적으로 이격된 체결 장착부로 이루어진다.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장착 섀시일 수 있고, 그 장착 측면 및 장착 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제2 열의 체결 장착부는 수직 프로파일에 수직으로 연장되고, 따라서, 수평으로 연장된다. 이 경우 앞서 설명한 그리드 치수의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가 수직 방향으로 제1 열의 체결 장착부 중 하나의 체결 장착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수직 높이에 배치되어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의 관련 체결 장착부가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와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게 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드 치수의 유지를 보장하기 위해, 내부 구조 구성요소를 프로파일 프레임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 수단이 이에 따라 설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체결 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파일 프레임의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의 체결 장착부에 결합하는 후크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체결 수단은 DE 196 47 802 C1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체결 장착부의 치수 안정성은 프로파일 프레임과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앞서 설명한 조합에만 제한될 수 없다. 또한,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프로파일 프레임의 상이한 프로파일의 체결 장착부가 배열되는 것이 제공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로 수직으로 배치된 프로파일 프레임의 2개의 프로파일은 각각 공통 평면에 놓이는 체결 프로파일 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체결 장착부의 2개의 열이 특히 서로 수직으로 연장되도록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체결 장착부의 열을 포함한다. 프로파일 프레임의 프로파일 측면에 대한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체결 장착부의 관계와 유사하게, 이 경우 2개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의 2개 열의 체결 장착부가 따라서 그리드 치수, 예를 들어, 2 차원 25㎜ x 25㎜ 그리드 매트릭스를 유지하면서 균일한 그리드 매트릭스로 배열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리드 치수의 유지가 체결 프로파일 측면 상의, 그리고, 선택적으로 거기에 체결된 내부 구조 구성요소 상의 평면에 위치하는 모든 열의 구멍에 걸쳐 연장되는 경우에, 예를 들어, 추가적인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예를 들어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에 수직인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체결 장착부의 열을 통해 고정되는 경우에도, 추가적인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체결 장착부가 또한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배열되어 설명된 내부 구조 개념이 임의로 계단구조화(cascadable)될 수 있는 것이 보증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는 특히 종래 기술에 비해, 스위치 캐비닛 랙의 프로파일 프레임의 프로파일 스트러트가 내부 구조 구성요소, 특히 장착 레일 또는 장착 섀시를 고정하는 데 적합할뿐만 아니라 랙의 2개의 평행한 프로파일 스트러트 사이에 고정된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 위로 연장하는 제2 열의 체결 장착부를 고정하는 데에도 마찬가지로 적합하여, 이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가 적어도 하나의 추가적인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치수적으로 안정한 고정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는 장점을 유발한다.
본 발명의 의미 내의 체결 장착부는 임의의 특정 기하형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러나, 원론적으로 직사각형 체결 장착부 기하형상이 특히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이유는 예를 들어, 그 직선 경계 측면으로 인해 구성요소를 서로에 대해, 예를 들어, 내부 구조 구성요소를 프로파일 프레임의 프로파일에 대해 정확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체결 장착부는 특히 DE 196 47 802 C1에서 보여지듯이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기하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기 위해, 체결 프로파일 측면의 체결 장착부의 각각 하나의 중간점은 장착 측면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의 중간점이 배치되는 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의 체결 장착부가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체결 장착부의 기하형상과 다른 기하형상을 갖는 경우에도 그리드 치수가 유지되는 것이 보장된다.
프로파일 프레임을 형성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4개의 프로파일 중 2개의 프로파일은 각각 동일한 일정한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서로 이격된 제1 또는 제2 열의 체결 장착부를 갖는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프로파일 프레임의 외부 측면에 위치되고,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에 평행하게 이격된 2개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 중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외부 측면에 대향 배치된 프로파일 프레임의 내부 측면 상에 배치되며, 외부 측면 상에 배치된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제1 공통 평면에 배치되고, 내부에 배치된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제2 공통 평면에 배치된다.
제1 공통 평면은 내부 구조 구성요소를 체결하기 위해 랙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장착 평면일 수 있으며, 장착 평면은 랙의 외부 밀봉 에지에 대해 후퇴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에 적절한 프로파일 기하형상은 DE 10 2014 101 404 A1에 공지되어 있다.
제1 또는 제2 평면 상의 프로파일 상에 장착된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장착되는 각각의 평면에 그 장착 측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오프셋을 통해 장착 측면 내로 돌출하는 장착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어서, 장착 플랜지에 대한 두께 보상이 오프셋을 통해 구현된다.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그 장착 측면이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에 언제나 대면하는 상태로 랙의 프로파일에 고정되므로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에서 접근 가능한 평면에 고정되어야 하는 지 또는 랙의 외부 측면을 향한 평면에 고정되어야 하는지에 따라 대응적으로 오프셋될 수 있다.
평면 마다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 내에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설정 보조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위치설정 보조구는 그리드 치수 또는 그 배수에 대응하는 서로에 대한 간격으로 각각의 제1 또는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마킹을 포함한다. 마킹은 제1 또는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에 인접한 밀봉 리지를 통해 통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밀봉 리지는 적어도 180° 절첩 에지 위로 자체적으로 절첩된 2개의 프로파일 측면으로 형성되어 통로는 또한 랙의 침지 코팅을 위한 페인트 흘러내림 차단부(paint run-off)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는다.
제2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에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의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와 평행한 제2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다른 장착 측면의 추가적인 제2 열의 체결 장착부는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장착 측면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특히, 적어도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그를 통해 프로파일 프레임에 고정되는 프로파일 프레임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뿐만 아니라 2개의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2개의 장착 측면이 공통 평면에 배치되어, 내부 구조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프로파일 프레임의 동일 평면 체결 프로파일 측면(flush fastening profile sides)이 장착 평면의 2개의 치수에서 치수적으로 안정한 그리드 간격을 갖는 공통 장착 평면을 형성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제2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추가적인 장착 측면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는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의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배열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의 체결 장착부는, 서로의 사이뿐만 아니라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의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에 관해서도,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 및 제1 및 제2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체결 장착부가 2개의 방향으로 일정한 그리드 치수를 갖는 2 차원 구멍 그리드로 예를 들어, 예를 들어, 25㎜ x 25㎜ 구멍 그리드로 배열되도록 하는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의 그리드 치수로 배열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이전에 설명된 종류의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캐비닛을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그 랙은 그 직사각형 프로파일 프레임을 통해 서로 맞닿고 2개의 프로파일 프레임의 인접 프로파일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스택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스택 커넥터는 추가적인 체결 장착부를 갖는 추가적인 장착 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착 측면은 각각의 경우에 인접한 프로파일의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과 동일 평면에 있다.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제3 열의 체결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프로파일 프레임은 프로파일 프레임의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밀봉 리지를 통해 서로 맞닿아 스택 커넥터의 장착 측면에 의해 가교되는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 사이에 간격을 형성함으로써 인접한 스위치 캐비닛의 프로파일 프레임 사이에서 연속적인 장착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원리는 서로의 상단에 수직으로 적층된 랙 및 수평으로 직렬로 배열된 랙 모두에 유사하게 적용 가능하며, 대응하는 스택 커넥터, 특히 동일한 스택 커넥터를 통해 수직 방향으로, 각각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인접한 랙의 프로파일 프레임 사이에 연속적인 장착 평면이 형성된다. 따라서, 특히,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각각으로 연속적인 시스템 그리드가 달성될 수 있고,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모든 캐비닛에 걸쳐 장착될 수 있다.
모든 구성요소에 걸쳐 일정하고 치수적으로 안정한 스위치 캐비닛 환경에서 체결 장착부의 그리드 치수 일관성을 추가로 향상시키기 위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프로파일 측면 사이에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장착될 수 있도록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서로 평행하게 이격된 도어 튜브 프레임의 평행 프로파일 측면에도 체결 장착부의 체계적인 천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랙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있는 체결 프로파일 측면을 포함하고, 각각이 내부에 형성된 체결 장착부를 갖는 경우, 내부 구조 구성요소, 예를 들어 장착 섀시는 2개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 중 제1 측면을 통해 후크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체결 프로파일 측면을 통해 외부 측면으로부터 장착되거나,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의 내부 측면을 거쳐 다른 체결 프로파일 측면을 통해 나사 연결될 수 있다.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 및 장착 측면은 일정한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체결 장착부를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 및 장착 측면의 체결 장착부는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서로 이격된다. 그 결과는 그리드 치수의 유지가 또한 모든 스위치 캐비닛으로, 즉 서로 인접한 스위치 캐비닛 랙 사이로 연장되어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또한 인접 랙 사이에서 안내될 수 있으며, 그래서,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대향 배치된 제1 단부를 통해 제1 랙에, 예를 들어, 제1 스위치 캐비닛 랙의 수직 배향된 장착 섀시 상에 고정되고, 차례로 예를 들어 제2 스위치 캐비닛 랙의 다른 장착 섀시를 통해 제1 랙에 인접한 제2 랙의 제1 단부에 대향 배치된 제2 단부에서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다수의 체결점, 예를 들어 각각의 경우에,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대향 단부들의 체결 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체결점 또는 체결 수단의 간격은 편리하게 그리드 치수의 배수에 대응한다.
스택 커넥터는 그 장착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 각각에 체결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택 커넥터는 특히 인접한 프로파일 프레임의 대향하는 외부 측면에 대향 체결 프로파일 측면 상의 체결 플랜지를 통해 고정되고, 특히 나사 연결된다.
모든 수직 및 수평 프로파일은 중공 챔버 프로파일로서, 특히 동일한 단면을 갖는 중공 챔버 프로파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중공 챔버 프로파일은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을 통해 평행하게 이격된 서로에 연결되는,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2개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 중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스위치 캐비닛의 외부 측면 상에 배치되고 프로파일의 밀봉 리지는 이 외부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며, 2개의 평행한 체결 프로파일 측면 중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 측면에 배치된다.
랙은 직각으로 상호 연결된 4개의 수평 프로파일로 구성된 직사각형 베이스 프레임을 가질 수 있으며, 베이스 프레임의 프로파일 각각은 체결 장착부의 원주방향 열을 갖는,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지지 플랜지를 구비한다.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종류의 스위치 캐비닛 또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용 내부 구조 구성요소에 관한 것으로,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내부 구조 레일이며, 이는 내부 구조 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일 열의 체결 장착부를 갖는 장착 측면과, 스위치 캐비닛 또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의 내부에 내부 구조 레일을 장착하기 위해 그 대향 단부들에 형성된 체결 수단을 포함한다. 내부 구조 레일은 이제, 내부 구조 레일이 체결 프로파일 측면 중 하나를 통해 스위치 캐비닛에 장착될 때 제1 열의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제2 열의 체결 장착부가 제1 열의 연장 방향으로 배치되는 방식으로 제1 및/또는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의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의 그리드 치수에 체결 수단이 매칭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이 경우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체결 장착부의 다수의 평행한 제2 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열은 그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그들 사이, 즉 그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 그리드 치수를 유지한다.
마지막으로,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단부들의 체결 수단은 장착 플랜지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평탄한 섹션 홀더를 수용하기 위한 및/또는 장착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2개의 대향하는 외부 에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라운드-오프(round-off) 형태의 크롭(crop)을 위한 섹션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캐비닛의 수직 프로파일 프레임을 통한 수평 단면을 도시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라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는,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체결되는 스위치 캐비닛의 프로파일 프레임의 상세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장착 섀시로서 형성된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장착 섀시로서 형성된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다른 상세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캐비닛의 프로파일 프레임의 대향한 평행 프로파일을 통한 도 4에 따른 장착 섀시의 후크 장착을 예시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그를 통해 장착되는 스위치 캐비닛 랙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그를 통해 장착되는 다른 스위치 캐비닛 랙을 도시한다.
도 8은 스택 커넥터를 통해 서로 연결된 2개의 랙으로 구성된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를 도시한다.
도 1은 스위치 캐비닛(1)의 랙(2)을 통과하는 수평 단면을 도시하며, 명시된 수직 프로파일(3)의 단면 기하형상은 DE 10 2014 1011404 A1에 공지된 기하형상과 유사하다. 단면 기하형상은, 특히, 수직 프로파일(3)이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11)을 통해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본질적으로 2개의 장착 평면(E)을 제공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은 평면(E)에서 쌍으로 배치되며, 평면(E)의 내부 구조 구성요소(7)가 평면(E) 상에 고정될 수 있도록 각각 일 열의 체결 장착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수직 프로파일(3) 사이의 전체 간격에 걸쳐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장착 측면(8)을 포함한다. 장착 측면(8)의 단부는 각각 내부 구조 구성요소(7)가 그를 통해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 및 내부에 형성된 체결 장착부(도시되지 않음)에 고정될 수 있는 체결 플랜지(21)에 결합한다.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DE 196 47 802 C1로부터 공지된 바와 같이 장착 섀시의 방식으로 이러한 목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장착 섀시(7)의 대향 단부들은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에 제공된 체결 장착부가 그를 통해 후크 장착될 수 있는 후크 요소(도 3 및 도 4 참조)를 포함하는 체결 플랜지(21)를 포함한다. 명백한 바와 같이,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그 길이방향 측면(12)을 따라 추가적인 열의 체결 구멍(22)을 포함한다.
도 2는 장착 섀시로서 설계된 후크 장착 내부 구조 구성요소(7)를 갖는 스위치 캐비닛 랙의 수직 프로파일(3)의 상세도를 참조하여 예로서, 그리드 치수(M)의 교차 구성요소 유지를 도시한다. 수직 프로파일(3)의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은 그리드 치수(M)로 배열된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를 포함한다. 유사하게, 장착 섀시(7)의 장착 측면(8) 각각은 각각의 장착 측면(8)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하는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를 포함하고, 이는 차례로 동일한 그리드 치수(M)에 대응하는 간격을 갖는다.
또한, 도 2에서 그리드 치수(M)의 교차 구성요소 유지를 위해, 즉 수직 프로파일(3)과 내부 구조 구성요소(7) 사이의 그리드 치수(M)를 유지하기 위해, 공통 평면(E)에 배치된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체결 장착부(6) 중 각각의 하나의 중간점(도 1 참조)은 장착 측면(8)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의 중간점이 배치되는 직선(G) 상에 배치된다는 것이 명백하다. 이 결과는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체결 장착부(6) 및 내부 구조 구성요소(7)의 장착 측면(8)의 체결 장착부(9)가 2 차원 구멍 그리드로 배치된다는 것이며, 공간 치수 모두에서 그리드 간격은 각각의 경우 그리드 치수(M)를 갖는다.
수직 프로파일(3)에 대해 내부 구조 구성요소(7)를 정확하게 정렬하기 위해,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후크 요소(도 3 참조)를 갖는 장착 플랜지(21)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체결 장착부(6) 중 하나의 경계 에지(10)에 맞닿는 것이 제공된다.
내부 구조 구성요소(7)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도시된다. 이는 장착 섀시로 설계된다. 장착 섀시의 단부는 각각 후크(29)를 통해 프레임 프로파일의 제1 열의 체결 장착부에 결합할 수 있는 장착 플랜지(21)를 포함한다. 후크 요소(29) 각각은 접촉 측면(30)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각각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체결 프로파일 측면(5) 상의 체결 장착부(6) 중 하나의 경계 에지(10)에 내부 구조 구성요소(7)가 접촉하며, 그래서, 내부 구조 구성요소(7)의 장착 측면(8)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는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체결 장착부(6)에 관하여 정밀하게 배열, 즉,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의 그리드 치수(M)를 유지하면서 제2 체결 장착부(9)가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의 연장 방향으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또한, 이들 사이의 제2 체결 장착부(9)는 그리드 치수(M)로 배열되고, 또한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연관된 체결 장착부(6)에 관하여 배열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측면(8)은 다수의 열의 체결 장착부(9)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열들의 체결 장착부(9)는 각각 그리드 치수(M)의 열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고, 서로에 대한 열의 수직 간격이 또한 그리드 치수(M)를 유지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는 것은 유사한 구멍 기하형상 또는 기하형상 의존 연속 체결 장착부에 관련될 수 있다. 그리드 치수(M)는 예를 들어 25㎜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체결 장착부(6)와 장착 측면(8)의 연관된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 사이의 간격은 특히, 체결 장착부(9) 각각에 대해 그리드 치수(M)의 배수일 수 있다.
장착 플랜지(2)의 대향하는 외부 에지는 각각 크롭(crop)(27)을 포함하고, 이 크롭은 평탄한 섹션이 외부 측면 상에 이미 장착되어, 즉, 밀봉 리지(20)에 직접 인접하는 경우, 스위치 캐비닛(1)의 외부 측면(A)으로부터 외부에 배치된 체결 평면(E)에 대한 접근이 밀봉하도록 장착 섀시(7)가 스위치 캐비닛(1)(도 1 비교)의 외부 측면(A)에 대면하는 장착 평면(E) 상에 외부 측면을 통해 장착될 때에도 장착 섀시(7)의 스위블을 허용하도록 의도된다. 이 경우, 장착 섀시(7)는 도 5(보다 간단한 제시를 위해, 여기에서는 측부 벽이 생략됨)에 도시된 방식으로 내부 측면(I)으로부터 스위블될 수 있다. 크롭(27)은 스위블링 중 장착 섀시(7)가 수직 프로파일(3)과 재밍되는(jammed) 것을 방지한다.
장착 섀시(7)의 장착을 단순화하기 위해, 섀시(7)의 장착 플랜지(21)는 각각 마킹(14)을 포함하며, 수직 프로파일(3)의 밀봉 리지(20)는 대응하는 마킹(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도 6 및 도 7은 스위치 캐비닛 내부 구조를 위한 장착 섀시를 체결하는 본 발명에 따른 개념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도시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개념에서, 언제나 장착 섀시(7)만이 대향 수직 프로파일 또는 수평 프로파일 사이에 장착될 수 있는 반면, 그리드 치수, 예를 들어 25㎜ 그리드 치수가 모든 공간적 방향에서 일관성 있게 얻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개념은 장착 섀시(7)가 스위치 캐비닛의 랙의 프로파일에 직접 고정될 수 있게 할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적인 장착 섀시(7)에 직각으로 고정된 섀시(7)의 장착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수평 제1 장착 섀시(7)는, 예를 들어 서로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랙(2)의 대향하는 수직 프로파일(3) 사이에 장착될 수 있고, 추가적인 장착 섀시(7)는 2개의 수평 장착 섀시(7)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배열되고 제1 장착 섀시(7)의 대향하는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에 체결되는 그 대향 장착 플랜지(21)를 통해 장착 섀시에 연결된다. 장착 개념은 스위치 캐비닛의 세 공간 치수 모두에 적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따라, 수직 프로파일(3)에 의해 형성된 장착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추가적인 장착 레일(7)은 또한 수직 프로파일(7) 사이에 장착된 장착 섀시(7)에 고정될 수 있고, 모든 장착 섀시(7)에 의해 제공된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가 2 차원 또는 3 차원 그리드 치수 내에 배치되는 것이 항상 보증된다.
도 6 및 도 7은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에 장착 판을 설치하는 데 사용되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역시 기능이 없었던 안내 레일이 이에 따라 또한 이제 25㎜ 그리드에 통합되고, 따라서, 장착 판이 스위치 캐비닛 내부에 고정되면 장착 레일, 따라서 장착 섀시의 기능을 추가적인 기능으로서 가질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도 8은 2개의 스위치 캐비닛(1)으로 구성된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를 도시하며, 그 각각은 랙(2)을 포함하며, 각각의 경우에 2개의 수직 프로파일(3) 및 2개의 수평 프로파일(4)(단지 하부 수직 프로파일(4)만이 도시됨)은 각각 프로파일 프레임을 형성하며, 이 프로파일 프레임을 통해 인접한 랙(2)이 서로 연결된다. 랙은 장착 섀시로서 형성된 스택 커넥터(15)를 통해 서로 연결되고, 스택 커넥터(15)는 추가적인 체결 장착부(17)를 갖는 추가적인 장착 측면(16)을 포함한다. 각각의 경우에 추가적인 장착 측면(16)은 프로파일 프레임의 인접한 프로파일(3, 4)의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18)과 동일 평면에 있으며,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18)은 제3 열의 체결 장착부(19)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프로파일 프레임은 프로파일 프레임의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밀봉 리지(20)를 통해 서로 맞닿고, 따라서 2개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5) 사이의 간격을 포함한다. 이러한 간격은 특히 스택 커넥터(15)의 장착 측면(16)에 의해 가교되어, 인접한 스위치 캐비닛(1)의 프로파일 프레임(3, 4) 사이에 연속적인 장착 평면이 형성된다.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18) 및 장착 측면(16)은 일정한 그리드 치수를 유지하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체결 장착부(17, 19)를 각각 포함하고,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18) 및 장착 측면(16)의 체결 장착부(17, 19)는 그리드 치수를 또한 유지하면서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다. 그 결과는 내부 구조 구성요소가 스위치 캐비닛(1)의 제1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로부터 인접한 프로파일 프레임을 통해 제2 스위치 캐비닛(1) 중 하나의 내부로 안내될 수 있고,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예를 들어 그 대향 체결 플랜지들을 통해 그리드 치수로 또한 배열된 다른 장착 섀시에 고정되는 장착 섀시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설명, 도면 및 청구범위에서 개시된 본 발명의 특징은 단독으로 또한 임의의 조합으로 본 발명을 구현하는 데 필수적일 수 있다.
1 스위치 캐비닛
2 랙
3 수직 프로파일
4 수평 프로파일
5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
6 제1 열의 체결 장착부
7 내부 구조 구성요소
8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장착 측면
9 제2 열의 체결 장착부
10 경계 에지
11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
12 내부 구조 구성요소의 길이방향 측면
13 밀봉 에지
14 마킹
15 스택 커넥터
16 추가적인 장착 측면
17 추가적인 체결 장착부
18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
19 제3 열의 체결 장착부
20 밀봉 리지
21 체결 플랜지
22 추가적인 열의 체결 구멍
23 베이스 프레임
24 지지 플랜지
25 체결 장착부의 원주방향 열
26 상세부
27 크롭
28 오프셋
29 후크
30 접촉 측면
A 외부 측면
E 평면
G 직선
I 내부 측면
M 그리드 치수
y 연장 방향

Claims (19)

  1. 4개의 수직 프로파일(3) 및 8개의 수평 프로파일(4)로 구성된 정사각형 랙(2)을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닛(1)이며,
    4개의 프로파일(3, 4)은 직사각형 프로파일 프레임을 형성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하면서 프로파일 프레임을 형성하는 4개의 프로파일(3, 4) 중 2개는 각각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을 포함하고,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일정한 그리드 치수(M)를 유지하면서 서로 이격된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를 갖고,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은 공통 평면(E)에 배치되고 2개의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 상에는 평행한 프로파일 사이에서 연장하는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7)가 장착되고,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는 제1 열(6)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를 갖는 장착 측면(8)을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닛에 있어서,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는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 및 내부 구조 구성요소(7)의 장착 측면(8)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 모두를 2 차원 구멍 그리드로 배치함으로써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의 그리드 치수(M)를 유지하면서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의 연장 방향(y)으로 배열되고, 양 치수의 그리드 간격은 각각의 경우에 그리드 치수(M)를 가지며,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내부 구조 레일(7)이며, 이는 내부 구조 레일(7)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를 갖는 장착 측면(8)과, 스위치 캐비닛(1)의 내부에 내부 구조 레일(7)을 장착하기 위해 그 대향 단부들에 형성된 체결 플랜지(21)를 포함하고,
    체결 플랜지(21)는, 내부 구조 레일(7)이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 중 하나를 통해 스위치 캐비닛(1)에 장착될 때, 공통 평면(E)에 배치된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각각의 하나의 체결 장착부(6)의 중간점이 장착 측면(8)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의 중간점이 배치되는 직선(G) 상에 배치되는 방식으로 제1 및/또는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의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의 그리드 치수(M)에 매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닛(1).
  2. 제1항에 있어서, 프로파일 프레임을 형성하고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4개의 프로파일(3, 4) 중 2개가 각각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을 포함하며,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 각각은 동일한 일정한 그리드 치수(M)를 유지하면서 서로 이격된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를 가지며,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은 프로파일 프레임의 외부 측면(A) 상에 배열되고, 2개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11) 중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외부 측면(A)에 대향 배치된 프로파일 프레임의 내부 측면(I) 상에서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에 대해 평행하게 이격되어 배열되고, 외부 측면(A)에 배치된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은 제1 공통 평면(E)에 배치되고, 내부 측면(I) 상에 배치된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제2 공통 평면(E)에 배치되는, 스위치 캐비닛(1).
  3. 제2항에 있어서, 제1 공통 평면(E)은 랙(2)의 외부 측면으로부터 접근 가능한 내부 구조 구성요소(7)를 고정하기 위한 장착 평면이고, 장착 평면은 랙(2)의 외부 밀봉 에지(13)에 관해 후퇴되는, 스위치 캐비닛(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1 또는 제2 평면(E) 위에서 프로파일(3, 4) 상에 장착된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그를 통해 장착되게 되는 각각의 평면(E)에 그 장착 측면(8)을 갖는 상태로 배치되는, 스위치 캐비닛(1).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E)에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7)를 장착하기 위한 위치설정 보조구를 평면(E)마다 포함하며, 위치설정 보조구는 각각의 제1 또는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의 길이방향으로 그리드 치수(M)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리드 치수(M)의 배수에 대응하는 서로에 대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마킹(14)을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닛(1).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2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7)에 고정되고,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와 평행한 제2 내부 구조 구성요소(7)의 추가적인 장착 측면(8)의 추가적인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는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7)의 장착 측면(8)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에 수직으로 연장하는, 스위치 캐비닛(1).
  7. 제6항에 있어서, 제2 내부 구조 구성요소(7)의 추가적인 장착 측면(8)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는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의 그리드 치수(M)를 유지하면서 배열되는, 스위치 캐비닛(1).
  8. 제7항에 있어서, 제1 내부 구조 구성요소(7)의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의 체결 장착부(9)는, 서로의 사이 뿐만 아니라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에 관해서도,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의 체결 장착부(6, 9) 및 제1 및 제2 내부 구조 구성요소(7)의 체결 장착부(6, 9)가 2개의 치수에서 일정한 그리드 치수(M)를 갖는 2 차원 구멍 그리드로, 예를 들어, 25㎜ x 25㎜ 구멍 그리드로 배열되도록, 제1 열의 체결 장착부(6)의 그리드 치수(M)로 배열되는, 스위치 캐비닛(1).
  9.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이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2개의 스위치 캐비닛(1)을 포함하고, 그 랙(2)은 그 직사각형 프로파일 프레임을 통해 서로 맞닿고, 적어도 하나의 스택 커넥터(15)를 통해 프로파일 프레임의 2개의 인접한 프로파일(3, 2)을 따라 서로 연결되며, 스택 커넥터(15)는 추가적인 장착 측면(16)을 포함하고, 추가적인 장착 측면은 인접한 프로파일(3, 4) 각각의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18)과 동일 평면에 놓여지고,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18)은 제3 열의 체결 장착부(19)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프로파일 프레임은 프로파일 프레임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5)에 수직으로 프로파일 프레임 위로 연장되는 밀봉 리지(20)를 통해 서로 맞닿고, 그 결과로 간격이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5) 사이에 형성되어 인접한 스위치 캐비닛(1)의 프로파일 프레임(3, 4) 사이에 연속적인 장착 평면이 형성되며, 이 간격은 스택 커넥터(15)의 장착 측면(16)에 의해 가교되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
  11. 제9항에 있어서,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18)과 장착 측면(16) 각각은 일정한 그리드 치수(M)를 유지하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체결 장착부(17, 19)를 포함하고,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18) 및 장착 측면(16)의 체결 장착부(17, 19)는 그리드 치수(M)를 또한 유지하면서 그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이격되어 있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
  12. 제9항에 있어서, 내부 구조 구성요소(7)는 스위치 캐비닛(1) 중 제1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로부터 인접한 프로파일 프레임을 통해, 2개의 스위치 캐비닛(1) 중 제2 스위치 캐비닛의 내부로 안내되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
  13. 제9항에 있어서, 스택 커넥터(15)의 대향하는 길이방향 측면들 각각은 그 장착 측면(16)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체결 플랜지를 포함하고, 스택 커넥터(15)는 대향 체결 프로파일 측면(5) 상의 체결 플랜지를 통해 맞닿은 프로파일 프레임의 대향하는 외부 측면(A) 상에 고정, 특히 나사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
  14. 제9항에 있어서, 모든 수직 프로파일 및 수평 프로파일(3, 4)은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을 포함하는 중공 챔버 프로파일로서 설계되고, 이들은 제1 및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제3 체결 프로파일 측면(18)을 통해 서로 평행하게 이격되어 연결되며, 2개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 중 제1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스위치 캐비닛(1)의 외부 측면(A) 상에 배열되고, 이에 수직으로 프로파일(3, 4)의 밀봉 리지(20)가 연장하며, 2개의 체결 프로파일 측면(5, 11) 중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은 스위치 캐비닛(1)의 내부 측면(I)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직사각형 베이스 프레임(23)은 서로 직각으로 연결된 4개의 수평 프로파일(4)로부터 형성되고, 베이스 프레임의 프로파일(4)은 체결 장착부(25)의 원주방향 열을 갖는 제2 체결 프로파일 측면(11)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지지 플랜지(24)를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평행한 제2 열의 체결 장착부(9)를 포함하고, 제2 열은 그 길이방향뿐만 아니라 그에 수직인 방향으로 그리드 치수(M)를 유지하는, 스위치 캐비닛(1).
  17. 제1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체결 플랜지(21)는 단부가 장착 플랜지로서 설계되고, 이는 장착 플랜지 중 적어도 하나의 2개의 대향한 외부 에지 중 적어도 하나 상에 라운드-오프 형태의 크롭(27) 및/또는 평탄한 섹션 홀더를 수용하기 위한 섹션(26)을 포함하는, 스위치 캐비닛(1).
  18. 삭제
  19. 삭제
KR1020197007176A 2016-09-15 2017-06-30 프레임 및 내부 피팅 구성요소를 갖는 스위치 캐비닛,대응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및 대응 내부 피팅 구성요소 KR1022244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7393.2A DE102016117393A1 (de) 2016-09-15 2016-09-15 Schaltschrank mit einem Rahmengestell und einer Innenausbaukomponente und eine entsprechende Schaltschrankanordnung sowie eine entsprechende Innenausbaukomponente
DE102016117393.2 2016-09-15
PCT/DE2017/100549 WO2018050146A1 (de) 2016-09-15 2017-06-30 Schaltschrank mit einem rahmengestell und einer innenausbaukomponente und eine entsprechende schaltschrankanordnung sowie eine entsprechende innenausbaukompone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641A KR20190038641A (ko) 2019-04-08
KR102224429B1 true KR102224429B1 (ko) 2021-03-05

Family

ID=5941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176A KR102224429B1 (ko) 2016-09-15 2017-06-30 프레임 및 내부 피팅 구성요소를 갖는 스위치 캐비닛,대응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및 대응 내부 피팅 구성요소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903629B2 (ko)
EP (1) EP3513470B1 (ko)
JP (1) JP6797287B2 (ko)
KR (1) KR102224429B1 (ko)
CN (1) CN109804515B (ko)
CA (1) CA3030940C (ko)
DE (1) DE102016117393A1 (ko)
ES (1) ES2909151T3 (ko)
HU (1) HUE058286T2 (ko)
MX (1) MX2019001405A (ko)
PL (1) PL3513470T3 (ko)
RU (1) RU2708645C1 (ko)
WO (1) WO2018050146A1 (ko)
ZA (1) ZA2019002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14094A1 (de) 2017-03-27 2018-09-27 Rittal Gmbh & Co. Kg Schubstangenverschluss für ein Schaltschrankgehäuse sowie eine entsprechende Anordnung und ein entsprechendes Verfahren
DE102017108335B4 (de) 2017-04-19 2019-01-03 Rittal Gmbh & Co. Kg Befestigungsanordnung und ein entsprechendes Schaltschrankgehäuse
DE102017108518B4 (de) 2017-04-21 2019-01-03 Rittal Gmbh & Co. Kg Montageplattenanordnung und ein entsprechendes Verfahren
DE102017114385B4 (de) 2017-06-28 2021-06-24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rahmengestell mit verschlossenem Bodenrahmen
DE202018100613U1 (de) 2018-02-05 2018-02-14 Rittal Gmbh & Co. Kg Anordnung mit zwei über einen Anreihverbinder miteinander verbundenen Schaltschrankrahmengestellen
BR102019010955B1 (pt) * 2019-05-28 2023-04-11 Melquisedec Francisquini Perfil estrutural para armário elétrico
USD926708S1 (en) * 2019-10-01 2021-08-03 Rittal Gmbh & Co. Kg Portion of a switchboard for electric connections
KR102617477B1 (ko) * 2021-07-09 2023-12-27 동양산전(주) 배전반용 프레임 구조체
AT525322A1 (de) * 2021-07-23 2023-02-15 Blum Gmbh Julius Möbelbeschla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516A (ja) 1996-11-19 2000-07-04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配電盤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構造のためのフレーム成形体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335383U1 (de) * 1983-12-09 1984-04-05 Rittal-Werk Rudolf Loh Gmbh & Co Kg, 6348 Herborn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DE3917985A1 (de) 1988-06-09 1989-12-14 Schaefer Gmbh Fritz Schaltschrank
DE19737673C5 (de) * 1997-08-29 2005-10-27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 mit einer Transportsicherung
DE19647802C1 (de) * 1996-11-19 1998-01-22 Loh Kg Rittal Werk Montageschiene für einen Schaltschrank
DE19647753C2 (de) * 1996-11-19 2000-09-14 Loh Kg Rittal Werk Schaltschrank mit einer Montageeinheit
DE29623551U1 (de) * 1996-11-19 1998-10-01 Loh Kg Rittal Werk Schaltschrank
DE19647727A1 (de) 1996-11-19 1998-05-20 Loh Kg Rittal Werk Rahmengestell mit mehreren Montageebenen
DE19735251C1 (de) * 1997-08-14 1999-02-11 Loh Kg Rittal Werk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anreihbaren Schaltschränken
BR9908845A (pt) * 1998-03-18 2000-11-28 Loh Kg Rittal Werk Armação para caixa de distribuição
DE19811714C2 (de) * 1998-03-18 2000-04-13 Loh Kg Rittal Werk Bausatz für einen Schaltschrank
DE19937892C1 (de) 1999-08-16 2001-01-11 Loh Kg Rittal Werk Befestigungsvorrichtung
DE10007334C2 (de) 2000-02-17 2002-01-17 Loh Kg Rittal Werk Kabelkanal für einen Schaltschrank mit Rahmengestell
KR20050019069A (ko) * 2002-05-23 2005-02-28 비아시스템즈 그룹, 인코포레이티드 캐비넷 및 그 조립 방법
DE10308389A1 (de) * 2003-02-27 2004-09-16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mit einer Elektrifiziereinrichtung
DE20318511U1 (de) * 2003-02-27 2004-03-11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mit einer Elektrifiziereinrichtung
BR0303969A (pt) * 2003-10-08 2005-05-31 Melquisedec Francisquini Aperfeiçoamento em estrutura metálica para construção de quadros/gabinetes elétricos
DE202004005352U1 (de) * 2004-02-12 2004-07-08 Schroff Gmbh Rahmengestell für einen Schrank zum Einbau elektronischer Geräte
WO2007104406A1 (de) * 2006-03-13 2007-09-20 Abn Braun Ag Rahmenkonstruktion für einen schaltschrank, schaltschrank und bausatz für den schaltschrank
DE102006036487B4 (de) * 2006-08-04 2009-04-16 Era Elektrotechnik Ramsauer Gmbh Verteiler- Und Schaltschrankbau Rahmenprofil
JP5331747B2 (ja) * 2010-04-28 2013-10-30 山洋電気株式会社 ラック用フレーム及びラック
TWM420105U (en) * 2011-09-15 2012-01-01 Taiwan Enclosure Systems Co Ltd Assembled frame
DE202012100319U1 (de) * 2012-01-31 2012-02-29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insbesondere für Schaltschränke
KR101438594B1 (ko) * 2012-12-28 2014-09-12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조립식 분전반
DE102014101404B4 (de) 2014-02-05 2017-11-16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 oder Verteilerschrank
DE102014101405A1 (de) 2014-02-05 2015-08-06 Rittal Gmbh & Co. Kg Bodenbaugruppe für das Rahmengestell eines Schaltschranks
DE102014102464B4 (de) 2014-02-25 2018-12-13 Rittal Gmbh & Co. Kg Eckverbinder zum Verbinden mindestens zweier senkrecht zueinander angeordneter Rahmenprofile eines Rahmengestells
DE102015121192B4 (de) 2015-12-04 2019-09-19 Rittal Gmbh & Co. Kg Rahmengestell für einen Schaltschran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08516A (ja) 1996-11-19 2000-07-04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配電盤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構造のためのフレーム成形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8641A (ko) 2019-04-08
CN109804515A (zh) 2019-05-24
EP3513470A1 (de) 2019-07-24
JP6797287B2 (ja) 2020-12-09
CA3030940A1 (en) 2018-03-22
WO2018050146A1 (de) 2018-03-22
HUE058286T2 (hu) 2022-07-28
US10903629B2 (en) 2021-01-26
ES2909151T3 (es) 2022-05-05
JP2019530401A (ja) 2019-10-17
ZA201900289B (en) 2020-10-28
MX2019001405A (es) 2019-07-04
BR112019001647A2 (pt) 2019-05-07
EP3513470B1 (de) 2022-01-12
DE102016117393A1 (de) 2018-03-15
PL3513470T3 (pl) 2022-04-25
RU2708645C1 (ru) 2019-12-10
CN109804515B (zh) 2020-12-08
CA3030940C (en) 2021-01-26
US20190214798A1 (en)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429B1 (ko) 프레임 및 내부 피팅 구성요소를 갖는 스위치 캐비닛,대응 스위치 캐비닛 조립체,및 대응 내부 피팅 구성요소
RU2665474C1 (ru) Рамный профиль рамного каркаса для коммутационного или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шкафа
US10253507B1 (en) System for mounting wall panels to a wall
RU2562797C2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устройств высотой, кратной 1u, без использования инструментов
KR100241819B1 (ko) 스위칭 캐비넷용 래크골조(骨組)
US20170290181A1 (en) Rail seal for electronic equipment enclosure
RU2166900C2 (ru)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ый шкаф
US20100110621A1 (en) Rack with vertical mounting providing room for rack pdu
KR102204540B1 (ko) 스위치기어 캐비닛의 랙용 베이스 어셈블리
US20110012489A1 (en) Rack system
US20120062091A1 (en) Vertical mounting rail with cable management features
RU2580954C2 (ru) Основание или навесная рама для электрошкафа или стойки
RU2581597C2 (ru) Навесная рама для электрошкафа или стойки
KR102297132B1 (ko) 2개의 개폐기 캐비닛 프레임워크의 연결을 위한 연결 조립체
US20100308703A1 (en) Control box arrangement
RU2297085C2 (ru) Рамный каркас для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шкафа
US20150159684A1 (en) Releasable mounting system for logistics track
US20060225378A1 (en) Connection block with bar-adapting trenches for adapting and holding framing bars at fixed orientations
JPH057921B2 (ko)
US11266036B2 (en) Assembly formed from a switch cabinet base and a switch cabinet rack mounted thereon, and a corresponding switch cabinet row
JP6163764B2 (ja) テーブルの配線ダクト装置
CN112006433A (zh) 收纳装置
BR112019001647B1 (pt) Disposição de armários de distribuição com pelo menos dois armários de distribuição
RU143591U1 (ru) Стеновое покрытие
WO2020242395A1 (en) Modular inner cabine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