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8594B1 - 조립식 분전반 - Google Patents

조립식 분전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8594B1
KR101438594B1 KR1020120157561A KR20120157561A KR101438594B1 KR 101438594 B1 KR101438594 B1 KR 101438594B1 KR 1020120157561 A KR1020120157561 A KR 1020120157561A KR 20120157561 A KR20120157561 A KR 20120157561A KR 101438594 B1 KR101438594 B1 KR 101438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vertical
coupled
vertical frame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7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86721A (ko
Inventor
박기주
김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박기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Priority to KR1020120157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8594B1/ko
Publication of KR20140086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6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8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85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Frameworks
    • H02B1/012Details of mechanical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정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조립식 분전반에 있어서, 측면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인접하는 수직프레임 사이에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복수개의 측면패널; 상기 수평프레임과 인접하는 수평프레임 사이에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 및 상기 수직프레임들 및 수평프레임들 상에서 상기 밀폐공간에 인접한 모서리 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 또는 상면패널 또는 하면패널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방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립식 분전반{Assembly Switch board}
본 발명은 조립식 분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무용접 방식으로 조립함과 동시에 방수기능을 제공하는 조립식 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장치라 함은 분배 전반, 저압반, 고압반, 변압반 등을 통칭하는 것으로, 주로 차단기나 마그네틱과 같은 전력소자가 구비되어 외부의 전력을 개폐하거나 제어하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와 같은 여러 전력장치 중에서도 산업분야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는 전력장치인 분전반은 발전소, 변전소 등의 운전이나 제어, 전동기의 운전 등을 위해 각종 스위치, 계기, 릴레이(계전기) 등이 필요로 하는 전력용량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는 주로 건축물 등의 옥내 배선에 있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배분하여 옥내의 각 요소로 재공급함과 동시에 공급전력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분전반은 하중을 지지지하는 복수개의 프레임과, 프레임을 커버하는 복수개의 패널들로 구성되고,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들을 포함하며, 그리고 외부의 환경으로부터 내부에 설치된 각종 전자기기들을 보호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분전반은 용접을 이용하여 프레임들과 패널들을 결합시켰다.
이러한 용접 공정 시 발생하는 가스로 인하여 작업자의 질식, 화재 사고 등의 위험성이 동반되었고, 특히 다량의 이산화탄소의 배출로 인하여 지구 온난화를 촉진하는 한계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
또한, 용접을 통한 조립은 누수 발생위험이 있고, 현장에서 분전반을 조립하는데 조립시간이 증가하게 되며, 해체 시 폐기처리 해야만 하는 문제점을 여전히 내포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프레임과 패널의 결합부분에 방수부를 구비하여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조립식 분전반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정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조립식 분전반에 있어서, 측면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인접하는 수직프레임 사이에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복수개의 측면패널; 상기 수평프레임과 인접하는 수평프레임 사이에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 및 상기 수직프레임들 및 수평프레임들 상에서 상기 밀폐공간에 인접한 모서리 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 또는 상면패널 또는 하면패널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방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을 제공한다.
상기 방수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일 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일 측 모서리와 인접하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일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1방수부재와, 상기 일 측 모서리와 인접하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타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2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일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방수부재 내측에 형성된 제1방수홈과,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타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2방수부재 내측에 형성된 제2방수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제1축에 상기 수직프레임이 결합되고, 제2축 및 제3축에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가 상기 제1축 내지 제3축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축 내지 제3축이 면접하도록 각각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축 내지 제3축이 각각 면접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측면패널 또는 상면패널 또는 하면패널이 삽입 시 안내되도록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턱의 각 단부가 만나는 부분에 상기 단턱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방수부의 일 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돌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는 일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의 기둥 형상으로 상기 제1축 내지 제3축 상에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4개의 체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편들 중 상기 돌기부재에 인접하는 하나는 나머지 체결편의 길이에 비하여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에 따르면,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용접공정 없이 조립이 가능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직프레임 및 수평프레임에 방수부를 구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립식 분전반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연결부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연결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수직프레임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수직프레임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힌지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10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조립식 분전반(100)을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밀폐공간(11)이 형성되어, 상기 밀폐공간(11) 내부에 건물의 옥내 배선에 필요한 전력을 배분하여 공급하고, 개폐하기 위한 각종 전력 설비(미도시)가 장착되고, 전면에 상기 밀폐공간(11)을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개방할 수 있도록 여닫이 방식의 도어(10)가 마련된다.
상기 조립식 분전반(100)은 측벽을 형성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상측 벽과 하측 벽을 형성하는 수평프레임(130)과,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30)을 동시에 결합시키는 연결부(120)와,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인접하는 수직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측면패널(140)과, 상기 수평프레임(130)과 인접하는 수평프레임 사이에 결합되는 상면패널(150) 및 하면패널(160)을 포함한다.
도 2와 같이, 상기 조립식 분전반(100)은 4개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수직프레임(110)들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8개의 수평프레임을 포함하고, 양 측면과 배면을 포함하는 3면을 커버하는 3개의 상기 측면패널(140)과, 상면 및 하면을 각각 커버하는 상면패널(150) 및 하면패널(160)을 포함한다.
상기 조립식 분전반(100)의 형상은 육면체의 형상에 국한되지 않으며, 육면 이상의 다면체 형상으로 제작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연결부(120)를 도시하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연결부(120)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에 나타낸 수직프레임(110)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수직프레임(11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120)는 주사위와 같은 육면체 형상에서 인접하는 3면에 제1축(126) 내지 제3축(128)의 결합축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120)는 하나의 수직프레임(110)과 두 개의 수평프레임(130)을 동시에 결합시키며, 상기 수직프레임(110)들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어 총 8개가 마련된다.
예컨대, 상기 제1축(126) 상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이 결합되고, 상기 제2축(127) 및 제3축(128) 상에는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130)이 결합된다.
상기 연결부(120) 상의 상기 제1축(126) 내지 제3축(128)에는 각각 복수개의 체결부재(121)가 마련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 및 수평프레임(130)은 내부에 복수개의 체결홈(113)이 뚫린 프로파일 형상으로, 상기 체결홈(113)은 동일 크기와 형상으로 상기 수직프레임(110) 및 수평프레임(130) 내부에서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 및 수평프레임(130)의 상세한 구조는 후기한다.
상기 체결홈(113)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상기 체결부재(121)는 상기 제1축(126) 내지 제3축(128) 상에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121)들은 상기 체결홈(113)에 삽입되면서 상기 연결부(120)와 상기 수직프레임(110) 및 수평프레임(130)의 체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체결부재(121)는 단면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서로 이격되도록 4개의 체결편(122)이 돌출된다. 물론 상기 체결홈(113)은 상기 4개의 체결편(122)에 대응하는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재(121)는 4개의 체결편(122) 중 하나의 체결편(122)이 나머지 3개의 체결편(122)에 비하여 짧게 형성된다. 이는 후기할 힌지부(180)의 체결을 위함으로 상세한 내용은 후기한다.
상기 연결부(120) 상에서 상기 제1축(126) 내지 제3축(128)은 각각 직각 방향으로 면접하게 배치되는데, 상기 제1축(126) 내지 제3축(128)이 면접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각각 단턱(123)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123)은 상기 연결부(120)의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으로 계단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140), 상면패널(150) 또는 하면패널(160)이 삽입 시 상기 단턱(123)의 내부와 접촉하게 된다.
여기서 각각의 상기 단턱(123)이 만나는 부분에는 상기 단턱(123)의 높이에 대응하는 높이로 돌기부재(124)가 마련된다.
상기 돌기부재(124)는 상기 단턱(123)의 일 측에서 상기 측면패널(140), 상면패널(150) 또는 하면패널(160)이 삽입되어 접촉하게 되며, 일종의 스토퍼(stopper)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기 측면패널(140), 상면패널(150) 또는 하면패널(160)의 모서리 단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돌기부재(124)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30)에 형성된 방수부(170)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부(170)는 상기 수직프레임(110)들과 수평프레임(130)들의 일 측 모서리에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30)은 배치구조 및 길이만 상이할 뿐 단면의 형상과 구조는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상기 방수부(170)가 형성된 구조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은 중공의 사각 봉 형상으로 상기 체결홈(113)이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동일 형상으로 복수개 형성되고, 일 측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길이방향을 따라서 돌출된 방수부(170)가 마련된다.
상기 방수부(170)는 상기 일 측 모서리 부분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일 측 모서리와 인접하는 일 측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제1방수부재(171)와, 타 측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제2방수부재(174)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제1방수부재(171)와 제2방수부재(174)는 상기 일 측 모서리 부분에서 동일 형상으로 연장된 또 다른 일 측 모서리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일 측 모서리 부분과 마찬가지로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일 측면과 상기 제1방수부재(171) 사이에는 제1방수홈(172)이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의 타 측면과 상기 제2방수부재(174) 사이에는 제2방수홈(175)이 형성된다. 상기 제1방수홈(172)과 제2방수홈(175)에는 상기 측면패널(140), 상면패널(150) 또는 하면패널(160)의 단부가 삽입된다.
상기 방수부(170)의 양 단부에는 상기 연결부(120)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재(124)와 각각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방수부재(171) 및 제2방수부재(174)는 상기 돌기부재(124) 상면에서 상기 단턱(123)의 상측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그러면 도 3과 같이, 상기 수평프레임(130)과 인접한 다른 수평프레임이 상기 연결부(120)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방수부재(171)와 인접하는 다른 제1방수부재(171) 내부에 상기 상면패널(150)이 결합되고, 상기 상면패널(150)의 측면은 상기 수평프레임(130)과 인접한 다른 수평프레임(130) 상에 별도의 리벳이나 볼트로 결합된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1방수홈(172)과 제2방수홈(175) 내부에는 별도의 실링부재가 구비되어 밀폐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에 나타낸 힌지부(18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1의 도어와 같이 상기 힌지부(180)는 상기 도어의 상측 단부 및 하측 단부를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130) 상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시킨다.
상기 힌지부(180)는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저면 일 단부에 체결되는 상부힌지(181)와, 하부에 위치한 수평프레임(130)의 상면 일 단부에 체결되는 하부힌지(18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힌지(181)와 하부힌지(182)의 구조는 동일하기 때문에 상기 상부힌지(181)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상부힌지(181)는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저면 일 단부에 체결되는 제1부재(183)와, 상기 제1부재(183)의 단부에 수직 상방으로 절곡 연장되는 제2부재(184)와, 상기 제2부재(184)의 단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도어가 체결되는 제3부재(185)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힌지(182)는 상기 상부힌지(181)의 상기 제1부재(183)의 결합면에 대향하여 상하방향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부재(183)와 제3부재(185)는 서로 평행하지만 대면하지는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부재(184)는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폭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부재(183)가 상부에 위치한 상기 수평프레임(130)의 저면 일 단부에 고정될 때 상기 연결부(120)로부터 돌출된 상기 체결부재(12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기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121)는 4개의 체결편(122) 중 하나의 체결편(122)이 나머지 3개의 체결편(122)에 비하여 짧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분전반(100)은 외부로부터 습기가 유입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봉쇄할 수 있고, 조립이 간단하여 조립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조립식 분전반 110 : 수직프레임
120 : 연결부 130 : 수평프레임
140 : 측면패널 150 : 상면패널
160 : 하면패널 170 : 방수부
180 : 힌지부

Claims (7)

  1.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밀폐공간이 형성되도록 정면에 개폐 가능한 도어가 구비되는 조립식 분전반에 있어서,
    측면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각각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들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연결부;
    상기 수직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과 수직방향으로 각각 결합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
    상기 수직프레임과 인접하는 수직프레임 사이에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복수개의 측면패널;
    상기 수평프레임과 인접하는 수평프레임 사이에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상면패널 및 하면패널 및
    상기 수직프레임들 및 수평프레임들 상에서 상기 밀폐공간에 인접한 모서리 부분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상기 측면패널 또는 상면패널 또는 하면패널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마련된 방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일 측 모서리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일 측 모서리와 인접하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일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1방수부재와, 상기 일 측 모서리와 인접하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타 측면의 일부를 커버하는 제2방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는,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일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1방수부재 내측에 형성된 제1방수홈과,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의 타 측면 길이방향을 따라서 상기 제2방수부재 내측에 형성된 제2방수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제1축에 상기 수직프레임이 결합되고, 제2축 및 제3축에 각각 상기 수평프레임이 결합되며, 상기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 내부에 형성된 복수개의 체결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체결홈의 형상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체결부재가 상기 제1축 내지 제3축에 각각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축 내지 제3축이 면접하도록 각각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축 내지 제3축이 각각 면접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측면패널 또는 상면패널 또는 하면패널이 삽입 시 안내되도록 단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단턱의 각 단부가 만나는 부분에 상기 단턱의 높이로 돌출되어 상기 방수부의 일 단부와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는,
    일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의 기둥 형상으로 상기 제1축 내지 제3축 상에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4개의 체결편을 포함하며, 상기 체결편들 중 상기 돌기부재에 인접하는 하나는 나머지 체결편의 길이에 비하여 길이가 짧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분전반.
KR1020120157561A 2012-12-28 2012-12-28 조립식 분전반 KR1014385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561A KR101438594B1 (ko) 2012-12-28 2012-12-28 조립식 분전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7561A KR101438594B1 (ko) 2012-12-28 2012-12-28 조립식 분전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721A KR20140086721A (ko) 2014-07-08
KR101438594B1 true KR101438594B1 (ko) 2014-09-12

Family

ID=51735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7561A KR101438594B1 (ko) 2012-12-28 2012-12-28 조립식 분전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859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383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옥외형 분전반
KR20160093379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옥외형 분전반
KR101729520B1 (ko) * 2015-01-29 2017-04-24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옥외형 분전반
KR101983500B1 (ko) * 2018-06-22 2019-05-28 김요숙 조립식 분전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101401A1 (de) * 2014-02-05 2015-08-06 Rittal Gmbh & Co. Kg Anreih-Schaltschranksystem
DE102016117393A1 (de) * 2016-09-15 2018-03-15 Rittal Gmbh & Co. Kg Schaltschrank mit einem Rahmengestell und einer Innenausbaukomponente und eine entsprechende Schaltschrankanordnung sowie eine entsprechende Innenausbaukomponente
KR101995248B1 (ko) * 2019-03-13 2019-10-01 (주) 백산정밀판금 내진프레임이 적용된 수배전반
KR102314851B1 (ko) * 2019-10-22 2021-10-19 주식회사 에너솔라 외함용 조립식 도어
CN111668704A (zh) * 2020-07-04 2020-09-15 华翔翔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一二次融合环网柜的新型密封结构
KR102223803B1 (ko) * 2020-09-29 2021-03-05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기밀성을 향상시킨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KR102274998B1 (ko) * 2020-12-14 2021-07-08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덧댐프레임에 의해 양압성을 향상시킨 양압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
KR102273314B1 (ko) * 2021-01-06 2021-07-07 (주)로보티어 스마트 함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8517A (ja) * 1994-11-05 1998-08-25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スイッチギヤ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フレーム構造
KR200211373Y1 (ko) 2000-06-28 2001-01-15 주식회사대하가구산업 가구제작용 조립체
KR20080101245A (ko) *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우경 전열교환기용 케이스
KR20100123156A (ko) * 2009-05-14 2010-11-24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컨트롤 캐비닛용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08517A (ja) * 1994-11-05 1998-08-25 リッタル−ヴェルク ルードルフ ロー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スイッチギヤキャビネットのためのフレーム構造
KR200211373Y1 (ko) 2000-06-28 2001-01-15 주식회사대하가구산업 가구제작용 조립체
KR20080101245A (ko) * 2007-05-16 2008-11-21 주식회사 우경 전열교환기용 케이스
KR20100123156A (ko) * 2009-05-14 2010-11-24 금성제어기 주식회사 컨트롤 캐비닛용 프레임 및 그 결합구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3383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옥외형 분전반
KR20160093379A (ko) * 2015-01-29 2016-08-08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옥외형 분전반
KR101718361B1 (ko) * 2015-01-29 2017-03-2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옥외형 분전반
KR101718362B1 (ko) * 2015-01-29 2017-03-21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옥외형 분전반
KR101729520B1 (ko) * 2015-01-29 2017-04-24 주식회사 케이디파워 옥외형 분전반
KR101983500B1 (ko) * 2018-06-22 2019-05-28 김요숙 조립식 분전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6721A (ko) 2014-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8594B1 (ko) 조립식 분전반
EP0308715A3 (en) Electrical cabinet
CN201577245U (zh) 模块化拼装机柜
CN102984913A (zh) 机柜结构
JP2018048525A (ja) 建築用開閉装置における防水構造
KR101089092B1 (ko) 컨트롤 캐비닛용 프레임
KR102314851B1 (ko) 외함용 조립식 도어
KR101817623B1 (ko) 조립식 전기 컨트롤 박스
KR102092443B1 (ko) 수납함, 특히 산업용 수납함
KR200445798Y1 (ko) 배전반
CN202651648U (zh) 一种船用低压配电柜柜体
KR200452571Y1 (ko) 조립식 분전함
JP2008166601A (ja) 電気機器収納箱
KR101841839B1 (ko) 조립식 전장박스
AU2009251100B2 (en) Weatherproof Frame Sealing Arrangement
KR101614351B1 (ko) 조립식 분전반
KR101074961B1 (ko) 제어반을 위한 프레임 장치
KR200416694Y1 (ko) 수배전반
KR101718361B1 (ko) 옥외형 분전반
KR101623758B1 (ko) 조립식 분전반
CN207705673U (zh) 一种新型防水箱式变电站
KR20020093709A (ko) 수/배전반을 구성하는 함체의 조립구조
JP2014185821A (ja) ケーシング
KR20100118214A (ko) 수배전반 하우징 어셈블리
JP6260203B2 (ja) 換気口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