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540B1 - 휴대용 세안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세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540B1
KR102223540B1 KR1020200138959A KR20200138959A KR102223540B1 KR 102223540 B1 KR102223540 B1 KR 102223540B1 KR 1020200138959 A KR1020200138959 A KR 1020200138959A KR 20200138959 A KR20200138959 A KR 20200138959A KR 102223540 B1 KR102223540 B1 KR 102223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pipe member
fixing pa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8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진
Original Assignee
김효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진 filed Critical 김효진
Priority to KR1020200138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5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4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 B05B13/0421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the spray heads being moved during spraying operation with rotating spray h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휴대용 세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안수통의 주입구를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주입구에 체결되는 주입구 뚜껑부재;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의 내부에 하부파이프부재와 상부파이프부재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이프고정부; 상기 세안수통 내부의 물을 펌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고정부에 결합되는 하부파이프부재; 상기 하부파이프부재를 통해 인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파이프고정부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파이프부재; 상기 상부파이프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파이프부재를 통해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는 회전노즐부재;를 마련하여 세안수통에 담긴 물을 펌핑하여 세안할 수 있고, 세안수통의 주입꾸에 주입구 뚜껑부재를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으며, 세안수통의 파손이나 손상없이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휴대용 세안장치{Portable eyewashing device}
본 발명은 휴대용 세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외 활동 및 캠핑 시 물통에 있는 물로 얼굴 등을 깨끗하게 세안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세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의 욕실에는 세수를 하기 위하여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거나, 세수대야를 보유하고 있다.
얼굴 피부에는 오래되어 산화된 피지막과 때로 변한 각질세포, 메이크업 오염, 공기중의 먼지와 세균류 등이 부착되어 이들로 인한 오염이 모혈을 막기 때문에, 적절히 손질하지 않으면 염증을 동반한 여드름으로 발전할 염려가 있다.
그리하여, 얼굴의 청결을 위하여 매일 세안하여야 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전신을 세정하는 목욕도 포함하여 세안을 할 때에는 통상 비누와 같은 세안제를 사용하고, 모발 등 특수부위에 대하여는 별도의 액상 세제인 샴푸 등을 사용한다.
하지만 세안을 꼼꼼하게 하는 것이 시간이 오래 걸리고 귀찮을 때가 많다. 또한, 여행이나 캠핑을 갔을 때와 같이 여건상 꼼꼼한 세안이 불가능한 경우도 있다.
특히, 상기 비누나 세제를 이용하여 세수를 하게 되면 피부나 모공에 축적된 지방분을 분해함으로써 그 지방분에 부착된 때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가정에는 세면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세면대의 높이가 대개 성인의 키에 맞춰져 있기 때문에 어린이이나 몸이 불편한 사람들이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
또한, 세면대가 설치되지 않은 가정에서나 세면대를 용이하게 사용하기 곤란한 사람들은 세수대야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럴 경우 세수대야를 바닥에 놓고 쪼그려 앉은 상태에서 세수를 해야 하기 때문에 허리를 많이 굽혀야 하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또한, 캠핑 등을 이유로 야외로 나갔을 경우, 세수대야로 대용할 만한 특별한 물건이 없어 야외에서 세수를 하는 것이 곤란하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휴대용 세안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휴대용 세안기는 외부에 손잡이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세안수통을 지지하고 일측에 장홀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세안수통에서 공급되는 세안수가 노즐부로 공급되도록 세안수통의 마개를 뚫기 위해 일측으로 경사진 끝이 뽀족하게 형성되는 삽입관과, 상기 삽입관의 외경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세안수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과, 상기 삽입관을 통해 공급된 세안수를 상기 노즐부로 공급하는 모터펌프 및 상기 모터펌프와 상기 노즐부를 연결하는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공급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부를 통해 공급되는 세안수를 필터링하도록 고리가 구비된 필터가 내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노즐관과, 상기 노즐관에 결합되는 볼조인트 및 상기 볼조인트에 결합되어 세안수를 분사하는 노즐로 이루어지는 노즐부와, 상기 모터펌프의 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펌프를 통해 유출되는 수압과 상기 모터펌프의 동작을 감지하는 수압 및 동작감지 센서와,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모터펌프, 수압 및 동작감지 센서 및 전원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압 및 동작감지 센서의 작동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부 및 상기 모터펌프의 작동을 카운트하기 위한 카운터를 구비한 제어부로 구성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휴대용 세안기'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휴대용 세안기는 급수전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되, 휴대를 위해 급수전으로부터 분리되고, 사용시 급수전에 연결되는 급수호스와, 상기 급수호스와 연결되며,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그 내부로 받아들이는 것으로서, 사용시 세면대에 놓여진 상태로, 상기 급수전에 연결된 급수호스를 통해 공급된 물을 그 내부로 받아들이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며 케이스의 내부로 공급된 물을 통과시켜 케이스 상부로 분출하는 분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분출수단은 속이 빈 디스크의 형태를 취하며 그 내부로 주입된 물을 상향 분출할 수 있는 다수의 분출구멍을 갖는 중공디스크부와, 상기 중공디스크부의 중앙 하부에 구비되되, 중공디스크부의 내부공간에 연통하고 하부로 연장된 중공관부와, 상기 케이스내에 고정된 상태로 상기 중공관부를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케이스 내부로 공급된 물을 상기 중공관부를 통해 중공디스크측으로 유도하는 속이 빈 베이스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1566880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4-0081432호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10-2016-0063939호
그러나 종래기술의 특허문헌 1에 따른 휴대용 세안기는 세안수통을 하우징 내에 투입함에 따라 세안수통의 하부가 삽입관에 의해 뚫리게 되므로 세안수통을 재사용할 수 없고, 세안수통에 또 다시 물을 담아 세안수통으로 사용할 수 이에 사용자는 세안에 필요한 물을 다수개의 세안수통에 저장 및 휴대해야 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안수통과 함께 하우징을 별도로 구비해야 되는 불편함이 있고, 차량에 싣거나 보관 시 세안수통과 함께 하우징을 함께 실어야 하므로 차량의 적재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캠핑 등에 필요한 물품을 충분히 실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세안수통 내부에 수용된 물을 펌핑하는 펌핑수단을 뚜껑에 설치하여 간편하게 세안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세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펌핑수단이 구비된 뚜껑을 간편하게 체결 및 분리할 수 있으며, 세안에 필요한 물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도록 절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휴대용 세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세안수통 내의 물을 사용하고자 하는 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는 휴대용 세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세안수통(1)의 주입구(2)를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주입구(2)에 체결되는 주입구 뚜껑부재(110);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110)의 내부에 하부파이프부재(130)와 상부파이프부재(150)를 끼움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이프고정부(120); 상기 세안수통(1) 내부의 물을 펌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결합되는 하부파이프부재(130);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를 통해 인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파이프부재(150);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를 통해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는 회전노즐부재(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110)는 상기 주입구(2)의 외면에 체결되는 뚜껑본체(111); 상기 뚜껑본체(111)의 내부에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와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이프고정부(120); 상기 뚜껑본체(111)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 및 상부파이프부재(150)가 내입된 상태로 결합되게 형성되는 결합파이프(121);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에서 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115)가 내장되는 전원공급부(113); 상기 배터리(115)가 내장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14); 상기 케이스(114)에 내장되는 배터리(115); 상기 배터리(115)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4)에 체결되는 커버(116);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의 펌핑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스위치(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는 상부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파이프(131); 상기 하부파이프(1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듀서(132); 상기 리듀서(13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끼워져 결합되게 형성되는 상부파이프(133); 상기 세안수통(1)의 물을 상부로 펌핑하도록 상기 하부파이프(131)의 내면에 설치되는 펌핑모터(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는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파이프(151); 상기 파이프고정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상기 상부파이프(151)의 하단에 상기 상부파이프(1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52); 상기 상부파이프(151)가 결합되게 하부구멍(15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즐부재(17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고정몸체(153); 상기 회전노즐부재(17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고정몸체(153)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에 의하면, 세안수통에 담긴 물을 펌핑하여 세안할 수 있고, 세안수통의 주입꾸에 주입구 뚜껑부재를 간편하게 분리 및 결합시킬 수 있으며, 세안수통의 파손이나 손상없이 교체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에 의하면, 세안수통의 물을 모두 사용하고 난 후 세안수통에 다시 물을 담아 세안수통을 재사용할 수 있고, 캠핑장 등의 야외에서 세안 등을 자유롭게 할 수 있는 편리성을 제공하며, 하부파이프부재 및 미세한 분사구멍에 의해 절수가 이루어져 물의 사용량을 줄여 장시간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회전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입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세안수통(1)의 주입구(2)를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주입구(2)에 체결되는 주입구 뚜껑부재(110)와,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110)의 내부에 하부파이프부재(130)와 상부파이프부재(150)를 끼움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이프고정부(120)와, 상기 세안수통(1) 내부의 물을 펌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결합되는 하부파이프부재(130)와,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를 통해 인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파이프부재(150)와,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를 통해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는 회전노즐부재(17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저면 분해 입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세안수통(1)의 물을 펌핑하여 세수 등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세안수통(1)은 통상의 물통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안수통(1)의 상면에는 물을 넣거나 빼낼 수 있도록 주입구(2)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주입구(2)에는 세안수통(1)의 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주입구 뚜껑부재(110)가 체결되며,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110)는 필요에 따라 별도로 구비된다. 즉, 세안수통(1)의 주입구(2)에는 뚜껑이 구비되어 있으며, 세안수통(1)의 물을 세안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 주입구 뚜껑부재(110)를 체결한다.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110)의 뚜껑본체(111)에는 주입구(2)에 체결되도록 하부 내면에 나선부(112)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110)에는 펌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전원공급부(113)가 구비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13)에는 배터리(115)를 수납할 수 있게 내부가 빈 중공의 케이스(114)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115)는 통상의 건전지 또는 전원의 충전이 가능한 충전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115)를 교체할 수 있도록 커버(116)가 구비된다.
또한 뚜껑본체(111)에는 펌핑 동작을 제어하는 작동스위치(117)가 설치된다. 이러한 작동스위치(117)는 하부파이프부재(130)에 설치된 펌핑모터(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확대 분해 입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회전노즐부재를 도시한 분해 입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110)의 하부에는 세안수통(1)의 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하부파이프부재(130)가 설치되고, 주입구 뚜껑부재(110)의 상부에는 물이 분출되는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부파이프부재(150)가 설치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뚜껑본체(111)의 내부에는 하부파이프부재(130) 및 상부파이프부재(150)를 설치할 수 있도록 파이프고정부(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의 하부에는 하측으로 하부결합파이프(121)가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되게 연장 형성되고, 상기 하부결합파이프(121)의 상부에는 상부파이프부재(150)의 높이 조절에 따라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중공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는 상부파이프부재(150)의 승강을 제한할 수 있게 걸림턱(122)이 형성된다.
도 3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는 세안수통(1)의 내부에 설치되게 하부결합파이프(121)의 내면에 압입 결합되며,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의 내부에는 세안수통(1)의 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임펠러(136)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의 하부파이프(131)는 소정의 직경을 갖는 중공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부파이프(131)의 하단에는 펌핑모터(135)의 펌핑에 의해 물의 흡입 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132)가 설치된다.
이러한 필터(132)는 물에 포함되어 있는 입자상의 이물질을 걸려주면 충분하나, 이물질 외에도 물 속에 있는 세균 등을 걸러줄 수 있는 필터를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부파이프(131)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세안 시 사용되는 물의 양을 줄일 수 있게 내경의 직경이 작아지는 리듀서(133)가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하부결합프이프(121)에 끼워지는 상부파이프(134)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하부파이프(131)의 내부에는 세안수통(1)의 물을 펌핑하는 펌핑모터(135)가 설치되고, 상기 펌핑모터(1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임펠러(136)가 설치된다.
이러한 임펠러(136)는 펌핑모터(135)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세안수통(1)의 물을 하부파이프부재(130)의 상측으로 흡입하여 상승시키게 된다.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는 하부결합파이프(121)의 내면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파이프(151)와, 상기 상부파이프(151)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부고정몸체(153)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파이프(151)는 하부파이프(1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파이프(151)의 하단에는 파이프고정부(120)의 걸림턱(122)에 걸리도록 걸림부(152)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부(152)는 파이프고정부(120)의 걸림턱(122)에 걸려 상승되는 높이를 제한하게 된다.
상기 상부파이프(151)의 상단에는 회전노즐부재(170)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상부고정몸체(153)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고정몸체(153)의 일면에는 회전노즐부재(170)의 회전몸체(171)가 면 접촉된 상태에서 결합되게 결합면(154)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면(154)에는 고정플레이트(157)가 내입된 상태로 결합되게 삽입단턱(155)이 형성된다.
아울러 결합면(154)에는 하부파이프부재(130) 및 상부파이프(151)를 통해 상승된 물이 통하는 제1 통공(156)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단턱(155)에는 고정플레이트(157)가 밀착되게 설치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57)의 외면에는 수밀을 유지하도록 오링(158)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157)의 일면에는 고정볼트(161)가 체결되게 고정부(159)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플레이트(157)에는 제1 통공(156)을 통해 통과한 물이 흐르도록 제2 통공(160)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레이트(157) 및 회전노즐부재(170)의 회전몸체(171)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161)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노즐부재(170)는 펌핑모터(135)에 의해 펌핑된 물이 분사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노즐부재(170)는 상부고정몸체(15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회전노즐부재(170)의 회전몸체(171)는 내부가 빈 중공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몸체(171)의 중앙에는 고정볼트(161)가 체결되게 고정부(171a)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몸체(171)에는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손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손잡이(172)가 형성되고, 상기 손잡이(172)의 상단에는 내부가 빈 중공의 고정몸체(173)가 형성된다.
상기 손잡이(172)에는 제2 통공(160)을 통과한 물이 흐를 수 있게 제1 통공(174)이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몸체(173)에는 커버(178)를 결합시킬 수 있게 고정파이프(175)가 압입 결합되고, 상기 고정파이프(175)에는 제1 통공(174)에 대응되는 제2 통공(176)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파이프(175)의 외면에는 수밀을 유지하도록 오링(177)이 설치된다.
상기 고정파이프(175)에는 물이 분사되는 커버(178)가 압입 결합되며, 상기 커버(178)에는 물이 분사되는 분사구멍(179)이 다수개 형성된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결합관계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를 도시한 입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본체(111)의 하부결합파이프(121)에는 하부파이프부재(130)를 결합하고,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에서 펌핑된 물이 상승되게 상부파이프부재(150)를 결합한다.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의 내부에는 배터리(115)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펌핑모터(135)를 설치하며, 임펠러(136)는 세안수통(1) 내의 물이 펌핑되게 펌핑모터(13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다.
아울러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의 하단은 파이프고정부(120)에 압입 결합되며, 상기 상부파이프(151)의 상단에는 상부고정몸체(153)를 고정한다.
상기 상부고정몸체(153)에는 제2 통공(160)이 형성된 고정플레이트(157)를 삽입단턱(155)에 끼워 넣고, 상기 회전몸체(171)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고정볼트(161)를 체결한다.
이때 상기 고정볼트(161)는 고정플레이트(157)의 고정부(159) 및 회전몸체(171)의 고정부(171a)에 체결된다. 이에 상기 회전몸체(171)는 상부고정몸체(153)의 결합면(154)에 밀착된 상태로 결합되고, 고정플레이트(157)의 오링(158)에 의해 수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 및 상부파이프부재(150) 및 회전노즐부재(170)의 연결 부위에는 각각 물이 새지 않게 오링 등의 패킹재가 설치됨은 물론이다.
상기 회전노즐부재(170)의 고정몸체(173)에는 고정파이프(175)를 이탈되지 않게 억지끼움으로 결합하며, 상기 고정파이프(175)에는 커버(178)를 억지끼움으로 결합한다.
다음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세안장치는 캠핑 등의 활동 중 주변에 세안 등을 할 수 없는 경우에 세안수통(1)의 물을 펌핑하여 세안을 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뚜껑본체(111)에 설치되어 있는 작동스위치(117)를 조작함에 따라 배터리(115)의 전원이 펌핑모터(135)에 공급된다.
이에 상기 펌핑모터(135)가 회전되면서 임펠러(136)를 회전시키게 되고, 임펠러(136)의 회전에 의해 펌핑된 물은 하부파이프부재(130)를 통해 상부파이프부재(150)의 상부파이프(151)로 상승된다.
이렇게 상승된 물은 상부고정몸체(153)의 제1 통공(156) 및 고정플레이트(157)의 제2 통공(160)을 통해 회전노즐부재(170)의 회전몸체(171)로 이동된다.
아울러 상기 펌핑모터(135)에 의해 상승된 물은 고정몸체(173)의 제1 통공(174)으로 이동된 다음 커버(178)의 분사구멍(179)을 통해 외부로 분사된다.
한편 사용자는 사용의 편리성을 높이기 위하여 손잡이(172)를 잡고서 회전시켜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즉 손잡이(172)를 잡은 상태에서 고정몸체(173)를 상승시켜 높은 위치로 가변시킬 수 있고, 고정몸체(173)를 하강시켜 낮은 위치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는 하부파이프(131)와 상부파이프(134) 사이에 리듀서(133)로 이루어져 펌핑모터(135)에 의해 펌핑된 물의 양을 감소시켜 소량으로 펌핑되게 함은 물론 분사구멍(179)을 통해 분출되는 물의 압력을 고압으로 분사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세안수통(1)에 담긴 물이 모두 사용된 후 세안 등의 행위에 물을 더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세안수통(1)의 주입구(2)에 체결된 주입구 뚜껑부재(110)를 분리시킨 다음 세안수통(1)에 물을 다시 담아 세안 등에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세안수통(1)에 물을 담아 뚜껑부재(110)를 결합시킨 다음 세안 등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115)는 충전식 또는 교체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으므로, 전원이 필요한 경우 배터리(115)의 교체 또는 충전하여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주입구 뚜껑부재 111: 뚜껑본체
112: 나선부 113: 전원공급부
114: 케이스 115: 배터리
116: 커버 117: 작동스위치
120: 파이프고정부 121: 하부결합파이프
122: 걸림턱
130: 하부파이프부재 131: 하부파이프
132: 필터 133: 리듀서
134: 상부파이프 135: 펌핑모터
136: 임펠러
150: 상부파이프부재 151: 상부파이프
152: 걸림부 153: 상부고정몸체
154: 결합면 155: 삽입단턱
156: 제1 통공 157: 고정플레이트
158: 오링 159: 고정부
160: 제2 통공 161: 고정볼트
170: 회전노즐부재 171: 회전몸체
172: 손잡이 173: 고정몸체
174: 제1 통공 175: 고정파이프
176: 제2 통공 177: 오링
178: 커버 179: 분사구멍

Claims (4)

  1. 세안수통(1)의 주입구(2)를 통해 물을 배출할 수 있게 상기 주입구(2)에 체결되는 주입구 뚜껑부재(110);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110)의 내부에 하부파이프부재(130)와 상부파이프부재(150)를 끼움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이프고정부(120);
    상기 세안수통(1) 내부의 물을 펌핑시킬 수 있도록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결합되는 하부파이프부재(130);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를 통해 인출된 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파이프부재(150);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를 통해 공급된 물을 배출시키는 회전노즐부재(170);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는 상부에 비하여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하부파이프(131);
    상기 하부파이프(13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리듀서(132);
    상기 리듀서(132)의 상단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연장되어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끼워져 결합되게 형성되는 상부파이프(133);
    상기 세안수통(1)의 물을 상부로 펌핑하도록 상기 하부파이프(131)의 내면에 설치되는 펌핑모터(1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 뚜껑부재(110)는 상기 주입구(2)의 외면에 체결되는 뚜껑본체(111);
    상기 뚜껑본체(111)의 내부에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와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파이프고정부(120);
    상기 뚜껑본체(111)의 중앙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 및 상부파이프부재(150)가 내입된 상태로 결합되게 형성되는 결합파이프(121);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에서 물을 펌핑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도록 배터리(115)가 내장되는 전원공급부(113);
    상기 배터리(115)가 내장되게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케이스(114);
    상기 케이스(114)에 내장되는 배터리(115);
    상기 배터리(115)를 교체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114)에 체결되는 커버(116);
    상기 하부파이프부재(130)의 펌핑 동작을 제어하도록 설치되는 작동스위치(1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안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파이프부재(150)는 상기 파이프고정부(120)에 끼움 결합되는 상부파이프(151);
    상기 파이프고정부(12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상기 상부파이프(151)의 하단에 상기 상부파이프(151)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는 걸림부(152);
    상기 상부파이프(151)가 결합되게 하부구멍(153)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노즐부재(17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고정몸체(153);
    상기 회전노즐부재(170)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상부고정몸체(153)에 설치되는 고정볼트(16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세안장치.
KR1020200138959A 2020-10-26 2020-10-26 휴대용 세안장치 KR1022235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59A KR102223540B1 (ko) 2020-10-26 2020-10-26 휴대용 세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8959A KR102223540B1 (ko) 2020-10-26 2020-10-26 휴대용 세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3540B1 true KR102223540B1 (ko) 2021-03-04

Family

ID=7517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8959A KR102223540B1 (ko) 2020-10-26 2020-10-26 휴대용 세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54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026A (ja) * 1996-02-23 1997-09-02 Nakazawa Kinzoku Seisakusho:Kk 携帯用鼻洗器
KR20090013138U (ko) * 2008-06-19 2009-12-30 박봉덕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샤워기
KR20140081432A (ko) 2012-12-21 2014-07-01 천아름 휴대용 세안기
KR101566880B1 (ko) 2014-06-18 2015-11-16 주식회사 한국제일안전 휴대용 세안기
KR20160063939A (ko) 2014-11-27 2016-06-07 김경태 휴대용 세안기구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5026A (ja) * 1996-02-23 1997-09-02 Nakazawa Kinzoku Seisakusho:Kk 携帯用鼻洗器
KR20090013138U (ko) * 2008-06-19 2009-12-30 박봉덕 높이조절수단을 구비한 샤워기
KR20140081432A (ko) 2012-12-21 2014-07-01 천아름 휴대용 세안기
KR101566880B1 (ko) 2014-06-18 2015-11-16 주식회사 한국제일안전 휴대용 세안기
KR20160063939A (ko) 2014-11-27 2016-06-07 김경태 휴대용 세안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99951B (zh) 自动清洁喷洗器
US202001998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fluid handling in a shower or bath
US20210393098A1 (en) Maintenance station for cleaning robot
JP2004516128A (ja) 水含有容器内表面の洗浄方法
JP2004141845A (ja) 流体噴射回収装置
US20060242760A1 (en) Spa tub apparatus
JP2004518459A (ja) バスタブ又はスイミングプール用浮遊式洗浄装置
KR20130053145A (ko) 경사 감지형 물청소 로봇 청소기
JP2012019825A (ja) 洗顔器
KR102223540B1 (ko) 휴대용 세안장치
KR101604365B1 (ko) 워터펌프를 활용한 스킨 케어장치
KR20160063939A (ko) 휴대용 세안기구
JP2019201925A (ja) 洗浄ヘッド及び洗浄装置
KR20130004885U (ko) 두발용의 약액 순환 장치
CN220938535U (zh) 便携式洗鼻设备
JP2771793B2 (ja) 洗顔器
JP4318590B2 (ja) 浴室洗浄装置
KR200384101Y1 (ko) 물청소용 밀대솔
CN218204761U (zh) 一种洁厕药品添加系统和马桶
JPS586396Y2 (ja) 簡易シャワ−装置
KR20140087347A (ko) 변좌 세척기능이 구비된 비데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79344A (ko) 스팀 발생기가 장착된 회전형 진공청소기
CN218485923U (zh) 一种双氧水多点喷射装置
KR20050081076A (ko) 입형 욕실 청소기
CN211881875U (zh) 一种用于园林绿化及养护的杀虫喷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