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468B1 - 적어도 두 개의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보유지지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두 개의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보유지지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468B1
KR102223468B1 KR1020207007940A KR20207007940A KR102223468B1 KR 102223468 B1 KR102223468 B1 KR 102223468B1 KR 1020207007940 A KR1020207007940 A KR 1020207007940A KR 20207007940 A KR20207007940 A KR 20207007940A KR 102223468 B1 KR102223468 B1 KR 102223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over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7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0851A (ko
Inventor
코지 미와
쇼이치 젠사이
토모후미 카와무라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40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0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75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 G03G21/189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lifetime of the cartridge mechanical or optical identification means, e.g. protrusions, bar cod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3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using doors or cov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42M, 41M, 42C)가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측배향 구성)에 있어서, 상담지체는,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버가 닫힌 상태보다도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발광부(104C)로부터 더 먼 위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적어도 두 개의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보유지지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본 발명은,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커버를 개폐하여, 카트리지를 탈착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이하, 「화상 형성 장치」라고 칭한다)에 있어서는, 감광 드럼 및 감광 드럼에 작용하는 프로세스 유닛을 일체적으로 카트리지화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장치 본체에 제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다(카트리지 방식). 이 카트리지 방식에 의하면, 장치의 유지보수를 서비스맨에게 의지하지 않고 사용자가 할 수 있으므로,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이 카트리지 방식은,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유통되고 있는 최근의 어떤 화상 형성 장치는, 페이지당의 출력 비용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필요 최소한의 소모품 교환으로 유지보수를 할 수 있도록 1대의 화상 형성 장치에 복수의 카트리지가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예들은, 드럼 카트리지, 현상 카트리지, 토너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복수의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구성은, 교환 유닛수의 증가를 초래한다. 이는, 사용자가 교환해야 할 유닛을 판별하는 것을 어렵게 한다. 복수의 카트리지 중에서 교환해야 할 카트리지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종래의 기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교환해야 할 카트리지는, 장치 본체나 카트리지에 붙인 라벨과, 화상 형성 장치의 패널상의 표시를 조합하여 나타내고 있다. 사용성을 향상시키 위해, 교환되어야 할 카트리지를 나타내는 다른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표시부에 카트리지 교환 지시가 표시된 후에, 카트리지를 교환가능한 상태로 했을 때에, 교환이 필요한 카트리지 근방의 노광 유닛을 발광시키는 장치를 개시한다. 특허문헌 2는, 검출 유닛에 의해 검출된 본체내의 각부의 상태에 기초하여 노광 유닛의 발광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리는 방법을 개시한다.
특허문헌 1에서는, 표시부에 카트리지 교환 지시가 표시된 후에, 카트리지를 교환가능한 상태로 했을 때에, 교환이 필요한 카트리지 근방의 노광 유닛(발광부)을 발광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알린다. 그러나, 카트리지가 길이방향으로 제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측배향(side-oriented) 구성의 경우, 커버를 열어서 카트리지를 교환가능한 상태로 했을 경우라도 발광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시인성이 나쁘다. 또한, 발광부에서 광이 방출된 경우라도, 발광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광이 화상 형성 장치내에 머무르기 쉽고, 사용자가 인식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특허문헌 2의 방법으로도, 장치가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측배향 구성인 경우, 발광부에서 광을 방출하여도 사용자가 인식하는 것은 곤란하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4-170866호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9-139451호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카트리지를 보유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장착 또는 탈착하기 위해 개방되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1 위치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2 위치보다, 상기 발광부로부터 더 멀도록 배치된다. 제어부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고 판단된 카트리지에 가장 가까운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2개의 카트리지를 보유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카트리지가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카트리지를 장착 또는 탈착하기 위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발광부는, 상기 커버가 개방될 때, 상기 커버가 개방됨에 의해 형성된 개구를 향해 이동한다. 제어부는,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고 판단된 카트리지에 가장 가까운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제1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제2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2 카트리지와, 토너를 수납하며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제1 상담지체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3 카트리지와, 토너를 수납하며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상담지체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4 카트리지가 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제1 카트리지 내지 제4 카트리지를 장착 또는 탈착하기 위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제1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1 위치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2 위치보다,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더 멀도록 배치된다. 제2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3 위치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4 위치보다,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더 멀도록 배치된다. 제어부는, 상기 제1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탈착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광되도록 발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제1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제2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2 카트리지와, 토너를 수납하며 제1 상담지체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토너를 공급하는 제3 카트리지와, 토너를 수납하며 제2 상담지체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토너를 공급하는 제4 카트리지가, 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제1 카트리지 내지 제4 카트리지를 장착 또는 탈착하기 위해 개폐되도록 구성된 커버를 포함한다. 제1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1 위치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2 위치보다,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더 멀도록 배치된다. 제2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제3 위치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의 제4 위치보다,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더 멀도록 배치된다. 제어부는, 상기 제3 카트리지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탈착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광되도록 발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개략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카트리지와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도 3a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카트리지 교환시의 커버의 개폐 동작을 설명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a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커버를 닫을 때의 카트리지 주변 부재의 모식도이다.
도 4b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커버를 열 때의 카트리지 주변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a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커버를 닫을 때의 카트리지 주변 부재의 모식도이다.
도 5b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커버를 열 때의 카트리지 주변 부재의 동작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a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커버를 닫을 때의 전노광부(발광부)로부터의 발광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b는 실시예 1에 있어서 커버를 열 때의 전노광부로부터의 발광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a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커버를 닫을 때의 전노광부(발광부)로부터의 발광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b는 실시예 2에 있어서 커버를 열 때의 전노광부로부터의 발광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8a는 내부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의 카트리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내부 커버가 제거된 상태에서의 카트리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내부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카트리지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발광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한 상태에서의 발광부의 사시도이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이 실시예들에 기재된 구성부품의 치수, 재질, 형상 및 그들의 상대 배치 등은,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이나 각종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되어야 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화상 형성 장치의 전체구성]
먼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의 하나의 예로서, 8개의 카트리지가 보유 및 제거 가능하게 장착된 컬러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1) (이하, 화상 형성 장치라고 한다)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개요를 설명한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최하단에, 수납된 시트 S(종이 등의 기록재)를 급지하기 위한, 인출 가능 급지 유닛(10)을 포함한다. 급지 유닛(10)의 우상부에는, 시트 S의 자세 및 반송 타이밍을 맞추기 위한 레지스트 롤러 유닛(20)이 배치되어 있다. 급지 유닛(10)의 상방에는, 화상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 드럼(43Y, 43M, 43C, 43Bk)위로 레이저를 조사하여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부인 광학 유닛(30)이 배치되어 있다. 노광부인 광학 유닛(30)의 상방에는, 4색의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총 8개의 카트리지가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 중 한 종류는, 상담지체인 감광 드럼(43)을 각각 가지는 드럼 카트리지 (41Y, 41M, 41C, 41Bk)를 포함한다. 다른 카트리지는, 상담지체인 감광 드럼(43) 위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 카트리지(42Y, 42M, 42C, 42Bk)를 포함한다. 드럼 카트리지(41)와 현상 카트리지(42)의 한 세트가 1색분의 토너상을 형성한다. 카트리지(41, 42)의 상방에는, 카트리지(41, 42)와 대향하도록 중간 전사 유닛(50)이 배치된다. 드럼 카트리지(41)의 감광 드럼(43)과 중간 전사 유닛(50)의 일차 전사 롤러(52)로 형성되는 일차 전사부에서 중간 전사 벨트(51)위에 감광 드럼위의 토너상을 일차 전사한다. 각 감광 드럼(43Y, 43M, 43C, 43Bk)위의 토너상은, 중간 전사 벨트(51)위에서 하나의 화상으로 형성된다. 중간 전사 유닛(50)의 외측에는, 중간 전사 벨트(51)위에 남은 토너를 클리닝하기 위한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수단(53)이 배치되어 있다. 중간 전사 유닛(50)의 오른쪽에는, 중간 전사 벨트(51)위로 일차 전사된 토너상을 반송하기 위한 중간 전사 벨트 구동 롤러(54)가 배치된다. 또한, 중간 전사 벨트 구동 롤러(54)와 이차 전사 유닛(60)의 이차 전사 롤러(61)로 형성되는 이차 전사부에서 시트 S에 이차 전사를 행하기 위한 이차 전사 유닛(60)이 배치된다. 이차 전사 유닛(60)의 상부에는, 토너상을 열과 압력에 의해 시트 S위로 정착시키기 위한 정착 유닛(70)이 배치되어 있다. 토너상이 정착된 시트 S는, 정착 유닛(70)의 좌상측에 배치된 시트 배출 유닛(80)에 의해 시트 적재부(90)로 배출된다.
[카트리지와 그 주변의 구성]
다음으로, 도 2를 참조하여, 카트리지와 그 주변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카트리지는, 상담지체인 감광 드럼(43)을 각각 가지는 드럼 카트리지(41)와, 정전 잠상을 현상하기 위한 토너를 수납하는 토너 수납부(46)를 각각 가지는 현상 카트리지(4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는 4세트의 드럼 카트리지(41)와 현상 카트리지(42)를 가진다. 각 세트는, 동일 구조이지만, 다른 색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며, 각각 옐로우(Y), 마젠타(M), 시안(C), 블랙(Bk)의 토너를 수납한다는 점에서 다르다. 상담지체인 각각의 감광 드럼(43)은 미도시의 구동 수단에 의해 도 2의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감광 드럼(43)의 주위에는, 그 회전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전노광부(104), 감광 드럼 클리닝 수단(44), 대전 롤러(45), 광학 유닛(30), 현상부(47), 일차 전사 롤러(52)가 배치되어 있다. 이하에서, 각 부품에 대해서 설명을 한다.
본 실시예의 전(pre)노광부(104)는, 드럼 카트리지(41)의 길이방향 라인상에 간격을 두고 배치된 칩 발광 다이오드(LED)의 광을 감광 드럼(43)에 조사하여, 일차 전사 종료후의 감광 드럼(43)의 표면 전위를 내리고 전위의 분포를 균일화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노광부(104)를 발광부로서 사용한다. 전노광부(104)의 구성에 대해서 도 10 및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노광부(104)는, 광원인 LED(1041)와, LED(1041)를 지지하는 기판(1042)과, LED(1041)로부터 발광된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1043)와, 렌즈부(1043)를 지지하는 프레임(1044)을 포함한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LED(1041)로부터 발광된 광이 통과하는 렌즈부(1043)들은, 드럼 카트리지(41) 또는 감광 드럼(43)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져 있다. 도 11에서는, 드럼 카트리지(41)의 길이방향으로 13개의 렌즈부(1043)가 라인상으로 마련되어져 있다. 도 11에서는, 렌즈부(1043)의 후방에는, 광원인 LED(1041)가 배치되어 있다(렌즈부(1043)와 이를 지지하는 프레임(1044)에 의해 숨겨져 있음). 따라서, 13개의 LED가, 드럼 카트리지(41)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4 라인의 총 52개의 LED가 배치된다.
감광 드럼 클리닝 수단(44)은, 감광 드럼(43)의 표면에 남은 일차 전사 잔류 토너를 제거한다. 중간 전사 벨트(51)의 표면에 남아 중간 전사 벨트 클리닝 수단(53)에 의해 대전되어 감광 드럼(43)으로 역전사된 이차 전사 잔류 토너도 감광 드럼 클리닝 수단(44)에 의해 제거된다. 대전 롤러(45)는, 감광 드럼(43)의 표면에 당접시에, 트랜스 전원에 의해 대전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감광 드럼(43)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감광 드럼(43), 감광 드럼 클리닝 수단(44), 대전 롤러(45)는 드럼 카트리지(41)로서 일체화된다.
광학 유닛(30)(노광부)은, 드럼 카트리지(41)의 연직 하방에 배치되어, 제어부(11)로부터의 화상정보에 기초한 레이저 광을 감광 드럼(43)에 조사하고, 감광 드럼(43)의 표면 전위를 감퇴시킴으로써, 감광 드럼(43)의 표면에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현상부(47)는, 미도시의 현상 바이어스 전원(트랜스 전원)으로부터 현상 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대전된 토너(현상제)를 감광 드럼(43)의 표면에 형성된 정전 잠상에 부착되게 하여, 토너상(현상제상)으로서 현상한다. 현상부(47)는, 토너 수납부(46)를 겸한 케이스와 함께 현상 카트리지(42)로서 일체화된다. 본 실시예의 현상부(47)는, 현상 롤러이지만, 현상 롤러에 토너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를 포함하여도 된다.
일차 전사 롤러(52)는, 미도시의 바이어스 인가 수단으로부터 일차 전사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어 감광 드럼(43)위의 토너상을 중간 전사 벨트(51)로 전사시킴으로써, 일차 전사를 행한다.
[카트리지의 장착 및 탈착 동작]
도 3a 및 3b는, 카트리지 교환 작업을 실시할 때의 본체를 나타낸 화상 형성 장치(1)의 사시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카트리지의 길이방향(드럼 카트리지라면, 감광 드럼(43)의 축선방향)으로, 그리고,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방측으로 카트리지를 제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구성(측배향 구성)된다. 즉, 카트리지는, 화상 형성 장치(1)의 전방에서 회동가능 커버(100)를 개폐함으로써 장탈착된다. 도 4a 및 4b는, 커버(100)의 움직임과 카트리지의 움직임을 설명하기 위한, 커버(100)의 개폐시의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하부 가이드(102)의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커버(100)의 개폐시에 있어서,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상부 가이드(103C),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하부 가이드(102C), 전노광부(104C)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카트리지의 정면도이다. 도 5a는, 커버(100)가 닫힌 상태로서, 화상 형성시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5b는, 커버(100)가 열린 상태로서, 카트리지가 탈착되거나 장착될 때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6a 및 6b는, 커버(100)의 개폐시에 있어서, 발광부인 전노광부(104)의 LED광의 조사 경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는, 커버(100)가 닫힌 상태로서, 화상형성시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6b는, 커버(100)가 열린 상태이며, 카트리지를 탈착하거나 장착하거나 할 때의 배치를 나타낸다.
카트리지(41, 42)의 상하에는 카트리지의 삽입 또는 제거를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하는 상부 가이드(103)와 하부 가이드(102) (2개의 가이드)가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41) 상부에는, 전노광부(104)와 일체화되어서,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 상부 가이드(103)가 배치되어 있다. 카트리지(42)의 하부에는, 카트리지 압압부재(106)를 구비하고 커버(100)의 개폐에 연동하여 가동되는 하부 가이드(102)가 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커버(100)의 개폐시의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커버(100)가 닫힌 상태(화상 형성 상태)에서는, 하부 가이드(102)내에 배치된 카트리지 압압부재(106)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의 상방으로 드럼 카트리지(41)가 가압된다. 드럼 카트리지(41)의 양단부에 배치된 감광 드럼 지지 부재의 원호부가, 전방 프레임(3)과 후방 프레임(미도시)의 위치 결정부(31)인 역 V자 형상부에 당접함으로써, 카트리지(41)가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에서 위치 결정된다. 현상 카트리지(42)도 마찬가지이다. 현상 카트리지(42)는, 하부 가이드(102)내의 카트리지 압압부재(106)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의 상방으로 가압 되며, 현상 카트리지(42) 양단부의 위치 결정부가 전방 프레임(3)과 후방 프레임의 위치 결정부인 역 V자 형상부에 위치 결정된다.
다음으로, 커버(100)가 열린 상태(카트리지가 장탈착가능한 상태)의 카트리지 주변 부품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커버(100)를 개폐하면, 내부 커버(101)(도 3b), 레버(105)(도 4a 및 4b)의 순서대로 연동하여, 레버(105)가 소정량만큼 회동한다. 레버(105)는 회동 지점으로 기능하는 회전축(107), 아암(108), 하부 가이드(102)와 연결된다. 하부 가이드(102)는, 커버(100)의 개방과 연동해서 장치 본체의 중력방향의 아래쪽으로 회동한다. 하부 가이드(102)가 내려감으로써, 전방 프레임(3)과 후방 프레임의 위치 결정부의 역 V자 형상부로부터 카트리지(41, 42)의 가압이 해제된다. 커버의 개폐에 연동해서 하부 가이드(102)를 상하 이동시킴으로써, 카트리지(41, 42)를 장치 본체로부터 장탈착할 때의 조작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도 5a 및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가이드(102)는 각 카트리지의 하면과 측면을 가이드하기 위한 리세스를 가진다. 카트리지(41, 42)의 장탈착시에는, 리세스가 드럼 카트리지(41), 현상 카트리지(42)의 길이방향 단부의 하면상의 돌출부와 계합한다. 상부 가이드(103)는 카트리지(41, 42)의 상면과 측면을 가이드하는 리세스를 가진다. 카트리지(41,42)의 장탈착시에는, 리세스가 드럼 카트리지(41), 현상 카트리지(42)의 길이방향 단부의 상면상의 돌출부와 계합하거나 분리된다. 카트리지 가이드에 의해 카트리지의 상하를 가이드함으로써, 사용자가 카트리지 교환을 하는 때는 카트리지 전면의 손잡이에 손을 대는 것만으로, 카트리지를 본체로부터 탈착할 수 있다. 카트리지의 장착시에도, 사용자는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의 일단부를 소정의 가이드 포트에 넣은 후 카트리지를 밀기만 하면 카트리지를 본체에 장착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103)의 측면에는, 감광 드럼(43)을 향해서 광을 발광하는 전노광부(104)가 일체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전노광부(104)는 감광 드럼(43)의 표면에 고정밀도로 LED광을 조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감광 드럼(43)과 근접하게 배치해야 한다. 전노광부(104)가 상부 가이드(103)와 일체화됨으로써, 상부 가이드(103)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감광 드럼(43)과 전노광부(104)와의 거리를 정밀하게 할 수 있다.
도 8a 및 8b와 도 9를 참조하여, 카트리지(41,42)와 그 주변구성에 대해서 더 설명한다. 도 8a 및 8b는, 외부 커버(100)가 닫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외부 커버(100)의 안쪽에 내부 커버(101)가 있다. 도 8a는, 외부 커버(100)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내부 커버(101)로 카트리지(41,42)가 덮어져 있다. 도 8b는 내부 커버(101)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41)는, 장치 본체측의 하부 가이드(102)에 의해 밀어 올려져, 장치 본체측 전방 프레임(3)이나 후방 프레임의 위치 결정부와 계합하며, 이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의 내부에서의 위치가 정해진다. 그 때문에, 도 8a 및 8b의 사시도에서는, 전노광부(104)의 렌즈부(1043)가 보이지 않는다.
도 9는, 외부 커버(100)와 내부 커버(101)가 열린 상태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커버(100)의 개폐에 연동하여, 가이드인 하부 가이드(102)가 중력방향 하방으로 이동하고, 이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4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전노광부(104)와 드럼 카트리지(41)(또는 감광 드럼(43))와의 거리가 증가한다. 전노광부(104)와 드럼 카트리지(41)와의 거리가 증가한 상태에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전노광부(104)의 복수 개의 렌즈부(1043)가 시인될 수 있다. 이 때문에, LED(1041)로부터 발광된 광이 렌즈부(1043)를 통과하기 때문에, 많은 렌즈부(1043)가 시인될 수 있다는 것은, 사용자로 하여금 도 8a 및 8b의 상태보다도 광을 인식하기 쉽도록 하며, 사용자의 시인성이 높아진다.
[사용자에의 알림 방법]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의 통지(paper passage) 이력으로부터 카트리지내의 부품의 가동 시간이 소정시간 이상이라고 검지했을 경우에, 제어부(11)인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2)에 카트리지의 교환 지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를 알린다. 또는, 현상 카트리지(42)안의 토너 잔량이 소정 이하로 되어진 것을 검지했을 경우에, 제어부(11)인 컨트롤러는, 디스플레이(2)에 카트리지의 교환 지시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 이를 알린다. 사용자는 알림 내용을 바탕으로 새로운 카트리지를 준비하고, 현상 카트리지(42)의 교환을 실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11)는, 디스플레이(2)상에 카트리지 교환 지시를 표시한다. 이에 더하여, 제어부(11)는, 제거되어야 할 카트리지에 가장 가까운 발광부인 전노광부(104)를 발광(점등)시키어,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사용성을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카트리지에 가장 가까운 발광부가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드럼 카트리지(41)의 경우는, 감광 드럼(43)의 축선방향에 수직한 면)상으로 광을 방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카트리지 교환을 할 때는, 디스플레이(2)의 지시에 따라 커버(100)를 연다. 임의의 드럼 카트리지(41)가 교환되어야 할 경우, 교환되어야 할 드럼 카트리지(41)를 디스플레이(2)상에 지정하고, 드럼 카트리지(41)에 가장 가까운 전노광부(104)를 점등(발광)시킨다. 도 5b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00)가 열릴 때, 하부 가이드(102)가 하부 위치에 있기 때문에, 드럼 카트리지(41)는 화상 형성 위치보다도 하측에 위치하고, 전노광부(104)와 감광 드럼(43)과의 사이의 클리어런스가 증가한다. 즉, 상담지체인 감광 드럼(43)은, 커버(100)가 열린 상태에서, 드럼 카트리지(41)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커버(100)가 닫힌 상태에서보다도, 발광부인 전노광부(104)로부터 더 먼 위치에 위치된다. 드럼 카트리지(4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드럼 카트리지(41)와 드럼 카트리지(41)를 위치 결정하는 프레임의 위치 결정부(31)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커버가 열린 상태쪽이, 커버가 닫힌 상태보다도 크다.
각각의 전노광부(104)는, 복수의 LED(1041)를 가진다. LED(1041)는, 감광 드럼(43)의 표면을 따라, 감광 드럼(43)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때문에, 장치의 전방(장치 전방)에 가장 가까운 LED도, 드럼 카트리지(41) 전방 단부가 아니고, 단부보다도 조금 감광 드럼의 길이방향 중앙측에 위치된다. 이 때문에, 전노광부(104)와 감광 드럼(43)이 화상 형성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이 장치 본체 전방측(전방)으로 전파되는 광학 경로가 좁다. 그 결과, 사용자가 장치 본체 전방측(전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전노광부(104)의 LED(1041)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시인하는 것이 곤란하다.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 카트리지(41)를 내림으로써, 전노광부(104)와 드럼 카트리지(41)의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킴으로써, 전노광부(104)의 LED(1041)로부터 장치 본체 전방측(전방)으로 전파되는 광학 경로가 증가한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전노광부(104)의 LED(1041)로부터 발광된 광을 장치 본체전방측 (전방)으로부터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장치 본체나 카트리지 라벨 및 디스플레이(2)의 정보에만 기초하여 판단하는 경우보다, 사용자는 직관적으로 교환되어야 할 카트리지를 더 쉽게 인식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색에 대한 4세트의 드럼 카트리지(41)와 현상 카트리지(42), 총 8개의 카트리지로부터 소정의 카트리지를 용이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새로운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에 장착 위치부터 가장 가까운 전노광부(104)를 점등시킴으로써, 장착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가이드(102)를 이동시킴으로써 전노광부(104)와 드럼 카트리지(41)의 클리어런스를 길이방향으로 균일하게 증가시키고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전노광부(104)와 드럼 카트리지(41)의 클리어런스가 장치 본체 전방측 (전방)에서만 증가하도록 구성하여도 동일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드럼 카트리지(41)의 길이방향과 수직한 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상담지체인 감광 드럼(43)과 발광부인 전노광부와의 거리는, 커버가 닫힌 상태보다 3mm 이상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거리가 길어짐으로써, 발광부로부터의 광을 보다 사용자가 시인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상담지체인 감광 드럼(43)과 발광부인 전노광부(104)와의 거리는, 커버가 닫힌 상태보다 3mm 이상 6mm 이하의 범위만큼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거리라면, 화상 형성 장치(1)의 크기는 그대로 하면서, 부품의 개수를 늘리지 않고도, 사용자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의 전체 구성 및 카트리지의 주변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과 같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는, 카트리지 교환 작업을 실시할 때에,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감광 드럼(43)의 축선방향)에서, 장치 전방측으로 카트리지를 장탈착가능한 구성(측배향 구성)인 점은 실시예 1과 같다. 실시예 2는, 카트리지의 장탈착을 회동가능 커버(100)를 장치(1)의 전방에서 개폐하여 행하는 점, 및 가이드인 상부 가이드(103)와 하부 가이드(102)가 제공된다는 점에서 실시예 1과 동일하다. 그러나, 가이드인 하부 가이드(102)가, 커버(100)의 개폐에 연동해서 이동하지 않고, 카트리지가 커버(100)의 개폐에 따라 상하 이동하지 않는다.
실시예 1에서는, 커버(100)를 열 때에 하부 가이드(102)가 내려가고, 이에 의해 드럼 카트리지(41)와 전노광부(104)와의 사이의 클리어런스를 증가시킴으로써, 전노광부(104)로부터의 LED광을 사용자에게 시인시켜, 카트리지 교환을 알리는 구성이었다. 실시예 2에서는, 커버(100)의 개폐 동작에 연동하여, 전노광부(110)를 이동시킴으로써, 교환되어야 할 드럼 카트리지(41)를 사용자에게 알린다.
도 7a 및 7b는, 커버(100)의 개폐시에 있어서 전노광부(110)와 드럼 카트리지(41)의 위치 관계를 각각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화상 형성을 위해 커버(100)가 닫힌 상태의 배치를 나타낸다. 도 7b는, 카트리지를 장착 또는 탈착하기 위해, 커버(100)가 열린 상태의 배치를 나타낸다. 전노광부(104)는 전방 프레임(3)에 고정된 가이드인 상부 가이드(103)에 부착되며, 감광 드럼(43)의 축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전노광부(104)는, 커버(100)가 열렸을 때 형성되는 개구를 향해 이동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발광부인 전노광부(104)는, 미도시한 전노광부 가압부재에 의해 장치 본체 전방측 (전방)의 개구를 향해 가압된다. 커버(100)를 닫았을 때에 전노광부(104)는, 커버(100)에 의해 장치 본체 후방으로 가압되어, 화상 형성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커버(100)가 열렸을 때에는 커버(100)의 가압은 해제되어, 전노광부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된 전노광부(104)는 장치 본체 전방측(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전노광부(110)의 복수의 LED(1041)의 일부가 장치 본체 전방측(전방)에 노출된다.
사용자가 카트리지 교환을 할 때, 디스플레이(2)상의 지시에 따라 커버(100)를 연다. 임의의 드럼 카트리지(41)가 교환되어야 할 경우, 제어부(11)는, 디스플레이(2)에 교환되어야 할 카트리지의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며, 드럼 카트리지(41)에 가장 가까운 전노광부(104)를 점등하도록 제어한다. 커버(100)를 열었을 때에, 전노광부(104)의 LED(1041)의 일부가 장치 본체로부터 노출되기 때문에, 점등한 LED(1041)의 광을 사용자가 직접 시인할 수 있고, 교환되어야 할 드럼 카트리지(41)를 용이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어부(11)는, 새로운 카트리지를 장착할 때에 있어서도, 장착 위치에 가장 가까운 전노광부(104)를 점등(발광)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장착시에 유저를 가이드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3
실시예 1과 2에서는, 8개의 카트리지의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 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의 카트리지를 보유가능한 임의의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3에서는, 제1 카트리지 내지 제4 카트리지의 4개의 카트리지가 각각 독립으로 장탈착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가 제공된다. 제1 카트리지는 제1 상담지체를 가진다. 제2 카트리지는 제2 상담지체를 가진다. 제3 카트리지는, 토너를 수납하며, 제1 상담지체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를 공급한다. 제4 카트리지는, 토너를 수납하며 제2 상담지체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한 토너를 공급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제1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는 제1 발광부와, 제2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는 제2 발광부와, 제1 발광부와 제2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1)를 가진다.
제어부는,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1 카트리지를 탈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제1 발광부로부터 발광이 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는,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3 카트리지를 탈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제1 발광부가 발광을 하도록 제1 발광부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1 카트리지를 탈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및 제3 카트리지를 탈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제1 발광부는 광을 발광한다. 제1 카트리지를 탈착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제1 발광부가 턴온될 수 있으며, 제3 카트리지를 탈착할 필요가 있을 경우는, 제3 발광부가 점멸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탈착되어야 할 카트리지의 시인성이 증가된다.
기타의 실시예
실시예 1은, 드럼 카트리지(41)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카트리지가 교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실시예 2는, 전노광부(104)의 위치를 변화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카트리지가 교환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리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 예와는 다른 방법으로, 커버(100)의 개폐에 따라, 카트리지 혹은 전노광부(104)를 이동시킴으로써, 전노광부(104)의 LED광을 시인가능하게 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1과 2는, 드럼 카트리지(41)의 교환시에만 전노광부(104)를 발광시키는 구성이었지만. 현상 카트리지(42)의 교환시에 발광시켜도 된다. 게다가, 교환되어야 할 카트리지가, 드럼 카트리지(41)인 경우, 현상 카트리지(42)인 경우, 및 양쪽인 경우에 있어서, 제어부는, 다른 발광방법을 실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드럼 카트리지(41)을 교환할 경우는, 발광부가 턴온되고, 현상 카트리지(42)을 교환할 경우는, 발광부가 점멸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1과 2에서는, 카트리지를 장탈착해서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했지만, 이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경우 이외에, 제어부가 카트리지를 탈착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도, 발광부인 전노광부를 점등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종이 걸림 등으로, 특정한 카트리지를 탈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 디스플레이에 그 취지를 표시하고, 그 특정한 카트리지에 가장 가까운 전노광부를 발광시켜서 사용성을 향상시켜도 좋다.
실시예 1과 2는,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전노광부(104)의 LED로부터 광을 발광시키도록 구성되지만, 발광부가 전노광부(104)일 필요는 없고 화상 형성용의 노광부이어도 된다. 기존의 발광부를 사용함으로써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전노광부(104)가, 적은 수의 부품의 이동으로 사용자의 시인성이 향상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실시예 1과 2에서는, 제어부(11)가,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한다. 제어부(11)는,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프로세스의 제어도 겸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부터 카트리지를 제거 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측배향 구성)에 있어서, 탈착되어야 할 카트리지에 대한 사용자의 시인성을 높이고,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예 및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섭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은 2017년 9월 2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183526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는 참조에 의해 그 전체가 본 명세서에 삽입된다.

Claims (10)

  1. 적어도 2개의 카트리지를 보유가능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카트리지가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장착 또는 탈착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이며,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카트리지가 장착 또는 탈착될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개방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버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닫힌 닫힘 상태에 비하여, 상기 커버가 열린 열림 상태에서,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 열릴 때, 상기 가이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중력방향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고 판단된 카트리지에 가장 가까운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 위에 정전 잠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상담지체를 노광하도록 구성된 노광부와,
    상기 상담지체 위에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된 현상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상담지체 위의 토너상이 전사된 후에, 상기 상담지체의 표면을 노광하도록 구성된 전(前)노광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를 상기 화상 형성 장치내에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가 닫힌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위치 결정부와 접촉하여, 상기 카트리지가 위치 결정되고,
    상기 커버가 열린 경우에는,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위치 결정부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상기 카트리지와 상기 위치 결정부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보다 상기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더 넓은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의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발광부와의 사이의 거리는,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의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발광부와의 사이의 거리보다 3mm 이상 더 긴 화상 형성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LED)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광한 광이 통과하는 복수의 렌즈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는, 상기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를 제1 상담지체로 할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카트리지는, 상기 제1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제2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2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1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제2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2 카트리지와, 토너를 수납하며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상담지체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3 카트리지와, 토너를 수납하며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상담지체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4 카트리지가 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제1 카트리지 내지 상기 제4 카트리지가 장착 또는 탈착될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개방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버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닫힌 닫힘 상태에 비하여, 상기 커버가 열린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닫힌 닫힘 상태에 비하여, 상기 커버가 열린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 열릴 때, 상기 가이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중력방향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광되도록 발광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1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1 카트리지와, 제2 상담지체를 가지는 제2 카트리지와, 토너를 수납하며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상담지체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3 카트리지와, 토너를 수납하며 토너상을 형성하기 위해 제2 상담지체에 토너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제4 카트리지가 각 카트리지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상담지체를 향해서 광을 발광하도록 구성된 제2 발광부와,
    상기 제1 발광부와 상기 제2 발광부의 발광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와,
    상기 제1 카트리지 내지 상기 제4 카트리지가 장착 또는 탈착될 때,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본체에 개방가능하도록 구성된 커버와,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될 때 상기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를 상기 본체로 가이드하도록 구성된 가이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닫힌 닫힘 상태에 비하여, 상기 커버가 열린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1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 상담지체는, 상기 커버가 닫힌 닫힘 상태에 비하여, 상기 커버가 열린 열림 상태에서, 상기 제2 카트리지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발광부로부터 떨어져 있도록 배치되며,
    상기 커버가 열릴 때, 상기 가이드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중력방향 하방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3 카트리지가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상기 본체로부터 탈착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을 경우에,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발광부로부터 광이 발광되도록 발광을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9. 삭제
  10. 삭제
KR1020207007940A 2017-09-25 2018-09-12 적어도 두 개의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보유지지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KR102223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83526A JP7009135B2 (ja) 2017-09-25 2017-09-25 画像形成装置
JPJP-P-2017-183526 2017-09-25
PCT/JP2018/033821 WO2019059064A1 (en) 2017-09-25 2018-09-12 IMAGE FORMING APPARATUS FOR MAINTAINING AT LEAST TWO CARTRIDGES IN A REMOVABLE MANN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0851A KR20200040851A (ko) 2020-04-20
KR102223468B1 true KR102223468B1 (ko) 2021-03-04

Family

ID=63713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7940A KR102223468B1 (ko) 2017-09-25 2018-09-12 적어도 두 개의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보유지지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16930B2 (ko)
JP (1) JP7009135B2 (ko)
KR (1) KR102223468B1 (ko)
CN (1) CN111480122B (ko)
WO (1) WO201905906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866A (ja) 2002-11-22 2004-06-17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08158381A (ja) 2006-12-26 2008-07-1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191515A (ja) 2007-02-06 2008-08-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9029106A (ja) 2007-07-04 2009-02-12 Seiko Epson Corp ラインヘッド及び該ラインヘッド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KR101155190B1 (ko) 2006-12-22 2012-06-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9932B2 (ja) * 1996-09-26 2006-11-01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及びカップリング
JP3363891B2 (ja) 2001-03-19 2003-01-08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JP2003208074A (ja) * 2002-01-11 2003-07-25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101079577B1 (ko) * 2007-02-08 2011-11-03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2009139451A (ja) 2007-12-04 2009-06-25 Brother Ind Ltd 印刷装置
JP4586875B2 (ja) 2008-03-29 2010-11-24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着脱体の認識装置及び着脱体
JP2010049020A (ja) 2008-08-21 2010-03-04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5253253B2 (ja) 2009-03-19 2013-07-31 キヤノン株式会社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4678889B2 (ja) * 2009-08-27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5761948B2 (ja) 2010-09-14 2015-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6238780B2 (ja) * 2014-02-17 2017-11-29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70866A (ja) 2002-11-22 2004-06-17 Canon Inc カラー画像形成装置
KR101155190B1 (ko) 2006-12-22 2012-06-13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프로세스 카트리지, 전자 사진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사진 감광 드럼 유닛
JP2008158381A (ja) 2006-12-26 2008-07-10 Brother Ind Ltd 画像形成装置
JP2008191515A (ja) 2007-02-06 2008-08-21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9029106A (ja) 2007-07-04 2009-02-12 Seiko Epson Corp ラインヘッド及び該ラインヘッド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816930B2 (en) 2020-10-27
KR20200040851A (ko) 2020-04-20
WO2019059064A1 (en) 2019-03-28
JP2019060937A (ja) 2019-04-18
CN111480122A (zh) 2020-07-31
JP7009135B2 (ja) 2022-01-25
CN111480122B (zh) 2022-05-31
US20200133198A1 (en) 2020-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54594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first cover and second cover
EP1462866B1 (e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odular processing units
US917646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removable cartridge and movable light emitting member
JP200928235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130129847A (ko) 화상 형성 장치
JP2012150522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20240176287A1 (en) Cartridge unit
US201503628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KR102223468B1 (ko) 적어도 두 개의 카트리지를 탈착가능하게 보유지지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US1174774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946017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7009731A (ja) 画像形成装置
JP4059110B2 (ja) 画像形成装置
JP5253253B2 (ja)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809204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11480A (ja) 画像形成装置
JP536043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6138900A (ja) 案内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3231837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1458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0204694A (ja) 画像形成装置
JP618729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18092043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209619A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KR20080039640A (ko) 화상형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