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809B1 -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 - Google Patents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809B1
KR102222809B1 KR1020190057830A KR20190057830A KR102222809B1 KR 102222809 B1 KR102222809 B1 KR 102222809B1 KR 1020190057830 A KR1020190057830 A KR 1020190057830A KR 20190057830 A KR20190057830 A KR 20190057830A KR 102222809 B1 KR102222809 B1 KR 102222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ntainer
puff
fixe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391A (ko
Inventor
장규연
Original Assignee
(주)에이치더블유엘
(주)지앤브이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치더블유엘, (주)지앤브이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에이치더블유엘
Priority to KR1020190057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809B1/ko
Priority to US17/610,338 priority patent/US20220218089A1/en
Priority to PCT/KR2019/012082 priority patent/WO2020235750A1/ko
Publication of KR2020013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6Reciprocating pumps, i.e. with variable volume chamber wherein pressure and vacuum are alternately gen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4Means for supplying liquid to the outlet of the container
    • A45D2200/057Spray nozzles; Generating atomised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18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mprising a pad, i.e. a cushion-like mass of soft material, with or without gripp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타입 제1스킨과 하드타입 제2스킨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액상 실리콘 등의 쿠션체로 구성되며, 통공(또는 통공에 구비된 노즐)을 통하여 결합된 용기에서 배출되는 저장체의 도포 성능 및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하도록 한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통하여 썬블록 등의 화장품, 액상 통증완화제(속칭 '파스') 등의 약품, 풀 등의 접착제, 기타 젤타입 등의 각종 액상 도포제를 신체 등 도포 대상체에 문질러 바르는 경우 발림성(고르고 빠른 도포 특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리해진다.

Description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PUFF AND CASE EQUIPPED WITH THEREOF}
본 발명은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썬블록 등의 화장품, 액상 통증완화제(속칭 '파스') 등의 약품, 풀 등의 접착제, 기타 젤타입 등의 각종 액상 도포제를 신체 등 도포 대상체에 문질러 바르는 경우 발림성(고르고 빠른 도포 특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리하도록
소프트타입 제1스킨과 하드타입 제2스킨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액상 실리콘 등의 쿠션체로 구성되며, 통공(또는 통공에 구비된 노즐)을 통하여 결합된 용기에서 배출되는 저장체의 도포 성능 및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하도록 한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관한 것이다.
피부 등의 도포 대상체에 화장품 등의 도포제를 바르는 방식은 물풀과 같이 노즐 단부에 구비된 흡수성 스폰지를 활용하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하는 디스크 타입 등의 퍼프(파운데이션 등의 화장품을 바르는 용도)를 사용하거나, 썬블록 등의 화장품 등 도포제 자체를 고형 스틱 타입으로 성형하여 직접 피부 등의 도포 대상체에 도포제를 문질러 바르는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한편, 튜브형 화장품의 경우, 화장료가 젤상 또는 액상으로 이루어져, 노즐팁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피부에 문질러서 사용하고 있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실용신안등록 제20-0274599호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노즐팁 구조"가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튜브용기의 선단에 일체형이나 조립형으로서 배출공을 갖는 노즐팁을 구성한 튜브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노즐팁의 선단면 및 외주면에 후로킹처리로 기모면(起毛面)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튜브형 화장품용기의 사용에 따른 선단에 구성되는 경질재의 플라스틱 노즐팁과 접촉피부간의 이질감을 극소화하면서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실용신안공개 제20-2008-0001934호 "스틱형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단부구조"가 있는데,
이 공개고안은 스틱형 용기의 선단에 연결캡이 결합되고, 그 연결캡의 선단에는 단부에 경사면과 배출공을 갖는 노즐팁이 결합되는 스틱형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그 노즐팁 단부의 경사면에는 만곡의 곡률을 갖는 요홈부를 형성하고, 상기 요홈부의 전체에는 반구형의 돌기를 형성하며, 상기 요홈부와 돌기를 갖는 노즐팁은 연질 탄력재로 성형하여 상기 연결캡과 결합 구성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실용신안등록 제20-0378581호 "화장품 도포용 노즐팁"이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상부가 개방되어지고 상단 외주연에 숫나사산이 구성되어지며 내부에 글로스가 수용되어지게 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용기 본체 선단에 결합되어지게 되는 노즐팁과, 상기 용기 본체의 숫나사산과 결합되어지게 내주연 하부에 암나사산이 구성되어지게 되는 캡으로 구성된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 내의 립글로스가 외부로 배출되어지게 중앙을 관통하여 통공이 구성되어지며, 하단 외주연 둘레에 용기 본체에 장착 후 빠지지 않도록 걸림턱이 구성되어지고, 중단 외주연 둘레에 용기 본체 상단에 밀착되어지게 되는 밀착편으로 구성되어지되 전체가 실리콘재로 성형 제조되는 화장품 도포용 노즐팁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실용신안등록 제20-0341782호 "화장품 도포용 팁"이 있는데,
이 등록고안은 화장품 수용부와 화장품 토출부로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의 화장품 토출부와 결합되어 사용되는 일련의 화장품 도포용 팁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의 종류에 따라서 도포가 용이하도록 적절하게 선택하여 상기 화장품 용기에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는 화장품 도포용 팁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종래기술의 용기결합형 노즐의 경우 피부와 접촉하는 노즐팁이 상대적으로 경질이어서 유아나 여성의 경우 피부 손상의 우려가 있고 파손되기 쉬어 상처까지 입을 수 있어 상업적으로 각광받지 못하고 있으며, 발림성 내지 도포특성이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문제가 상존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썬블록 등의 화장품, 액상 통증완화제(속칭 '파스') 등의 약품, 풀 등의 접착제, 기타 젤타입 등의 각종 액상 도포제를 신체 등 도포 대상체에 문질러 바르는 경우 발림성(고르고 빠른 도포 특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리하도록 제1스킨과 제2스킨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액상 실리콘 등의 쿠션체로 구성되며, 통공(또는 통공에 구비된 노즐)을 통하여 결합된 용기에서 배출되는 저장체의 도포 성능 및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하도록 한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스킨 각각이 외곽 제1-1 및 제2-1 결합부와 중앙 제1-2 및 제2-2 결합부에 의하여 상호 접합되어 있고, 각 결합부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 등의 쿠션체가 충진된 형태여서 쿠션체 자체의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최대한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여 발림성을 극대화하며, 제1 및 제2 스킨 각각을 피부접촉용 소프트소재 및 경직성 제공용 하드소재로 구성하여 촉감 및 타구성요소(용기나 노즐) 결합성을 보장하도록 한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제1 및 제2 스킨 각각의 중앙 제1-2 및 제2-2 결합부의 접합으로 구성된 부분(이너플렌지)에는 용기에서 배출되는 저장체용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 및 이너플렌지로 구성된 제2픽서에는 노즐을 결합하여 저장체의 원활한 배출을 보장하며,
아울러 제1스킨은 단부의 이너플렌지용 제1-2 결합부를 향하여 요입된 리세스를 갖고, 이 리세스에는 상기 노즐이 수용 및 함몰되어 비노출되고,
무엇보다도 제1 및 제2 스킨 각각의 외곽 제1-1 및 제2-1 결합부의 접합으로 형성된 용기 결합용 아웃플렌지가 제1픽서의 역할을 하며, 이 제1픽서는 평면 관찰시 용기 결합시 노출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스킨의 도포면에 의하여 숨겨지도록 도포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경질 구성요소(제1 및 제2픽서나 노즐)가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촉감 및 발림성을 확보하도록 한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용기 결합시 노출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스킨의 표면에는 흡수부재가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내장재 및 용도에 따라 최적의 도포특성을 확보하도록 한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퍼프는
저장부 및 아웃플렌지용 제1-1결합부를 갖는 제1스킨;
상기 제1스킨의 저장부에 채워져 탄성을 제공하는 쿠션체; 및
상기 제1스킨의 제1-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1결합부를 갖고, 저장부를 밀폐하는 제2스킨;을 포함하여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퍼프에서
제1스킨은 내측에 리세스를 갖고, 이 리세스의 단부에는 이너플렌지용 제1-2 결합부를 갖고, 제2스킨은 제1-2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2결합부를 가지며, 제1-2 및 제2-2 결합부에는 제2픽서가 형성되고, 이 제2픽서에 의하여 둘러싸인 통공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통공에는 노즐이 결합되어 있고,
제1-1 및 제2-1 결합부가 용기에 결합되는 제1픽서를 형성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리세스에 수용 및 함몰되어 비노출되며,
상기 제1스킨은 소프트소재이고, 제2스킨은 하드소재이고,
용기 결합시 노출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스킨의 표면에는 흡수부재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제1픽서는 평면 관찰시, 용기 결합시 노출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스킨의 도포면에 의하여 숨겨지도록 도포면 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는 제1스킨과 제2스킨 사이의 공간에 채워진 액상 실리콘 등의 쿠션체로 구성되며, 통공(또는 통공에 구비된 노즐)을 통하여 결합된 용기에서 배출되는 저장체의 도포 성능 및 사용 편리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또 제1 및 제2 스킨 각각이 외곽 제1-1 및 제2-1 결합부와 중앙 제1-2 및 제2-2 결합부에 의하여 상호 접합되어 있고, 각 결합부 사이의 공간에 실리콘 등의 쿠션체가 충진된 형태여서 쿠션체 자체의 누설을 방지하면서도 최대한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여 발림성을 극대화하며, 제1 및 제2 스킨 각각을 피부접촉용 소프트소재 및 경직성 제공용 하드소재로 구성하여 촉감 및 타구성요소(용기나 노즐) 결합성을 보장할 수 있고, 나아가 제1 및 제2 스킨 각각의 중앙 제1-2 및 제2-2 결합부의 접합으로 구성된 부분(이너플렌지)에는 용기에서 배출되는 저장체용 통공을 형성하고, 이 통공 및 이너플렌지로 구성된 제2픽서에는 노즐을 결합하여 저장체의 원활한 배출을 보장하며, 아울러 제1스킨은 단부의 이너플렌지용 제1-2 결합부를 향하여 요입된 리세스를 갖고, 이 리세스에는 상기 노즐이 수용 및 함몰되어 비노출되고, 무엇보다도 제1 및 제2 스킨 각각의 외곽 제1-1 및 제2-1 결합부의 접합으로 형성된 용기 결합용 아웃플렌지가 제1픽서의 역할을 하며, 이 제1픽서는 평면 관찰시 용기 결합시 노출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스킨의 도포면에 의하여 숨겨지도록 도포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경질 구성요소(제1 및 제2픽서나 노즐)가 피부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촉감 및 발림성을 확보할 수 있고, 또 용기 결합시 노출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스킨의 표면에는 흡수부재가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구비되도록 하여 내장재 및 용도에 따라 최적의 도포특성을 확보하여, 결국 썬블록 등의 화장품, 액상 통증완화제(속칭 '파스') 등의 약품, 풀 등의 접착제, 기타 젤타입 등의 각종 액상 도포제를 신체 등 도포 대상체에 문질러 바르는 경우 발림성(고르고 빠른 도포 특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리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에 대한 결합 단면도.
도 2 및 도 3은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용기용 퍼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퍼프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과는 다른 형태의 노즐을 구미한 용기용 퍼프에 대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또 다른 형태의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 등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우열이나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퍼프(P(P1))는 제1스킨(10), 제2스킨(20), 제1 및 제2 스킨 사이의 저장부(15)에 구비된 쿠션체(30)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노출되어 피부 등 사용처(도포처)(도포 대상체)와 접촉하는 쪽을 제1스킨(10)으로 정하고, 용기(C)의 캡, 특히 내캡(C4)에 의하여 내장 및 고정되는 쪽을 제2스킨(20)으로 정한다. 특히 피부 등 도포체와 직접 접촉하는 노출 부위를 도포면(S)으로 정한다
도 4와 같이, 중앙돌출부(M2)를 갖는 금형(M)의 수용부(M1)에 제1스킨용 시트(S10)를 배열하고, 액상실리콘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인공 또는 천연 탄성체(30S)를 투입한 후, 제2스킨용 시트(S20)를 덮은 다음,
제1 및 제2 픽서(F1,F2)에 해당하는 아웃플렌지 및 이너플렌지를 남기고 톰슨 금형 등을 이용하여 타발하여 퍼프(P)를 제조한다. 필요에 따라 용기에 대한 퍼프의 고정은 제1스킨을 용기의 캡, 특히 내캡이 고정하는 방식으로 대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스킨은 외형이 아래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하여 테이퍼 진 형상을 갖고, 내캡의 중공이 제1스킨의 하단부 보다 작아서 조립시 퍼프가 제1스킨 하단부에서 내캡의 둘레에 걸려 분리되지 않는 방식으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형(M)에는 필요에 따라 제1스킨(10)용 시트(S10)의 금형 수용부(M1) 저면 밀착을 위한 다수의 미세 흡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스킨과 제2스킨의 접합은 소재 자체 특성에 의한 접합, 가열접합, 초음파 접합, 접착제 접합 등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탄성체(30S)는 실리콘이나 폴리우레탄을 활용하는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 점도가 증가되어 어느 정도 굳어진 상태로 양산될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탄성체(30S)는 별도의 성형품이나 가공품을 투입한 것일 수 있다. 생산성과 이후 품질 유지를 위하여 탄성체는 실리콘, PU, PE 또는 PC 등의 연성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스킨(10)(20)용 시트(S10)(S20)는 PE, PC, PP 등 다양한 합성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이처럼 썬블록 등의 화장품, 액상 통증완화제(속칭 '파스') 등의 약품, 풀 등의 접착제, 기타 젤타입 등의 각종 액상 도포제를 신체 등 도포 대상체에 문질러 바르는 경우 발림성(고르고 빠른 도포 특성)이 향상되며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퍼프(P(P1))에서 제1스킨(10)은 저장부(15) 및 아웃플렌지용 제1-1결합부(11), 이너플렌지용 제1-2결합부(13)를 갖는다.
또 제2스킨(20)은 상기 제1스킨(10)의 제1-1 및 제1-2 결합부(11)(12)에 결합되는 제2-1 및 제2-2 결합부(21)(23)를 갖고, 저장부(15)를 밀폐하여 쿠션체(30)를 보유하도록 하여, 쿠션체 자체의 누설이나 노출을 방지하면서도 최대한 부드러운 촉감을 제공하여 발림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
도 1의 우측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플렌지에 해당하는 제1-1 및 제2-1 결합부(11)(21)가 용기에 결합되는 아울플렌지용 제1픽서(F1)를 구성하고,
도 1의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 및 제2-2 결합부(13)(23)가 통공(H) 둘레에 해당하는 이너플렌지용 제2픽서(F2)를 형성한다.
특히 도 4에서 금형(M)의 중앙돌출부(M2)에 의하여 제1스킨은 내측에 리세스(R)를 갖고, 이 리세스의 단부에 이너플렌지용 제1-2 결합부(13)를 갖는 형태이다.
필요에 따라 상기 통공(H) 및 이너플렌지로 구성된 제2픽서(F2)에는 노즐(40)을 결합하여 저장체의 원활한 배출을 보장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리세스(R)로 인하여 상기 노즐(40)이 수용 및 함몰되어 비노출되는 구조여서 피부 등 도포대상체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피부 등 도포대상체와 접촉하는 상기 제1스킨(10)은 소프트소재이고 제2스킨(20)은 하드소재여서,
소프트타입 제1스킨은 피부 등 도포대상체에 대한 보호 및 화장품 등 저장체의 도포성을 보장하고,
하드타입 제2스킨은 용기에 쿠션체를 장착하는 경우 고정력을 보장하고 퍼프 자체의 형상유지 기능을 수행한다.
소프트타입 제1스킨 및 하드타입 제2스킨은 상대적인 경직성을 지칭하는 것이며, 소프트 및 하드 특성은 소재 자체의 물성이나 소재 두께, 또는 이 둘 모두 등을 통하여 얻어진다.
아울러 도 1에 도시된 제1 형태의 퍼프(P1)는 제1픽서(F1)가 평면 관찰시 용기 결합시 노출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스킨(10)의 도포면(S) 내지 노출면에 의하여 숨겨지도록 도포면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리세스(R)와 함께 경질 구성요소(제1 및 제2픽서나 노즐)가 피부 등 도포대상체와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우수한 촉감 및 발림성을 확보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제1 형태의 퍼프(P1)를 구비한 용기(C)는 화장품 등 저장체(C6)가 담기는 저장부(C2)를 형성하는 본체(C1)와, 이 본체의 개구부(C2) 입구에 결합되는 내캡(C4)(퍼프(P1)를 고정하기 역할도 함)과, 이 내캡 외측에 걸림결합(도 1) 또는 나사결합을 하여 퍼프(P1)를 내캡(C4)에 고정하는 고정링(C4a), 그리고 퍼프(P1)의 상시 노출을 방지하도록 내캡(C4)에 결합되는(나사결합이나 걸림결합 등) 외캡(C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캡(C4)은 퍼프(P1)의 통공(H)에 상응하는 위치에 저장체(C6) 배출공을 갖는다.
필요에 따라 퍼프(P1)는 리세스(R)에 끼워져 퍼프의 통공(H)을 관통하여 내캡(C4)의 배출공에 끼워지는 노즐(4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노즐(40)은 도 1의 상부 일점 쇄선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공(H)에 상응하는 배출로(47)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헤드(41), 연결부(43), 걸림부(45)가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형성되어 있다.
헤드(41) 하단과 걸림부(45) 상단에서 외경이 직각으로 꺾여 갑작스럽게 축소된 연결부(43)에 퍼프의 제2픽서(F2) 및 내캡(C4)의 배출공 둘레의 플렌지가 상하에 배열되어 밀착되는 형태로 위치하고 제2픽서와 내캡의 분리는 헤드(41) 하면과 걸림부(45) 상면에 의하여 방지되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걸림부(45)는 상광하협(上廣下狹) 형태여서 노즐을 리세스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여 조립하기에 접합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1의 우측 상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퍼프(P1)는 이러한 노즐(40) 외에 고정링(C4a)의 상부 내향 돌기가 퍼프의 하단 둘레의 제1픽서(F1)를 내향 돌기와 내캡의 상면 사이에 개재하는 형태로 고정하며, 특히 내향 돌기가 퍼프의 하단 둘레의 제1픽서(F1)에 끼워지는 형태로 구성되고, 고정링의 하부 내향 돌기는 내캡(C4)의 하부 환형 홈에 결합되는 형태여서 퍼프(P1)의 내캡(C4)에의 밀착 고정상태를 추가적으로 강화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고정링(C4a)의 상부 내향 돌기는 제1픽서(F1) 외곽으로 돌출된 라운드 타입 제1스킨(10)의 외곽 살에 의하여 덮여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노즐(40)은 퍼프의 리세스(R), 통공(H) 및 내캡(C4)의 배출공까지 관통 결합되어 있어 내장체(C6)의 누설 없는 원활한 배출을 보장한다.
나아가 용기(C)의 외캡(C5)은 내면 중앙, 즉 퍼프의 리세스(R)와 상응하는 위치에 하향 돌출된 밀착돌기(C5a)를 가져 밀착돌기 하단이 노즐(40) 상단의 배출로(47)를 막아 노즐에서 저장체(C6)가 누설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는 도 1과는 다른 형태의 퍼프(P(P2))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제1스킨(10), 특히 도포면(S)이 안쪽은 높고(고면부(P2a)) 한쪽은 낮아(저면부(P2b)) 경사 형태를 이루며, 평면 관찰시 제1픽서(F1M)가 도포면(S)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또 도 2의 퍼프(P2)는 우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되 변형예와 같이, 제1픽서(F1M)가 외측으로 돌출된(특히 저면부(P2b) 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고정돌기(F1a)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좌측 하부 일점 쇄선 원 내에 도시되 변형예와 같이, 위치고정돌기(F1a)를 갖는 퍼프(P2)를 수용하도록 외곽 상향 돌출부에 둘러싸인 안착부(C4b)를 갖는 내캡(C4)은 위치고정돌기(F1a)가 끼워지도록 외곽 상향 돌출부를 일부 절단하여 형성한 것과 같은 위치고정홈(C4c)을 가져, 사용 중 경사형 퍼프(P2)의 임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A]에는 도포면(S)이 대체로 평평하고, 리세스(R)와 외향 돌출 제1픽서(F1M) 부근에서는 부드럽게 라운드 하향벽체를 형성하는 제1스킨(10)을 갖는 변형예인 퍼프(P2m)가 도시되어 있다.
또 도 3 [B]에는 제1스킨(10)이 후로킹 공법으로 처리되어 기모면(起毛面)(50A)으로 구성된 도포면(S)을 갖는 형태로 구성된 변형 퍼프(P2M)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퍼프의 기모면형 도포면은 사용자의 취향이나 도포되는 저장체의 종류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에는 변형 노즐(40m)을 구비한 퍼프(P)가 도시되어 있다. 이 노즐(40m)은 특히 헤드(41) 하부의 연결부(43)를 변형하여 주름관(43A) 형태로 형성하여
퍼프가 용기에 결합되는 경우 탄성 튜브 타입 용기에 압력을 가하지 않은 상태인 도 5 [A] 및 그 상부 우측 일점 쇄선 원 내 도면에서
사용자가 튜브 타입 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도 5 [B]의 상태로 변화되는데, 이는 저장체가 토출되면서 주름관(43A)을 펼쳐 헤드(41)가 상승되도록 하여
가급적 리세스(R)에 화장품 등 저장체가 잔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이다. 헤드(41)의 상승 정도는 이해의 편의상 과장되게 표현한 측면이 있다.
또 이 변형 노즐(40m)은 도 5 [A] 상부의 우측 및 좌측 일점 쇄선 원 내 도면과 같이, 노즐의 배출로(47) 밀폐 디스크(47A)를 구비하는바, 방사상으로 절개된 탄성 디스크가 사용자가 튜브 타입 용기에 압력을 가하는 경우 절개선(47a)을 중심으로 상승하여 벌어져 배출로를 개방하고, 비사용시 다시 탄성에 의하여 절개선 부위가 맞닿아 배출로를 폐쇄하여 가급적 외기의 유입을 방지하도록 한 구성을 갖는다.
한편, 도 6에는 또 다른 변형 퍼프(P(P3))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퍼프(P3)는 도 3의 퍼프(P2m)(P2M)를 뒤집은 형상과 유사하고,
제1픽서(F1m)는 도 7과 같이 용기(C) 내캡(C4m)을 통하여 고정하면서, 도포면(S)이 용기의 내캡 상부로 돌출되도록
제1 및 제2 스킨(10)(20)의 각 아웃플렌지에 해당하는 제1-1 및 제2-1 결합부의 상부 접합부가 하향 절곡된 후 다시 외향 절곡된 형태를 갖는데, 내캡(C4m)의 상부 내향 돌기가 퍼프의 하단 둘레의 제1픽서(F1m)를 내향 돌기와 용기 본체의 개구부 둘레 플렌지 사이에 개재하는 형태로 고정한다.
또 이 퍼프(P3)에서 상부에 위치한 제1스킨(10)의 상부에는 별도로 도포성 향상이나 촉감 향상 등을 위한 표면부재(50B)가 구비되어 있다. 이 표면부재는 예를 들어 폴리우레탄폼 등의 소재로 구성된 화장품 흡수부재일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 이 표면부재는 쿠션 특성 향상을 위한 부재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표면부재(50B)로 구성된 도포면(S)을 구비한 퍼프(P3)에서 제1스킨은 소프트소재 또는 하드소재일 수 있고, 제2스킨은 하드소재 또는 소프트소재일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및 제2 스킨은 모두 하드소재(이 경우 촉감 및 도포 특성은 표면부재에 의하여 확보됨)이거나 소프트소재(이 경우 결합 강도 제공이나 경직성은 두 스킨의 결합으로 인하여 향상된 강도(경직성)를 통하여 확보됨)일 수 있다.
제2픽서에 의하여 둘러싸인 통공(H) 하부에 위치한 리세스(R)는 노즐 없이 사용되거나,
도 7과 같이, 용기의 개구부를 부분적으로 막는 이너캡(미도시됨)의 토출공에 결합되는 노즐(40)의 헤드가 리세스(R) 내측에 배열되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스킨, 쿠션체의 종류 및 구체 제조사양, 용기 저장체의 구체 종류 등과 관련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은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를 추측 및 추론하고 재현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퍼프 및 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P1,P2,P3: 퍼프
10: 제1스킨
11: 제1-1결합부 13: 제1-2결합부
15: 저장부
20: 제2스킨
21: 제2-1결합부 23: 제2-2결합부
40: 노즐
41: 헤드 43: 연결부
45: 걸림부 47: 배출로
50A,50B: 표면부재
F1,F2: 픽서 H: 통공
R: 리세스
M: 성형금형 C: 용기

Claims (7)

  1. 저장부 및 아웃플렌지용 제1-1결합부를 갖는 제1스킨;
    상기 제1스킨의 저장부에 채워지는 액상실리콘이나 폴리우레탄과 같은 인공 또는 천연 탄성체로 구성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쿠션체; 및
    상기 제1스킨의 제1-1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1결합부를 갖고, 저장부를 밀폐하는 제2스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제1스킨은 내측에 리세스를 갖고, 이 리세스의 단부에는 이너플렌지용 제1-2 결합부를 갖고,
    제2스킨은 제1-2결합부에 결합되는 제2-2결합부를 가지며,
    제1-2 및 제2-2 결합부에는 제2픽서가 형성되고, 이 제2픽서에 의하여 둘러싸인 통공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통공에는 노즐이 결합되어 있고,
    제1-1 및 제2-1 결합부가 용기에 결합되는 제1픽서를 형성하는 용기용 퍼프이되,

    저장체가 담기는 저장부를 형성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개구부 입구에 결합된 내캡을 포함하는 용기에서
    상기 노즐은 상기 통공에 상응하는 배출로가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헤드, 연결부, 걸림부가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형성되어 있고,
    헤드 하단과 걸림부 상단에서 외경이 축소된 연결부에 퍼프의 제2픽서 및 내캡의 배출공 둘레의 플렌지가 상하에 배열되어 밀착되는 형태로 위치하고 제2픽서와 내캡의 분리는 헤드 하면과 걸림부 상면에 의하여 방지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퍼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캡 외측에 결합되는 고정링의 상부 내향 돌기가 퍼프의 제1픽서를 내향 돌기와 내캡의 상면 사이에 개재하는 형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퍼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리세스에 수용 및 함몰되어 비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퍼프.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킨은 소프트소재이고, 제2스킨은 하드소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퍼프.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용기 결합시 노출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스킨의 표면에는 흡수부재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퍼프.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픽서는 평면 관찰시, 용기 결합시 노출되어 피부와 접촉하는 상기 제1스킨의 도포면에 의하여 숨겨지도록 도포면 내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퍼프.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1픽서는 저면부 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된 위치고정돌기를 갖고,
    외곽 상향 돌출부에 둘러싸인 안착부를 갖는 내캡은 이 위치고정돌기가 끼워지도록 외곽 상향 돌출부를 일부 절단하여 형성한 것과 같은 위치고정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용 퍼프.
KR1020190057830A 2019-05-17 2019-05-17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10222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830A KR102222809B1 (ko) 2019-05-17 2019-05-17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
US17/610,338 US20220218089A1 (en) 2019-05-17 2019-09-18 Container puff and container provided with same
PCT/KR2019/012082 WO2020235750A1 (ko) 2019-05-17 2019-09-18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830A KR102222809B1 (ko) 2019-05-17 2019-05-17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391A KR20200132391A (ko) 2020-11-25
KR102222809B1 true KR102222809B1 (ko) 2021-03-05

Family

ID=73458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830A KR102222809B1 (ko) 2019-05-17 2019-05-17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20218089A1 (ko)
KR (1) KR102222809B1 (ko)
WO (1) WO202023575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19B1 (ko) 2008-05-14 2009-09-11 김순언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392980B1 (ko) 2013-03-08 2014-05-08 (주)톨리코리아 퍼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KR200477055Y1 (ko) * 2013-11-26 2015-05-04 (주)에스엔피월드 누출방지구조의 도포부재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60960B1 (fr) * 2003-10-17 2007-03-30 Oreal Applicateur d'un produit, notamment cosmetique
KR200405171Y1 (ko) * 2005-10-26 2006-01-10 주식회사 태평양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200471713Y1 (ko) * 2012-05-25 2014-03-11 (주)에스엔피월드 화장용 퍼프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7319B1 (ko) 2008-05-14 2009-09-11 김순언 도포기능을 갖는 액상용기
KR101392980B1 (ko) 2013-03-08 2014-05-08 (주)톨리코리아 퍼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KR200477055Y1 (ko) * 2013-11-26 2015-05-04 (주)에스엔피월드 누출방지구조의 도포부재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235750A1 (ko) 2020-11-26
KR20200132391A (ko) 2020-11-25
US20220218089A1 (en) 2022-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34890B1 (en) Tube-shaped cosmetic container for discharching cream-type cosmetic
RU2327400C2 (ru) Устройство упаковки и аппликатора
US11123531B2 (en) Integrated-type microneedle patch
RU2474376C2 (ru) Аппликатор для средств по уходу за губами
US8393336B2 (en)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s and kits, and methods of application
CN104159470B (zh) 封装液体的半刚性凹形施加器
CN107404988B (zh) 可涂敷液体的头皮护理容器用盖
JP2006297101A (ja) 組成物例えば化粧品用包装及び塗布装置
JP2017531528A (ja) パッケージングおよび塗布デバイス
KR102222809B1 (ko)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
KR20000056971A (ko) 도포기
US20030161675A1 (en) Cosmetic powder applicator and method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JP4097450B2 (ja) まつ毛パーマ用ロッド
KR200477055Y1 (ko) 누출방지구조의 도포부재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KR102328183B1 (ko) 화장용 퍼프
KR102110967B1 (ko) 흡수성 시트가 구비된 용기 결합용 퍼프
KR200485511Y1 (ko) 화장용 기능성 퍼프
KR102458762B1 (ko) 화장용 퍼프
JP4495807B2 (ja) 洗眼用アイカップ
CN113347904B (zh) 内容物容器
US11772877B2 (en) Device for packaging at least one fluid
KR20180094214A (ko) 화장용 핑거퍼프
JPH09150856A (ja) ワンプッシュスクイズ式液体容器におけるノズル構造
JP2016202322A (ja) 塗布具
KR200168687Y1 (ko) 도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