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1713Y1 - 화장용 퍼프 구조 - Google Patents
화장용 퍼프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1713Y1 KR200471713Y1 KR2020120004447U KR20120004447U KR200471713Y1 KR 200471713 Y1 KR200471713 Y1 KR 200471713Y1 KR 2020120004447 U KR2020120004447 U KR 2020120004447U KR 20120004447 U KR20120004447 U KR 20120004447U KR 200471713 Y1 KR200471713 Y1 KR 20047171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quid
- cosmetic
- puff
- fixing means
- puff struc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8—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for expelling cont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28—Caps combined with stopp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06/00—Special receptacle or package
- Y10S206/823—Cosmetic, toilet, powder pu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 구조에 있어서, 특히 액상의 화장 내용물이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 분출될때 조직 사이로 분출되지 않토록 구성하여 퍼프를 이용한 화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중심에 관통 설치하되 고정수단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화장액이 전달될시에 상기 화장액은 액상 분출용 파이프 내측을 통해 출력하여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만 화장액이 분출되도록 하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와; 상기 고정수단의 내측 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상 분출용 파이프로 화장액을 전달하는 화장액 유도체와; 상기 화장액 유도체가 나사결합되거나 원터치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내부에 액상 화장품이 담기는 화장액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수단과;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중심에 관통 설치하되 고정수단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화장액이 전달될시에 상기 화장액은 액상 분출용 파이프 내측을 통해 출력하여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만 화장액이 분출되도록 하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와; 상기 고정수단의 내측 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상 분출용 파이프로 화장액을 전달하는 화장액 유도체와; 상기 화장액 유도체가 나사결합되거나 원터치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내부에 액상 화장품이 담기는 화장액 용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화장용 퍼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상의 화장 내용물이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 분출될때 조직 사이로 분출되지 않토록 구성하여 퍼프를 이용한 화장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을 사용하여 얼굴을 비롯한 신체 부위를 화장할 때에는 손이나 브러시, 펜슬, 퍼프 등의 각종 화장도구를 이용하게 되며, 특히 화운데이션 등 액상의 화장품을 화장부위에 골고루 바를 때에는 퍼프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 퍼프는 화장품 케이스에 내장될 수 있도록 화장품 케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인 원판형이나 사각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일측면에 손가락을 끼울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삽입밴드가 마련되는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퍼프를 사용할 때에는 손가락 삽입밴드와 일측면 사이로 손가락을 끼워 넣어 퍼프를 지지한 후 화장품을 묻힌 타측면으로 화장할 신체부위를 적당한 타격력으로 두드리게 되면 퍼프에서 이탈되는 화장품이 신체 부위에 정착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퍼프는 스펀지 또는 NBR 라텍스 등으로 제조되는 것으로서, 액상화장품용 퍼프의 배출통로와, 퍼프를 지지하는 퍼프 지지대는 액상화장품용 배출통로가 직접 연결되어 있어서 액상화장품이 들어있는 용기에 설치된 펌프를 작동시켰을 때 퍼프 지지대의 통로를 통해서 퍼프로 직접 배출되었다.
상기 퍼프에 관한 종래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 제 20-0451704는 액상 화장품용 퍼프와 퍼프 지지대의 액상 화장품 배출구조가 제안되어 있는바, 그 기술을 대략적으로 살펴보면, 액상화장품용 퍼프와 퍼프지지대의 액상화장품 배출구조는 액상화장품을 신체에 바르는 퍼프(10)와, 상기 퍼프(10)를 일측에 지지하고 타측에 액상화장품이 담긴 용기(도시되지 않음)와 결합되는 퍼프지지대(20)로 구성된다.
퍼프지지대(20)는 액상화장품이 담긴 용기의 펌핑 파이프에 결합되어 용기에 설치된 펌프의 펌핑 작동에 의해 용기 내에 담긴 액상화장품을 퍼프(10)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퍼프(10)는 액상화장품을 배출하도록 전면에 째진구멍(13)(slit)이 형성되고, 이 째진구멍(13)은 퍼프지지대(20)와 결합하도록 후방에 형성한 결합홈(12)과 퍼프통로(11)에 의해 연통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액상 화장품용 퍼프는 째진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째진구멍을 통해 용기 내부의 액이 분출되도록 제작되는바, 퍼프 내부로 액이 스며들어 퍼프의 외측으로 분출되는 화장액이 적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액상이 퍼프 내에서 굳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현재까지의 액상 화장품을 분출하는 퍼프는 째진 구멍을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째진 구멍을 통해 화장액이 출력되도록 하기 때문에 째진 구멍 외부로 화장액이 출력됨과 동시에 째진구멍 내에서 퍼프 구조체의 측면으로 화장액이 분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며, 따라서 화장액이 퍼프 구조체로 뭉쳐지는 현상을 막을 수 없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퍼프 구조체의 외부로 화장액이 용이하게 분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퍼프 구조체의 째진 구멍에 액상 분출용 파이프를 더 삽입시키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0)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수단(200)과;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중심에 관통 설치하되 고정수단(2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화장액이 전달될시에 상기 화장액은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 내측을 통해 출력하여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만 화장액이 분출되도록 하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와; 상기 고정수단의 내측 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상 분출용 파이프로 화장액을 전달하는 화장액 유도체(400)와; 상기 화장액 유도체가 나사결합되거나 원터치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내부에 액상 화장품이 담기는 화장액 용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상 분출용 파이프는, 티(T)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티(T)자 형태의 머리부는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에 결합되고, 나머지 수직형 몸체는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0)는 재질이 스펀지 또는 NBR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합성수지(루비셀(Rubyce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는 고정수단(200)에 결합하되 고정수단에 언더컷(210)을 형성시켜 강제 끼움 결합시킨 것이 특징이다.
또한, 화장액 유도체와 고정수단의 결합부분에는 오링(220)을 더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퍼프 구조체의 째진 구멍에 액상 분출용 파이프를 더 삽입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용기에서 화장액이 펌핑될때 퍼프 구조체의 외부로 완전하게 출력되기 때문에 화장액이 퍼프 구조체의 측면으로 스며들어 굳어지는 현상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퍼프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퍼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1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1 실시예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2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2 실시예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퍼프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1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1 실시예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2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2 실시예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1 실시예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1 실시예 단면도.
본 고안의 구성요소는 크게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0)와, 상기 퍼프 구조체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200)과,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중앙에 관통 설치되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와, 상기 액상 분출용 파이프로 화장액을 전달하는 화장액 유도체(400)와, 상기 화장액 유도체를 체결하며 내부에 화장액이 담기는 화장액 용기(500)로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화장용 용기의 외측에는 커버체(600)가 더 부가되어 이루어진다. 미설명부호 600a는 커버체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는 돌기로서 화장용기를 사용하지 않을시에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 및 화장액 유도체를 폐쇄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500a는 지지체로서 고정수단을 내측에 케이징하고 퍼프 구조체를 탑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0)는 재질인 스펀지 또는 NBR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합성수지(루비셀(Rubycel))등으로 제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저면에 위치되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를 결합하여 안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는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중심에 관통 설치하되 고정수단(2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화장액이 전달될시에 상기 화장액은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 내측을 통해 출력하여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만 화장액이 분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는 고정수단(200)에 결합하되 고정수단에 언더컷(210)을 형성시켜 강제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액상 분출용 파이프는 티(T)자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티(T)자 형태의 머리부는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에 결합되고, 나머지 수직형 몸체는 고정수단에 결합된다.
상기 화장액 유도체(400)는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상 분출용 파이프로 화장액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일측 끝단이 고정수단의 내측 하부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화장액 유도체와 고정수단의 결합부분에는 오링(220)을 더 결합하여 화장액 유도체와 고정수단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고 아울러 화장액이 외부로 세어나오지 않토록 한다.
상기 화장액 용기(500)는 화장 내용물이 삽입되며, 화장액 유도체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화장액 유도체가 나사결합되거나 원터치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조립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화장액 용기에 액상 화장품을 담은 상태에서 화장액 유도체는 화장액 용기(500)의 상부에 결합하며, 이때 화장액 유도체(400)는 호퍼형태로 이루어져 끝부분으로 갈수록 홀의 너비가 좁아지도록 설계한다.
상기와 같이 화장액 유도체(400)가 조립되면, 상기 화장액 유도체(400)의 상부로 퍼프 구조체(100)를 결합하는바, 상기 퍼프 조립체(100)는 고정수단(200)에 의해서 측면이 고정되거나 저면에 결합되어 고정시킨다.
그리고, 상기 퍼프 조립체(100)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가 관통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에 끼움결합되어 조립이 마무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화장액 용기(500)에는 액상 화장품이 담겨 있는 상태이며, 그리고 화장액 용기는 튜브 타입으로 설계되어 있어 화장액 용기를 손으로 눌러서 액상 화장품이 위로 밀려 올라가도록 유도한다.
그러면, 액상 화장품은 화장액 유도체(400)를 따라서 이동하고, 이어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를 통해 이동하여 최종적으로 퍼프 구조체(100)의 외면으로 액상 화장품이 분출된다.
그리고, 이용하는 퍼프 구조체(100)의 외면에 존재하는 액상 화장품을 이용하여 얼굴에 바르면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2 실시예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화장용 퍼프 구조의 제 2 실시예 단면도로서, 진동자(700) 및 베터리(800)를 결합한 퍼프 구조체로서, 퍼프 구조체는 동일한 구조이며, 아울러 제 2 화장액 유도체(400a)가 설치되어 있어 화장액 유도체와 제 2 화장액 유도체 및 액상 분출용 파이프를 통해 액상 화장품이 출력되어 퍼프 구조체의 외면을 타고 액상 화장품이 흐르게 된다. 이때 나머지 조립방법 및 작용 효과는 동일하다. 즉, 진동식으로 작동하는 화장용 퍼프 구조에서도 본 고안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을 이용하면 가장 큰 장점은 액상 화장액이 퍼프 구조체의 내부로 침투되지 않고 퍼프 구조체의 외측을 타고 분출된다는 것이며, 이에 따라 퍼프 구조체의 내부에 화장액이 뭉치지 않게 된다는 점이다.
즉, 종래의 퍼프 구조체는 째진구멍 형태로 존재하기 때문에 상기 째진구멍을 통해 액상 화장품이 출력될때 퍼프 구조체의 내측면으로 퍼지게 되어 퍼프 구조체 내부가 액상 화장품이 충진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액상 화장액이 공기와 접촉되면서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나, 본 고안은 퍼프 구조체 중심에 액상 분출용 파이프가 박혀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퍼프 구조체의 내측면으로 액상 화장품이 퍼지지 않게 되고 오로지 퍼프 구조체의 상부면으로만 액상 화장품이 분출될 수 밖에 없는 구조이고, 이로 인하여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퍼프 구조체의 외측면에 분출되어나온 화장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얼굴에 바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고정수단과 퍼프 구조체 사이로 화장액이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여 액상 화장품이 모두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 분출되도록 한다.
결국, 본 고안은 액상 화장품을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만 유도하게 되어 얼굴 화장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퍼프 구조체 내부가 오염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100: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
200: 고정수단
300: 액상 분출용 파이프
400: 화장액 유도체
500: 화장액 용기
600: 커버체
700: 진동자
800: 베터리
200: 고정수단
300: 액상 분출용 파이프
400: 화장액 유도체
500: 화장액 용기
600: 커버체
700: 진동자
800: 베터리
Claims (5)
-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0)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수단(200)과;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중심에 관통 설치하되 고정수단(2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화장액이 전달될시에 상기 화장액은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 내측을 통해 출력하여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만 화장액이 분출되도록 하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와;
상기 고정수단의 내측 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상 분출용 파이프로 화장액을 전달하는 화장액 유도체(400)와;
상기 화장액 유도체가 나사결합되거나 원터치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내부에 액상 화장품이 담기는 화장액 용기(500)를 포함하되,
상기 액상 분출용 파이프는,
티(T)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티(T)자 형태의 머리부는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에 결합되고, 나머지 수직형 몸체는 고정수단에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구조. -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0)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수단(200)과;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중심에 관통 설치하되 고정수단(2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화장액이 전달될시에 상기 화장액은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 내측을 통해 출력하여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만 화장액이 분출되도록 하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와;
상기 고정수단의 내측 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상 분출용 파이프로 화장액을 전달하는 화장액 유도체(400)와;
상기 화장액 유도체가 나사결합되거나 원터치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내부에 액상 화장품이 담기는 화장액 용기(500)를 포함하되,
상기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는 고정수단(200)에 결합하되 고정수단에 언더컷(210)을 형성시켜 강제 끼움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구조. -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0)와;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저면에 결합되는 고정수단(200)과;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의 중심에 관통 설치하되 고정수단(20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며, 화장액이 전달될시에 상기 화장액은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 내측을 통해 출력하여 퍼프 구조체의 외측으로만 화장액이 분출되도록 하는 액상 분출용 파이프(300)와;
상기 고정수단의 내측 하부에 끼움 결합되며, 호퍼형태로 이루어지되 내부에 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액상 분출용 파이프로 화장액을 전달하는 화장액 유도체(400)와;
상기 화장액 유도체가 나사결합되거나 원터치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내부에 액상 화장품이 담기는 화장액 용기(500)를 포함하되,
상기 화장액 유도체(400)와 고정수단(200)의 결합부분에는 오링(220)을 더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구조. - 제 1 항 또는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액상 화장품용 퍼프 구조체(100)는 재질이 스펀지 또는 NBR 라텍스 또는 폴리우레탄 합성수지(루비셀(Rubycel))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퍼프 구조.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447U KR200471713Y1 (ko) | 2012-05-25 | 2012-05-25 | 화장용 퍼프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20004447U KR200471713Y1 (ko) | 2012-05-25 | 2012-05-25 | 화장용 퍼프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976U KR20130006976U (ko) | 2013-12-04 |
KR200471713Y1 true KR200471713Y1 (ko) | 2014-03-11 |
Family
ID=51484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20004447U KR200471713Y1 (ko) | 2012-05-25 | 2012-05-25 | 화장용 퍼프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1713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22809B1 (ko) * | 2019-05-17 | 2021-03-05 | (주)에이치더블유엘 | 용기용 퍼프 및 이를 구비한 용기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24942A (ko) * | 2006-09-14 | 2008-03-19 | 김샘 |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
KR100857177B1 (ko) * | 2008-05-23 | 2008-09-08 | (주)에스엔피월드 | 액상 화장용기 |
KR20100010787U (ko) * | 2009-04-24 | 2010-11-03 | (주)고려퍼프 | 퍼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
KR101116842B1 (ko) * | 2011-11-09 | 2012-03-06 | 신기봉 | 화장품 용기 |
-
2012
- 2012-05-25 KR KR2020120004447U patent/KR200471713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24942A (ko) * | 2006-09-14 | 2008-03-19 | 김샘 | 용기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퍼프를 구비한 화장품용기 |
KR100857177B1 (ko) * | 2008-05-23 | 2008-09-08 | (주)에스엔피월드 | 액상 화장용기 |
KR20100010787U (ko) * | 2009-04-24 | 2010-11-03 | (주)고려퍼프 | 퍼프가 구비된 화장품 용기 |
KR101116842B1 (ko) * | 2011-11-09 | 2012-03-06 | 신기봉 | 화장품 용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06976U (ko) | 2013-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277561B2 (ja) | クリームタイプ真空化粧品容器 | |
EP3262973B1 (en) | Vertically pressed compact container provided with pouch container | |
KR20140000942U (ko) | 진동을 이용한 화장용구 | |
US2705335A (en) | Disposable fountain toothbrush | |
WO2008103892A3 (en) | Toothbrush with integrated toothpaste delivery | |
KR20120010977A (ko) | 휴대용 액상 화장품 전동 미스트 공급기 | |
KR101776154B1 (ko) | 침부재를 가진 화장품용기 | |
KR20090065146A (ko) | 액상 화장품 용기 | |
KR102023321B1 (ko) | 피부관리기구 | |
KR200478110Y1 (ko) | 화장품 용기 | |
KR200471713Y1 (ko) | 화장용 퍼프 구조 | |
KR200482297Y1 (ko) | 리필 용기를 구비한 토출형 액상 화장품 용기 | |
KR101392980B1 (ko) | 퍼프를 가지는 화장품용기의 내용물 토출장치 | |
KR20180052813A (ko) | 아이라이너와 마스카라용 듀얼 용기 및 리필용 아이라이너 카트리지 | |
KR200472436Y1 (ko) | 화장용 퍼프 | |
KR200461267Y1 (ko) | 마사지판을 구비한 진동파운데이션 | |
KR101527204B1 (ko) | 쉴드부재를 구비한 분무기 | |
KR100781627B1 (ko) | 펌핑식 립글로스 용기 | |
KR200467750Y1 (ko) | 액상화장품용 퍼프 | |
KR200304045Y1 (ko) | 파우더 배출이 용이한 화장용 브러쉬 | |
KR200467811Y1 (ko) | 화장품 용기 | |
KR101169759B1 (ko) | 앰플 인젝션 프로브 | |
CN109518921A (zh) | 地砖美缝装置 | |
KR101161576B1 (ko) | 진동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진동파운데이션 | |
KR200435190Y1 (ko) | 스프레이 내장형 볼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