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765B1 -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765B1
KR102222765B1 KR1020180131612A KR20180131612A KR102222765B1 KR 102222765 B1 KR102222765 B1 KR 102222765B1 KR 1020180131612 A KR1020180131612 A KR 1020180131612A KR 20180131612 A KR20180131612 A KR 20180131612A KR 102222765 B1 KR102222765 B1 KR 10222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user terminal
wearable device
fall
detec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1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938A (ko
Inventor
서보성
박세영
Original Assignee
(주)에프에스알엔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프에스알엔티 filed Critical (주)에프에스알엔티
Priority to KR10201801316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76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89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9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3Local tracking of patients, e.g. in a hospital or private ho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15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 A61B5/002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telemetry system for multiple sensor units attached to the patient, e.g. using a body or personal area net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6Determining posture transitions
    • A61B5/1117Fall de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18Determining activity leve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1Measuring movement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e.g. head or hand tremor, mobility of a limb
    • A61B5/1121Determining geometric values, e.g. centre of rotation or angular range of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35Details of waveform analy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71Specific aspects of physiological measurement analysis
    • A61B5/7275Determining trends in physiological measurement data; Predicting development of a medical condition based on physiological measurements, e.g. determining a risk fa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6Alarms related to a physiological condition, e.g. details of setting alarm thresholds or avoiding false al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2/00Details of sensors; Constructional details of sensor housings or probes; Accessories for sensors
    • A61B2562/02Details of sensors specially adapted for in-vivo measurements
    • A61B2562/0219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gyroscopes, tilt switch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Dentist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sychiat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ometry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력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및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된 수치의 변화와 기설정된 수치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환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분석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된 중력 가속도의 변화가 제1 시간 안에 제1 수치 이상 변하는 경우, 낙상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낙상감지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된 압력과 각속도의 변화가 제2 시간 안에 제2 수치 이상 변하지 않는 경우, 욕창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욕창감지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된 다수의 내부감지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환자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감지부 및 외부에 마련된 탈원감지 게이트웨이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탈원 발생 위치, 탈원 발생 시간을 포함한 탈원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탈원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REAL TIME MONITORING SYSTEM FOR DEMENTIA PATIENTS}
본 발명은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착용한 치매환자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구 노령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치매와 같은 노인성 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노령 인구 증가율보다 치매의 발병률이 더욱 높아지고 있어 치매 환자의 보호와 관리가 사회적인 이슈로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 통계에 따르면 치매 환자 1인을 돌보는데 소요되는 사회 비용은 연간 1968 만원이며, 치매 환자 1인을 돌보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하루에 6~9시간이다. 치매 환자를 돌보는데 드는 총 사회적 비용은 연간 10조 3000억원이라는 천문학적 비용이 소요되는 것으로 전망하였다.
이와 같이, 치매 환자를 돌보는 데는 치매 환자나 그 보호자의 개인적 비용과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도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치매환자의 현재 위치, 응급상황 시 알림 등과 같은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 환자를 돌보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필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4172호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치매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간호와 투약 시기, 응급상황 시 대처방법, 재활프로그램 관리 등을 제공함으로써, 의료인과 보호자들의 간병 효율을 향상시키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치매환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치매환자의 낙상 및 욕창을 방지하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치매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특정 게이트웨이가 접속되어 환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치매환자의 탈원을 방지할 수 있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중력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및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된 수치의 변화와 기설정된 수치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환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분석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된 중력 가속도의 변화가 제1 시간 안에 제1 수치 이상 변하는 경우, 낙상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낙상감지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된 압력과 각속도의 변화가 제2 시간 안에 제2 수치 이상 변하지 않는 경우, 욕창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욕창감지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된 다수의 내부감지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환자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감지부 및 외부에 마련된 탈원감지 게이트웨이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탈원 발생 위치, 탈원 발생 시간을 포함한 탈원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탈원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분석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센서들의 수치와 기설정된 수치를 비교분석하여 응급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응급 상황의 종류 및 위험도에 따라, 대처 매뉴얼이 포함된 응급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한 환자의 이동경로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활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활동량에 대응하는 운동 처방안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낙상감지부는, 낙상이 발생한 지점의 빈도를 산출하여 낙상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배회감지부는,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한 환자의 이동경로와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지도에 표시하며, 상기 다수의 환자가 위치했던 지점의 빈도를 산출하여 배회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에 따르면, 상기 낙상감지부는, 낙상 빈도 단계가 기설정된 단계 이상의 지점에 상기 환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낙상 위험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배회 빈도 단계에 대응하여 배치 계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배치 계획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치매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간호와 투약 시기, 응급상황 시 대처방법, 재활프로그램 관리 등을 제공함으로써, 의료인과 보호자들의 간병 효율을 향상시키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치매환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치매환자의 낙상 및 욕창을 방지하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치매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특정 게이트웨이가 접속되어 환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치매환자의 탈원을 방지할 수 있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치매환자의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중력가속도 변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실시간 낙상을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낙상 히스토리를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낙상분포도를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게이트웨이가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이동경로 및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배회분포도를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탈원을 감지하는 게이트웨이가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치매는 다른 신체질환보다 집중적이고 장기적으로 돌봄을 필요로 하므로 환자 개인의 질병일 뿐만 아니라 가족 모두가 함께 대처해야 하고, 가족 구성원들이 치매에 대해서 정확히 이해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치매환자를 돌보게 되면, 신체적, 정서적, 경재적 부담 및 치매환자와의 관계악화 등으로 인해 개인 및 가족생활에도 변화게 생기게 된다.
이러한 가족부담은 치매환자를 돌보는 사람을 비롯한 가족전체에 영향을 미치고, 과도한 부담감은 환자를 돌보는 가족의 우울, 노인학대, 유기 또는 죽음에 이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가족들의 부담을 덜어주고자 착안된 발명으로, 본 발명의 구성을 아래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기에 치매환자의 정보가 전송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센싱된 중력 가속도, 압력, 각속도 등과 같은 수치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 내장되어 있는 무선통신 모듈을 통해 게이트웨이(300)를 경유하여, 상기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0)으로 전송된다.
상기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0)에서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값과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게이트웨이(300)의 위치를 통해 환자의 상태 및 위치를 분석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함으로써, 환자 옆에 있지 않아도 환자의 상태 및 위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는 일반적으로 보호자, 의료진 등 환자의 상태를 신속하게 확인해야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일 수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을 참고하면, 상기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분석부(110), 낙상감지부(120), 욕창감지부(130), 위치감지부(140) 및 탈원감지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10)는 중력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및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센싱된 수치의 변화와 기설정된 수치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여 환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는 중력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및 무선통신 모듈 이외에도 환자의 혈압을 측정하는 혈압 센서, 환자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환자의 호흡을 측정하는 호흡 센서 등과 같은 센서들도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센싱된 수치로 환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분석부(110)의 동작 일실시예는 아래에 도 3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중력가속도 변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측정한 중력 가속도의 변화에 의해 상기 환자의 행동 패턴을 예상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측정한 중력수치가 0.6g에서 0.8g사이로 하강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1.6g에서 1.8g사이의 수치까지 상승한 경우에는, 상기 분석부(110)에서 상기 환자가 좌립했다고 판단하고, 중력이 1.2g에서 1.3g사이의 수치까지 상승한 이후 기설정된 시간 내에 0.6g에서 0.7g사이의 수치까지 하강한 경우에는, 상기 분석부(110)에서 상기 환자가 기립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석부(11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된 센서들의 수치와 기설정된 수치를 비교분석하여 응급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응급 상황의 종류 및 위험도에 따라, 대처 매뉴얼이 포함된 응급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환자가 미주신경성 실신으로 쓰러진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측정된 중력 가속도, 혈압, 호흡 수치의 변화를 상기 분석부(110)에서 기설정된 데이터와 비교분석하여 상기 환자가 미주신경성 실신에 의해 쓰러졌다 판단하고, 상기 중력 가속도, 혈압, 호흡의 수치를 비교하여 위험도를 부여하고, 상기 위험도와 미주신경성 실신에 대한 대처 매뉴얼이 포함된 응급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보호자 또는 의료진이 환자가 쓰러졌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환자의 상태에 맞는 응급 치료를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낙상감지부(12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센싱된 중력 가속도의 변화가 제1 시간 안에 제1 수치 이상 변하는 경우, 낙상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도 3과 같이 상기 환자가 착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측정한 중력이 0g에서 0.3g사이의 수치까지 급격하게 하강한 경우에는, 상기 낙상감지부(120)에서 상기 환자가 낙상했다고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기(400)에 낙상 위험 신호를 전송하여 보호자 또는 의료진이 낙상한 환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낙상감지부(120)는 낙상이 발생한 지점의 빈도를 산출하여 낙상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고, 낙상 빈도 단계가 기설정된 단계 이상의 지점에 상기 환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낙상 위험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낙상감지부(120)에 관한 일실시예는 아래에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실시간 낙상을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낙상 히스토리를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낙상분포도를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낙상감지부(120)에서 낙상을 감지하고,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기(400) 낙상 감지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서는 실시간으로 환자의 낙상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낙상감지부(120)에서 낙상을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에 낙상 감지 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서는 상기 낙상 감지 신호가 전송된 환자의 정보 및 시간으로 저장하여, 의료진이 환자의 낙상 히스토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의료진은 낙상이 자주 일어나는 환자에게는 그에 맞는 대처방안을 실시하여 환자가 낙상이 일어나지 않게 예방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낙상감지부(120)는 상기 낙상 감지 신호를 분석하여, 낙상이 일어난 지점에 낙상 빈도를 산출하여 낙상분포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낙상분포도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낙상분포도에는 낙상이 많이 일어나는 지점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기설정된 낙상 빈도 단계 이상일 경우, 기설정된 색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자가 기설정된 낙상 빈도 단계 이상의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 상기 낙상감지부(120)는 사용자 단말기(400)에 낙상 위험 신호를 전송하여 보호자 및 의료진으로 하여금 환자의 낙상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욕창감지부(13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센싱된 압력과 각속도의 변화가 제2 시간 안에 제2 수치 이상 변하지 않는 경우, 욕창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상기 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에서 센싱한 압력과 각속도의 값이 변하지 않으면, 환자가 움직이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욕창 위험 시간 동안 환자의 압력과 각속도의 값이 일정 수치 이상 변하지 않는 경우, 상기 욕창감지부(130)에서는 상기 환자의 현재 상태가 욕창이 일어나고 있음으로 판단하여 욕창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욕창 감지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여 보호자 및 의료진으로 하여금 상기 환자의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감지부(14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연결된 다수의 내부감지 게이트웨이(300)로부터 상기 환자의 위치를 분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부감지 게이트웨이는 병원 내부에 위치한 게이트웨이로 해석되고, 후술할 탈원감지 게이트웨이는 병원 외부에 위치한 게이트웨이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140)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통해 측정한 환자의 이동경로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활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활동량에 대응하는 운동 처방안을 생성할 수 있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를 장착한 환자의 이동경로와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지도에 표시하며, 상기 다수의 환자가 위치했던 지점의 빈도를 산출하여 배회분포도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배회분포도를 기반으로 배회 빈도 단계를 산출하고, 상기 배회 빈도 단계에 대응하여 배치 계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배치 계획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부(140)에 관한 일실시예는 아래에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게이트웨이가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이동경로 및 이동거리를 측정하여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배회분포도를 모니터링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환자가 장착한 웨어러블 디바이스(200)와 접속된 내부감지 게이트웨이(300)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환자의 현재 위치를 산출하고, 일정시간 동안 상기 환자가 이동한 거리 및 경로를 포함한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서 상기 환자가 이동한 경로 및 그 경로에 따라 움직인 거리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감지부(140)는 상기 환자가 이동한 이동거리를 통해 환자의 활동량을 추출하고, 상기 환자의 활동량에 대응하는 운동 처방안을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보호자 및 의료진들이 환자에게 알맞은 운동을 권장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위치감지부(140)에서는 다수의 환자가 이동한 경로를 산출하여, 배회분포도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배회분포도를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된 배회분포도를 통해 의료진들이 환자가 많이 위치하고 지점 및 상기 환자가 많이 위치하고 있지 않는 지점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생성된 배회분포도를 통해, 상기 위치감지부(140)에서는 상기 배회 빈도 단계에 대응하는 배치 계획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함으로써, 의료진으로 하여금 편의시설 및 의료진들의 배치를 상기 배치 계획 데이터에 알맞게 설정할 수 있다.
일예로, a 지점의 환자 빈도 단계는 2단계(50~150회)로 설정되어 있고, b 지점의 환자 빈도 단계는 7단계(1200~1400회)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위치감지부(140)에서는 a 지점에 편의시설 1개, 의료진 배치 1명의 배치 계획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함으로써, 의료진으로 하여금 a 지점에 편의시설 1개와 의료진 배치 1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b 지점에는 편의시설 3개, 의료진 배치 5명의 배치 계획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함으로써, 의료진으로 하여금 b 지점에 편의시설 3개와 의료진 배치 5명이 실시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탈원감지부(150)는 외부에 마련된 탈원감지 게이트웨이(300)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연결된 경우, 탈원 발생 위치, 탈원 발생 시간을 포함한 탈원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탈원감지부(150)에 대한 일실시예는 아래에 도 10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의 탈원을 감지하는 게이트웨이가 위치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탈원감지 게이트웨이(300)는 안전단계 탈원감지 게이트웨이와 위험단계 게이트웨이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안전단계 탈원감지 게이트웨이(300)에 상기 환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연결된 경우에는 탈원 초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환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이때는, 운동 및 편의시설을 이용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사용자 단말기(400)에 경보가 포함된 신호는 전송하지 않는다.
상기 위험단계 탈원감지 게이트웨이(300)에 상기 환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200)가 연결된 경우에는, 탈원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400)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400)를 통해 환자의 탈원 위치 및 탈원 시간을 파악할 수 있다.
이때는, 환자가 탈원하였을 가능성이 크므로, 사용자 단말기(400)에 경보가 포함된 신호가 전송되어, 보호자 및 의료진으로 하여금 환자를 즉시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으로 치매환자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간호와 투약 시기, 응급상황 시 대처방법, 재활프로그램 관리 등을 제공함으로써, 의료인과 보호자들의 간병 효율을 향상시키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가속도 센서를 이용하여, 치매환자의 행동 패턴을 분석함으로써, 치매환자의 낙상 및 욕창을 방지하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치매환자가 착용하고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특정 게이트웨이가 접속되어 환자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치매환자의 탈원을 방지할 수 있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110: 분석부
120: 낙상감지부
130: 욕창감지부
140: 위치감지부
150: 탈원감지부
200: 웨어러블 디바이스
300: 게이트웨이
400: 사용자 단말기

Claims (5)

  1. 중력 가속도 센서, 압력 센서, 자이로 센서 및 무선통신 모듈이 장착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된 수치의 변화와 기설정된 수치의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환자의 행동 패턴을 파악하는 분석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된 중력 가속도의 변화가 제1 시간 안에 제1 수치 이상 변하는 경우, 낙상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낙상감지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센싱된 압력과 각속도의 변화가 제2 시간 안에 제2 수치 이상 변하지 않는 경우, 욕창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욕창감지부;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결된 다수의 내부감지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환자의 위치를 분석하는 위치감지부;
    외부에 마련된 탈원감지 게이트웨이에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 탈원 발생 위치, 탈원 발생 시간을 포함한 탈원 감지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탈원감지부; 및
    기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장착한 환자의 이동경로와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지도에 표시하며, 상기 환자가 위치했던 지점의 빈도를 산출하여 배회분포도를 생성하는 배회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석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센싱된 센서들의 수치와 기설정된 수치를 비교분석하여 응급 상황을 판단하고, 상기 응급 상황의 종류 및 위험도에 따라, 대처 매뉴얼이 포함된 응급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며,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측정한 환자의 이동경로 및 이동거리를 분석하여 상기 환자의 활동량을 측정하고, 상기 활동량에 대응하는 운동 처방안을 생성하고,
    상기 낙상감지부는,
    낙상이 발생한 지점의 빈도를 산출하여 낙상분포도를 생성하여,
    낙상 빈도 단계가 기설정된 단계 이상의 지점에 상기 환자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 낙상 위험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배회 빈도 단계에 대응하여 편의시설 및 의료진 배치 계획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배치 계획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탈원감지 게이트웨이는,
    안전단계 탈원감지 게이트웨이 및 위험단계 탈원감지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단계 탈원감지 게이트웨이에 상기 환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에는 탈원 초기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탈원 초기 감지 신호 및 상기 환자의 위치를 전송하고,
    상기 위험단계 탈원감지 게이트웨이에 상기 환자의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연결된 경우에는 탈원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환자의 위치 및 탈원시간을 파악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경보가 포함된 탈원 감지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31612A 2018-10-31 2018-10-31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22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612A KR102222765B1 (ko) 2018-10-31 2018-10-31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1612A KR102222765B1 (ko) 2018-10-31 2018-10-31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938A KR20200048938A (ko) 2020-05-08
KR102222765B1 true KR102222765B1 (ko) 2021-03-04

Family

ID=70678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1612A KR102222765B1 (ko) 2018-10-31 2018-10-31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403B1 (ko) * 2021-02-04 2022-08-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집중치료환자의 동작 감시 시스템
KR102489418B1 (ko) * 2021-03-22 2023-01-19 유에프유헬스 주식회사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헬스케어 데이터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33439A (ko) 2021-03-25 2022-10-05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웨어러블 욕창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 감지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7850A (ja) * 2010-01-27 2013-05-20 エックスセンサー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褥瘡性潰瘍形成に対する危険性のモデリング手法
JP2017027574A (ja) * 2015-07-17 2017-02-02 株式会社アレス 近距離通信デバイスを用いた安否情報管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495B1 (ko) * 2006-12-04 2008-12-1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낙상 감지 장치 및 그 방법과 그를 이용한 낙상 구조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04172A (ko) 2014-07-02 2016-01-12 김경태 치매 환자 배회 감시 시스템
KR20180056982A (ko) * 2016-11-21 2018-05-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속도 센서가 내장된 센서 신발과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활동성 모니터링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517850A (ja) * 2010-01-27 2013-05-20 エックスセンサー テクノロジー コーポレイション 褥瘡性潰瘍形成に対する危険性のモデリング手法
JP2017027574A (ja) * 2015-07-17 2017-02-02 株式会社アレス 近距離通信デバイスを用いた安否情報管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938A (ko) 2020-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765B1 (ko)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US8749391B2 (en) Fall detection system
EP2696746B1 (en) Stepped alarm method for patient monitors
EP3128494B1 (en) Hygiene compliance system
KR20200041458A (ko) 출입자 건강상태 진단이 가능한 출입 게이트
KR101751274B1 (ko) 착용 가능한 무선단말을 이용한 대상자 관리시스템 및 방법
JP7258918B2 (ja) モニタリング対象者のバイタルサインの信頼性の決定
Thangamani et al. Detecting coronavirus contact using internet of things
CN107661092A (zh) 生命体征状态监测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08257280A (ja) 使用者識別装置
US20210275023A1 (en) Health monitoring system for wellness, safety, and remote care using digital sensing technology
EP3234827B1 (en) Monitoring the exposure of a patient to an environmental factor
US201603672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ssive event detection system for traumatic event
WO2020096079A1 (ko) 치매환자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TW201913584A (zh) 照護系統與方法
KR101708727B1 (ko) 사람의 생명이 위험한 상태에 있는지를 조기에 검출하기 위한 시스템
KR102157436B1 (ko)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응급 상황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576500B1 (ko)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JP2009086997A (ja) 滞在状況監視システム、滞在状況監視サーバ及び滞在状況監視方法
EP356756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atients with cognitive disorders
US20210386360A1 (en) Detecting an ictal of a subject
KR102578089B1 (ko) 뇌전증 모니터링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뇌전증 모니터링 플랫폼
Jin et al. A review of research on intervention and identification technology for preventing fall injuries in the elderly
TWI809612B (zh) 跌倒評估風險警示系統
RU2751146C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и оповещения о состоянии пользовател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