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6500B1 -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6500B1
KR101576500B1 KR1020130164807A KR20130164807A KR101576500B1 KR 101576500 B1 KR101576500 B1 KR 101576500B1 KR 1020130164807 A KR1020130164807 A KR 1020130164807A KR 20130164807 A KR20130164807 A KR 20130164807A KR 101576500 B1 KR101576500 B1 KR 101576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subje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4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522A (ko
Inventor
이현태
황기현
신승철
이강천
Original Assignee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솔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솔미테크 filed Critical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648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6500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6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6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건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 조성을 통한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측정 단말기(100), 상기 측정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측정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전달하는 건강 관리 서버(200)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Health care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bjective in emotional safety culture of work field}
본 발명은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 조성을 통한 관리대상인 작업자들이 작업에 들어가기 전 작업자들의 심전도, 맥박, 스트레스, 혈당, 혈압, 혈중 산소 포화도, 바이오리듬, 음주 및 흡연 등의 건강 상태를 신속하게 측정하여, 작업자의 컨디션 점검을 통한 작업능률 향상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측정한 건강 상태를 작업자 별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일, 주, 월 단위로 건강 이력을 파악하여 작업자들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안전보건공단의 통계자료에 의하면 2011년도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적용사업장 1,738,196개소에 종사하는 근로가 14,362,372명 중에서 4일 이상 요양을 요하는 재해자가 93,292명이 발생(사망 2,114명, 부상 84,662명, 업무상질병 이환자 6,516명)하였고, 재해율은 0.65%이다.
2010년도에 비하면 사업장수는 8.07% 증가하였고, 근로자수는 1.15%증가하였으며, 재해자수는 5.43%감소하였고, 재해율은 0.04% 포인트 감소하였다.
이와 같은 산업재해에 의한 사고 발생률은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나, 감소율이 매우 낮고 제조업의 경우, 타 분야에 비하여 산업재해에 의한 사고 발생률이 높은 실정이고, 직업병의 경우,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로 이를 효율적으로 예방하는 건강 모니터링 시스템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작업현장에서는 작업자들이 아무런 준비 없이 현장에 바로 투입되거나, 간단한 준비 운동만 실시한 뒤, 현장에 투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산업현장에서의 작업자 건강관리는 안전교육을 통한 계도 및 건강 체조를 통한 관리가 대부분이며, 생산우선의 안전교육/건강관리, 현장근로자들의 기피현상, 사업주의 안전/건강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 법적 제재와 감독으로 마지못해 양적인 안전건강관리 실시 등 효율적인 건강관리가 안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때문에, 전날의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가 덜 된 상태에 작업에 투입되거나, 건강에 이상이 발생한 상태에서 작업에 임하게 되어, 산업재해로 인한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매우 큰 상황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을 통해서, 작업 시간 전 약간의 시간을 할애하여 관리대상인 작업자들의 당일 컨디션을 점검하고, 건강상 유의사항과 당일 컨디션 저하로 인한 작업에서의 주의사항을 안내해줌으로써,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작업 능률을 효과적으로 높일 수 있으며, 측정 정보를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체계적인 건강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재해를 일으킬 소인을 가진 근로자의 조기발견의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국내공개특허 제2011-0042811호("관리 대상 상세정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이하 선행문헌 1)에서는 관리 대상이 휴대하는 생체정보 측정 수단 및 관리 대상이 착용하는 안전모에 관리 대상의 건강상태 분석 및 이상 여부를 시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표시하는 알림 수단을 구비하여, 건설 및 작업현장에서 작업하는 관리 대상이 본인의 건강상태 및 이상 여부, 그리고 본인인증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관리 대상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공개 특허 제10-2011-0042811호(공개일자 2011.04.27.)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 조성을 통한 관리대상인 작업자들이 작업에 들어가기 전 작업자들의 심전도, 맥박, 혈당, 혈압, 혈중 산소 포화도, 스트레스, 바이오리듬, 음주 및 흡연 등의 건강 상태를 신속하게 측정하여, 작업자의 컨디션 점검을 통한 작업능률 향상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으며, 측정한 건강 상태를 작업자 별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일, 주, 월 단위로 건강 이력을 파악하여 작업자들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은,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 조성을 통한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측정 단말기(100), 상기 측정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측정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전달하는 건강 관리 서버(200)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단말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은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에서 판단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동 정보 중 상기 건강 진단 정보와 매칭되는 운동 정보를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운동 관리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측정 단말기(100)는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를 입력하는 입력부(110),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120) 및 상기 측정부(12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대상의 ID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건강 상태 정보는 심전도, 맥박, 혈압, 혈당, 혈중 산소 포화도, 스트레스 지수, 바이오 리듬, 체내 알코올 농도, 체내 니코틴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전달부(210),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이상이면서 최대허용치 미만일 경우,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주의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최대허용치 이상일 경우,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위험 상태로 판단하는 비교부(220),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전달받은, 일별, 주별, 월별로 분류하는 분류부(230),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류부(230)에서 분류한 기간에 따라 상기 건강 상태 정보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판단하는 분석부(240), 상기 비교부(220), 분류부(230), 분석부(240)로부터 생성된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상기 관리대상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출력 단말기(300)는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상기 ID를 입력하는 확인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관리대상의 ID와, 상기 확인부(31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관리대상의 ID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진단 정보 중 상기 관리대상의 ID에 매칭되는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은,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 조성을 통한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측정 단말기에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 건강 관리 서버에서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하는 건강 진단 단계(S200) 및 출력 단말기에서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건강 진단 단계(S200)를 통해서 판단한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은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를 수행하기 전, 상기 측정 단말기에서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를 입력하는 ID 입력 단계(S10)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수행하기 전, 상기 출력 단말기에서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상기 ID를 다시 입력하는 ID 확인 단계(S30)를 더 수행하며,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는 상기 ID 입력 단계(S10)에 의해 입력된 상기 ID와 상기 ID 확인 단계(S3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ID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ID에 매칭되는 상기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는 상기 출력 단말기에서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건강 진단 단계(S200)를 통해서 판단한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동 정보 중 상기 건강 진단 정보와 매칭되는 운동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은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 조성을 통한 관리대상인 작업자들이 작업에 들어가기 전 작업자들의 심전도, 맥박, 혈당, 혈압, 혈중 산소 포화도, 스트레스, 바이오리듬, 음주 및 흡연 등의 건강 상태를 신속하게 측정하여, 작업자의 컨디션 점검을 통한 작업능률 향상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정한 건강 상태를 작업자 별로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작업자들의 일, 주, 월 단위로 건강 이력을 파악하여 작업자들의 건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해서, 작업자들에게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를 조성함으로써, 작업자들이 자발적으로 안전의식을 고취시키고 조직의 일원으로서, 떳떳한 작업인으로 인식함으로써, 서로의 동질감을 느끼고 인간적 감성을 일깨워 스스로 안전사고 예방을 실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작업 시간 전 약간의 시간을 할애하여 관리대상인 작업자들의 당일 컨디션을 점검하고, 건강상 유의사항과 당일 컨디션 저하로 인한 작업에서의 주의사항을 안내해줌으로써,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작업 능률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측정 정보를 지속적으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작업자들의 체계적인 건강 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강재해를 일으킬 소인을 가진 근로자의 조기발견의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작업현장의 근로자 뿐만 아니라, 사무실 근로자나 대형매장 근무자, 중소기업 사무실 근로자 및 공공장소 일반인들에 대한 건강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의 측정 단말기(100) 및 출력 단말기(300)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의 ID 입력 단계(S1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의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의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의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의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의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의 운동 관리 서버(400)를 통해 전달받은 운동 정보에 따른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이 때,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더불어, 시스템은 필요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직화하고 규칙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장치, 기구 및 수단 등을 포함하는 구성 요소들의 집합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을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은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 조성을 통한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측정한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을 진단하여, 건강 진단 정보 및 이에 맞는 운동 정보를 전달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이다.
감성이란 사전적 의미는 '자극 또는 자극의 변화에 대하여 감각, 지각이 일어나는 능력, 즉 감수성'이며, 철학적 정의는 '오성(悟性)과 함께 지식으로 구성하는 독립적인 표상능력, 대상으로부터 촉발되어 표상을 얻게 되는 수동적 능력'이다. 그리고 공학적 의미에서의 감성은 '외부의 물리적 자극 즉, 제품이나 환경에 대한 감각으로서 지각으로부터 인간의 내부에 야기되는 복합적인 지적, 정서적, 심미적인 체험'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감성 안전 문화란,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안전의식을 인식하도록 함과 동시에, 인간적인 감성을 일깨워 스스로 안전사고 예방을 실천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검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을 통해서, 근로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당일 컨디션을 점검하고, 이에 따른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하여 건강상 유의사항이나, 컨디션 저하로 인한 작업에서의 주의사항을 안내해줄 수 있으며, 이에 알맞은 운동 정보 등을 제공해줌으로써,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안전의식을 인식하여 안전사고를 사건에 예방하고, 작업 능률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정 단말기(100), 건강 관리 서버(200) 및 출력 단말기(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정 단말기(100), 건강 관리 서버(200) 및 출력 단말기(300)는 상호간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되어, 정보의 송수신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측정 단말기(100), 건강 관리 서버(200) 및 출력 단말기(300)가 각각 상이한 위치에 구비되어 관리대상 건강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단말기(100)와 출력 단말기(300)가 하나의 장치에 구비되어, 상기 측정 단말기(10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를 통해 비교, 분석한 후, 하나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는 상기 출력 단말기(300)를 통해서 곧바로 확인할 수도 있다.
각 구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측정 단말기(100)는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리대상이란, 상기 작업현장에 있는 모든 작업자, 근로자, 노동자 등 상기 작업현장에서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모든 사람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측정 단말기(100)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 단말기(100)와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연결되어 있을 경우, 상기 관리대상이 측정 단말기(100)를 휴대하면서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한 후,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 전달할 수도 있다.
상기 측정 단말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 측정부(120) 및 제 1 데이터베이스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10)는 작업현장의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용이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상기 관리대상의 고유의 ID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고유의 ID란, 상기 관리대상의 개개인을 구별할 수 있는 이름, 사번 등의 특정 문자 또는 숫자를 의미한다.
상기 측정부(120)는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며, 상기 측정부(120)에서 측정하는 상기 건강 상태 정보로는, 심전도(ECG), 맥박(Heart beat), 혈당, 혈압, 혈중 산소 포화도(SPO2), 스트레스 지수, 바이오 리듬, 체내 알코올 농도, 체내 니코틴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측정부(120)에서의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약 30초 이내의 짧은 시간이다. 이를 통해서 많은 관리대상이 있더라도, 개개인별 원활한 건강 관리가 가능하다.
상기 체내 알코올 농도는 알코올 센서를 통해서 측정할 수 있으며, 상기 체내 니코틴 수치는 CO 가스 센서를 통해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데이터베이스부(130)는 상기 측정부(12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관리대상의 ID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관리대상의 ID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함으로써, 추후에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확인할 때, 타인에 의해 상기 관리대상의 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 상기 출력 단말기(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측정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할 수 있으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상태 정보와, 판단한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단말기(100), 상기 출력 단말기(300)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측정 단말기(100), 상기 출력 단말기(300)와 분리된 독립된 공간에서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210), 비교부(220), 분류부(230), 분석부(240) 및 제 2 데이터베이스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달부(210)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하여, 상기 출력 단말기(300)에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표시하여, 상기 관리대상이 실시간으로 현재 건강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부(220)는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현재 건강 상태가 양호 상태인지, 주의 상태인지, 위험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일 경우,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양호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며, 미리 설정된 최대허용치 미만일 경우,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주의 상태로 판단할 수 있으며,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미리 설정된 최대 허용치 이상일 경우,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위험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A 관리대상에 대한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측정부(120)를 통해서 측정한 현재의 건강 상태 정보가 심전도, 맥박, 혈압, 혈당, 혈중 산소 포화도, 스트레스 지수, 바이오 리듬, 체내 니코틴 수치는 모두 미리 설정된 기준치 미만이나, 체내 알코올 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며 최대 허용치 미만일 경우, A 관리대상이 음주로 인한 숙취해소가 덜 된 상태임을 인지하여, 이를 상기 작업현장의 관리자에게 알림으로써 A 관리대상이 현재 상태로 곧바로 작업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에서 상기 건강 상태 정보에 대해 미리 설정한 기준치 및 최대 허용치는 상기 작업현장의 작업 난이도에 따라 상이하며, 상기 작업현장의 관리자에 의해서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분류부(230)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한 일별, 주별, 월별로 분류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부(240)는 상기 분류부(230)에서 분류한 기간에 따라,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건강 이상을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를 들자면, B 관리대상에 대한 상기 건강 상태 정보의 변화 추이를 분석한 결과, 최근 들어 갑자기 스트레스 지수가 높아진 경우, 이를 곧바로 인지하여 심리적인 안정을 줄 수 있는 마인드 컨트롤을 유도함으로써, B 관리대상이 현재의 불안정한 심리 상태로 곧바로 작업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부(250)는 상기 비교부(220), 분류부(230), 분석부(240)로부터 생성된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상기 관리대상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상기 비교부(220)에서 판단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양호 상태, 주의 상태 또는, 위험 상태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분류부(230)에서 상기 관리대상 별로,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로 분류하여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부(240)에서 상기 관리대상 별로 상기 건강 상태 정보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데이터베이스부(250)는 생성된 다수 개의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통합한 후, 상기 관리대상별로, 즉, 상기 관리대상의 ID 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출력 단말기(300)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출력 단말기(300)는 프린터 등의 출력 수단 또는, 모니터 등의 모니터링 수단을 모두 의미하며, 상기 작업현장의 관리자 또는, 상기 관리대상이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의미한다.
더불어, 상기 출력 단말기(300)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와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해 연결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관리대상이 상기 출력 단말기(300)를 휴대하면서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 단말기(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인부(3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확인부(310)는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상기 ID를 입력할 수 있으며, 이 때의 상기 관리대상의 고유 ID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되는 ID와 동일하다.
이를 통해서, 상기 출력 단말기(300)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관리대상의 ID와, 상기 확인부(31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관리대상의 ID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진단 정보 중 상기 관리대상의 ID에 매칭되는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게 된다.
즉, 상기 관리대상 또는, 관리자가 상기 출력 단말기(300)를 통해서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했던 고유의 ID를 다시 한번 입력해야만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관리대상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동 관리 서버(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 상기 출력 단말기(3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이 때의 상기 네트워크는 무선 네트워크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 상기 출력 단말기(300)와 분리된 독립된 공간에서 상기 건강 상태 정보에 매칭되는 운동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는 별도의 운동 측정용 기기(미도시)와 연동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운동 측정용 기기를 통해서, 상기 관리대상이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에서 전달한 운동 정보에 따른 실제 운동 여부와, 실제 운동량을 측정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에서 판단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운동 정보 중 상기 건강 진단 정보와 매칭되는 운동 정보를 선택하여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는 상기 관리대상별로 제공된 상기 운동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운동 현황을 통계화할 수 있으며, 예를 들자면, 상기 관리대상별로 제공된 상기 운동 정보로는 일별, 주별, 월별 요구되는 걸음수, 운동거리, 칼로리 소비를 위한 운동량 등이 있다.
일 예를 들자면,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에서 C 관리대상에 대한 건강 진단 정보를 확인한 결과, C 관리대상의 맥박이 곧바로 작업현장에 투입되기에는 다소 낮은 경우, 낮은 맥박 정보와 매칭되는 운동 정보를, 즉, 맥박을 높일 수 있는 운동 정보를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하여 C 관리대상의 맥박 정보를 정상 수치(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최대 허용치 사이)로 높인 후 작업현장으로 투입함으로써, C 관리대상이 낮은 맥박 상태로 곧바로 작업에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운동 관리 서버(300)에서 상기 관리대상에 대한 건강 진단 정보를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경우, 마인드 플라워, 마인드 컬러, 마인드 빙고 또는 마인드 타워와 같은, 마인드 컨트롤 게임(mind control game)을 수행하도록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심전도, 맥박, 혈압 등이 다소 낮아, 곧바로 작업현장에 투입되기에 운동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쉐이크 코크, 쉐이크 러너, 베이스 히트 또는 나이스 샷과 같은 액티비티 게임(activity game)을 수행하도록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신체 상태를 최상으로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 건강 진단 단계(S200),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계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자면,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에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측정부(120)를 통해서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하는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로는, 심전도(ECG), 맥박(Heart beat), 혈압, 혈당, 혈중 산소 포화노(SPO2), 스트레스 지수, 바이오 리듬, 체내 알코올 농도, 체내 니코틴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의미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를 수행하기 전, ID 입력 단계(S1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ID 입력 단계(S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입력부(10)에서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를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추후에 상기 출력 단말기(300)를 통해서,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할 때, 타인에게 정보들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진단 단계(S200)는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에서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의 상기 비교부(220)에서 판단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양호 상태, 주의 상태 또는, 위험 상태로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분류부(230)에서 상기 관리대상 별로,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로 분류하여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분석부(240)에서 상기 관리대상 별로 상기 건강 상태 정보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는 상기 출력 단말기(300)에서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건강 진단 단계(S200)를 통해서 판단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수행하기 전, ID 확인 단계(S3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ID 확인 단계(S30)는 상기 출력 단말기(300)의 확인부(310)를 통해서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상기 ID를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는 상기 ID 입력 단계(S10)에 의해 입력된 상기 ID와 상기 ID 확인 단계(S3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ID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ID에 매칭되는 상기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관리대상의 ID와, 상기 확인부(31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관리대상의 ID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진단 정보 중 상기 관리대상의 ID에 매칭되는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상기 출력 단말기(300)에 표시하게 된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 관리대상 또는, 관리자가 상기 출력 단말기(300)를 통해서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했던 고유의 ID를 다시 한번 입력해야만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상기 관리대상의 개인정보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에 의한 상기 출력 단말기(300)에 표시되는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상세히 알아보자면, 도 7은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간단하게 일별로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8은 실시간으로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 및 건강 진단 정보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하여 나타낸 것이며,
도 9는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일별, 주별, 월별로 분류하여 생성한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그래프 형식으로 나타낸 것이며,
도 10은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 중 심전도와, 맥박을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며,
도 11은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 중 스트레스 지수를 자세하게 나타낸 것이다.
더불어,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는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운동 정보를 표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에서 상기 건강 진단 단계(S200)를 통해서 판단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미리 저장된 운동 정보 중 상기 건강 진단 정보와 매칭되는 운동 정보를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는 별도의 운동 측정용 기기(미도시)와 연동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운동 측정용 기기를 통해서, 상기 관리대상이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에서 전달한 운동 정보에 따른 실제 운동 여부와, 실제 운동량을 측정하여 이를 관리할 수 있다.
도 12는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운동 정보를 표시한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나타낸 실시예이다.
상세하게는, 상기 운동 관리 서버(300)에서 상기 관리대상에 대한 건강 진단 정보를 확인한 결과, 스트레스 지수가 높은 경우, 마인드 플라워, 마인드 컬러, 마인드 빙고 또는 마인드 타워와 같은, 마인드 컨트롤 게임(mind control game)을 수행하도록 표시하거나,
심전도, 맥박, 혈압 등이 다소 낮아, 곧바로 작업현장에 투입되기에 운동량이 부족하다고 판단될 경우, 쉐이크 코크, 쉐이크 러너, 베이스 히트 또는 나이스 샷과 같은 액티비티 게임(activity game)을 수행하도록 표시할 수 있다.
즉, 다시 말하자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은 상기 측정 단말기(100)를 이용하여, 근로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당일 컨디션을 점검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상태 정보에 따른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출력 단말기(300)를 통해서 건강상 유의사항이나, 컨디션 저하로 인한 작업에서의 주의사항을 안내해줄 수 있으며, 더불어, 상기 운동 관리 서버(400)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진단 정보에 알맞은 부가적인 운동 정보 등을 제공해줌으로써,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근로자들이 자발적으로 안전의식을 인식하여 안전사고를 사건에 예방하고, 작업 능률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 정된 실시예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 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되는 특허 청구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 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측정 단말기
110 : 입력부 120 : 측정부
130 : 제 1 데이터베이스부
200 : 건강 관리 서버
210 : 전달부 220 : 비교부
230 : 분류부 240 : 분석부
250 : 제 2 데이터베이스부
300 : 출력 단말기
310 : 확인부
400 : 운동 관리 서버

Claims (9)

  1.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 조성을 통한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작업현장에 투입되기 전,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여 전달하는 측정 단말기(100);
    상기 측정 단말기(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측정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하고,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전달하는 건강 관리 서버(200);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 및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출력 단말기(300); 및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에서 판단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동 정보 중 상기 건강 진단 정보와 매칭되는 운동 정보를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운동 관리 서버(4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은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작업현장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관리대상의 작업현장 투입 여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건강 상태 정보는 심전도, 맥박, 혈압, 혈당, 혈중 산소 포화도, 스트레스 지수, 바이오 리듬, 체내 알코올 농도, 체내 니코틴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는
    상기 측정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상기 출력 단말기(300)로 전달하는 전달부(210)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미만일 경우, 양호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서 최대허용치 미만일 경우, 주의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상기 최대허용치 이상일 경우, 위험 상태로 판단하는 비교부(220)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전달받은, 일별, 주별, 월별로 분류하는 분류부(230)와,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분류부(230)에서 분류한 기간에 따라 상기 건강 상태 정보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여 판단하는 분석부(240)와,
    상기 비교부(220), 분류부(230), 분석부(240)로부터 생성된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상기 관리대상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2 데이터베이스부(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단말기(100)는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를 입력하는 입력부(110);
    상기 관리대상의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측정부(120); 및
    상기 측정부(12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건강 상태 정보를 상기 관리대상의 ID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및 관리하는 제 1 데이터베이스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단말기(300)는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상기 ID를 입력하는 확인부(31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측정 단말기(100)의 입력부(11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관리대상의 ID와, 상기 확인부(31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관리대상의 ID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건강 관리 서버(200)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건강 진단 정보 중 상기 관리대상의 ID에 매칭되는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6.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Emotional Safety Culture) 조성을 통한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을 수행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작업현장에 투입되기 전, 측정 단말기에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측정하는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
    건강 관리 서버에서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하는 건강 진단 단계(S200); 및
    출력 단말기에서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를 통해서 측정한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건강 진단 단계(S200)를 통해서 판단한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고, 운동 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건강 진단 단계(S200)를 통해서 판단한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이용하여, 기저장된 운동 정보 중 상기 건강 진단 정보와 매칭되는 운동 정보를 전달받아, 표시하는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
    로 이루어지며,
    상기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은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토대로 상기 작업현장의 관리자에 의해 상기 관리대상의 작업현장 투입 여부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건강 상태 정보는 심전도, 맥박, 혈압, 혈당, 혈중 산소 포화도, 스트레스 지수, 바이오 리듬, 체내 알코올 농도, 체내 니코틴 수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이며,
    상기 건강 진단 단계(S200)는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미만일 경우, 양호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기준치 이상이면서 최대허용치 미만일 경우, 주의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건강 상태 정보가 기설정된 최대허용치 이상일 경우, 위험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관리대상의 건강 진단 정보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은
    상기 건강 정보 측정 단계(S100)를 수행하기 전,
    상기 측정 단말기에서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ID를 입력하는 ID 입력 단계(S10);
    를 더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은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를 수행하기 전,
    상기 출력 단말기에서 다수의 상기 관리대상을 식별하기 위한 고유의 상기 ID를 다시 입력하는 ID 확인 단계(S30);
    를 더 수행하며,
    상기 건강 정보 표시 단계(S300)는
    상기 ID 입력 단계(S10)에 의해 입력된 상기 ID와 상기 ID 확인 단계(S30)를 통해서 입력된 상기 ID가 일치되는 경우에만,
    상기 ID에 매칭되는 상기 건강 상태 정보와, 상기 건강 진단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방법.
  9. 삭제
KR1020130164807A 2013-12-27 2013-12-27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KR1015765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807A KR101576500B1 (ko) 2013-12-27 2013-12-27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4807A KR101576500B1 (ko) 2013-12-27 2013-12-27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22A KR20150076522A (ko) 2015-07-07
KR101576500B1 true KR101576500B1 (ko) 2015-12-10

Family

ID=53789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4807A KR101576500B1 (ko) 2013-12-27 2013-12-27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650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64B1 (ko) 2016-07-18 2016-12-27 남재현 바이오리듬 기반 산업현장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90097892A (ko) * 2018-02-13 2019-08-21 창원문성대학교산학협력단 업무 위험도 판별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0467A (ja) * 2012-05-21 2013-12-05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災害防止支援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240467A (ja) * 2012-05-21 2013-12-05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災害防止支援システ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0464B1 (ko) 2016-07-18 2016-12-27 남재현 바이오리듬 기반 산업현장용 안전관리 시스템
KR20190097892A (ko) * 2018-02-13 2019-08-21 창원문성대학교산학협력단 업무 위험도 판별시스템
KR102015614B1 (ko) * 2018-02-13 2019-10-21 주식회사 원진비엠티 업무 위험도 판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522A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279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ssessing cognitive function
JP7550410B2 (ja) 体調評価方法、熱中症発症リスク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50223743A1 (en) Method for monitoring a health condition of a subject
WO2019098304A1 (ja) ソフトウェア、健康状態判定装置及び健康状態判定方法
Khan et al. IoT based on secure personal healthcare using RFID technology and steganography
CN111489818B (zh) 一种精神科防自杀风险预警方法及装置
CN113520395A (zh) 一种精神状态的实时评估系统和方法
Ibrahim et al. Investigating the impact of physical fatigue on construction workers’ situational awareness
US202203617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easuring acute and chronic stress
KR101576500B1 (ko) 작업현장의 감성 안전 문화를 통한 관리대상 건강 관리 시스템 및 그 관리 방법
Botella et al. Online predictive tools for intervention in mental illness: the OPTIMI project
US11704615B2 (en) Risk assessment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KR20170006919A (ko)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7661092A (zh) 生命体征状态监测方法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110042811A (ko) 관리 대상 생체정보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1122580A (ja) 体調評価方法、および、体調評価システム
EP3425637B1 (de) Elektronisches system und verfahren zur klassifikation eines physiologischen zustandes
Techera et al. Measuring occupational fatigue: a comprehensive review and comparison of subjective and objective methods
Lee Occupational fatigue prediction for entry-level construction workers in material handling activities using wearable sensors
US20180225985A1 (en) Operator readiness testing and tracking system
Naddy The impact of paediatric early warning systems
Patnaik et al. iCAP: An IoT based Wearable For Real-Time Accidental Fall Detection and Health Monitoring of Remote Maintenance Workers
Pavlíková et al. An ergonomic study of arborist work activities
KR101420218B1 (ko) 생리적안정도 측정 시스템 및 그 방법
JP6939683B2 (ja) 熱中症危険度算出システム、熱中症危険度算出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熱中症危険度算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