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6919A -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6919A
KR20170006919A KR1020150098326A KR20150098326A KR20170006919A KR 20170006919 A KR20170006919 A KR 20170006919A KR 1020150098326 A KR1020150098326 A KR 1020150098326A KR 20150098326 A KR20150098326 A KR 20150098326A KR 20170006919 A KR20170006919 A KR 20170006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stress
information
providing
psych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경
Original Assignee
김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미경 filed Critical 김미경
Priority to KR1020150098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06919A/ko
Publication of KR20170006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69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1Market modelling; Market analysis; Collecting market data
    • G06Q30/0203Market surveys; Market polls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신체 정보를 파악하는 신체 진단모듈과, 환자의 심리 상태를 측정하여 심리 정보를 파악하는 심리 진단모듈 및, 상기 신체 정보와 심리 정보를 융합하여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융합 진단 모듈로 구성된 진단 인터페이스; 상기 융합 정보에 따라 환자에게 맞춤식 정보를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환자의 다양한 신체/심리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융합하여 환자 고유의 맞춤형 진단 결과에 따라 솔루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치료 방법 등을 제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CUSTOMIZED MEDICAL SERVICE BASED ON THERAPY FOR BODY AND MENTALITY}
본 발명은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내원을 하거나 아니면 원격으로 개개인의 신체/심리 상태를 진단하되 단순히 개인의 신체 능력 수치를 측정하는 수준을 넘어서 개인의 심리 상태에 따라 차별적인 공감 능력을 더하여 신체/심리 상태를 복합적으로 융합 측정하는 진단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다이어트, 심리 치료는 물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개인 맞춤형 솔루션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개인(환자)에게 정서적 안정감과 자기 이해를 이끌 수 있는 자가 회복 환경을 통하여 건강 증진을 추구할 수 있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의료 서비스는 환자의 질병을 진단하여 치료하는 일련의 서비스를 포괄하는 개념으로서, 과거에는 단순히 특정한 질병 측정 이후 처방을 내리거나 약물과 수술 등의 의료 행위에 의해 치료를 수행하는 수준에 그쳤으나 현대 기술이 발달하면서 보다 복합적이자 종합적인 일명 토탈 케어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는 상황이다.
즉,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12-0079376호 내지 국내 특허 제 1145142호와 같은 원격 당뇨병 진단 및 치료 서비스는 통신 기능을 구비한 혈당 측정기를 통해 환자의 실시간 혈당을 측정하여 이를 통신 기능을 매개로 병원 측에 전송하거나 측정기 내에 기 저장된 진단 룰을 통하여 위험 수준을 알리거나 원격 진단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당뇨 환자의 편의성을 보장하는 효과가 있다고 공개되어 있다.
더불어, 국내 공개 특허 제 10-2012-0088289호와 같이 전자 처방전을 발급하여 원격 진료를 수행하거나 한국 특허 제 1167433호와 같이 의사간에 의사 단말을 통하여 환자 정보를 공유하는 시스템이 게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온라인 기반 내지 특정 병의 진단을 위한 시스템은 단지 진료 정보를 공유하거나 특정 질환에 대한 진단 수치에 따른 처방을 제시하는 것인데, 단지 개개의 정보를 처리하거나 복수의 정보를 단순 결합하는 수준에 그치는 경우가 많았다.
즉, 현재의 의료 서비스는 단순히 약물이나 수술에 의한 치료 방법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복합 의료 서비스, 예를 들어 질병 치료를 넘어서 객관적인 환자의 상태를 기반으로 다이어트 요법이나 건강 증진 요법을 제공할 필요성이 대두되는바, 특히 환자의 신체 상태만을 기초한 것이 아니라 정신과 치료 요법을 응용하여 환자의 심리 상태와 신체 상태를 유기적인 융합 측정에 의해 복합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환자의 안정적이자 자가 발전적인 심리 환경에 근거한 복합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지만 마땅히 이러한 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의료 서비스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어 의료 정보를 기반으로 한 다이어트 처방을 내린다 하여도 환자의 심리 상태나 공감 능력을 기반으로 하지 않고 단편적인 처방만을 제공하고 있어 오히려 환자의 스트레스를 가중하거나 유발한다는 문제가 따른다.
따라서 환자의 질병이나 질환은 물론 운동 능력과 같은 신체 상태를 진단함과 동시에 환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되 환자와의 교감 및 공감을 이끌 수 있는 심리 진단 인터페이스를 도입함으로써 신체 상태와 심리 상태를 복합적으로 진단함에 따라 환자의 자가 발전까지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을 기초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환자의 신체 상태 및 심리 상태를 진단하되 양자를 융합하여 토탈 솔루션을 도출함으로써 환자에게 맞춤형 의료 및 부가적 기능을 기반으로 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의 무의식과 의식적 스트레스를 반영하여 환자의 공감을 이끌면서 이에 따른 맞춤식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환자의 자발성과 적극적 동참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신체 정보를 파악하는 신체 진단모듈과, 환자의 심리 상태를 측정하여 심리 정보를 파악하는 심리 진단모듈 및, 상기 신체 정보와 심리 정보를 융합하여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융합 진단 모듈로 구성된 진단 인터페이스; 상기 융합 정보에 따라 환자에게 맞춤식 정보를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체 진단모듈은, 환자의 진료를 통해 기본 정보를 파악하는 기본 진단부와, 환자의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 측정부 및, 환자의 외관을 촬영하는 사진 촬영부와, 환자의 운동 능력을 측정하는 운동 능력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심리 진단 모듈은, 스트레스 측정 장치와 연동하여 환자의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측정부와, 설문을 통하여 환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심리 상태 파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하면,
1) 환자의 다양한 신체/심리 정보를 파악하고 이를 융합하여 환자 고유의 맞춤형 진단 결과에 따라 솔루션을 제공하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치료 방법 등을 제시할 수 있고,
2) 온라인 환경과 연동되어 원격 진단을 병행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며,
3) 환자 고유의 신체 관련 스트레스를 파악하고 관리함으로써 환자의 의식적 수준에서의 자발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4) 솔루션 정보만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 솔루션 활동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보다 강화된 맞춤형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신체 스트레스 관리부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EMS 장치와 연동된 솔루션 제공을 예시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 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시스템은 환자의 신체 상태는 물론 심리 상태를 진단하여 각각의 신체/심리 진단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통해 치료/다이어트 등의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하되, 신체 진단 정보와 심리 진단 정보를 단순 결합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유기적으로 융합하여 최적인 진단 결과를 도출하여 환자의 스트레스를 최소화할 뿐 아니라 오히려 환자의 긍정적 자가 발전 기반에 기초하여 치료 방법을 제공하는 주요 특성을 제공한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환자를 진단하는 진단 인터페이스(100)와 진단 결과에 따라 솔루션을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200)를 구비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진단 인터페이스(100)는 환자의 신체 상태를 진단하는 신체 진단 모듈(110)과, 환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심리 진단 모듈(120) 및, 이를 융합하여 최종적인 진단을 내릴 수 있는 융합 진단 모듈(130)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각각의 세부 모듈은 환자를 진단하는 장소, 즉 병원 내에 개별적인 측정 장치를 시스템적으로 연동하여 구비될 수 있고, 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통신 수단을 구비한 웹 기반 또는 모바일 기반에 따른 온라인 인터페이스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바일 기반의 온라인 인터페이스는 환자가 개별적으로 소지한 스마트폰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플리케이션(일명, App)이 스마트폰의 센서와 측정 수단과 연계되어 환자의 신체 상태 및 심리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바, 특히 심리 상태 내지 스트레스 상태는 환자에게 설문을 제공하여 이에 대한 응답을 기반으로 측정하거나 스트레스 측정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측정할 수 있고, 환자의 특정 신체 상태는 심박수 측정 어플리케이션, 체지방 측정기와 연동된 어플리케이션, 환자의 외관을 촬영한 사진 등을 통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진단 인터페이스(100)는 후술할 세부 모듈이 장치로서 병원 내에 구비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소프트웨어로서 스마트폰에 구비되어 결과적으로 원격 진단을 수행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200)는 상기 진단 인터페이스(100)에 의한 진단 결과에 따라 환자별 맞춤형 치료/솔루션 정보 또는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역시 병원 내 구비된 장치 또는 의사의 처방을 통하여 제공되거나 온라인 환경을 통해 원격 제공될 수 있다.
이 때, 병원 내에 구비된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200)는 솔루션 정보를 환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넘어서 실질적인 솔루션 프로그램, 예를 들어 투약/시술 등의 치료 서비스, 운동 머신을 통한 운동 프로그램과 같은 실질적인 서비스로 연계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크게 진단 인터페이스(100)와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200)로 구분되어 있고, 이하 각 인터페이스에 대한 세부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진단 인터페이스(100)의 신체 진단 모듈(110)은 환자의 신체 상태, 즉 특정 질병이나 체형, 체지방, 운동 능력과 같은 다양한 신체 상태를 진단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기본 진단부(111), 체지방 측정부(112), 사진 촬영부(113), 운동 능력 측정부(114)로 이루어져 있다.
기본 진단부(111)는 개인(환자)의 건강 상태를 측정 및 진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는 환자의 혈액을 분석하는 혈액 분석기, CT 촬영장치와 같은 장치, 건강 상태 측정 장치를 기반으로 하여 기본 진단 정보를 생성하거나 의사의 진료에 의하여 도출된 진단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기본 진단부는 주로 공지의 병원에서 수행하는 다양한 진단장치를 기반으로 한 진단 정보를 취득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여기서, 건강 상태 측정 장치는 터치스크린과 같은 입력부를 구비하여 환자의 나이, 키 등의 기초 정보를 입력부를 통해 입력한 다음 손가락을 파지할 수 있는 측정부를 구비할 수 있는데, 측정부는 환자의 심박수, 혈관 건강도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기본적인 건강 상태를 파악함은 물론 기초적인 스트레스 지수까지 도출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체지방 측정부(112)는 체지방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의 체중은 물론 체지방을 측정하는 기능을 가지는데, 이는 주로 비만 여부와 정도, 즉 비만도인 체질량지수(BMI) 및 체지방률을 파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이러한 체지방 측정부(112)는 장치는 물론 온라인 인터페이스에서 구현될 수 있는바, 예를 들어 병원 내 구비되어 있거나 아니면 간략한 BMI를 측정하는 스마트폰용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 있다.
사진 촬영부(113)는 병원 내 촬영실에 배치된 사진기 내지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통하여 환자의 신체 사진을 촬영하여 환자별로 사진 정보를 생성 및 저장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주로 환자의 전체 사진 또는 특정 부위에서의 군살이나 비만 정도에 대해 비포어/애프터를 비교 파악할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한다.
운동 능력 측정부(114)는 환자의 운동 이후 심박수, 특정 동작의 반복 회수 등의 환자의 운동 능력을 측정하여 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등의 운동 능력 정보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는 심박수 측정 센서를 비롯하여 다양한 운동기구와의 연동을 통해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운동기구는 카메라를 구비하거나 기타 다양한 센서를 구비하여 환자의 운동 동작 및 운동 후 신체 정보를 자동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겸비할 수 있다.
정리하면, 이러한 신체 진단 모듈(110)은 다양한 장치 또는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매개로 환자의 신체적 건강 상태 및 비만 여부를 측정하여 종합적으로 환자의 신체 정보를 측정 및 파악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발명의 심리 진단 모듈(120)은 상술한 환자의 신체 정보 이외에 심리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환자의 심리 상태 내지 공감 능력을 도출하여 보다 정확하게 환자의 심신 상태를 종합적으로 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심리 진단 모듈(120)은 스트레스 측정부(121), 심리 상태 파악부(122)로 이루어지고 추가적으로 신체 스트레스 관리부(123)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트레스 측정부(121)는 스트레스를 측정할 수 있는 다양한 스트레스 측정 장치와 연동되어 환자의 스트레스 수치를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여기서 스트레스 측정 장치는 환자에게 특정 상황을 제시한 다음 이 상황에 따라 변화하거나 반응하는 환자의 신체 상태를 체크하여 최종적으로 스트레스 수치를 도출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더불어, 이어 센서 내지 심호흡 측정 수단과 연동되어 심박수나 심호흡 상태를 통하여 스트레스를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심리 상태 파악부(122)는 환자에게 심리 파악 설문을 제공하여 이에 대한 답을 분석함으로써 환자의 심리 상태 정보를 도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때, 설문은 정신과적 분석 기준을 근거로 하여 인지심리 상태, 무의식 상태와 같은 다양한 심리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복합적인 질문 데이터로 이루어져 있고 환자의 설문에 대한 답을 분석하는 기준 역시 심리치료에 적용되는 기준을 이용/응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신체 스트레스 관리부의 개략적인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현대인의 경우 여러 요인에 의해 다양한 스트레스를 받으며 생활을 하고 있는바, 이러한 스트레스를 요인 별, 상황 별로 구별하여 환자 스스로 스트레스의 원인을 인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을 도모할 필요성이 따른다. 더불어, 특히 본 발명의 의료 서비스가 다이어트 또는 비만치료일 경우 비만이 된 기저 요인이라 할 수 있는 환자의 스트레스를 환자 중심적으로 분석하여 환자의 상태를 공감하는 기반으로 접근함으로써 환자의 자발적 개선 가능성을 고취하고 자가 회복력을 개선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근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시스템에 추가로 구비된 스트레스 관리부(123)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환자의 잠재의식 속에 자리한 심리에서 건강을 저해한 특정한 팩터(factor), 예를 들어 비만, 자기 비하 등에 따른 스트레스 성향을 파악하도록 하되, 특히 이분법적이자 즉각적인 응답을 유도하는 설문 방식으로 스트레스를 파악하는 단순함에서 벗어나, 스트레스 성향 파악을 위한 세부 기준이라 할 수 있는 파라미터(parameter)를 쌍대 비교 방식으로 두 개씩 융합하여 각각의 파라미터 간 연관 관계를 제대로 파악함으로써 특히 여러 스트레스 요인 중 신체 스트레스 성향을 구체적이고 과학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의 신체 스트레스 관리부(123)는 스트레스 성향이라는 대 주제에 포함된 가족, 업무, 건강, 인간관계 등의 스트레스(일반 스트레스)와 구분되는 환자 고유의 잠재적인 신체 관련(비만, 요요 현상 등) 스트레스 성향을 특정 수치로 분석/산출하여, 막연하게 비만 때문에 힘들어하는 환자의 무의식적 스트레스 요인을 의식적으로 환자에게 알리도록 하여 스트레스 관리를 수행하거나 자발성을 강화하는 기반을 제공함과 아울러, 벡터 이론을 기반으로 추출한 신체 스트레스 성향 정보를 통해 다양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을 핵심으로 한다.
즉, 스트레스 성향이라 함은, 살이 쪘으니 스트레스가 따른다는 식의 충분히 예측 가능한 보편적이자 교과서적인 스트레스 성향을 피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급한 성격 때문에 급격한 다이어트를 실행하는데 결국 순간적으로 포기하는 성격이다.' 내지 '의지가 약한 편은 아니라 생각하는데, 야식을 먹어야 마음이 편안해지는 현상이 개인적인 문제이다.', '다이어트 이후 요요 현상이 발생되는 것 역시 적지 않은 스트레스이다.'와 같이 예를 들어 특정 신체 약화 요소 중 하나인 비만에 대한 비만 기간, 다이어트 이후 요요현상, 비만에 대한 심리적 원인 등에 대한 합리적이자 세부적인 신체적 스트레스 심리를 반영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레스 관리부(123)는 구체적으로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23a), 설문 제공 수단(123b), 신체 스트레스 수치 산출 수단(123c), 비교 분석 수단(123d), 신체 스트레스 정보 제공수단(123e)에 의하여 구현된다.
계층분석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은 의사결정의 계층 구조를 구성하고 있는 요소 간의 쌍대비교를 통하여 평가자의 지식, 경험 및 직관을 포착하는 방법의 하나로서, 직면한 의사결정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요소를 나열하여 계층의 형태로 만든 다음 그 계층을 이루고 있는 요소를 1대 1로 쌍대비교(paired comparison)를 하게 되며, 이를 통해 도출된 비교 결과를 선형대수학의 고유 벡터법에 의하여 요소들의 가중치를 구하고 각 계층에서 구한 요소들의 가중치를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곱하게 되면 의사결정 대안의 최종 가중치가 구해지고 결론적으로 의사결정을 내리게 되는 일련의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계층분석방법을, 환자의 주관적 신체 스트레스 성향을 다른 스트레스 요인과 비교하여 상대적인 평가 값, 즉 특정 수치로서 산출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적용하는 근거는, 일반적으로 환자의 비만에 대한 심리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설문 입력 창을 통해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게 되는 경우, 예를 들어 비만에 대한 스트레스가 있습니까? 라는 질문을 제시하여 이의 답으로 스트레스가 많다/보통이다/적다라는 스트레스 정도의 차이 유무에 동그라미 표시를 하여 단순히 비만 여부와 스트레스 발생 여부 자체로서 신체 스트레스 성향을 판단하는 단편적인 방식에 따르게 되어 환자의 잠재의식 중에 내재된 스트레스 중에서 상대적으로 신체 약화 요인이 차지하는 스트레스에 대한 비율과 정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종래의 설문 방식 내지 평가 방식은 단순히 많은 설문을 열거하고 해당 설문에 답변에 따른 차등적 수치를 부여하여 각 설문 별로 환자가 대답한 답변의 수치를 합산 처리하여 통합 수치를 생성하는 방식을 따르고 있기 때문에 질문별 개별 특성이 합산 처리 방식에 의하여 상쇄되거나 소멸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계층분석방법을 적용한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23a)는 이러한 획일적 평균 처리 방식을 타파하고 각 설문별 개별 특성에 대한 답변을 최대한 살릴 뿐 아니라 다양한 파라미터(스트레스 요인, 신체 이외의 스트레스 요인, 신체 스트레스의 고저, 스트레스를 해결하기 위한 환자의 의식 수준 등) 별로 환자의 신체 스트레스 성향 수치를 산출함과 동시에 다른 스트레스 요인과의 연관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계층분석방법은 비만 정도, 비만 기간, 신체적 불균형, 신체에 의한 스트레스와 다른 스트레스의 비교 등에 대한 환자의 신체 스트레스 성향을 결정할 때 하나의 분리된 단순 조건(예를 들어, 비만 발생 원인에 대한 질문에서 오로지 식습관 조절 실패/폭식에 관련된 질문을 하는 일반적인 설문 방법)에 대해 질의하는 것이 아니라, 미리 정해진 여러 타입의 설문을 마련하여 각 설문별로 2가지의 파라미터에 대해 서로 비교될 수 있는 질의를 1:1 방식으로 쌍대 비교를 함으로써 양 파라미터에 대한 성질이 서로 분리되지 않고 종합적으로 평가됨과 동시에 각 파라미터에 대해 계층화를 하여 계층 간의 점수(수치)를 가중치 부여를 통해 파라미터별 또는 종합적으로 최적의 분석을 할 수 있는 방식을 따르게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도입된 계층분석방법에 의할 경우 예를 들어 신체 스트레스 발생원인(요요 현상, 폭식, 식습관), 비만에 따른 스트레스 정도와 해결하고자 하는 의사 수준(다른 스트레스와의 비교 우위, 행복 지수, 스트레스 해결 계획), 일상생활 패턴(업무 종류, 운동량, 기타 생활 패턴)이라는 3개의 파라미터 비교 설문에서는,
"A 질문: 나는 현재 5kg를 빼야하는데, 이 생각은 이미 2년 전부터 하고 있었으나 업무량이 과다하여 야식을 자주 먹는 패턴에 의해 아직 실행에 옮기지 못하고 식습관으로 다이어트를 하려 한다.
B 질문: 나는 현재 5kg를 빼야 하는데, 운동을 열심히 하고 음식량을 줄이고 있으나 결국 순간적으로 무너지는 의지력에 의하여 번번이 실패하고 있고 다른 스트레스에 비하여 압도적인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데 해결 방법을 잘 모르겠다."
라고 신체 스트레스 발생원인, 다른 스트레스와의 비교, 일상생활 패턴에 대한 3가지 조건을 종합한 설문 A, B를 서로 쌍대 비교를 하여(이 때 상기 3가지 조건에 대한 수치를 다양하게 변경한 설문이 다수 제공되도록 함으로, 주관적 스트레스 성향을 보다 디테일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1-왼쪽이 아주 좋다. 2-왼쪽이 대체로 좋은 편이다. 3-왼쪽이 조금 더 좋다. 4-비슷하다. 5-오른쪽이 조금 더 좋다. 6-오른쪽이 일반적으로 좋은 편이다. 7-오른쪽이 아주 좋다."라는 7개 또는 이와 유사한 개수의 답변을 객관식으로 마련하게 되고 이로써 얻어진 점수가 각 설문별로 차별화되어 미리 선정된 가중치(예를 들어, 환자가'비만'에 대한 스트레스가 최고 스트레스로 나타난 경우 다른 파라미터보다 '비만'에 우선순위를 부여하도록 처리된 가중치를 의미)를 통해 점수 산정이 산출되고, 최종적으로 각 파라미터(건강/가족/업무 등의 다른 스트레스와의 비교 관계, 비만 정도에 대한 구체적인 스트레스 등)별로, 또는 종합적으로 환자 자신의 잠재의식이 정확하게 반영된 신체 스트레스 성향을 일정 수치로서 산출할 수가 있다.
즉, 상기 3가지 예를 든 조건을 종합적으로 각각 교차 비교하여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이나 별도의 설문지를 통해 복수 개로 설문을 수행하고 질문에 답을 하는 과정에서 환자 자신의 우선적인 세부적 파라미터에 대한 선호도에 대해서 합리적인 결과가 도출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계층 분석 데이터베이스(123a)는 바로 상기와 같은 종합적인 계층 분석 방법에 따른 파라미터 대비 양자 조건 에 대해 1:1 쌍대 비교를 한 복수 개의 질문 및 답변 결과에 대한 평가 정보를 수록한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환자는 본 발명의 의료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계층 분석 데이터베이스(123a)를 기반으로 하는 설문 조사 과정을 의무적으로 수행하여 답변을 수행해야 하고 답변 분석에 의하여 환자의 수치를 생성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23a)는 상기 언급한 계층분석방법에 토대하여 각 설문을 예를 들어 신체적 조건 대 일반 스트레스 요인, 일반 스트레스 요인 대 신체(비만) 스트레스, 비만 스트레스 대 일상생활 습관과 의지력 등과 같이 하나 이상의 파라미터에 대한'쌍대비교 형식'으로 환자에게 디스플레이(display)된 설문을 의미한다.
설문 제공 수단(123b)은 상기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23a)의 설문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의 설문 창 또는 설문자를 통하여 환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행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체 스트레스 수치 산출 수단(123c)은 상기 설문 제공 수단(123b)에서 이러한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123a)에 대해 구해진 답변을 통해 가중치를 부여하여 환자의 고유한 계층 분석 수치(즉, 신체 스트레스 수치) 및 일반 스트레스 수치(인간관계/가족/업무 등에 대한 스트레스에 대한 수치)를 각각 도출하는 것으로, 특히 신체 스트레스 수치 산출 수단(123c)은 양자의 조건에서 상대적인 선호도를 예측하되 구체적으로는 각 수치에 따른 고저(高低)에 따라 각각의 자신이 선호하는 특정 조건이 타 조건에 비하여 얼마나 선호되고 그렇지 않은가를 합리적이고 구체적으로 측정하여 이를 합리적으로 수치화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환자에 대한 구체적이고 합리적인 계층분석수치, 즉 신체 스트레스 수치가 도출이 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신체 스트레스 수치는 잠재적으로 알고 있던 환자 자신의 스트레스 성향을 다른 스트레스 요인과 비교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비교 분석 수단(123d)은 환자의 신체 스트레스 수치를 다른 스트레스 수치, 즉 일반 스트레스 수치와 비교 처리하여 그 차이의 고저인 비교 판단 수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신체 스트레스 정보 제공수단(123e)은 상기 비교 판단 수치의 고저에 대한 차이에 따라 우선순위를 부여하여 해당 환자에게 차등적 또는 차별적으로, 즉 각기 다른 신체 스트레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신체 스트레스 관리 정보는 상기 비교 분석을 기반으로 한 스트레스 지수 중 신체가 차지하는 비율, 스트레스 관리법, 스트레스 해소법 등의 일련의 정보를 의미한다. 즉, 신체에 대한 스트레스는 어느 누구나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스트레스의 존재 여부보다는 이를 보다 건전하고 합리적으로 관리 및 조절할 수 있는 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체 스트레스 관리부(123)를 통해, 환자는 단순히 신체 이후 스트레스를 막연하게 겪는 문제를 넘어 자신의 잠재의식에 적절히 부합하고 있는 신체 스트레스를 인지할 수 있는 합리적 기준을 얻게 되며, 더불어 신체 스트레스를 관리할 수 있고 이 관리 가이드를 받아들일 수 있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는 특성을 부여한다.
본 발명의 융합 진단 모듈(130)은 상기 신체 진단 모듈(110)과 심리 진단 모듈(120)에서 도출된 진단 정보를 융합하여 융합 진단 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즉, 단순히 신체 진단 결과와 심리 진단 결과를 각각 분리하여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세부 신체/심리 진단 정보에 가중치를 부여하여 다중회귀분석에 의한 결과 정보로 얻도록 하고 이 때 가중치 역시 심리적 특성을 우선하여 변화 처리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신체/심리적 환자의 특성에 기인하는 맞춤식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출 수 있으며 이러한 솔루션 제공에 대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200)는 병원 내 또는 모바일 기반의 스마트폰으로 구비되어 상기 융합 진단 정보에 따라 환자 별 맞춤식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치료 프로그램 제공모듈(210), 운동 프로그램 제공모듈(220), 식단 프로그램 제공 모듈(230)을 포함한다.
치료 프로그램 제공모듈(210)은 시술, 약물 투여, 수술, 심리 치료와 같이 일반 병원에서 수행하는 의료 행위를 기반으로 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정신과, 성형외과, 피부과 등의 전문의 그룹에 의하여 개별적인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과 연동될 수 있다.
운동 프로그램 제공모듈(220)은 특히 비만이나 다이어트, 운동 능력 증진을 해야 하는 진단 정보가 도출되었을 때 제공되는 프로그램 정보로서 다양한 운동 솔루션을 포함할 수 있고, 특히 EMS 트레이닝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실질적인 운동 실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EMS 장치와 연동된 솔루션 제공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EMS(Electrical Muscle Stimulation)은 저주파, 고주파에 의한 자극을 부여하여 운동 능력을 증진하는 것으로, 전기적 자극을 의복에 제공하는 EMS 수트(232) 내지 전기적 자극을 특정 신체 부위에 제공하는 EMS 시트(233)(또는 패드)와 같은 소도구를 통하여 주파수 조절에 따라 자극을 제공하는 EMS 장치(231)와 연동되어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 있다.
더불어, 1:1 트레이닝 연계 시스템이나 운동 스케줄을 프로그램의 일부 정보로 포함하여 제공하면서 맞춤식 솔루션을 실질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환경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식단 프로그램 제공모듈(230)은 환자의 건강 능력을 증진시키거나 아니면 영양의 균형을 맞추면서 다이어트를 수행할 수 있는 맞춤식 식단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이 역시 실질적으로 해당 식단에 의하여 환자가 음식을 섭취하였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확인하여 보다 합리적 피드백을 도출할 수 있는 환경과 연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200)에 따라, 단순히 진단 결과만을 제공하는 수준을 넘어서 실질적으로 환자의 행위를 이끌 수 있는 다이내믹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맞춤식 솔루션 실행은 물론 실질적이자 현실적으로 환자가 원하는 목표를 이룰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진단 인터페이스 110: 신체 진단 모듈
111: 기본 진단부 112: 체지방 측정부
113: 사진 촬영부 114: 운동 능력 측정부
120: 심리 진단 모듈 121: 스트레스 측정부
122: 심리 상태 파악부 123: 신체 스트레스 관리부
123a :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 123b : 설문 제공 수단
123c : 신체 스트레스 수치 산출수단 123d : 비교 분석 수단
123e : 신체 스트레스 정보 제공수단 130: 융합 진단 모듈
200: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 210: 치료 프로그램 제공모듈
220: 운동 프로그램 제공모듈 230: 식단 프로그램 제공모듈
231: EMS 장치 232: EMS 수트
233: EMS 시트
230: 식단 프로그램 제공모듈

Claims (6)

  1.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환자의 신체 상태를 측정하여 신체 정보를 파악하는 신체 진단모듈과, 환자의 심리 상태를 측정하여 심리 정보를 파악하는 심리 진단모듈 및, 상기 신체 정보와 심리 정보를 융합하여 융합 정보를 생성하는 융합 진단 모듈로 구성된 진단 인터페이스;
    상기 융합 정보에 따라 환자에게 맞춤식 정보를 제공하는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 진단모듈은,
    환자의 진료를 통해 기본 정보를 파악하는 기본 진단부와,
    환자의 체지방을 측정하는 체지방 측정부 및,
    환자의 외관을 촬영하는 사진 촬영부와,
    환자의 운동 능력을 측정하는 운동 능력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진단 모듈은,
    스트레스 측정 장치와 연동하여 환자의 스트레스를 측정하는 스트레스 측정부와,
    설문을 통하여 환자의 심리 상태를 파악하는 심리 상태 파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심리 진단 모듈은,
    환자의 스트레스 성향을 판단하는 기준이 되는 파라미터를 적어도 두 개 병합하여 쌍대비교를 하는 계층분석방식을 이용한 계층분석 데이터베이스의 설문을 환자에게 제공하여 설문 조사를 하는 설문제공 수단과,
    상기 설문에 대한 응답을 통해 신체 스트레스 성향에 대한 계층분석 수치로 이루어진 신체 스트레스 수치 및 일반 스트레스 수치를 각각 생성하는 신체 스트레스 수치 산출 수단 및,
    상기 환자의 신체 스트레스 수치와 일반 스트레스 수치를 비교하는 비교분석수단과,
    상기 일반 스트레스 수치와 신체 스트레스 수치 간의 고저 차이에 따라 해당 환자에게 차등적인 신체 스트레스 관리 정보를 제공하는 대출 스트레스 정보 제공 수단으로 구성된, 스트레스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는,
    상기 융합 정보에 따라 치료 프로그램, 운동 프로그램, 식단 프로그램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솔루션 제공 인터페이스는,
    의복 및 시트 중 어느 하나의 기구에 고주파 자극을 발생하는 EMS 장치와 연동되어 운동을 실행하는 운동 프로그램을 환자에게 제공하는 운동 프로그램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150098326A 2015-07-10 2015-07-10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700069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26A KR20170006919A (ko) 2015-07-10 2015-07-10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326A KR20170006919A (ko) 2015-07-10 2015-07-10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6919A true KR20170006919A (ko) 2017-01-18

Family

ID=57992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326A KR20170006919A (ko) 2015-07-10 2015-07-10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069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098A (ko) * 2019-05-21 2020-12-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힐링 프로그램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197102B1 (ko) * 2020-03-21 2020-12-30 (주)유도리 다이어트 멘탈관리 시스템
KR102254481B1 (ko) * 2021-02-04 2021-05-21 (주) 마인즈에이아이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심리지표 데이터 및 신체지표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정신건강을 예측하고 정신건강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신건강 평가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098A (ko) * 2019-05-21 2020-12-01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정보에 기초한 맞춤형 힐링 프로그램 추천 장치 및 방법
KR102197102B1 (ko) * 2020-03-21 2020-12-30 (주)유도리 다이어트 멘탈관리 시스템
KR102254481B1 (ko) * 2021-02-04 2021-05-21 (주) 마인즈에이아이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심리지표 데이터 및 신체지표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정신건강을 예측하고 정신건강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신건강 평가 장치
WO2022169037A1 (ko) * 2021-02-04 2022-08-11 (주) 마인즈에이아이 머신러닝에 기반하여 심리지표 데이터 및 신체지표 데이터를 학습함으로써 정신건강을 예측하고 정신건강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정신건강 평가 장치
US20220367065A1 (en) 2021-02-04 2022-11-17 Mindsai Co., Ltd. Method for estimating mental health and providing solution for mental health by learning psychological data and physical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mental health estimating device using the same
US11791052B2 (en) 2021-02-04 2023-10-17 Mindsai Co., Ltd. Method for estimating mental health and providing solution for mental health by learning psychological data and physical data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mental health estimating device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Wearable technology applications in healthcare: a literature review
US11704582B1 (en) Machine learning to identify individuals for a therapeutic intervention provided using digital devices
KR102116664B1 (ko) 온라인 기반의 건강 관리 방법 및 장치
US1115146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ing machine learning to improve processes for achieving readiness
AU2006252260B2 (en) Home diagnostic system
CA2702406C (en) Processor-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 user-initiated clinical study to determine the efficacy of an intervention
Albrecht Subjective health assessment
CN110024038A (zh) 与用户和装置进行合成交互的系统和方法
KR101141425B1 (ko) 온라인을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와 진료방법 및 온라인 건강관리와 의료서비스 제공 서버장치
CN108601548A (zh) 用于神经监测以及辅助诊断的系统和方法
EP2479692A2 (en) Mood sensor
EP2457505A1 (en) Diagnosis and monitoring of dyspnea
EP2457501A1 (en) Monitoring of musculoskeletal pathologies
US200803192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evaluating patient compliance status
JP2015054002A (ja) 疲労・ストレス検診システム
Revano et al. iVital: A Mobile Health Expert System with a Wearable Vital Sign Analyzer
Campos et al. Validity of the ActiGraph activity monitor for individuals who walk slowly post-stroke
Tanay et al. A systematic review of behavioural and exercise interventions for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hemotherapy-induced peripheral neuropathy symptoms
Sanford et al. Treatment Adherence Perception Questionnaire: Assessing patient perceptions regarding their adherence to medical treatment plans.
Dorosh et al. Measurement modules of digital biometrie medical systems based on sensory electronics and mobile-health applications
KR20170006919A (ko) 환자의 신체 및 심리 상태를 융합 기반으로 한 맞춤형 의료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90125240A1 (en) Self-evaluation tool and diagnostic method for healthy ageing
Wiemeyer Evaluation of mobile applications for fitness training and physical activity in healthy low-trained people-A modular interdisciplinary framework
Al-Taee et al. Towards developing online compliance index for self-monitoring of blood glucose in diabetes management
KR101252654B1 (ko) 자가진단 건강관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