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454B1 -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22454B1 KR102222454B1 KR1020190099290A KR20190099290A KR102222454B1 KR 102222454 B1 KR102222454 B1 KR 102222454B1 KR 1020190099290 A KR1020190099290 A KR 1020190099290A KR 20190099290 A KR20190099290 A KR 20190099290A KR 102222454 B1 KR102222454 B1 KR 1022224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device
- buried
- buried pipe
- present
- pipe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2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on roads, walls or similar surfaces, e.g. illuminated
- G09F19/228—Ground signs, i.e. display signs fixed on the ground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관, 수도관, 전력케이블관 등 지하에 매설된 각종 매설 관로에 대한 매설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특히 야간 현장 작업에서 매설 관로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도로 경계석에 시공하여 시각적으로 더욱 쉽게 발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확실하고 깔끔한 시공으로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매설 관로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기 바디; 및 상기 표시기 바디에 구비되는 발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기 바디의 상면에는 매설물의 종류, 이격 거리, 관경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관, 수도관, 전력케이블관 등 지하에 매설된 각종 매설 관로에 대한 매설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특히 야간 현장 작업에서 매설 관로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하며, 도로 경계석에 시공하여 시각적으로 더욱 쉽게 발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확실하고 깔끔한 시공으로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리 일상생활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는 물과 가스를 공급하는 급수관 및 가스관과 전기, 정보통신 케이블관은 겨울에 동파 및 풍화작용에 의한 부식이나 기타 노출로 인하여 야기되는 위험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지하로 매설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하로 매설되어 물과 가스 및 전기와 정보자료를 공급하는 급수관과 가스 및 각종 케이블관은 지역에 따라 매설상태가 다소 차이가 있지만, 통상적으로 지상으로부터 깊이 1200mm로 매설하고, 이 매설 도로에는 500m마다 1개의 매설 위치를 표시하는 관로 표시기를 설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관로 표시기에는 매설된 관로 매개물(급수, 가스, 전기, 통신)명칭, 관로의 매개물 압력(강,중), 관로 속에 매개물의 흐름방향을 표시하여 도로 보수 및 관로 보수 작업시 작업자에게 관로의 정보를 알려주어 발생될 수 있는 안전 사고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해오고 있다.
이에 따라 도로의 보수 및 관로 보수 작업자는 작업시 사전에 도로 지하 관로 매설정보를 관계기관에 확인 요청은 물론, 관로 표시기에 표시된 상태를 보고, 발생될 수 있는 사고나 참사에 만전을 기하면서 조심성 있게 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매설된 관로 상태 및 위치를 표시하는 관로 표시기는 관로매개물(급수, 가스, 전기, 통신) 명칭, 관로의 매개물 압력, 관로 속에 매개물의 흐름방향 만을 한정적으로 표시하고 있어 상기 작업자가 작업하고자 하는 도로 지하에 관로가 어느 정도의 깊이로 매설되어 있으며, 관로 주변에는 어느 정도의 길이로 방호가 되어 있는지 정확하게 알 수 없고, 간혹 관계기관에서 요청된 설계도와 불 일 치하는 경우가 종종 있어, 작업자가 작업시 관로를 훼손하는 경우가 발생되어 대형 사고를 일으키게 되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리고 상기 지하에 매설된 관로 상태 및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기는 금속재질로 하여 쉽게 변형이 생기지 않게 구성하게 되나, 상기 관로 표시기는 작업자 뿐만 아니라, 누구나 관로의 매설을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로의 표면에 돌출되게 매립 설치되어 있는 관계로, 보행자 또는 차량에 의하여 항상 외력을 받게 되어 변형이나 이탈이 발생되어 관로 매설 상태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야간 작업 시 매설 관로의 위치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쉽지 인식되지 않으면서 도로 표면에 돌출 설치되어 있음으로 인해 보행자가 걸려 넘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스관, 수도관, 전력케이블관 등 지하에 매설된 각종 매설 관로에 대한 매설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특히 야간 현장 작업에서 매설 관로의 위치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장비를 이용하여 도로 경계석에 시공하여 시각적으로 더욱 쉽게 식별 또는 발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확실하고 깔끔한 시공으로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매설 관로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기 바디; 및 상기 표시기 바디에 구비되는 발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기 바디의 상면에는 매설물의 종류, 이격 거리, 관경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표시기 바디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배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광 부재가 장착 고정되는 발광부재 장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와 홈부가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배면 가장자리에 링 형태로 형성되되, 그 바디부와 고정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복수의 관통 슬롯(slot)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발광 부재는 축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원형의 링 형태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반사시트가 부착된 원형의 링 형태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요홈부로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장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단이 하단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시공 설치하는 시공 방법으로서,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기 바디의 고정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링 형태의 설치홈을 도로 경계석 또는 노면에 드릴링하여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에 케미컬 앵커(chemical anchor)를 도포하며, 상기 케미컬 앵커가 도포된 상기 설치홈에 상기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편평하게 가압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각종 매설 관로(예를 들면, 가스관, 수도관, 전력케이블관 등)에 대한 매설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야간 작업에도 매설 관로의 위치를 매우 쉽게 찾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간단한 장비로 도로 경계석에 쉽게 시공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에 시공됨으로써 시각적으로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은 확실하고 깔끔한 시공으로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상부 측으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들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기 바디를 아래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과정을 시현한 것으로서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설치할 도로 경계석의 소정 위치를 드릴링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과정을 시현한 것으로서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설치 위치에 케미컬 앵커를 도포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들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기 바디를 아래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과정을 시현한 것으로서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설치할 도로 경계석의 소정 위치를 드릴링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과정을 시현한 것으로서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설치 위치에 케미컬 앵커를 도포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상에"또는 "전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와 직접적 시계열적인 관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각 단계 후의 혼합하는 단계와 같이 두 단계의 순서에 시계열적 순서가 바뀔 수 있는 간접적 시계열적 관계에 있는 경우와 동일한 권리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상부 측으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부들을 분리하여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기 바디를 아래 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는, 가스관, 수도관, 전력케이블관을 포함하는 매설 관로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기 바디(100); 및 상기 표시기 바디(100)에 구비되는 발광 부재(200);를 포함하며, 상기 표시기 바디(100)의 상면에는 매설물의 종류, 이격 거리, 관경에 대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표시기 바디(10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110), 및 상기 바디부(110)의 배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상기 바디부(110)는 원형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며, 그 상면에 표시부(101)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표시부(101)는 야간에 시인성을 제공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표시부(101)는 표시될 정보가 상기 바디부(110)의 상면에 음각(음각부)으로 형성되고, 상기 음각부에 형광물질이 충전되며, 그 위에 투명의 에폭시가 편평하게 도포되어 마감되거나, 투명 재질의 수지캡이 커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발광 부재(200)가 장착 고정되는 발광부재 장착부(111)가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아래 발광부재(200)의 설명에서 함께 설명한다.
계속해서, 상기 표시기 바디(100)의 고정부(120)는 일 실시 형태로 상기 바디부(110)의 배면 가장자리에 링 형태로 형성되되, 그 바디부(110)와 고정부(120)가 연결되는 연결부(또는 고정부(120)의 기단부(proximal end potion)에 복수의 관통 슬롯(slot)이 형성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120)에 관통 슬롯이 형성됨으로써 아래에서 설명될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에서 표시기 바디(100)를 설치 위치에 고정할 때 그 표시기 바디(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케미컬 앵커(chemical anchor)가 그 관통 슬롯을 통해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여 바디부(110)와 고정부(120)의 전체 면적에 골고루 케미컬 앵커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관통 슬롯을 통해 케미컬 앵커가 빠져나가도록 하여 표시기 바디(100)가 편평하게, 즉 수평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표시기 바디(100)의 고정부(120)는 다른 실시 형태로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바디부(110)의 배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부(121)와 홈부(122)가 교번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다른 실시 형태의 경우는, 아래에서 설명될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에서 표시기 바디(100)를 설치 위치에 고정할 때 그 표시기 바디(100)를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케미컬 앵커(chemical anchor)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서 고정성을 더욱 확장할 수 있으며, 또한 바디부(110)와 고정부(120)의 전체 면적에 골고루 케미컬 앵커가 접촉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홈부(122)를 통해 케미컬 앵커가 빠져나가도록 하여 표시기 바디(100)가 편평하게, 즉 수평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일 실시 형태 및 다른 실시 형태의 고정부가 바디부(1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됨으로써 매설 관로 표시 장치가 시공 설치된 후, 그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의 들뜸 발생을 방지하여 보행자가 걸려 넘어지는 일을 없앨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120)는 후자의 경우(다른 실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상기 발광 부재(200)는 축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원형의 링 형태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반사시트가 부착된 원형의 링 형태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발광 부재(200)는 상기 표시기 바디(100)의 고정부(110)의 발광부재 장착부(111)에 장착 고정되게 된다.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111)는 고정부(110)의 상면에 요홈부로 형성되거나, 바디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장착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111)는 후자의 경우가 바람직한데, 이는 장착홈의 상단이 하단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발광 부재(200)는 그 장착홈에 억지끼움 장착됨으로써 상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과정을 시현한 것으로서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설치할 도로 경계석의 소정 위치를 드릴링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과정을 시현한 것으로서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설치 위치에 케미컬 앵커를 도포하는 과정을 촬영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시공 설치하는 것으로, 먼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로 경계석 또는 노면에 상기한 표시기 바디(100)의 고정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링 형태의 설치홈을 드릴링하여 형성한 다음,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설치홈에 접착제, 바람직하게는 케미컬 앵커(chemical anchor)를 도포한 후,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편평하게 가압 고정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 고정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부(120)에 형성되는 관통 슬롯이나 홈부(122)를 통해 케미컬 앵커가 빠져나가도록 하여 매설 관로 표시 장치가 편평하게, 즉 수평되게 안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에 따르면, 지하에 매설된 각종 매설 관로(예를 들면, 가스관, 수도관, 전력케이블관 등)에 대한 매설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고, 야간 작업에도 매설 관로의 위치를 매우 쉽게 찾을 수 있으며, 간단한 장비로 도로 경계석에 쉽게 시공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로 경계석에 시공됨으로써 시각적으로 더욱 쉽게 식별할 수 있으며, 확실하고 깔끔한 시공으로 보행자의 안전한 보행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 예들은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기 바디
101: 표시부
110: 바디부
111: 발광부재 장착부
120: 고정부
121: 돌출부
122: 홈부
200: 발광 부재
101: 표시부
110: 바디부
111: 발광부재 장착부
120: 고정부
121: 돌출부
122: 홈부
200: 발광 부재
Claims (7)
-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시공 설치하는 시공 방법으로서,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표시기 바디의 고정부의 형상에 상응하는 링 형태의 설치홈을 도로 경계석 또는 노면에 드릴링하여 형성하고,
상기 설치홈에 케미컬 앵커(chemical anchor)를 도포하며,
상기 케미컬 앵커가 도포된 상기 설치홈에 상기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편평하게 가압 고정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매설 관로 표시 장치는, 소정 형상으로 형성되는 표시기 바디, 및 상기 표시기 바디에 구비되는 발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기 바디의 상면에는 매설물의 종류, 이격 거리, 관경을 포함하는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기 바디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되는 바디부, 및 상기 바디부의 배면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발광 부재가 장착 고정되는 발광부재 장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바디부의 배면 가장자리에 링 형태로 형성되되, 그 바디부와 고정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에 복수의 관통 슬롯(slot)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방법에서 상기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상기 발광 부재는 축광물질 또는 형광물질을 포함하는 원형의 링 형태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반사시트가 부착된 원형의 링 형태 또는 다각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발광부재 장착부는 상기 고정부의 상면에 요홈부로 형성되거나, 상기 고정부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장착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은 상단이 하단보다 외측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상기 매설 관로 표시 장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설 관로 표시 장치의 시공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290A KR102222454B1 (ko) | 2019-08-14 | 2019-08-14 |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9290A KR102222454B1 (ko) | 2019-08-14 | 2019-08-14 |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0266A KR20210020266A (ko) | 2021-02-24 |
KR102222454B1 true KR102222454B1 (ko) | 2021-03-02 |
Family
ID=74689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9290A KR102222454B1 (ko) | 2019-08-14 | 2019-08-14 |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22454B1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3342Y1 (ko) * | 2004-03-23 | 2004-06-17 | 김치문 | 인도형벽부유도표지 |
KR101531402B1 (ko) * | 2014-06-20 | 2015-06-25 | 주식회사 스마트지오 | 시설물 관리 및 공간정보 안내를 위한 스마트 정보표지 |
KR101677943B1 (ko) * | 2016-05-11 | 2016-11-21 | 대진기술정보 (주) | 매설관로 표지판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08757B2 (ja) * | 1995-07-03 | 1999-06-21 | 株式会社ヤマウ | 鉄蓋枠 |
KR200193018Y1 (ko) | 2000-03-30 | 2000-08-16 | 이수희 | 가스관의 매설위치 표시구 |
KR200318753Y1 (ko) | 2003-03-04 | 2003-07-02 | 이긍재 | 지하관로표시기 |
KR200314493Y1 (ko) | 2003-03-06 | 2003-06-02 | 권정규 | 매설 관로 표시기 |
KR200453127Y1 (ko) | 2008-12-01 | 2011-04-13 | 백인환 | 관로 표지기 |
-
2019
- 2019-08-14 KR KR1020190099290A patent/KR1022224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53342Y1 (ko) * | 2004-03-23 | 2004-06-17 | 김치문 | 인도형벽부유도표지 |
KR101531402B1 (ko) * | 2014-06-20 | 2015-06-25 | 주식회사 스마트지오 | 시설물 관리 및 공간정보 안내를 위한 스마트 정보표지 |
KR101677943B1 (ko) * | 2016-05-11 | 2016-11-21 | 대진기술정보 (주) | 매설관로 표지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20266A (ko) | 2021-02-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7943B1 (ko) | 매설관로 표지판 | |
KR102222454B1 (ko) | 매설 관로 표시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101906380B1 (ko) | 내구성·시인성·유지관리성이 향상된 광섬유 표지판 | |
KR101447095B1 (ko) | 지중선로 표지기 | |
KR200493370Y1 (ko) | 관로표지기의 식별장치 | |
KR200453127Y1 (ko) | 관로 표지기 | |
KR101363371B1 (ko) | 지중 관로 매설위치 및 깊이 표시장치 | |
KR102365251B1 (ko) | 야간 식별성을 갖는 매설 관로 표지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 |
KR20110003484U (ko) | 관로 표지기 | |
US20190169806A1 (en) | Apparatus for marking the location of a utility fixture | |
JP2006249786A (ja) | 視覚障害者誘導用ブロック、その形成シート、その製造方法、及び路面表示体 | |
US20190242078A1 (en) | Buried utility marker assembly | |
KR20050100421A (ko) | 접착형 라인마크 | |
KR200314493Y1 (ko) | 매설 관로 표시기 | |
KR20180100742A (ko) | 표지주 설치형 표지판 및 이의 설치방법 | |
KR200356127Y1 (ko) | 접착형 라인마크 | |
KR200481589Y1 (ko) | 가스 배관라인 표시못장치 | |
KR200318753Y1 (ko) | 지하관로표시기 | |
KR200323034Y1 (ko) | 반사표식이 구비된 매설물 안내표지판 | |
KR101030350B1 (ko) | 매설된 배전 지중 케이블에 의한 감전방지를 위한 보안장치 | |
KR20170073327A (ko) | 매설 관로 표지기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357386B1 (ko) | IoT기반의 스마트 매설관로 표지주 및 이를 이용한 매설관로 표지주 관리 방법 | |
KR19990020446U (ko) | 지하매설물 깊이 표시장치 | |
KR20160002219U (ko) | 지하매설물 표시용 표시못 | |
KR102348880B1 (ko) | 차선규제봉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