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329B1 -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 Google Patents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329B1
KR102222329B1 KR1020190084024A KR20190084024A KR102222329B1 KR 102222329 B1 KR102222329 B1 KR 102222329B1 KR 1020190084024 A KR1020190084024 A KR 1020190084024A KR 20190084024 A KR20190084024 A KR 20190084024A KR 102222329 B1 KR102222329 B1 KR 102222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t
buoyancy control
air
pillar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4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7480A (ko
Inventor
송근식
Original Assignee
송근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근식 filed Critical 송근식
Priority to KR1020190084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329B1/ko
Publication of KR20210007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7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3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59/00Hull protection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ssels
    • B63B59/06Cleaning devices for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7/00Buoyancy or ballast means
    • B63B2207/02Variable ballast or buoya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pecial Spray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트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항한 보트를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여 들어올려 해수면 상에 이격하여 정박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보트을 해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보트의 바닥을 담수로 자동세척하여 보트의 수명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Air buoyancy type boat lift}
본 발명은 보트 리프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입항한 보트를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여 들어올려 해수면 상에 이격하여 정박할 수 있게 함으로서 보트를 해수로부터 보호할 수 있고, 보트의 바닥을 담수로 자동세척하여 보트의 수명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보트나 요트 등을 이용한 해양레저가 각광받고 있다.
해양은 육상의 환경조건과 달리 항상 선체가 해수와 접하고 있기 때문에 보트의 바닥이 부식되기 쉽고, 선체에 부착된 해양생물을 떼어 내는 등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리를 위해 보트가 정박할 수 있는 계류장인 마리나(marina)가 건립되고 있으며 이 마리나는 해안의 산책길, 식당가, 숙박시설 등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마리나에서는 보트를 수리하거나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해 보트를 육상으로 인양하므로 보트를 인양하기 위한 대단위 규모의 인양설비가 필요하고 육상으로 인양하는 데 시간 소요가 심한 문제가 있다.
삭제
1. 한국등록특허 제10-1895372호, '다목적 이동식 계류장치'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08914호,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3.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45132호,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트가 정박할 때 선체가 해수에 닿지 않도록 공중에서 정박할 수 있게 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목적은 보트가 공중에 정박한 상태에서 보트의 선체 하부를 담수로 자동세척하여 보트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간단한 와이어의 당김 조작만으로 승강하게 할 수 있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해수 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제1 공기 주입 공간이 형성된 길쭉한 형태의 제1 부력 조절통; 상기 제1 부력 조절통과 나란하게 이격되며, 내부에 해수 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고 상기 제1 공기 주입 공간과 연통된 제2 공기 주입 공간이 형성된 길쭉한 형태의 제2 부력 조절통; 상기 제1 부력 조절통과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제1 부력 조절통의 전방에 세워지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과 나란하게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전방에 세워지는 제2 기둥; 상기 제1 기둥과 나란하게 상기 제1 부력 조절통의 후방에 세워지는 제3 기둥; 상기 제3 기둥과 나란하게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후방에 세워지는 제4 기둥; 상기 제1 기둥, 상기 제2 기둥, 상기 제3 기둥 또는 상기 제4 기둥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기 주입 공간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공기 출입노즐; 일단은 상기 제1 기둥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기둥에 연결되며 중앙부분이 하부로 꺾여 있어 보트의 선수 부분이 상단에 거치될 수 있는 전방 보트 거치대; 일단은 상기 제3 기둥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4 기둥에 연결되며, 보트의 선미부분이 거치되었을 때, 구동프로펠러와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부분이 제거된 후방 보트 거치대; 하단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하단은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의 타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 하단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지지대; 및 하단은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의 타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4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주입 공간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수면상에 뜨게 함으로써 거치된 보트가 수면에서 이격되어 공중에서 정박할 수 있게 하거나 해수를 주입하여 수중으로 가라앉게 함으로써 보트가 입출항할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조절통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에는 항상 공기가 채워져 소정의 최저 부력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 부력 조절통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이 수중으로 완전히 가라앉지 않게 하는 부력 유지공간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조절통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각 하단에는 해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해수 출입 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해수 출입 노즐에는 노즐을 개폐하는 레버와 레버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상기 레버를 열림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조절통과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상면에는 거치된 보트의 하면으로 담수를 뿌려 보트의 하면을 세척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 상기 제3 지지대 또는 상기 제4 지지대에는 상기 스프링클러로 담수를 공급하는 담수 저장 공간이 구비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에 의하면,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여 보트의 선체가 해수에 닿지 않도록 공중으로 부양하여 정박할 수 있게 함으로써 해수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보트의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고, 악천후 시 보트의 외부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에 의하면, 보트가 공중에 정박한 상태에서 보트의 선체 하부를 담수로 자동세척하여 해수는 물론, 해초나 따개비와 같은 해양생물을 제거하거나 해양생물의 서식 여건을 제거하여 보트의 유지보수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에 의하면, 사용자가 간단히 와이어의 당김 조작만으로 승강하게 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며, 알루미늄을 이용하여 내식성이 강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의 부력 유지 공간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100)는 공기의 부력을 이용하여 수중으로 소정 깊이 가라앉거나 수면으로 떠올라 거치된 보트를 수면상에 이격하여 정박시킬 수 있는 리프트이다.
또한, 상기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100)는 제1 부력 조절통(110), 제2 부력 조절통(120), 연결 프레임(130,140), 제1 기둥(150), 제2 기둥(150a), 제3 기둥(150b), 제4 기둥(150c), 공기 출입노즐(151), 전방 보트 거치대(160), 후방 보트 거치대(170), 제1 지지대(180), 제2 지지대(180a), 제3 지지대(180b), 제4 지지대(180c) 및 스프링 클러(190,190a)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은 내부에 해수 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제1 공기 주입 공간(111)이 형성된 통으로 길쭉한 원통 형상으로 제작된다.
그러나 길쭉한 형태의 통이라면 원통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제1 공기 주입 공간(111)에는 공기를 주입하여 부력을 높이거나 역으로 해수를 주입하여 부력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의 내부에는 항상 공기가 충전된 밀폐된 부력 유지 공간(112)이 형성되며, 이 부력 유지 공간(112)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이 수중으로 완전히 침해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은 해수에 부식되지 않도록 알루미늄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의 상면에는 담수를 분사하여 정박된 보트의 하면을 세척할 수 있는 제1 스프링 클러(190)가 부착된다.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과 나란하게 소정거리 이격되며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과 형태 및 재질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통이다.
또한,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공기 주입 공간(111)과 서로 연통된 제2 공기 주입 공간(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에는 상기 부력 유지 공간(112)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력 유지 공간(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의 상면에는 담수를 분사하는 제2 스프링클러(190a)가 부착되며, 상기 제2 스프링클러(190a)는 상기 제1 스프링 클러(190)와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의 하단에는 내부의 공기 주입공간(111)으로 해수가 유입될 수 있게 하는 해수 출입 노즐(121)이 각각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해수 출입 노즐(121)에는 노즐을 개폐하기 위한 레버(122)와 상기 레버(122)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123)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122)는 와이어(124)와 연결되어 사용자가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124)는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 각각에 설치된 해수 출입 노즐의 레버에 함께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에 동시에 해수가 유입되게 한다.
한편,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과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에 해수가 유입되게 하는 과정은 먼저 아래에서 설명할 공기 출입 노즐(151)을 열어 상기 부력 조절통(110,120)들 내부의 공기 주입공간의 공기를 배출하고 동시에 상기 해수 출입 노즐(121)을 열여 해수가 상기 부력 조절통들(110,120)의 공기 주입공간(111)으로 유입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연결 프레임(130,140)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을 서로 연결하며,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을 서로 이격하여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130,140)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과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의 전방을 연결하는 전방 연결 프레임(130)과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과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의 후방을 연결하는 후방 연결 프레임(14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 프레임(130,140)에는 상기 제1 공기 주입 공간(111)과 상기 제2 공기 주입 공간을 서로 연통하기 위한 공기연통라인(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스프링 클러(190)관 상기 제2 스프링 클러(190a)를 서로 연통하기 위한 담수연통라인(도시하지 않음)이 구비된다.
상기 제1 기둥(150)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의 전방에 세워지는 기둥이다. 또한, 도 1에서는 상기 제1 기둥(150)을 원통형으로 도시하였으나 각 기둥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2 기둥(150a)은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의 전방에 상기 제1 기둥(150)과 나란하게 세워진다.
상기 제3 기둥(150b)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의 후방에 상기 제1 기둥(150)과 나란하게 세워진다.
상기 제4 기둥(150c)은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의 후방에 상기 제3 기둥(150b)과 나란하게 세워진다.
상기 공기 출입노즐(151)은 상기 제1 기둥(150)에 구비되고, 외부의 펌프(P1)로부터 공기를 주입받아 상기 제1 공기 주입공간(111)과 상기 제2 공기 주입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상기 제1 공기 주입공간(111)과 상기 제2 공기 주입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제1 공기 주입공간(111)과 상기 제2 공기 주입공간에 해수가 채워지게 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공기 출입노즐(151)이 상기 제1 기둥(150)에 설치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2 기둥(150a), 상기 제3 기둥(150b) 또는 상기 제4 기둥(150c)에 설치가 가능하다.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160)는 일단은 상기 제1 기둥(15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기둥(150a)에 연결되며, 중앙 부분이 하부로 꺾여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V'자 형태를 갖는 거치대이다.
또한,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160)는 보트가 입항하였을 때, 선수 부분이 거치된다.
또한,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160)는 'U'자형 형강에 고무와 같은 탄성체(161)를 삽입하고, 상기 탄성체(161)가 형강의 상부로 돌출되게 함으로써, 보트가 거치되었을 때, 접촉에 의해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170)는 일단은 상기 제3 기둥(150b)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4 기둥(150c)에 연결되며, 보트의 선미부분을 거치할 수 있는 거치대이다.
또한,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170)는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160)와 대응하는 형태이나 중앙부분이 제거되어 있다. 이는 보트의 구동프로펠러나 선외기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1 지지대(180)는 하단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160)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160)의 일측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제1 지지대(180)의 내부에는 담수를 저장할 수 있는 담수 저장 공간(181)이 구비되고, 상기 담수 저장 공간(181)은 상기 제1 스프링 클러(190) 및 상기 제2 스프링 클러(190a)와 연통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담수 저장 공간(181)은 외부의 펌프(P2)와 연결되며, 펌프로부터 공기유입되거나 고압의 담수가 유입될 때, 상기 제1 스프링 클러(190) 및 상기 제2 스프링 클러(190a)에서 담수가 분사되어 거치된 보트의 하면을 세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담수 저장 공간(181)은 상기 제1 지지대(180)가 아닌 제2 지지대(180a), 제3 지지대(180b) 또는 제4 지지대(180c)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담수 저장 공간(181)은 모든 지지대(180,180a,180b,180c)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지지대(180a)는 하단은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160)의 타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160)의 타측을 지지한다.
상기 제3 지지대(180b)는 하단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110)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170)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170)의 일측을 지지한다.
상기 제4 지지대(180c)는 하단은 상기 제2 부력 조절통(120)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170)의 타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170)의 타측을 지지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100)의 동작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a)먼저, 상기 공기 출입 노즐(151)을 열어 상기 공기 주입공간(111)의 공기를 배출하고, 동시에 상기 해수 출입 노즐(121)을 열어 해수가 상기 공기 주입공간(111)으로 유입되게 한다. 그러면, 부력이 낮아져 수중으로 침하되며, 어느 정도 침하가 되면 상기 부력 유지 공간(112)의 부력에 의해 침하가 중단된다. 침하가 중단되면 상기 공기 출입 노즐(151)과 상기 해수 출입 노즐(121)을 잠근다. 침하는 약 수심 1m 정도 이루어지며, 해수면 밖으로는 상기 기둥들(150,150a,150b,150c)의 상단들만이 가이드로 노출된다.
그럼 보트(1)가 후진하여 출항한다.
(b)다음, 보트(1)가 항해를 마친 후, 상기 기둥들(150,150a,150b,150c)을 보고 보트 리트트(100)의 상부로 들어와 정선한다. 그 후, 상기 해수 출입 노즐(121)과 상기 공기 출입 노즐(151)을 열고 펌프(P1)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 주입 공간(111)으로 공기를 주입하며, 상기 공기 주입 공간(111)의 해수는 바다로 빠져나가고 공기가 채워져 부력이 증가하고 천천히 보트 리프트(100)가 상승한다.
(c)다음, 보트 리프트(100)의 상승이 완료되면, 공기 주입을 멈추고 보트(1)가 수면 밖으로 완전히 떠 정박상태가 된다.
(d)다음, 펌(P1)를 이용하여 상기 담수 저장 공간(181)으로 압축공기를 주입하고 담수는 상기 스프링 클러들(190,190a)을 통해 보트(1)의 하부(1a)로 토출되며 해수를 씻어 내며, 이때, 해상 생물등도 제거된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100)의 부력 유지 공간(11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부력 유지 공간(112)은 부력 조절통(110) 내부에 복수 개(112a,112b,112c)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부력 유지 공간들(112a,112b,112c)은 전방, 중앙, 후방에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고루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선수 부분으로 치우쳐져 위치한다.
그 이유는 상기 부력 조절통(110)이 후방(①), 중앙(②), 전방(③) 순으로 침하되고, 역으로 상승할 때는 전방(③), 중앙(②), 후방(①) 순으로 상승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 경우, 보트가 하강할 때, 선미 부분부터 물에 뜨게 되므로 출항이 용이하고, 상승할 때는 거치대에 거치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부드럽게 상승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보트 리프트 100:제1 부력 조절통
111:제1 공기 주입 공간 112:부력 유지 공간
120:제2 부력 조절통 121:해수 출입 노즐
122:레버 123:스프링
124:와이어 130:전방 연결 프레임
140:후방 연결 프레임 150:제1 기둥
151:공기 출입 노즐 160:전방 보트 거치대
170:후방 보트 거치대 180:제1 지지대
180a:제2 지지대 180b:제3 지지대
180c:제4 지지대 181:담수 저장 공간
190:제1 스프링 클러 190a:제2 스프링 클러

Claims (4)

  1. 내부에 해수 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는 제1 공기 주입 공간이 형성된 길쭉한 형태의 제1 부력 조절통;
    상기 제1 부력 조절통과 나란하게 이격되며, 내부에 해수 또는 공기가 출입할 수 있고 상기 제1 공기 주입 공간과 연통된 제2 공기 주입 공간이 형성된 길쭉한 형태의 제2 부력 조절통;
    상기 제1 부력 조절통과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이 소정 간격을 유지하도록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
    상기 제1 부력 조절통의 전방에 세워지는 제1 기둥;
    상기 제1 기둥과 나란하게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전방에 세워지는 제2 기둥;
    상기 제1 기둥과 나란하게 상기 제1 부력 조절통의 후방에 세워지는 제3 기둥;
    상기 제3 기둥과 나란하게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후방에 세워지는 제4 기둥;
    상기 제1 기둥, 상기 제2 기둥, 상기 제3 기둥 또는 상기 제4 기둥에 구비되고, 상기 제1 공기 주입 공간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공간으로 공기를 주입하거나 배출하기 위한 공기 출입노즐;
    일단은 상기 제1 기둥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기둥에 연결되며 중앙부분이 하부로 꺾여 있어 보트의 선수 부분이 상단에 거치될 수 있는 전방 보트 거치대;
    일단은 상기 제3 기둥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4 기둥에 연결되며, 보트의 선미부분이 거치되었을 때, 구동프로펠러와 간섭하지 않도록 중앙부분이 제거된 후방 보트 거치대;
    하단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 지지대;
    하단은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의 타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전방 보트 거치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 지지대;
    하단은 상기 제1 부력 조절통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의 일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3 지지대; 및
    하단은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후방에 연결되고 상단은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의 타측 하단에 연결되어 상기 후방 보트 거치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4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주입 공간 및 상기 제2 공기 주입 공간에 공기를 주입하여 수면상에 뜨게 함으로써 거치된 보트가 수면에서 이격되어 공중에서 정박할 수 있게 하거나 해수를 주입하여 수중으로 가라앉게 함으로써 보트가 입출항할 수 있게 하고,
    상기 제1 부력 조절통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각 하단에는 해수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해수 출입 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해수 출입 노즐에는 노즐을 개폐하는 레버와 레버를 닫힘 상태로 유지하는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레버에는 와이어가 연결되어 사용자가 상기 와이어를 당김으로써 상기 레버를 열림 상태로 변경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조절통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에는 항상 공기가 채워져 소정의 최저 부력을 유지함으로써 상기 제1 부력 조절통 및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이 수중으로 완전히 가라앉지 않게 하는 부력 유지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조절통과 상기 제2 부력 조절통의 상면에는 거치된 보트의 하면으로 담수를 뿌려 보트의 하면을 세척할 수 있는 스프링클러가 구비되고,
    상기 제1 지지대, 상기 제2 지지대, 상기 제3 지지대 또는 상기 제4 지지대에는 상기 스프링클러로 담수를 공급하는 담수 저장 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KR1020190084024A 2019-07-11 2019-07-11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KR102222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024A KR102222329B1 (ko) 2019-07-11 2019-07-11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4024A KR102222329B1 (ko) 2019-07-11 2019-07-11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80A KR20210007480A (ko) 2021-01-20
KR102222329B1 true KR102222329B1 (ko) 2021-03-02

Family

ID=74304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4024A KR102222329B1 (ko) 2019-07-11 2019-07-11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3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273B2 (ja) * 1988-08-22 1998-05-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浮船台
JP2005313813A (ja) * 2004-04-30 2005-11-10 Kesanori Watanabe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04066A (ko) * 2006-04-21 2007-10-25 주식회사 대명솔루션 소형 선박용 부선대
KR20140045132A (ko) 2012-10-08 2014-04-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병렬 계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계류 방법
KR20160008914A (ko) 2014-07-15 2016-0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워터제트장치를 포함하는 이물질 부착방지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안벽
KR101895372B1 (ko) 2017-02-16 2018-09-05 아론비행선박산업 주식회사 다목적 이동식 계류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53273B2 (ja) * 1988-08-22 1998-05-18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浮船台
JP2005313813A (ja) * 2004-04-30 2005-11-10 Kesanori Watanabe 簡易マリーナ装置及び船舶の管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7480A (ko) 2021-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39798B (zh) 带延伸筒体的直筒式浮式平台和泳圈式浮筒组
KR102157346B1 (ko) 드라이도크 미부양 탠덤 공법을 적용한 선박건조공법
CN103010615A (zh) 一种具有系泊功能的水面储油装置及其安装方法
KR102222329B1 (ko) 공기 부양식 보트 리프트
CN105645296A (zh) 一种高桩式可升降游艇停泊码头设备
KR101511213B1 (ko) 선박용 앵커링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앵커 체인을 격납하는 방법
JP4560773B2 (ja) 簡易マリーナ装置
KR101453740B1 (ko)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KR101453741B1 (ko) 유압실린더-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KR101322088B1 (ko) 물양장용 부함
US20100275832A1 (en) Raft parking for boat
CN110789688A (zh) 可移动船板维修浮船坞及维修船底板的方法
US9327805B2 (en) Vertical oil storage system and its method for deepwater drilling and production
KR101895372B1 (ko) 다목적 이동식 계류장치
CN201762686U (zh) 一种半潜式多功能防波堤
KR101029653B1 (ko)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KR100577901B1 (ko) 해안의 물양장 구축시설
KR200453349Y1 (ko) 선박 접안 시설물
KR101027578B1 (ko) 계단형 선박건조장치
JP3110993B2 (ja) 浮き桟橋構造物
KR101453745B1 (ko) 웜기어-작동식 선박 부양 또는 침수용 보트리프트 장치
KR102594823B1 (ko) 유동 저감 시스템을 구비한 바지선
KR101524816B1 (ko) 선박 접안 장치
KR102218580B1 (ko) 플로팅 도크 시스템
WO2018021957A1 (en) Methods and assemblies for treating bio-fouling on water-borne vesse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