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0985B1 -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 Google Patents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0985B1
KR102220985B1 KR1020190051433A KR20190051433A KR102220985B1 KR 102220985 B1 KR102220985 B1 KR 102220985B1 KR 1020190051433 A KR1020190051433 A KR 1020190051433A KR 20190051433 A KR20190051433 A KR 20190051433A KR 102220985 B1 KR102220985 B1 KR 102220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ranch
rotation shaft
shaft portion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1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7398A (ko
Inventor
이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마가산업
Priority to KR1020190051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0985B1/ko
Publication of KR2020012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0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0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0Holders for boughs or branch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지유인추의 조립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개선한 가지유인추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1중량추 및 제2중량추와, 상기 제1중량추 및 제2중량추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와, 상기 제1중량추와 상기 제2중량추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촉결합됨으로써 제1중량추와 제2중량추가 회전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제1회전축부 및 제2회전축부와, 탄성스트립 또는 탄성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중량추 및 제2중량추의 각 상단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중량추와 제2중량추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가지수용부가 위치하도록 절곡된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과실수의 가지유인추{GUIDE WEIGHT FOR BRANCH OF FRUIT TREES}
본 발명은 과실수의 가지유인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과실수의 어린 가지에 걸어 중력에 의해 가지가 처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의도하는 방향으로 가지가 자랄 수 있도록 사용하는 과실수의 가지유인추에 관한 것이다.
과수원의 과실수의 경우, 태양광 확보, 통기성 향상 및 작업의 편의성 등의 측면에서 하늘을 향해 자라는 어린 가지를 인위적으로 분지시켜 자라는 방향을 유인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통상, 과실수는 어린 가지의 분지각도를 45도 이상이 되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대부분의 가지에 과일을 착과시켜야 하는 사과재배 시스템에서는 어린가지를 그 분지각도가 90도 이상이 되도록 인위적으로 유인시켜야 한다.
그와 같이 원줄기로부터 출현하는 어린가지를 요구하는 분지각도로 유인시키기 위하여, 종래 철사 등으로 가지를 감아놓거나, 콘크리트 등 중량재질의 무게추를 매달어 놓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그러한 무게추를 보다 개량하여 과실수의 가지(2)에 보다 편리하게 설치할 수 있는 가지유인추(1)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0899415호에 기재된 것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소정의 무게를 가지는 제1중량추(3)와 제2중량추(4)로 분할 형성되고, 각각의 중량추(3,4) 하부측은 중량추(3,4)의 사이에 과실수의 가지(2)를 물릴 수 있도록 하는 가지물림면(3a,4a)으로 형성되며, 각각의 중량추(3,4)의 상부측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누름손잡이(6,7)로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누름손잡이(6,7) 사이에 해당하는 중량추(3,4)의 상부 평면상에는 스프링삽입공(5a)이 형성되어, 제1중량추(3)와 제2중량추(4)의 가지물림면(3a,4a)을 탄력적으로 밀착시키기 위한 굴곡스프링(5)이 삽입 설치된다.
이에 누름손잡이(6,7)를 눌러 각 중량추(3,4)의 가지물림면(3a,4a)이 소정의 각도만큼 벌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벌어진 가지물림면(3a,4a)의 사이에 과실수의 가지(2)가 위치토록 한 다음, 누름손잡이(6,7)에 가해지는 힘을 제거하면, 굴곡스프링(5)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지물림면(3a,4a) 사이에 과실수의 가지(2)가 견고하게 물릴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가지유인추(1)의 구성을 살펴볼 때, 제1중량추(3)와 제2중량추(4)의 상부에 누름손잡이(6,7)가 설치되고 제1중량추(3)와 제2중량추(4)의 상부의 사이에 간격공간(9)이 형성되며, 스프링삽입공(5a)은 그 간격공간(9)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종래의 가지유인추(1)를 조립하여 제작하기 위해, 상기 간격공간(9)의 내측에 위치하는 스프링삽입공(5a)에 굴곡스프링(5)을 삽입시켜야 하나, 제1중량추(3)와 제2중량추(4)의 상부 사이에 형성된 간격공간은 협소한 공간이므로, 작업자가 ∩자형의 굴곡스프링(5)을 스프링삽입공(5a)에 정확히 끼워넣는 작업은 매우 까다롭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작업이 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관점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지유인추의 조립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체적인 결합구조를 개선한 가지유인추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지에 걸어 가지가 향하는 방향을 유인하는 과실수의 가지유인추에 있어서, 소정의 무게를 가지고 서로 분할된 제1중량추 및 제2중량추와, 상기 제1중량추의 하단부와 상기 제2중량추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잡는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와, 상기 제1중량추와 상기 제2중량추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촉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중량추와 상기 제2중량추가 회전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제1회전축부 및 제2회전축부와, 탄성스트립 또는 탄성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중량추의 상단부와 상기 제2중량추의 상단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중량추와 상기 제2중량추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가지수용부가 위치하도록 절곡된 탄성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를 서로 모으는 경우,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부를 중심으로 상기 제1중량추의 상단부와 상기 제2중량추의 상단부가 서로 벌어지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가지수용부가 탄성력을 이기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가지의 진입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가, 양 측단에 각각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중량추의 상단부와 상기 제2중량추의 상단부의 각 끼움홈에 각각 끼워지는 양측 결합부와, 상기 양측 결합부로부터 중심부로 각각 연장되어 서로 모이는 양측 연장부와, 상기 제1회전축부 및 제2회전축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심부에 모인 양측 연장부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상기 가지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양측 결합부가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중심부를 향해 모이도록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움홈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부 및 제2회전축부는, 그 중 하나가 볼록한 돌출면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가 오목한 수용면을 형성하여 서로 접촉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결합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지수용부가 상기 양측 연장부가 서로 모이는 위치와 서로 어긋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지수용부에 수용된 가지가 상기 양측 연장부가 서로 모이는 위치와 어긋나있는 상기 가지수용부의 상부와 접촉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부재에는, 상기 가지수용부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상하로 형성되고, 최상측의 수용공간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수용공간의 양 외측부에 각각 형성된 양측 걸림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중량추와 상기 제2중량추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상기 양측 걸림귀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부 및 제2회전축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양측 걸림돌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파지부 및 제2파지부를 서로 모으는 경우,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양측 걸림돌부가 상기 양측 걸림귀를 각각 양 외측으로 당기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과실수의 가지유인추는, 제1회전축부 및 제2회전축부가 제1중량추와 제2중량추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촉결합되고, 탄성부재는 탄성스트립 또는 탄성와이어를 절곡하여 가지수용부를 형성하여 가지를 물수 있으며 제1중량추와 제2중량추의 상단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가지유인추는, 조립에 의해 생산하더라도 작업자가 협소한 공간에 탄성부재를 끼우는 작업이 없고 탄성부재를 제1중량추와 제1중량추에 쉽게 결합시킬 수 있는 바, 가지유인추의 조립이 보다 간편하고 빨라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는 종래 가지유인추가 과실수에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종래 가지유인추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가지유인추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추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5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추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추가 과실수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추에서 탄성부재의 결합부에 주름이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추에서 탄성부재의 가지수용부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상하로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8에 따른 가지유인추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추에서 탄성부재의 가지수용부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수용공간이 상하로 형성되고 걸림귀가 설치된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가지유인추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추에서 탄성부재의 양측 연장부가 서로 모여 접촉하는 위치가 가지수용부의 고리형상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된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도 13의 (a) 및 (b)는 도 12에 따른 가지유인추의 작동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지유인추에서 탄성부재의 가지수용부가 주름이 형성된 양측 밀착판을 포함하는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사시도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과실수의 가지유인추는, 가지(51)에 걸어 가지(51)가 향하는 방향을 유인하는 것으로서, 소정의 무게를 가지고 서로 분할된 제1중량추(10) 및 제2중량추(20)와, 상기 제1중량추(10)의 하단부와 제2중량추(20)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잡는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와, 상기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의 서로 마주보는 면(16,26)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촉결합됨으로써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가 회전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와, 탄성스트립 또는 탄성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고,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가지수용부(31)가 위치하도록 절곡된 탄성부재(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중량추(10) 및 제2중량추(20)는 가지(51)를 하측으로 처지도록 중량을 부가하는 부분으로서, 전체를 금속재질이나 콘크리트 재질로 형성할 수 있으나, 내부에 중량블록(17,27)이 포함된 합성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1중량추(10) 및 제2중량추(20)는 서로 마주보는 면(16,26)(대향면)이 각각 평면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그 서로 마주보는 면(16,26)에 각각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를 형성하며, 각 하부에는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가 형성된다.
상기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는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잡아 서로 접근시키면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가 벌어지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고 제1중량추(10) 및 제2중량추(20)의 외면과 구분되지 않는 외면이 될 수도 있으나, 작업자가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잡을 수 있도록 잡는 면을 평면상으로 깍아 도면 4와 같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는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의 서로 마주보는 면(16,26)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촉결합됨으로써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가 회전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한다.
제1회전축부(15)는 제1중량추(10)의 면에서 돌출되고 제2회전축부(25)와 접촉하는 부분은 볼록한 곡면의 돌출면(15a)으로 형성하여 접촉상태에서의 선회운동이 원활하도록 하고, 제2회전축부(25)는 제2중량추(20)의 면에서 돌출되되 제1회전축부(15)와 접촉하는 부분은 오목한 곡면의 수용면(25a)으로 형성하여 제1회전축부(15)의 볼록한 돌출면(15a)을 감싸안아 접촉상태에서의 선회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 제1회전축부(15)의 돌출면(15a) 및 제2회전축부(25)의 수용면(25a)은 서로 단순한 접촉상태로 결합되고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에 서로의 결합을 위한 별도의 결합구성을 구비하지 않는다.
가지유인추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1회전축부(15)의 돌출면(15a) 및 제2회전축부(25)의 수용면(25a)을 계속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후술하는 탄성부재(30)의 구성에 의해 가능하게 되므로, 제1중량추(10) 및 제2중량추(20)에 설치되는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의 구성이 매우 단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조립에 의한 제작이 매우 간편해 질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부재(30)는 탄성스트립 또는 탄성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고,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가지수용부(31)가 위치하도록 절곡된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30)는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를 서로 간에 결합시키는 역할과 함께 가지(51)를 잡아 수용함으로써,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가 가지(51)에 매달릴 수 있도록 매개하는 역할도 함께 하게 된다.
탄성부재(30)는 스프링강 등의 강판 재질의 탄성스트립이나 탄성와이어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고, 탄성력이 높은 탄성스트립으로 제작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탄성부재(30)는, 양 측단에 각각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의 각 끼움홈(13,23)에 각각 끼워지는 양측 결합부(34a,34b)와, 상기 양측 결합부(34a,34b)로부터 중심부로 각각 연장되어 서로 모이는 양측 연장부(33a,33b)와, 상기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심부에 모인 양측 연장부(33a,33b)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지(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가지수용부(31)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4a,34b)는 절곡된 탄성스트립에서 가장 외곽의 양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의 각 끼움홈(13,23)에 각각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결합부(34a,34b)는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에 형성된 끼움홈(13,23)에 단순히 결합되는 경우, 외력에 의해 빠질 수 있으므로, 도 7과 같이, 가로방향의 다수 주름이 형성되어 제1중량추(10) 및 제2중량추(20)의 끼움홈(13,23)에 억지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양측 결합부(34a,34b)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중심부를 향해 모이도록 수직면에 대하여 도 4와 같이 소정각도(α)로 경사지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움홈(13,23)은 수직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탄성부재(30)의 양측 결합부(34a,34b)가,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를 서로 모으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면서 잡고 있는 상태이므로,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가 벌어지지 않고, 별도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가 서로 접촉한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이에, 작업자는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를 잡고 서로 모으는 동작을 하여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를 중심으로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를 서로 이격시키는 작동을 언제든지 불편없이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33a,33b)는 양측 결합부(34a,34b)로부터 중심부로 각각 수평으로 연장되어 서로 모이는 부분으로서, 결합부(34a,34b)와 가지수용부(31)를 연결하도록 탄성스트립이 절곡되면서 형성된 부분이다.
양측 연장부(33a,33b)는 반드시 서로 접촉할 필요는 없으나, 탄성스트립의 절곡성형시 무외력상태에서 서로 접촉하도록 절곡성형해 두는 것이, 탄성력을 높이고 과실수의 가지(51)를 확실하게 파지하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양측 연장부(33a,33b)는 중심부에 모여 서로 접촉하면서 양측 연장부(33a,33b)와 가지수용부(31)를 연결하고 가지수용부(31)의 입구를 형성하는 접촉부(32a,32b)를 포함한다.
상기 가지수용부(31)는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심부에 모인 양측 연장부(33a,33b)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지(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수용공간(31a)이 형성되는 부분이다.
가지수용부(31)는 탄성스트립의 중간부분이 절곡됨으로써 고리형상으로 성형되어 가지(51)가 수용공간(31a)에 수용되고, 가지수용부(31)의 상측에서는 양측 연장부(33a,33b)가 서로 접촉하고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양측 연장부(33a,33b)가 서로 이격되면 가지수용부(31)는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을 이기고 상방을 향해 개방되어 가지(51)의 진입이 허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여, 전술한 구성에 따른 과실수의 가지유인추가 작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5의 (a)와 같이, 작업자가 한 손으로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를 잡고 누름으로써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를 서로 모으는 경우,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를 중심으로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가 서로 벌어지도록 회전한다.
이에 따라,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된 탄성부재(30)의 양측 결합부(34a,34b)가 외측으로 당겨가면서 양측 연장부(33a,33b)가 이격되고, 가지수용부(31)가 탄성력을 이기고 상방으로 개방되어 가지(51)의 진입을 허용한다.
도 5의 (b)를 참고하면, 가지수용부(31)로 가지(51)의 진입이 허용된 이후, 작업자가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를 놓으면, 탄성부재(30)의 가지수용부(31)가 수축되면서 가지(51)를 잡아 파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통상 가지유인추는 필요한 과실수 가지(51)의 밀단 근처에 설치하고, 분지시키려는 각도에 따라 하나의 가지(51)에 복수의 가지유인추가 설치될 수도 있다.
만일, 가지수용부(31)의 수용공간(31a)보다 가지(51)의 직경이 작은 경우, 가지수용부(31)에서 가지(51)가 미끄러져 가지유인추가 빠지는 상황이 방지될 수 있도록, 가지유인추를 설치하는 가지(51)의 말단 근처 중 주가지로부터 갈라지는 분기가지(51a)가 있는 부분에 설치하여 분기가지(51a)에 의해 가지유인추의 빠짐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도 14와 같이, 탄성부재(30)의 가지수용부(31)가 주름 또는 돌기가 형성되어 가지(51)에 양측에서 밀착하는 양측 밀착판(31g,31h)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탄성력에 의해 양측 밀착판(31g,31h)이 가지(51)에 밀착하는 경우, 마찰에 의해 가지(51)에 탄성부재(30)가 부착될 수 있으므로, 분기가지(51a)가 없더라도 가지유인추가 안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와 같이, 과실수용 가지유인추를 탄성부재(30)에 가지수용부(31)를 형성하여 가지(51)를 물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탄성부재(30)의 양측 결합부(34a,34b)가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바, 조립에 의해 생산하더라도 작업자가 협소한 공간에 탄성부재(30)를 끼우는 작업이 없고 탄성부재(30)를 제1중량추(10) 및 제2중량추(20)와 쉽게 결합시킬 수 있어 조립이 보다 간편하고 빨라 생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탄성부재(30)의 가지수용부(31)를 변형한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탄성부재(30)의 가지수용부(31)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수용공간(31b~31d)이 상하로 형성되도록 하되, 하측으로 가면서 수용공간(31a)이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도 9와 같이 가지수용부(31)를 개방한 후, 가지유인추를 설치하는 가지(51)의 직경에 따라, 수용될 수용공간(31a)을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는 바, 강한 탄성력에 의한 가지(51)의 손상이나 수용공간(31a)이 가지(51)의 직경에 비해 너무 여유있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도 8의 가지수용부(31)를 변형한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즉, 가지수용부(31)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수용공간(31b~31d)이 상하로 형성되고, 최상측의 수용공간(31b)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수용공간(31c)의 양 외측부에 각각 형성된 양측 걸림귀(31e,31f)를 더 포함한다.
이는 가지수용부(31)에서 상하로 형성되는 복수의 수용공간(31a) 중, 하측에 위치하는 수용공간(31c)의 개방이 하측으로 가면 갈수록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하측의 수용공간(31a)의 개방도 용이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걸림귀(31e,31f)는 탄성부재(30)를 이루는 탄성스트립이 수용공간(31a)에서 외측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부분이다.
또한, 상기 제1중량추(10)와 제2중량추(20)의 서로 마주보는 면(16,26)(대향면)에는, 양측 걸림귀(31e,31f)와 각각 결합되고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의 상측에 위치하는 양측 걸림돌부(18,2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30)의 양측 결합부(34a,34b)가 끼워지는 제1중량추(10) 및 제2중량추(20)의 끼움홈(13,23)은, 입구가 상면이 아닌 측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을 따라 절개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탄성부재(30)의 양측 결합부(34a,34b)가 끼움홈(13,23)의 측면에 형성된 입구(13a,23a)를 따라 진입하면서 결합되고, 그 결합과정에서 양측 걸림귀(31e,31f)도 양측 걸림돌부(18,28)에 자연스럽게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걸림돌부(18,28)는 걸림귀(31e,31f)의 내측에서 걸림귀(31e,31f)의 내면을 따라 진입함으로써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를 서로 모으는 경우, 양측 걸림돌부(18,28)가 제1중량추(10)의 상부와 제2중량추(20)의 상부와 함께 서로 이격되면서 탄성력을 이기고 양측 걸림귀(31e,31f)를 각각 양 외측으로 당기게 되어, 상하로 형성된 복수개의 수용공간(31b~31d) 중, 최상측의 수용공간(31b)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수용공간(31c)도 보다 용이하게 상방을 향해 입구를 개방하여 가지(51)의 진입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탄성부재(30)의 가지수용부(31)를 변형한 구성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가지수용부(31)는 양측 연장부(33a,33b)가 서로 모이는 위치와 서로 어긋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양측 연장부(33a,33b)가 서로 모여 접촉하는 위치는 가지수용부(31)의 고리형상의 중심에서 일측으로 치우쳐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13과 같이, 가지수용부(31)로 가지(51)가 진입하여 수용된 후, 가지유인추가 가지(51)에 매달리게 되면, 가지수용부(31)에 수용된 가지(51)가 양측 연장부(33a,33b)가 서로 모이는 위치(도면부호 32a,32b의 위치)와 어긋나있는 가지수용부(31)의 상부(36)와 접촉한다.
이러한 구성은, 장기간 사용으로 탄성부재(30)의 탄성력이 약화된 경우라도 일시적인 외력의 작용시 가지(51)가 가지수용부(31)의 입구를 쉽게 열고 수용공간(31a)에서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 있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동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내에서 다른 변형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제1중량추 11; 제1파지부
13,23; 끼움홈 15; 제1회전축부
15a; 돌출면 16,26; 면
17,27; 중량블록 18,28; 걸림돌부
20; 제2중량추 21; 제2파지부
25; 제2회전축부 25a; 수용면
30; 탄성부재 31; 가지수용부
31a~31d; 수용공간 31e,31f; 걸림귀
32a,32b; 접촉부 33a,33b; 연장부
34a,34b; 결합부 51; 가지
51a; 분기가지 36; 가지수용부의 상부

Claims (5)

  1. 가지(51)에 걸어 가지(51)가 향하는 방향을 유인하는 과실수의 가지유인추에 있어서,
    소정의 무게를 가지고 서로 분할된 제1중량추(10) 및 제2중량추(20)와,
    상기 제1중량추(10)의 하단부와 상기 제2중량추(20)의 하단부에 각각 형성되어 손가락으로 잡는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와,
    상기 제1중량추(10)와 상기 제2중량추(20)의 서로 마주보는 면(16,26)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접촉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중량추(10)와 상기 제2중량추(20)가 회전하는 중심축의 역할을 하는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와,
    탄성스트립 또는 탄성와이어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상기 제2중량추(20)의 상단부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중량추(10)와 상기 제2중량추(20) 사이에 상방으로 개방되는 가지수용부(31)가 위치하도록 절곡된 탄성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재(30)는, 양 측단에 각각 상하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제1중량추(10)의 상단부와 상기 제2중량추(20)의 상단부의 각 끼움홈(13,23)에 각각 끼워지는 양측 결합부(34a,34b)와, 상기 양측 결합부(34a,34b)로부터 중심부로 각각 연장되어 서로 모이는 양측 연장부(33a,33b)와, 상기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의 상측에 위치하고 중심부에 모인 양측 연장부(33a,33b)가 하측방향으로 연장되어 가지(51)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상기 가지수용부(31)를 포함하며,
    상기 양측 결합부(34a,34b)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중심부를 향해 모이도록 수직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끼움홈(13,23)은 수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는, 그 중 하나가 볼록한 돌출면(15a)을 형성하고 다른 하나가 오목한 수용면(25a)을 형성하여 서로 접촉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0)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지수용부(31)는
    상기 양측 연장부(33a,33b)가 서로 모이는 위치와 서로 어긋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가지수용부(31)에 수용된 가지(51)가 상기 양측 연장부(33a,33b)가 서로 모이는 위치와 어긋나있는 상기 가지수용부(31)의 상부(36)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0)에는,
    상기 가지수용부(31)에 크기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수용공간(31b~31d)이 상하로 형성되고, 최상측의 수용공간(31b)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수용공간(31c)의 양 외측부에 각각 형성된 양측 걸림귀(31e,31f)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중량추(10)와 상기 제2중량추(20)의 서로 마주보는 면(16,26)에는,
    상기 양측 걸림귀(31e,31f)와 각각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부(15) 및 제2회전축부(25)의 상측에 위치하는 양측 걸림돌부(18,28)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1파지부(11) 및 제2파지부(21)를 서로 모으는 경우, 탄성력을 이기고 상기 양측 걸림돌부(18,28)가 상기 양측 걸림귀(31e,31f)를 각각 양 외측으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4. 삭제
  5. 삭제
KR1020190051433A 2019-05-02 2019-05-02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KR102220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33A KR102220985B1 (ko) 2019-05-02 2019-05-02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1433A KR102220985B1 (ko) 2019-05-02 2019-05-02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98A KR20200127398A (ko) 2020-11-11
KR102220985B1 true KR102220985B1 (ko) 2021-02-26

Family

ID=73451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1433A KR102220985B1 (ko) 2019-05-02 2019-05-02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098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210A (ja) * 1998-06-16 2000-01-07 Ekua:Kk ロープクリップ
KR100899415B1 (ko) * 2007-08-01 2009-05-26 김태욱 과실수용 가지유인추
KR101451029B1 (ko) 2013-08-27 2014-10-14 안정현 농작물 지지끈 고정집게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28A (ja) * 1991-06-26 1993-01-14 Kotoko Kk 茎、幹及び蔓の誘引用クリツ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2210A (ja) * 1998-06-16 2000-01-07 Ekua:Kk ロープクリップ
KR100899415B1 (ko) * 2007-08-01 2009-05-26 김태욱 과실수용 가지유인추
KR101451029B1 (ko) 2013-08-27 2014-10-14 안정현 농작물 지지끈 고정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7398A (ko) 2020-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22993B2 (en) Modular cable protector
KR100899415B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추
KR102220985B1 (ko) 과실수의 가지유인추
US3017205A (en) Fastener for wires
KR20130004310U (ko) 농작물 줄기 유인 집게
US3333881A (en) Lawn groom
KR101050765B1 (ko) 과실수용 가지유인벨트
JP2015519889A (ja) テンションクリップを有する果実袋
US355491A (en) Gboege loweie wiley
JP4931473B2 (ja) 誘引紐吊り具
CA3055131A1 (en) Plant support and train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441971A (en) Fruit-gatherer
KR20200000489U (ko) 농작물 고정클립
KR200427917Y1 (ko) 포도 줄기 지지구
EP2678727B1 (en) Device for housing lengths of optical fibres
KR20110000196U (ko) 과수나무용 가지유인구
KR101300436B1 (ko) 접착식 리본 고리 공급홀더
JP6931482B2 (ja) 飛来物除去具及び飛来物除去工具
US2113518A (en) Fruit picker
KR200193474Y1 (ko) 커텐식 유인끈 고정용 고리
KR200493317Y1 (ko) 식물줄기 결속기구
KR102013276B1 (ko) 리트랙터블 집게
KR200392462Y1 (ko) 수목가지 유인구
JP7393076B1 (ja) 植木鉢用受皿及び吊り下げ用植木鉢セット
KR100635781B1 (ko) 주낙용 연결구와, 이를 이용한 주낙 기구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