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573B1 - 유아 보호용 안전 문 - Google Patents

유아 보호용 안전 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573B1
KR102219573B1 KR1020190082456A KR20190082456A KR102219573B1 KR 102219573 B1 KR102219573 B1 KR 102219573B1 KR 1020190082456 A KR1020190082456 A KR 1020190082456A KR 20190082456 A KR20190082456 A KR 20190082456A KR 102219573 B1 KR102219573 B1 KR 1022195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buffer member
door frame
hing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2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6618A (ko
Inventor
도재관
Original Assignee
도재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재관 filed Critical 도재관
Priority to KR1020190082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573B1/ko
Publication of KR202100066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66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5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3/7009Door leaves with two similar parts placed one above the other, pivoting separate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parallel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054Covers, e.g. for prote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완충부재를 설치하되, 외관상 보기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완충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손가락이 끼일 경우에도 완충효과를 높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문을 닫아 유아들의 놀이방 출입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놀이방 내부를 문 밖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관찰 소홀로 인한 유아의 출입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문짝의 닫힘위치에서 문짝의 세로변과 문틀의 세로변 사이에 여유틈새가 형성되도록 문짝의 폭 사이즈를 짧게 형성하고, 상기 여유틈새에 끼워져 문짝과 문틀 사이를 막는 연질의 완충부재를 문짝과 문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세로변에 고정 설치하되, 완충부재의 양측 표면이 문짝의 양측 표면과 일치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아 보호용 안전 문{SAFETY DOOR FOR INFANT PROTECTION}
본 발명은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아들의 손가락이 문 틈에 끼여 다치는 것을 방지하고 유아들의 출입을 통제하면서도 실내의 유아들의 활동을 실외에서 관찰할 수 있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들의 주생활 공간인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서는 인지 능력이 낮고 활동성이 왕성한 다수의 유아들을 돌봄에 따라, 유아들의 출입 통제를 위한 문의 사용과 관련하여 많은 안전사고가 발생한다.
문과 관련된 안전사고는 주로 문을 열고 닫는 과정에서 발생하는데 유아들의 머리가 문에 부딪히거나 손가락이 문틈에 끼여 다치는 경우가 가장 많다. 손가락이 문틈에 끼이는 사고의 경우 손가락이 절단되는 큰 사고도 발생할 수 있다.
종래에도 문틈의 손가락 끼임 방지를 위해, 문짝과 문틀 사이를 덮어 손가락이 끼이지 않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문짝 또는 문틀에 고정 설치하거나, 문짝과 문틀 사이에 완충재를 설치하여 손가락이 끼여도 다치지 않게 하는 방안이 시도되었다.
그러나, 커버부재의 경우는 커버부재가 문짝 또는 문틀에서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출입에 방해되는 단점이 있고, 문틈 사이에 완충재를 설치한 경우는 문틈 사이의 간격이 너무 좁기 때문에 완충재의 두께도 얇아 완충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문과 관련한 안전사고로서, 보육 교사가 유아들의 놀이방에서 잠깐 밖으로 나와 있을 때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즉 보육 교사가 놀이방 밖에서 잠깐 할 일이 있을 때 통상 문을 닫아 놓게 되면, 놀이방에서 놀고 있는 유아들을 관찰할 수 없기 때문에, 문을 열어 놓은 상태에서 할 일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아들의 출입 통제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보육 교사의 관찰이 소홀해질 경우 유아의 출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유아들이 보육 교사의 보호범위에서 벗어나게 되면 또 다른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어 이를 감안한 안전대책이 절실한 실정에 있다.
(특허문헌 1) KR20-0221621 Y1(2001.02.1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문짝과 문틀 사이에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완충부재를 설치하되, 완충부재의 표면이 문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하여 외관상 보기에도 좋을 뿐만 아니라, 문짝과 문틈 사이에 간격을 넓게 형성하여 완충부재의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손가락이 끼일 경우에도 완충효과를 높여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문을 닫아 유아들의 놀이방 출입을 통제한 상태에서도 놀이방 내부를 문 밖에서 관찰할 수 있도록 하여 보육 교사가 놀이방에서 나와 밖에서 일할 때 관찰 소홀로 발생할 수 있는 유아의 출입이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방부가 형성된 문틀과, 상기 문틀의 일측에 경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문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문짝과, 상기 문짝에 설치되고 문짝을 문틀에 고정 및 고정해제하기 위한 록커 및 손잡이가 장치몸체에 구비된 도어록장치를 포함하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있어서, 상기 문짝의 닫힘위치에서 문짝의 세로변과 문틀의 세로변 사이에 여유틈새가 형성되도록 문짝의 폭 사이즈를 짧게 형성하고, 상기 여유틈새에 끼워져 문짝과 문틀 사이를 막는 연질의 완충부재를 문짝과 문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세로변에 고정 설치하되, 완충부재의 양측 표면이 문짝의 양측 표면과 일치되도록 한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판부와, 상기 제1 고정판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1 경첩; 상기 문짝에 고정되는 제2 고정판부와, 상기 제2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문틀쪽으로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연장판부와, 상기 연장판부의 끝단에 형성된 제2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2 경첩; 및 상기 제1 경첩의 제1 힌지부와 제2 경첩의 제2 힌지부에 끼워지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경첩의 연장판부에 의해 제1 경첩과 제2 경첩 사이에 완충부재가 관통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도어록장치의 록커를 관통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멍이 형성된 일끝단면과, 상기 도어록장치의 장치몸체가 관통하여 끼워지는 조립구멍이 형성된 양측면을 가지는 'ㄷ' 단면형상의 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브라켓은 양측면이 문짝의 양표면 외측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양측면의 횡방향길이는 일끝단면과 문짝 사이에 완충부재의 끝단이 끼워지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정된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속이 빈 사각 단면의 형상을 가지며, 문짝 또는 문틀과 완충부재의 고정구조는, 완충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한 고정돌기와, 문짝 또는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으로 이루어진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와 문짝 또는 문틀의 고정구조는, 완충부재의 고정돌기 형성면에 볼록경사면을 형성하고, 문짝 또는 문틀에는 상기 볼록경사면에 대응하여 일치하는 오목경사홈을 형성하여 완충부재의 고정구조를 더욱 견고하게 한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속이 빈 사각 단면의 형상 중간 부분에 내부를 횡단하는 보강부를 형성한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와 문짝 또는 문틀의 고정구조는, 문짝 또는 문틀에 고정띠부재를 고정나사로 고정하고, 고정띠부재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완충부재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문짝에 고정되는 제1 완충부재와, 문틀에 고정되는 제2 완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가 접하는 면은, 한쪽은 볼록원호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볼록원호면과 대응하여 일치하는 오목원호면으로 형성된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문짝은 상부문짝과 하부문짝으로 분리 형성하며, 상기 하부문짝과 문틀 사이에는 하부문짝을 문틀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기 잠금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문짝과 하부문짝 사이에는 상부문짝과 하부문짝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구비한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상부문짝과 하부문짝 사이의 가로변에 더 설치되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특징이 있다.
상기의 특징적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의하면, 문짝과 문틀 사이에 완충부재를 설치하되, 완충부재의 표면이 문짝의 표면과 일치되도록 하여 외관상 보기 좋고, 문짝과 문틈 사이에 간격을 넓게 형성하여 완충부재의 두께를 더욱 두껍게 함으로써 문틈에 손가락이 끼일 경우 완충효과를 높여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과 문틀 사이에 설치되는 경첩에 완충부재가 관통하는 설치공간을 형성함에 따라, 경첩이 설치된 쪽의 문틈에도 완충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문짝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에 보강브라켓을 더 구비함에 따라 도어록장치의 록커를 견고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도어록장치를 가운데 두고 위,아래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의 끝단 마무리를 깨끗하게 유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문짝을 상부문짝과 하부문짝으로 분리 형성함에 따라, 하부문짝은 잠그고 상부문짝은 개방할 수 있고, 이 경우 유아들의 출입은 통제하면서도 놀이방 밖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보육 교사가 잠깐 놀이방 밖에서 일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의 잠금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의 열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의 상부문짝은 개방하고, 하부문짝은 잠근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서 경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서 경첩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서 도어록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서 도어록장치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서 완충부재의 실시예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도 9의 (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서 완충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도 1은 문닫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는 문열림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 보호용 안전 문은, 개방부(11)가 형성된 문틀(10)과, 문틀(10)의 개방부(11)를 열고 닫기 위한 문짝(20)을 구비한다.
문짝(20)은 일측 세로변이 문틀(10)의 대응 세로변에 경첩(30)으로 연결되어 경첩(30)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개방부(11)를 개폐하게 되며, 문짝(20)에 설치되는 도어록장치(40)는 문짝(20)을 문틀(10)에 잠금 및 잠금해제하기 위한 록커(41) 및 손잡이(42)를 장치몸체(43)에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문짝(20)과 문틀(10) 사이에는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거나 손가락이 끼일 경우에도 완충시켜 부상당하지 않도록 하는 완충부재(50)가 설치된다.
완충부재(50)는 도 1에서와 같이 문짝(20)의 닫힘위치에서 문짝(20)의 세로변과 문틀(10)의 세로변 사이에 여유틈새(S1)가 형성되도록 문짝(20)의 폭 사이즈를 짧게 형성하고, 이 여유틈새(S1)에 끼워져 문짝(20)과 문틀(10) 사이를 막게 되어 있다.
완충부재(50)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재질로 제조하여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완충부재(50)가 문짝(20)의 세로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문틀(10)의 세로변에 설치할 수도 있고, 문짝(20)과 문틀(10) 양쪽의 세로변에 이중으로 설치할 수도 있으며, 완충부재(50)의 양측 표면이 문짝(20)의 양측 표면과 일치되도록 형성하여 안전 문의 외관을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부재(50)가 설치되는 여유틈새(S1)는 유아의 손가락이 들어가도 문짝(20)과 문틀(10) 사이에서 눌리지 않도록 충분한 틈새를 가지도록 넓게 형성하고, 이로 인해 여유틈새(S1)에 끼워지는 완충부재(50)의 두께도 충분히 두껍게 형성하여 완충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서 문짝(20)과 문틀(10) 사이를 연결하는 경첩(30)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첩(30)은 문틀(10)에 고정되는 제1 경첩(31)과 문짝(20)에 고정되는 제2 경첩(32)으로 이루어진다. 제1 경첩(31)은 문틀(10)에 고정하기 위한 제1 고정판부(31a)와, 이 제1 고정판부(31a)의 일측에 형성되어 외부로 노출된 제1 힌지부(31b)로 이루어지고, 제2 경첩(32)은 문짝(20)에 고정하기 위한 제2 고정판부(32a)와, 이 제2 고정판부(32a)의 일측에서 문틀(10)쪽으로 상기 완충부재(50)의 두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연장판부(32b)와, 상기 연장판부(32b)의 끝단에 형성된 제2 힌지부(32c)로 이루어지며, 제1 경첩(31)의 제1 힌지부(31b)와 제2 경첩(32)의 제2 힌지부(32c)에 힌지핀(33)을 끼움으로써 문짝(20)을 문틀(10)에 대하여 힌지핀(33)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도 5에서와 같이 제2 경첩(32)의 연장판부(32b)에 의해 제1 경첩(31)의 제1 고정판부(31a)와 제2 경첩(32)의 제2 고정판부(32a) 사이에 완충부재(50)가 관통하는 설치공간(S2)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완충부재(50)를 경첩(30)이 설치된 쪽의 문틈에 설치하는 경우에도 경첩(30)에 의해 방해됨이 없이 설치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서 도어록장치(40)의 설치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록장치(40)는 문짝(20)에 고정되는 장치몸체(43)를 구비하고, 장치몸체(43)에는 문틀(10)의 록킹홈(13)에 걸림 및 걸림해제되는 록커(41)와, 록커(41)를 조작하기 위한 손잡이(4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어록장치(40)에는 일끝단면(61)과 양측면(62)을 가지는 'ㄷ' 단면형상의 보강브라켓(60)이 더 설치된다. 보강브라켓(60)은 일끝단면(61)에 록커(41)를 관통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멍(63)이 형성되고, 양측면(62)에는 도어록장치(40)의 장치몸체(43)가 관통하여 끼워지는 조립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보강브라켓(60)은 양측면(62)을 문짝(20)의 양표면 외측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양측면(62)의 횡방향길이는 완충부재(50)의 두께 길이만큼 더 길게 연장되어 일끝단면(61)과 문짝(20) 사이에 완충부재(50)의 끝단이 삽입되어 끼워지는 삽입공간(S3)을 형성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보강브라켓(60)은 문짝(20)과 문틀(10) 사이의 여유틈새(S1)에 의해 더욱 길게 노출된 도어록장치(40)의 록커(4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완충부재(50)의 끝단이 록커(41)를 가운데 두고 위,아래에서 끼워질 수 있는 삽입공간(S3)을 형성함으로써 도어록장치(40)가 설치된 쪽의 문짝(20) 세로변에 완충부재(50)를 설치할 때 도어록장치(40)의 록커(41)에 방해받지 않고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완충부재(50)의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깨끗한 마감처리를 할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서 완충부재(50)의 다양한 실시예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충부재(50)는 속이 빈 사각 단면형상을 가지도록 하고 테두리의 살 두께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완충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하고, 바깥쪽 모서리는 라운딩 형태로 형성함으로써 접촉감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문짝(20)과 완충부재(50)의 고정구조는, 완충부재(50)의 일측에 고정돌기(51)를 돌출 형성하고, 문짝(20)에는 상기 고정돌기(51)가 끼워지는 고정홈(12)을 형성하여 고정돌기(51)를 고정홈(12)에 끼우는 간단한 작업에 의해 완충부재(50)의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돌기(51)와 고정홈(12) 사이에 접착제를 도포할 경우, 고정력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8의 (b)는 완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완충부재(50)의 고정돌기(51) 형성면에 볼록경사면(52)을 형성하고, 문짝(20)에는 상기 볼록경사면(52)에 대응하여 일치하는 오목경사면(21)을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완충부재(50)의 고정구조를 더욱 안정되고 견고하게 하여 문짝(20)에 설치된 완충부재(50)의 좌,우방향 유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다.
도 8의 (c)는 완충부재(5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속이 빈 사각 단면의 형상 중간 부분에 내부를 횡단하는 보강부(53)를 형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완충부재(50)의 살 두께를 얇게 하여 완충효과를 높이면서도 구조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8의 (d)는 완충부재(50)의 다른 설치예를 나타낸 것으로, 문짝(20)에 고정나사(55)로 고정되는 고정띠부재(54)를 더 구비하고, 이 고정띠부재(54)에 완충부재(5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고정띠부재(54)와 완충부재(50)의 착탈 구조는 고정띠부재(54)에 걸림홈(56)을 형성하고, 완충부재(50)에는 상기 걸림홈(56)에 끼워지는 걸림돌기(57)를 형성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착탈 가능한 구조에 의해서 완충부재(50)의 설치가 더욱 용이하고, 완충부재(50)의 손상시에도 교체 작업을 편리하면서도 신속하게 할 수 있다.
도 9의 (a) 및 (b)는 완충부재(50)의 다른 실시예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로서, 완충부재(50)를 문짝(20)과 문틀(10) 양쪽에 설치한 것이다.
도 9의 (a)는 고정돌기(51)와 고정홈(12)을 이용하여 완충부재(50)를 문짝(20)과 문틀(10)에 고정한 경우로서, 완충부재(50)는 문짝(20)에 고정되는 제1 완충부재(50A)와, 문틀(10)에 고정되는 제2 완충부재(50B)로 이루어진다. 제1 완충부재(50A)와 제2 완충부재(50B)가 접하는 면은, 한쪽은 볼록원호면(58)으로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볼록원호면(58)과 대응하여 일치하는 오목원호면(59)으로 형성한 것으로, 비교적 접촉이 많은 문짝(20)쪽의 제1 완충부재(50A)에 볼록원호면(58)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볼록원호면(58)과 오목원호면(59)에 의해 문닫힘위치에서 제1 완충부재(50)와 제2 완충부재(50)를 항상 일정하게 일치시켜 제1 완충부재(50A)와 제2 완충부재(50B)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의 (b)는 완충부재(50)의 또 다른 실시예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횡단면도로서, 고정띠부재(54)를 이용하여 완충부재(50)를 착탈 가능하게 한 경우로서, 완충부재(50)는 문짝(20)에 고정되는 제1 완충부재(50A)와, 문틀(10)에 고정되는 제2 완충부재(50B)로 이루어지고, 고정띠부재(54)를 문짝(20)과 문틀(10)에 고정함으로써 제1 완충부재(50A)와 제2 완충부재(50B)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제1 완충부재(50A)와 제2 완충부재(50B)가 접하는 면에, 한쪽은 볼록원호면(58)으로 형성하고, 다른 한쪽은 볼록원호면(58)과 대응하여 일치하는 오목원호면(59)으로 형성한 것으로, 상기 볼록원호면(58)과 오목원호면(59)에 의해 문닫힘위치에서 제1 완충부재(50A)와 제2 완충부재(50B)를 항상 일정하게 일치시켜 제1 완충부재(50A)와 제2 완충부재(50B)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보호 안전 문은, 문짝(20)이 상부문짝(20A)과 하부문짝(20B)으로 분리 형성되고, 하부문짝(20B)의 높이는 7세 이하의 유아들이 넘지 못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완충부재(50)는 상,하부 문짝(20A,20B)의 양측 세로변 틈새와, 상부문짝(20A)의 아래 가로변과 하부문짝(20B)의 위 가로변 사이에 설치한다.
또한, 하부문짝(20B)과 문틀(10) 사이에는 하부문짝(20B)을 문틀(10)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기 잠금기구(22)를 구비하고, 상부문짝(20A)과 하부문짝(20B) 사이에는 상부문짝(20A)과 하부문짝(20B)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기 위한 고정기구(23)를 구비한다. 상기 잠금기구(22)와 고정기구(23)는 주지의 빗장걸이를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문짝(20A)과 하부문짝(20B)을 고정기구(23)로 고정하면, 하나의 문짝(20)이 되므로, 평상시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문짝(20B)은 잠금기구(22)를 이용하여 문틀(10)에 잠가 두고, 상부문짝(20)은 개방할 경우, 유아들의 출입을 통제하면서 놀이방 밖에서 내부를 관찰할 수 있어 보육 교사가 잠깐 놀이방 밖에서 일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청구범위 내에서 이 분야의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 변형 또는 치환이 가능할 것이며, 그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문틀 12 : 고정홈
20 : 문짝 20A : 상부문짝
20B : 하부문짝 22 : 잠금기구
23 : 고정기구 30 : 경첩
31 : 제1 경첩 32 : 제2 경첩
33 : 힌지핀 40 : 도어록장치
50 : 완충부재 50A : 제1 완충부재
50B : 제2 완충부재 54 : 고정띠부재
60 : 보강브라켓 S1 : 여유틈새
S2 : 설치공간 S3 : 삽입공간

Claims (10)

  1. 개방부가 형성된 문틀과, 상기 문틀의 일측에 경첩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문틀의 개방부를 개폐하는 문짝과, 상기 문짝에 설치되고 문짝을 문틀에 고정 및 고정해제하기 위한 록커 및 손잡이가 장치몸체에 구비된 도어록장치를 포함하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에 있어서,
    상기 문짝의 닫힘위치에서 문짝의 세로변과 문틀의 세로변 사이에 여유틈새가 형성되도록 문짝의 폭 사이즈를 짧게 형성하고, 상기 여유틈새에 끼워져 문짝과 문틀 사이를 막는 연질의 완충부재를 문짝과 문틀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세로변에 고정 설치하되, 완충부재의 양측 표면이 문짝의 양측 표면과 일치되도록 하며,
    상기 문짝은 상부문짝과 하부문짝으로 분리 형성하며, 상기 하부문짝과 문틀 사이에는 하부문짝을 문틀에 잠금 또는 잠금해제하기 잠금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상부문짝과 하부문짝 사이에는 상부문짝과 하부문짝을 고정 또는 고정해제하기 위한 고정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록장치의 록커를 관통시켜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멍이 형성된 일끝단면과 상기 도어록장치의 장치몸체가 관통하여 끼워지는 조립구멍이 형성된 양측면을 가지는 'ㄷ' 단면형상의 보강브라켓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브라켓은, 양측면이 문짝의 양표면 외측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양측면의 횡방향길이는 일끝단면과 문짝 사이에 완충부재의 끝단이 끼워지는 삽입공간을 형성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완충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속이 빈 사각 단면의 형상을 가지며, 문짝 또는 문틀과 완충부재의 고정구조는, 완충부재의 일측에 돌출 형성한 고정돌기와, 문짝 또는 문틀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돌기가 끼워지는 고정홈을 구비하고, 상기 완충부재의 고정구조를 위해 상기 완충부재의 고정돌기 형성면에 볼록경사면을 형성하고, 문짝 또는 문틀에는 상기 볼록경사면에 대응하여 일치하는 오목경사홈을 형성하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상부문짝과 하부문짝 사이의 가로변에 더 설치되고, 상기 가로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의 길이는 상기 문짝의 가로변의 길이와 동일하며, 상기 하부문짝의 세로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의 세로변에서의 길이는 상기 가로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의 세로변 방향에서의 두께와 상기 하부문짝의 세로변에서의 길이의 합과 동일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은,
    상기 문틀에 고정되는 제1 고정판부와, 상기 제1 고정판부의 일측에 형성된 제1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1 경첩;
    상기 문짝에 고정되는 제2 고정판부와, 상기 제2 고정판부의 일측에서 문틀쪽으로 상기 완충부재의 두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된 연장판부와, 상기 연장판부의 끝단에 형성된 제2 힌지부로 이루어진 제2 경첩; 및
    상기 제1 경첩의 제1 힌지부와 제2 경첩의 제2 힌지부에 끼워지는 힌지핀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 경첩의 연장판부에 의해 제1 경첩과 제2 경첩 사이에 완충부재가 관통하는 설치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속이 빈 사각 단면의 형상 중간 부분에 내부를 횡단하는 보강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와 문짝 또는 문틀의 고정구조는, 문짝 또는 문틀에 고정띠부재를 고정나사로 고정하고, 고정띠부재에는 걸림홈을 형성하고, 완충부재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문짝에 고정되는 제1 완충부재와, 문틀에 고정되는 제2 완충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완충부재와 제2 완충부재가 접하는 면은, 한쪽은 볼록원호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한쪽은 볼록원호면과 대응하여 일치하는 오목원호면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 보호용 안전 문.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82456A 2019-07-09 2019-07-09 유아 보호용 안전 문 KR102219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456A KR102219573B1 (ko) 2019-07-09 2019-07-09 유아 보호용 안전 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2456A KR102219573B1 (ko) 2019-07-09 2019-07-09 유아 보호용 안전 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18A KR20210006618A (ko) 2021-01-19
KR102219573B1 true KR102219573B1 (ko) 2021-02-23

Family

ID=74237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2456A KR102219573B1 (ko) 2019-07-09 2019-07-09 유아 보호용 안전 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5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062Y1 (ko) * 2002-02-08 2002-07-13 이희길 손, 발가락 부상방지 도어
KR101365488B1 (ko) * 2012-03-22 2014-02-24 (주)플랜디엠에스 가로 분할 도어
KR101630135B1 (ko) * 2015-11-30 2016-06-13 최문숙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1939131B1 (ko) * 2018-09-14 2019-01-16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 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8015A (ko) * 2009-09-11 2011-03-17 최승수 록커를 가지는 도어의 안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062Y1 (ko) * 2002-02-08 2002-07-13 이희길 손, 발가락 부상방지 도어
KR101365488B1 (ko) * 2012-03-22 2014-02-24 (주)플랜디엠에스 가로 분할 도어
KR101630135B1 (ko) * 2015-11-30 2016-06-13 최문숙 외관이 미려하고 설치가 용이한 손 끼임 방지용 안전도어
KR101939131B1 (ko) * 2018-09-14 2019-01-16 동화케이팀 주식회사 손 끼임 방지 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6618A (ko) 2021-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04089B2 (ja) ドア体における指挟み防止構造
US6401663B1 (en) Pet enclosure
US10568296B2 (en) Pen front
US20020072648A1 (en) Door latching mechanism for infant care apparatus
KR102219573B1 (ko) 유아 보호용 안전 문
US4356667A (en) Tilt latch for slidable window sash
KR101195272B1 (ko) 내풍압 강화형 크리센트 및 이를 구비한 미서기 창호
US20080264119A1 (en) Lock
US11280114B2 (en) Friction latch for sliding sash window
KR102014841B1 (ko)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US7694461B2 (en) Shutter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and catch plate
US20120205922A1 (en) Locking device of hinged door
KR100832120B1 (ko) 강화유리 도어록
KR102245818B1 (ko) 여닫이문용 패널형 손끼임 방지구
KR200430500Y1 (ko)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한 칸막이
KR102282213B1 (ko) 손 끼임 방지장치를 갖춘 창호용 경첩 장치
PL206159B1 (pl) Zespół podporowo-zamkowy oraz okno z takim zespołem
KR101445018B1 (ko) 도어 프레임의 연결구조체
JP4076908B2 (ja) トイレブースの扉装置
KR200433835Y1 (ko) 간이 칸막이
KR20200038544A (ko) 스윙 바 도어 가드
JP2007308872A (ja) ドア装置
JP6872399B2 (ja) ドア及びドア装置
KR102226822B1 (ko) 창호용 잠금 장치
JP2651289B2 (ja) 両開き扉のかぎ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