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4841B1 -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 Google Patents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4841B1
KR102014841B1 KR1020180074650A KR20180074650A KR102014841B1 KR 102014841 B1 KR102014841 B1 KR 102014841B1 KR 1020180074650 A KR1020180074650 A KR 1020180074650A KR 20180074650 A KR20180074650 A KR 20180074650A KR 102014841 B1 KR102014841 B1 KR 102014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late
door frame
hinge
pivot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주희
Original Assignee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성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성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6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48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4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4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2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being constructed in a way to remain too small or too wide to cause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련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생산원가를 줄이고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어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부수적으로 도어프레임과 도어플레이트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이 미관을 수려하게할 수 있으면서 이질감을 배제하여 도어 본래의 구성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의 상부 및 하부 코너에 장착되는 대칭 형상의 힌지플레이트와; 상기 힌지플레이트와 결합되어 도어플레이트가 도어프레임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도어플레이트의 손잡이 반대 위치 상부면과 하부면에 장착되는 피봇힌지와; 상기 도어플레이트의 피봇힌지 장착위치에 종방향으로 형성하여 항상 도어프레임의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여 도어프레임과 도어플레이트 사이의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ANTI JAMMING FUNCTION FOR DOOR}
본 발명은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프레임과 도어플레이트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손과 같은 신체의 끼임은 물론 옷과 같은 물품의 끼임현상을 배제하여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도록 한 도어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실내와 실외의 출입경계지역에 설치하는 현관 또는 방화도어를 비롯하여 실내에 구획된 각각의 구역을 출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실내도어 등 다양하게 구분되어지며, 이러한 도어는 벽면 등에 설치되는 도어프레임과 상기 도어프레임에 설치되어 도어프레임 부분을 개페하는 도어플레이트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도어프레임과 도어플레이트는 도어힌지로 결합되어 도어프레임에 대하여 도어플레이트가 개폐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데, 도어플레이트가 개폐되는 과정에서 도어프레임과 도어플레이트 사이에 갭이 발생하게 되고, 이 갭에 이용자의 신체 또는 물건이나 옷이 끼이는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유아들이나 노약자들의 경우 신체적인 반사신경이 민첩하지 못하기 때문에 도어프레임과 도어플레이트 사이에 손가락과 같은 신체가 끼임을 감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도어가 닫혀지거나, 의도치 않게 바람 등에 의하여 갑자기 도어가 닫혀질 경우에는 노약자 및 성인에 관계없이 신체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손낌방지 기능을 가지는 도어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특허문헌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헌 1은, 손낌방지 안전도어에 있어서, 모든 여닫이형식의 도어(1)가 문틀a(2)와 맞닿는 코너부분에 삽입공간(9)이 구비된 홈판a(7)와 홈판b(8)를 구비하고, 문틀a(2)에는 가드a(5)와 가드b(6)를 구비하여, 홈판a(7)에 가드a(5)를, 홈판b(8)에 가드b(6)를 각각 삽입공간(9)에 끼워 넣어 결속시키고, 홈판a(7)와 홈판b(8) 상하부에 지지판(12)를 두고, 도어(1)의 코너모서리에 엣지(13)처리를 하고, 도어(1)반대편 코너부분에 연질쿠션a(10)를, 문틀b(3)에 연질쿠션b(11)을 각각 구비하여, 도어(1) 개폐시 도어(1)와 문틀a(2) 사이에 생기는 틈새를 가드a(5)와 가드b(6)가 막아주어 손낌을 방지하면서 경첩(4)를 가려주며, 반대편 도어(1)의 연질쿠션a(10)와 문틀b(3)쪽의 연질쿠션b(11)가 손낌상태에서 손을 보호하며, 홈판a(7)와 홈판b(8)를 기존의 일반도어에도 부착 가능하며, 홈판a(7)과 가드a(5)만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문헌 2는, 문틀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고, 나사로 문틀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제1 결합공(11)이 형성되며, 일측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1 수직절곡부(12)가 형성되고, 상기 제1 수직절곡부(12)의 상단과 하단에 상하로 이격되는 한 쌍의 제1 힌지부(13)가 형성되며, 상기 제1힌지부(13)의 사이에 삽입홈(14)이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문틀고정판(10)과; 상기 문틀고정판(10)에 대응하여 구비되고, 도어의 단부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평평한 판형으로 형성되며, 나사로 도어에 고정되도록 다수의 제2 결합공(21)이 형성되고, 타측단에서 외측을 향해 수직으로 절곡되는 제2 수직절곡부(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힌지부(13)에 대응하면서 상기 삽입홈(14)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도록 상기 제2 수직절곡부(22)의 단부에 제2 힌지부(23)가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도어고정판(20)과; 각각의 상기 문틀고정판(10)과 도어고정판(20)에 대응하여 상기 한 쌍의 제1 힌지부(13)와 제2 힌지부(23)에 수직으로 끼워지는 적어도 2개의 제1 힌지핀(30)과; 일단이 상기 도어의 외측면에 밀착되게 상기 제2 수직절곡부(22)의 외면에 장착되고, 타단에 상기 문틀고정판(10)과 제1 수직절곡부(12)의 내측으로 라운드지게 라운드부(41)가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외측면을 커버하도록 수직으로 길게 형성되는 내측커버판(40)과; 상기 내측커버판(40)에 대응하여 문틀의 외면에 설치되고, 문틀과 도어의 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길게 구비되어 상기 문틀과 도어의 단부 사이의 외측을 커버하는 외측커버부(50)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커버부(50)는, 상기 문틀과 도어의 단부 사이에 수직으로 길게 구비되는 커버판(51)과, 문틀의 외면에 대응하여 상기 커버판(51)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3 힌지부(52)와, 상기 제3 힌지부(52)의 형성되는 다수의 설치홈(53)과, 상기 설치홈(53)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다수의 제4 힌지부(54)와, 상기 제4 힌지부(54)의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문틀의 외면에 밀착되는 장착판(55)과, 상기 장착판(55)이 나사로 문틀의 외면에 장착되도록 상기 장착판(55)에 형성되는 다수의 제3 결합공(56)과, 상기 제3 힌지부(52)와 제4 힌지부(54)에 끼워지는 제2 힌지핀(57)과, 상기 제2 힌지핀(57)에 끼워지고 상기 커버판(51)을 상기 도어의 외면에 탄성적으로 밀착시키는 비틀림스프링(58)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판(51)은, 상기 도어의 외면에 지지되도록 상기 커버판(51)의 타측 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절곡지지턱(511)과, 상기 비틀림스프링(58)의 단부가 걸리도록 상기 커버판(51)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걸림턱(51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문헌 1) 특허출원 제 10 - 2007 - 0078377 호 (문헌 2) 특허 제 10 - 1709447 - 0000 호
없음.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 중 문헌 1의 경우에는, 힌지 위치의 도어 내외측에 종방향으로 삽입공간을 가지는 홈판을 부착하고, 상기 홈판에는 가드가 출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도어를 개방할 때 문틀과 발생하는 갭을 가드가 커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손낌이 방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도어의 양측면에 홈판을 부착시키기 위한 가공을 종방향 전체에 걸쳐 수행하여야 하고, 홈판과 가드를 부착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하게 많은 부품이 발생하고, 이를 장착하는 데에도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특히 도어와 홈판 및 가드의 재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동일한 색상으로 도색한다 하여도 이질감을 극복하는 것이 어렵고 장기간 사용하는 과정에서는 홈판과 가드의 탈락으로 인한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것은 물론, 탈락으로 돌출된 홈판과 가드에 의하여 안전사고자 발생할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문헌 2의 경우에는, 문틀과 도어에 문플고정판과 도어고정판을 이용하여 힌지역할을 수행하도록 하고, 문틀과 도어의 외측에는 외측커버부를 결합하고 문틀고정판과 도어고정판 사이에는 내측커버부를 종방향으로 결합하여 문틀과 도어 사이의 갭을 상쇄시켜 손낌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도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문틀과 도어를 결합하기 위한 도어힌지 외에 불필요하게 많은 관련부품들이 발생하게 되므로 생산원가 상승의 원인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도어를 설치하는 작업이 쉽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문틀과 도어 및 손낌방지용 힌지장치가 이종의 재질로 구성되어 동질감을 유지하지 못하고 시각적으로 노출되므로 미관이 수려하지 못한 것은 물론, 특히 외부커버판이 돌출되는 형태를 띠게 되고, 외부커버판과 도어가 항상 밀착되어 미끄러지는 듯한 작동 때문에 도어를 개페할때마다 이음을 발생시키게 되므로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도어프레임(101)의 상부 및 하부 코너에 장착되는 대칭 형상의 힌지플레이트(110)와;
상기 힌지플레이트(110)와 결합되어 도어플레이트(105)가 도어프레임(101)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도어플레이트(105)의 손잡이 반대 위치 상부면과 하부면에 장착되는 피봇힌지(130)와;
상기 도어플레이트(105)의 피봇힌지(130) 장착위치에 종방향으로 형성하여 항상 도어프레임(101)의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여 도어프레임(101)과 도어플레이트(105) 사이의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라운드부(140)를 포함하여;
관련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생산원가를 줄이고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어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부수적으로 도어프레임과 도어플레이트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이 미관을 수려하게할 수 있으면서 이질감을 배제하여 도어 본래의 구성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손낌방지를 위한 관련 부품수를 최소화 하여 생산은 물론 도어의 설치작업을 쉽게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고, 생산과 설치에 소요되는 제반비용과 더불어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쏜낌방지를 위한 관련 부품이 시각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서 도어의 외관과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하면서 이질감을 없애고 작동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등을 배제할 수 있고, 손낌방지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도어플레이트와 도어프레임을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면서 도어 본래의 디자인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안전성과 더불어 품질을 향상시켜 대외적인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상부힌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하부힌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하부힌지를 발췌한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하부힌지를 발췌한 B - 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하부힌지를 발췌한 C - 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사용상태 예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를 도시한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상부힌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하부힌지를 발췌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하부힌지를 발췌한 A - 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하부힌지를 발췌한 B - 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하부힌지를 발췌한 C - C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되는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100)는, 도어프레임(101)의 상부 및 하부 코너에 장착되는 대칭 형상의 힌지플레이트(110)와, 상기 힌지플레이트(110)와 결합되어 도어플레이트(105)가 도어프레임(101)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도어플레이트(105)의 손잡이 반대 위치 상부면과 하부면에 장착되는 피봇힌지(130)와, 상기 도어플레이트(105)의 피봇힌지(130) 장착위치에 종방향으로 형성하여 항상 도어프레임(101)의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여 도어프레임(101)과 도어플레이트(105) 사이의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라운드부(140)로 구성한다.
상기 힌지플레이트(110)는, 도어프레임(101)을 구성하는 상부수평바(111)의 코너 저면과 밀착되어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홀(112)을 형성한 상부밀착판(113)과, 도어프레임(101)을 구성하는 하부수평바(114)의 코너 상면과 밀착되어 나사 등과 같은 고정수단으로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 위치에 다수개의 고정홀(112)을 형성한 하부밀착판(115)을 구비한다,
상기 상부밀착판(113)과 하부밀착판(115)의 코너위치 아래방향과 상측방향으로는 상부밀착판(113) 및 하부밀착판(115)과 일체형이면서 개략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도어프레임(101)을 구성하는 종바(116)의 코너부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홀(117)을 형성한 코너밀착판(118)을 구비한다.
상기 코너밀착판(118)은 도어프레임(101)을 구성하는 상부수평바(111) 또는 하부수평바(114)가 없는 구성일 때 힌지플레이트(110)를 종바(116)에 고정하여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평소에는 상부밀착판(113) 및 하부밀착판(115)만 고정하거나 상부밀착판(113) 및 하부밀착판(115)과 코너밀착판(118) 모두를 도어프레임(101)과 고정시켜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상부 및 하부밀착판(113,115)을 상부수평바(111)와 하부수평바(114)의 표면에 고정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돌출됨이 없도록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부 및 하부수평바(111,114)에 상,하부밀착판(113,1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요입홈을 형성한 후 고정시켜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상부밀착판(113)과 하부밀착판(115)의 중앙에는 피봇힌지(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피봇힌지홀(120)을 형성하고, 상기 피봇힌지홀(120)은 상부밀착판(113)과 하부밀착판(115)의 가장자리와 개구부(121)로 연통시켜 도어플레이트(105) 상,하부면에 고정된 피봇힌지(130)를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121)에는 결합된 피봇힌지(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개구부(121)를 마감하여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위한 커버판(122)을 결합하고, 상기 커버판(122)은 상, 하부밀착판(113,115)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면서 내측에는 피봇힌지(1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요입된 형태의 피봇힌지홈(123)이 형성됨은 당연할 것이며, 상,하부밀착판(113,115)의 일측에서 볼트와 같은 고정수단(124)으로 견고하게 조여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피봇힌지홀(120)은, 상,하부밀착판(113,115)을 관통하는 형태가 아니라 피봇힌지(130)가 연접하는 위치에는 경사진 형태의 밀착면(125)을 두어 피봇힌지(130)가 걸림되면서 마찰면적을 최소화하여 베어링이나 부싱과 같은 보조수단 없이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봇힌지(130)는, 도어플레이트(105)의 내측위치 상부면(131)과 하부면(132)에 나사 또는 앵커 고정되는 환봉형태의 피봇힌지바디(133)와, 상기 피봇힌지바디(133)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 일체로 돌출되어 도어플레이트(105) 외부로 노출되는 힌지핀부(134)로 구성한다.
상기 힌지핀부(134)의 형상은 피봇힌지홀(120)을 구성하는 밀착면(125)과 동일한 형상의 밀착림부(135)가 형성되고, 상기 밀착림부(135)의 상측 또는 하측으로는 피봇힌지홀(120)에 위치하여 제 위치를 잡아줄 수 있도록 돌출된 형상의 유지림부(136)로 구성한다.
상기 유지림부(136)의 끝단부는 피봇힌지홀(120)의 깊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유지림부(136)가 도어프레임(101)의 상부수평바(111) 또는 하부수평바(114)와 닿아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라운드부(140)는, 피봇힌지(130)가 고정되는 중심(P)을 기준으로 평면상 외면부가 도어플레이트(105)의 종방향으로 라운드(141)를 형성하여 도어플레이트(105)가 닫혔을 때에는 라운드(141)의 중심부(C)는 도어프레임(101)의 종바(116) 외측부 중심위치(CL)과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고, 라운드(141)의 내측끝부(IE)는 도어프레임(101)의 종바(116) 내측부 끝단돌부(EP)와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물론, 도어플레이트(105)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라운드(141)의 중심부(C)는 도어프레임(101)의 종바(116) 내측부 끝단돌부(EP)와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고, 라운드(141)의 내측끝부(IE)는 도어프레임(101)의 종바(116) 외측부 중심위치(CL)과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어프레임(101)과 도어플레이트(105) 사이의 갭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프레임(101)의 상부와 하부에 힌지플레이트(110)를 구성하는 상부밀착판(113)과 하부밀착판(115)을 위치시킨 후 고정홀(112)을 통하여 나사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한다.
물론, 도어프레임(101)을 구성하는 상부수평바(111)와 하부수평바(114)가 없을 경우에는 상,하부밀착판(113,115)에 일체로 돌출되게 형성하는 코너밀착판(118)을 종바(116)에 밀착시킨 후 고정홀(117)을 통하여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이 힌지플레이트(110)의 고정이 완료되면, 도어플레이트(105)를 결합하는 데 도어플레이트(105)의 상,하면에 고정된 피봇힌지(130)를 상,하부밀착판(113,115)에 형성된 피봇힌지홀(120)에 결합시킨 후 커버판(122)으로 단속하면 된다.
상,하부밀착판(113,115)에 결합된 커버판(122)을 이탈시켜 개구부(121)와 피봇힌지홀(120)이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피봇힌지(130)의 힌지핀부(134)를 개구부(121)와 일치시킨 후 밀어 넣어 힌지핀부(134)가 피봇힌지홀(120)에 위치하도록 한다.
이때 힌지핀부(134)를 구성하는 밀착림부(135)는 피봇힌지홀(120)에 형성되는 밀착면(125)과 일치되도록 하고, 유지림부(136)는 피봇힌지홀(120)에 위치하여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커버판(122)을 개구부(121)에 결합시킨 후 고정수단(124)로 단속시켜 피봇힌지(130)가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커버판(122)에 더 형성된 피봇힘지홈(123)이 도어플레이트(105)가 개폐작동할 때 피봇힌지(130)의 회전작동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프레임(101)에 대하여 도어플레이트(105)의 설치가 완료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프레임(101)과 도어플레이트(105)는 갭이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이용자의 신체나 물품 등이 끼여 손상을 입게되는 안전사고의 우려를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어플레이트(105)가 닫혀있을 때에는 도어플레이트(105)의 라운드(141)의 중심부(C)는 도어프레임(101)의 종바(116) 외측부 중심위치(CL)과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라운드(141)의 내측끝부(IE)는 도어프레임(101)의 종바(116) 내측부 끝단돌부(EP)와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도어프레임(101)과 도어플레이트(105) 사이의 갭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손가락과 같은 신체부위가 끼이게 되는 현상을 배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플레이트(105)가 개방되었을 때에는, 도어플레이트(105)의 라운드(141) 중심부(C)는 도어프레임(101)의 종바(116) 내측부 끝단돌부(EP)와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라운드(141)의 내측끝부(IE)는 도어프레임(101)의 종바(116) 외측부 중심위치(CL)과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도어프레임(101)과 도어플레이트(105) 사이의 갭을 배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도어플레이트(105)가 개방된 상태 또는 폐쇄된 상태 모두 도어플레이트(105)에 형성된 라운드(141)가 도어프레임(101)을 구성하는 종바(116)와 항상 선접촉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도어플레이트(105)가 개방되거나 폐쇄되는 과정에서도 항상 선접촉된 상태를 유지하여 도어프레임(101)과 도어플레이트(105) 사이의 갭이 없도록 하게 됨으로서 손낌현상을 원천적으로 배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관련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생산원가를 줄이고 설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어 경쟁력을 높일 수 있고, 부수적으로 도어프레임과 도어플레이트 외측으로 노출되는 부분이 없이 미관을 수려하게할 수 있으면서 이질감을 배제하여 도어 본래의 구성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유지보수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101; 도어프레임 105; 도어플레이트
110; 힌지플레이트 113; 상부밀착판
115; 하부밀착판 118; 코너밀착판
120; 피봇힌지홀 121; 개구부
122; 커버판 125; 밀착면
130; 피봇힌지 133; 피봇힌지바디
134; 힌지핀부 135; 밀착림부
136; 유지림부 140; 라운드부
141; 라운드

Claims (5)

  1. 도어프레임(101)의 상부 및 하부 코너에 장착되는 대칭 형상의 힌지플레이트(110)와; 상기 힌지플레이트(110)와 결합되어 도어플레이트(105)가 도어프레임(101)에 대하여 개폐되도록 도어플레이트(105)의 손잡이 반대 위치 상부면과 하부면에 장착되는 피봇힌지(130)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플레이트(105)의 피봇힌지(130) 장착위치에 종방향으로 형성하여 항상 도어프레임(101)과 종방향으로 선접촉상태를 유지하여 도어프레임(101)과 도어플레이트(105) 사이의 갭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라운드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플레이트(110)는, 도어프레임(101)의 상부수평바(111) 코너 저면과 밀착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홀(112)을 형성한 상부밀착판(113)과;
    도어프레임(101)의 하부수평바(114)의 코너 상면과 밀착되어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홀(112)을 형성한 하부밀착판(115)과;
    상기 상부밀착판(113)과 하부밀착판(115)의 코너위치 아래방향과 상측방향으로 ㄱ형상으로 절곡되어 도어프레임(101)의 종바(116) 코너부에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고정홀(117)을 형성한 코너밀착판(118)과;
    상기 상부밀착판(113)과 하부밀착판(115)의 중앙에 피봇힌지(13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하는 피봇힌지홀(120)과;
    상기 피봇힌지홀(120)과 상부밀착판(113) 및 하부밀착판(115)의 가장자리와 연통시켜 피봇힌지(130)를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게 하는 개구부(121)와;
    결합된 피봇힌지(13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개구부(121)를 마감하여 피봇힌지(130)가 위치할 수 있도록 요입된 형태의 피봇힌지홈(123)을 가지는 커버판(122)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74650A 2018-06-28 2018-06-28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KR102014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650A KR102014841B1 (ko) 2018-06-28 2018-06-28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650A KR102014841B1 (ko) 2018-06-28 2018-06-28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4841B1 true KR102014841B1 (ko) 2019-08-27

Family

ID=6780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650A KR102014841B1 (ko) 2018-06-28 2018-06-28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48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135B1 (ko) 2020-03-03 2020-12-29 동성산업 주식회사 도어용 손낌방지장치
KR102357421B1 (ko) 2020-11-13 2022-02-07 주식회사 동성테크노스 도어용 힌지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31Y1 (ko) * 2004-08-16 2004-11-20 이원중 안전문
KR20070078377A (ko) 2006-01-26 2007-07-31 헤라우스 일렉트로-나이트 인터내셔날 엔. 브이. 파라미터 결정 장치
JP2011164699A (ja) * 2010-02-04 2011-08-2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外扉ヒンジ構造
KR20110125574A (ko) * 2010-05-13 2011-11-21 노승현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JP2014159708A (ja) * 2013-02-20 2014-09-04 Nishimura:Kk ピボットヒンジ
KR101709447B1 (ko) 2016-10-17 2017-02-22 김현정 도어용 손낌 방지형 힌지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8331Y1 (ko) * 2004-08-16 2004-11-20 이원중 안전문
KR20070078377A (ko) 2006-01-26 2007-07-31 헤라우스 일렉트로-나이트 인터내셔날 엔. 브이. 파라미터 결정 장치
JP2011164699A (ja) * 2010-02-04 2011-08-25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自動販売機の外扉ヒンジ構造
KR20110125574A (ko) * 2010-05-13 2011-11-21 노승현 힌지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여닫이문
JP2014159708A (ja) * 2013-02-20 2014-09-04 Nishimura:Kk ピボットヒンジ
KR101709447B1 (ko) 2016-10-17 2017-02-22 김현정 도어용 손낌 방지형 힌지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없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6135B1 (ko) 2020-03-03 2020-12-29 동성산업 주식회사 도어용 손낌방지장치
KR102357421B1 (ko) 2020-11-13 2022-02-07 주식회사 동성테크노스 도어용 힌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78205B2 (en) Safety cover for a hinge
KR101558129B1 (ko) 미닫이용 도어프레임
KR101709447B1 (ko) 도어용 손낌 방지형 힌지 장치
KR20170057942A (ko) 창호 설치용 유리 난간대
KR102014841B1 (ko)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US5803563A (en) Cabinet with removable tambour door
KR20180044917A (ko) 여닫이 문용 손가락 보호 장치
CA2455400A1 (en) Shower door assembly
US3299573A (en) Swinging door and hardware for mounting the same
KR20200101131A (ko)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RU2632397C2 (ru) Подвижная деталь для направлен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детали мебели в направлении перемещения и мебельная фурнитура
KR101654051B1 (ko) 공동주택용 도어 처짐 방지장치
KR200483383Y1 (ko) 이물질 유입 방지기능을 갖는 미닫이도어용 하부레일
JP7015529B2 (ja) 戸当り
KR20190002676U (ko) 스윙 도어
GB2299369A (en) A hinge
GB2267932A (en) Friction stay with spacer
EP1270858B1 (en) Safety hinge
KR101137823B1 (ko) 여닫이문
KR20150009490A (ko) 행거방식 3연동 미닫이문
JP6802007B2 (ja) 内開き扉の遮蔽構造
JP2008163587A (ja) 切欠閉鎖部材及び切欠閉鎖部材を備えた建具
CA2957948A1 (en) Adjustable casement window sash lifter
KR102196135B1 (ko) 도어용 손낌방지장치
JP4429869B2 (ja) 扉付収納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