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1131A -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 Google Patents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1131A
KR20200101131A KR1020190019375A KR20190019375A KR20200101131A KR 20200101131 A KR20200101131 A KR 20200101131A KR 1020190019375 A KR1020190019375 A KR 1020190019375A KR 20190019375 A KR20190019375 A KR 20190019375A KR 20200101131 A KR20200101131 A KR 20200101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door frame
pivot
pivot memb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주
Original Assignee
심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주 filed Critical 심현주
Priority to KR1020190019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1131A/ko
Publication of KR20200101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1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06B7/36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 E06B7/367Finger guards or other measures preventing harmful access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by covering the gap between the door and the door frame at the hinge sid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05D7/081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the pivot axis of the wing being situated near one edge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40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 E05Y2800/41Physical or chemical protection against finger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 하피봇부재에 의해 도어가 도어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하부피봇부재가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손이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위치하여 부상을 입지 않도록 도어의 측면에 소프트한 재질의 끼임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공간에 끼임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이러한 끼임방지부재의 재질이 소프트하게 이루어져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손이 끼여도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도어틀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 하부피봇부재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미관이 수려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Structure to prevent hands from getting caught between door and door frame}
본 발명은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소프트한 재질의 끼임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손이 끼여도 다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가 회전하는 것을 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첩은 도어에 고정되어 회전하는 가동판과 도어틀에 고정되어 가동판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고정판의 구조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경첩은 단순히 가동판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도어를 개방시키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도어에 설치되는 통상의 경첩은, 첨부한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호 맞물려 회전되는 힌지부(P,1,2)를 중심으로 양측부에 고정 플레이트(3,4)가 대칭으로 배치되고, 고정 플레이트(3,4)에 다수의 체결구가 끼워져 도어와 프레임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복수개의 체결공(3a,4a)이 형성되어 힌지부(P,1,2)를 중심으로 도어가 회전하여 여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종래의 경첩은 도어틀과 도어를 연결할 경우 힌지부의 체척만큰 도어가 도어틀에서 이격되어 틈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상기 종래의 경첩은 도어틀과 도어 사이에 틈새가 발생됨으로써 어린이의 손가락이 끼여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경첩은 틈새로 인하여 여름철이나 겨울철에 냉/난방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종래의 경첩은 도어를 개/폐하기 위하여 회동시킬 때 금속과 금속이 접촉되어 마모현상 및 마찰저항이 발생되며, 마찰로 인한 접촉면에 부식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하여, 도어틀과 도어를 연결하는 경첩에 의한 틈새가 발생되더라도 폐쇄함으로써 근본적인 손 끼임 현상을 방지하고 회동시 마모현상 및 부식을 방지하여 부드러운 작동과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개선된 경첩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7221호(2010.05.31. 공개)의 "안전도어"는 도어틀과 도어를 연결하며 도어가 출입구를 개, 폐할 수 있도록 회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경첩을 사용하는 도어에 있어서, 도어틀에 연결되는 측으로 위치된 도어의 상부모서리에 고정되는 동시에 도어틀에 체결되어 도어의 개, 폐시 회동되는 상부경첩과, 상기 상부경첩이 위치된 수직선상으로 도어의 배면에 위치되며 도어틀에 체결되어 회동되는 중앙경첩과, 도어틀에 연결되는 측으로 위치된 도어의 하부모서리에 고정되는 동시에 도어틀에 체결되어 회동되는 하부경첩과, 상기 상부경첩과 중앙경첩의 사이, 중앙경첩과 하부경첩의 사이에서 상부, 중앙, 하부경첩에 끼움 연결되어 도어의 후방면에 밀착 배치됨으로써 도어와 도어틀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틈새를 폐쇄하는 틈새폐쇄구로 구성이 이루어진다.
상기한 선행기술의 고정경첩구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시 단가가 상승되고, 조립 시 작업자가 많이 투입되어 인건비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도어틀경첩구에 오일리스부싱이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경첩구의 사이에 위치되어 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오일리스부싱이 설치된 위치가 아닌 반대방향에서 마찰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도어의 개폐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057221호(2010.05.31. 공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소프트한 재질의 끼임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손이 끼여도 다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가 회전하는 것을 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서 손을 뺄 수 있도록 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도어틀에 설치한 후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도어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여 도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틀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힌지가 외부로 표출되어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피봇부재와 결합하여 도어가 도어틀에서 열고 닫힐 수 있도록 도어틀에 설치되는 고정쇠와; 도어의 측면에 고정되어 고정쇠와 결합되는 피봇부재와; 피봇부재의 사이에 다수개가 위치되어 도어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도어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쇠, 피봇부재 및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고정부재와 결합하여 도어의 측면에 위치되는 끼임방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정쇠는, 도어틀에 결합하여 피봇부재의 상부피봇재와 하부피봇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고정쇠와 하부고정쇠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고정쇠와 하부고정쇠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봇부재는, 상부피봇부재와 하부피봇부재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피봇부재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몸체와, 상부고정몸체에 설치되는 상부피봇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피봇부재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고정몸체와, 하부고정몸체에 설치되는 하부피봇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끼임방지부재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부재에 결합되는 끼임방지몸체와; 끼임방지몸체의 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부재의 단턱에 결합하는 결합돌기와; 결합돌기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어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밀착되게 고정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소프트한 재질의 끼임방지부재를 설치하여 손이 끼여도 다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가 회전하는 것을 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서 손을 뺄 수 있도록 하므로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면서 손이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와 도어틀 사이의 공간에 끼임방지부재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이러한 끼임방지부재의 재질이 소프트하게 이루어져 도어와 도어틀 사이에 손이 끼여도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를 도어틀에 설치한 후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도어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여 도어가 처지지 않으므로 회전이 용이하고, 도어의 회전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틀에 설치되어 도어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 하부피봇부재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미관이 수려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경접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의 피봇부재가 도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피봇부재가 고정쇠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5는 도 4의 피봇부재에 끼임방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가 도어와 도어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가 도어와 도어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는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상부, 하부피봇부재(210, 220)에 의해 도어(10)가 도어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부, 하부피봇부재(210, 220)가 외부에서 보이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손이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 위치하여 부상을 입지 않도록 도어의 측면에 소프트한 재질의 끼임방지부재(4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10)를 도어틀(20)에 설치한 후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도어(1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여 처지는 것을 방지하고, 도어(10)가 회전하는 것을 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서 손을 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는 피봇부재(200)와 결합하여 도어(10)가 도어틀(20)에서 열고 닫힐 수 있도록 도어틀(20)에 설치되는 고정쇠(100)와; 도어(10)의 측면에 고정되어 고정쇠(100)와 결합되는 피봇부재(200)와; 피봇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가 위치되어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300)와;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쇠(100), 피봇부재(200) 및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의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고정부재(300)와 결합하여 도어(10)의 측면에 위치되는 끼임방지부재(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으로 갖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의 피봇부재가 도어에 설치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피봇부재가 고정쇠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피봇부재에 끼임방지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가 도어와 도어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를 닫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가 도어와 도어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도어를 열은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7을 참조하며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는 고정쇠(100), 피봇부재(200), 고정부재(300) 및 끼임방지부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정쇠(100)는 피봇부재(200)와 결합하여 도어(10)가 도어틀(20)에서 열고 닫힐 수 있도록 도어틀(20)에 설치될 수 있도록 도어틀(20)에 결합하여 피봇부재(200)의 상부피봇부재(210)와 하부피봇부재(220)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고정쇠(110)와 하부고정쇠(120)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고정쇠(110)는 도어틀(2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피봇부재(200)의 상부피봇부재(210)가 결합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부고정쇠(110)에는 상부피봇부재(210)의 상부피봇(212)과 결합되는 상부결합공(111)이 형성되고, 도어틀(20)에 상부고정쇠(110)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부나사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고정쇠(120)는 도어틀(20)의 모서리 부분에 설치되어 피봇부재(200)의 하부피봇부재(220)가 결합될 수 있도록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부고정쇠(120)에는 하부피봇부재(220)의 하부피봇(222)과 결합되는 하부결합공(121)이 형성되고, 도어틀(20)에 하부고정쇠(12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부나사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피봇부재(200)는 도어(10)의 측면에 고정되어 고정쇠(100)와 결합되는 상부피봇부재(210)과 하부피봇부재(220)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피봇부재(210)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상부고정몸체(211)와, 상기 상부고정몸체(211)에 구성되어 도어틀(20)에 설치된 상부고정쇠(1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피봇(2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고정몸체(211)는 도어(10)의 측면에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부고정공(211-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피봇(212)은 상부고정몸체(211)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상부고정쇠(110)의 상부결합공(111)에 끼워지게 형성된다. 상기 상부피봇(212)에는 탄성력에 의해 조절부재(214)를 지탱할 수 있도록 스프링(213)이 설치된다. 상기 조절부재(214)는 상부고정쇠(110)의 상부결합공(111)에 그 상단이 끼워지도록 스프링(213)에 지지되게 상부피봇(212)에 결합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부피봇(212)은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부피봇(212)은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져 외주연에 나사를 가지며 상부고정몸체(211)에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피봇(212)에는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부재(214)가 나사 결합되며, 상기 조절부재(214)는 상부피봇(212)에 형성된 나사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부고정쇠(110)의 상부결합공에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13)은 상부피봇(212)에만 국한되게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피봇(222)에도 상부피봇(212)에 결합되는 스프링(213), 조절부재(214)가 설치되어 상부피봇(212)과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피봇(212)의 외주연에 나사를 형성하여 조절부재(214)가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도 하부피봇(222)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피봇부재(22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하부고정몸체(221)와, 상기 하부고정몸체(221)에 구성되어 도어틀(20)에 설치된 하부고정쇠(1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피봇(222)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부고정몸체(221)는 도어(10)의 측면에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복수의 하부나사공(1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피봇(222)은 도어틀(20)에 설치된 하부고정쇠(120)의 하부고정공(221-1)에 결합할 수 있도록 다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끼임방지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피봇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가 위치되어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부재(3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단에 단턱(31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ㅍ는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재ㅍ는 상부피봇부재(210)와 하부피봇부재(220)가 설치된 위치에 근접된 곳과 도어(1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곳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어(10)의 중간 부분에 설치되는 고정부재(300)는 상부피봇부재(210)와 하부피봇부재(220)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것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고, 넓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상기 끼임방지부재(400)는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쇠(100), 피봇부재(200) 및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의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고정부재(300)와 결합하여 도어(10)의 측면에 위치된다.
상기 끼임방지부재(400)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는 끼임방지몸체(410)와, 끼임방지몸체(410)의 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부재(300)의 단턱(310)에 결합하는 결합돌기(411)와, 결합돌기(411)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어(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밀착되게 고정되는 돌출부(412)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끼임방지몸체(410)는 결합돌기(411)가 형성된 위치에서 모헤어결합홈(413)이 형성된 방향으로 점차 두께가 얇아지게 형성되어 복수의 돌출부(412)가 각각 도어의 전면 또는 배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돌기(411)가 형성된 부분은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부재(300)의 측단과 도어(10)의 전면 끝단의 사이 간격 및 고정부재(300)의 측단과 배면 끝단 사이의 간격에 대응될 수 있도록 두께를 가장 두껍게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끼임방지부재(400)는 외측방향으로 모헤어가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모헤어결합홈(413)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모헤어결합홈(413)에는 모헤어(420)가 결합된다.
상기 모헤어(420)는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 먼지 등을 닦아 내거나 또는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 손이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10)가 회전하여 모헤어가 손에 닿을 수 있도록 하여 손이 끼인 사람이 도어가 회전하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모헤어결합홈(413)은 모헤어만 설치되는 것은 아니며 모헤어결합홈(413)에 대응되는 돌기를 가지며 사각,원형, 육각, 캐릭터 등과 같이 소프한 재질의 쿠션부재를 더 설치할 수 있으며, 이러한 쿠션부재는 도어(10)가 회전하여 닫히지 못하게 하여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의 설치과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를 도어(10)와 도어틀(20)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도어틀(20)에 설치되는 고정쇠(100) 또는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피봇부재(200) 중 어느 하나를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쇠(100) 또는 피봇부재(200) 각각의 위치를 설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고정쇠(100)를 먼저 설치한 상태에서 피봇부재(200)를 도어(10)의 측면에 설치하는 상태를 설명한다.
상기 도어틀(20)의 상단 모서리 부분과 하단 모서리 부분에 각각에 고정나사를 이용하여 상부, 하부고정쇠(120)를 대향되게 고정하는데, 상기 도어틀(20)의 상단 모서리 부분에는 'ㄱ'자 형태로 상부고정쇠(110)를 설치하고, 상기 도어틀(20)의 하단모서리 부분에는 'ㄴ'자 형태로 하부고정쇠(120)를 설치한다.
상기 도어틀(20)에 고정쇠(100)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10)의 측면에 상부, 하부피봇부재(210, 220)를 설치하는데, 이때 상부피봇부재(210)의 상부피봇(212)과 하부피봇부재(220)의 하부피봇(222)이 상부고정쇠(110)의 상부결합공(111)과 하부고정쇠(120)의 하부결합공(121)에 각각 결합될 수 있는 길이를 측정하여 설치위치를 설정한다.
상기 도어(10) 측면에 상부피봇부재(210)과 하부피봇부재(220)가 고정나사에 의해 고정되는데, 이때 상부피봇(212)이 상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상부피봇부재(210)를 도어(10)에 고정하고, 상기 하부피봇부재(220)는 하부피봇(222)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나사를 통해 도어(10)에 고정한다.
상기 도어(10)의 측면에 상부피봇부재(210)와 하부피봇부재(220)를 설치한 상태에서 고정부재(300)를 상부피봇부재(210)와 하부피봇부재(220)에 인접되게 타카를 이용하여 각각 고정한다.
그리고 도어(10) 측면의 중간 부분에 타카에 의해 고정부재(300)를 고정하는데, 이때 고정부재(300)는 상부피봇부재(210)와 하부피봇부재(220)에 인접되게 설치되는 고정부재(300)보다 길이가 긴것을 설치한다.
상기 도어(10)의 측면에 피봇부재(200)와 고정부재(300)를 설치한 상태에서 도어틀(20)에 하부모서리에 각각 설치된 하부고정쇠(120)의 하부결합공(121)에 다단으로 형성된 하부피봇부재(220)의 하부피봇(222)을 결합한 상태에서 도어(10)의 측면 상단에 설치된 상부피봇부재(210)의 상부피봇(212)이 상부고정쇠(110)의 상부결합공(111)에 결합한다.
상기 상부피봇(212)과 하부피봇(222)이 상부고정쇠(110)의 상부결합공(111)과 하부고정쇠(120)의 하부결합공(121)에 각각 결합되면, 상부피봇(212)에 설치된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해 조절부재(214)가 상부고정쇠(110)의 상부결합공(111)에 인입된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고정쇠(110)의 상부결합공(111)에 'ㅗ'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조절부재(214)의 일측이 인입되게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피봇부재(200)가 고정부재(300)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 피봇부재(200)를 고정쇠(100)에 결합한 상태에서 도어(10)를 오픈되게 한 후 끼임방지부재(400)를 고정부재(300)에 결합하여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의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하면서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 피봇부재(200)와 고정부재(300)가 보이지 않도록 한다.
상기 끼임방지부재(400)를 고정부재(300)에 결합하기 위해서는 끼임방지몸체(41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411)를 도어(10)의 측면에 설치한 다수의 고정부재(300)에 형성된 단턱(310)에 각각 인입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복수의 결합돌기(411)에서 직각으로 형성된 복수의 돌출부(412)가 도어(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밀착될 수 있도록 하여 결합돌기(411)와 돌출부(412)에 의해 끼임방지부재(400)가 고정부재(300)와 도어(10)에 유기적인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결합돌기(411)가 고정부재(300)의 단턱(310)이 형성된 부분에 결합이 이루어지고, 상기 돌출부(412)는 도어(10)의 정면 및 배면에 각각 밀착되게 고정되므로 끼임방지몸체(410)는 인위적인 힘을 가하지 않으면 끼임방지부재(400)가 고정부재(300)에 분리되지 않는다.
상기 끼임방지부재(400)는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부재(300)에 결합하기 전에 외측에 형성된 모헤어결함홈(413)에 모헤어(420)를 끼임방지몸체(41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모헤어(420)가 끼임방지몸체(410)에 설치되므로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 손이 위치된 상태에서 도어(10)가 회전하면, 손이 낀 사람의 피부에 모헤어(420)가 닿기 때문에 도어(10)가 회전하는 한다는 것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서 손을 빼내어 부상을 입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헤어(420)가 결합되는 모헤어결합홈(413)에 쿠션부재(미도시)를 설치하는 경우, 도어(10)를 닫기 위해 회전을 시켜도 쿠션부재(미도시)가 도어틀(20)에 밀착되어 회전을 방해하므로 도어는 오픈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 손이 위치하여도 도어(10)에 의해 끼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소프트한 재질의 끼임방지부재(400)를 설치하여 손이 끼여도 다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도어가 회전하는 것을 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여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서 손을 뺄 수 있도록 하므로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 끼여 손이 다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의 공간에 끼임방지부재(400)가 설치되어 외부에서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이루어지고, 이러한 끼임방지부재(400)의 재질이 소프트하게 이루어져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에 손이 끼여도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어(10)를 도어틀(20)에 설치한 후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도어(10)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여 도어(10)가 처지지 않으므로 회전이 용이하고, 도어(10)의 회전시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틀(20)에 설치되어 도어(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부, 하부피봇부재(210, 220)가 외부에서 보이지 않으므로 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도어(10)의 일부분으로 인식되어 미관이 수려하게 보이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 도어 20: 도어틀
100: 고정쇠 110: 상부고정쇠
111: 상부결합공 112: 상부나사공
120: 하부고정쇠 121: 하부결합공
122: 하부나사공 200: 피봇부재
210: 상부피봇부재 211: 상부고정몸체
211-1: 상부고정공 212: 상부피봇
213: 스프링 214: 조절부재
220: 하부피봇부재 221: 하부고정몸체
221-1: 하부고정공 222: 하부피봇
300: 고정부재 310: 단턱
400: 끼임방지부재 410: 끼임방지몸체
411: 결합돌기 412: 돌출부
413: 모헤어결함홈 420: 모헤어

Claims (4)

  1. 피봇부재(200)와 결합하여 도어(10)가 도어틀(20)에서 열고 닫힐 수 있도록 도어틀(20)에 설치되는 고정쇠(100)와;
    도어(10)의 측면에 고정되어 고정쇠(100)와 결합되는 피봇부재(200)와;
    피봇부재(200)의 사이에 다수개가 위치되어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되는 고정부재(300)와;
    도어(10)의 측면에 설치된 고정쇠(100), 피봇부재(200) 및 도어(10)와 도어틀(20) 사이의 공간이 보이지 않도록 고정부재(300)와 결합하여 도어(10)의 측면에 위치되는 끼임방지부재(4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쇠(100)는,
    도어틀(20)에 결합하여 피봇부재(200)의 상부피봇부재(210)와 하부피봇부재(220)에 각각 결합되는 상부고정쇠(110)와 하부고정쇠(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고정쇠(110)와 하부고정쇠(120)는 서로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봇부재(200)는,
    상부피봇부재(210)와 하부피봇부재(22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피봇부재(210)는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상부고정몸체(211)와, 상부고정몸체(211)에 설치되는 상부피봇(212)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피봇부재(220)는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하부고정몸체(221)와, 하부고정몸체(221)에 설치되는 하부피봇(2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끼임방지부재(400)는,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고정부재(300)에 결합되는 끼임방지몸체(410)와;
    끼임방지몸체(410)의 측단에 각각 형성되어 고정부재(300)의 단턱(310)에 결합하는 결합돌기(411)와;
    결합돌기(411)에 직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도어(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밀착되게 고정되는 돌출부(4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KR1020190019375A 2019-02-19 2019-02-19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KR202001011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375A KR20200101131A (ko) 2019-02-19 2019-02-19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375A KR20200101131A (ko) 2019-02-19 2019-02-19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131A true KR20200101131A (ko) 2020-08-27

Family

ID=72237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375A KR20200101131A (ko) 2019-02-19 2019-02-19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1131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737B1 (ko) * 2020-09-29 2021-05-07 김평식 손끼임 방지용 텐션부재가 구비된 안전출입문
KR102264558B1 (ko) * 2020-09-29 2021-06-15 김평식 손끼임 방지용 쿠션패널이 구비된 안전출입문
KR102267498B1 (ko) * 2020-12-28 2021-06-22 김평식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WO2022071658A1 (ko) * 2020-09-29 2022-04-07 김평식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221A (ko) 2008-11-21 2010-05-31 이영태 안전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7221A (ko) 2008-11-21 2010-05-31 이영태 안전도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8737B1 (ko) * 2020-09-29 2021-05-07 김평식 손끼임 방지용 텐션부재가 구비된 안전출입문
KR102264558B1 (ko) * 2020-09-29 2021-06-15 김평식 손끼임 방지용 쿠션패널이 구비된 안전출입문
WO2022071658A1 (ko) * 2020-09-29 2022-04-07 김평식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문
KR102267498B1 (ko) * 2020-12-28 2021-06-22 김평식 손끼임 방지용 안전출입도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101131A (ko) 도어에 설치되는 손끼임 방지구조
KR101010758B1 (ko) 안전도어
CA1159613A (en) Door stop
EP3216965B1 (en) Shower door adjustment device and shower door
US20160024826A1 (en) A Carriage
KR102015421B1 (ko) 좁은 회전 반경을 갖는 접이식 여닫이 도어장치
US3299573A (en) Swinging door and hardware for mounting the same
KR102146967B1 (ko) 손가락끼임방지와 문폭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장치
KR101695658B1 (ko) 자력을 이용한 자동 닫힘장치를 포함한 도어시스템
KR102014841B1 (ko) 손낌방지기능을 가지는 도어
JP5586156B2 (ja) ドアのエッジ装置
KR100844217B1 (ko) 문 개폐 고정장치
KR101867038B1 (ko) 미닫이식 도어를 구비한 욕실수납장
US5765311A (en) Finger door guard and method of covering the gap between an open door and a door frame
US2867858A (en) Door safety devices
KR100907605B1 (ko) 도어용 안전경첩
US7735262B2 (en) Pocket door mounting system
WO2018215739A1 (en) Apparatus to minimise injury caused by an extremity trapped by a closing hinged door
CN110107176A (zh) 一种隐藏式窗铰链
JP6800477B2 (ja) 指挟み防止機能付き引戸
KR102554648B1 (ko) 도어 또는 윈도우의 장착 조립체 및 그것을 채용한 도어 또는 윈도우 조립체
JP4860943B2 (ja) 扉装置
US11708713B2 (en) Ligature resistant swinging door system
KR102187417B1 (ko) 여닫이문 손 끼임 방지 장치
KR20210082871A (ko) 토션 조절이 가능한 도어 손끼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