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3835Y1 - 간이 칸막이 - Google Patents

간이 칸막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3835Y1
KR200433835Y1 KR2020060024633U KR20060024633U KR200433835Y1 KR 200433835 Y1 KR200433835 Y1 KR 200433835Y1 KR 2020060024633 U KR2020060024633 U KR 2020060024633U KR 20060024633 U KR20060024633 U KR 20060024633U KR 200433835 Y1 KR200433835 Y1 KR 2004338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wall
door
simple partition
vertic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46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성
Original Assignee
(주)아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페토 filed Critical (주)아페토
Priority to KR20200600246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38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38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38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02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 E06B9/04Shutters, movable grilles, or other safety closing devices, e.g. against burglary of wing type, e.g. revolving or sliding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2009/002Safety guards or gates

Abstract

본 고안은 벽과 벽 사이에 간편하게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에 사용되는 간이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칸막이(1)는, 상측이 개방된 ㄷ자형 프레임(10)에 개패 가능한 문(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의 세로프레임(11)과 벽(2) 사이에 고정구(30)를 장착하여 상기 프레임(10)을 벽(2) 사이에 고정하는 간이 칸막이(1)로서, 상기 세로프레임(11)은 상기 프레임(10)의 가로프레임(12)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지게 결합되어서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벽(2) 쪽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상기 고정구(30)에 의해 상기 벽(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문(20) 사이에는 잠금장치(40)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장치(40)는, 상기 프레임(10) 또는 상기 문(20)에 형성된 홈(41)에 설치된 힌지핀(42), 일측에 상기 힌지핀(4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방형 홀(43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고리(43B)가 형성되어 있는 걸편(43), 및 상기 문(20) 또는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홈(44)에 설치된 걸림핀(45)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로프레임(11)의 외측에 조립되는 간격조절판(50)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간이 칸막이{Simple Partition}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간이 칸막이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간이 칸막이의 사용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잠금장치의 상세도,
도4는 본 고안자가 개발한 종래의 간이 칸막이의 사용상태 개략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 2: 벽
10: 프레임 11: 세로프레임
12: 가로프레임 20: 문
21: 경첩 30: 고정구
31: 홀 32: 볼트
32A: 볼트헤드 33: 조절핸들
40: 잠금장치 41, 44: 홈
42: 힌지핀 43: 걸편
43A: 장방형 홀 43B: 고리
45: 걸림핀 50: 간격조절판
(기술분야)
본 고안은 간이 칸막이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벽과 벽 사이에 간편하게 탈착식으로 장착하여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의 출입을 통제하는 것에 사용되는 간이 칸막이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어린아이를 양육하거나 애완동물을 사육하는 과정에서는 어린아이가 위험한 곳으로 가지 못하도록 하거나 애완동물이 정해진 구역 밖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돌봐야 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본 고안자는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의 출입을 통제할 목적으로 간이 칸막이를 개발한 바 있으며, 도4는 본 고안자가 개발한 종래의 간이 칸막이의 사용상태 개략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간이 칸막이(100)는 벽(101)과 벽 사이의 폭에 맞게 목재 등으로 제작한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좌우상하에 설치되어 프레임(110)을 벽(101)에 고정하는 나사식 고정구(12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벽(101) 사이에 프레임(110)을 배치하고 벽(101)과 프레임(110) 사이에서 고정구(120)를 조절하여 간이 칸막이(100)를 벽 사이에 임시 설치한다. 그리고 간이 칸막이(100)의 높이가 어른이 넘어갈 수 없을 정도로 높을 경우 프레임(110)에 문(130)을 설치하여 필요한 경우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런 종래의 간이 칸막이(100)를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의 출입을 통제할 필요가 있는 장소의 벽(101) 사이에 가설해두면, 어린아이가 위험한 곳으로 접근하거나 애완동물이 출입이 통제된 장소로 돌아다니는 것을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간이 칸막이(100)는 상측이 개방된 ㄷ자형 프레임(110)의 세로프레임(111)에 고정구(120)를 장착하여 벽(101)과의 사이에 고정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고정구(120)에 의해 세로프레임(111)이 안쪽으로 밀려들어가는 하중을 받게 되어 세로프레임(111)에 안쪽으로 휘는 변형이 유발되고, 오랜 기간 사용하다보면 세로프레임(111)이 원위치로 복원하지 않고 안쪽으로 휘어져 있는 상태가 되어 버리며(도4의 점선 상태 참조), 이로써 문(130)이 잘 닫히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어린아이나 애완동물의 출입을 통제할 목적으로 벽에 간이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간이 칸막이에 관련하여, 상측이 개방된 ㄷ자형 프레임에 문을 부착한 구조의 간이 칸막이를 고정구를 사용하여 벽에 고정하는 것에 따라 발생하는 프레임의 변형과 그로 인한 문의 개폐 불량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상측이 개방된 ㄷ자형 프레임에 개패 가능한 문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의 세로프레임과 벽 사이에 고정구를 장착하여 상기 프레임을 벽 사이에 고정하는 구조의 간이 칸막이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상기 세로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의 가로프레임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지게 결합되어서 상기 프레임이 상기 벽 쪽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상기 고정구에 의해 상기 벽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과 상기 문 사이에는 잠금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장치는 상기 프레임 또는 상기 문에 형성된 홈에 설치된 힌지핀, 일측에 상기 힌지핀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방형 홀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고리가 형성되어 있는 걸편, 및 상기 문 또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홈에 설치된 걸림핀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로프레임의 외측에는 간격조절판을 분리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칸막이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간이 칸막이의 정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간이 칸막이의 사용상태도, 도3은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에 적용되는 예시적인 잠금장치의 상세도이다.
도1과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간이 칸막이(1)는, 프레임(10), 문(20) 및 고정구(30)를 기본적으로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잠금장치(40)와 간격조절판(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측이 개방된 ㄷ자형 프레임으로서 양측의 세로프레 임(11)과 세로프레임(11)의 하단을 연결하는 가로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문(20)은 상기 세로프레임(11)에 예를 들어 경첩(21)으로 개패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로써 칸막이(1)를 통해 출입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문(20)을 개방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30)는 상기 프레임(10)을 벽(2) 사이에 탈착식으로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세로프레임(11)에 형성한 홀(31), 헤드(32A)가 벽(2)을 향하도록 상기 홀(31)에 끼워지는 볼트(32), 및 상기 볼트(32)에 체결되어 상기 세로프레임(11)에 접하는 조절핸들(3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프레임(10)을 벽(2)에 고정할 수 있는 구조라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이와 같은 고정구(30)의 구성에 따라, 볼트(32)를 홀(31)에 삽입하고 벽(2) 쪽으로 볼트헤드(32A)가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헤드(32A)와 조절핸들(33)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는 쪽으로 조절핸들(33)을 돌리면 간이 칸막이(1)가 벽(2)에 견고하게 가설되고 반대로 돌리면 벽(2)으로부터 간이 칸막이(1)를 철수 할 수 있다.
또한 볼트(32)의 길이의 범위 내(예, 대략 6cm 이하)에서 볼트(32)와 조절핸들(33)의 결합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1)는 일정 범위에서 폭이 다른 다양한 벽(2)에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라, 프레임(10)의 세로프레임(11)은 가로프레임(12)에 대해 직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상단으로 갈수록 벌어지게 둔각으로 결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세로프레임(11)이 가로프레임(12)에 둔각으로 결합됨에 따 라 간이 칸막이(1)를 벽(2)에 설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로프레임(11)은 상측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은 프레임(10) 구조를 가지는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1)를 고정구(30)를 사용하여 벽(2) 사이에 고정하게 되면, 세로프레임(11)이 탄성적으로 벽(2) 쪽으로 벌어지려고 하는 상태와 고정구(30)가 세로프레임(11)을 벽(2)의 반대쪽 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하는 상태가 균형을 이루면서 간이 칸막이(1)가 벽(2)에 고정되며, 이때 가로프레임(12)은 아래로 볼록하게 탄성적으로 약간 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로써 간이 칸막이(1)는 벽(2)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뿐만 아니라, 상측 가로프레임이 없는 ㄷ자형 프레임(10)의 세로프레임(11)이 고정구(30)에 의해 안쪽으로 밀리는 하중을 받게 됨에도 불구하고 세로프레임(11)이 안쪽으로 휘는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오랜 기간 사용하여도 탄성에 의해 세로프레임(11)이 벌어진 원위치로 어느 정도 복원하게 되므로 세로프레임(11)의 변형이 문(20)의 개폐를 방해하지 않게 된다.
특히, 프레임(10)의 소재로 탄성이 좋은 목재나 플라스틱합성수지를 사용하면, 이를 소재의 탄성에 의해 세로프레임(11)이 가로프레임(12)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진 상태를 장기간 유지하게 되므로, 프레임(10)의 변형으로 인한 문(20)의 개폐 불량을 오랜 기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1)는 프레임(10)과 문(20) 사이에 설치된 잠금장치(40)를 더 포함한다. 도시된 구체예는 프레임(10) 또는 문(20)에 형성 된 홈(41)에 설치된 힌지핀(42), 일측에 힌지핀(4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방형 홀(43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고리(43B)가 형성되어 있는 걸편(43), 및 문(20) 또는 프레임(10)에 형성된 홈(44)에 설치된 걸림핀(45)을 포함하는 잠금장치(40)를 예시한 것이다. 본 고안에 적용되는 잠금장치(40)는 문(20)의 개폐를 프레임(10)에 대해 선택적으로 록킹할 수 있는 장치라면 도시된 구체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위와 같은 잠금장치(40)의 구성에 따라, 걸편(43)을 힌지핀(42)에 대해 회동하여 그 고리(43B)를 걸림핀(45)에 걸면 잠금 상태가 되어 문(20)의 개방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힌지핀(42), 걸편(43) 및 걸림핀(45)이 홈(41, 44)에 장착됨에 따라 잠금장치(40)가 외부로 덜 노출되어 의도하지 않은 잠금장치(40)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홀(43A)을 장방형으로 형성한 것은, 걸편(43)이 힌지핀(42)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장방형 홀(43A)의 적용에 따라, 걸편(43)을 위로 당겨 올려 고리(43B)를 걸림핀(45)에 걸고 걸편(43)을 내려놓으면 걸편(43)이 아래로 내려간 상태로 걸림핀(45)에 걸려 잠기게 되고, 이런 잠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걸편(43)을 들어 올려서 회동시켜야 하므로, 의도하지 않게 잠금장치(40)가 풀리는 것을 더욱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걸편(43)이 문(20)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걸편(43)을 프레임(10)에 설치하는 것도 배재되지 아니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1)는 고정구(30)의 볼트(32) 의 길이 범위 내에서 볼트(32)와 조절핸들(33)의 결합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폭이 다른 다양한 벽(2)에 적용할 수 있으나, 적용 가능한 벽간 폭의 범위는 6cm(고정구를 프레임 양측에 장착한 경우에는 12cm) 정도이므로, 프레임(10)의 가로 길이보다 6cm(또는 12cm) 이상 넓은 폭을 가진 벽(2)에는 적용할 수 없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1)의 적용 범위를 더욱 넓히기 위해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1)에는 간격조절판(50)을 더 포함시킬 수 있고, 간격조절판(50)은 세로프레임(11)의 외측에 조립된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간격조절판(50)이 일측 세로프레임(11)에만 결합한 예를 도시하였지만 세로프레임(11)의 양측 모두에도 적용할 수 있다.
고정구(30)가 적용되어 있는 세로프레임(11)에 간격조절판(50)을 결합하는 경우 고정구(30)는 간격조절판(50)으로 옮겨 장착하며, 간결조절판(50)은 간이 칸막이(1)의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와 일정 폭을 가지며, 예를 들어 공지의 조립볼트 등으로 세로프레임(11)에 탈착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결국, 간격조절판(50)을 적용함에 따라, 간격조절판(50)의 폭에 대응하는 범위까지 간이 칸막이(1)의 적용 범위를 더 넓힐 수 있으며, 고정구(30)의 볼트(32)와 조절핸들(33)의 결합 깊이와 간격조절판(50)의 다양한 조합을 통해 다양한 폭의 벽(2)에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1)를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에 의하면, 고정구로 ㄷ자형 프레임을 벽에 고정하는 것에 따른 프레임의 변형과 그로 인한 문의 개폐 불량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간이 칸막이에 의하면, 정해진 사이즈를 가지는 하나의 간이 칸막이를 고정구와 간격조절판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폭의 벽에 광범위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간단한 잠금장치의 적용으로 문의 의도하지 않은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상측이 개방된 ㄷ자형 프레임(10)에 개패 가능한 문(2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10)의 세로프레임(11)과 벽(2) 사이에 고정구(30)를 장착하여 상기 프레임(10)을 벽(2) 사이에 고정하는 간이 칸막이(1)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11)은 상기 프레임(10)의 가로프레임(12)에 대해 둔각으로 벌어지게 결합되어서 상기 프레임(10)이 상기 벽(2) 쪽으로 탄성적으로 벌어지는 상태로 상기 고정구(30)에 의해 상기 벽(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칸막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과 상기 문(20) 사이에는 잠금장치(40)가 설치되고, 상기 잠금장치(40)는, 상기 프레임(10) 또는 상기 문(20)에 형성된 홈(41)에 설치된 힌지핀(42), 일측에 상기 힌지핀(42)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장방형 홀(43A)이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고리(43B)가 형성되어 있는 걸편(43), 및 상기 문(20) 또는 상기 프레임(10)에 형성된 홈(44)에 설치된 걸림핀(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칸막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프레임(11)의 외측에 조립되는 간격조절판(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이 칸막이.
KR2020060024633U 2006-09-13 2006-09-13 간이 칸막이 KR2004338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633U KR200433835Y1 (ko) 2006-09-13 2006-09-13 간이 칸막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4633U KR200433835Y1 (ko) 2006-09-13 2006-09-13 간이 칸막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3835Y1 true KR200433835Y1 (ko) 2006-12-20

Family

ID=4178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4633U KR200433835Y1 (ko) 2006-09-13 2006-09-13 간이 칸막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38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4103B2 (en) Gate assembly
US10745941B2 (en) Latching assembly for barrier gate
KR101085433B1 (ko) 도어의 보조 잠금 장치
KR200433835Y1 (ko) 간이 칸막이
GB2041051A (en) Baby gates
KR200438164Y1 (ko) 도어 개폐 유지장치
US4092037A (en) Door-locking device
KR200453991Y1 (ko) 회전 푸쉬버튼식 창문 잠금 장치
KR100647860B1 (ko) 샷시문의 도어록 장치
KR20030056191A (ko) 천정점검구
KR200346760Y1 (ko) 창문의 열림각도 조절장치
KR101722709B1 (ko) 건축용 안전 창문구조
KR100755514B1 (ko) 미닫이 창문 잠금장치
KR102219573B1 (ko) 유아 보호용 안전 문
KR101756863B1 (ko) 미닫이문의 잠금장치
KR100322615B1 (ko) 창문이탈 방지장치
KR101151646B1 (ko) 미닫이식 창문 개폐장치
EP1529909B1 (en) An anti-burglary safety device for doors and windows
KR102375831B1 (ko) 도어 세이프가드
KR200386598Y1 (ko) 손잡이기능을 갖는 자물쇠용 커버
KR200298366Y1 (ko) 도어의 닫힘방지장치
KR200200338Y1 (ko) 창문 잠금장치
KR102181664B1 (ko) 잠금 기능이 구비된 경첩
KR100316385B1 (ko) 미닫이 문의 잠금장치
GB2424449A (en) Restrictor located within groove of scissor hin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