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756B1 -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756B1
KR102218756B1 KR1020200125759A KR20200125759A KR102218756B1 KR 102218756 B1 KR102218756 B1 KR 102218756B1 KR 1020200125759 A KR1020200125759 A KR 1020200125759A KR 20200125759 A KR20200125759 A KR 20200125759A KR 102218756 B1 KR102218756 B1 KR 102218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rees
tree
roots
irrig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5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택승
안태원
김준기
Original Assignee
(주)수프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프로 filed Critical (주)수프로
Priority to KR1020200125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7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3/00Forestry
    • A01G23/02Transplanting, uprooting, felling or delimbing trees
    • A01G23/04Transplanting trees; Devices for grasping the root ball, e.g. stump forceps; Wrappings or packages for transporting tre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의 강한 뿌리시스템을 창출하는 특수 컨테이너를 모든 단계에서 사용함으로써, 보다 뿌리 발달이 향상되어 현장의 토양에 잘 적응하기 때문에 활착률과 생장률이 향상되고, 생산방법에 적용된 컨테이너는 수목의 이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단순한 용기가 아닌 세근발달을 촉진시키는 특수 컨테이너이고, 각각의 단계는 종전의 세근발달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를 준비하며, 세근발달은 보다 큰 용적의 컨테이너에서 확장되어 수분ㆍ양분의 흡수, 생장률, 생존률 등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Landscaping tree production method using container}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목의 강한 뿌리시스템을 창출하는 특수 컨테이너를 모든 단계에서 사용함으로써, 보다 뿌리 발달이 향상되어 현장의 토양에 잘 적응하기 때문에 활착률과 생장률이 향상되고, 생산방법에 적용된 컨테이너는 수목의 이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단순한 용기가 아닌 세근발달을 촉진시키는 특수 컨테이너이고, 각각의 단계는 종전의 세근발달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를 준비하며, 세근발달은 보다 큰 용적의 컨테이너에서 확장되어 수분ㆍ양분의 흡수, 생장률, 생존률 등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생식물 또는 조경을 위한 나무 등의 인공 증식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종자를 채취하여 파종상에 직파하는 방법이 가장 보편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종자가 비교적 대립인 경우 파종상에 점파하거나 용기에 1∼2개의 종자를 심어 폿트묘를 양성하는 방법이 있다. 이중에서 폿트묘 양성방법은 직파하여 양성된 묘목에 비해 용기구입, 노동력이 배가되는 등의 단점이 있으나 상대적으로 건전한 묘목을 생산할 수 있고 이동이 용이하여 관리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기후 변화에 따른 식생의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온대성에서 난대성으로의 기후변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온대성 기후에서 낙엽활엽수 및 침엽수가 왕성한 성장을 하지만, 난대성으로 기후의 변환이 이루어지면 상기 수목들은 사라지고, 상록 활엽수립이 형성된다.
온대성 수종의 대부분은 늦은 가을에 구과 형성이 이루어지나 난대수종 대부분은 여름에서 초가을에 모든 구과 형성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나무를 이식하는 경우 고사율이 매우 높게 된다. 이러한 고사는 이식지에서 쉽게 적응하지 못하고, 수분 결핍증으로 고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나무의 이식 시 이식지에서의 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식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조경수의 경우 재배지로부터 조경지역으로 운반되어 이식지에 이식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식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조경수의 뿌리를 완전하게 보호할 수 없다는 것이다. 뿌리는 수목의 생사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목식재 후 수목의 생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므로 나무의 이식 시 나무 뿌리를 보하기 위하여 분뜨기, 뿌리돌기, 전지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뿌리의 손상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없다.
한편, 이식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0562342호에는 나무 이식용 상토 제조방법이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6-0125970호에는 수목의 이식을 위한 수목 이식망이 게시되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5-0103279호에는 식물 재배용 기구를 이용한 식물의 재배방법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식물의 재배방법은 성장시킨 후 이식을 고려하지 않고 식물을 재배하는 방법이며, 수목 이식망은 식물의 재배와는 별개로 이식 시 뿌리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재배가 고려되지 않은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없다.
또한 조경수의 이식을 위하여 뿌리돌기 및 분뜨기가 이루어진 조경수의 뿌리를 별도의 새끼줄, 고무밴드, 이식망 등을 이용하여 감싼 후 이송하고 있는데, 이 경우 이식을 위한 많은 작업공수가 소요되며 짧은 시간 내에 조경수를 이식 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수목의 강한 뿌리시스템을 창출하는 특수 컨테이너를 모든 단계에서 사용함으로써, 보다 뿌리 발달이 향상되어 현장의 토양에 잘 적응하기 때문에 활착률과 생장률이 향상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생산방법에 적용된 컨테이너는 수목의 이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단순한 용기가 아닌 세근발달을 촉진시키는 특수 컨테이너이고, 각각의 단계는 종전의 세근발달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를 준비하며, 세근발달은 보다 큰 용적의 컨테이너에서 확장되어 수분ㆍ양분의 흡수, 생장률, 생존률 등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조경수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묘목을 4L 용적용 제 1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생장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생장시킨 수목을 12L 용적용 제 2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중간 수목으로 생장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생장시킨 중간 수목을 50L 용적용 제 3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소형 수목을 생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3) 단계 후, 수목의 생산조건에 따라,
(4) 상기 (3) 단계에서 생장시킨 소형 수목을 100L 용적용 제 4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중형 수목을 생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4L 용적용 제 1 컨테이너와 12L 용적용 제 2 컨테이너는 지상재배 방식으로써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간격을 두지 않는 조밀배치방법과 수목의 수관을 고려하여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하는 이격배치방법을 사용하는데, 상기 조밀배치방법 또는 이격배치방법에 의해 배치된 다수개의 컨테이너를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를 통해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는 하측에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또는 컨테이너와 와이어를 상호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수평으로 파이프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2개의 고정홈 사이에는 컨테이너 또는 와이어가 고정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압착돌기가 고정홈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착돌기는 끝단부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컨테이너 또는 와이어가 고정홈에 용이하게 삽입시키는 동시에 삽입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은 수목의 강한 뿌리시스템을 창출하는 특수 컨테이너를 모든 단계에서 사용함으로써, 보다 뿌리 발달이 향상되어 현장의 토양에 잘 적응하기 때문에 활착률과 생장률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생산방법에 적용된 컨테이너는 수목의 이식 성공률을 높이기 위하여 단순한 용기가 아닌 세근발달을 촉진시키는 특수 컨테이너이고, 각각의 단계는 종전의 세근발달을 기반으로 다음 단계를 준비하며, 세근발달은 보다 큰 용적의 컨테이너에서 확장되어 수분ㆍ양분의 흡수, 생장률, 생존률 등의 효율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체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대묘의 수목 식재 및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대묘의 야외생육시설 포지구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당김줄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시설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목의 수목 식재 및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수목의 야외생육시설 포지구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수목의 수목 식재 및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수목의 연결형 당김줄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수목의 개별관수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은 1단계 용기대묘, 2단계 중간목, 3단계 소형수목, 4단계 중형수목으로 구분되며, 각각의 단계에서 수목을 유통판매할 수 있다. 활엽수와 침엽수 모두 재배기간은 1~8년이며, 침엽수는 용기대묘에서 소형수목까지 생산시스템으로 하였다. 1~4단계는 본 출원인인 ㈜수프로에서 개발한 특허, 실용신안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세근발달이 뛰어난 수목을 생산한다.
이렇듯, 상기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은 이하의 [표 1]과 [표 2]에서처럼, 수목생산에 필요한 생육단계별 변화와 생산목적에 따른 방식을 취하고 있다. 수목 생산단계로 1단계에서 4단계로 점차 컨테이너의 용적이 커지면서 용기대묘에서부터 시작하여 중간목, 소형수목, 중형수목을 생산하는 과정이다. 특히 3단계에서 4단계에서는 본 출원인인 ㈜수프로에서 개발한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용적을 50L에서 100L로 손쉽게 확장할 수 있다. 1단계는 상대적으로 작은 묘목단계이므로 묘목생육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비닐온실과 같은 시설온실에서 재배하며, 2~3단계 이후는 수목단계이므로 관수와 시비시설을 갖춘 최소한의 시설을 갖춘 야외생육시설에서 재배한다.
Figure 112020103121532-pat00001
Figure 112020103121532-pat00002
이렇듯, 본 발명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은 (1) 묘목을 4L 용적용 제 1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생장시키는 용기대묘 단계와, (2) 상기 (1) 단계에서 생장시킨 수목을 12L 용적용 제 2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중간 수목으로 생장시키는 중간목 단계와, (3) 상기 (2) 단계에서 생장시킨 중간 수목을 50L 용적용 제 3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소형 수목을 생산하는 소형수목 단계와, 4) 상기 (3) 단계에서 생장시킨 소형 수목을 100L 용적용 제 4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중형 수목을 생산하는 중형수목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1) 용기대묘 단계는 나선형 뿌리와 같은 비이상적인 뿌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한 용적 4L용 제 1 컨테이너를 활용하여 용기대묘를 생산한다. 육묘용 용기인 제 1 컨테이너는 효율적인 공기단근현상이 가능하도록 공기순환이 양호하고, 뿌리들이 용기 내 구멍을 향하도록 개구선이 설계되었다. 뿌리가 개구선으로 자라나가면서 끝부분이 공기에 노출되면 뿌리가 건조하게 된다. 이때 뿌리의 생장을 멈추고 죽으면서 뿌리의 내부에 새로운 세근이 형성된다. 컨테이너에 이들 세근이 왕성하게 형성되면 다음 단계로 보다 큰 용적의 컨테이너(용적 12L)로 이식한다. 재배기간은 2년이다.
상기 (2) 중간목 단계는 (1) 용기대묘 단계와 마찬가지로 세근발달촉진용 제 2 컨테이너(용적 12L)를 활용하여 중간목을 생산한다. 수목 재배용 용기인 제 2 컨테이너의 가장 큰 특징은 역계단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로 자라는 뿌리가 4개의 계단 턱에서 멈추면서 옆의 개구선으로 유도하여 세근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었다. 그리고 야외생육시설에서 재배하므로 강한 바람이 불어도 넘어지지 않게 컨테이너 상단부에 가늘고 긴 막대로 서로 연결할 수 있게 설계되었다. 재배기간은 2년이다.
상기 (3) 소형수목 단계는 (2) 중간목 단계에서 재배한 중간목을 세근발달촉진용 제 3 컨테이너(용적 50L)에 이식하여 소형수목을 생산한다. 상기 제 3 컨테이너 최대 특징은 수목의 크기(규격)와 용도에 따라 크기를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고, 회전볼트와 케이블 타이를 이용하여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다. 컨테이너 외부로 돌출된 볼록돌기의 구멍들을 향해 뿌리가 밖으로 자라고 이후 공기단근현상으로 새로운 세근이 촉진된다. 공기단근 효과를 극대화하였으며, 나선형 뿌리는 발생하지 않는다. 재배기간은 2년이다.
상기 (4) 중형수목 단계는 소형수목 단계에서 사용한 제 3 컨테이너를 측면으로 넓힌 후 조립한 제 4 컨테이너(용적 100L)를 사용하여 중형수목을 생산한다. 이때, 활엽수 중형수목을 생산하는데 적용한다. 재배기간은 2년이다.
이렇듯, 각 단계별로 생산한 수목은 각 단계별에서 수요에 따라 각각 출하가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각 컨테이너의 구성, 구조 및 기능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제 1 컨테이너는 측면에 뿌리가 공기에 쉽게 노출되어 단근(뿌리가 끊어짐)을 유도하는 공기단근용 개구선(64개)이 있다. 일반적인 용기의 경우 측면에 공기단근용 개구선이 없으며, 이들 개구선은 재배하는 용기내부의 뿌리가 건조되면서 세근이 왕성하게 발달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자라나오는 뿌리가 외부로 쉽게 노출되도록 설계되었다.
여기서, 상기 제 1 컨테이너 용기 최하단부의 공기단근용 개구선(8개)은 수분이 공급되었을 때 과도한 수분을 쉽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용기 바닥은 막혀있고 측면으로 뿌리가 뻗어나가는 유도선을 만들어 뿌리가 용기 최하단부의 개구선으로 나가게 하였다. 따라서 용기 최하단부의 개구선은 공기단근, 수분배출 및 측면으로 뿌리를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며, 다른 개구선에 비하여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비이상적으로 뿌리가 옆으로 자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뿌리방지선(8개)을 만들어 뿌리가 아래로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공기단근용 개구선으로 뿌리가 유도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제 1 컨테이너의 용기내부 최하단부가 지면보다 약간 높게 되도록 턱(0.3㎝)을 설계하여 측면으로 자라나온 뿌리가 바로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하였다. 이에 일반적인 용기가 필요로 하는 용기받침대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온실 내부와 일반 야외에서도 양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경제적인 용기이다.
상기 제 2 컨테이너는 뿌리발달을 촉진하는 개구선과 방지선은 앞에 설명한 제 1 컨테이너와 유사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역계단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로 자라는 뿌리가 4개의 계단 턱에서 멈추면서 옆의 개구선으로 유도하여 세근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겨울의 추위와 여름의 고온으로 인한 뿌리의 피해를 방지하고 수목이 바람에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를 겹쳐 넣고 재배하는, 지중 이중재배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상기 제 3 컨테이너와 제 4 컨테이너는 수목의 크기(규격)에 따라 적용할 컨테이너의 크기(용적)도 달라지기 때문에, 그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개발되었다. 이 컨테이너는 판상형으로서 적정 길이로 잘라 원통형으로 조립함으로써 수목 규격에 적합한 다양한 용적의 컨테이너 제작이 가능하다. 작은 공간에 손쉽게 보관할 수 있으며, 생산한 수목을 판매할 때 수목과 컨테이너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 컨테이너와 제 4 컨테이너의 내측으로 돌출된 오목돌기와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돌기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이고 볼록돌기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는 뿌리가 컨테이너 측면을 따라 도는 나선형 뿌리발생을 제어하면서 뿌리를 바깥쪽으로 유도한다. 이렇게 유도된 뿌리는 볼록돌기의 관통홀에 의한 공기단근 효과를 통해 잔뿌리 발달이 촉진된다.
한편, 상기 4L 용적용 제 1 컨테이너, 12L 용적용 제 2 컨테이너, 50L 용적용 제 3 컨테이너 및 100L 용적용 제 4 컨테이너는 지상재배 방식으로써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간격을 두지 않는 조밀배치방법과 수목의 수관을 고려하여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하는 이격배치방법을 사용하는데, 상기 조밀배치방법 또는 이격배치방법에 의해 배치된 4L 용적용 제 1 컨테이너 및 12L 용적용 제 2 컨테이너는 각각 상호 간에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10)와 파이프 및 와이어 등을 통해 고정한다. 즉, 다수개의 제 1 컨테이너끼리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10)를 통해 고정하고, 다수개의 제 2 컨테이너끼리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10)를 통해 고정하여 배치한다.
여기서, 상기 제 3 컨테이너와 제 4 컨테이너는 이격배치방법에 의해 배치한 상태에서 이격된 사이에 지주(기둥)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그 지주(기둥)에 연결형 당김줄을 결착한 상태에서 수목도 고정시켜 바람에 넘어지지 않도록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10)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측에 컨테이너(1)와 컨테이너(1) 또는 컨테이너(1)와 와이어(2)를 상호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홈(11)이 형성되고, 상기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10)의 상측에는 수평으로 파이프(3)가 결합되도록 결합홈(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2개의 고정홈(11) 사이에는 컨테이너(1) 또는 와이어(2)가 고정홈(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압착돌기(13)가 고정홈(11)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착돌기(13)는 끝단부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컨테이너(1) 또는 와이어(2)가 고정홈(11)에 용이하게 삽입시키는 동시에 삽입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제 1 컨테이너 및 제 2 컨테이너의 상부와 하부에는 4개의 연결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은 한쌍씩 수평선상으로 동일하게 형성되어 하우스 파이프를 넣을 수 있어 재배수목과 용기가 바람에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한다.
한편, 컨테이너의 윗면에 풀과 뿌리의 고온/저온 피해 방지를 위한 원형의 플라스틱판을 더 설치하는데, 상기 플라스틱판은 컨테이너의 위에 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고온과 저온으로 인한 수목 뿌리의 고온/저온 피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윗면에 구멍(원형 1㎝)이 형성된다. 이때, 유사 사례로 코코피트 등을 컨테이너 위에 올려놓아 풀이나는 것을 방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에 대해 상세한 설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기술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체계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대묘의 수목 식재 및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기대묘의 야외생육시설 포지구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형 당김줄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수 시설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목의 수목 식재 및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 수목의 야외생육시설 포지구축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수목의 수목 식재 및 배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수목의 연결형 당김줄 설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형수목의 개별관수를 나타낸 상세도이다.
도 4 내지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은 이하의 [표 3]과 같이, 1~2년생 묘목을 4L 용적의 제 1 컨테이너에 식재하여 잔뿌리가 발달한 용기대묘를 생산하고, 이를 12L 용적의 제 2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중간목으로 키운 후, 이를 다시 50L 용적의 제 3 컨테이너에서 생장시켜 뿌리발달이 우수한 컨테이너 조경수를 생산하는 단계별 생산체계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용기대묘 생산은 1~2년생 묘목(종자발아/삽목묘, 수고 0.2~0.3m)을 용적 4L의 ‘육묘용 용기’즉 제 1 컨테이너에 식재하고 1~2년간 재배하여 3~4년생 대묘를 생산하는 것이다. 중간목 생산은 3~4년생 대묘를 용적 12L의 ‘수목재배용 용기’즉 제 2 컨테이너에 이식(식재)하고 2년간 재배하여 5~6년생 중간목를 생산하는 것이다. 소형수목 생산은 중간목을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이용해 50L 용적으로 제작한 제 3 컨테이너에 이식(식재)하고 2년간 재배하여 침엽수는 수고 2m 내외의, 활엽수는 근원직경 6㎝ 내외의 뿌리발달이 우수한 컨테이너 조경수를 생산하는 것이다.
즉, 생산 단계를 용기대묘, 중간목 및 소형수목으로 구분하고, 각 단계마다 적정한 용적의 뿌리발달 촉진용 컨테이너를 적용해 식재 및 배치하고, 생육환경조절(생장관리)을 통해 일정 기간 내에 출하 목표 규격에 적합한 수목을 생산하는 것이다. 생장 단계마다 적정한 생육시설 구축, 재배용기 및 생육상토 준비, 수목 식재 및 배치, 생육환경조절(생장관리), 출하의 과정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측백나무, 서양측백, 에메랄드그린 등 측백나무류 소형수목(수고 2.0~2.5m)을 생산하는 구체적인 실시 예는 하기와 같다.
Figure 112020103121532-pat00003
1. 용기대묘 생산 실시예
* 개요: 1~2년생 묘목(종자발아/삽목묘, 수고 0.2~0.3m)을 용적 4L 컨테이너에 식재하고 1~2년간 재배하여 3~4년생 대묘(수고 0.6~0.8m)를 생산한다.
1-1. 생육시설 구축
* 시설 형태
- 대상 수목이 어린 묘목이므로 야외보다는 생육환경 조절 측면에서 비닐온실이 유리하다.
- 비닐온실 설치 기준은 농촌진흥청의 내재해형 비닐하우스시설 규격에 따르되, 1동의 크기는 폭 7~8m ×길이 50m 내외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 연동형이 단동형에 비해 공간 효율성, 가장자리 관수 등에서 유리하다. 단동형으로 설치 시에는 동간격을 2m 정도 이격한다.
- 길이방향은 균일한 일조에 유리하도록 남북방향으로 배치한다.
- 출입문의 크기는 1톤 화물차 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
* 바닥면 처리
- 바닥면은 쇄석(자갈), 블록, 벽돌 등으로 마감하고 그 위에 제초매트를 설치하여 원활한 배수를 도모하면서 잡초 발생을 방지한다.
* 배수 시설
- 비닐온실 가장자리에는 반드시 배수로를 설치하여 온실 내부로 우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 또한, 내부에도 암거배수로를 설치하여 관수 시 신속한 배수를 통해 이끼나 균의 발생을 억제한다.
* 관수 및 시비 시설
- 관수 시설은 도 4와 같이, 관정(+수중펌프)-물탱크(저수조)-모터(+여과기) 및 작동패널-관수 본선(50㎜)-관수 지선(25㎜)-미니스프링클러 등의 순으로 구성한다.
- 관정은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수중펌프 설치가 가능한 중형 이상이 바람직하며, 수중펌프(관정 내)와 수위센서(물탱크 내)를 연계 설치하여 물탱크에는 물이 항상 저류되도록 자동제어한다.
- 물탱크 용량은 최소 1회 관수할 수 있는 수량을 확보해야 한다. 일례로, 폭 7m×길이 50m 비닐온실 1동에 100L/h 미니스프링클러 100개를 설치하면 1시간 소요 수량은 약 10톤(10,000L)이다.
- 3마력 모터 1개는 상기 예시의 미니스프링클러를 설치한 비닐온실 3동을 관수할 수 있다.
- 모터에는 반드시 각종 찌꺼기를 걸러주는 여과기를 설치하여 미니스프링클러 노즐이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 작동패널은 자동 및 수동 조작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자동설정용 타이머는 24시간용보다는 일주일용 전자타이머가 관수 관리에 효율적이다.
- 관수 본선은 모터에서 비닐온실까지 연결하는데 적용하고 직경 50㎜ 농수관 또는 PE관을 사용한다.
- 관수 지선은 비닐온실 내에서 본선에서 분기시켜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며, 직경 25㎜ 연질관을 사용하고 폭 7m 비닐온실에 3줄을 설치한다.
- 미니스프링클러는 SS(2구)형 100L/h를 관수 지선에 1.5m 간격으로 설치한다. SS(2구)형은 UD(1구)형보다 물 입자가 조금 더 세밀해 어린 묘목 재배에 더욱 적합하다.
- 시비 시설은 양액탱크와 반자동 양액혼합기로 구성하며, 관수 본선에 반자동 양액혼합기를 연결하여 관수 시 양액이 일정 농도로 혼합되도록 한다.
1-2. 재배용기 및 생육상토 준비
* 컨테이너(재배용기)
- 4L 용적의 제 1 컨테이너(본 출원인의 특허 제10-0761546호, 육묘용 용기)를 사용하여 잔뿌리 발달을 촉진하고 나선형뿌리를 제어한다.
- 이 제 1 컨테이너는 측면에 뿌리가 공기에 쉽게 노출되어 단근(뿌리가 끊어짐)을 유도하는 공기단근용 개구선(64개)이 있다. 이들 개구선은 재배하는 용기내부의 뿌리가 건조되면서 세근이 왕성하게 발달되도록 유도함과 동시에 자라나오는 뿌리가 외부로 쉽게 노출되도록 설계되었다. 일반적인 용기의 경우 측면에 공기단근용 개구선이 없다.
- 비이상적으로 뿌리가 옆으로 자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뿌리방지선(8개)을 만들어 뿌리가 아래로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공기단근용 개구선으로 뿌리가 유도되도록 하였다.
- 용기 최하단부의 공기단근용 개구선(8개)은 수분이 공급되었을 때 과도한 수분을 쉽게 배출되도록 하였다. 용기 바닥은 막혀있고 측면으로 뿌리가 뻗어나가는 유도선을 만들어 뿌리가 용기 최하단부의 개구선으로 나가게 하였다. 따라서 용기 최하단부의 개구선은 공기단근, 수분배출 및 측면으로 뿌리를 유도하는 기능을 가지며, 다른 개구선에 비하여 더 큰 것을 볼 수 있다.
- 용기내부 최하단부가 지면보다 약간 높게 되도록 턱(0.3㎝)을 설계하여 측면으로 자라나온 뿌리가 바로 지면에 닿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일반적인 용기가 필요로 하는 용기받침대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온실 내부와 일반 야외에서도 양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경제적인 용기이다.
* 생육상토
- 생육상토는 원예용 상토를 사용한다.
- 혼합비는 코코피트 67%, 피트모스 12%, 질석 8%, 펄라이트 9.5%, 제오라이트 3.27% 등이다.
1-3. 수목 식재 및 배치
* 묘목 반입
- 식재하는 묘목은 파종 또는 삽목 1~2년생으로서 수고가 0.2~0.3m이다.
- 전날 오후에 상차 작업을 하고 식재 당일 아침에 현장에 도착하도록 하며, 하차 즉시 뿌리분이 건조되지 않도록 차광 처리한다.
- 아침에 반입한 묘목은 당일에 모두 식재하여야 하며, 이 작업량에 따라 묘목, 인력, 작업공간 등을 준비한다.
* 수목 식재 및 배치
- 묘목의 분 크기를 반영해 컨테이너 바닥에 일정 깊이로 생육상토를 채운다. 이 과정은 묘목이 심식(深植)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조치이며 컨테이너 용적을 최대로 반영하기 위함이다. 심식된 묘목은 뿌리 호흡 불량으로 인해 생장이 저조하거나 고사한다.
- 채운 생육상토 위에 묘목을 수직으로 세우고 생육상토를 마저 채운 후, 가장자리를 따라 손가락을 수직으로 질러 묘목이 넘어지지 않을 정도로 다짐을 한다. 이 때 손바닥으로 표면을 눌러 다지지 않아야 한다. 손바닥을 이용한 표면 다짐은 관수한 물이 용기 내로 원활하게 침투되는 것을 저해한다.
- 도 5와 같이, 폭 7m 온실의 경우, 중앙에 1.2m 폭의 작업통로를 확보하고 그 양측으로 용기받침대(폭 방향 1.2m ×길이방향 1.0m)를 2개씩 배치한다. 용기 받침대 위에 묘목을 식재한 컨테이너를 서로 밀착되도록 조밀하게 배치한다.
- 즉, 길이방향 1m 당 120주가 배치되며 7×50m 비닐온실 1동에서 5,000~5,500주를 생산할 수 있다(평균 생산능력 1,500주/100㎡).
* 초기 관수(물다짐)
- 식재 및 배치가 완료되면 당일 바로 생육상토 바닥면까지 촉촉하게 젖도록 충분하게 관수한다. 이 초기 관수는 식재 묘목의 활착은 물론 초기 흐트러졌던 생육상토를 뿌리분과 밀착시키면서 자연스럽게 다지는 물다짐 효과가 있다.
- 관수 후(대개 다음날 아침)에는 반드시 현장점검을 통해 넘어진 수목을 바로 세운다. 또한, 군데군데 몇 개체를 대상으로 분을 열어 관수가 바닥까지 충분하게 되었는지 눈으로 확인한다.
- 식재 초기 며칠 동안에는 위 과정을 매일 실시하는데, 수일 내에 넘어지는 묘목 없이 안정화 된다.
* 지주(도복방지 처리)
- 식재 묘목의 크기가 작고 컨테이너끼리 밀착되어 있어, 별도의 도복방지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된다.
1-4. 생육환경제어 및 수목관리
* 현장점검
- 수목이 왕성하게 생장하는 봄~여름에는 매일 현장을 점검하며, 선선해지는 가을부터 그 점검 주기를 점차적으로 줄여 겨울에는 주 1회 정도 실시해도 무난하다.
- 주요 점검 항목은 비닐온실 내 온도, 용기 내 토양수분, 수목의 활력도(잎 색), 병,충해 발생 여부, 잡초 발생 여부 등이며, 이상 현상이 발견되는 즉시 진단 및 처방을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 관수관리
- 관수관리는 컨테이너 내 생육상토가 마르거나 과습하지 않도록 적정량의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며, 여름철 고온기에는 미스트관수를 통해 비닐온실 내 온도를 낮추는 역할도 겸한다.
- 수목 생장이 왕성한 봄~여름에는 주 3~4회(1시간/회)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가을에는 그 횟수를 점차적으로 줄인다. 겨울에도 월 1~2회 정도 관수를 실시해야 한다.
- 하루 중 관수 시기는 아침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만, 겨울에는 기온이 높아진 정오 전후가 좋다.
- 주 1회 수목을 컨테이너에서 뽑아 뿌리분 전체에 대한 토양수분 상태를 확인하고, 생장변화, 계절변화 등에 따른 관수량을 가감 조정해야 한다.
* 차광관리
- 차광관리는 차광망을 이용해 고온기 동안 비닐온실 내 기온을 35℃ 이하로 관리하기 위한 사전 조치이다.
- 차광망은 차광율 35~50%인 것을 이용하고 6월에 설치하고 9월에 제거한다. 설치 및 제거 시기는 그 해의 계절변화를 반영해 조정한다.
- 차광 처리에도 불구하고 여름철 낮 동안에는 비닐온실 내 기온이 35℃ 이상으로 상승할 수 있는데, 이때는 미스트관수로 기온을 낮춰 주어야 한다.
* 시비관리
- 시비관리는 수목 생장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양액혼합기를 이용해 저농도의 액비를 관수와 함께 실시한다(엽면시비 효과도 도모한다).
- 비료는 물에 잘 녹고 이물질이 없는 멀티피드(20:20:20)를 이용한다.
- 농도는 초기에는 500배액으로 시작해 수목이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그 농도를 높여준다.
- 시비 기간은 봄~여름으로 한정한다. 가을에는 시비를 하지 않는 것이 겨울철 동해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 제초관리
- 현장점검 시 컨테이너 내 잡초를 확인하여 반드시 발생 초기(어릴 때)에 뿌리까지 뽑아 제거한다.
-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제초 작업을 수월하게 하고 수목과 잡초 간 컨테이너 내 뿌리경합도 줄여준다.
- 바닥면을 포함해 이끼가 발견되면 물리적으로 제거한 후 해당 약제를 살포한다. 이끼는 비닐온실 내 균 발생을 조장하며 작업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 병,충해관리
- 현장점검 때 병해나 충해 발생 여부를 눈으로 예찰하고, 징조 발견 즉시 해당 병,충해에 적합한 농약을 수목은 물론 바닥면도 젖도록 충분하게 살포한다.
- 예방 차원에서는 스미치온(살충제), 다이센엠45(살균제), 전착제를 혼합해 살포해 준다.
- 살충제나 살균제는 2~3종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반복살포에 따른 약제 내성을 줄인다.
* 수형관리(배치간격 조정)
- 측백나무류는 별도의 전지/전정 없이 자연형으로 관리한다.
- 수목이 생장함에 따라 수관끼리 붙어 삭정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생장속도를 반영해 컨테이너 배치간격을 넓혀준다.
- 대개 식재 당년에는 컨테이너끼리 밀착배치를 유지하고, 2년차에 컨테이너 간 10~20㎝ 이격되도록 간격을 조정한다.
* 풍해관리
- 강풍이 부는 날에는 측창과 출입문을 닫아 수목이 넘어지는 것을 예방한다.
- 태풍 시에는 모든 창과 출입문을 닫고 견고히 고정하여 바람 유입을 최소화함으로써 비닐온실 자체가 손상되는 것을 제어한다. 또한, 비닐이 찢어진 곳이 있는지 꼼꼼히 점검하고 보수테이프를 붙여 수선한다.
- 비닐온실의 설계강도 이상인 매우 강한 태풍 때에는 비닐을 찢는 조치를 통해 프레임이 손상되는 것을 완화할 수 있다.
* 월동관리
- 겨울에는 모든 창과 출입문을 닫아 찬바람에 의한 동해를 예방하되, 한낮에는 창을 열어 환기를 실시한다.
- 건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겨울에도 월 1~2회 정도 관수를 실시해야 하며, 기온이 높아진 정오 전후가 좋다.
1-5. 다음 단계 이식 내지 출하
- 생산 목표 규격은 수고 0.6~0.8m이며, 중간목 생산을 위해 좀 더 큰 용적의 컨테이너에 이식하거나 중간목 생산자에게 판매한다.
- 검수: 스타프 또는 막대자를 이용해 구매자가 요청한 수고 및 수관폭 기준에 부합하는 수목만 선별해 출하하며, 규격미달로 인한 반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 상차: 컨테이너 수목은 뿌리발달이 우수해 노지 수목과 달리 뿌리분을 감싸는 별도의 조치가 불필요하다. 상차 직전에 수목을 컨테이너에서 분리해 화물차에 적재한다. 그리고 차광망 등으로 덮어 이동 중에 뿌리분이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2. 중간목 생산 실시예
* 개요: 3~4년생 대묘(수고 0.6~0.8m)를 용적 12L 컨테이너에 이식(식재)하고 2년간 재배하여 5~6년생 중간목(수고 1.2~1.5m)를 생산한다.
2-1. 생육시설 구축
* 시설 형태
- 식재 수목이 잔뿌리를 발달시킨 3~4년생 대묘이므로, 관수, 시비 등 최소한의 생육환경 조절 시설을 구비한 야외생육시설이 시설구축 측면에서 유리하다.
- 도 6과 같이, 각 포지의 크기는 폭 7~8m ×길이 50m 내외로 구성하고, 길이방향은 균일한 일조에 유리하도록 남북방향으로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 주작업로는 폭 3m 정도로 2개 포지마다 설치하여 1톤 화물차의 출입이 가능하게 하고, 보조작업로는 폭 1.0~1.5m 정도로 매 포지마다 설치한다.
* 바닥면 처리
- 바닥면은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다짐을 철저하게 한다. 부등침하로 낮아진 곳에는 빗물 또는 관수한 물이 고여 수목의 뿌리를 썩게 할 수 있다.
- 그리고, 쇄석(자갈), 블록, 벽돌 등으로 마감하고 그 위에 제초매트를 설치하여 원활한 배수를 도모하면서 잡초 발생을 방지한다.
* 배수 시설
- 각 포지에는 작업로를 따라 반드시 배수로를 설치하여 빗물과 관수한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게 한다.
* 지주(도복방지) 시설
- 도 7과 같이, 연결형 당김줄을 설치할 지주(기둥)는 지름 48㎜ ×길이 2.2~2.5m 하우스파이프를 이용하여 지상 1.5~1.8m 높이로, 지중 약 0.7m 깊이로, 폭 방향 0.5m ×길이 방향 7~10m 간격으로 설치한다.
* 관수 및 시비 시설
- 관수 시설은 전기한 묘목생산과 유사하게 관정(+수중펌프)-물탱크(저수조)-모터(+여과기) 및 작동패널-관수 본선(50㎜)-관수 지선(25㎜)-미니스프링클러 등의 순으로 구성한다.
- 관정, 물탱크, 모터, 작동패널, 관수 본선 및 지선, 시비 시설 등 동일한 내용은 중복 기술을 생략한다(전기한 1. 용기대묘 생산 실시예 참조).
- 도 8과 같이, 미니스프링클러는 용량 100L/h 이상의 UD(1구)형을 관수 지선에 1.5m 간격으로 설치한다. 야외생육시설에서는 UD(1구)형이 SS(2구)형보다 물 입자가 더 굵어 바람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 미니스프링클러는 지면에서 약 2.2m 높이(용기높이 0.25m+목표수고 1.2~1.5m+분사각 여유고)로 설치함이 바람직하며, 향후 수목 출하(판매) 시 포지 내에 1톤 화물차 출입이 용이하다.
2-2. 재배용기 및 생육상토 준비
* 컨테이너(재배용기)
- 12L 용적의 제 2 컨테이너(본 출원인의 특허 제10-1363362호, 수목재배용 용기)를 사용하여 잔뿌리 발달을 촉진하고 나선형뿌리 발생을 제어한다.
- 이 컨테이너의 뿌리발달을 촉진하는 개구선과 방지선은 앞에서 설명한 육묘용 용기와 유사하다. 가장 큰 차이점은 역계단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로 자라는 뿌리가 4개의 계단 턱에서 멈추면서 옆의 개구선으로 유도하여 세근을 발생시키도록 설계되어 있다.
- 또한 겨울 추위 및 여름 고온에 의한 뿌리 피해와 수목이 바람에 쓰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용기를 겹쳐 넣고 재배하는 ‘지중 이중재배’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 생육상토
- 생육상토는 원예용 상토와 마사토를 1:1(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 원예용 상토 혼합비는 전기와 같이 코코피트 67%, 피트모스 12%, 질석 8%, 펄라이트 9.5%, 제오라이트 3.27% 등이다.
- 마사토는 입자가 굵은 것을 사용하여 배수력을 높이면서 건조에 의한 경화도 완화한다.
- 마사토는 원예용 상토보다 비용 면에서 저렴할 뿐만 아니라 자체 중량으로 바람에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2-3. 수목 이식 및 배치
* 용기대묘 준비
- 식재하는 수목은 3~4년생 용기대묘로서 수고가 0.6~0.8m이다.
- 전날 아침에 충분히 관수한 후 오후에 상차 작업을 실시하고 이식 당일 아침에 현장에 도착하도록 하며, 하차 즉시 뿌리분이 건조되지 않도록 차광 처리한다.
- 가급적 수목이 컨테이너에 심겨진 상태로 상차/이동하고, 이식 직전에 컨테이너에서 수목을 분리하는 것이 더욱 좋다.
- 반입한 수목은 당일에 모두 이식하여야 하며, 이 작업량에 따라 수목, 인력, 작업공간 등을 준비한다.
* 컨테이너 이식 및 배치
- 수목의 분 크기를 반영해 컨테이너 바닥에 일정 깊이로 배합토를 채운다. 이 과정은 수목이 심식(深植)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조치이며 컨테이너 용적을 최대로 반영하기 위함이다. 심식된 수목은 뿌리의 호흡 불량으로 인해 생장이 저조하거나 고사한다.
- 수목을 수직으로 세우고 배합토를 마저 채운 후, 가장자리를 따라 손가락을 수직으로 질러 수목이 넘어지지 않을 정도로만 다짐을 한다. 이 때 손바닥 등으로 표면을 눌러 다지지 않아야 한다. 표면 다짐 또는 강한 다짐은 식재 후에 실시하는 물다짐 작업을 어렵게 한다.
- 대묘를 식재한 컨테이너는 도 9와 같이, 측백나무류의 목표규격인 H1.2×W0.4~H1.5×W0.5를 반영해 0.5×0.5M 간격으로 포지에 배치한다. 이 배치에 따른 생산능력은 280~300주/100㎡이다(작업로 반영).
* 물다짐(초기 관수)
- 식재 및 배치가 완료되는 즉시 배합토와 뿌리분을 밀착시키는 물다짐을 실시한다. 기울어진 수목은 물다짐 때 수직으로 바로 세우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한다.
- 물다짐은 개별 컨테이너 내부에 물 호스를 질러 넣는 방법으로 실시한다. 물에 의해 흐트러진 배합토가 자연스럽게 다져지도록 하면서 초기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한다. 이 때 수압은 배합토가 파이거나 흘러넘치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조절해야 한다.
* 연결형 당김줄 설치(도복방지 처리)
- 전기한 기반시설 구축 시 설치한 지주(기둥)에 연결형 당김줄을 이용해 수목을 고정시켜 바람에 넘어지지 않도록 처리한다.
2-4. 생육환경제어 및 수목관리
* 현장점검
- 수목이 왕성하게 생장하는 봄~여름에는 매일 현장을 점검하며, 선선해지는 가을부터 그 점검 주기를 점차적으로 줄여 겨울에는 주 1회 정도 실시해도 무난하다.
- 주요 점검 항목은 용기 내 토양수분, 수목의 활력도(잎 색), 병,충해 발생 여부, 잡초 발생 여부 등이며, 이상 현상이 발견되는 즉시 진단 및 처방을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 관수관리
- 관수 관리는 컨테이너 내 배합토가 마르거나 과습하지 않도록 적정량의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 수목 생장이 왕성한 봄~여름에는 주 3~4회(1시간/회)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가을에는 그 횟수를 점차적으로 줄인다. 겨울에도 월 1~2회 정도 관수를 실시해야 한다.
- 하루 중 관수 시기는 아침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만, 겨울에는 기온이 높아진 정오 전후가 좋다.
- 주 1회 수목을 컨테이너에서 뽑아 뿌리분 전체에 대한 토양수분 상태를 확인하고, 생장변화, 계절변화 등에 따른 관수량을 가감 조정해야 한다.
* 시비관리
- 시비 관리는 수목 생장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양액혼합기를 이용해 저농도의 액비를 관수와 함께 실시한다(엽면시비 효과 도모).
- 비료는 물에 잘 녹고 이물질이 없는 멀티피드(20:20:20)를 이용한다.
- 농도는 초기에는 500배액으로 시작해 수목이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그 농도를 높여준다.
- 시비 기간은 봄~여름으로 한정한다. 가을에는 시비를 하지 않는 것이 겨울철 동해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 제초관리
- 현장 점검 시 컨테이너 내 잡초를 확인하여 반드시 발생 초기(어릴 때)에 뿌리까지 뽑아 제거한다.
-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제초 작업을 수월하게 하고 수목과 잡초 간 컨테이너 내 뿌리경합도 줄여준다.
- 바닥면을 포함해 이끼가 발견되면 물리적으로 제거한 후 해당 약제를 살포한다. 이끼는 균 발생을 조장하며 작업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 병,충해관리
- 현장점검 때 병해나 충해 발생 여부를 눈으로 예찰하고, 징조 발견 즉시 해당 병,충해에 적합한 농약을 수목은 물론 바닥면도 젖도록 충분하게 살포한다.
- 예방 차원에서는 스미치온(살충제), 다이센엠45(살균제), 전착제를 혼합해 살포해 준다.
- 살충제나 살균제는 2~3종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반복살포에 따른 약제 내성을 줄인다.
* 수형관리
- 측백나무류는 별도의 전지/전정 없이 자연형으로 관리한다.
- 수목이 생장함에 따라 일부 개체는 수관끼리 붙어 삭정이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개체들은 컨테이너 배치간격을 약간씩 조정해 준다.
* 풍해관리
- 강풍이나 태풍 후에는 넘어지거나 뿌리분이 흔들린 수목이 있는지 확인한다.
- 넘어진 수목은 바로 세우고 당김줄과 재결속한다.
- 뿌리분이 흔들린 수목은 물다짐을 통해 뿌리와 배합토를 밀착시킨다.
* 월동관리
- 포지 가장자리를 따라 차광망 내지 방풍망을 설치하여 찬바람에 의한 동해를 예방한다.
- 건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겨울에도 월 1~2회 정도 관수를 실시하며, 기온이 높아진 정오 전후가 좋다.
2-5. 다음 단계 이식 내지 출하
- 생산 목표 규격은 수고 1.2~1.5m이며, 소형수목 생산을 위해 좀 더 큰 용적의 컨테이너에 이식하거나 조경수 생산자에게 중간목으로 판매한다.
- 검수: 스타프 또는 막대자를 이용해 구매자가 요청한 수고 및 수관폭 기준에 부합하는 수목만 선별해 출하하며, 규격미달로 인한 반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 상차: 컨테이너 수목은 뿌리발달이 우수해 노지 수목과 달리 뿌리분을 감싸는 별도의 조치가 불필요하다. 상차 직전에 수목을 컨테이너에서 분리해 화물차에 적재한다. 그리고 차광망 등으로 덮어 이동 중에 뿌리분이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3. 소형수목 생산 실시예
* 개요: 중간목(수고 1.2~1.5m)을 용적 50L 제 3컨테이너에 이식(식재)하고 약 2년간 재배하여 수고 2m 내외의 소형수목을 생산한다.
3-1. 생육시설 구축
* 시설 형태
- 관수, 시비, 지주 등 최소한의 생육환경 조절 시설을 구비한 야외생육시설에서 재배한다.
- 포지의 크기는 도 10과 같이, 폭 15m 이내 ×길이 50m 내외로 구성하고, 길이방향은 균일한 일조에 유리하도록 남북방향으로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 주작업로는 크레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폭 4~6m 정도로 2개 포지마다 설치하며, 보조작업로는 폭 3m 정도로 매 포지마다 설치하여 1톤 화물차의 출입이 가능하게 한다.
* 바닥면 처리
- 바닥면은 부등침하가 일어나지 않도록 다짐을 철저하게 한다. 부등침하로 낮아진 곳에는 빗물 또는 관수한 물이 고여 수목의 뿌리를 썩게 할 수 있다.
- 그리고, 쇄석(자갈), 블록, 벽돌 등으로 마감하고 그 위에 제초매트를 설치하여 원활한 배수를 도모하면서 잡초 발생을 방지한다.
* 배수 시설
- 각 포지에는 작업로를 따라 반드시 배수로를 설치하여 빗물과 관수한 물이 신속하게 배수되게 한다.
* 지주(도복방지) 시설
- 연결형 당김줄을 설치할 지주(기둥)는 지름 48㎜ ×길이 2.2~2.5m 하우스파이프를 이용하여 지상 1.5~1.8m 높이로, 지중 약 0.7m 깊이로, 폭 방향 1m ×길이 방향 7~10m 간격으로 설치한다.
* 관수 및 시비 시설
- 관수 시설은 관정(+수중펌프)-물탱크(저수조)-모터(+여과기) 및 작동패널-관수 본선(50㎜)-관수 지선(25㎜)-관수 스틱 등의 순으로 구성한다.
- 관정, 물탱크, 모터, 작동패널, 관수 본선, 시비 시설 등 전기와 동일한 내용은 중복 기술을 생략한다(전기한 1. 욕기대묘 생산 실시예 참조).
- 관수 지선과 관수 스틱은 수목을 컨테이너에 이식(식재)하고 물다짐을 완료한 이후에 설치한다.
3-2. 재배용기 및 배합토 준비
* 컨테이너(재배용기)
- 50L 용적의 제 3 컨테이너(본 출원인 실용신안 제20-0467477호, 화분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화분 제조용 부재)를 조립해 사용하며 잔뿌리 발달을 촉진하고 나선형뿌리 발생을 제어한다.
- 50L 용적의 제 3 컨테이너는 높이 40㎝×직경 40㎝로 제작하되, 길이는 2m로 재단하고 겹쳐서 조립함으로써 향후 중형수목용으로 용적 확장(최대 직경 60㎝, 용적 110L)이 용이하도록 준비한다.
- 당사 실용신안은 수목의 크기(규격)에 따라 적용할 컨테이너의 크기(용적)도 달라지기 때문에 그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컨테이너를 제작하도록 개발한 것이다. 이 컨테이너는 판상형으로서 적정 길이로 잘라 원통형으로 조립함으로써 수목 규격에 적합한 다양한 용적의 컨테이너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작은 공간에 손쉽게 보관할 수 있으며, 생산한 수목을 판매할 때 수목과 컨테이너를 쉽게 분리할 수 있다.
- 내측으로 돌출된 오목돌기와 외측으로 돌출된 볼록돌기로 구성된 판상형 구조이고 볼록돌기에는 관통 홀이 형성되어 있다. 돌기는 뿌리가 컨테이너 측면을 따라 도는 나선형 뿌리발생을 제어하면서 뿌리를 바깥쪽으로 유도한다. 이렇게 유도된 뿌리는 볼록돌기의 관통홀에 의한 공기단근 효과를 통해 잔뿌리 발달이 촉진된다.
* 생육상토
- 생육상토는 원예용 상토와 마사토를 1:1(부피비)로 혼합하여 사용한다.
- 원예용 상토 혼합비는 전기와 같이 코코피트 67%, 피트모스 12%, 질석 8%, 펄라이트 9.5%, 제오라이트 3.27% 등이다.
- 마사토는 입자가 굵은 것을 사용하여 배수력을 높이면서 건조에 의한 경화도 완화한다.
- 마사토는 원예용 상토보다 비용 면에서 저렴할 뿐만 아니라 자체 중량으로 바람에 쉽게 쓰러지지 않도록 제어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3-3. 수목 이식 및 배치
* 중간목 준비(반입)
- 식재하는 수목은 5~6년생 중간목으로서 수고가 1.2~1.5m이다.
- 전날 아침에 충분히 관수한 후 오후에 상차 작업을 실시하고 이식 당일 아침에 현장에 도착하도록 하며, 하차 즉시 뿌리분이 건조되지 않도록 차광 처리한다.
- 가급적 수목이 컨테이너에 심겨진 상태로 상차/이동하고, 이식 직전에 컨테이너에서 수목을 분리하는 것이 더욱 좋다.
- 반입한 수목은 당일에 모두 이식하여야 하며, 이 작업량에 따라 수목, 인력, 작업공간 등을 준비한다.
* 컨테이너 배치 및 이식
- 도 11과 같이, 50L 용적으로 조립한 제 3 컨테이너를 상기한 지주(기둥) 시설에 맞추어 폭 방향 1.0m, 길이 방향 0.75m 간격으로 배치한다.
- 수목의 분 크기를 반영해 컨테이너 바닥에 일정 깊이로 배합토를 채운다. 이 과정은 수목이 심식(深植)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조치이며 컨테이너 용적을 최대로 반영하기 위함이다. 심식된 수목은 뿌리의 호흡 불량으로 인해 생장이 저조하거나 고사한다.
- 수목을 수직으로 세우고 배합토를 마저 채우되, 물다짐으로 가라앉는 것을 고려해 컨테이너보다 약간 높게 충분히 채운다. 이 때 표면을 눌러 다지지 않아야 하며, 다짐은 식재 후에 실시하는 물다짐 작업을 어렵게 한다.
* 물다짐(초기 관수)
- 이식(식재)이 완료되는 즉시 배합토와 뿌리분을 밀착시키는 물다짐을 실시한다. 기울어진 수목은 물다짐 때 수직으로 바로 세우는 작업을 동시에 실시한다.
- 물다짐은 개별 컨테이너 내부에 물 호스를 질러 넣는 방법으로 실시한다. 물에 의해 흐트러진 배합토가 자연스럽게 가라앉으면서 다져지고 초기에 충분한 수분 공급을 도모한다. 이 때 수압은 배합토가 파이거나 흘러넘치지 않을 정도로 약하게 조절해야 한다.
* 연결형 당김줄 설치(도복방지 처리)
- 도 12와 같이, 전기한 기반시설 구축 시 설치한 지주(기둥)에 연결형 당김줄을 이용해 수목을 고정시켜 바람에 넘어지지 않도록 처리한다.
- 연결형 당김줄은 지름 6㎜ 코팅 와이어가 바람직하며, 당김줄과 수목은 탄성밴드로 고정하는 것이 좋다.
* 관수 지선 및 스틱 설치
- 관수 지선은 도 13과 같이, 본선에서 분기시켜 컨테이너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관수 스틱은 지선에서 분기시켜 각 컨테이너에 설치한다.
- 관수 지선은 컨테이너 2줄마다 1줄을, 관수 스틱은 각 컨테이너에 2개씩 설치한다.
3-4. 생육환경제어 및 수목관리
* 현장점검
- 수목이 왕성하게 생장하는 봄~여름에는 매일 현장을 점검하며, 선선해지는 가을부터 그 점검 주기를 점차적으로 줄여 겨울에는 주 1회 정도 실시해도 무난하다.
- 주요 점검 항목은 용기 내 토양수분, 수목의 활력도(잎 색), 병,충해 발생 여부, 잡초 발생 여부 등이며, 이상 현상이 발견되는 즉시 진단 및 처방을 통해 적절한 조치를 취한다.
* 관수관리
- 관수관리는 컨테이너 내 배합토가 마르거나 과습하지 않도록 적정량의 물을 주기적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 수목 생장이 왕성한 봄~여름에는 주 3~4회 실시함이 바람직하며, 가을에는 그 횟수를 점차적으로 줄인다. 겨울에도 월 1~2회 정도 관수를 실시해야 한다.
- 1회 관수 시 컨테이너 내 배합토 전체가 젖도록 충분하게 실시한다. 이는 관수한 물이 컨테이너 바닥면으로 약간 흘러나오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그 시간은 약 30분 정도이다.
- 하루 중 관수 시기는 아침이 가장 바람직하며, 태양열에 의해 관수라인 내 물이 뜨거워질 수 있어 기온이 높은 시간대는 피하는 것이 좋다.
- 반면, 겨울에는 기온이 높아진 정오 전후가 좋으며, 관수 후에는 반드시 관수라인 안의 물을 모두 배수시켜 동파되지 않도록 한다.
- 주 1회 컨테이너 가장자리를 열어 뿌리분 전체에 대한 토양수분 상태를 확인하고, 생장변화, 계절변화 등에 따른 관수량을 가감 조정해야 한다.
* 시비관리
- 시비 관리는 수목 생장에 필요한 양분을 공급하는 것으로서, 양액혼합기를 이용해 저농도의 액비를 관수와 함께 지속적으로 공급한다.
- 비료는 물에 잘 녹고 이물질이 없는 멀티피드(20:20:20)를 이용한다.
- 농도는 초기에는 500배액으로 시작해 수목이 커짐에 따라 점차적으로 그 농도를 높여준다. 또한, 컨테이너 상부에는 지효성 비료를 포설한다.
- 시비 기간은 봄~여름으로 한정한다. 가을에는 시비를 하지 않는 것이 겨울철 동해를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 제초관리
- 현장 점검 시 컨테이너 내 잡초를 확인하여 반드시 발생 초기(어릴 때)에 뿌리까지 뽑아 제거한다.
- 발생 초기에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제초 작업을 수월하게 하고 수목과 잡초 간 컨테이너 내 뿌리경합도 줄여준다.
- 바닥면을 포함해 이끼가 발견되면 물리적으로 제거한 후 해당 약제를 살포한다. 이끼는 균 발생을 조장하며 작업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를 유발할 수도 있다.
* 병,충해관리
- 현장점검 때 병해나 충해 발생 여부를 눈으로 예찰하고, 징조 발견 즉시 해당 병,충해에 적합한 농약을 수목은 물론 바닥면도 젖도록 충분하게 살포한다.
- 예방 차원에서는 스미치온(살충제), 다이센엠45(살균제), 전착제를 혼합해 살포해 준다.
- 살충제나 살균제는 2~3종을 번갈아 사용하는 것이 반복살포에 따른 약제 내성을 줄인다.
* 수형관리
- 측백나무류는 별도의 전지/전정 없이 자연형으로 관리한다.
- 수목이 생장함에 따라 일부 개체는 수관끼리 붙어 삭정이가 발생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개체들은 컨테이너 배치간격을 약간씩 조정해 준다.
* 풍해관리
- 강풍이나 태풍 후에는 넘어지거나 뿌리분이 흔들린 수목이 있는지 확인한다.
- 넘어진 수목은 바로 세우고 당김줄과 재결속한다.
- 뿌리분이 흔들린 수목은 물다짐을 통해 뿌리와 배합토를 밀착시킨다.
* 월동관리
- 포지 가장자리를 따라 차광망 내지 방풍망을 설치하여 찬바람에 의한 동해를 예방한다.
- 건조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겨울에도 월 1~2회 정도 관수를 실시하며, 기온이 높아진 정오 전후가 좋다. 관수 후에는 반드시 관수라인 안의 물을 모두 배수시켜 동파되지 않도록 한다.
3-5. 출하(판매)
- 생산 목표 규격은 수고 2.0~2.5m, 수관폭 0.6~0.8m이며, 시공현장에 소형수목으로 판매한다.
- 검수: 스타프를 이용해 구매자가 요청한 수고 및 수관폭 기준에 부합하는 수목만 선별해 출하하며, 규격미달로 인한 반품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한다.
- 상차: 검수한 수목을 대상으로 컨테이너를 벗겨내고 녹화마대(폭 40㎝)로 감싼 후 천연밴드로 묶어 이동 중 충격에 의한 뿌리분 손상을 완화한다. 크레인을 이용해 해당 수목을 화물차에 적재하고, 차광망 등으로 덮어 이동 중에 뿌리분이 건조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10 :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 11 : 고정홈
12 : 결합홈 13 : 압착돌기

Claims (5)

  1. 조경수를 생산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묘목을 4L 용적용 제 1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생장시키는 단계;
    (2) 상기 (1) 단계에서 생장시킨 수목을 12L 용적용 제 2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중간 수목으로 생장시키는 단계;
    (3) 상기 (2) 단계에서 생장시킨 중간 수목을 50L 용적용 제 3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소형 수목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4L 용적용 제 1 컨테이너와 12L 용적용 제 2 컨테이너는 지상재배 방식으로써 컨테이너와 컨테이너의 간격을 두지 않는 조밀배치방법과 수목의 수관을 고려하여 소정 간격을 이격하여 배치하는 이격배치방법을 사용하는데, 상기 조밀배치방법 또는 이격배치방법에 의해 배치된 다수개의 컨테이너를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를 통해 고정하고,
    상기 전도방지용 연결 고정구는 하측에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또는 컨테이너와 와이어를 상호 연결시켜 고정시키는 2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수평으로 파이프가 결합되도록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2개의 고정홈 사이에는 컨테이너 또는 와이어가 고정홈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압착돌기가 고정홈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압착돌기는 끝단부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컨테이너 또는 와이어가 고정홈에 용이하게 삽입시키는 동시에 삽입 후에는 쉽게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 단계 후, 수목의 생산조건에 따라,
    (4) 상기 (3) 단계에서 생장시킨 소형 수목을 100L 용적용 제 4 컨테이너에 이식하여 중형 수목을 생산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25759A 2020-09-28 2020-09-28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KR102218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759A KR102218756B1 (ko) 2020-09-28 2020-09-28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5759A KR102218756B1 (ko) 2020-09-28 2020-09-28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756B1 true KR102218756B1 (ko) 2021-02-23

Family

ID=74688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5759A KR102218756B1 (ko) 2020-09-28 2020-09-28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756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136U (ja) * 1994-01-13 1994-08-02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パイプ連結具
JP2000092995A (ja) * 1998-09-28 2000-04-04 Nkk Corp コンテナ栽培用ポット
KR200251686Y1 (ko) * 2001-08-07 2001-11-22 윤명술 수목 이식용 분
KR20070115046A (ko) * 2006-05-30 2007-12-05 송홍식 원형 테두리의 화분 및 조형물 거치용 행거 고정구
KR20080002951U (ko) * 2007-01-25 2008-07-30 장병호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JP2009195159A (ja) * 2008-02-21 2009-09-0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苗木ポット
KR101052626B1 (ko) * 2011-02-01 2011-08-01 주식회사 녹색조경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의 재배방법
KR20120064801A (ko) * 2010-12-10 2012-06-20 박태근 온실프레임에 결착되는 비닐천고정구 어셈블리
GB2490001A (en) * 2011-04-13 2012-10-17 David Andrew Holt Connectable plant pots having means allowing pots to be joined together
KR20130085149A (ko) * 2012-01-19 2013-07-29 (주)수프로 수목 재배용 용기
KR20140026940A (ko) * 2012-08-24 2014-03-06 주식회사경농 살포기구 고정용 연결구
KR20150050725A (ko) * 2013-10-31 2015-05-11 (주)수프로 수목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0136U (ja) * 1994-01-13 1994-08-02 株式会社リッチェル パイプ連結具
JP2000092995A (ja) * 1998-09-28 2000-04-04 Nkk Corp コンテナ栽培用ポット
KR200251686Y1 (ko) * 2001-08-07 2001-11-22 윤명술 수목 이식용 분
KR20070115046A (ko) * 2006-05-30 2007-12-05 송홍식 원형 테두리의 화분 및 조형물 거치용 행거 고정구
KR20080002951U (ko) * 2007-01-25 2008-07-30 장병호 인삼밭용 차광막 골조 연결구
JP2009195159A (ja) * 2008-02-21 2009-09-03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苗木ポット
KR20120064801A (ko) * 2010-12-10 2012-06-20 박태근 온실프레임에 결착되는 비닐천고정구 어셈블리
KR101052626B1 (ko) * 2011-02-01 2011-08-01 주식회사 녹색조경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의 재배방법
GB2490001A (en) * 2011-04-13 2012-10-17 David Andrew Holt Connectable plant pots having means allowing pots to be joined together
KR20130085149A (ko) * 2012-01-19 2013-07-29 (주)수프로 수목 재배용 용기
KR20140026940A (ko) * 2012-08-24 2014-03-06 주식회사경농 살포기구 고정용 연결구
KR20150050725A (ko) * 2013-10-31 2015-05-11 (주)수프로 수목 생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8584B (zh) 一种高寒高纬度地区冬季鲜食葡萄栽培方法
CN104186141A (zh) 一种果林地仿生套种三叶青的袋式栽培方法
CN101589683B (zh) 使葡萄第二年高产的栽培方法
CN102823404A (zh) 百香果种植方法
CN101292627A (zh) 葡萄硬枝单芽扦插工厂化育苗方法
CN104541912A (zh) 一种用火龙果枝条直接建园的种植方法
CN104145777A (zh) 一种地栽与盆栽葡萄相结合的技术方法
CN105993824A (zh) 一种葡萄的种植方法
CN106105951A (zh) 一种水平直线养拳栽培大棚果桑的方法
CN104756851A (zh) 一种铁皮石斛室内立体种植方法
CN108811876B (zh) 一种藤蔓类植物造型产品培育生产方法
CN104982277A (zh) 一种无土种植桔子树苗快速挂果的训化方法
CN104686280B (zh) 一种套种小麦等粮食作物的葡萄种植方法
KR101331404B1 (ko) 수직형 식물 재배 장치
KR102218756B1 (ko) 컨테이너를 이용한 조경수 생산방법
CN105557489A (zh) 铁皮石斛的槽式栽培方法
CN115039603A (zh) 一种光伏魔芋大棚及其种植技术
CN113728869A (zh) 一种适宜于柠檬反季秋花果栽培的方法
CN109496745B (zh) 一种山药地上立式箱式栽培方法
CN102144463A (zh) 一种茶叶轻基质穴盘苗驯化移栽的方法
CN111820027A (zh) 一种葡萄冷棚促早栽培方法
CN112535058A (zh) 一种葡萄种植的头状整形方法
CN111386958A (zh) 一种盆栽葡萄的培养方法
CN110432055A (zh) 一种桑科榕属植物地果栽培方法
CN110521486A (zh) 北方寒区双棚双膜条件下葡萄栽培技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