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597B1 -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 Google Patents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597B1
KR102218597B1 KR1020200171114A KR20200171114A KR102218597B1 KR 102218597 B1 KR102218597 B1 KR 102218597B1 KR 1020200171114 A KR1020200171114 A KR 1020200171114A KR 20200171114 A KR20200171114 A KR 20200171114A KR 102218597 B1 KR102218597 B1 KR 102218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explosive bomb
explosive
inpu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1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륙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륙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륙정공
Priority to KR102020017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3/00Manufacture of ammunition; Dismantling of ammunition;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3/00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 B23Q3/02Devices hold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tools, of a kind normally removable from the machine for mounting on a work-table, tool-slide, or analogous part
    • B23Q3/06Work-clamping means
    • B23Q3/062Work-clamping means adapted for holding workpieces having a special form or being made from a special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 F42B30/08Ordnance projectiles or missiles, e.g. she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0/00Projectiles or missi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ammunition class or type, e.g. by the launching apparatus or weapon used
    • F42B30/08Ordnance projectiles or missiles, e.g. shells
    • F42B30/10Mortar project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기둥 형태이되, 고폭탄을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일정 두께를 지니되,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면에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 프레임부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투입부 및 프레임부의 중공부는 고폭탄을 삽입 시, 중공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의 내주면과 고폭탄의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가이드홈에 볼 형태의 파편체가 투입될 때, 파편체는 자유낙하 운동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채워져, 고폭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파편체를 고폭탄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위치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A JIG FOR FORMING DEBRIS ON THE SURFACE OF A HIGH EXPLOSIVE SHELL}
본 발명은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기둥 형태이되, 고폭탄을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일정 두께를 지니되,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면에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 프레임부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투입부 및 프레임부의 중공부는 고폭탄을 삽입 시, 중공부를 형성하는 프레임부의 내주면과 고폭탄의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가이드홈에 볼 형태의 파편체가 투입될 때, 파편체는 자유낙하 운동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채워져, 고폭탄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하여 파편체를 고폭탄의 외주면에 균일하게 위치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탄약과 같은 발사체는 신관, 탄두 및 추진부로 구성되며, 신관은 기계식, 화공식 또는 전자식 신관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이러한 신관은 목표물에 충돌하여 폭발하는 충격기능과 설정시간에 의하여 폭발하는 시한기능으로 크게 구분된다. 이러한 기계식/화공식 신관은 일반적으로 충격에 의해 작동하거나, 화공식 지연점화기능을 활용하여 대공포탄 및 자탄 등에 사용되지만, 정밀도측면에서는 전자식 신관에 비해 떨어진다.
이에 비하여 전자식 신관은 기계식/화공식 신관이 갖는 충격기능이나 자폭기능, 지연기능을 포함하여, 시한기능 또는 전파를 이용한 근접기능이 있으며 안전을 위한 자폭기능, 관통 후 폭발하는 충격지연기능 등 다양한 기능의 복합이 가능하다. 이러한 전자식 신관은 소형이면서 정밀하고 다양한 기능을 조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용도에 맞는 소형의 특수한 전원장치 확보와 열악한 환경에 대한 신뢰성 확보 등의 제약이 따른다.
이러한 신관이 이용되는 포발사용 고폭탄 조립체는 탄체 내부에 충진된 고성능 폭약이 폭발할 때 발생되는 고온고압 가스에 의해 탄체가 세열, 비산하면서 생성된 파편에 의해 대인 및 대물 표적을 제압하게 된다.
또한, 고폭탄은 박격포, 야포 등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인마 살상용, 적진지 파괴용으로 사용된다.
8인치 고폭탄을 예로 들면, 탄두 내에는 단조(鍛造 : Forged), 또는 냉각 압축철로 된 비교적 얇은 원통형으로, 탄체 내에 다량의 고폭성 작약이 들어있다.
탄두 내에는 TNT(trinitrotoluene)또는 콤포지션 B(Composition B, 헥소겐과 TNT가 혼합된 화학물질)가 충전되어 있으며, 탄두 끝에는 신관을 결합할 수 있도록 신관공이 설치되어 있다.
신관공에는 보조 작약이 들어있는 깊은 신관공과 보조작약이 없는 표준 신관공이 있으며, 접근신관은 깊은 신관공을 가진 탄두에 사용한다.
한편, 탄체의 고폭성 작약이 폭발하면서 결국 수많은 조각으로 파열되어 사방으로 비산되고, 이때 비산된 탄체의 파편에 의해 사람이나 장비 또는 기계 등에 물리적인 타격을 가함으로써 살상이나 파괴의 효과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대부분의 고폭탄에서 상기 작약에 의해 발생된 폭발 에너지는 초기의 폭발 에너지가 탄체를 파열시키는데 거의 다 소모되어, 실질적으로 비산된 파편의 물리적인 타격으로만 피해효과가 이루어진다. 이는, 파편을 무력화시키는 벙커, 건물, 동굴, 갱도진지, 지하시설 등과 같은 방호시설 내부의 적 인원과 장비에 효율적으로 치명적인 피해를 가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파편이 피해 효과를 가질 수 있는 종말속도에서는 파편의 비산 방향이 거의 직선이므로, 폭발 지점 주변에는 지형에 따라 다양한 사각지대가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은폐 및 엄폐가 가능하다. 즉, 엄폐물 후방이나 건물 내부, 벙커 내부 등의 표적을 제압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내부에 파편 부재를 탄체에 넣어 고착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7-0058697 살펴보면 이에 대한 기술이 명시되어 있다.
전술한 선행특허문헌을 살펴보면, 고폭탄의 외부 몸체 내에 고폭탄의 라이너와 동일 형상으로 형성된 라이너 형상 치구를 삽입한 후 볼 투입 치구를 결합하여 외부 몸체와 라이너 형상 치구 사이에 파편체를 자유낙하시켜 충진한 상태에서 볼 투입 치구를 분리하고, 접착 경화제 주입치구를 나사부에 결합하여 진공호스 및 경화제 주입 호스로 주입 및 배출홀을 통해 진공 상태에서 접착 경화제를 투입한 후 진공호스 및 경화제 주입 호스를 제거후 주입 및 배출홀을 마개로 막아 밀폐시킨 다음 고온으로 가열하여 고폭탄의 외부 몸체 내에 성형 파편체를 고착시키도록 하는 성형 파편체를 구비하는 고폭탄 제조 공법이 게시되어 있다.
하지만, 전술한 선행문헌의 제조 방법은 라이너와 치구를 결합 시, 단순히 나사산을 따라 결합되어 파편을 고폭탄에 고착시키기 위해 투입 시, 유격이 발생되어 균일하게 배열되지 못하며 구성들의 틈 즉 유격이 발생된 부위에서 파편체를 고착시키기 위한 경화제가 흘러내려 파편체를 고폭탄에 부착 시,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선행문헌에서는 라이너 및 치구를 긴밀히 고정하는 수단이 존재하지 않아 파편체를 고폭탄에 주입하는 단계에서 주입을 신속하게 하기 위해 진동을 가하게 되면 구성들 사이에 틈이 발생되거나 구성 간의 결합이 틀어지게 되어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가 균일하게 분포되지 않게 된다.
이에, 고폭탄이 목표물을 타격 시 파편체가 비산되어 목표물에 피해를 가하는 성능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균일하지 못한 파편체의 배열로 인해 고폭탄의 폭발 지점에 올바르게 안착되는 것이 어려워진다.
이에,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균일하게 형성하기 위한 지그가 필요한 실정이다.
KR 10-2017-0058697 A
본 발명의 목적은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균일하게 분포시키고 작업 효율을 증대하는 지그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원기둥 형태이되, 고폭탄의 외주면에 대응되어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일정 두께를 지닌 사각형 형상이되, 프레임부의 하측면에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 및 프레임부와 동일한 직경이되, 프레임부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원판 형상의 투입부를 포함하고, 중공부는 상기 고폭탄을 삽입 시, 중공부를 형성하는 외주면과 고폭탄의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형성하고, 투입부는 볼 형태의 파편체가 투입되고, 파편체는 투입부에서 자유낙하 운동되어 가이드홈을 따라 채워져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할 수 있는 발명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폭탄을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일정 두께를 지니되,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면에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투입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중공부는 상기 고폭탄을 삽입 시,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과 상기 고폭탄의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볼 형태의 파편체가 투입될 때, 상기 파편체는 자유낙하 운동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채워져, 상기 고폭탄의 외주면을 감싼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파편체를 투입 후, 경화제가 상기 가이드홈에 유입되어 상기 파편체를 고정함과 동시에 막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부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투입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연통되고, 경화제를 상기 브라켓부에 주입 시, 상기 투입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경화제가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분되어 탈부착 가능하되, 대칭되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제1 중공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하측면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일부 함몰되어 형성되어 흘러나온 경화제를 수용하는 제1 드레인부; 및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1 드레인부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프레임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고폭탄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가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드부의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고폭탄의 외주면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파편체의 직경보다 짧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받침부의 상측면의 중심에 결합되되, 상기 고폭탄의 하부가 결합되며 상기 고폭탄이 직립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부는, 투입부 프레임; 상기 투입부 프레임의 상측면에서 하측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투입부홈; 및 상기 경사면의 하측단부에서 상기 투입부홈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투입부 돌출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투입부 돌출부는 상기 고폭탄의 상부 외측면에 맞닿아 상기 고폭탄을 지지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투입부 돌출부는 상기 경사면의 하측단부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사방 배치된다.
고폭탄의 외주면에 파편체를 균일하게 고착시켜 고폭탄의 성능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을 상대 위치를 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이드 핀에 의해 결합력을 증대하고 결합 정확도를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파편체가 이탈되어 고폭탄의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해 고폭탄의 외주면을 불균일하게 감싸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그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폭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들의 결합과 프레임부의 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프레임부와 고정부 및 플랜지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폭탄과 프레임부의 결합 상태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가이드홈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투입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폭탄이 프레임부의 중공부에 위치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파편체를 고폭탄의 외부에 고착시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 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길이 방향'이란 도 1 및 도 4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Y축 방향을 의미하며, '수직 방향'이란 Z축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상측, 상측면 및 상측단'이란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측, 하측면 및 하측단'이란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에서 아래 방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는 고폭탄(10)의 표면에 파편체(B)를 균일하게 형성하기 위한 지그를 구성하여 고폭탄(10)의 성능을 증대하기 위한 발명이다.
이를 위해, 도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고폭탄(10), 프레임부(100), 받침부(200), 투입부(300), 브라켓부(400), 주입부(500), 플랜지부(600), 돌출부(700), 가이드핀(P) 및 패킹부재(S)를 포함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고폭탄(10)은 화약이 들어 있는 포탄으로 박격포 야포 등에 사용되는 폭탄 중의 하나이며 공기의 저항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하여 유선형으로 형성되며,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또한, 고폭탄(10)의 외주면에 고착되는 파편체(B)는 볼 형상으로 고폭탄(10)의 타깃에 대한 파편 효과를 극대화하여 인마살상과 시설 및 물자를 파괴하는 성능을 증대한다.
도 1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00)는 본 발명에서는 원형의 기둥 형상으로 표현되어 있지만 사각형, 다각형 및 다양한 형상을 지닐 수 있으며 형상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프레임부(100)는 도면 번호를 기재하지 않았지만, 중공부, 드레인부, 가드부 및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도 1의 도시와 같이 프레임부(100)는 프레임부(100)의 중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분되어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대칭되어 형성된다.
중공부는 프레임부(100)의 내부에 고폭탄(1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고폭탄(1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부는 고폭탄(10)의 외주면보다 크게 형성되며, 중공부에 고폭탄(10)을 수용 시, 후술할 파편체(B)가 투입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할 프레임부(100)의 중공부, 드레인부 및 가드부는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로 이분됨에 따라 중공부는 제1 중공부(130) 및 제2 중공부, 드레인부는 제1 드레인부(113) 및 제2 드레인부, 가드부는 제1 가드부(116) 및 제2 가드부, 가이드홈은 제1 가이드홈(130a) 및 제2 가이드홈으로 분할된다.
프레임부(100)의 내부 구조를 용이하게 설명하고, 중복 설명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1 프레임부(110)를 중점으로 설명하며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는 대칭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상호 결합 시, 중공부, 드레인부, 가드부 및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제1 프레임부(110)를 중점으로 설명하더라도 제2 프레임부(120) 또한 동일한 구성으로 대칭되며 동일한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도 5 및 도 7를 참조하여 제1 프레임부(110)를 설명한다.
제1 프레임부(110)는 프레임부(100)의 중심에서 수직방향으로 분할되어 형성된다.
이에, 제1 프레임부(110)는 제1 중공부(130), 제1 가드부(116), 한 쌍의 제1 패킹홈(114), 복수 개의 제1 프레임홈(112) 및 제1 드레인부(113)를 포함한다.
제1 중공부(130)는 제1 프레임부(110)의 중심에 형성되며 고폭탄(10)이 수용됨에 따른 빈 공간의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 프레임부(110)와 대칭되어 탈부착 가능한 제2 프레임부(120)의 중심에는 제1 중공부(130)와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는 제2 중공부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가 결합시 제1 중공부(130)와 제2 중공부가 결합되어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중공부(130)는 도 7을 참조하면 고폭탄(10)을 삽입 시, 제1 중공부(130)를 형성하는 제1 프레임부(110)의 내주면과 고폭탄(10)의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가이드홈(130a)이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홈(130a)은 파편체(B)가 자유낙하 운동되며, 파편체(B)는 제1 가이드홈(130a)에 채워져 고폭탄(1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이에 대응되어 제2 프레임부(120)의 제2 중공부에도 고폭탄(10)을 삽입 시 제2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파편체(B)가 제2 가이드홈을 따라 고폭탄(10)의 외주면을 감싸게 된다.
즉,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가 결합 시, 제1 가이드홈(130a) 및 제2 가이드홈 또한 결합되어 가이드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이드홈(130a)의 하부에는 파편체(B)가 고폭탄(10)의 외주면에 용이하게 위치되도록 형성되는 제1 가드부(116)가 형성된다.
또한, 제1 가드부(116)는 파편체(B)가 후술할 제1 드레인부(113)에 유입되지 않도록 막는 특징이 있다.
상세히, 제1 가드부(116)는 제1 중공부(130)와 후술할 제1 드레인부(113)의 사이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서 고폭탄(10)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된다.
제1 가드부(116)의 단부와 마주하는 고폭탄(10)의 외주면의 사이의 거리는 파편체(B)의 직경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파편체(B)는 제1 가이드홈(130a)에만 위치하며 제1 드레인부(113)에는 유입되지 않는다.
즉 제1 가드부(116)는 제1 가이드홈(130a)에 채워진 파편체(B)가 이탈되어 고폭탄(10)의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지 못해 고폭탄(10)의 외주면을 불균일하게 감싸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대응되어, 제2 프레임부(120)에도 제1 가드부(116)와 대칭되어 동일한 위치에 제2 가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가 결합시 제1 가드부(116)와 제2 가드부 또한 결합되어 가드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드부(116)의 하부에는 제1 가드부(116)에 의해 제1 가이드홈(130a)이 이분되는 제1-1 가이드홈(130ab)이 형성된다.
제1-1 가이드홈(130ab)은 도 4를 참조하면 제1 패킹부재(S1)가 삽입되어 끼워진다.
상세히, 제1 패킹부재(S1)는 고폭탄(10)의 하부 외주면에 링 형태로 끼워지며 고폭탄(10)의 하부 외주면에 끼워진 상태로 제1-1 가이드홈(130ab)에 끼워져 고폭탄(10)이 외부 요동 충격에 의해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한 쌍의 제1 패킹홈(114)은 제1 중공부(130)에서 길이 방향으로 좌우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 프레임부(110)의 내주면에서 수직 방향으로 띠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이에 대응되어 제2 프레임부(120) 또한 제1 프레임부(110)와 대칭되는 위치에 제2 패킹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제1 패킹홈(114)에는 제1 패킹홈(114)에 대응되는 띠 형상의 한 쌍의 제2 패킹부재(S2)가 끼워 맞춤 구조로 끼워질 수 있다.
제2 패킹부재(S2)는 고무, 구리, 납 및 다양한 소재가 활용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가 상호 결합될 때, 이음매 또는 틈새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가 맞닿는 내주면이 마찰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즉,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의 기밀성을 유지하여 동요로 인해 상호 마찰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복수 개의 제1 프레임홈(112)은 제1 패킹홈(114)과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복수 개가 형성된다.
상세히, 제1 프레임홈(112)은 한 쌍의 제1 패킹홈(114)에서 제1 프레임부(110)의 도 4를 기준으로 좌측 및 우측 외측면을 향해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수직 방향으로 각각 배치된다.
복수 개의 제1 프레임홈(112)은 후술할 가이드핀(P)과 미도시된 고정핀이 제1 프레임홈(112)과 대응되어 제2 프레임부(120)에 형성되는 제2 프레임 홈에 동시에 삽입되어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를 결합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제1 드레인부(113)는 제1 프레임부(110)의 하측면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일부 함몰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제1 드레인부(113)는 후술하겠지만, 제1 가이드홈(130a)을 따라 흘러내린 경화제가 수용된다.
즉, 제1 가이드홈(130a)을 따라 파편체(B)가 채워진 후, 경화제를 제1 가이드홈(130a)에 유입시켜 파편체(B)를 고정함과 동시에 막을 형성하고 남은 잔류 경화제가 드레인되어 제1 드레인부(113)에 수집된다.
이를 통해, 경화제가 과도하게 사용되어 파편체(B)를 고정하여 막을 형성 시, 불균일하게 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드레인부(113)는 경화제를 기준 이상으로 과투입 하더라도 경화제가 제1 드레인부(113)에 수집되기 때문에 과도한 경화제 사용으로 인한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1 드레인부(113)에 대응되어 제2 프레임부(120)의 하측면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일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드레인부가 형성된다.
제2 드레인부는 제1 드레인부(113)와 동일한 형상으로 대칭되며 동일한 효과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받침부(200)를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받침부(200)는 프레임부(100)의 하측면에 맞닿아 형성되며 일정 두께를 지닌 사각판 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받침부(200)는 받침부 프레임(210) 및 받침부 홈(220)을 포함한다.
받침부 프레임(210)은 받침부의 프레임 역할을 하며 프레임부(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받침부(200)는 프레임부(1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며 이는 프레임부(100)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프레임부(100)에 수용되어 있는 고폭탄(1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받침부 프레임(210)의 상측면에는 받침부 홈(220)이 형성된다.
받침부 홈(220)은 받침부 프레임(210)의 상측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원형의 띠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된다.
받침부 홈(220)에는 받침부 홈(220)에 대응되도록 끼워지는 원형의 띠 형태의 제3 패킹부재(S3)가 끼워진다.
제3 패킹부재(S3)는 제2 패킹부재(S2)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3 패킹부재(S3)는 프레임부(100)와 받침부(200)를 긴밀히 고정하여 프레임부(100)와 받침부(200)의 긴밀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프레임부(100)와 받침부(200)는 제3 패킹부재(S3)로 인해 상호 결합 시, 이음새나 틈새를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이물질에 강해 고폭탄(10)의 표면에 파편체(B)를 부착 시 고르게 분포시켜 고폭탄(10)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플랜지부(600)를 설명한다.
도 5를 참조하면, 플랜지부(600)는 받침부(200)의 상측면 중심에 결합되며, 중심에는 후술할 돌출부(700)가 관통하되, 고폭탄(10)의 하부 일부가 결합되는 플랜지부홈(610)이 형성된다.
플랜지부(600)는 받침부(200)의 상측면 중심에 위치하며 받침부(200)의 상측면에 맞닿아 형성된다.
또한, 플랜지부(600)는 드레인부에 대응되어 상보적으로 끼워질 수 있으며, 더 상세히 설명하면 플랜지부(600)는 제1 드레인부(113)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 프레임을 제1 프레임에 고정시키게 되어 제2 드레인부와 제1 드레인부(113)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드레인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플랜지부(600)의 중심에 형성되어 플랜지부(60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플랜지부홈(610)은 고폭탄(10)의 하부가 일부 끼워져 고정된다.
즉, 플랜지부(600)는 고폭탄(10)의 하부가 결합되어 고폭탄(10)이 프레임부(100)의 중공부에 정확하게 위치하도록 고폭탄(10)을 직립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고폭탄(10)은 중공부에 정확하게 위치하여 파편체(B)가 고폭탄(10)의 외주면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폭탄(10)의 하부를 긴밀히 고정시켜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의해 고폭탄(10)이 중공부 내부에서 떨리거나 프레임부(100)의 내주면에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돌출부(700)를 설명한다.
돌출부(700)는 원형의 막대 형상으로 받침부(200)의 중심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돌출부(700)는 플랜지부홈(610)에 삽입되어 도 5의 도시처럼 플랜지부홈(610)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된 상태로 돌출된다.
이에, 돌출부(700)는 돌출부 프레임(710) 및 돌출부 헤더(720)부를 포함한다.
돌출부 프레임(710)은 원형 막대 형상의 돌출부(700)의 프레임을 의미하며 돌출부 헤더(720)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돌출부 프레임(710)의 상측부를 의미한다.
돌출부 프레임(710)은 플랜지부홈(610)을 관통한다. 이에, 받침부(200)와 플랜지부(600)는 상호 연결되어 플랜지부(600)와 받침부(200)를 긴밀히 고정한다.
이를 통해 돌출부(700)는 플랜지부(600)가 받침부(200)의 중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700)를 통해 플랜지부(600)와 받침부(200)가 긴밀히 고정되어 외부에 의한 충격 및 동요에 의해 떨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플랜지부홈(610)을 관통하고 일부 돌출되는 돌출부 헤더(720)부와 돌출부 프레임(710)은 고폭탄(1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통해, 고폭탄(10)과 플랜지부(600) 및 받침부(200)는 돌출부(70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또한, 돌출부 헤더(720)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져 고폭탄(10)의 내부에 삽입될 때, 고폭탄(10)의 내주면과 불필요한 마찰을 방지하여 고폭탄(10)의 내구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투입부(300)를 설명한다.
먼저, 도 2을 참조하면 투입부(300)는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의 상측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원판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투입부(300)의 형상은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도 7을 참조하면, 투입부(300)는 제1 프레임부(110) 및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프레임부(120)의 상측면에 맞닿아 형성된다.
즉,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가 결합된 프레임부(100)의 상측면에 맞닿아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투입부(300)가 맞닿아 프레임부(100)에 결합될 때, 제1 프레임부(110)의 상측면에는 제1 프레임 상측홈(115)이 반원의 띠 형태로 형성된다.
제1 프레임 상측홈(115)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2 프레임부(120)의 제2 프레임 상측홈과 연결되어 원형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 상측홈(115)과 제2 프레임 상측홈은 상호 대칭되어 각각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상측면에 형성되며 상호 결합 시 원형의 띠 형태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 상측홈(115)에는 원형의 띠 형태의 제4 패킹부재(S4)가 끼워지며 이는 제2 프레임 상측홈에도 끼워진다.
이에, 제4 패킹부재(S4)로 인해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프레임부(100)와 투입부(300)의 사이에 결합되어 결합력이 증대되며 이음새나 틈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을 효율성을 증대하는 효과가 있으며 긴밀한 결합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투입부(300)는 투입부 프레임(310), 투입부홈(320) 및 투입부 돌출부(321)를 포함한다.
투입부 프레임(310)은 원형의 형상으로 투입부(300)의 프레임을 의미한다. 즉 투입부(300)의 뼈대가 된다.
투입부홈(320)은 투입부 프레임(310)의 상측면에서 하측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면(320a)을 형성하며 투입부 프레임(310)의 상측면에서 하측면을 향해 관통되어 형성된다.
투입부홈(320)을 통해 투입부(300)와 중공부가 상호 연결되어 프레임부(100)와 투입부(300)는 연통된다.
또한, 경사면(320a)은 파편체(B)가 경사면(320a)을 따라 채워져 가이드홈에 파편체(B)를 투입시켜 가이드홈에 파편체(B)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경사면(320a)의 상측단부와 투입부 프레임(310)의 상측단부 사이에는 복수 개의 투입부 프레임홈(310a)이 형성된다.
투입부 프레임홈(310a)은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술할 가이드핀과 고정핀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투입부 돌출부(321)는 경사면(320a)의 하측단부에서 복수 개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세히, 복수 개의 투입부 돌출부(321)는 경사면(320a)의 하측단부에서 투입부홈(320)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투입부 돌출부(321)는 경사면(320a)의 하측단부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사방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서, 투입부 돌출부(321)는 상호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사방으로 배치되어 도 8의 도시와 같이 한 쌍으로 마주보며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투입부 돌출부(321)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고폭탄(10)의 상측 외주면에 맞닿아 고폭탄(10)을 지지하게 된다.
투입부 돌출부(321)는 동일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고폭탄(10)의 외주면을 균형있게 지지하여 고폭탄(10)이 프레임부(100)의 중공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며 경사면(320a)의 하측단부에 고폭탄(10)이 부딪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다음으로, 투입부(300)의 상측면에 연결되는 브라켓부(400)를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브라켓부(400)는 투입부(300)의 상측면에 맞닿아 연결된다.
브라켓부(400)는 투입부(300)의 상측면에 맞닿아 투입부(300)의 상측면을 밀폐한다.
또한, 브라켓부(400)는 브라켓부(400)의 상측과 하측을 관통하는 홈 형태의 복수 개의 브라켓홈(410)을 포함한다.
브라켓홈(410)은 브라켓부(400)의 중심에 후술할 주입부(5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쌍의 브라켓홈(410)이 위치하고 전술한 투입부 프레임홈(310a)과 연통되어 후술할 가이드핀과 고정핀이 삽입될 수 있도록 투입부 프레임홈(310a)과 결합 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라켓부(400) 또한 투입부(300)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통해 브라켓부(400), 투입부(300) 및 프레임부(100)는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입부(500)는 주입구(520)와 배출구(510)를 포함한다.
주입구(520)와 배출구(510)는 각각 브라켓부(400)의 중심에 위치한 한 쌍의 브라켓홈(410)에 삽입된다.
주입구(520)와 배출구(510)는 중심이 관통된 관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주입구(520)와 배출구(510)는 각각 호스 또는 관이 연결된다.
주입구(520)에 연결된 호스는 파편체(B)를 고폭탄(10)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막을 형성하는 경화제가 투입될 수 있도록 경화제가 보관되는 보관통에 연결되어 경화제를 공급할 수 있으며, 배출구(510)에 연결된 호스는 컴프레셔 또는 진공기가 연결되어 경화제가 채워짐에 따라 밀려나게 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들을 체결하기 전, 구성들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고 길이방향, 폭방향 및 수직 방향을 맞추기 위하여 사용되는 가이드핀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들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 핀이 복수 개로 형성된다.
각 구성들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가이드 핀은 설계자 및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그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핀은 핀 형태로 형성되며 제1 가이드핀(P1), 제2 가이드 핀, 제3 가이드 핀 및 제4 가이드 핀를을 포함한다.
제1 가이드핀(P1)은 제1 프레임부(1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프레임홈(112)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
상세히, 제1 가이드핀(P1) 및 제2 가이드핀(P2)은 일부가 제1 프레임홈(112)에 삽입되어 도 1에 도시된 제2 프레임부의 내측면과 외측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제2 프레임홈(120a)에 삽입되어 제1 프레임부(110)와 제2프레임부를 일시적으로 고정하여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의 결합 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전술한 상태에서 제1 가이드핀(P1) 및 제2 가이드핀(P2)이 끼워지지 않은 제1 프레임홈(112) 및 제2 프레임홈(120a)부에 고정핀을 결합하여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를 고정시켜 결합하게 된다.
여기서 고정핀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볼트 및 너트 같은 고정부재를 의미한다.
제3 가이드핀(P3)은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가 결합되어 프레임부(100)가 결합되었을때, 프레임부(100)의 상측면에 결합된 투입부(300)의 투입부 프레임홈(310a)에 일부가 삽입되며 이를 통해 제1 프레임부(110)의 상측면에 위치한 제1 프레임부홈에 나머지 일부가 삽입되어 고정되어야만 하는 위치를 고정하게 된다.
이는 제1 프레임부와 동일한 형상인 제2 프레임부(120)에도 가이드핀이 삽입되어 투입부(300)와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가 결합된 상태인 프레임부(100)와 투입부(300)가 결합되기 때문에 제1 프레임부(110) 및 제2 프레임부(120) 어느 하나에 고정되더라도 프레임부(100)와 투입부(300)가 고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제4 가이드핀은 제1 프레임부(110)의 하측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부시(bush)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부시(111)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제1 프레임 부시홈(111a)에 끼워진다.
이에, 제1 프레임 부시홈(111a)에 대응되는 위치의 받침부 프레임홈(211)에 끼워져 제1 프레임부(110)와 받침부(200)의 위치를 결합되는 위치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제1 가이드핀(P1), 제2 가이드핀(P2), 제3 가이드핀(P3) 및 제4 가이드핀을 포함하는 가이드핀은 본 발명들을 고정핀으로 결합하기 전, 구성들이 결합되어야만 하는 구성 위치 및 상대 위치를 결정하여 정확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다시 말해 가이드핀은 프레임부(100), 받침부(200), 투입부(300), 및 브라켓부(400)를 유격없이 정확하게 고정되기 위해 설치되며 이를 통해 고정핀의 잘못된 삽입, 구성들의 부정확한 결합을 방지하여 고폭탄(10)의 잘못된 제조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작업성을 증대하고 불량율을 줄여 생산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고폭탄(10)의 외주면에 파편체(B)를 고정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1 프레임부(110)를 기준으로 하는 단면으로 설명한다.
받침부(200)의 중심에 돌출부(700)를 위치시킨 뒤 돌출부(700)에 플랜지부홈(610)을 끼운 상태로 위치시켜 고정한다.
여기에, 고폭탄(10)의 하부를 플랜지부(600)를 관통하여 일부가 돌출된 돌출부(700)에 고폭탄(10)의 하부를 끼워 고폭탄(10)이 직립하도록 위치시킨 뒤, 고폭탄(10)의 외주면에 맞춰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를 결합시킨다.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가 결합된 뒤, 투입부(300)를 프레임부(100)의 상측면에 맞닿아 결합한다.
다음으로, 파편체(B)를 투입부(300) 홈에 주입하게 되고 경사면(320a)을 따라 파편체(B)가 제1 가이드홈(130a)에 유입되어 제1 가이드홈(130a)을 따라 채워지게 된다.
이에, 파편체(B)는 고폭탄(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위치된다.
여기서, 도 1의 도시처럼 브라켓부(400)가 투입부(300)의 상측면에 맞닿아 투입부(300)를 밀폐하고 브라켓부(400)의 중심에 형성되는 한 쌍의 브라켓홈(410)에 배출구(510)와 주입구(520)가 결합된다.
주입구(520)를 통해 경화제가 투입되어 가이드홈에 채워진 파편체(B)를 고정함과 동시에 막을 형성하고, 이에 배출구(510)를 통해 가이드홈에 채워진 경화제에 의해 밀려나는 공기가 배출된다.
가이드홈을 따라 파편체(B)를 고정하고 막을 형성하고 남은 경화제는 제1 드레인부(113)에 드레인되어 경화제가 수용되어 수집된다.
경화제가 고폭탄(10)의 외주면에서 파편체(B)를 고정시키고 막을 형성하여 경화가 완료되면 전술한 본 발명의 구성들을 역순으로 해제하여 외주면에 파편체(B)가 고착된 고폭탄(10)을 꺼낸다.
덧붙여 본 발명의 패킹부재는 제1 패킹부재(S1), 제2 패킹부재(S2), 제3 패킹부재(S3) 및 제4 패킹부재(S4)를 포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패킹부재(S1)는 고폭탄(10)의 하부 외주면에 끼워져 제1-1 가이드홈(130ab)에 삽입되어 고폭탄(10)이 긴밀히 고정되어 중공부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제2 패킹부재(S2)는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를 결합 시 제1 프레임부(110)와 제2 프레임부(120)를 긴밀히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제3 패킹부재(S3)는 프레임부(100)와 받침부(200) 사이를 긴밀히 고정하여 프레임부(100)와 받침부(20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흡수하여 상호간의 이음새나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긴밀히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제4 패킹부재(S4)는 프레임부(100)와 투입부(300) 사이를 긴밀히 고정하여 투입부(300)와 프레임부(100)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호간의 이음새나 틈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긴밀히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이를 통해 패킹부재는 본 발명의 구성들을 긴밀히 고정하며 이음새나 틈이 생겨 고폭탄(10)의 제조 과정에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 패킹부재(S1), 제2 패킹부재(S2), 제3 패킹부재(S3) 및 제4 패킹부재(S4)로 인해 4중 즉 다중으로 프레임부(100), 받침부(200) 및 투입부(300)를 고정시켜 고정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B : 파편체,
10 : 고폭탄,
100 : 프레임부,
110 : 제1 프레임부,
111 : 제1 프레임 부시,
111a : 제1 프레임 부시홈,
112 : 제1 프레임홈,
113 : 제1 드레인부,
114 : 제1 패킹홈,
115 : 제1 프레임 상측홈,
116: 제1 가드부,
120 : 제2 프레임부,
120a : 제2 프레임홈,
121 : 제2 프레임 돌출부,
130 : 제 1 중공부,
130a : 제1 가이드홈,
130ab : 제1-1 가이드홈,
200 : 받침부,
210 : 받침부 프레임,
220 : 받침부홈,
211 : 받침부 프레임홈,
300 : 투입부,
310 : 투입부 프레임,
310a : 투입부 프레임홈,
320 : 투입부홈,
320a : 경사면,
321 : 투입부 돌출부,
400 : 브라켓부,
410 : 브라켓홈,
500 : 주입부,
510 : 배출구,
520 : 주입구,
600 : 플랜지부,
610 : 플랜지부홈,
700 : 돌출부,
710 : 돌출부 프레임,
720 : 돌출부 헤더,
S : 패킹부재,
S1 : 제1 패킹부재,
S3 : 제3 패킹부재,
S4 : 제4 패킹부재,
P : 가이드 핀,
P1 : 제1 가이드핀,
P2 : 제2 가이드핀,
P3 : 제3 가이드핀.

Claims (7)

  1. 고폭탄을 수용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프레임부;
    일정 두께를 지니되, 상기 프레임부의 하측면에 맞닿아 지지하는 받침부;
    상기 프레임부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투입부; 및
    상기 프레임부의 상기 중공부는 상기 고폭탄을 삽입 시, 상기 중공부를 형성하는 상기 프레임부의 내주면과 상기 고폭탄의 외주면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홈에 볼 형태의 파편체가 투입될 때,
    상기 파편체는 자유낙하 운동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채워져, 상기 고폭탄의 외주면을 감싸고,
    상기 파편체를 투입 후, 경화제가 상기 가이드홈에 유입되어 상기 파편체를 고정함과 동시에 막을 형성하고,
    상기 투입부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브라켓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부는 상기 투입부 및 상기 프레임부와 연통되고,
    경화제를 상기 브라켓부에 주입 시, 상기 투입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경화제가 유입될 수 있는 것인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프레임부의 중심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분되어 탈부착 가능하되, 대칭되는 제1 프레임부 및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프레임부는
    제1 중공부;
    상기 제1 프레임부의 하측면의 중심에서 상측으로 일부 함몰되어 형성되어 흘러나온 경화제를 수용하는 제1 드레인부; 및
    상기 제1 중공부와 상기 제1 드레인부의 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 프레임부의 내측면에서 상기 고폭탄의 외주면을 향하여 돌출되는 제1 가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드부의 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고폭탄의 외주면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파편체의 직경보다 짧은 것인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의 상측면의 중심에 결합되되, 상기 고폭탄의 하부가 결합되며 상기 고폭탄이 직립하도록 형성되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는,
    투입부 프레임;
    상기 투입부 프레임의 상측면에서 하측면을 향해 좁아지도록 경사면을 형성하는 투입부홈; 및
    상기 경사면의 하측단부에서 상기 투입부홈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는 복수 개의 투입부 돌출부;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상기 투입부 돌출부는 상기 고폭탄의 상부 외측면에 맞닿아 상기 고폭탄을 지지하는 것인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부 돌출부는 상기 경사면의 하측단부에서 동일한 간격으로 사방 배치되는 것인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KR1020200171114A 2020-12-09 2020-12-09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KR102218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114A KR102218597B1 (ko) 2020-12-09 2020-12-09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1114A KR102218597B1 (ko) 2020-12-09 2020-12-09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597B1 true KR102218597B1 (ko) 2021-02-22

Family

ID=74687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1114A KR102218597B1 (ko) 2020-12-09 2020-12-09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201B1 (ko) * 2022-10-31 2023-03-07 박인수 진공 챔버를 이용한 고폭탄 제조 장치
KR102510032B1 (ko) * 2022-10-31 2023-03-17 박인수 성형 파편체를 구비한 고폭탄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57B1 (ko) * 2014-04-29 2014-12-24 송용호 탄체 제조 방법
KR20170000701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화 성형파편 탄체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탄체
KR20170058697A (ko) 2015-11-19 2017-05-29 (주)삼양컴텍 성형 파편체를 구비하는 고폭탄 제조 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957B1 (ko) * 2014-04-29 2014-12-24 송용호 탄체 제조 방법
KR20170000701A (ko) * 2015-06-24 2017-01-03 주식회사 한화 성형파편 탄체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탄체
KR20170058697A (ko) 2015-11-19 2017-05-29 (주)삼양컴텍 성형 파편체를 구비하는 고폭탄 제조 공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7201B1 (ko) * 2022-10-31 2023-03-07 박인수 진공 챔버를 이용한 고폭탄 제조 장치
KR102510032B1 (ko) * 2022-10-31 2023-03-17 박인수 성형 파편체를 구비한 고폭탄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597B1 (ko) 고폭탄의 표면에 파편체를 형성하기 위한 지그
EP3105533B1 (en) Shock-resistant fuzewell for munition
KR101249770B1 (ko) 공중폭발탄용 탄두의 조립체 및 이의 제조방법
US5107766A (en) Follow-thru grenade for military operations in urban terrain (MOUT)
KR20110129784A (ko) 40mm 연습탄
KR20100095314A (ko) 유탄의 자폭장치
US6283036B1 (en) Variable output warhead
KR100306357B1 (ko) 유탄의 자폭장치
EP3120106B1 (en) Lightweight munition
US9157705B1 (en) Projector for defeating buried mines
US11473882B2 (en) Canister assembly with protected cap well and booster explosive comprising the same
USH2025H1 (en) Serial output warhead
RU2722336C1 (ru)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ая головная часть снаряда
RU2382324C1 (ru) Бронебойный снаряд
KR101801701B1 (ko) 신관보호용 자탄몸체 및 캡이 구비된 분산탄용 자탄
RU2343398C2 (ru) Заградительный боеприпас
RU2149347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боеприпасов
EA034385B1 (ru) Осколочный боеприпас с готовыми поражающими элементами
Grilliot et al.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MLRS) fuzing evolving to meet end user requirements
RU2194941C1 (ru) Снаряд
RU1841352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действования средств радиотехнической защиты головной части ракеты
KR20170038203A (ko) 둔감 탄약 신관
KR870002023B1 (ko) 퓨즈
RU2137085C1 (ru) Осколочно-пучковый снаряд
KR101243770B1 (ko) 기폭압의 누출 방지구조가 구비된 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