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5314A - 유탄의 자폭장치 - Google Patents

유탄의 자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5314A
KR20100095314A KR1020090014528A KR20090014528A KR20100095314A KR 20100095314 A KR20100095314 A KR 20100095314A KR 1020090014528 A KR1020090014528 A KR 1020090014528A KR 20090014528 A KR20090014528 A KR 20090014528A KR 20100095314 A KR20100095314 A KR 20100095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nade
slider
sinking
delay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45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153B1 (ko
Inventor
김남진
류재덕
김용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풍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풍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풍산
Priority to KR10200900145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8153B1/ko
Publication of KR20100095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53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9/0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 F42C9/14Double fuzes; Multiple fuzes
    • F42C9/16Double fuzes; Multiple fuzes for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12/00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 F42B12/02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 F42B12/3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 F42B12/56Projectiles, missiles or mines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the intended effect, or th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warhead or the intended effect for dispensing materials; for producing chemical or physical reaction; for signalling ;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for dispensing discrete solid bodies
    • F42B12/58Cluster or cargo ammunition, i.e. projectiles containing one or more submiss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19/00Details of fuzes
    • F42C19/02Fuze bodies; Fuze hou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CAMMUNITION FUZES; ARMING OR SAFETY MEANS THEREFOR
    • F42C9/0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 F42C9/10Time fuzes; Combined time and percussion or pressure-actuated fuzes; Fuzes for timed self-destruction of ammunition the timing being caused by combus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oy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탄의 자폭장치에 관한 것으로, 유탄의 회전관성력과 관계없이 보조기폭관을 기폭할 수 있고, 신관을 작게 하여 이송체(탄, 로켓, 미사일 등)에 더 많은 유탄을 탑제 할 수 있도록 하며 지연관조립체를 길게하여 ∪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자폭설정시간을 더 길게하여 보다 높은 고도에서 유탄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스터드를 통해 고정설치된 하우징의 내부에 주기폭관이 충전되어진 슬라이더를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격침나사를 통해 주기폭관을 기폭시키도록 하는 유탄의 자폭장치에 있어서,
점화화약과 지연화약과 연결화약이 순차적으로 충전되고, 자폭에 필요한 지연시간을 더 연장할 수 있도록 길이가 길어진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지연관조립체와, 상기 격침나사와 조립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수용홈에 조립된 격침을 구속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격침지지핀과, 상기 격침에 의해 기폭되어 상기 지연관조립체의 점화화약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보조기폭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탄, 자폭장치, 시간지연, 기폭관, 안전핀

Description

유탄의 자폭장치{SELF-DESTRUCT FUZE OF SUBMUNITION}
본 발명은 지상으로 자유낙하된 유탄을 일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자동으로 폭발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유탄의 자폭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격침작동방식으로 자폭장치를 작동시키고, 지연화약이 충전된 지연관조립체를 ∪자형으로 구성하여 자폭에 필요한 지연시간을 더 연장할 수 있는 유탄의 자폭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에서 포 또는 로켓등의 이송체에 의해 이송되어지는 유탄들은 탄체내부에 고폭화약이 충전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는 장갑(장갑차나 탱크 등)을 관통하기 위한 관통자가 장착되어, 인마 살상 또는 장갑관통 등과 같은 이중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한 유탄들은 이송체에 의해 미리 지정된 상공에 도달되면 이송체내부에 구비되어 있던 방출장약이 폭발하게 되며, 이때에 발생되어진 폭발압력에 의해 대기중으로 방출되면서 지상으로 낙하된다.
이때, 각 유탄들은 방출시 가지고 있던 관성에 의해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낙하되고 지상에 떨어져 폭발되는 것이다.
즉, 상기한 기능을 수행할수 있도록 된 종래의 유탄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내부에 원추형의 관통자(14)가 장착되며, 관통자(14)의 상부를 이루는 본체(1)의 내부에 고폭화약(13)이 충전되어 있다. 물론 고폭화약(13)이 폭발되면 본체(1)가 파편화되면서 인마를 살상하게 되며, 동시에 관통자(14)에 의해 폭발력이 한곳으로 집중되는 성형작약원리에 의해 장갑을 관통하게 된다.
그리고 본체(1)의 상부에 한 개 이상의 스터드(2)를 통해 하우징(3)이 고정설치되며, 하우징(3)의 내부에는 주기폭관(4)이 내장된 슬라이더(5)가 수평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더 스프링(15)으로 조립되어 있다.
또한, 격침나사(6)의 상부에는 리본형태의 테이프(8)가 고정수단인 스티프너(17) 또는 고무줄과 같은 탄성부재를 통해 접혀진 상태로 고정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격침나사(6)의 수직방향 즉, 본체(1)에는 주기폭관(4)에서 발생되는 기폭력을 고폭화약(13)으로 전달시켜 주기 위한 연결관(18)이 조립되어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도면부호(19,20a)는 유탄을 이송체에 충전하기 이전과정에서 격침나사(6)가 풀리면서 슬라이더(5)가 수평이동되는 불의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안전크립(19) 및 안전핀(20a)이다. 따라서 슬라이더(5)의 수평이동을 제한하도록 된 안전핀(20a)을 제거한 상태에서 유탄을 이송체로 내장한 후 포 또는 로켓으로 발사시키게 되며, 이송체로부터 유탄들이 사방으로 분산된다.
이어서, 유탄들이 분산됨과 동시에 테이프(8)를 감싸고 있던 스티프너(17)가 이탈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8)가 상부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테이프(8)는 공기와의 접촉저항에 의해 회전하게 되므로, 테이프(8)를 고정하고 있던 격침나사(6)가 관성추(16)로부터 풀리게 되며, 이어서 격침나사(6)가 분리되면서 슬라이더(5)의 구속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어서, 격침나사(6)의 분리에 의해 구속이 해제된 슬라이더(5)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와 신관밑판(21)사이에 조립된 슬라이더 스프링(15)의 탄성력에 의해 하우징(3)의 수용공간으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
이때, 하우징(3)으로부터 슬라이더(5)가 빠져나오면 주기폭관(4)이 격침나사(6)의 직하방에 위치되는데, 이러한 상태를 장전(裝塡)상태라 한다.
이어서, 포 또는 로켓에 의해 분산된 유탄이 구조물이나 장갑 등에 부딪히게 되며, 관성추(16)의 자중에 의해 격침나사(6)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기폭관(4)을 때리게 된다.
이때, 주기폭관(4)에서 발생된 기폭력이 연결화약(25)을 통해 고폭화약(13)으로 전달되면, 본체(1)가 폭발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유탄은 공중에서 방출되면서 지상의 구조물에 부딪히는 순간, 예컨데 숲, 눈, 진흙, 사막, 나무 등과 같이 완충지대에 떨어지게 되는 경우 격침나사(6)의 관성에너지가 완충된 상태로 주기폭관(4)을 때리게 되어 기폭불능(불발)의 유탄들이 발생하게 되므로, 작전 중에 아군에게 물적피해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유탄의 불발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하우징(3)에서 슬라이더(5)가 수평이동한 후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자동으로 주기폭관(4)을 기폭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유탄이 불발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하는 기술이 출원인에 의해 발명되어 등록번호 10-0306357로 등록된 바 있다.
즉, 도 6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에 스터드(2)를 통해 고정설치된 하우징(3)의 내부에 주기폭관(4)이 충전되어진 슬라이더(5)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격침나사(6)를 통해 주기폭관(4)을 기폭시키도록 한 유탄의 자폭장치로서, 슬라이더(5)의 수용홈에 점화화약(23)과 지연화약(24)과 연결화약(25)이 순차적으로 충전된 지연관조립체(7)가 내장설치되며, 슬라이더(5)의 일측에는 하우징(3)을 빠져나온 슬라이더(5)의 수평 이동과정에서 발생된 관성으로 회전하면서 지연관조립체(7)의 점화화약(23)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하는 보조기폭관(12)을 때려주도록 된 스트라이커(22)가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개시하고 있다.
스트라이커(22)에 의해 기폭된 보조기폭판(12)의 열에너지는 지연관조립체(7)에 충전된 점화화약(23)에 전달되고, 점화화약(23)이 지연화약(24)과 연결화약(25)을 순차적으로 기폭시키게되고, 최종적으로 고폭화약(13)을 폭발시키게 된다.
또한, 스트라이커(22)의 재질은 질량이 큰 중금속(텅스텐, 철, 몰리브덴, 구리등)으로 성형되며, 지지핀을 중심으로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보조기폭관(12)을 타격할 수 있는 타격침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유탄의 자폭장치는 유탄이 완충지대 예컨데, 숲, 눈, 진흙, 사막, 등으로 떨어지게 되는 경우에 설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유탄을 자폭시키는 효과가 있지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유탄의 스트라이커(22)는 고속으로 회전하는 이송체에서 유탄이 방출될 때 발생되는 회전 관성력을 이용하여 작동되는 것이므로, 저속으로 회전하는 이송체나 회전이 없는 이송체에서 방출된 유탄에서는 스트라이커(22)가 보조기폭관(12)을 완전히 기폭할 수 있는 회전 관성력을 얻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유탄의 슬라이더(5)에 조립된 지연관조립체(7)는 설정된 시간이 지난 후 유탄을 자폭시키는 부품으로 설정된 시간과 지연관조립체(7)의 길이는 비례한다. 상기 등록번호 제10-0306357호에 개시된 지연관조립체(7)는 슬라이더(5)내에 직선으로 삽입되어 있어 그 길이가 한정되므로 유탄이 자폭하기 위한 설정시간에 한계가 있으며, 이로 인해 종래의 유탄의 사용은 이송체에서 방출되는 고도가 짧은 자폭설정시간 이내로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종래의 유탄에 사용되는 스트라이커(22)는 회전관성을 발생시키기 위해 무게추를 길게 형성하고 있으므로 슬라이더(5)내에 스트라이커(22)가 장입되기 위해서는 슬라이더(5)를 크게 제작해야 하고, 요구되는 지연시간을 얻기 위해 직선형의 지연관조립체를 적용함에 따른 슬라이더 길이의 증대가 요구된다. 이로 인해 신관의 크기(외경)가 커지고, 결과적으로 유탄의 외경을 크게 만들게 되어 이송체에 장입할 수 있는 유탄수량이 감소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유탄에 사용되는 스트라이커(22)는 격침나사(6)에 구속되어 있던 슬라 이더(5)가 수평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관성력에 의해 회전하므로, 슬라이더(5)가 수평이동하지 못할 경우는 스트라이커(22)가 슬라이더(5) 내부에 구속되어 스트라이커(22)가 작동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조기폭관을 기폭시키는 방식을 스트라이커 작동방식에서 격침 작동방식으로 대체함으로써, 유탄의 회전관성력과 관계없이 보조기폭관을 기폭할 수 있고, 신관을 작게 하여 이송체에 더 많은 유탄을 탑제 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지연관조립체를 길게하여 ∪자형으로 형성함으로써 자폭설정시간을 더 길게하여 보다 높은 고도에서 유탄을 방출할 수 있도록 하는 유탄의 자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본체의 상부에 스터드를 통해 고정설치된 하우징의 내부에 주기폭관이 충전되어진 슬라이더를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격침나사를 통해 주기폭관을 기폭시키도록 하는 유탄의 자폭장치에 있어서,
점화화약과 지연화약과 연결화약이 순차적으로 충전되고, 자폭에 필요한 지연시간을 더 연장할 수 있도록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수용홈에 수용되는 지연관조립체와, 상기 격침나사와 조립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수용홈에 조립된 격침을 구속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격침지지핀과, 상기 격침에 의해 기폭되어 상기 지연관조립체의 점화화약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보조기폭관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기폭관은 상기 격침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점화화약과 동일 축선상에 배열되고, 보조기폭관 홀더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의 수용홈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침지지핀은 상기 격침을 구속하기 위한 돌출된 부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연관조립체는 상기 슬라이더의 수용홈에 격침스프링, 격침, 보조기폭관, 보조기폭관 홀더가 함께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쪽이 짧은 ∪자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유탄의 자폭장치에 의하면, 유탄의 조립작업시 지연수단인 점화화약과 지연화약과 연결화약을 지연관조립체의 내부에 충전한 후에 상기 지연관조립체를 슬라이더의 수용홈에 장착하게 되므로, 상기 화약들의 충전작업을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슬라이더의 측면 및 입구를 통해 침투되는 습기를 지연관조립체가 차단하여, 상기 화약이 습기로 부터 안전하게 보호되어 불발의 발생요인이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보조기폭관을 기폭시키기 위한 격침의 작동이 유탄의 회전관성력 유무에 관계없이 작동가능하므로 유탄을 이송 및 방출하는 이송체(탄, 로켓 및 미사일 등)의 비행특성 즉, 이송체의 회전유무에 관계없이 유탄방출시 유탄의 자폭장치가 작동될 수 있다.
또한, 보조기폭관을 기폭시키는 격침을 슬라이더의 내부에 삽입시킬 수 있을 만큼 작은 부품으로 할 수 있으며, 슬라이더 내부에 조립되는 지연관조립체를 길게 하여 ∪자형 밴딩형태로 조립함으로써, 요구되는 자폭 설정시간을 더 연장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지연관조립체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고, 이로 말미암아 유탄의 크기를 더욱 작게 할 수 있어 동일한 이송체 내에 보다 많은 유탄을 장입할 수 있다.
또한, 이송체에서 유탄이 방출되고, 리본형상의 테이프에 의해 격침나사가 분리된 후, 유탄의 슬라이더가 하우징으로부터 수평이동을 실패하더라도 자폭 설정시간 이후 주기폭관을 기폭하여 불발된 유탄의 신관을 무력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유탄의 자폭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탄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에서의 B-B선의 단면도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탄이 자유낙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탄 신관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의 상부에 한개 이상의 스터드(2)로 고정설치된 하우징(3)의 내부에 관성추(16), 격침나사(6), 격침지지핀(9), 안전크립(19) 및 슬라이더(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격침나사(6)의 상부에는 리본형상의 테이프(8)가 접힘상태로 양 끝단이 고정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테이프(8)는 긴 띠형태의 소재상태를 필요한 길이만큼 절단 후, 양쪽 끝단을 서로 겹치게 하고, 겹치는 부위에 열을 가해 융착시 킨후 그 부위에 구멍을 내어 상기 격침나사(6)와 와셔등을 그 구멍에 끼운 후 상기 격침나사(6)를 상기 테이프(8) 밖으로 돌출시키고, 돌출된 상기 격침나사(6)의 상부를 치구를 이용하여 벌려 상기 테이프(8)와 와셔가 모두 상기 격침나사(6) 맨 윗부분에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하여 띠 형태의 테이프(8)는 리본형상으로 상기 격침나사(6)의 상단에 조립된다. 또한, 최종제작된 제품에 있어서, 리본형상의 테이프(8)는 유탄을 대량으로 운송체에 조립할 때, 많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최소한의 모양으로 접힘형태로 만들어져 운송체에 조립된다.
또한, 도 12에 도시된 안전크립(19)은 유탄을 이송체에 내장하기 전에 상기 격침나사(6)가 풀리면서 상기 슬라이더(5)가 수평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유탄의 조립과정이 완료된 후에는 안전크립(19)을 제거한 후 이송체에 내장한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관성추(16)는 일정한 무게를 가지며, 중심에 나사산을 갖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구멍과 상기 격침나사(6)의 대략 중앙부분에 형성된 나사 가공부와 나사결합을 이룬다. 포 또는 로켓에 의해 분산된 유탄이 구조물이나 지면에 부딪히게 되면, 상기 관성추(16)의 자중에 의해 상기 격침나사(6)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기폭관(4)을 기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격침나사(6)의 하부는 상기 슬라이더(5)의 구속홈(30)에 삽입된다. 상기 격침나사(6)의 하부에는 격침지지핀(9)이 멈춤링(27)으로 고정되어 있어 상기 격침나사(6)가 상기 관성추(16)를 따라 상하이동할 때 상기 격침지지핀(9)이 동시에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상기 격침지지핀(9)은 대략 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그 중앙에는 상기 격침나사(6)가 끼워지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침지지핀(9)의 평면의 대략 모서리 부분에는 하나의 돌출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슬라이더(5)의 내부 일측에서 격침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수평이동하여 보조기폭관(12)을 기폭할 수 있는 격침(10)을 구속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격침지지핀(9)은 상기 격침나사(6)와 일체로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5)에는, 격침스프링(11), 격침(10), 보조기폭관(12), 보조기폭관 홀더(12a), 지연관조립체(7), 슬라이더 마개(26)가 내장된다.
상기 슬라이더(5)는 대략 직사각형 상자모양을 이루고 있으며, 상면에는 주기폭관(4)이 삽입되는 주기폭관 홈(4a), 안전핀 홈(31), 격침지지핀 홈(29), 구속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전핀홈(31)에는 유탄의 조립작업시 격침(10)이 임의로 작동하여 보조기폭관(12)을 기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핀(20b)이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3)에도 안전핀(20a)이 삽입되는 안전핀 홈(도시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다.
격침스프링(11)과 격침(10)을 슬라이더(5)의 한쪽 수용홈(28)내부에 순차적으로 상기 안전핀 홈(31)까지 전진시켜 수용하고, 상기 안전핀 홈(31)에 안전핀(20b)을 삽입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유탄의 조립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격 침(10)이 작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과 슬라이더(5)의 조립후에 하우징(3)으로부터 슬라이더(5)가 수평이동 되지 않도록 안전핀(20a)을 하우징(3)에 관통형성된 안전핀 홈(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슬라이더(5)를 관통하여 삽입한다. 이때, 안전핀(20a)은 안전핀(20b)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안전핀(20a)의 삽입에 의해 안전핀(20b)은 슬라이더 밖으로 밀려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전핀(20a)은 상기 슬라이더(5)를 하우징(3)에 조립한 후 유탄을 이송체내에 장착하는 과정에서 제거된다.
그리고 격침지지핀 홈(29)에는 상기 격침지지핀(9)의 돌출된 부분이 삽입된다. 또한 구속홈(30)에는 상기 격침지지핀(9)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한 격침나사(6)의 하단부가 삽입된다. 이러한 구성으로인해 유탄이 공중으로 방출되기 전까지 슬라이더(5)가 하우징(3)내부에 구속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라이더(5)의 일단부는 개구되어 있고, 상기 개구된 일단부의 내부 양측에는 각각 수용홈(28)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5) 내부의 한쪽 수용홈(28)에는 격침 스프링(11), 격침(10), 보조기폭관(12), 보조기폭관 홀더(12a), 지연관조립체(7)의 짧은 부분이 순차적으로 수용되고, 다른쪽 수용홈(28)에는 지연관조립체(7)의 긴부분이 수용된 후 양쪽 수용홈(28)은 슬라이더 마개(26)에 의해 밀봉된다.
또한 상기 격침(10)은 슬라이더 한쪽의 수용홈(28)내에서 상기 보조기폭관(12)과 동일한 축상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격침스프링(11)에 의해 격침(10)이 보조기폭관(12)쪽으로 이동하려는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지만, 이러한 탄성력은 상 기 격침지지핀(9)에 의해 구속된다.
또한 상기 보조기폭관(12)은 격침(10)이 격침스프링(11) 탄성력에 의해 용이하게 기폭되도록 알루미늄컵의 내부공간에 뇌관화약과 연결화약이 충전되어 있는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보조기폭관(12)은 상기 보조기폭관 홀더(12a)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5)의 내부에 조립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보조기폭관 홀더(12a)에 조립된 보조기폭관(12)은 슬라이더 수용홈(28) 내부에 삽입가능한 깊이까지만 삽입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보조기폭관(12)은 기폭에 의해 발생하는 열에너지를 지연관조립체 내부의 점화화약(23)으로 전달하는 매개부재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연관조립체(7)는, 그 내부에 점화화약(23)과 지연화약(24) 및 연결화약(25)을 순차적으로 충전한 후, 충전된 상기 지연관조립체를 ∪자형상으로 벤딩처리한다. 이때 ∪자형상의 지연관조립체(7)는 한쪽이 다른쪽에 비해 짧은 형태를 유지하는 비대칭형상을 이루도록 한다. 이것은 슬라이더(5)의 한쪽측면에는 격침스프링(11), 격침(10), 보조기폭관(12) 및 보조기폭관 홀더(12a)가 삽입되므로, 이들부품들이 조립되는 길이만큼 상기 지연관조립체(7)의 한쪽은 짧게 제작되어야 되기 때문이다.
∪자 형상으로 벤딩처리된 상기 지연관조립체(7)는 상기 점화화약(23)이 충전된 부위가 보조기폭관(12)쪽으로 위치하도록하여 상기 슬라이더(5)내부로 조립된다. 상기 지연관조립체(7)를 ∪자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제한된 슬라이더 내부공간에 보다 길이가 긴 지연관조립체(7)를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자폭을 위한 설정시간 을 더 길게할 수 있다. 상기 지연관조립체(7)가 조립되면 슬라이더마개(26)를 이용하여 슬라이더의 수용홈(28)을 밀봉한다.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의 내부에 관성추(16), 격침나사(6), 격침지지핀(9), 슬라이더(5)의 순서로 조립한다. 이때, 슬라이더(5)에 조립된 안전핀(20b)이 상기 하우징(3)에 관통형성된 안전핀홈(도시되지 않음)에 일치되고, 상기 격침지지핀(9)의 돌출된 부분이 상기 슬라이더(5)의 격침지지핀 홈(29)에 위치하도록 조립한다. 또한, 상기 관성추(16)에 결합된 상기 격침나사(6)를 회전시켜서 상기 격침나사(6)의 하단부를 상기 슬라이더(5)의 중심부에 형성된 구속홈(30)에 삽입시킨다. 그리고 신관밑판(21)과 상기 슬라이더(5)의 사이에 슬라이더스프링(15)을 조립한다. 상기 슬라이더 스프링(15)은 상기 격침나사(6)가 상기 슬라이더(5)에 형성된 수용홈(28)으로부터 빠져 나와 상기 슬라이더(5)의 구속을 해제시킬 때, 상기 슬라이더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슬라이더(5)를 하우징(3)의 일측으로 빠져나오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격침나사(6)의 상부에 리본형상의 테이프(8)를 접철시킨후 스티프너(17)또는 탄성부재등으로 감싸 유탄의 조립을 완료한다.
상기 유탄의 조립완료 후에는 안전크립(19)과 안전핀(20a)을 차례로 제거한 다음 이송체에 유탄을 내장하여 모든 작업공정이 완료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방법으로 조립된 유탄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송체에 내장된 유탄은 미리 지정된 위치에서 이송체로 부터 방출되어 지상으로 낙하되는데, 이때 이송체로부터 발생된 방출압력에 의해 리본모양의 테이 프(8)를 감싸고 있던 유탄의 스티프너(17) 또는 탄성부재 등이 이탈되고, 접철되어 있던 리본모양의 테이프(8)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다.
그리고 상기 리본모양의 테이프(8)는 공기의 저항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리본모양의 테이프(8)에 고정된 격침나사(6)는 관성추(16)와의 나사결합이 풀려 관성추(16)의 상부로 이동한다.
이와 같이 격침나사(6)가 관성추(16)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격침나사(6)에 조립된 격침지지핀(9)도 동시에 관성추(16)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격침지지핀(9)의 이동은 슬라이더(5)의 수용홈(28)에 수용된 격침(10)의 구속을 해제시키게 되고, 동시에 격침(10)은 격침스프링(11)의 복원력에 의해 보조기폭관(12)을 기폭하게 되어 열에너지를 지연관조립체(7)의 점화화약(23)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지연관조립체(7)의 내부에 충전된 점화화약(23), 지연화약(24), 연결화약(25)은 순차로 연소하게 되며, 연결화약(25)은 주기폭관(4)을 기폭시키게 된다.
상기 주기폭관(4)의 기폭으로 인해 연결관(18)과 유탄의 고폭화약(13)이 순차적으로 기폭하여 유탄의 자폭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의 유탄의 자폭장치는 유탄이 지상에 도달하여 충격을 받는 경우에도 작동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즉, 리본모양의 테이프(8)가 공기의 저항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격침나사(6)가 관성추(16)의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슬라이더(5)의 구속을 해제시키게 되고, 동시에 슬라이더(5)는 슬라이더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하우징(3)의 일측으로 빠져나가게 된다.
이때 상기 주기폭관(4)과 격침나사(6)는 동일축상에 놓이게 되어, 유탄이 지상에 충돌시 충격력에 의해 격침나사(6)가 주기폭관(4)을 기폭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기폭관(4)의 기폭으로 인해 연결관(18)과 유탄의 고폭화약(13)이 순차적으로 기폭하여 유탄이 작동하게 된다.
이처럼 격침(10)에 의해 고폭화약(13)이 폭발되는 시간이 공중에서 유탄이 이송체로 부터 분리되어 지상에 떨어지는 시간보다 길게 설정되도록 지연화약(24)의 조성 및 충전량을 적절하게 조절하면, 지상의 완충지역에 유탄이 떨어져 지면과의 충돌에 의한 주기폭관(4)의 기폭이 발생되지 않더라도 지연관조립체(7)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유탄이 자동으로 폭발하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폭장치가 없는 유탄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자폭장치가 없는 유탄이 자유낙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종래의 자폭장치가 없는 유탄 신관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종래의 자폭장치가 없는 유탄 신관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종래의 자폭장치가 있는 유탄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의 자폭장치가 있는 유탄이 자유낙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자폭장치가 있는 유탄의 슬라이더가 작동된 후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지연관조립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탄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서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탄이 자유낙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탄 신관의 주요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본체 2:스터드 3:하우징 4:주기폭관 4a:주기폭관 홈 5:슬라이더
6:격침나사 7:지연관조립체 8:테이프 9:격침지지핀 10:격침
11:격침스프링 12: 보조기폭관 12a:보조기폭관 홀더 13:고폭화약
14:관통자 15:슬라이더 스프링 16:관성추 17:스티프너 18:연결관
19:안전크립 20a, 20b:안전핀 21:신관밑판 22:스트라이커 23:점화화약
24:지연화약 25:연결화약 26:슬라이더 마개 27:멈춤링 28:수용홈
29:격침지지핀 홈 30:구속홈 31:안전핀 홈

Claims (4)

  1. 본체(1)의 상부에 스터드(2)를 통해 고정설치된 하우징(3)의 내부에 주기폭관(4)이 충전되어진 슬라이더(5)를 수평이동가능하게 설치하여, 격침나사(6)를 통해 주기폭관(4)을 기폭시키도록 하는 유탄의 자폭장치에 있어서,
    점화화약(23)과 지연화약(24)과 연결화약(25)이 순차적으로 충전되고, 자폭에 필요한 지연시간을 더 연장할 수 있도록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5)의 수용홈(28)에 수용되는 지연관조립체(7)와,
    상기 격침나사(6)와 조립 또는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더(5)의 수용홈(28)에 조립된 격침(10)을 구속 또는 해제시키기 위한 격침지지핀(9)과,
    상기 격침(10)에 의해 기폭되어 상기 지연관조립체(7)의 점화화약(23)으로 열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보조기폭관(1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의 자폭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기폭관(12)은 상기 격침(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에너지를 정확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점화화약(23)과 동일 축선상에 배열되고, 보조기폭관 홀더(12a)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5)의 수용홈(28)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의 자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침지지핀(9)은 상기 격침(10)을 구속하기 위한 돌출된 부분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의 자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관조립체(7)는 상기 슬라이더(5)의 수용홈(28)에 격침스프링(11), 격침(10), 보조기폭관(12), 보조기폭관 홀더(12a)가 함께 수용될 수 있도록 한 쪽이 짧은 ∪자형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탄의 자폭장치.
KR1020090014528A 2009-02-20 2009-02-20 유탄의 자폭장치 KR101078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528A KR101078153B1 (ko) 2009-02-20 2009-02-20 유탄의 자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4528A KR101078153B1 (ko) 2009-02-20 2009-02-20 유탄의 자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5314A true KR20100095314A (ko) 2010-08-30
KR101078153B1 KR101078153B1 (ko) 2011-10-28

Family

ID=4275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4528A KR101078153B1 (ko) 2009-02-20 2009-02-20 유탄의 자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8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642B1 (ko) * 2011-09-07 2014-03-06 주식회사 한화 자탄의 화공식 자폭장치
KR101503786B1 (ko) * 2015-01-08 2015-03-18 주식회사 풍산 전단강도가 증가된 스터드 체결구조를 구비한 분산탄용 자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8935B1 (ko) * 2012-10-09 2014-02-06 세주엔지니어링주식회사 내 충격 자폭 신관
KR101541592B1 (ko) * 2013-06-28 2015-08-03 주식회사 풍산 유탄의 독립형 자폭장치
KR101519387B1 (ko) * 2014-02-25 2015-05-12 주식회사 풍산 유탄의 독립형 자폭장치, 슬라이더의 장전위치 고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탄
KR101595699B1 (ko) 2015-06-18 2016-02-18 주식회사 풍산 신관 보호형 자탄몸체가 구비된 분산탄용 자탄
KR101687933B1 (ko) 2016-01-04 2016-12-19 주식회사 풍산 신관보호용 캡을 구비한 분산탄용 자탄
US20220390217A1 (en) 2019-10-22 2022-12-08 Seju Engineering Co., Ltd. Electronic self-destructing fuse structure
KR102185738B1 (ko) 2019-11-19 2020-12-02 주식회사 풍산 주테이프 전개가 용이한 자탄몸체 조립체
KR102314616B1 (ko) 2019-11-19 2021-10-19 주식회사 풍산 조립공정간 안전성이 증대된 유탄의 독립형 자폭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24713C2 (de) * 1986-07-22 1995-09-07 Diehl Gmbh & Co Aufschlagzünder mit Selbstzerlegeeinrichtung für einen Bomblet
KR100306357B1 (ko) * 1998-10-13 2005-11-08 주식회사 풍산 유탄의 자폭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642B1 (ko) * 2011-09-07 2014-03-06 주식회사 한화 자탄의 화공식 자폭장치
KR101503786B1 (ko) * 2015-01-08 2015-03-18 주식회사 풍산 전단강도가 증가된 스터드 체결구조를 구비한 분산탄용 자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8153B1 (ko) 201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8153B1 (ko) 유탄의 자폭장치
RU2493535C1 (ru) Противопехотная осколочная мина дистанционной установки
US9562755B2 (en) Safe and arm mechanisms and methods for explosive devices
KR101543615B1 (ko) 수류탄 메커니즘
KR100915706B1 (ko) 유탄발사기용 40㎜ 연습탄
KR100306357B1 (ko) 유탄의 자폭장치
KR100521410B1 (ko) 자체 파괴형 충격 퓨즈
EP2933598B1 (en) Multi-action separator fitted to a munition for separating the fuze and the warhead of the munition
EP3312545A1 (en) Cluster bomblet having bomblet body for protecting fuse
US2454281A (en) Antipersonnel artillery mine
US8082845B2 (en) Self destruction impact fuse
RU2751328C1 (ru) Снаряд с пиротехническим боевым зарядом
US9255777B1 (en) Grenade fuze and detonator with flying disc
KR101519387B1 (ko) 유탄의 독립형 자폭장치, 슬라이더의 장전위치 고정부 및 이를 포함하는 유탄
KR101768823B1 (ko) 슬라이더 조립체 강제 장전장치가 구비된 분산탄용 자탄
KR101541592B1 (ko) 유탄의 독립형 자폭장치
RU2456537C2 (ru) Взрыватель для снарядов реактивных систем залпового огня
RU2285893C1 (ru) Донный взрыватель
KR101368642B1 (ko) 자탄의 화공식 자폭장치
US2993442A (en) Trip and shear mechanism
RU2343398C2 (ru) Заградительный боеприпас
US1402776A (en) Shell for firing against armor plating and resisting targets
US3146714A (en) Delay fuze for rotating munition
US8250984B2 (en) Mine-defeating submunition
RU2365868C1 (ru) Осколочно-фугасная авиабомб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