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57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18571B1 KR102218571B1 KR1020190105007A KR20190105007A KR102218571B1 KR 102218571 B1 KR102218571 B1 KR 102218571B1 KR 1020190105007 A KR1020190105007 A KR 1020190105007A KR 20190105007 A KR20190105007 A KR 20190105007A KR 102218571 B1 KR102218571 B1 KR 102218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detection
- elastic member
- detection member
-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7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to apparatus or structures, e.g. to a wall
- H01R13/74—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 H01R13/741—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 H01R13/743—Means for mounting coupling parts in openings of a panel using snap fasten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지 부재의 이동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검지 부재(11)는, 하우징(1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 감합되었을 때에,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의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하우징(10)은, 측면에 돌출부(27)를 가지고, 검지 부재(11)는, 하우징(10)의 측면을 덮는 측벽(53)을 가지고 있다. 측벽(53)은, 검지 위치로의 이동 과정에서 돌출부(27)와 간섭하여 외측으로 팽창되고, 검지 위치에서는 팽창이 해소되는 탄성 부재(55)를 가지고 있다. 측벽(53)은, 측면에 있어서, 탄성 부재(55)와, 슬릿(54)을 통해 탄성 부재(55)와 인접하는 위치에,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방면부(57)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검지 부재(11)는, 하우징(10)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 감합되었을 때에,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의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하우징(10)은, 측면에 돌출부(27)를 가지고, 검지 부재(11)는, 하우징(10)의 측면을 덮는 측벽(53)을 가지고 있다. 측벽(53)은, 검지 위치로의 이동 과정에서 돌출부(27)와 간섭하여 외측으로 팽창되고, 검지 위치에서는 팽창이 해소되는 탄성 부재(55)를 가지고 있다. 측벽(53)은, 측면에 있어서, 탄성 부재(55)와, 슬릿(54)을 통해 탄성 부재(55)와 인접하는 위치에,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방면부(57)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규제 위치와 허용 위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록 보장 부재(이하, 검지 부재라고 함)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은, 측면에 돌기를 가지고 있다. 검지 부재는,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을 덮는 측벽 부분을 가지고, 측벽 부분에, 탄성 변형 아암을 가지고 있다. 돌기와 탄성 변형 아암은, 검지 부재를 규제 위치 및 허용 위치에 유지하며, 검지 부재가 규제 위치와 허용 위치 사이를 이동할 때에 저항을 부여한다. 또한, 검지 부재는, 탄성 변형 아암으로부터 이격한 측벽 부분의 후단부에, 측방으로 돌출하는 리브형 부분을 가지고, 이 리브형 부분이 집힌 상태로, 규제 위치로부터 허용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한 경우, 검지 부재가 규제 위치로부터 허용 위치로 이동한 것을 돌기와 탄성 변형 아암의 클릭감으로 느낄 수 있지만, 아직 충분하지 않아, 검지 부재가 허용 위치를 향하는 도중 위치(탄성 변형 아암이 돌기에 올라앉은 위치)에서, 작업자가 검지 부재의 이동 조작을 끝내 버릴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서, 검지 부재의 이동을 정확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 하우징에 정규로 감합되었을 때에,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의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을 덮는 측벽을 가지고, 상기 측벽은,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와 간섭하여 외측으로 팽창되고, 상기 검지 위치에서는 팽창이 해소되는 탄성 부재를 가지고, 상기 측벽의 측면은, 상기 탄성 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방면부를 가지고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 하우징에 정규로 감합되었을 때에,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의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검지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돌출부를 가지고,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을 덮는 측벽을 가지고, 상기 측벽은,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와 간섭하여 외측으로 팽창되고, 상기 검지 위치에서는 팽창이 해소되는 탄성 부재를 가지고, 상기 탄성 부재의 측면은,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방면부를 가지고 있는 것에 특징을 갖는다.
검지 부재가, 측벽에,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방면부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후방면부를 압박함으로써, 검지 부재를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의 검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탄성 부재가 돌출부와 간섭하여 외측으로 팽창되고,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이르면, 탄성 부재의 팽창이 해소된다.
후방면부는 적어도 탄성 부재의 근방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작업자의 손가락은, 후방면부를 압박하며 팽출되는 탄성 부재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로 이동한 것을 촉감에 의해 파악할 수 있어, 검지 부재의 이동을 정확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커넥터에 있어서, 검지 부재가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정규로 감합되고, 검지 부재가 하우징에 대하여 검지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감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검지 부재가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에 유지되고, 탄성 부재의 간섭부가 하우징의 돌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정규로 감합되고,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를 향하는 과정에서, 간섭부가 돌출부에 올라앉고, 탄성 부재가 외측으로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여, 간섭부와 돌출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검지 부재가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검지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검지 부재측 걸림 돌기가 하우징측 걸림 돌기에 걸려, 검지 부재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규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도 2는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정규로 감합되고, 검지 부재가 하우징에 대하여 검지 위치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상태로부터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감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6은 검지 부재가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에 유지되고, 탄성 부재의 간섭부가 하우징의 돌출부와 대향하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하우징이 상대 하우징에 정규로 감합되고,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를 향하는 과정에서, 간섭부가 돌출부에 올라앉고, 탄성 부재가 외측으로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여, 간섭부와 돌출부가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검지 부재가 하우징에 대하여 대기 위치에 유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검지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검지 부재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검지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검지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하우징의 배면도이다.
도 16은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7은 검지 부재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검지 부재측 걸림 돌기가 하우징측 걸림 돌기에 걸려, 검지 부재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규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이하에 나타낸다.
상기 돌출부와 간섭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간섭부는, 상기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면 좋다. 이에 따르면, 간섭부 및 돌출부가 검지 부재를 검지 위치에 유지하는 록 기능을 갖지 않기 때문에, 간섭부 및 돌출부의 구조나 배치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상기 후방면부는, 상기 측벽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주변 영역에 대하여 움푹 들어간 요면부에 마련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따르면,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 부재가 요면부로부터 팽출되므로, 작업자의 손가락이 요면부를 덮음으로써, 팽출되는 탄성 부재에 접촉하는 손가락이 양호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검지 부재의 이동 조작에 지장을 가져올 염려도 적다.
<실시예 1>
이하, 실시예 1을 도 1~도 17을 참고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 1의 커넥터는, 하우징(10)과, 검지 부재(11)와, 단자 금구(12)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10)은, 상대 하우징(90)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전후 방향에 대해서는, 하우징(10) 및 상대 하우징(90)이 감합 개시 시에 서로 마주보는 면측을 전방측으로 하고, 상하 방향은, 도 3~도 5, 도 9~도 12, 도 14 및 도 15를 기준으로 한다.
상대 하우징(90)은 합성 수지제로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는 기기에 직결되어 전방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후드부(91)를 가지고 있다. 후드부(91) 내는, 탭형의 상대 단자 금구(92)가 돌출하고 있다. 후드부(91)는, 상벽의 상면에, 갈고리형으로 돌출하는 록부(93)를 가지고 있다.
하우징(10)은 합성 수지제로서,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3)와, 감합통부(14)와, 록 아암(15)을 가지고 있다.
하우징 본체(1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캐비티(16)를 가지고, 각 캐비티(16)의 하면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휨 가능한 랜스(17)를 가지고 있다. 각 캐비티(16)는, 하우징 본체(13)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며, 내부에,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12)가 삽입된다.
단자 금구(12)는, 도전성의 금속판이 굽힘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고, 전선(18)의 단말부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금구(12)는, 전방부에, 상대 단자 금구(92)가 삽입되어 접속 가능한 통형의 접속부(19)를 가지고 있다. 단자 금구(12)는, 접속부(19)가 랜스(17)에 탄성적으로 걸림으로써, 캐비티(16)에 빠짐 방지 상태로 수용된다.
하우징 본체(13)는, 전방부에, 도시를 생략한 프론트 리테이너가 장착된다. 프론트 리테이너는, 하우징 본체(13)의 전방부에 장착되어 랜스(17)의 휨 동작을 규제하여, 단자 금구(12)를 캐비티(16)에 이차적으로 빠짐 방지한다.
하우징 본체(13)는, 도 14~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에 각 캐비티(16)를 구획하는 2연 원통형의 통형부(21)를 가지고 있다. 각 단자 금구(12)에 접속된 전선(18)은, 각 통형부(21)의 후단으로부터 외부에 인출된다. 각 통형부(21) 내에는, 전선(18)에 끼워 붙여지는 도시를 생략한 고무 마개가 액밀하게 삽입된다.
각 통형부(21)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하향으로 돌출하는 빠짐 방지 돌출부(22)를 가지고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돌출부(22)는, 검지 부재(11)의 후술하는 걸림 갈고리(23)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하우징 본체(13)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통형부(21)의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의 측면부(24)를 가지고 있다. 각 측면부(24)는, 상부에, 상하 방향으로 솟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대향벽(25)을 가지고 있다.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대향벽(25)은, 하우징(10)의 전후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각 측면부(24)는,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와 하부 사이에, 단면 각오목형의 오목부(26)를 가지고, 오목부(26)의 안쪽면 후단부에, 갈고리형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7)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27)는, 오목부(26)의 깊이 내에 들어가는 돌출 치수를 가지고 있다. 돌출부(27)의 후방면의 돌출 단부는, 후방을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경사지고, 돌출부(27)의 전방면은,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각 측면부(24)는, 상부와 하부의 각각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하우징 리브(28)를 가지고 있다. 각 하우징 리브(28)는, 상부에 2개, 하부에 1개 마련되고, 서로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각 측면부(24)의 하부에 마련된 하우징 리브(28)는, 상부의 각 하우징 리브(28)의 상하 두께보다 크고, 또한 하부의 전체 높이에 걸친 상하 두께를 가지고 있다. 각 하우징 리브(28)는, 후방으로 감에 따라 측방으로의 돌출량을 점차적으로 계단형으로 작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감합통부(14)는, 하우징 본체(13)의 전방부의 외주를 포위하는 통형을 이루고, 하우징 본체(13)의 전방부와의 사이에, 상대 하우징(90)의 후드부(91)를 감합 가능하게 하고 있다.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 감합되었을 때에, 후드부(91)와 하우징 본체(13) 사이에는, 하우징 본체(13)에 밖에서 끼워지는 도시를 생략한 시일 링이 액밀하게 개재된다.
감합통부(14)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본체(13)의 전방부의 양측을 덮는 한 쌍의 측벽 하부(29)를 가지고 있다. 각 측벽 하부(29)는, 각 측면부(24)와의 사이에 단차(31)를 가지고, 단차(31)를 구성하는 단부면에 각 하우징 리브(28)의 전단이 일체로 연속하고 있다.
감합통부(14)는, 각 측벽 하부(29)의 상단으로부터 기립하여, 각 대향벽(25)의 전방부에 일체화되는 측벽 상부(32)를 가지고 있다. 또한, 감합통부(14)는, 각 측벽 상부(32)의 상단 사이에 가설되는 가설부(33)를 가지고 있다. 각 대향벽(25)과 가설부(33) 사이는, 개방 공간(34)으로서 상방 및 후방에 개방되어 있다.
록 아암(15)은,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대향벽(25) 사이에 배치되어, 하우징 본체(13)의 상면으로부터 폭 방향으로 쌍을 이루어 기립하는 다리부(35)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다리부(35)의 상단으로부터 전후 양방향으로 연장되어, 개방 공간(34)에 노출되는 아암 본체(36)를 가지고 있다. 아암 본체(36)는, 각 다리부(35)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시소형으로 틸팅 변위 가능(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아암 본체(36)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방에 개방되는 조립 공간(37)을 가지고, 전방부에, 조립 공간(37)의 전방을 폐색하는 하우징 걸림부(38)를 가지고,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양측의 단부에, 조립 공간(37)의 폭 방향 양측을 폐색하는 한 쌍의 레일부(39)를 가지고, 상부에, 조립 공간(37)의 후방부 상방을 폐색하는 평판형의 판형부(41)를 가지고 있다.
아암 본체(36)의 조립 공간(37)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부재(11)의 후술하는 검지 본체(42)가 삽입된다. 하우징 걸림부(38)는, 조립 공간(37)에 면하는 후방면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 전, 검지 본체(42)의 후술하는 검지 부재 걸림부(43)를 걸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하우징(10, 90)의 정규 감합 시, 상대 하우징(90)의 록부(93)를 건다. 각 레일부(39)의 측방으로의 돌출 부분은, 검지 본체(42)의 후술하는 레일홈(44)에 삽입되어, 검지 부재(11)의 조립을 가이드한다.
아암 본체(36)는, 폭 방향 양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하우징측 걸림 돌기(40)를 가지고 있다. 각 하우징측 걸림 돌기(40)는, 갈고리형을 이루고,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응하는 레일부(39)에 있어서 상기 측방으로의 돌출 부분의 하면에 연결되어 있다. 각 하우징측 걸림 돌기(40)는, 검지 부재(11)의 후술하는 검지 부재측 걸림 돌기(68)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속해서 검지 부재(11)에 대해서 설명한다. 검지 부재(11)는, 도 10~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감합부(45)와, 검지 본체(42)를 가지고 있다. 감합부(45)는, 내부에, 삽입 공간(46)을 가지고 있다. 검지 부재(11)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공간(46)에 하우징 본체(13)가 얕게 삽입되는 대기 위치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 공간(46)에 하우징 본체(13)가 깊게 삽입되는 검지 위치에, 하우징(10)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감합부(45)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에, 삽입 공간(46)의 후방을 폐색하는 뒷벽(47)을 가지고 있다. 뒷벽(47)은, 중앙부에, 후술하는 한 쌍의 간섭부(48) 및 걸림 갈고리(23)를 시인 가능하게 하는 폭이 넓은 관통 구멍(49)을 가지고 있다. 검지 위치에서는, 뒷벽(47)의 관통 구멍(49)에 하우징 본체(13)의 각 통형부(21)가 끼워져, 뒷벽(47)이 각 통형부(21)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되어 있다.
감합부(45)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에, 삽입 공간(46)의 하방을 폐색하는 하벽(51)을 가지고 있다. 하벽(51)은, 후방부의 폭 방향 중앙부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휨 가능한 빠짐 방지 아암(52)을 가지고 있다. 빠짐 방지 아암(52)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단부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갈고리형의 걸림 갈고리(23)를 가지고 있다. 걸림 갈고리(23)는, 빠짐 방지 아암(52)의 휨 동작을 수반한 후, 하우징(10)의 빠짐 방지 돌출부(22)에 걸린다.
감합부(45)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양측의 단부에, 삽입 공간(46)의 폭 방향 양측을 폐색하는 한 쌍의 측벽(53)을 가지고 있다. 각 측벽(53)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쌍을 이루어 길게 연장되는 상하의 슬릿(54)을 가지고, 상하의 슬릿(54) 사이에, 띠판형의 탄성 부재(55)를 가지고 있다. 각 탄성 부재(55)는, 각 측벽(53)의 전후 단부에 연결되는 부위를 지점으로 하여 휨 가능한 양팔보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각 탄성 부재(55)는,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면의 후방부에, 갈고리형으로 돌출하는 간섭부(48)를 가지고 있다. 간섭부(48)의 후방면의 돌출 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테이퍼형으로 경사지고, 간섭부(48)의 전방면은,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간섭부(48)는, 하우징(10)의 돌출부(27)와 간섭 가능하게 되고, 돌출부(27)보다 큰 전후 두께 및 돌출 치수를 가지고 있다.
각 측벽(53)은,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부에, 전방부, 상부 및 하부(주변 영역)로부터 내측으로 움품 들어간 요면부(56)를 가지고 있다. 각 탄성 부재(55)의 후방부는, 각 요면부(56)에 마련되어 있다. 각 요면부(56)는, 전단으로부터 후방으로 감에 따라 폭 간격[각 측벽(53)의 폭 치수]을 점차적으로 계단형으로 작게 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요면부(56)는,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으로 짧게 연장되어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방면부(57)와, 전후 방향을 따르며 측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측방면부(58)를 전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된다. 각 후방면부(57) 및 각 측방면부(58)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의 슬릿(54)을 통해 요면부(56)의 전체 높이에 걸쳐 연속하여 배치되어 있다.
각 후방면부(57)는, 측면에서 보아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선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후방면부(57)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을 향하여 순차 외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각 측벽(53)의 내면은, 도 6~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섭부(48)를 제외하고 전후 방향을 따라 평탄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측벽(53)은, 요면부(56)에 있어서, 간섭부(48)를 제외하고 후방으로 감에 따라 점점 박육으로 형성된다.
검지 본체(42)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벽(53)의 상단부 사이에서 전후 방향으로 대략 판부재형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검지 부재(11)는, 검지 본체(42)의 폭 방향 양측의 측면 부분과 각 측벽(53) 사이에 가설되는 한 쌍의 연결부(59)를 가지고 있다.
검지 본체(42)는, 록 아암(15)의 조립 공간(37)에 삽입된 상태로 록 아암(15)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되어, 각 연결부(59)를 지점으로 하여 아암 본체(36)와 함께 틸팅 가능하게 되어 있다.
검지 본체(42)는, 후단부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베이스부(61)와, 베이스부(61)의 폭 방향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탄성 아암(62)과, 베이스부(61)의 폭 방향 양단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가이드 아암(63)과, 각 가이드 아암(63) 사이에 가설되어 탄성 아암(62)의 상방을 걸치도록 배치되는 판형의 덮개부(64)를 가지고 있다. 검지 본체(42)의 전단부는, 감합부(45)의 전단보다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탄성 아암(62)과 각 가이드 아암(63)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검지 본체(42)가 록 아암(15)의 조립 공간(37)에 삽입되었을 때에,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아암(62)과 각 가이드 아암(63)의 사이에는, 각 레일부(39)의 상방으로의 돌출 부분이 끼워지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아암(62)과 덮개부(64) 사이에는, 판형부(41)가 끼워진다.
각 가이드 아암(63)은,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레일홈(44)을 가지고 있다. 각 가이드 아암(63)은, 각 레일홈(44)에 각 레일부(39)의 측방으로의 돌출 부분(도 15를 참조)이 끼워진 상태로, 각 레일부(39)를 외측으로부터 포지(抱持)하도록 하여 록 아암(15)에 장착된다.
각 가이드 아암(63)은, 상방으로 돌출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리브(65)를 가지고 있다. 각 리브(65)의 상면 후방부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단을 향하여 내림 구배로 경사지는 형태로 되어 있다.
각 가이드 아암(63)은, 내측에 대향형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검지 부재측 걸림 돌기(68)를 가지고 있다. 각 검지 부재측 걸림 돌기(68)는, 대응하는 레일홈(44)의 하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검지 부재(11)가 대기 위치에 있을 때에, 각 검지 부재측 걸림 돌기(68)이 대응하는 하우징측 걸림 돌기(40)에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탄성 아암(62)은, 전단부에, 하방으로 돌출하는 갈고리형의 검지 부재 걸림부(43)를 가지고 있다. 검지 부재 걸림부(43)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기 위치에서는 하우징 걸림부(38)의 후방면에 접촉하여 검지 부재(11)의 검지 위치로의 이동을 규제하고,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위치에서는 하우징 걸림부(38)의 전방면에 접촉하여 검지 부재(11)의 대기 위치로의 복귀 방향의 이동을 규제한다.
덮개부(64)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 양단을 각 리브(65)의 내면 하부에 연결시키고, 각 리브(65)의 상면보다 1단 내려 평면형의 상면을 위치시킨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64)의 후단은, 베이스부(61)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각 연결부(59)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측벽(53)의 내면의 전단부로부터 각 리브(65)의 외면에 있어서의 상부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검지 본체(42)의 측면 부분]에 걸쳐,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방향으로 테이퍼형으로 연장되는 띠판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각 연결부(59)의 상면은, 각 리브(65)의 상면에 단차 없이 거의 동일 평면으로 연속하고 있다. 각 연결부(59)의 전단은, 각 측벽(53)의 전단[감합부(45)의 전단이기도 함]과 거의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59)와 측벽(53)과 리브(65)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Z자형을 나타내고 있다.
각 연결부(59)는, 검지 본체(42)의 각 리브(65)에 연속하는 측인 후단측에, 검지 본체(42)가 틸팅할 때에 탄성적으로 비틀림 변형하는 틸팅 지점(66)을 가지고 있다. 각 연결부(59)의 틸팅 지점(66)은, 록 아암(15)의 틸팅 지점인 각 다리부(35)와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세하게는, 대기 위치에 있어서 각 다리부(35)와 전후 방향의 거의 동일 위치에 배치된다.
감합부(45)는, 각 측벽(53)의 상단 사이에, 상방에 개방된 개구부(69)를 가지고 있다.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본체(42)는, 개구부(69)에 노출되며 개구부(69)를 통하여 상방에서 시인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에, 양 하우징(10, 90)을 감합·이탈하는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하우징(10)에 검지 부재(11)를 조립한다. 검지 부재(11)는, 각 가이드 아암(63)의 레일홈(44)에 록 아암(15)의 각 레일부(39)가 끼워지며, 삽입 공간(46)에 하우징 본체(13)의 후방부가 끼워짐으로써, 대기 위치에의 조립이 가이드된다. 대기 위치에서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빠짐 방지 아암(52)의 걸림 갈고리(23)가 빠짐 방지 돌출부(22)의 전방면에 접촉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되며,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검지 부재측 걸림 돌기(68)가 각 하우징측 걸림 돌기(40)의 전방면에 접촉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검지 부재(11)는, 하우징(10)에 대하여 상하 양측에서 빠짐 방지되어, 후방으로의 발출이 확실하게 규제된 상태가 된다. 또한, 검지 본체(42)의 검지 부재 걸림부(43)가 록 아암(15)의 하우징 걸림부(38)의 후방면에 접촉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검지 부재(11)의 전방(검지 위치측)으로의 이동이 규제된다.
또한, 대기 위치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64)와 가설부(33) 사이에 간극[도 1의 개방 공간(34)의 부분]이 생기고, 이 간극에, 탄성 아암(62)의 전단부가 시인 가능하게 노출된다. 또한, 대기 위치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탄성 부재(55)의 간섭부(48)가 각 돌출부(27)의 후방면의 돌출 단부(경사 부분)에 후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하게 대향하여 배치된다.
계속해서, 하우징(10)을 상대 하우징(90)에 감합시킨다. 양 하우징(10, 90)의 감합 과정에서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아암 본체(36)의 하우징 걸림부(38)가 록부(93)에 올라앉고, 아암 본체(36)가 각 다리부(35)를 지점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시소형으로 틸팅한다. 이때, 검지 본체(42)도 각 연결부(59)를 지점으로 하여 아암 본체(36)와 함께 틸팅한다. 각 연결부(59)의 틸팅 지점(66)과 각 다리부(35)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기 때문에, 록 아암(15)의 틸팅 변위와 아암 본체(36)의 틸팅 변위가 실질적으로 간섭하는 일없이 양호하게 동기한다.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 감합되면, 아암 본체(36)가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원래의 대략 수평 상태로 되돌아가, 록부(93)가 하우징 걸림부(38)의 후방면에 접촉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한편, 검지 부재 걸림부(43)는 록부(93)에 밀려 올라가 하우징 걸림부(38)와의 걸림을 해제한다. 이에 의해, 검지 부재(11)가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의 검지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다. 또한,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 감합되면, 각 단자 금구(12)의 접속부(19)에 각 상대 단자 금구(92)가 정규 깊이로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계속해서,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부재(11)를 손가락으로 집으면서 검지 위치로 이동시킨다. 작업자는, 검지 부재(11)의 감합부(45)의 각 측벽(53)에 손가락을 대어 전방에 압입함으로써, 검지 부재(11)를 검지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각 측벽(53)이 요면부(56)를 가지고, 요면부(56)의 각 후방면부(57)가 후방을 향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복수 병렬로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각 후방면부(57)를 조작 영역으로서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각 후방면부(57)에 손가락을 대면서 전방으로 압박함으로써, 요면부(56)에 손가락을 미끄러지게 하는 일없이, 검지 부재(11)를 검지 위치를 향하여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탄성 부재(55)의 간섭부(48)가 각 돌출부(27)에 접촉하여 올라앉고, 각 탄성 부재(55)가 요면부(56)로부터 외측으로 팽출되도록 휨 변형한다. 이때, 작업자는, 팽출되는 각 탄성 부재(55)[상세하게는, 각 탄성 부재(55)의 각 후방면부(57) 및 각 측방면부(58)]에 손가락이 눌리면서 접촉하여, 손가락을 통하여 각 탄성 부재(55)의 팽창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는, 검지 부재 걸림부(43)가 하우징 걸림부(38)의 상면을 슬라이딩하여, 탄성 아암(62)이 베이스부(61) 쪽의 후단측을 지점으로 하여 휨 변형한다.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에 이르기 직전에, 각 탄성 부재(55)의 간섭부(48)가 각 돌출부(27)를 타고 넘어, 각 탄성 부재(55)가 탄성 복귀하여 팽창이 해소된다. 각 탄성 부재(55)가 탄성 복귀하는 것에 따라,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에 단숨에 도달하고, 탄성 아암(62)도 탄성 복귀하여,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검지 부재 걸림부(43)가 하우징 걸림부(38)의 전방면에 접촉하여 걸림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검지 부재(11)가 대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64)의 전단이 가설부(33)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며, 감합부(45)의 뒷벽(47)이 하우징 본체(13)의 후방부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보다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이 규제된다. 탄성 아암(62)의 전단부는 가설부(33)의 내측에 숨어 상방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 각 탄성 부재(55)의 간섭부(48)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돌출부(27)보다 전방으로 이격하여 배치되어, 각 돌출부(27)와 접촉하는 일이 없다.
여기서, 만약,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 감합되지 않고, 록부(93)가 하우징 걸림부(38)에 걸리지 않은 상태에서는, 검지 부재 걸림부(43)가 하우징 걸림부(38)와의 걸림을 유지하기 때문에, 검지 부재(11)를 대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검지 부재(11)를 검지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으면,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 감합된 상태에 있고, 검지 부재(11)를 검지 위치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없으면,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 감합되지 않은 상태(소위 반감합 상태)에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에 있는 것은, 하우징(10)에 대한 검지 부재(11)의 이동 상태를 시인함으로써, 예컨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64)의 전단이 가설부(33)에 접촉하는 상태를 시인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검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아암(62)이 탄성 복귀할 때의 조작 필링에 의해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였다고 파악할 수도 있다.
또한,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에 있는 것은, 각 탄성 부재(55)에 접하는 손가락을 통해 촉각적으로 검지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각 측벽(53)의 요면부(56)에 있어서, 각 탄성 부재(55)의 외면(측면)에 형성된 각 후방면부(57)와, 상하의 슬릿(54)을 통해 각 탄성 부재(55)와 인접하는 영역에 형성된 각 후방면부(57)와, 손가락을 맞대면서, 검지 부재(11)를 검지 위치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이 사이의 각 탄성 부재(55)의 팽창과 팽창이 해소되는 상태를, 손가락을 통하여 촉각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메인터넌스 등의 사정에 의해, 양 하우징(10, 90)을 서로 이탈할 때에는, 감합부(45)의 개구부(69)에 손끝이 삽입되어, 검지 본체(42)의 후단부측[베이스부(61) 등]을 손끝으로 밀어 내린다. 그렇게 하면, 검지 본체(42)가 아암 본체(36)와 함께 틸팅하여, 록 아암(15)과 록부(93)의 걸림이 해제된다. 그 상태로, 검지 부재(11)가 후방에 압박되면, 양 하우징(10, 90)이 점차로 이격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검지 부재(11)도 대기 위치로 되돌아가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빠짐 방지 아암(52)의 걸림 갈고리(23)가 빠짐 방지 돌출부(22)에 걸림으로써, 검지 부재(11)가 하우징(10)에 대하여 대기 위치에 유지되는 한편, 양 하우징(10, 90)이 서로 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 1에 따르면, 양 하우징(10, 90)이 정규로 감합된 후, 각 측벽(53)의 요면부(56)에 마련된 각 후방면부(57)를 손가락으로 파지하여, 각 후방면부(57)를 전방으로 압박함으로써, 검지 부재(11)를 대기 위치로부터 검지 위치로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각 후방면부(57)와 중첩되는 위치에 각 탄성 부재(55)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각 탄성 부재(55)가 외측에 팽창되었을 때에, 손가락이 각 탄성 부재(55)로 눌리게 되어, 각 탄성 부재(55)의 팽창을 손가락을 통해 감지할 수 있다. 또한,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 각 탄성 부재(55)의 팽창이 해소되고, 그 상태도 손가락을 통하여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로 이동한 것을 시인 및 조작 필링에 가하여 촉감으로도 파악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지 부재(11)의 검지 위치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검지 부재(11)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 각 탄성 부재(55)의 간섭부(48)가 각 돌출부(27)보다 전방으로 비접촉 상태로 이격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간섭부(48) 및 돌출부(27)의 상호의 위치 관계나 형상에 배려를 더할 필요가 실질적으로 없고, 간섭부(48) 및 돌출부(27)의 배치나 형상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특히, 작업자는, 요면부(56)로부터 팽출되는 각 탄성 부재(55)에 손가락이 눌리기 때문에, 양호한 촉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각 후방면부(57)가 각 측벽(53)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하지 않기 때문에, 검지 부재(11)의 이동 조작에 지장을 가져올 염려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
이하, 다른 실시예를 간단하게 설명한다.
(1) 검지 부재는, 검지 본체를 사이에 끼운 양측 중 적어도 일측에 측벽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2) 탄성 부재, 간섭부 및 돌출부는, 양 측벽 중 한쪽의 측벽에만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3) 후방면부는, 측벽의 측면 중, 슬릿을 통해 탄성 부재와 인접하는 영역에는 마련되지 않고, 탄성 부재에만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4) 후방면부는, 측벽의 측면 중, 탄성 부재에는 마련되지 않고, 슬릿을 통해 탄성 부재와 인접하는 영역에만 마련되는 것이어도 좋다.
(5) 후방면부는, 폭 방향 및 전후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는 사면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요면부로부터 측방면부를 생략할 수 있다.
(6) 탄성 부재의 외면은, 요면부 중, 상하의 슬릿을 통해 탄성 부재와 인접하는 영역의 외면에 대하여, 1단 내측으로 움품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으면 좋다. 이에 따르면, 검지 부재를 검지 위치로 이동할 때에, 작업자의 손가락이 탄성 부재의 외면에 항상 접촉하는 일이 없고, 간섭부가 돌출부와 간섭하여, 탄성 부재가 외측으로 팽창되었을 때에만, 작업자의 손가락이 탄성 부재에 접촉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10 : 하우징 11 : 검지 부재
15 : 록 아암 27 : 돌출부
38 : 하우징 걸림부 42 : 검지 본체
43 : 검지 부재 걸림부 45 : 감합부
48 : 간섭부 53 : 측벽
54 : 슬릿 55 : 탄성 부재
56 : 요면부 57 : 후방면부
59 : 연결부 66 : 틸팅 지점
69 : 개구부 90 : 상대 하우징
93 : 록부
15 : 록 아암 27 : 돌출부
38 : 하우징 걸림부 42 : 검지 본체
43 : 검지 부재 걸림부 45 : 감합부
48 : 간섭부 53 : 측벽
54 : 슬릿 55 : 탄성 부재
56 : 요면부 57 : 후방면부
59 : 연결부 66 : 틸팅 지점
69 : 개구부 90 : 상대 하우징
93 : 록부
Claims (4)
-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 하우징에 정규로 감합되었을 때에,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의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검지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돌출부를 갖고,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을 덮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은,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와 간섭하여 외측으로 팽창되고, 상기 검지 위치에서는 팽창이 해소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주변 영역에 대하여 움푹 들어간 요면부를 갖고,
상기 측벽의 측면은, 상기 탄성 부재의 양측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상기 탄성 부재와 인접하는 위치에 있어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방면부를 가지며,
상기 요면부는 상기 후방면부와, 전후 방향을 따르며 측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측방면부를 전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인 커넥터. - 상대 하우징에 감합 가능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 하우징에 정규로 감합되었을 때에, 대기 위치로부터 전방의 검지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되는 검지 부재
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측면에 돌출부를 갖고,
상기 검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상기 측면을 덮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은, 상기 검지 위치로의 이동 과정에서 상기 돌출부와 간섭하여 외측으로 팽창되고, 상기 검지 위치에서는 팽창이 해소되는 탄성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의 주변 영역에 대하여 움푹 들어간 요면부를 갖고,
상기 탄성 부재의 측면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후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후방면부를 가지며,
상기 요면부는 상기 후방면부와, 전후 방향을 따르며 측방을 향하여 배치되는 측방면부를 전후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와 간섭하는 상기 탄성 부재의 간섭부는, 상기 검지 부재가 검지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돌출부와 전후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는 것인 커넥터.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8-172195 | 2018-09-14 | ||
JP2018172195A JP2020047363A (ja) | 2018-09-14 | 2018-09-14 | 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31518A KR20200031518A (ko) | 2020-03-24 |
KR102218571B1 true KR102218571B1 (ko) | 2021-02-19 |
Family
ID=69773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05007A KR102218571B1 (ko) | 2018-09-14 | 2019-08-27 |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0916890B2 (ko) |
JP (1) | JP2020047363A (ko) |
KR (1) | KR102218571B1 (ko) |
CN (1) | CN11091189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47188B1 (ko) * | 2018-11-14 | 2024-03-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커넥터 장치 |
JP2024068482A (ja) * | 2022-11-08 | 2024-05-20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77139A (ja) | 1998-08-31 | 2000-03-14 | Yazaki Corp | コネクタ嵌合構造 |
JP2002141145A (ja) | 2000-10-31 | 2002-05-17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US20150295357A1 (en) * | 2014-04-10 | 2015-10-15 | Delphi Technologies, Inc. | Connector with vibratory connection feedback |
Family Cites Families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813836B2 (ja) * | 2001-05-18 | 2006-08-23 | 矢崎総業株式会社 | 半嵌合防止コネクタ |
US6786747B1 (en) * | 2002-09-11 | 2004-09-07 | Yazaki North America, Inc. | Axial adjustable connector shorting assembly |
JP4577209B2 (ja) * | 2005-12-26 | 2010-11-10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977404B2 (ja) | 2006-05-26 | 2012-07-18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KR100866090B1 (ko) * | 2007-03-30 | 2008-10-30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커넥터 어셈블리 |
CN102280758B (zh) * | 2011-05-24 | 2013-08-07 | 中航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 具有连接到位手感的连接器组件 |
WO2014181414A1 (ja) * | 2013-05-08 | 2014-11-13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15082363A (ja) * | 2013-10-21 | 2015-04-2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515825B2 (ja) * | 2016-01-21 | 2019-05-22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20047364A (ja) * | 2018-09-14 | 2020-03-26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2020047365A (ja) * | 2018-09-14 | 2020-03-26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
2018
- 2018-09-14 JP JP2018172195A patent/JP2020047363A/ja active Pending
-
2019
- 2019-08-27 KR KR1020190105007A patent/KR10221857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09-12 CN CN201910864276.7A patent/CN110911899B/zh active Active
- 2019-09-13 US US16/569,707 patent/US10916890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77139A (ja) | 1998-08-31 | 2000-03-14 | Yazaki Corp | コネクタ嵌合構造 |
JP2002141145A (ja) | 2000-10-31 | 2002-05-17 | Sumitomo Wiring Syst Ltd | コネクタ |
US20150295357A1 (en) * | 2014-04-10 | 2015-10-15 | Delphi Technologies, Inc. | Connector with vibratory connection feedba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911899A (zh) | 2020-03-24 |
US20200091655A1 (en) | 2020-03-19 |
KR20200031518A (ko) | 2020-03-24 |
US10916890B2 (en) | 2021-02-09 |
JP2020047363A (ja) | 2020-03-26 |
CN110911899B (zh) | 2021-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18570B1 (ko) | 커넥터 | |
KR100954134B1 (ko) | 커넥터 | |
EP2733794B1 (en) | Connector provided with a connecting position assurance device | |
JP5050820B2 (ja) | コネクタ | |
KR101795202B1 (ko) | 커넥터 | |
KR20060002847A (ko) | 커넥터 위치 보장 부재를 갖는 전기 커넥터 | |
KR102218571B1 (ko) | 커넥터 | |
KR20180096743A (ko) | 커넥터 | |
JP6150172B2 (ja) | コネクタ | |
JP6447100B2 (ja) | コネクタ | |
JP5510346B2 (ja) | コネクタ | |
KR102218568B1 (ko) | 커넥터 | |
US10355412B2 (en) | Connector | |
CN114080734B (zh) | 连接器 | |
JP2012169075A (ja) | コネクタ | |
CN109690878B (zh) | 连接器 | |
JP7209192B2 (ja) | コネクタ | |
JP7202531B2 (ja) | コネクタ | |
JP6252386B2 (ja) | コネクタ | |
JP6004279B2 (ja) | コネクタ | |
EP3139451A1 (en) |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it | |
CN112670768B (zh) | 连接器 | |
KR20150135507A (ko) | 커넥터 | |
JP2008016418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