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346B1 -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346B1
KR102218346B1 KR1020200144032A KR20200144032A KR102218346B1 KR 102218346 B1 KR102218346 B1 KR 102218346B1 KR 1020200144032 A KR1020200144032 A KR 1020200144032A KR 20200144032 A KR20200144032 A KR 20200144032A KR 102218346 B1 KR102218346 B1 KR 1022183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xtraction step
hours
leaves
s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배
전순영
Original Assignee
김상배
전순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배, 전순영 filed Critical 김상배
Priority to KR1020200144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83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3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3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3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extraction with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8Multiple-step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칠나무 잎, 가지, 줄기, 전대 및 목대의 부위별로 다른 법제과정을 거침으로써, 사포닌 등 항산화성분 기타 유효성분이 풍부한 황칠나무 진액의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부위별 건조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칠나무의 부위별로 다른 법제과정을 거쳐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저온에서 고온으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8단계에 거쳐 추출을 진행함으로써,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증대되고, 진한 향과 맛을 가진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Dendropanax morbifera extract by drying by part and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황칠나무 잎, 가지, 줄기, 전대 및 목대의 부위별로 다른 법제과정을 거침으로써, 사포닌 등 항산화성분 기타 유효성분이 풍부한 황칠나무 진액의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부위별 건조 과정을 달리하고, 진액 추출 온도 및 시간을 달리하는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칠나무(Dengropanas morbifera)는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상록활엽수림이며, 전남 서남해안 및 도서지방에서만 자생 및 재배되는 난대성 수종이다. 황칠의 수지는 황금색이고 내열, 내구, 내수성이 강하며 부착성 및 광택이 좋아 예로부터 전통공예품에 천연도료 및 민간 의약품 소재로 쓰여지고 있으며, 황칠은 세스퀴테르펜 등의 정유 성분 뿐만 아니라, 아라키딕산, 팔미틱산, 아르기닌 등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동맥경화, 간기능 개선, 항산화 뼈 재생 촉진, 면역 증강, 항균, 항암 등의 효과가 보고되고 있다.
황칠나무는 덴드로 파낙스(Dendro-panax)라는 학명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그 약리학적 효능이 매우 뛰어난 약용식물이다. 과거에는 천연도료로 쓰였으나,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항암, 항산화 효과, 간세포 재생, 당뇨치료, 경조직 세포 재생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황칠의 다양한 유용성에 의해 식품으로 섭취하고자 하는 시도가 연구되고 있다.
본초강목에는 번열 제거, 안질 및 화상 치료, 중풍, 나병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그 뿌리와 줄기는 거풍습, 황멸맥, 풍습비통, 편두통, 월경불순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으며, 최근, 황칠나무의 약리효과에 대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황칠나무 추출물은 피부 미백활성, 항암 활성, 항염증 활성, 항산화 활성, 숙취 해소 기능, 진해 활성 등의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비특허문헌 1).
그러나, 황칠나무 진액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일은 황칠나무를 법제(자연에서 채취한 원 생약을 약으로 건조 처리하는 과정) 과정이다.
일반적으로 황칠나무 진액을 법제하는 경우 잎, 줄기, 전대(가지), 목대(몸통), 뿌리를 모두 한꺼번에 건조하여 법제 후 기계로 단순 분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황칠나무의 잎, 줄기, 가지, 뿌리의 습도와 성분에 차이가 있어 동일하게 건조하거나, 법제하는 경우 그 유효성분이 파괴되거나, 그 유효성분이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황칠나무 고유의 풋내는 제거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고온에서 추출을 시도함으로써 황칠나무 성분의 열 변성, 성분간의 반응과 휘발성 성분의 손실 등의 품질변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황칠나무의 부위별로 다른 법제 과정을 거쳐 부위별 유효성분을 최대한 추출할 수 있으며, 저온 가압 추출 방식에 의하여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 및 항산화 활성이 증대되고, 향과 맛이 진하고 기호도가 개선된 황칠진액을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공개특허 제10-2016-0056007호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한국 등록특허 공보 제10-1552764호 약재의 진액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황칠나무의 부위별로 다른 법제 과정을 거쳐 부위별로 황칠나무의 유효성분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으며, 부위별로 다른 추출온도와 시간을 거쳐 황칠나무의 유효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방법과 그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부위별 건조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황칠나무를 잎과 줄기, 전대와 목대, 뿌리를 세분화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잎과 줄기는 하루 1~2회, 목대와 전대는 2~3일에 1회, 뿌리는 3~5일에 1회씩 뒤집어 가며 잎과 줄기는 최소 60 ~ 80일, 전대와 목대는 100 ~ 120일, 뿌리는 최소 6개월 ~ 1년 간 골고루 말리는 건조단계;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하는 약재 준비단계; 세척한 황칠나무 전대는 5 ~ 10cm 절단하고, 목대는 껍질부분과 수관을 감싸고 있는 지름 1cm 정도 절단하여 재료 손질단계; 전체 중량대비 잎과 줄기는 각각 5 ~ 8중량부, 전대 7 ~ 10 중량부, 목대 3 ~ 5중량부, 뿌리 1 ~ 3 중량부, 정제수 75 ~ 80 중량부를 포함하여 망에 넣고 추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추출기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면서 60 ~ 70℃ 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로 저온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 상기 1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80℃로 올려가며, 24시간 가열하는 2차 추출단계; 상기 2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90℃로 올려가며 24시간 가열하는 3차 추출단계; 상기 3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100℃로 올려가며 24시간 가열하는 4차 추출단계; 상기 4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115℃로 올려가며 48시간 가열하는 5차 추출단계; 상기 5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상온에서 냉각하여 잎과 줄기를 제거하는 단계; 냉각한 잎과 줄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115℃에서 24시간 가열하는 6차 추출 단계; 상기 6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132℃에서 48시간 가열하는 7차 추출단계; 상기 7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다시 100℃로 상온 냉각하여 24시간 유지시키는 8차 추출단계; 상기 8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상온 냉각시켜 목대와 전대, 뿌리를 제거한 후 100℃에서 다시 24시간 유지시키며 멸균하는 멸균단계;및 상기 멸균단계의 멸균 추출액을 100℃로 유지하며 진공 포장하는 포장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1차 추출단계 내지 8차 추출단계는 2-5 kgf/cm2의 압력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추출되는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황칠나무의 부위별로 짧게는 60일에서 길게는 1년간의 법제과정을 거친 후, 부위별로 다른 온도와 시간으로 진액을 추출하도록 함으로써, 부위별 유효성분을 최대한으로 추출하고, 유효성분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저온에서 고온으로 온도를 변화시키면서 8단계에 거쳐 추출을 진행함으로써, 건강에 유익한 유효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증대되고, 진한 향과 맛을 가진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과 그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황칠나무의 잎과 줄기는 5차 추출까지 진행하고, 목대, 전대 및 뿌리의 경우는 8차 추출까지 진행하여 부위별로 건조과정 및 추출과정을 달리하여 그 유효성분을 최대한으로 추출하여 유효성분의 농도가 향상되는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위별 건조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위별 건조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황칠나무 진액을 추출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일은 황칠나무를 법제하는 과정이다. 법제란, 자연에서 채취한 원 생약을 약으로 처리하는 과정으로서, 황칠나무의 부위에 따라 성분이나 습도가 상이하여 유효성분을 최대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법제과정을 거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별도 법제과정을 무시하고 기계 분쇄하는 경우에는 황칠나무가 가진 사포닌(saponin), 세사몰(sesamol, 깨에 존재하는 리그닌 류의 하나인 세사몰린이 가수분해되어 얻어지는 항산화성 물질) 성분들을 파괴시키게 된다.
황칠나무 진액 추출을 위해서는 먼저, 황칠나무 법제과정을 거쳐야 하는 데, 황칠나무 법제에 있어서 잎, 줄기, 전대(가지), 목대(몸통), 뿌리는 법제 시간이 다르다.
황칠나무의 특성상 채취 후에는 직사광선을 받으면, 주요성분인 사포닌과 세사몰이 감소하기 시작하므로,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통풍이 잘되는 서늘한 곳에서 법제하는 것이 적합하다.
잎과 줄기는 최소 60 ~ 80일, 전대와 목대는 100 ~ 120일, 뿌리는 최소 6개월에서 1년 정도의 시간을 요한다. 이와 같이 법제시간이 각각 상이한 것은 계절과 습도, 온도에 따라 법제를 달리하여야 유효성분을 최대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황칠나무를 잎과 줄기, 전대(가지)와 목대(몸통), 뿌리를 세분화하여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잎과 줄기는 하루 1~2회, 목대와 전대는 2~3일에 1회, 뿌리는 3~5일에 1회씩 뒤집어 가며 골고루 말리는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이 황칠나무 부위별로 법제가 진행된 후에야 황칠나무 진액을 추출하게 되는데, 이하 상술한다.
먼저, 잘 법제된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한다.
전대(가지)는 5 ~ 10cm 절단하고, 목대는 껍질부분과 수관(식물 나무의 가지와 잎이 달려있는 부분으로 원 몸통에서 나온 줄기)을 감싸고 있는 지름 1cm 정도만 절단하여 준비해둔다.
전체 중량대비 잎과 줄기는 각각 5 ~ 8중량부, 전대 7 ~ 10 중량부, 목대 3 ~ 5중량부, 뿌리 1 ~ 3 중량부, 정제수 75 ~ 80 중량부를 포함하여 망에 넣고 추출기에 투입한다.
추출기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면서 60 ~ 70℃ 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로 저온 추출한다.
1차로 추출한 추출액을 80℃로 올려가며, 24시간 가열한다(2차 추출). 2차로 추출한 추출액을 90℃로 올려가며 24시간 가열한다(3차 추출).
3차로 추출한 추출액을 100℃로 올려가며 24시간 가열한다(4차 추출). 4차로 추출한 추출액을 115℃로 올려가며 48시간 가열한다(5차 추출). 5차로 추출한 추출액을 상온에서 냉각하여 잎과 줄기를 제거한다.
잎과 줄기는 5차 추출과정을 통해 이미 유효성분의 추출이 거의 진행되었으며, 이들을 추가 추출할 경우 맛이 쓰게 되므로, 이를 제거하고 나머지 성분의 추가 추출을 위해 이하 6차 ~ 8차 추출을 진행한다.
냉각한 잎과 줄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115℃에서 24시간 가열한다(6차 추출). 6차로 추출한 추출액을 132℃에서 48시간 가열한다(7차 추출).
7차로 추출한 추출액을 다시 100℃로 상온 냉각하여 24시간 유지시킨다(8차 추출).
상기 1차 내지 8차 추출은 2-5 kgf/cm2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8차로 추출한 추출액을 상온 냉각시켜 목대와 전대, 뿌리를 제거한 후 100℃에서 다시 24시간 유지시키며 멸균한다. 이렇게 멸균한 추출액을 100℃로 유지하며 진공 포장한다.
이렇게 저온과 고온의 추출을 반복함으로써, 온도 별로 추출될 수 있는 유효성분을 최대로 추출할 수 있으며, 유효성분을 농도를 진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유익한 유효성분과 항산화 활성이 대폭 증대될 수 있다.
< 실시예 1 >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에 대한 유효성분 함량 검사
본 발명의 황칠나무 진액 추출방식에 의해 얻은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본발명)과 중탕기에서 법제 추출한 황칠나무 추출액(비교예)을 유도결합플라즈마 분광기(ICP)에 의해 정량 분석한 결과를 아래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원 소 명 본 발 명(ppm) 비교예(ppm)
Cu 0.89 0.069
Zn 0.75 0.428
Fe 0.35 0.243
Mn 17.21 6.322
Al 0.42 0.215
K 361.2 186.1
Ca 142.2 47.80
Mg 40.02 15.80
Na 59.30 21.17
Se 0.006 0.005
Ge 0.010 0.004
< 실시에 2 : 관능 검사 >
구분 종합적 기호도
본 발명 9.3 9.4 9.3
비교예 8.2 8.4 8.2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추출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에 관한 시료는 맛과 향, 종합적 기호도 측면에서 대조군인 비교예에 비하여 관능적인 면에서 모두 더 나은 평가를 받았다.
상기에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3)

  1. 황칠나무를 잎과 줄기, 전대와 목대, 뿌리를 세분화하여 직사광선이 들지 않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잎과 줄기는 하루 1~2회, 목대와 전대는 2~3일에 1회, 뿌리는 3~5일에 1회씩 뒤집어 가며 잎과 줄기는 최소 60 ~ 80일, 전대와 목대는 100 ~ 120일, 뿌리는 최소 6개월 ~ 1년 간 골고루 말리는 건조단계;
    황칠나무를 깨끗이 세척하여 준비하는 약재 준비단계;
    세척한 황칠나무 전대는 5 ~ 10cm 절단하고, 목대는 껍질부분과 수관을 감싸고 있는 지름 1cm 정도 절단하여 재료 손질단계;
    전체 중량대비 잎과 줄기는 각각 5 ~ 8중량부, 전대 7 ~ 10 중량부, 목대 3 ~ 5중량부, 뿌리 1 ~ 3 중량부, 정제수 75 ~ 80 중량부를 포함하여 망에 넣고 추출기에 투입하는 단계;
    추출기를 진공상태로 유지하면서 60 ~ 70℃ 에서 48시간 동안 가열하여 1차로 저온 추출하는 1차 추출단계;
    상기 1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80℃로 올려가며, 24시간 가열하는 2차 추출단계;
    상기 2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90℃로 올려가며 24시간 가열하는 3차 추출단계;
    상기 3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100℃로 올려가며 24시간 가열하는 4차 추출단계;
    상기 4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115℃로 올려가며 48시간 가열하는 5차 추출단계;
    상기 5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상온에서 냉각하여 잎과 줄기를 제거하는 단계;
    냉각한 잎과 줄기를 제거한 추출액을 115℃에서 24시간 가열하는 6차 추출 단계;
    상기 6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132℃에서 48시간 가열하는 7차 추출단계;
    상기 7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다시 100℃로 상온 냉각하여 24시간 유지시키는 8차 추출단계;
    상기 8차 추출단계의 추출액을 상온 냉각시켜 목대와 전대, 뿌리를 제거한 후 100℃에서 다시 24시간 유지시키며 멸균하는 멸균단계;및
    상기 멸균단계의 멸균 추출액을 100℃로 유지하며 진공 포장하는 포장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1차 추출단계 내지 8차 추출단계는 2-5 kgf/cm2의 압력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방법.
  2. 삭제
  3. 제1항의 황칠나무 진액 추출방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KR1020200144032A 2020-11-02 2020-11-02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KR1022183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32A KR102218346B1 (ko) 2020-11-02 2020-11-02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032A KR102218346B1 (ko) 2020-11-02 2020-11-02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8346B1 true KR102218346B1 (ko) 2021-02-19

Family

ID=74687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032A KR102218346B1 (ko) 2020-11-02 2020-11-02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834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185A (ko) * 2003-11-10 2005-05-17 김윤수 느릅나무의 전처리방법 및 그 전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되는느릅나무 차와 음료
KR101552764B1 (ko) 2013-08-06 2015-09-11 조창수 약재의 진액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KR20160056007A (ko) 2014-11-11 2016-05-19 (주)디지탈옵틱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70130844A (ko) * 2016-05-19 2017-11-29 이현태 황칠진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1650A (ko) * 2019-09-27 2020-06-19 고충훈 황칠 엑기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황칠 엑기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45185A (ko) * 2003-11-10 2005-05-17 김윤수 느릅나무의 전처리방법 및 그 전처리방법에 의해 제조되는느릅나무 차와 음료
KR101552764B1 (ko) 2013-08-06 2015-09-11 조창수 약재의 진액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KR20160056007A (ko) 2014-11-11 2016-05-19 (주)디지탈옵틱 황칠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20170130844A (ko) * 2016-05-19 2017-11-29 이현태 황칠진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71650A (ko) * 2019-09-27 2020-06-19 고충훈 황칠 엑기스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따른 황칠 엑기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20616B2 (ja) オリーブ薬膳酒の製造方法
Adkar et al. Pandanus odoratissimus (Kewda): A review on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nutritional aspects
KR102058464B1 (ko) 가글용 생약 추출액 조성물
US20190216123A1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CN105815507A (zh) 荷叶茶的制备方法
Tangirkulova A CROSS-SECTIONAL STUDY OF DRUG NAMES USED IN THERAPEUTIC DISEASES IN ENGLISH AND UZBEK LANGUAGES
KR102218346B1 (ko) 부위별 법제 과정에 의한 황칠나무 진액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CN108485845B (zh) 一种嘉宝果叶片手工皂及其制作方法
KR101145498B1 (ko) 천연한방추출물을 포함하는 바디워시제조방법 및 그 바디워시조성물
KR20050117974A (ko) 참오동 추출물을 함유한 천연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2905B1 (ko) 쌈무의 제조방법
KR20090124734A (ko) 기능성 꾸지뽕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091783B1 (ko) 버섯 가공 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037091A (ko) 소나무의 항균성분을 가지는 의류소재의 제조방법.
KR101884627B1 (ko) 천연식물 에센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Moghadam et al. Medicinal properties of pomegranate
Madhumita et al. Processing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betel leaf (Piper betle L.)
KR20190129367A (ko) 그라비올라를 포함하는 혼합차 제조 방법
KR20200142768A (ko)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KR102660439B1 (ko) 동결건조를 이용한 닥나무 박피방법
RU2716403C1 (ru) Состав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чайного напитка на основе лиственницы
Reyes-Reyna et al. By-Products Derived from Wine Industry: Biological Importance and Its Use
KR102421362B1 (ko) 한방재료를 이용한 구강 청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5509495B2 (ja) 植物抽出組成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3013B1 (ko) 옥수수 수염 채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