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963B1 - 도정 장치 - Google Patents

도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963B1
KR102217963B1 KR1020140166333A KR20140166333A KR102217963B1 KR 102217963 B1 KR102217963 B1 KR 102217963B1 KR 1020140166333 A KR1020140166333 A KR 1020140166333A KR 20140166333 A KR20140166333 A KR 20140166333A KR 102217963 B1 KR102217963 B1 KR 1022179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iction
type
polishing
grinding
res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6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901A (ko
Inventor
가쓰유키 구마모토
가오루 시타데라
가즈토 노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사따께
Publication of KR20150068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3/00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 B02B3/04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 B02B3/045Hulling; Husking; Decorticating; Polishing; Removing the awns; Degerming by means of rollers cooperating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7/00Auxiliary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금이 간 쌀을 많이 포함하는 현미나, 미숙미를 많이 포함하는 현미라도, 쇄립을 발생시키지 않고, 정립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정 장치를 제공한다. 마찰식 정곡 처리부(15)의 마찰식 제강 금망통(41)에는, 내벽면에 복수의 저항 바(51)가 설치되고, 마찰식 정곡 처리부(15)의 마찰식 정백 롤(39)의 길이 방향으로는, 마찰식 정백 롤(39)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복수의 저항 바(51)로 중첩하여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장척형의 교반 바(39a)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도정 장치{MILLING APPARATUS}
본 발명은, 미숙미(未熟米)가 다수 혼입된 현미나, 금이 간 쌀(crack rice)이 다수 혼입된 현미 등, 딱딱한 쌀과 부드러운 쌀이 혼합된 품질의 나쁜 원료 현미(저품위 현미)라도 쇄미(碎米; crushed rice)의 발생을 저감하여 도정할 수 있는 도정(搗精)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미(精米) 공장 등에 설치되어 있는 정곡기(精穀機)를 가동할 때는, 작업자가 미리 현미의 성상(性狀)(수분이나 품종이나 산지나 수확 후의 조제 방법 등)을 확인한 후, 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경험이나 감에 의해 저항 커버의 가압력을 증감 조절하거나, 도정실(搗精室) 내의 충만도를 조절하거나 하여 도정이 개시된다. 이것은, 현미의 성상에 따라, 정곡기의 최적의 조건을 설정함으로써, 도정도(搗精度)나 수율(收率)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것에 기여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람의 손에 의한 정곡기의 가압력의 증감 조절은 재현성이 부족하고, 설정 기준도 애매한 것이었다.
도 6은 종래의 가로형의 정곡기의 측종단면도(側縱斷面圖)이며,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곡기는 중공부(103)를 구비한 정곡(精穀) 로터(102)를 회전 가능한 주축(主軸)(104)에 축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주축(104) 및 정곡 로터(102)를 제강통(除糠筒)(105) 내에 회전 가능하게 가로로 설치하고, 주축(104)에 내부 송풍로로부터 정곡 로터(102)의 중공부(103)에 분기(噴氣)하는 분기공(噴氣孔)(107)을 형성하고, 정곡 로터(102)의 외주면에는 축 방향으로 교반용 돌조(114)(도 7 참조)를 형성하여 주요부가 구성된다. 그리고, 쌀의 출구로 되는 배곡구(排穀口)(106) 근방에는, 배곡구(106)의 개구부를 폐쇄 가능하게 한 커버체(111)와, 상기 커버체(111)의 중심을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하고, 또한 쌀의 유출압(流出壓)에 저항하여 배곡구(106)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커버체(111)를 가압하는 가압 지지암(112)과, 상기 가압 지지암(112)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커버체(111)의 가압력의 증감 조절이 가능한 분동(分銅;weight)(113)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7은 동일한 가로형의 정곡기의 정곡부(精穀部)를 나타낸 정종단면도(正縱斷面圖)이며, 이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곡 로터(102)는, 교반용 돌조(114)의 장착 방향에 있어서는 반경 r보다 큰 반경 R에 의해 편심(偏心)되어 형성되고, 또한 제강통(105)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정곡기의 제강통(105) 내에서 정곡 로터(102)를 회전시키면, 미립(米粒)끼리에는 알갱이들의 마찰에 의한 마찰력이 생겨 정미 작용이 생긴다. 또한, 상기 편심되어 형성된 정곡 로터(102)와, 다각형으로 형성된 제강통(105)에 의해, 도정실(115)에서는 압력이 높은 부분과 낮은 부분이 생기므로, 정미 작용과 함께 탈아(脫芽) 작용이 생기게 된다. 이 때, 작업자는 미리 현미의 성상(수분이나 품종이나 산지나 수확 후의 조제 방법 등)을 확인한 후, 이에 기초하여 작업자가 경험이나 감에 의해 커버체(111)의 가압력을 증감 조절하기 위해 분동(113)의 개수를 가감(加減) 조절하게 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그러나, 상기 종래의 가로형의 정곡기에 있어서 도정 시의 수율을 상승시키려면, 예를 들면, 상기 정곡 로터(102)의 편심 정도를 크게 하여 도정 압력을 높이거나, 제강통(105)의 내측을 엠보싱 가공하여 요철(凹凸)로 형성하고, 도정실(115) 내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금이 간 쌀을 많이 포함하는 현미나, 미숙미를 많이 포함하는 현미에 대해서는, 도정실(115)의 내부 압력을 올려 도정하면 쇄미가 많이 발생하여 정립(整粒) 수율을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되어 있었다.
일본 특허공고 소34―412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금이 간 쌀을 많이 포함하는 현미나, 미숙미를 많이 포함하는 현미라도, 쇄립을 발생시키지 않고, 정립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도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회전 가능한 주축에 연삭식(硏削式) 정백(精白) 롤을 축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주위에는 간극(間隙)을 통하여 연삭식 제강 금망통(金網筒)을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연삭식 정곡 처리부와, 회전 가능한 주축에 마찰식 정백 롤을 축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마찰식 교반 롤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마찰식 제강 금망통을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마찰식 정곡 처리부를 연좌(連座)하여 구성되는 도정 장치로서, 상기 마찰식 정곡 처리부의 마찰식 제강 금망통에는, 내벽면에 복수의 저항 바가 설치되고, 상기 마찰식 정곡 처리부의 마찰식 정백 롤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마찰식 정백 롤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저항 바와 중첩하여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장척형(長尺形)의 교반 바를 구비하는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또한,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저항 바는 단척(短尺)의 각기둥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항 바의 길이 H와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길이 L을 대비했을 때, H:L = 1:2.5∼3.5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 저항 바는,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정품(精品) 배출 측 가까이의 위치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저항 바는, 상기 저항 바와 상기 마찰식 정백 롤의 교반 바와의 간극을 3.5∼7.0㎜로 되도록, 상기 도정실 방향으로의 돌출 두께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상기 저항 바는,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이 단면(斷面)에서 볼 때 정다각형인 경우, 다각형의 내벽면에 1개 건너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도정 장치에 원료 현미가 공급되면, 먼저, 연삭식 정곡 처리부에 있어서 미립의 표면이 연삭식 정백 롤의 연마재에 의해 연마되어 표피가 깎아진다. 이 때, 도정실에서는 원료 현미가 유동하고 있지만, 연삭식 정백 롤과의 충돌하는 충격에 의해 탈아가 행해진다. 여기서, 원료 현미를 100 중량%로 하면, 5∼20 중량%의 현미가 탈아되게 된다.
다음에, 원료는 마찰식 정곡 처리부에 공급된다. 마찰식 정곡 처리부에서는 미립끼리를 맞대고 비벼 표면의 표피가 벗겨진다. 이 때, 전회의 단계의 연삭식 정곡 처리부에 있어서 충분히 탈아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후속 단계의 마찰식 정곡 처리부의 도정실 내의 압력을 저압으로 할 수 있다. 마찰식 정곡 처리부의 도정실에서는,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내벽면에 설치한 복수의 저항 바와 마찰식 정백 롤에 설치한 교반 바와의 중첩에 의해 현미가 교반되어 복수의 저항 바에 현미의 배아부가 복수 회 충돌하는 것에 의한 충격으로 탈아가 행해진다. 그리고, 원료 현미를 100 중량%로 하면, 마찰식 정곡 처리부에 있어서 60∼95 중량%의 현미가 탈아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내벽면에 설치한 복수의 저항 바와, 마찰식 정백 롤에 설치한 교반 바에 의해, 알갱이들끼리의 압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충격만으로 탈아되게 되어, 미숙미와 갈라진 쌀의 혼입율이 많은 저품위 현미라도, 알갱이들끼리의 큰 마찰 압력이 생기지 않으므로, 쇄미의 발생하는 비율이 종래의 2분의 1에서 3분의 1의 비율로 격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2항에 의하면, 상기 저항 바는 단척의 각기둥형(角柱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항 바의 길이 H와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길이 L을 대비했을 때, H:L= 1: 2.5∼3.5의 범위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저항 바의 길이 H를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길이 L과 대략 같은 길이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도정실 내의 압력을 대폭 내릴 수 있어, 알갱이들끼리의 압력에 의존하지 않고, 충격만으로 탈아되어 쇄미의 발생하는 비율을 감소할 수 있다.
제3항에 의하면, 상기 저항 바는,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정품 배출 측 가까이의 위치에 설치하면, 도정실의 정품 배출 측 가까이의 압력만을 높여 도정을 행하여, 쇄미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제4항에 의하면, 상기 저항 바는, 상기 저항 바와 상기 마찰식 정백 롤의 교반 바와의 간극을 3.5∼7.0㎜로 되도록, 상기 도정실 방향으로의 돌출 두께를 결정하면, 연삭식 정곡 처리부에 있어서, 5∼20 중량%의 현미의 탈아를 행하고, 마찰식 정곡부에 있어서, 60∼95 중량%의 현미의 탈아를 행할 수 있는 도정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제5항에 의하면, 상기 저항 바는,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이 단면에서 볼 때 정다각형인 경우, 다각형을 형성하는 내벽면에 1개 건너 설치함으로써, 도정실 내의 압력을 내리는 동시에, 충격만으로 탈아되어 쇄미의 발생하는 비율을 감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정 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상기의 측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정부(搗精部)를 나타낸 정종단면도이다.
도 4의 (a)는 반분할형의 다른 한쪽의 망체(網體)의 종단면도이며, 도 4의 (b)는 상기의 내벽 측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마찰식 정곡 처리부의 도정실에서의 작용도이다.
도 6은 종래의 가로형의 정곡기의 측종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의 정곡부를 나타낸 정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도정 장치에 관한 전체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의 측종단면도이며, 도 3은 도정부를 나타낸 정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도정 장치(1)는, 기대(機臺)(5) 상에 가로형의 정곡기를 상하로 복수 대 설치한 형식이며, 위에서 아래를 향해 1번기(2)와, 2번기(3)와, 3번기(4)를 연장 형성하여 구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상기 도정 장치(1)의 일례로서, 1번기(2)는 가로형 연삭식 정곡기를, 2번기(3)에는 가로형 마찰식 정곡기를, 3번기(4)는 동일하게 가로형 마찰식 정곡기로 각각 선택하면 된다. 여기서, 연삭식 정곡기란, 미립의 표면을 줄이나 지석(grindstone)과 비비어 표피를 깎는 정곡 방식이며, 마찰식 정곡기란 미립끼리를 맞대고 비벼 표면의 표피를 벗기는 방법이다. 그리고, 2번기(3) 및 3번기(4)에는, 제강의 촉진을 현저하게 행하도록 공용의 송풍팬(6)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3번기(4)에는 수분 첨가 장치(7)가 부설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처음 단계의 1번기(2)에서는 원료로 되는 현미의 표면을 거칠게 깍음으로써 표면의 마찰 계수를 증가시켜 두고, 다음 단계의 2번기(3)에서는 송풍팬(6)에 의해 제강을 촉진시키면서 비교적 가벼운 압력으로 충분한 정곡 작용을 행하게 하고, 최후의 단계의 3번기(4)에서는 송풍팬(6)에 의한 제강의 촉진과 함께, 수분을 첨가하여 마무리 정곡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정 장치(1)를 복수 대 설치한 구성이면, 마찰 정곡 단계를 뒤쪽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도정 초기에 과잉의 압력이 생기지 않아, 미립의 헤드부의 손상이나, 정곡 초기의 미립의 불균일(변형)에 의한 갈라짐이나 균열 등 복수의 쇄미 발생 요인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도정 장치(1)의 1번기(2)는, 기체(機體) 상부로부터 원료 현미를 공급하는 원료 공급구(8)와, 기체 상부에 가로로 설치한 연삭식 정곡 처리부(9)와, 연삭(硏削) 정곡 처리가 종료한 미립을 배출하는 정품 배출구(10)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정품 배출구(10) 근방에는, 정품 배출구(10)의 개구부를 폐쇄 가능하게 한 커버체(11)와, 상기 커버체(11)에 지지되고, 또한 쌀의 유출압에 저항하여 정품 배출구(10)를 폐쇄하기 위한 분동(1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정품 배출구(10)와 2번기(3)와의 사이는 배출 슈트(13)에 의해 연락(連絡)되고 있다.
다음에, 2번기(3)는, 배출 슈트(13)와 연락하는 원료 공급구(14)와, 기체 중앙부에 가로로 설치한 마찰 정곡 처리를 행하는 마찰식 정곡 처리부(15)와, 마찰 정곡 처리가 종료한 미립을 배출하는 정품 배출구(1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정품 배출구(16)가 형성되는 배출 슈트(17)에는, 내부에 정품 배출구(16)의 개구부를 폐쇄 가능하게 한 커버체(18)와, 상기 커버체(18)에 지지되고, 또한 쌀의 유출압에 저항하여 정품 배출구(16)를 폐쇄하기 위한 자동 분동(19)이 설치되어 있다(도 2 참조).
또한, 3번기(4)는, 상기 배출 슈트(17)와 연락하는 원료 공급구(20)와, 기체 하부에 가로로 설치한 마찰 정곡 처리를 행하는 마찰식 정곡 처리부(21)와, 마찰 정곡 처리가 종료한 미립을 배출하는 정품 배출구(22)를 구비하고 있다. 정품 배출구(22)에는, 배출 슈트(23)가 접속되고, 정품 배출구(22)를 폐쇄 가능하게 하는 커버체(24)와, 커버체(24)의 압압력(押壓力)을 조절하는 분동(25)이 설치된다. 그리고, 배출 슈트(23)에는 정품을 기기 밖으로 인출하는 정품 배출통(26)을 접속한다. 상기 3번기(4)는, 수분 첨가 장치(7)를 제외하면 상기 2번기(3)와 대략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도 2를 참조하여 도정 장치(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한다. 도 2에 있어서, 1번기(2)로 되는 가로형의 연삭식 정곡 처리부(9)는, 주축(27)을 베어링(28, 28)에 의해 기대(5)의 상부에 가로로 설치하고, 상기 주축(27)에 축 장착한 복수의 연삭식 정백 롤(29) 및 송곡(送穀) 나선(螺旋)(30)과 연삭식 정백 롤(29)의 주위에 간극을 통하여 가로로 설치한 연삭식 제강 금망통(31)과, 상기 연삭식 제강 금망통(31)의 주위에 간극을 통하여 가로로 설치한 제강 커버(32)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연삭식 제강 금망통(31)과 제강 커버(32)와의 간극의 공간에 제강실(除糠室)(33)을 형성하는 한편, 연삭식 제강 금망통(31)과 연삭식 정백 롤(29) 외주면과의 간극의 공간을 도정실(34)에 형성한다. 상기 제강실(33)에는 배강관(35)을 접속하여 도시하지 않은 집진용(集塵用) 팬을 향해 흡인·배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축(27)에는 구동 풀리(pully)(36)를 축 장착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모터 축과의 사이에 연동·연결한 V벨트를 통하여 모터의 동력을 주축(27)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다.
다음에, 2번기(3)로 되는 가로형의 마찰식 정곡 처리부(15)는, 주축(37)을 베어링(38, 38)에 의해 기대(5)의 중앙부에 가로로 설치하고, 상기 주축(37)에 축 장착한 마찰식 정백 롤(39) 및 송곡 나선(40)과, 마찰식 정백 롤(39)의 주위에 간극을 통하여 가로로 설치한 마찰식 제강 금망통(41)과,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41)의 주위에 간극을 통하여 가로로 설치한 제강 커버(42)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마찰식 정백 롤(39)은 편심되지 않고 주축(37)과 동심원형(同心圓形)의 롤로 이루어지고(도 3 참조), 상기 마찰식 정백 롤(39) 주위면에는, 장척형의 교반 바(39a)를 복수 개 장착한다. 또한, 도 2와 같이,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41)과 제강 커버(42)와의 간극의 공간에 제강실(43)을 형성하는 한편, 마찰식 제강 금망통(41)과 마찰식 정백 롤(39) 외주면과의 간극의 공간을 도정실(44)에 형성한다. 상기 제강실(43)에는 배강관(45)을 접속하여 도시하지 않은 집진용 팬을 향해 흡인·배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축(37)에는 구동 풀리(46)를 축 장착하고,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모터 축과의 사이에 연동·연결한 V벨트를 통하여 모터의 동력을 주축(37)에 전달할 수 있는 구성이다. 또한, 주축(37)에는 송풍팬(6)의 내부 송풍로로부터 마찰식 정백 롤(39)의 중공부(60)로 분기하는 분기공(61)을 형성하고(도 3 참조), 마찰식 정백 롤(39)의 교반 바(39a)의 배면에는, 도정실(44) 내를 향해 분기하기 위한 분기공(62)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이 2번기(2)의 주요 구성이지만, 3번기(4)에 대해서도 2번기(3)의 구성과 대략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41)은, 단면에서 볼 때 대략 육각형의 통을 길이 방향을 따라 반분할형으로 2분할한 형상의 2개의 망체(47, 48)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망체(47, 48)의 끝에지부로부터 플랜지부(47a, 47b, 48a, 48b)를 돌출시키고, 플랜지부(47a, 48a) 및 플랜지부(47b,48b)끼리를 맞닿게 하여 스페이서(49a, 49b)를 통하여 클램프(clamp)(50a, 50b)로 체결함으로써, 단면에서 볼 때 정육각형의 통형(筒形)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마찰식 제강 금망통(41)에는, 망체(47, 48)의 내벽면의 일부에, 저항 바(51a, 51b, 51c, 51d)가 장착된다.
상기 저항 바(51a, 51b, 51c, 51d)는 단면에서 볼 때 정팔각형의 마찰식 제강 금망통(41)의 모든 내벽면이 아니고, 1개 건너의 내벽면에 장착하게 된다. 즉, 도 4는 반분할형의 다른 한쪽의 망체(47)의 종단면도[도 4의(a)]이며, 내벽 측을 나타낸 평면도[도 4의 (b)]이지만, 상기 저항 바(51a, 51b)는, 망체(47)의 내벽면(n1∼n4) 중 1개 건너의 내벽면(n1)과 내벽면(n3)(즉, 홀수 번호의 내벽면)에 각각 장착하게 된다. 그리고, 이 저항 바(51)의 형상으로서는 단척의 각기둥형이며, 그 길이는, 망체(47)의 길이 L의 약 3분의 1의 길이(바람직하게는, 저항 바 길이 H와 망체 길이 L과의 비가, H:L= 1:2.5∼3.5, 더욱 바람직하게는, H:L= 1: 3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저항 바(51a, 51b)의 각각을, 망체(47)의 내벽면(n1) 및 내벽면(n3)에 고정 설치하기 위해, 멈춤 나사(52) 및 너트(53)에 의해 곡물의 배출 측(정품 배출구) 가까이의 위치에 장착하게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항 바(51)의 장착 위치는, 마찰식 정백 롤(39)의 회전 방향(R) 가까이의 망체(47)의 내벽면에 장착하게 된다. 이로써, 저항 바(51)의 길이 H를 마찰식 제강 금망통(41)의 길이 L과 같은 길이로 한 경우와 비교하여, 도정실(44) 내의 압력을 대폭 내릴 수 있어, 알갱이들끼리의 압력에 의존하지 않고, 충격만으로 탈아되어 쇄미의 발생하는 비율을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저항 바(51)의 도정실(44) 측으로 돌출하는 코너부는, 0.1㎜∼0.3㎜의 C 모따기(面取; chamfering)에 의해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저항 바(51)의 도정실(44) 측으로의 돌출 두께 t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찰식 정백 롤(39)의 교반 바(39a)의 회전 궤적 P과 상기 저항 바(51)와의 간극 Q의 거리가, 3.5∼7.0㎜로 되도록 한 범위로 설정하면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도정 장치(1)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정 장치(1)의 원료 공급구(8)로부터 투입된 원료 현미는, 먼저, 1번기로 되는 연삭식 정곡 처리부(9)에 있어서 미립의 표면이 연삭식 정백 롤(29)의 연마재에 의해 연마되어 표피가 깎아진다. 이 때, 도정실(34)에서는 원료 현미가 유동 상태가 되고, 현미의 배아부가 연삭식 정백 롤(29)과의 충돌하는 충격에 의해 탈아가 행해진다. 1번기에 있어서는, 원료 현미를 100 중량%로 하면, 5∼20 중량%의 현미가 탈아되게 된다.
연삭식 정곡 처리부(9)의 정품 배출구(10)로부터 배출되는 원료는, 이어서, 2번기의 마찰식 정곡 처리부(15)의 원료 공급구(14)에 공급된다. 마찰식 정곡 처리부(15)에서는 미립끼리를 맞대고 비벼 표면의 표피가 벗겨진다. 이 때, 전회의 단계의 연삭식 정곡 처리부(9)에 있어서 충분히 탈아가 행해지고 있으므로, 후속 단계의 마찰식 정곡 처리부(15)의 도정실 내의 압력을 저압으로 할 수 있다. 즉, 도 4의 (a)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정실(44) 내에 있어서 저항 바(51)와 교반 바(39a)와의 간극 Q을 3.5∼7.0㎜로 되도록, 저항 바(51)의 돌출 두께 t를 결정함으로써, 저항 바(51)의 코너부(C)가 0.1∼0.3㎜의 C 모따기에 의해 형성하는 것에 의한 상승효과에 의해 탈아가 촉진된다. 즉, 도정실(44)에서는 마찰식 제강 금망통(41)의 내벽면에 장착한 복수의 저항 바(51)와 교반 바(39a)와의 중첩에 의해 현미가 교반되어, 복수의 저항 바(51)에 현미의 배아부가 복수 회 충돌하는 것에 의한 충격으로 탈아가 행해진다. 2번기에 있어서는, 원료 현미를 100 중량%로 하면, 60∼95 중량%의 현미가 탈아되게 된다.
마찰식 정곡 처리부(15)의 정품 배출구(16)로부터 배출되는 원료는, 이어서, 3번기의 마찰식 정곡 처리부(21)의 원료 공급구(20)에 공급된다. 마찰식 정곡 처리부(21)에서는 상기 마찬가지로 미립끼리를 맞대고 비벼 표면의 표피가 벗겨진다. 그러나, 마찰식 정곡 처리부(21)에 있어서는, 수분 첨가 장치(7)로부터 도정실(44) 내를 향해 안개형의 수분이 첨가되므로, 저부하로 미립의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도정할 수 있어, 쇄미의 발생을 적게 할 수 있다. 또한, 마찰식 정곡 처리부(21)로부터 배출되는 원료의 표면의 소지(素地)를 정밀하게 하여 광택을 높게 할 수 있다. 이로써, 원료 현미 100 중량%로 하면, 마찰식 정곡 처리부(21)에 있어서 95 중량%의 현미를 탈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마찰식 정곡 처리부(15) 및 마찰식 정곡 처리부(21)의 마찰식 정백 롤(39)을 편심시키지 않고, 주축(37)과 동심원형으로 되고, 마찰식 정백 롤(39)의 주위면에 복수의 교반 바(39a)를 설치하고, 마찰식 제강 금망통(41)의 내벽면에 복수의 저항 바(51)를 설치함으로써, 마찰식 정곡 처리부(15) 및 마찰식 정곡 처리부(21)의 도정실(44) 내의 압력을 저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알갱이들끼리의 압력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충격만으로 탈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숙미와 갈라진 쌀의 혼입율이 많은 저품위 현미에 있어서는, 알갱이들끼리의 마찰 압력이 생기지 않으므로, 쇄미의 발생하는 비율을 종래의 2분의 1에서 3분의 1의 비율로 격감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2012년 한국산의 단립종(短粒種)의 현미에 의해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백도(白度)는 가부시키가이샤 겟트 과학 연구소제의 현미·정미 백도계(白度計) C―300에 의해 측정하였다.
최초에, 본 발명의 특징을 가지고 있지 않은 표준의 마찰식 정백 롤(편심 롤) 및 표준의 마찰식 제강 금망통(저항 바 없음)을 사용한 도정 장치에 의해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로 되었다.
[표 1]
유량 3ton/Hr, 원료 현미 중의 갈라진 쌀 혼입율 11.2%
Figure 112014114534748-pat00001
다음에, 본 발명의 마찰식 정백 롤(동심원 롤, 교반 바를 제외한 2번기의 마찰식 정백 롤의 보디 직경을 141㎜, 교반 바를 제외한 3번기의 마찰식 정백 롤의 보디 직경을 139㎜로 설정) 및 마찰식 제강 금망통(저항 바 있음)을 사용한 도정 장치에 의해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2가 되었다.
[표 2]
유량 3ton/Hr, 원료 현미 중의 갈라진 쌀 혼입율 20.9%
Figure 112014114534748-pat00002
또한, 본 발명의 마찰식 정백 롤(동심원 롤, 교반 바를 제외한 2번기의 마찰식 정백 롤의 보디 직경을 139㎜, 교반 바를 제외한 3번기의 마찰식 정백 롤의 보디 직경을 141㎜로 설정) 및 마찰식 제강 금망통(저항 바 있음) 사용하고, 마찰식 정백 롤을 변경했을 때의 도정 시험을 행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이 되었다.
[표 3]
유량 3ton/Hr, 원료 현미 중의 갈라진 쌀 혼입율 16.5%
Figure 112014114534748-pat00003
표 1과 표 2를 대비하면, 표 1의 2번기의 쇄미율이 8.85%인데 대하여, 표 2의 2번기의 쇄미율이 3.45%이며, 또한 표 1의 3번기의 쇄미율이 9.07%인데 대하여, 표 2의 3번기의 쇄미율이 5.15이며, 종래의 약 2분의 1로 쇄미율이 삭감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표 1과 표 3을 대비하면, 표 1의 2번기의 쇄미율이 8.85%인데 대하여, 표 3의 2번기의 쇄미율이 5.08이며, 또한 표 1의 3번기의 쇄미율이 9.07%인데 대하여, 표 3의 3번기의 쇄미율이 4.79%이며, 종래의 약 3분의 1에서 2분의 1로 쇄미율이 삭감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번기 및 3번기의 마찰식 정백 롤을 편심시키지 않고, 주축과 동심원형으로 되고, 마찰식 정백 롤의 주위면에 복수의 교반 바를 설치하고, 마찰식 제강 금망의 내벽면에 복수의 저항 바를 설치함으로써, 각각의 정곡기의 도정실 내의 압력을 저압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져, 알갱이들끼리의 압력에 의존하지 않고, 충격만으로 탈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숙미와 갈라진 쌀의 혼입율이 많은 저품위 현미에 있어서는, 알갱이들끼리의 마찰 압력이 생기지 않으므로, 쇄미의 발생하는 비율이 종래의 2분의 1에서 3분의 1의 비율로 격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정 장치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각종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산업 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곡물의 정곡이나, 원두커피의 연마에 적용할 수 있다.
1; 도정 장치
2; 1번기
3; 2번기
4; 3번기
5; 기대
6; 송풍팬
7; 수분 첨가 장치
8; 원료 공급구
9; 연삭식 정곡 처리부
10; 정품 배출구
11; 커버체
12; 분동
13; 배출 슈트
14; 원료 공급구
15; 마찰식 정곡 처리부
16; 정품 배출구
17; 배출 슈트
18; 커버체
19; 자동 분동
20; 원료 공급구
21; 마찰식 정곡 처리부
22; 정품 배출구
23; 배출 슈트
24; 커버체
25; 분동
26; 정품 배출통
27; 주축
28; 베어링
29; 연삭식 정백 롤
30; 송곡 나선
31; 연삭식 제강 금망
32; 제강 커버
33;;제강실
34; 도정실
35; 배강관
36; 구동 풀리
37; 주축
38; 베어링
39; 마찰식 정백 롤
40; 송곡 나선
41; 마찰식 제강 금망통
42; 제강 커버
43; 제강실
44; 도정실
45; 배강관
46; 구동 풀리
47; 망체
48; 망체
49; 스페이서
50; 클램프
51; 저항 바
52; 멈춤 나사
53; 너트
60; 중공부
61; 분기공
62; 분기공

Claims (5)

  1. 회전 가능한 주축(主軸)에 연삭식(硏削式) 정백(精白) 롤을 축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연삭식 정백 롤의 주위에는 간극(間隙)을 통하여 연삭식 제강 금망통(網筒)을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搗精室)에 형성한 연삭식 정곡(精穀) 처리부; 및 회전 가능한 주축에 마찰식 정백 롤을 축 장착하는 동시에 상기 마찰식 정백 롤의 주위에는 간극을 통하여 마찰식 제강 금망통을 설치하고, 그 간극을 도정실에 형성한 마찰식 정곡 처리부;를 연좌(連座)하여 구성되는 도정(搗精) 장치로서,
    상기 마찰식 정곡 처리부의 마찰식 제강 금망통에는, 내벽면에 단척형의 저항 바가 복수 설치되고, 상기 마찰식 정곡 처리부의 마찰식 정백 롤의 길이 방향으로는, 상기 마찰식 정백 롤의 원주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복수의 저항 바와 중첩하여 곡물의 이동에 저항을 부여하는 장척형(長尺形)의 교반 바가 복수 구비되고, 상기 저항 바는,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정품(精品) 배출 측 가까이의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도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바는 단척(短尺)의 각기둥형(角柱形)으로 형성되고, 상기 저항 바의 길이 H와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의 길이 L을 대비했을 때,
    H:L= 1:2.5∼3.5
    의 범위로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도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바는, 상기 저항 바와 상기 마찰식 정백 롤의 교반 바와의 간극을 3.5∼7.0 ㎜로 되도록, 상기 도정실 방향으로의 돌출 두께를 결정하여 이루어지는, 도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바는, 상기 마찰식 제강 금망통이 단면(斷面)에서 볼 때 정다각형인 경우, 다각형을 형성하는 내벽면에 1개 건너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도정 장치.
  5. 삭제
KR1020140166333A 2013-12-12 2014-11-26 도정 장치 KR1022179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57003A JP6236742B2 (ja) 2013-12-12 2013-12-12 搗精装置
JPJP-P-2013-257003 2013-12-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901A KR20150068901A (ko) 2015-06-22
KR102217963B1 true KR102217963B1 (ko) 2021-02-18

Family

ID=5340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6333A KR102217963B1 (ko) 2013-12-12 2014-11-26 도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236742B2 (ko)
KR (1) KR102217963B1 (ko)
CN (1) CN104707680B (ko)
TW (1) TWI62147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641B1 (ko) * 2016-02-17 2017-03-30 주식회사 에이원컴퍼니 도정기
KR102014323B1 (ko) * 2017-07-06 2019-08-26 주식회사 브리슨 정미기
CN107899637B (zh) * 2017-11-20 2019-04-09 重庆市合川区云天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碾米机
CN108786963B (zh) * 2018-06-26 2020-05-08 鱼台县三高机械有限公司 碾米机
JP7439463B2 (ja) * 2019-11-08 2024-02-28 株式会社サタケ 横型穀類脱皮装置
JP2023524993A (ja) * 2020-05-04 2023-06-14 セノンテッ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研米機能を備えた金網及びその金網を含む精米機
JP1687744S (ko) 2020-07-22 2021-06-14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6591U (zh) * 1987-04-16 1988-03-23 魏文彦 改进的碾米机碾臼装置
CN2243333Y (zh) 1995-06-26 1996-12-25 北京市华商食品新技术开发公司 碾麦机
JP2002166185A (ja) * 2000-11-29 2002-06-11 Niigataken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無洗化処理米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316297Y1 (ko) * 1964-09-12 1968-07-06
JPS53102464U (ko) * 1977-01-22 1978-08-18
JPS61222544A (ja) * 1985-03-28 1986-10-03 山本 惣一 精米装置
CN1003492B (zh) * 1986-02-07 1989-03-08 吉林省延边朝鲜族自治州粮食局 卧式逆圆锥砂辊碾米机
CH673596A5 (ko) * 1987-07-22 1990-03-30 Buehler Ag
JPH0326343U (ko) * 1989-07-24 1991-03-18
CN2074203U (zh) * 1990-10-15 1991-04-03 湖南省农业机械研究所 碾米机碾白室装置
JPH04310242A (ja) * 1991-04-05 1992-11-02 Seimai Giken Kk 精米方法と精米機
JPH06106080A (ja) * 1992-09-26 1994-04-19 Satake Eng Co Ltd 竪軸型精米装置
CN2454026Y (zh) * 2000-11-15 2001-10-17 绥化江川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胚芽营养米机
WO2004056486A1 (en) * 2002-12-12 2004-07-08 Bok Sick Choi The distance roller of small sized rice polishing machine
CN2724827Y (zh) * 2004-04-30 2005-09-14 长沙万华机器有限公司 三辊三级卧式白米抛光机
CN2912788Y (zh) * 2006-04-13 2007-06-20 周立汉 低压碾米机
JP4883419B2 (ja) * 2008-04-24 2012-02-22 株式会社サタケ 竪型精穀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87206591U (zh) * 1987-04-16 1988-03-23 魏文彦 改进的碾米机碾臼装置
CN2243333Y (zh) 1995-06-26 1996-12-25 北京市华商食品新技术开发公司 碾麦机
JP2002166185A (ja) * 2000-11-29 2002-06-11 Niigataken Keizai Nogyo Kyodo Kumiai Rengokai 無洗化処理米の製造方法とその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36742B2 (ja) 2017-11-29
CN104707680B (zh) 2019-03-08
TW201540364A (zh) 2015-11-01
CN104707680A (zh) 2015-06-17
JP2015112550A (ja) 2015-06-22
KR20150068901A (ko) 2015-06-22
TWI621479B (zh) 2018-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963B1 (ko) 도정 장치
US9427740B2 (en) Vertical top-fed grain mill
CN108579983A (zh) 一种水泥原料的一体式破碎研磨设备
TWI681818B (zh) 研磨式縱型碾穀機
KR101663148B1 (ko) 저품위 현미의 도정 방법 및 그 장치
CN211988981U (zh) 一种用于熟石膏的立式辊磨机
CN107983468A (zh) 一种磨切式的矿石处理用粉碎设备
CN207667724U (zh) 一种磨切式的矿石处理用粉碎设备
CN1988957A (zh) 竖直轴冲击式破碎机
JP2016030221A (ja) 横軸型精米機
WO2020031848A1 (ja) 研削式竪型精穀機
CN102614954A (zh) 一种颗粒粮食加工设备
CN101972682B (zh) 单段锤式筛分破碎机
CN104249007A (zh) 一种抛光机
US20120132736A1 (en) Silicon metal grinding machine
CN104492523B (zh) 隔流节能碾米机及碾米方法
RU2565259C1 (ru) Дезинтегратор
CN209238111U (zh) 一种酿酒用原料粉碎设备
CN202262846U (zh) 一种研磨式豆浆机
CN202036065U (zh) 一种食物粉碎工具
CN101972683B (zh) 终筛机构可调式单段锤式筛分破碎机
CN201791558U (zh) 单段锤式筛分破碎机
JP3294248B2 (ja) 研削式竪型精穀機
CN102228088B (zh) 一种研磨式豆浆机
RU2246354C1 (ru) Центробежная дробильно-измельчите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