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7000B1 - Pvc 바닥재 - Google Patents

Pvc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7000B1
KR102217000B1 KR1020200083975A KR20200083975A KR102217000B1 KR 102217000 B1 KR102217000 B1 KR 102217000B1 KR 1020200083975 A KR1020200083975 A KR 1020200083975A KR 20200083975 A KR20200083975 A KR 20200083975A KR 102217000 B1 KR102217000 B1 KR 102217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pvc
surface layer
floor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섭
Original Assignee
오성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성섭 filed Critical 오성섭
Priority to KR1020200083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70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7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7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floor mats or carpets
    • B32B17/06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7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VC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도 100% PVC를 포함하는 표면층(30), 그리고 유리 섬유망을 포함하는 중간층(20), 그리고 극세 부직포를 포함하는 하부층(10)으로 구성되어 안정성, 경제성, 청결성을 확보함으로써 버스 바닥재로써 특화된 PVC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는, 순도 100% PVC(Poly 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표면층, 그리고 유리 섬유망을 포함하는 중간층, 그리고 극세 부직포를 포함하는 하부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PVC 바닥재{PVC FLOORS}
본 발명은 PVC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도 100% PVC를 포함하는 표면층, 그리고 유리 섬유망을 포함하는 중간층, 그리고 극세 부직포를 포함하는 하부층으로 구성되어 안정성, 경제성, 청결성을 확보함으로써 버스 바닥재로써 특화된 PVC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차량, 건축구조물 등의 실내부 바닥면이 그대로 노출될 경우 바닥면의 부식에 대한 보호가 미흡하고, 외관의 미려함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버스, 건축구조물 등의 실내부 바닥면을 바닥재로 마감을 수행하고 있다.
상기 바닥재의 일례로 제품 단가가 비교적 저렴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고, 장식 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는 폴리염화비닐(이하 PVC) 재질의 바닥재가 이용되고 있는데, 상기 PVC 바닥재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32764호(공개일: 2018. 04. 02.)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PVC 바닥재의 사용 시 들뜸 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의해 크랙(crack) 등이 바닥재 표면으로 쉽게 전사되어 바닥면의 부식에 대한 보호를 수행하지 못하고, 또한 미관을 저해시키며, 특히 버스 가동 중 시에 발생하는 엔진열 등에 의해 올라오는 뜨거운 공기로 인하여 바닥재 표면에 크랙 웨이브가 나타나며, 또한 바닥재가 132kg/1 roll(단위면적(1.83m2) 당 중량이 6.0-7.5kg)으로 무거운 바, 운반 또는 시공 시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바닥면의 잡물과 크랙의 전사 방지 및 바닥면의 열(버스의 경우 엔진열)로 인한 크랙 웨이브를 방지하고, 차음성 및 경량성이 우수한 바닥재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순도 100% PVC를 포함하는 표면층, 유리 섬유망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극세 부직포를 포함하는 하부층으로 구성되어, 바닥면의 잡물, 크랙의 전사 방지 및 크랙 웨이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PVC 바닥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순도 100%의 PVC를 사용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에 석회석 가루 등의 첨가물로 인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경량성 및 외관 칼라 표출이 우수하여 경제성을 증대시킨 PVC 바닥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표면층에는 논-슬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탄화규소를 더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를 버스 바닥면에 사용하는 경우에 우천 시에도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이 향상된 PVC 바닥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부층은 극세 부직포를 포함함으로써 버스 등의 바닥면과 접착 지속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바닥면으로부터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크랙의 전사 방지 및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PVC 바닥재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는, 순도 100% PVC(Poly 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표면층, 그리고 유리 섬유망을 포함하는 중간층, 그리고 극세 부직포를 포함하는 하부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표면층은 탄화규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화규소의 밀도는 0.09 ~ 0.11g/m3 인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1.2mm ~ 1.4mm인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극세 부직포의 밀도는 60 ~ 80g/m2인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순도 100% PVC를 포함하는 표면층, 유리 섬유망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극세 부직포를 포함하는 하부층으로 구성되어, 바닥면의 잡물, 크랙의 전사 방지 및 크랙 웨이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순도 100%의 PVC를 사용함으로써 화재 발생 시에 석회석 가루 등의 첨가물로 인한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경량성 및 외관 칼라 표출이 우수하여 경제성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표면층에는 논-슬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탄화규소를 더 포함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를 버스 바닥면에 사용하는 경우에 우천 시에도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하부층은 극세 부직포를 포함함으로써 버스 등의 바닥면과 접착 지속성을 증대시킬 수 있어 바닥면으로부터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크랙의 전사 방지 및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PVC 바닥재의 각 층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PVC 각 층에 대한 상세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과 종래기술의 중금속 성분 함유량 비교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PVC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순도 100% PVC를 포함하는 표면층(30), 그리고 유리 섬유망을 포함하는 중간층(20), 그리고 극세 부직포를 포함하는 하부층(10)으로 구성되어 안정성, 경제성, 청결성을 확보함으로써 버스 바닥재로써 특화된 PVC 바닥재에 관한 것이다.
먼저 순도 100%의 PVC(Poly vinyl chloride)에 대해 살펴보면, PVC는 폴리염화비닐의 약자로 플라스틱의 일종이다. 상기 PVC는 에틸렌분자의 수소 하나를 염소로 치환한 비닐클로라이드 분자를 중합시켜 제조되는데, 비닐클로라이드를 만드는 데에는 카바이드에 물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아세틸렌에 염화수소를 부가하여 만들거나 석유에서 얻어지는 에틸렌에 염소가스를 반응시켜 그 수소원자 하나를 염소로 치환시켜 제조하는 방법 등이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PVC의 물성에 대해 살펴보면, 인장 강도가 우수하고, 색을 내기 쉬우며, 유연하며, 내마모성이 뛰어나다는 특징을 갖는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PVC의 경우 종래의 제품들과는 달리 순도가 100%로서, 석회석 가루 등을 포함하지 않고 있으므로, 화재 발생 시에 석회석 가루 등의 첨가물에 의해 유독가스가 발생하지 않고, 또한 화재 시에 불꽃이 다른 곳으로 번질 일이 없어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순도 100%의 PVC로 인하여 유연성이 대폭 증가할 수 있는바 겨울철에도 높은 유연성을 바탕으로 파손의 위험이 거의 없으며, 작업 시에 다루기에도 용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석회석 가루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쉽게 마모가 되고, 특히 버스에 바닥재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버스의 수명 기간 중 최소 1회 이상 바닥을 교체하거나 부분 땜질을 수행을 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 작업이 수행된 부분에 미관을 저해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순도 100% PVC를 포함하기 때문에 종래에 석회석 가루 등을 포함하는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는 PVC와 달리, 무게가 더 가벼워 버스 바닥재로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차량운행의 유류비 또한 절약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색을 내기 쉬워 첨가된 색소에 따라 외관 칼라 표출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어, 바닥에 장애인 표지, Vega, Luna, Natura로 일컬어지는 카펫 분위기의 연속무늬 디자인을 용이하게 표출할 수 있으면서도 무늬를 구성하는 입자가 표면층의 바닥까지 두텁게 침투함으로써 버스의 수명이 다하기까지 최초의 색상과 무늬를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표면층(30)은 미끄럼 방지를 위해 탄화규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탄화규소를 포함함으로써 일반 승객, 노약자 등이 미끄러져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탄화규소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면, 탄소와 규소를 1:1로 결합시켜 만들어진 화합물로서 공유결합성이 높은 세라믹스에 해당한다.
순수한 것은 무색 투명한 육각판상 결정을 띄고, 고온 대기에서도 강도와 강성이 높으며, 습윤성이 높고, 내산화성이 있는 매우 안정적인 물질인데, 특히 경도가 높기 때문에 접동마모에 강하다는 특성도 겸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탄화규소의 밀도는 0.09 ~ 0.11g/m3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보다 정확하게는 표면층(30)의 두께가 1.3mm인 경우에 90~110g/m2t(mm)에 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t는 표면층(30)의 두께로서 mm의 단위를 가지며, 상기 t는 1.2mm ~ 1.4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탄화규소의 밀도가 0.09g/m3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미끄럼 방지 기능이 저하될 수 있으며, 0.11g/m3을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표면층(30)이 너무 단단지거나 깨지기 쉬워지는바 버스에 사용되는 경우에 버스의 사고 발생 시 오히려 승객이 더 크게 부상당할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표면층(30)의 두께가 1.2mm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바닥재가 쉽게 파손될 위험이 있으며, 1.4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탄화규소는 표면층(30)에 접착제 등을 주입하거나 도포함으로써 표면층(30)에 구비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중간층(20)에 포함되는 유리 섬유망에 대해 살펴보면, 유리섬유는 유리를 녹여 가늘고 길게 섬유 모양으로 만든 것을 말하는데, 유리막대의 한 끝을 가열하고, 이를 잡아당겨 회전 드럼에 감아서 섬유처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 때 녹인 유리를 기계적으로 잡아 늘이는 방법 외에도 작은 구멍 속으로 녹인 유리를 고속으로 뽑아내는 방법, 원심력에 의해 주위에 날려 붙이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유리섬유는 고온에서 잘 견딜 수 있고, 불에 잘 타지 않으며, 화학적 내구성이 있으므로 부식하지 않고, 인장강도가 강하고, 전기 절연성이 크다.
또한 이러한 유리 섬유를 이용하여 균열방지, 충격보강기능 등이 강화된 인장강도가 매우 우수한 망 형태(유리 섬유망)로 구성함으로써 중간층(20)의 상부에 구비되는 표면층(30) 및 중간층(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층(10)을 치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며, 또한 이처럼 견고한 3중 구조로 인해 바닥면의 잡물, 크랙의 전사 방지 및 크랙 웨이브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개보수 작업 시에 작업 폐자재도 거의 발생하지 않게 된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한 유리 섬유망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 구조로 되어 있어, 중간층(20)의 상부에 구비되는 표면층(30) 및 중간층(20)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층(10)을 보다 더 치밀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리 섬유망은 폼-백킹(foam-backing)되는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러한 폼-백킹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가 버스에 사용되는 경우에 안정적인 승차감 내지는 승객 보호 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하부층(10)에 포함되는 극세 부직포에 대해 살펴보면, 부직포는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 등으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생산된다.
이러한 부직포는 높은 여과성, 흡수성 등을 통해 버스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면과의 접착 시에 접착이 용이하며, 바닥면 내부로 극세섬유 조직의 침투가 가능하여 최상의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결과적으로는 바닥면과의 접착력이 우수하여 바닥재의 들뜸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미관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버스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승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도 있다는 효과를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극세 부직포의 밀도는 60 ~ 80g/m2인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의 m2은 상기 하부층(10)의 표면적을 기준으로 계산된 밀도를 의미한다. 상기 극세 부직포의 밀도가 60g/m2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버스 바닥을 구성하는 바닥면과의 접착이 용이하지 않아 바닥재의 들뜸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극세 부직포의 밀도가 80g/m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방향성이 존재하는 부직포의 늘어짐으로 인해 한 쪽 방향으로 편향됨으로써 바닥재의 마감 처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없게 될 위험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바닥재는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와는 달리 기후 또는 온도에 따라 수축/이완되어 쉽게 파손되는 경향이 있는데, 특히 버스에 사용되는 바닥재의 경우에는 물청소를 수행하게 되면 버스 바닥면 등이 부식되어 청소를 원활하게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가 버스에 사용되는 경우 버스 바닥면과 높은 접착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극세 부직포를 포함하는 하부층(10), 그리고 상기 하부층(10) 및 상기 표면층(30)을 치밀하게 고정시키고 있어, 버스 바닥을 물청소 하더라도 바닥면이 부식될 위험이 없어 버스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의 중금속 허용량에 대한 ppm(mg/kg)은 도 3에 도시(x축 상의 TARABUS)되어 있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의 경우 화재 시에 유독가스 발생과 암, 신경질환, 시각 및 청각 장애를 유발하는 바륨, 카드뮴, 크롬, 납, 주석 등의 중금속의 함유량이 10mg/kg(ppm) 이하에 해당하여 인체에 무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PVC 바닥재의 표면층(30)은 기능성 첨가제 1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버스 내부에 존재하는 질소 산화물, 유기 할로겐 화합물, 악취 가스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함과 동시에 표면층(30)에 포함되는 탄화규소의 접착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바인더 100 중량부,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 12 중량부, 백금이온 0.3 중량부, 폴리페닐메틸실록산 12 중량부, 폴리디메톡시실란 40 중량부, 폴리염화포스포니트릴 5 중량부, 이소토 3.8 중량부, 초산비닐 2 중량부, 수산화아연 0.1 중량부 및, 옥시란중합물 0.1 중량부를 포함한다.
각각의 구성 별로 살펴보면 상기 바인더로는 실리콘 알콕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고, 이하 기능성 첨가제의 각 조성물의 함량은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그 다음으로 상기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는 이산화티타늄의 전구체로, 후술할 백금 이온과 교반되어 이산화티타늄의 컨덕션 밴드와 밸런스 밴드 사이의 에너지 갭을 감소시킨 백금-이산화티타늄을 생성시킨다.
따라서 이러한 백금-이산화티타늄은 자외선 영역뿐만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에서도 활성상태를 만들 수 있게 되고, 활성상태에서 전자와 홀이 표면으로 이동해 각각 산소, 수산기와 결합하여 라디칼을 형성시킴으로써 질소 산화물,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는 ((CH3)2CHO)2Ti(C5H7O2)2의 화학식을 갖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는 12 중량부가 포함되고, 12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질소 산화물,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으며, 12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좁은 에너지 밴드 간격을 형성하기 힘들다.
그 다음으로 백금이온은 상기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와 교반되어 백금-이산화티타늄을 생성시키게 되며, 클로로백금산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고, 교반 과정은 통상의 방법을 따를 수 있다. 이러한 백금이온은 0.3 중량부가 포함되고, 0.3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백금-이산화티타늄의 에너지 밴드 간격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없고, 0.3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경제적이지 못하다.
그 다음으로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은 상기한 백금-이산화티타늄과 교반되어 백금-이산화티타늄의 활성 상태를 억제시켜주는 물질로서 상기 백금-이산화티타늄이 표면층(30)에 도포(또는 주입)되는 접착제 등을 급격하게 산화시키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백금-이산화티타늄과 동일한 양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다음으로 폴리디메톡시실란과 폴리염화포스포니트릴은 상기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을 분해시켜주는 물질로 사용되는데, 백금-이산화티타늄과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을 교반시킨 이후에 첨가되며, 상기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을 서서히 분해시킴으로써 표면층(30)에 도포(또는 주입)되는 접착제의 물성 변화를 일으키지 않은 채로 완전히 경화된 이후에 활성 상태가 억제되었던 백금-이산화티타늄이 산화 작용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폴리디메톡시실란은 40 중량부, 폴리염화포스포니트릴은 5 중량부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각각 40 중량부, 5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의 분해 속도가 너무 느려져 질소 산화물, 유기 할로겐 화합물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게 되고, 각각 40 중량부,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폴리페닐메틸실록산의 분해 속도가 너무 빨라져 백금-이산화티타늄의 강한 산화력으로 인해 표면층(30)에 도포(또는 주입)되는 접착제 등이 급격하게 산화할 수 있다.
그 다음으로 이소토는 점도를 증가시켜 상기 접착제의 저점도 특성에 의한 흘러내림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고, 3.8 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3.8 중량부 미만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없게 되고, 3.8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제성 저하 및 물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으로 초산비닐, 수산화아연 및 옥시란중합물은 알칼리 분위기에서 연화되거나 용해되는 물질들로,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알칼리 분위기를 갖는 접착제와 접촉하기 이전에는 상기 초산비닐, 수산화아연 및 옥시란중합물이 인간에게 유해한(눈 등에 들어갈 경우 강한 자극 등)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이소토를 감싸게 되어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게 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가 알칼리 분위기를 갖는 접착제와 접촉한 이후에는 상기 초산비닐, 수산화아연 및 옥시란중합물이 연화되거나 분해되면서 상기 이소토의 증점 효과가 발휘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경우에 상기한 바와 같이 접착제는 중성 접착제에 알칼리성 접착제를 첨가한 접착제 등이 사용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수지 바인더에 해당하는 상기 초산비닐 2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알칼리 영역에서 용해도가 큰 수산화아연 0.1 중량부 및 알칼리 영역에서 용해도가 큰 옥시란중합물 0.1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범위 미만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소토의 유해한 성질을 억제시키기 힘들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이소토의 증점 효과를 얻기가 힘들게 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하부층 20 : 중간층
30 : 표면층

Claims (4)

  1. 순도 100% PVC(Poly vinyl chloride)를 포함하는 표면층;
    유리 섬유망을 포함하는 중간층; 및
    극세 부직포를 포함하는 하부층;
    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은 탄화규소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탄화규소의 밀도는 0.09 ~ 0.11g/m3 이고,
    상기 표면층의 두께는 1.2mm ~ 1.4mm이고,
    상기 극세 부직포의 밀도는 60 ~ 80g/m2이고,
    상기 표면층(30)은 기능성 첨가제 1 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바인더 100 중량부, 티타늄테트라 이소프로폭사이드 12 중량부, 백금이온 0.3 중량부, 폴리페닐메틸실록산 12 중량부, 폴리디메톡시실란 40 중량부, 폴리염화포스포니트릴 5 중량부, 이소토 3.8 중량부, 초산비닐 2 중량부, 수산화아연 0.1 중량부 및 옥시란중합물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VC 바닥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083975A 2020-07-08 2020-07-08 Pvc 바닥재 KR102217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75A KR102217000B1 (ko) 2020-07-08 2020-07-08 Pvc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75A KR102217000B1 (ko) 2020-07-08 2020-07-08 Pvc 바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7000B1 true KR102217000B1 (ko) 2021-02-17

Family

ID=7473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975A KR102217000B1 (ko) 2020-07-08 2020-07-08 Pvc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700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614A (ko) 2021-04-15 2022-10-24 신동호 유레아 수지를 사용한 친환경 소음저감 바닥재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40A (ko) * 2002-05-24 2003-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천연 콜크를 함유한 바닥 장식재
JP2017019284A (ja) * 2016-08-26 2017-0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内装用化粧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91140A (ko) * 2002-05-24 2003-12-03 주식회사 엘지화학 천연 콜크를 함유한 바닥 장식재
JP2017019284A (ja) * 2016-08-26 2017-01-2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内装用化粧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2614A (ko) 2021-04-15 2022-10-24 신동호 유레아 수지를 사용한 친환경 소음저감 바닥재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7000B1 (ko) Pvc 바닥재
EP2684926A1 (en) Shatterproofing member with hardenabl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BR112013013243B1 (pt) Composição refletora próxima ao infravermelho e coberturas para aberturas arquitetônicas incorporando as mesmas e método para formação da cobertura
PT1497234E (pt) Substrato de revestimento auto-limpante
JP4341752B2 (ja) 遮熱性防汚膜材
JP2013518191A (ja) 多層シート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247952A (zh) 纳米微粒阳光控制组合物
JP2008517144A (ja) ポリマー及びシリコーンゴムを含む組成物
CN105385089B (zh) 一种可回收阻燃型反射高分子屋面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Seymour Polymeric composites
JP3709929B2 (ja) 防汚性膜体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61048B1 (ko) 시공성이 개선된 교면방수공법
KR102279866B1 (ko) 하이브리드 난연도료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EP3109041B1 (en) Nonwoven ceiling tile and wall pane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2251680B1 (ko) 친환경 시트 및 그 제조 방법
JP2014201024A (ja) 採光不燃シート
CN105754280A (zh) 一种可回收自洁型反射高分子屋面防水卷材及其制备方法
KR101275023B1 (ko) 폐 pvc 자재를 포함하는 난연 pvc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난연 pvc 방수 시트
CN106827703A (zh) 高分子粘性防水卷材
JP2005035198A (ja) 壁紙用光触媒付きフィルム乃至シート
JP6191027B2 (ja) 建築養生メッシュシート
JP7476537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装飾資材
KR102558934B1 (ko) 불연보드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60144B1 (ko) 방수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킨 친환경 교면방수공법
JPH0586335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