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927B1 -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및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 - Google Patents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및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927B1
KR102216927B1 KR1020200100561A KR20200100561A KR102216927B1 KR 102216927 B1 KR102216927 B1 KR 102216927B1 KR 1020200100561 A KR1020200100561 A KR 1020200100561A KR 20200100561 A KR20200100561 A KR 20200100561A KR 102216927 B1 KR102216927 B1 KR 102216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acne
microneedle
rna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0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훈
정도현
김서형
김지혜
이성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큐티스의생명연구센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큐티스의생명연구센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큐티스의생명연구센터
Priority to KR1020200100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69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927B1/ko
Priority to US18/020,846 priority patent/US20230304091A1/en
Priority to PCT/KR2021/009297 priority patent/WO2022035075A1/ko
Priority to JP2022504568A priority patent/JP2022554046A/ja
Priority to CN202180056025.1A priority patent/CN116209397A/zh
Priority to EP21856081.1A priority patent/EP4194565A4/en
Priority to JP2023199130A priority patent/JP2024026167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13Hybridisation assays
    • C12Q1/6834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 C12Q1/6837Enzymatic or biochemical coupling of nucleic acids to a solid phase using probe arrays or probe ch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0Other methods or instruments for diagnosis, e.g. instruments for taking a cell sample, for biopsy, for vaccination diagnosis; Sex determination; Ovulation-period determination; Throat striking implements
    • A61B10/02Instruments for taking cell samples or for biops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45/0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ir quantitative nature
    • C12Q2545/10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ir quantitative nature the purpose being quantitative analysis
    • C12Q2545/114Reactions characterised by their quantitative nature the purpose being quantitative analysis involving a quantita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600/00Oligonucleotides characterized by their use
    • C12Q2600/158Expression mark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Immu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는 대상체의 피부로부터 추출된 가검물로부터 RNA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장비와, 생분해성 고분자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지고 중실 구조인 복수개의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대상체의 피부에 적용되고, 소정 시간 유지 후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마이크로니들 표면에 흡착된 대상체 피부로부터의 가검물 또는 이로부터의 추출물이 상기 장비에 의해 정량 분석된다. 상기 장비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마이크로니들 표면에 흡착된 대상체 피부로부터의 가검물 또는 이로부터의 추출물로부터 화장품여드름 관련 RNA 유전자 바이오마커의 발현 정도를 정량화 하고, 상기 정량화 값을 기초로 화장품여드름의 예측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및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MINIMALLY INVASIVE KIT PREDICTING ACNE COSMETICA INCLUDING MICRONEEDLE PATCH AND BIOMARKER FOR PREDICTING ACNE COSMETICA}
본 발명은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및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에 관한 것이다.
민감성 피부에는 구진 및 농포와 같은 여드름성 병변이 발생하는 여드름 유형, 반복적인 홍조 및 화끈거림 증상이 나타나는 주사 유형, 따끔거림 느낌이 나타나는 자극성 유형과 알레르겐 접촉 시 홍반 및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알레르기 유형의 4가지 유형이 있다.
여드름은 털피지샘 단위에 발생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사춘기의 청소년과 젊은 성인에서 80%의 유병률을 보일 정도로 빈번하게 발생하는 질환이다. 여드름의 발생요인은 모낭의 과다각질화, 염증반응, 피지 분비의 증가, Proprionibacterium acnes 균의 집락 형성 등이 있다. 이 외에도 환경적 요인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여러 가지 임상증상이 발생한다. 여드름은 블랙헤드로 알려진 개방면포와 화이트헤드로 알려진 폐쇄면포로 나타나는 비염증성 병변 및 구진, 농포, 결절 등의 염증성 병변의 양상으로 나타난다. 경증 여드름에서는 면포가 주된 병변이지만, 조금 더 심해지면 구진과 농포가 위주이고, 중증 여드름 이상에서는 결절과 거짓낭이 주된 병변이다.
사춘기 후에 발생하는 여드름에 화장품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즉 화장품 사용 후 일부 환자에서는 여드름 모양 발진 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런 병변을 소위 화장품여드름이라 부른다. 미국의 27,48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바우만 피부타입 설문조사에서 73%의 환자가 민감성으로 관찰되었으며, 그 중 화장품여드름은 58%에서 관찰되었다. 화장품 사용 후 여드름 유발 능력은 모낭각전으로 유발되는 면포유발능력과 구진고름물집 형성에 의한다.
검사하는 기술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나타날 수 있는데,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농도나 바셀린의 농도가 10% 미만일 경우에는 토끼 귀에서는 조기에 면포를 유발하지만 인체에서는 구진고름물질을 유발한다. 소듐라우릴설페이트와 같은 유화제는 용량에 비례하여 고름물질을 발생시킨다. Isopropyl myristate, isopropyl palmitate, coconut oil과 같은 면포생성 성분들은 화장품여드름을 유발하므로 화장품여드름을 보이는 민감성 피부에는 이러한 성분들이 포함되지 않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나 아직 이러한 화장품여드름의 정확한 발생 기전은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여러 유형의 피부중에서 민감성으로 화장품여드름이 발생할 지 예측할 수 있는 검사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화장품여드름 발생의 새로운 기전을 발굴하고, 각종 화장품 성분에 대한 화장품여드름 발생의 예측,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 등을 위해서는 적절한 새로운 평가법이 필요하다. 동물실험을 실시한 화장품, 동물실험을 실시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된 화장품, 또한 동물실험을 실시하거나 동물실험을 실시한 원료를 사용하여 만든 수입 화장품의 유통 및 판매가 전면 금지됨에 따라, 현재 여드름의 발생 기전 연구나 개인의 화장품여드름 평가 방법으로는 피부과 전문의의 시진을 통해 관찰하는 방법과 식품의약안전처 가이드라인의 여드름에 대한 유효성 평가변수에 따른 시험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화장품에서 동물실험을 중지한 후, 사용검사를 하거나 화장품을 4주 동안 등에 밀폐도포한 후 강력접착제나 양이온 중합체 표면생검으로 미세면포생성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인체검사를 하기도 한다.
식품의약안전처 가이드라인의 여드름에 대한 유효성 평가변수에 따른 시험방법으로는, 시험물질의 작용 전과 후에 시험대상자의 얼굴에서 병변의 종류와 그 수를 측정하여 1~5등급 중 기준에 맞는 등급을 기록하는 방법과 병변의 수를 측정하여 Michaelson's Acne Severity Index (ASI) 수치를 계산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는 시험자의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판정이 되기에 객관적으로 정량화 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고, 현재 육안으로 보이는 여드름의 현상 만을 기록하기 때문에 화장품여드름 발생의 구체적인 기전의 연구나 특정 인자들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어 완전한 검사법이라 보기 어렵다. 3D 인공피부를 이용한 ex vivo 시험은 실제 인체 표피층과 진피층의 세포를 모두 포함하여 피부를 모방한 가장 발전된 구조체를 보여주지만, 가격이 고가인데다 실제 피부 내 존재하는 혈관, 모낭, 피하지방 등의 구조를 포함하지 않아 실제 피부의 변화와는 다를 수 있다. 이에 사춘기 이후 화장품 사용 등에 의해 여드름 모양 발진의 발생이 잦은 피부에서 적합한 치료제나 화장품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화장품여드름 발생 예측 검사가 필요하다.
마이크로니들은 1 mm 이하의 길이를 갖는 미세한 바늘로, 최소한의 침습으로 각질층을 뚫고 피부에 미세한 구멍을 생성하여 약물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약물전달 기술이며, 최근에는 약물 및 생리활성물질의 전달에만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체내 가검물을 취득하고 질병을 예측 및 진단하는 데에도 그 사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 특히 마이크로니들로 형성된 미세구멍을 통해 체액 또는 혈액 등 인체 가검물을 채취하여 바이오마커 검출 및 질병의 예측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일례로 중공형(hollow) 마이크로니들은 니들 내부에 모세관이 있어, 피부에 부착 후 모세관을 통해 혈액을 추출하는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환자의 고통을 최소화하면서 비교적 안전하게 혈액을 추출하여 혈액 내 글루코오스와 콜레스테롤을 검출하거나 바이오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니들이 피부속에서 부러지면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고 출혈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팽윤형(swellable) 마이크로니들은 피부에 부착 후 피부 내 간질액을 흡수해 부풀어오르고 천공부위를 밀폐해 피부에 접착제 없이 부착되는 원리이며, 흡수된 체액을 분리하여 바이오마커 검출, 모니터링 및 질병의 예측에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분석에 필요한 체액을 흡수하기 위해 오랜 시간 패치를 부착해야 하기에 여러 환경적인 요인에 따라 안정적으로 패치를 부착하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용해성(dissolving) 마이크로니들은 생체 내에서 용해되는 고분자 소재와 유효성분을 혼합한 후 마이크로니들로 고형화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에 부착되면 효율적으로 체액에 의해 녹게 되고, 피부 내부로 약물을 용이하게 전달 가능하다. 또한,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은 금속이나 플라스틱으로 제작되지 않아 피부 속에서 부러질 위험이 없어 안전하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이르러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을 새로운 용도로 활용하고자 한다. 이는 용해성 마이크로니들을 이용한 최초의 피부 가검물(RNA, DNA, 단백질) 채취, 상기 가검물을 이용한 RNA microarray 분석, 상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 화장품여드름 바이오마커 발굴, 상기 바이오마커를 이용한 화장품여드름 예측 및 치료제나 화장품의 유효성 평가 등이다.
최근, DTC(Direct-To-Consumer) 서비스의 제공으로 피부유형을 분석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피부와 연관된 유전자 DNA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분석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주로 구강 상피를 채취하여 DNA 염기서열을 분석하는데, 특정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정상인과 다른 지를 비교하여 위험도를 제시한다. 비침습적 방법으로 피부 유전자를 검사할 수 있지만 한계점도 존재한다. DNA는 모든 세포에 동일하게 존재하며 불변하기 때문에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실제 피부상태를 반영하지 못한다. 특정 SNP를 가지고 태어났다 하더라도 후천적인 관리나 치료를 통해 회복한 경우에 SNP 분석에서는 해당 결과를 반영할 수 없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SNP 분석은 새로운 유효물질의 발굴이나 기전 연구, 효능 평가 등에 적용하기 어렵다. 뿐만 아니라, 현재의 구강 상피를 이용한 SNP 분석은, 가검물 채취 부위가 피부가 아닌 구강 상피라는 점에서 실제 피부의 화장품여드름의 정도를 반영할 수 없다. 반면에 RNA는 실제 세포에서 작용하는 단백질로 번역 가능한 물질이며 세포마다 특이적인 발현 정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여러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실제 피부의 특성을 반영할 수 있다. 따라서, 실제 피부세포에서 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의 발현을 관찰하는 것이 정확한 피부 상태 분석에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DNA 유전체 분석과 달리, RNA 전사체 분석은 피부 세포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하거나 약물 노출 등 환경적 조건에 따라 발현이 달라지는 유전자의 검출이 가능하고, 시험군과 대조군 간의 유전자 발현량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어 시험 전후 비교가 필요한 유효성 평가나 기전 연구 및 후보 물질 발굴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microarray 기술을 통해 하나의 샘플에서 4만개 이상의 유전자에 대해 발현을 비교할 수 있어 질병의 예측이나 치료 바이오마커 발굴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하지만,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RNA와 단백질을 비침습적 방식으로 수집하는 방법에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이르러 상술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식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춘기 이후 발생하는 화장품여드름 환자에서 화장품여드름 발생의 예측 평가 및 그에 대한 맞춤형 치료제나 화장품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SNP array는 인체 가검물의 DNA를 이용하는데, 태어날 때부터 결정되어 변하지 않는 DNA는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실제 피부상태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실제 피부의 내부상태를 반영할 수 있는 새로운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물학적 시료로서 피부 가검물을 사용하는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목적이 달성에 수반하여, 다음의 것들을 아울러 제공하는 것에 있다.
-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조성물
-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검사 방법 및 피부 타입 분류 방법
- 화장품여드름에 대한 유도 또는 억제의 후보물질을 스크리닝 하고 치료제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방법
- 화장품여드름 개선을 위한 일반화장품, 기능성화장품, 의료기기, 의약품 등의 동물실험 대체 인체적용 효능평가 방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는 대상체의 피부로부터 추출된 가검물로부터 RNA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장비와, 생분해성 고분자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지고 중실 구조인 복수개의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대상체의 피부에 적용되고, 소정 시간 유지 후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마이크로니들 표면에 흡착된 대상체 피부로부터의 가검물 또는 이로부터의 추출물이 상기 장비에 의해 정량 분석된다. 상기 장비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마이크로니들 표면에 흡착된 대상체 피부로부터의 가검물 또는 이로부터의 추출물로부터 화장품여드름 관련 RNA 유전자 바이오마커의 발현 정도를 정량화 하고, 상기 정량화 값을 기초로 화장품여드름의 예측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여드름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는 생물학적 시료로서 피부 가검물을 사용하고, MMP3, MMP12, CCR1, AKR1B10, THY1 및 IL-6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RNA 유전자 바이오마커이다.
이외에도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에 따른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또는 화장품여드름 예측을 위한 바이오마커에 더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 특유의 최소 침습적 피부 가검물 획득 방식에 따라 화장품여드름 상태 평가 및 예측용 바이오마커로서 MMP3, MMP12, CCR1, AKR1B10, THY1 및 IL-6의 유용성이 밝혀졌다. 이들 바이오마커로써 어느 하나 이상의 유전자의 mRNA 또는 이의 단백질 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유전자 또는 이의 단백질 수준이 화장품여드름이 있는 대상자에서 증가 또는 감소됨을 확인하였으므로, 이의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화장품여드름의 예측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인체 가검물의 DNA를 이용한 SNP array 방식의 피부유형 진단 방법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종래의 SNP array는 인체 가검물의 DNA를 이용하는데, 태어날 때부터 결정되어 변하지 않는 DNA는 여러 환경적 요인에 의해 변화하는 실제 피부상태를 반영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래의 피부과 전문의의 시진을 통해 관찰하는 방법과 식품의약안전처 가이드라인의 화장품여드름에 대한 유효성 평가변수에 따른 시험방법 및 3D 인공피부 ex vivo 시험 방식의 화장품여드름의 예측 방법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다. 종래의 식품의약안전처 가이드라인의 화장품여드름에 대한 유효성 평가변수에 따른 시험방법은, 시험자의 주관적인 기준에 따라 판정이 되기에 객관적으로 정량화 할 수 없고 재현성이 부족하며, 구체적인 기전의 연구나 특정 인자들의 변화를 과학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3D 인공피부를 이용한 ex vivo 시험은 가격이 고가인데다 실제 피부 내 존재하는 혈관, 모낭, 피하지방 등의 구조를 포함하지 않아 실제 피부의 변화와는 다를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의 사용 편의성을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피부 내부의 인자를 채취함으로써 기존의 피부과 전문의의 시진을 통해 관찰하는 방법과 식품의약안전처 가이드라인의 화장품여드름에 대한 유효성 평가변수에 따른 시험방법 대비 분석 결과의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를 사용하거나 생물학적 시료로서 피부 가검물을 사용하는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를 활용함으로써 종래기술 대비 보다 효율적으로 화장품여드름 유도 또는 억제 물질 및 치료제를 개발 및 스크리닝 할 수 있으며, 개개인에 대한 정확한 피부 유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개인의 피부 유형을 과학적으로 분류하여 맞춤형 화장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화장품여드름 개선을 위한 일반화장품, 기능성화장품, 의료기기, 의약품 등의 개발 시 동물실험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인체적용 효능평가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피부 생체 검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생체 검사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공패치,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와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를 사용하여 각각 30대와 60대 연령 환자군에 대하여 Pro-Collagen 1 검출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4는 공패치,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와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를 사용하여 각각 30대 연령 환자군과 60대 연령 환자군에 대하여 Pro-Collagen 1 검출 시험한 결과를 도시하는 표로서, y축이 흡광도(OD)인 표이다.
도 5는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생체 검사 적용 전후의 길이 변화 측정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6은 GeneChip® Human Gene 2.0 ST Array(Affymetrix) 플랫폼의 매뉴얼에 소개된 microarray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R 4.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렬을 실시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문헌조사를 통해 여드름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된 유전자들의 microarray 시험 결과 확인된 유전자 발현에 관한 수치를 정리한 표이다.
도 9는 피부과 전문의의 이학적 소견을 통해 화장품여드름 활성도가 높은 시험군 5명과 화장품여드름 활성도가 낮고 lactic acid sting test 점수가 0.5점 이하인 대조군 5명, 총 10명의 시험대상자를 선정한 후, RNA microarray 분석 결과를 통해 선정된 화장품여드름 바이오마커 후보들의 발현 정도를 시각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heatmap 분석을 진행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6은 유전자별 발현 정도와 이학적 소견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7 내지 도 20은 유전자별 발현 정도와 육안평가를 통한 지성 점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1 내지 도 23은 유전자별 발현 정도와 인체적용기기(Sebumeter) 측정결과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방식의 피부 가검물 채취
도 1은 종래기술의 피부 생체 검사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생체 검사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생체 검사 방법을 개념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의 좌측 상단에는 제품명 "Therapass"인 시판 중인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품은 본 출원인 회사에서 시장에 출시하여 판매 중인 제품으로서, 분자량이 1000kDa인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다. 도 2의 좌측 하단에는 이러한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피부에 적용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패치의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의 진피층까지 침투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의 우측 부분에는 피부염 환자에게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적용된 후 패치의 마이크로니들에 묻어나온 피부 내 단백질을 활용하여 생체 검사를 실시하는 본 발명의 대표적인 기술적 사상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 표시된 용어인 바이오 마이닝(Bio-Mining)은 생체 검사를 위하여 대상체 피부 내의 단백질을 캐낸다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이하에서 기술할 도 3 내지 도 5와 관련한 사항들은 본 발명자들이 본 발명에 이르기 이전에 생분해성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피부 단백질 추출 성능을 실험한 결과이다. 이 실험 결과는 본 발명자들이 본 발명에 이르러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의 구성요소 중 피부 가검물 채취 수단으로 생분해성 고분자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사용한 이유이다. 본 발명에서 피부 가검물 채취 수단으로 사용된 생분해성 고분자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상용화된 제품명 "Therapass")는 중실(solid) 구조이며, 본 발명자 특유의 송풍인장 공정(Droplet Extension, DEN)으로 제조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주가 이와 다른 방식, 예컨대 몰딩 방식으로 제조된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사용을 배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제조방식을 불문하고 동일 재질, 동일 구조의 마이크로니들 패치는 피부 가검물 채취 성능에 있어서 대동소이 한 것으로 평가된다.
도 3은 공패치,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와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를 사용하여 각각 30대와 60대 연령 환자군에 대하여 Pro-Collagen 1 검출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3의 x축에는 공패치,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와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가 표시되어 있다. y축은 검출된 Pro-Collagen 1의 단위 부피당 질량이 밀리리터 당 피코그램의 단위로 표시되어 있다. 도 3에 표시된 ELISA라는 표기는 항체나 항원에 효소를 표지하여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여 항원-항체 반응의 강도와 그 양을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으로 현대 생명공학에서 이용되고 있는 방법을 일컫는다.
도 3의 표에서 주의 깊게 보아야 하는 것은 제1 대조군인 공패치와의 실질적인 차별성 여부이다. 공패치는 본 발명의 출원 이전에 존재하던 종래기술로서, 검출 결과가 공패치와 실질적으로 차별화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이 생체 검출 효과 향상에 이바지하는 바가 없다는 것이기 때문이다. 도 3의 결과를 보면, 저분자량(110kDa) 히알루론산 패치에서의 Pro-Collagen 1 검출량은 공패치의 경우와 실질적으로 차별화되지 않았다. 그러나, 고분자량(1000kDa) 히알루론산 패치에서에서의 Pro-Collagen 1 검출량은 공패치 및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의 경우와 대비하여 현격히 늘어났음을 알 수 있다.
또 다른 실험 결과가 도 4에 도시된다. 도 4는 상술한 세 가지의 대조군을 사용하여 30대 연령 환자군과 60대 연령 환자군에 대하여 Pro-Collagen 1 검출 시험한 결과를 도시하는 표로서 y축이 흡광도(OD)인 표이다. 도 3의 표에서 y축이 검출된 Pro-Collagen 1의 단위 부피당 질량인 것과 대비하여 도 4의 표에서는 흡광도(OD)라는 점이 차이가 있다. 표준물질을 이용한 검량곡선을 토대로 생체 조직이 추출되는 정량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각군의 흡광도(OD) 값을 측정하여 Pro-Collagen 1의 정량을 유추할 수 있다. 도 4의 결과를 보면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에서의 흡광도 값이 공패치와 다소 구분되는 결과를 보이나, 여전히 공패치와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에서의 결과가 대동소이하며,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패치에서의 결과가 현격히 차별화된다.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성분이 되는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에 따라 어떻게 이와 같이 현격한 결과의 차별성이 나타나는 것인지에 대하여 본 발명자들은 실험을 지속하며 그 원인을 분석하였고, 그 원인을 분자량의 차이에 따른 피부 내로의 용해 속도에서 찾았다.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마이크로니들 성분은 생체적합성이며 생분해성 고분자 물질이 대세이다. "생체적합성 물질"이란 인체에 독성이 없고 화학적으로 불활성인 물질을 의미한다. 그리고, "생분해성 물질"은 생체 내에서 체액, 효소 또는 미생물등에 의해서 분해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생분해성 물질들 중에서는 분자량이 작을수록 생체내로의 용해 속도가 빨라지고 분자량이 클수록 생체내로의 용해 속도가 느려지는 경향성이 알려져 있다. 한편, 생체적합성 고분자(biocompatible polymer)로는 다음과 같은 물질들이 알려져 있다:
히알루론산(hyaluronicacid; HA), 젤라틴(gelatin), 키토산(chitosan), 콜라겐(collagen), 알긴산, 펙틴, 카라기난, 콘드로이틴(설페이트), 덱스트란(설페이트), 폴리라이신(polylysine), 카르복시메틸티틴, 피브린, 아가로스, 풀루란,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PVP),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폴리비닐알콜(PVA),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HPC), 히드록시에틸셀룰로스(HEC),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HPMC), 나트륨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알콜, 아라비아검, 알기네이트, 시클로덱스트린, 덱스트린, 포도당, 과당, 녹말, 트레할로스, 글루코스, 말토스, 락토스, 락툴로스, 프럭토스, 투라노스, 멜리토스, 멜레지토스, 덱스트란, 소르비톨, 크실리톨, 팔라티니트, 폴리락트산(polylactic acid), 폴리글리콜산(polyglycolic acid), 폴리에틸렌옥사이드,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메타아크릴산, 폴리말레인산,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에스터공중합체(poly(ethyleneglycol)/polyester), 키토산-글리세롤포스페이트(Chitosan/glycerol phosphate), 폴리포스파젠(Polyphosphazene), 폴리카프로락톤 (Polycaprolactone), 폴리카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Poly(ethylene glycol)/poly(propylene glycol), 폴리시아노아크릴레이트 (Polycyanoacrylate), 폴리오르소에스터(Polyorthoester),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아미드락테이트 (Poly(N-(2-hydroxyethyl) methacrylamide-lactate), 폴리프로필렌포스페이트 (Poly(propylene phosphate) 등.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피부에 부착하면 패치의 마이크로니들이 피부의 진피층까지 진입하는 과정에서 그리고 진입 후 유지되는 과정에서 생체적합성 마이크로니들 구조에 단백질이 달라붙었다가 추출될 수 있다. 그런데, 저분자량의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은 생체의 단백질이 그 표면에 달라붙더라도 용해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 장시간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 그 자신이 용해되면서 표면에 붙은 단백질이 유실될 수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 도 3의 실험 결과가 얻어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뒷받침하는 결과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도 5는 상술한 세 가지의 대조군 중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생체 검사 적용 전후의 길이 변화 측정 결과를 도시한 표이다.
도 5의 결과에 따르면, 110kDa의 저분자량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마이크로니들은 인체의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대략 30%의 길이 감소를 보였다. 한편, 1000kDa의 고분자량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마이크로니들은 피부에 부착되어 있는 동안 대략 10%만의 길이 감소를 보였다. 이러한 실험 결과는 저분자량의 히알루론산 마이크로니들은 생체의 단백질이 그 표면에 달라붙더라도 용해 속도가 상대적으로 빨라 장시간 피부에 부착하는 경우 그 자신이 용해되면서 표면에 붙은 단백질이 유실될 수 있으며, 이것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험 결과의 원인이라는 점을 뒷받침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험에서 각 대조군의 피부 부착 시간은 5분이었다.
임상시험 대상자의 선정
본 발명자들은 피부의 화장품여드름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이를 이용하여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를 개발하기 위하여 33명의 20~70세의 건강한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표 1).
표본 수 (명) 33
남자 (명) 19 여자 (명) 14
연령 (평균 ± SD) 37.12 ± 12.90
이 때, ① IRB 승인 이후 자발적으로 본 연구에 동의하지 않아 동의서를 작성하지 않은 자, ② 인체 유래물 제공에 동의하지 않은 자, ③ 임신 또는 수유중인 여성과 프로토콜에서 정한 피임방법에 동의하지 않는 가임기 여성, ④ 피부 질환의 치료를 위해 스테로이드가 함유된 피부 외형제를 1개월 이상 사용하는 사람, ⑤ 최근 한 달간 경구 스테로이드제, 경구 항생제, 면역억제제 사용자, ⑥ 대상 병변 부위에 감염(진균, 세균 및 바이러스 감염)의 소견이 있는 환자, ⑦ 자외선 치료를 받고 있는 자, ⑧ 심각한 전신질환이 있는 자, ⑨ 동의서를 읽고 이해할 수 없는 시험대상자(문맹 등), 및 ⑩ 그 외 시험책임자의 판단으로 시험에 부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사람은 시험대상자에서 제외하였다.
화장품여드름 정도에 따른 시험대상자 분류, 전문의 문진, 인체적용기기 평가, lactic acid sting test 및 피부 가검물 채취
세안 후 30분 동안 항온 및 항습 조건에서 대기한 후, 시험대상자를 대상으로 설문평가 및 피부과 전문의 문진을 시행하였고, 인체적용기기를 이용하여 피부 유분량을 측정하였으며, lactic acid sting test를 통해 피부 자극 민감도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피부 유분량은 양 콧망울 부위에 대하여 Sebumeter® SM815 장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μg/cm2 값을 분석하였다. 민감도는 Frosch & Kligman method (1977)에 따른 "5% lactic acid sting test"를 통해 평가하였다. Lactic acid (5%)와 DW를 각각 50 ㎕씩 양쪽 비구순 부위(nasolabial fold)에 분주하고 0분, 2.5분, 5분, 8분마다 따가움, 화끈거림, 가려움을 그 강도에 따라 4 point scale(0; no sting, 1; slight sting, 2; moderate sting, 3; severe sting)로 시험대상자가 직접 평가하도록 하였다. 자극감의 강도를 수치화한 값이 높을수록 민감한 것을 의미하며, 본 시험에서는 Lactic acid (5%)와 DW의 차이값을 취하여 분석하였으며,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Score = (총 Lactic acid 값-총 DW 값) / 12 (4구간*3항목)
시험대상자의 화장품여드름에 대한 이학적 소견은 관련 문헌(한국형 여드름 중증도 시스템, 대한피부과학회지: 제24권 제10호 2004년)에 근거하여, 피부유분에 대한 이학적 소견은 관련 문헌(Reprod Biol Endocrinol. 2017 Homburg et al)에 근거하여, 피부과 전문의가 육안 판정 시행 후 제공하였다.
전체 시험대상자 중 전문의 육안판정을 통해 화장품여드름이 있는 시험대상자(시험군)와 화장품여드름이 없고 lactic acid sting test 점수가 0.5점 이하인 시험대상자(대조군)를 선정하였으며, 이러한 시험군 및 대조군 관련 구체적인 사항은 아래 표 2에 정리하였다.
시험군 대조군
표본 수 (명) 5 5
연령 (평균 ± SD) 31.40 ± 9.81 36.00 ± 11.42
이학적 소견 (여드름) O X
이학적 소견 (지성 Score) 2.60 ± 0.89 1.40 ± 0.55
Sebumeter (μg/cm2) 108.10 ± 59.93 75.20 ± 26.04
Lactic acid sting test (Score) 0.35 ± 0.26 0.17 ± 0.23
또한,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안면에 15분 동안 부착 후 피부 가검물을 채취하였다.
피부 가검물로부터 RNA 채취
시험대상자로부터 획득한 피부 가검물을 RNeasy® Plus Mini Kit (Qiagen)에 제공하였고, 상기 Kit를 이용하여 고순도의 RNA를 추출하였다. 그 다음, NanoDrop 장비와 2100 Bioanalyzer 장비를 이용하여 RNA 샘플의 QC(Quality Control)를 확인한 후 RNA microarray 분석을 시행하였다.
RNA microarray 분석
상술한 방법으로 분리한 RNA를 GeneChip® Human Gene 2.0 ST Array(Affymetrix) 플랫폼의 매뉴얼에 따라 microarray를 실행하였다. 도 6은 상기 플랫폼의 매뉴얼에 소개된 microarray 절차를 도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자들은 동일 절차로 microarray를 실행하였다. 아래의 표 3은 상기 플랫폼의 RNA microarray 분석 프로토콜을 정리한 것이다.
Sample type Total RNA
Platform GeneChip® Human Gene 2.0 ST Array
cDNA synthesize cDNA was synthesized using the GeneChip WT (Whole Transcript) Amplification kit as described by the manufacturer.
Label protocol The sense cDNA was then fragmented and biotin-labeled with TdT (terminal deoxynucleotidyl transferase) using the GeneChip WT Terminal labeling kit
Hybridization protocol Approximately 5.5 μg of labeled DNA target was hybridized to the Affymetrix GeneChip Array at 45°C for 16hour
Scan protocol Hybridized arrays were washed and stained on a GeneChip Fluidics Station 450 and scanned on a GCS3000 Scanner (Affymetrix).
Data processing Array data export processing and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ffymetrix® GeneChip Command Console® Software (AGCC)
그 이후, Affymetrix® Power Tools (APT)의 Robust Multi-Average (RMA) 방법을 통해 전체 데이터를 요약 및 정규화 하였고, 유전자 수준으로 결과를 정리하고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DEG) 분석을 수행하였다. 데이터의 통계적 유의성은 독립적 t-test와 fold change의 변화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False discovery rate(FDR)는 Benjamini-Hochberg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p 값을 조정하였고, DEG 세트는 linkage와 Euclidean distance를 사용하여 Hierarchical cluster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유전자 발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모든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작업은 R 4.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생물정보학 분석(Bioinformatics analysis) 및 유의적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여드름 바이오마커 후보 선별
RNA microarray 시험 진행 후, 시험군과 대조군의 약 4만여가지의 유전자 발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R 4.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유전자 정렬을 실시하였다. 도 7은 유전자 정렬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유전자 정렬은 heatmap 분석이라고도 불린다. Heatmap 분석은 열을 뜻하는 히트(heat)와 지도를 뜻하는 맵(map)을 결합시킨 용어로서, 색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다양한 정보를 이미지 위에 열분포 형태의 도면으로 나타내는 분석 방법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한 heatmap 분석에서는 빨간색으로 나타낼수록 유전자의 발현값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고, 파란색으로 나타낼수록 유전자의 발현값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7에서는 수 백가지의 유전자를 분석했을 때, 시험군과 대조군에서 다수의 유전자의 발현값이 특이적으로 차이가 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이후, 본 발명자들은 문헌조사를 통해 화장품여드름과 관련된 유전자를 선별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헌조사를 통해 화장품여드름과 관련된 것으로 확인된 유전자들의 microarray 시험 결과 확인된 유전자 발현에 관한 수치를 도 8의 표에 정리하였다.
화장품여드름 활성도가 높은 시험군과 화장품여드름 활성도가 낮은 대조군에 있어서 microarray를 실시함으로써 얻어진 유전자 발현에 관한 수치값에 차별성이 존재하여야 화장품여드름 예측에 관한 바이오마커로서 유용할 것이다. 이를 판단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fold change와 p-value를 사용하였다. Fold change는 시험군과 대조군 간 normalized signal 값을 사용하여 1:1 발현 차를 계산한 값으로 시험군에서의 측정 수치가 대조군에서의 측정 수치에 비해 몇 배나 높아졌거나 낮아졌는지를 보여주는 값이고, p-value는 데이터가 귀무가설과 양립하는 정도를 0에서 1사이의 값으로 표현한 것으로 대개 0.05보다 작을 경우 귀무가설을 기각함을 의미하며, 통계처리에 있어서 시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한 값이다.
결과적으로 도 8의 표에 표시된 화장품여드름 관련 유전자 중 fold change가 1.2배 혹은 -1.2배 이상이거나 p-value가 0.05 이하인 유전자는 MMP3, MMP12, CCR1, AKR1B10, THY1 및 IL-6로 확인되었다.
도 9는 피부과 전문의의 이학적 소견을 통해 화장품여드름 활성도가 높은 시험군 5명과 화장품여드름 활성도가 낮고 lactic acid sting test 점수가 0.5점 이하인 대조군 5명, 총 10명의 시험대상자를 선정한 후, 상기의 RNA microarray 분석 결과를 통해 선정된 화장품여드름 바이오마커 후보들의 발현 정도를 시각적으로 비교분석하기 위해 heatmap 분석을 진행한 결과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의 경우와 동일하게 도 9의 heatmap 분석도 빨간색으로 나타낼수록 유전자의 발현값이 커지는 것을 의미하고, 파란색으로 나타낼수록 유전자의 발현값이 작아지는 것을 의미한다. 도 9의 실험 결과로부터는 대조군에 비해 시험군에서 문헌조사를 통해 선별한 특정 유전자들의 발현이 빨간색으로 높게 나타남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였다.
상기의 RNA microarray 분석을 통해 선정된 화장품여드름 바이오마커 후보인 MMP3, MMP12, CCR1, AKR1B10, THY1 및 IL-6 유전자와 피부과 전문의의 이학적 소견을 통한 여드름 유/무 및 지성 육안평가, 그리고 인체적용기기(Sebumeter)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이변량 상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가 도 10 내지 도 23에 도시된다.
본 발명자들은 이학적 소견을 통해 확인된 화장품여드름이 있는 시험군 5명과 화장품여드름이 없으면서 lactic acid sting test 점수가 0.5점 이하인 대조군 5명, 총 10명의 시험대상자의 RNA microarray 분석을 통해 선정된 화장품여드름 바이오마커 후보와 이학적 소견의 여드름 유/무에 따른 점수(유: +1점, 무: 0점), 육안평가를 통한 지성 점수(0~5점) 및 인체적용기기(Sebumeter) 측정결과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MP3, MMP12, CCR1, THY1 및 IL6 유전자는 이학적 소견의 화장품여드름 유/무에 따른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0 내지 16 참조). 도 10 및 도 11은 이학적 소견과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상기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5개 유전자들의 산점도 그래프이다.
또한, MMP12 및 CCR1 유전자는 육안평가를 통한 지성 점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17 내지 도 20참조). 도 17과 도 18은 육안평가를 통한 지성 점수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19와 도 20은 상기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2개 유전자들의 산점도 그래프이다.
또한, CCR1 유전자는 인체적용기기(Sebumeter) 측정결과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도 21 내지 도 23 참조). 도 21과 도 22는 인체적용기기(Sebumeter) 측정결과와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를 나타내는 표이다. 도 23은 상기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1개의 유전자의 산점도 그래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화장품여드름 평가 실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였을 때, 화장품여드름 바이오마커를 가장 넓은 범위로 잡는 경우, MMP3, MMP12, CCR1, AKR1B10, THY1 및 IL-6, 총 6가지의 유전자를 선정할 수 있다. 이러한 선정 결과를 활용하면, 상기 6가지의 RNA 유전자 중 어느 것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유전자를 바이오마커로 삼아 화장품여드름 예측을 정량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나아가, 이상의 본 발명자들의 연구 결과는 화장품여드름 예측 방법 또는 예측 키트의 개발, 화장품여드름 유도 또는 억제 물질 및 치료제의 개발과 스크리닝, 개개인에 대한 피부 유형 정보 제공, 맞춤형 화장품 개발 및 동물 실험 대체 화장품여드름 유효성 평가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의 실시예에서 대상체의 피부로부터 마이크로니들을 사용하여 추출한 피부 가검물로부터 RNA를 추출하고, 이를 RNA microarray 정량 분석장비에 제공하여 RNA 유전자별 발현정도를 정량화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런데,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정량화 방식에 국한되는 것으로 제한해석 되어서는 아니된다. 대상체의 피부 가검물을 사용하여 RNA 발현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는 방식이면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컨대 ELISA 방식 등 단백질 수준에서의 측정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해당 RNA 바이오마커가 발현되어 생성되는 것으로 단백질의 종류를 특정하고 이 단백질의 정량화로써 RNA 유전자별 발현정도가 정량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서 사용되는 정량화 장비 또는 키트는 ELISA, RT-PCR 키트, RNA 칩, DNA 칩 또는 단백질 칩 키트일 수 있다. 상기 단백질 수준의 측정은 ELISA, 웨스턴블랏팅, 자석비드-항체면역침강법, 면역화학조직염색 및 질량분석기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식에 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mRNA 수준의 측정은 RT-PCR, 경쟁적 RT-PCR(competitive RT-PCR), 실시간 RT-PCR(Real-time RT-PCR), RNase 보호 분석법 (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블랏팅(Northern blotting) 및 DNA 칩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방식에 의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대상체의 피부로부터 추출된 가검물로부터 RNA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정량화 할 수 있는 장비와,
    생분해성 고분자 히알루론산으로 이루어지고 중실 구조인 복수개의 마이크로니들을 포함하는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고,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가 대상체의 피부에 적용되고, 소정 시간 유지 후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마이크로니들 표면에 흡착된 대상체 피부로부터의 가검물 또는 이로부터의 추출물이 상기 장비에 의해 정량 분석되고, 상기 장비는 상기 마이크로니들 패치의 마이크로니들 표면에 흡착된 대상체 피부로부터의 가검물 또는 이로부터의 추출물로부터 화장품여드름 관련 RNA 바이오마커 유전자의 발현 정도를 정량화 하고, 상기 정량화 값을 기초로 화장품여드름의 예측이 이루어지고,
    상기 화장품여드름 관련 바이오마커는 MMP3, MMP12 및 CCR1인,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대상체 피부로부터의 가검물로부터 RNA를 추출하는 장비를 더 포함하고, 상기 RNA 추출 장비에 의하여 획득한 RNA가 상기 정량화 장비에 제공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정량화 장비는 RNA microarray 키트인,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시간은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에 따른 용해속도를 고려하여 사전에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니들을 구성하는 히알루론산의 분자량이 커질수록 생체 검출 성능이 향상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7. 삭제
  8. 삭제
KR1020200100561A 2020-08-10 2020-08-11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및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 KR102216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61A KR102216927B1 (ko) 2020-08-11 2020-08-11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및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
US18/020,846 US20230304091A1 (en) 2020-08-10 2021-07-20 Minimally invasive kit for diagnosing skin condition, comprising microneedle patch
PCT/KR2021/009297 WO2022035075A1 (ko) 2020-08-10 2021-07-20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피부 상태 진단 키트
JP2022504568A JP2022554046A (ja) 2020-08-10 2021-07-20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を含む最小侵襲的皮膚状態の診断キット
CN202180056025.1A CN116209397A (zh) 2020-08-10 2021-07-20 包括微针贴片的微创皮肤状态诊断试剂盒
EP21856081.1A EP4194565A4 (en) 2020-08-10 2021-07-20 MINIMALLY INVASIVE SKIN CONDITION DIAGNOSIS KIT WITH MICRONEEDLE PATCH
JP2023199130A JP2024026167A (ja) 2020-08-10 2023-11-24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を含む最小侵襲的皮膚状態の診断キ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0561A KR102216927B1 (ko) 2020-08-11 2020-08-11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및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6927B1 true KR102216927B1 (ko) 2021-02-18

Family

ID=74688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0561A KR102216927B1 (ko) 2020-08-10 2020-08-11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및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69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75A1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큐티스의 생명연구센터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피부 상태 진단 키트
KR102373125B1 (ko) * 2021-06-10 2022-03-14 오윤서주식회사 성분 테스트 패치를 이용한 화장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674A (ko) * 2011-06-27 2014-04-22 갈데르마 리써어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신규한 여드름용 th17 분화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122208B1 (ko) * 2020-04-07 2020-06-12 주식회사 라파스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아토피 피부염 검사 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아토피 검사 키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7674A (ko) * 2011-06-27 2014-04-22 갈데르마 리써어치 앤드 디벨로프먼트 신규한 여드름용 th17 분화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2122208B1 (ko) * 2020-04-07 2020-06-12 주식회사 라파스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이용한 최소 침습적 아토피 피부염 검사 방법 및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아토피 검사 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35075A1 (ko) * 2020-08-10 2022-02-17 주식회사 큐티스의 생명연구센터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피부 상태 진단 키트
KR102373125B1 (ko) * 2021-06-10 2022-03-14 오윤서주식회사 성분 테스트 패치를 이용한 화장품 추천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avrazhina et al. Epithelialized tunnels are a source of inflammation in hidradenitis suppurativa
Feltovich et al. Beyond cervical length: emerging technologies for assessing the pregnant cervix
JP7479726B2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を用いた最小侵襲的アトピー性皮膚炎の検査方法、及び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を含む最小侵襲的アトピーの検査キット
US7183057B2 (en) Tape stripping methods for analysis of skin disease and pathological skin state
Paliwal et al. Diagnostic opportunities based on skin biomarkers
KR102216927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화장품여드름 예측 키트 및 화장품여드름 예측용 바이오마커
US20050053637A1 (en) Personalized cosmetics
JP2016019531A (ja) 皮膚サンプルの年齢範囲の決定方法
KR102216937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피부유분 정도 평가 키트 및 피부유분 정도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
KR102216913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피부보습 정도 평가 키트 및 피부보습 정도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
CN104471391A (zh) 鉴别具有治疗性皮脂抑制活性的ahr受体的配体的方法以及所述配体
Bunyaratavej et al. Skin scrapings versus standardized skin surface biopsy to detect Demodex mites in patients with facial erythema of uncertain cause–a comparative study
Ferris et al. Impact on clinical practice of a non-invasive gene expression melanoma rule-out test: 12-month follow-up of negative test results and utility data from a large US registry study
KR102216941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홍조성 민감피부 평가 키트 및 홍조성 민감피부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
KR102216945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주관적 자극성 민감피부 정도 평가 키트 및 주관적 자극성 민감피부 정도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
KR102216910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피부주름 또는 피부탄력 진단 키트
JP2024026167A (ja) マイクロニードルパッチを含む最小侵襲的皮膚状態の診断キット
KR102216923B1 (ko) 마이크로니들 패치를 포함하는 최소 침습적 피부 색소침착 정도 평가 키트 및 피부 색소침착 정도 평가를 위한 바이오마커
Kim et al. Minimally invasive skin sampling and transcriptome analysis using microneedles for skin type biomarker research
CN110295228A (zh) 检测gata2的物质在制备诊断活动性结核病的试剂盒中的应用
JP3863462B2 (ja) 皮膚疾患および敏感肌の検査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に利用するキット
Basson et al. Assessment of transdermal delivery of topical compounds in skin scarring using a novel combined approach of raman spectroscopy and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ang et al.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 profiles in the serum before and after the ultrasound-guided ethanol sclerotherapy in patients with ovarian endometriomas
US20200256853A1 (en) Models of Reconstructed Sensitive Skin
Yuan Exploratory research for pathogenesis of papulopustular rosacea and skin barrier research in Besançon and Shangha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