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6262B1 -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6262B1
KR102216262B1 KR1020180167461A KR20180167461A KR102216262B1 KR 102216262 B1 KR102216262 B1 KR 102216262B1 KR 1020180167461 A KR1020180167461 A KR 1020180167461A KR 20180167461 A KR20180167461 A KR 20180167461A KR 102216262 B1 KR102216262 B1 KR 102216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layer
plastic
disk
butterfly valve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7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4127A (ko
Inventor
이상선
Original Assignee
이상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선 filed Critical 이상선
Priority to PCT/KR2019/00097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08910A1/ko
Priority to CN201980002067.XA priority patent/CN110637182A/zh
Priority to JP2019559368A priority patent/JP7021256B2/ja
Priority to EP19786259.2A priority patent/EP3608565A4/en
Priority to US16/659,489 priority patent/US11199266B2/en
Publication of KR20190124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4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6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6262B1/ko
Priority to US17/488,473 priority patent/US11828368B2/en
Priority to US17/488,483 priority patent/US11662028B2/en
Priority to JP2022000770A priority patent/JP202203331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2Shaping of the valv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5/00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 B23P15/001Making specific metal objects by 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group in this subclass valves or valve hou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68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by 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layers, e.g. foam bl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16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 F16K1/18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 F16K1/22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with pivoted closure-members with pivoted discs or flaps with axis of rotation crossing the valve member, e.g. butterfly valves
    • F16K1/226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 F16K1/2263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seat
    • F16K1/2265Shaping or arrangements of the sealing the sealing being arranged on the valve seat with a channel- or U-shaped seal covering a central body por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F16K1/32Details
    • F16K1/34Cutting-off parts, e.g. valve members, seats
    • F16K1/36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5/00Details relating to contact between valve members and seats
    • F16K25/005Particular materials for seats or closure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2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lift valves
    • F16K27/0209Check valves or pivoted valves
    • F16K27/0218Butterfl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705/00Use of metals, their alloys or their compounds,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48Machines or par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9L2031/7506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Lift Valve (AREA)
  • Valve Housings (AREA)

Abstract

강도를 유지하면서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을 향상시키며 감소된 무게를 가지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에 사용되는 디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을 재질로 하는 디스크 바디 위에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 1 플라스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플라스틱층 위에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 2 플라스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플라스틱층의 재질인 제 1 플라스틱과 상기 제 2 플라스틱층의 재질인 제 2 플라스틱의 녹는점이 다르다.

Description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BUTTERFLY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버터플라이 밸브는 스틸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강도는 강하나 부식되기 쉽고 무거우며 제조 단가가 상승하였다. 특히,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는 정밀 가공이 요구되는데,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가 스틸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정밀 가공이 어려웠으며, 그 결과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다.
KR 10-1879541 B
본 발명은 강도를 유지하면서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을 향상시키며 감소된 무게를 가지며 대량 생산이 가능한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에 사용되는 디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을 재질로 하는 디스크 바디 위에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 1 플라스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플라스틱층 위에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 2 플라스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플라스틱층의 재질인 제 1 플라스틱과 상기 제 2 플라스틱층의 재질인 제 2 플라스틱의 녹는점이 다르다.
본 발명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바디와 상기 디스프 바디 위에 사출 성형되어 형성된 플라스틱층들을 가지는 디스크를 사용하므로, 스틸로만 이루어진 버터플라이 밸브와 유사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의 무게가 감소하고, 성형이 용이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의 정밀한 제작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바디 및 하부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밸브, 특허 버터플라이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금속, 예를 들어 스틸로만 이루어지는 버터플라이 밸브와 비교하여 강도 및 정밀도는 유지시키면서 수명 및 내부식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제조 단가를 상당히 낮추고 생산성을 상당히 향상시키며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기존 버터플라이 밸브는 스틸로만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강도는 높았으나 정밀 가공이 어려워서 생산성이 상당히 낮았고 제조 단가가 높았다. 또한, 버터플라이 밸브가 선박, 수처리 장치(담수화 장비, 폐수 처리 장비) 등에 사용될 때 쉽게 부식되어 수명이 1년도 안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는 금속, 예를 들어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 위에 플라스틱을 성형하여 내부식성 및 수명(10년 이상 사용 가능)을 향상시키고 제조 단가를 낮추며 무게를 상당히 줄였다.
물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기술은 버터플라이 밸브에만 한정되지는 않으며, 전반적인 밸브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터플라이 밸브의 분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의 일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부 바디 및 하부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크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버터플라이 밸브는 디스크(100), 디스크 지지부(102) 및 바디(104)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는 디스크 지지부(102) 없이 디스크(100) 및 바디(104)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크(1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금속, 예를 들어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 위에 플라스틱들을 2번의 연속적인 사출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유체 흐름의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유체를 통과시킬 때에는 디스크(100)가 예를 들어 90도 회전하여 개방되고, 유체를 차단할 때에는 디스크(100)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된다.
디스크 지지부(102)는 디스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불소 수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olytetrafluoroethylene, PTFE), PFA(Perfluoro alkyl) 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불소 수지는 분자 안에 불소를 함유한 수지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내열성, 내약품성,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고 마찰계수가 작으며 접착 및 점착성이 없다.
바디(104)는 디스크 지지부(102)를 감싸며,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 Phenylene sulfide, PPS), 폴리프탈아미드(Polyphtalamide, PPA), 폴리아미드(Polyamide, PA6), 폴리아미드(Polyamide, PA66), 폴리케톤(Polyketone, POK)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에 유리섬유(Glass fiber)를 혼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디(104)를 제조하면, 바디(104)의 강도, 내충격성, 기계적 특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이로 인한 효과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겠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04)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아미드(PA6), 폴리아미드(PA66), 폴리케톤(POK) 또는 폴리에틸렌(PE)에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를 혼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디(104)를 제조하면, 바디(104)의 강도, 내충격성, 기계적 특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바디(104)는 예를 들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아미드(PA6), 폴리아미드(PA66), 폴리케톤(POK) 또는 폴리에틸렌(PE)에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디(104)를 제조하면, 바디(104)의 강도, 내충격성, 기계적 특성 등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의 구성요소들의 자세한 구조 및 결합 관계를 살펴보겠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크(100)는 개폐부(100a), 조작부(100b) 및 고정부(100c)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100a)는 유체 흐름을 개폐하는 부재로서,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개폐부(100a)의 구조는 후술하겠다.
조작부(100b)는 개폐부(100a)의 상단에 결합되며,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조작부(100b)는 상부 바디(104a)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510)을 관통하여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바디(104a)의 상측으로 돌출된다. 이러한 조작부(100b)는 제어부(미도시)와 결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개폐부(100a)가 회전하게 되어 개폐 동작을 수행한다.
고정부(100c)는 하부 바디(104b)의 중앙부에 형성된 홀(540)로 삽입되며, 그 결과 디스크(100)가 바디(1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부(100c)는 삽입시 외부로 돌출되지 않으며, 조작부(100b)보다 작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디스크 지지부(102)는 제 1 지지부(102a) 및 제 2 지지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지지부(102a)는 개폐부(100a)와 동일한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지며, 개폐부(100a)의 사이즈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지지부(102a)에 전면 및 후면을 관통하는 공간(홀, 208)이 형성되고, 제 1 지지부(102a)의 상단에는 둘레 전체에 걸쳐서 홈(209)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지지부(102a)의 상단 중앙부에 조작부(100b)가 삽입되는 홀(200)이 형성되고 하단 중앙부에 고정부(100c)가 삽입되는 홀(20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지지부(102b) 또한 개폐부(100a)와 동일한 형상, 예를 들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단 중앙부에 개구부(204)가 형성되고 하단 중앙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204) 및 상기 개구부에 각기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204)의 홀은 제 1 지지부(102a)의 상단에 형성된 홀(200)에 대응하고,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의 홀은 제 1 지지부(102a)의 하단에 형성된 홀(202)에 대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지지부(102b)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EPDM), 불소고무(Fluoro Elastomers, FKM) 또는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디스크(100)의 개폐부(100a)가 제 1 지지부(102a)의 공간(208)으로 삽입되고, 제 2 지지부(102b)가 제 1 지지부(102a)의 상단에 형성된 홈(209)으로 체결될 수 있다. 즉, 제 2 지지부(102b)는 제 1 지지부(102a)의 공간(208)에 삽입된 디스크(100)의 개폐부(100a)에 압력을 가하여 개폐부(100a)가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100)의 개폐부(100a)의 사이즈는 제 1 지지부(102a)의 공간(208)보다 약간 큰 사이즈를 가지되, 개폐부(100a)의 최외각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탄성을 가지므로 개폐부(100a)부 제 1 지지부(102a)의 공간(208)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조작부(100b)는 상부 바디(104a)의 상단 중앙부에 형성된 홀(5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고정부(100c)는 하부 바디(104b)의 하단 중앙부에 형성된 홀(540)로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조작부(100b)는 체결 부재들(242 및 246)에 의해 지지부들(102a 및 102b) 및 상부 바디(104a)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며, 고정부(100c)는 체결 부재(240)에 의해 하부 바디(104b)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디스크(100)를 고정시키고 개폐를 위하여 회전시키는 구조는 위의 구조로 한정되지는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상부 바디(104a)를 살펴보면, 금속, 예를 들어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으로 이루어진 상부 베이스 및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아미드(PA6), 폴리아미드(PA66) , 폴리케톤(POK) 또는 폴리에틸렌(PE)에 유리섬유 등을 혼합함에 의해 형성된 상부 플라스틱층(5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베이스는 상부 뼈대(500), 수용부(502), 헤드(504), 복수의 배관 결합부들(506) 및 양 측면의 바닥부들(508a 및 508b)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 뼈대(500)는 틀로서 예를 들어 상단 및 하단이 모두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금속, 특히 경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부 뼈대(500)와 하부 뼈대(530)는 디스크(100)를 지지하는 디스크 지지부(102)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디스크 지지부(102)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부 뼈대(500)의 하부 외측면에 홈(520)이 형성되고, 하부 뼈대(530)의 내측면에 홈(550)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뼈대(500)의 중앙부에는 수용부(502)가 상부 뼈대(500)와 교차하는 방향, 바람직하게는 수직한 방향으로 하여 길이 연장될 수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502)에는 홀(510)이 형성되며, 디스크(100)의 조작부(100b)가 홀(5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헤드(504)는 수용부(502)의 종단에 연결되고, 금속으로 이루어지며, 수용부(502)보다 큰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조작부(100b)는 헤드(504)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배관 결합부(506)는 배관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며, 예를 들어 상부 뼈대(500)로부터 돌출된 리브일 수 있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관 결합부(506)에는 홀(512)이 형성될 수 있고, 버터플라이 밸브의 양측에 배관들을 위치시킨 후 볼트 등의 고정 부재를 배관들과 버터플라이 밸브를 관통시켜 체결함에 의해 버터플라이 밸브가 상기 배관들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볼트는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 중 배관 결합부(506)를 관통할 수 있다. 즉, 배관 결합부(506)는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와 배관들을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바닥부들(508a 및 508b)은 상부 뼈대(500)의 양 종단들에 각기 형성되며, 하부 바디(104b)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바닥부들(508a 및 508b)에 나사 삽입부들(230a 및 23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 플라스틱층(560)은 상기 상부 베이스 위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하여 상기 상부 베이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라스틱층(560)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아미드(PA6), 폴리아미드(PA66) , 폴리케톤(POK) 또는 폴리에틸렌(PE)에 유리섬유를 혼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라스틱층(560)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아미드(PA6), 폴리아미드(PA66) , 폴리케톤(POK) 또는 폴리에틸렌(PE)에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 플라스틱층(560)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아미드(PA6), 폴리아미드(PA66) , 폴리케톤(POK) 또는 폴리에틸렌(PE)에 탄소섬유 또는 탄소섬유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 베이스의 강도, 내충격성,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베이스는 스틸로 이루어지는 상부 뼈대(500)를 얇은 두께로 형성하면서도 상부 플라스틱층(560)을 상기 유리섬유 등을 혼합하여 전체적인 강도를 스틸로만 이루어진 상부 베이스와 유사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 베이스는 중량은 가벼워지면서도 강도는 유지시킬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하부 바디(104b)를 살펴보면, 하부 바디(104b)는 하부 베이스 및 하부 플라스틱층(56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 베이스는 하부 뼈대(530), 수용부(532), 배관 결합부(534) 및 바닥부들(536a 및 536b)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뼈대(530)는 상부 뼈대(500)에 대응하는 형상, 예를 들어 반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금속, 예를 들어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용부(532)는 디스크(100)의 고정부(100c)를 수용하는 부분으로서, 고정부(100c)가 삽입될 수 있도록 홀(540)이 형성되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관 결합부(534)는 배관 결합부(506)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예를 들어 하부 뼈대(530)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관 결합부(534)에는 홀(542)이 형성될 수 있다.
바닥부들(536a 및 536b)은 하부 뼈대(530)의 양 종단들에 각기 형성되며, 상부 바디(104a)와의 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고,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바닥부들(536a 및 368b)에 나사 삽입부들(234a 및 236a)이 형성될 수 있다. 나사들(볼트, 22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 삽입부들(230a, 232a, 234a 및 236a)로 삽입됨에 따라 상부 바디(104a)와 하부 바디(104b)가 결합될 수 있다.
하부 플라스틱층(562)은 상기 하부 베이스 위에 형성되며, 예를 들어 인서트 사출 성형을 통하여 상기 하부 베이스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플라스틱층(562)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아미드(PA6), 폴리아미드(PA66) , 폴리케톤(POK) 또는 폴리에틸렌(PE)에 유리섬유를 혼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플라스틱층(562)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아미드(PA6), 폴리아미드(PA66) , 폴리케톤(POK) 또는 폴리에틸렌(PE)에 유리섬유 및 탄소섬유, 또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및 그라파이트를 혼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플라스틱층(562)은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아미드(PA6), 폴리아미드(PA66) , 폴리케톤(POK) 또는 폴리에틸렌(PE)에 탄소섬유, 또는 탄소섬유와 그라파이트를 혼합함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상부 베이스의 강도, 내충격성,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베이스는 스틸로 이루어지는 얇은 하부 뼈대(530)를 사용하면서도 하부 플라스틱층(562)을 상기 유리섬유 등을 혼합하여 전체적인 강도를 스틸로만 이루어진 하부 베이스와 유사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하부 베이스는 중량은 가벼워지면서도 강도는 유지시킬 수 있다.
이하, 디스크(100)의 구조를 자세히 살펴보겠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디스크(100)의 개폐부(100a)는 디스크 바디(300), 제 1 플라스틱층(302) 및 제 2 플라스틱층(304)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들에서는 2개의 플라스틱층들(302 및 304)만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개폐부(100a)는 3개 이상의 플라스틱층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디스크 바디(300)는 디스크(100)의 기본 뼈대로서, 금속, 예를 들어 스틸 또는 알루미늄 등의 경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크 바디(3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홀들(31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디스크 바디(300)는 도 3의 구조로 제한되지는 않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이되 내부에 많은 공간을 가지는 뼈대 구조(300a)를 가질 수도 있다.
제 1 플라스틱층(302)은 사출 성형을 통하여 디스크 바디(300)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1 플라스틱층(302)은 디스크 바디(300) 전체를 덮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플라스틱층(302)은 고강도 플라스틱, 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수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플라스틱층(302)은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와 폴리스티렌계 수지를 성분으로 한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거나, POLYIMDE, POLYSULFONE, POLY PHENYLENE SULFIDE, POLYAMIDE IMIDE, POLYACRYLATE, POLYETHER SULFONE, POLYETHER ETHER KETONE, POLYETHER IMIDE, LIQUID CRYSTAL POLYESTER, POLYETHER KETONE 등 및 이들의 조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 2 플라스틱층(304)은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 1 플라스틱층(302) 위에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 2 플라스틱층(304)은 제 1 플라스틱층(302) 전체를 덮을 수 있으며, 디스크 바디(300) 및 제 1 플라스틱층(302) 상에 형성된 홀들을 채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라스틱층(304)은 불소 수지,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FA(Perfluoro alkyl) 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라스틱층(304)은 제 1 플라스틱층(302)보다 낮은 녹는점을 가지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플라스틱층(304)은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 1 플라스틱층(302)과 제 2 플라스틱층(304)은 다른 녹는점을 가지는 플라스틱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2 플라스틱층(304)을 이루는 제 2 플라스틱의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 특성이 제 1 플라스틱층(302)을 이루는 제 1 플라스틱의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 특성보다 우수하고, 상기 제 1 플라스틱의 강도 특성이 상기 제 2 플라스틱의 강도 특성보다 우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플라스틱은 디스크(100)의 강도를 강화시키고 상기 제 2 플라스틱은 유체로 인한 부식 또는 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정리하면, 디스크(100)의 개폐부(100a)는 순차적으로 형성된 디스크 바디(300), 제 1 플라스틱층(302) 및 제 2 플라스틱층(30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종래의 디스크는 모두 스틸로 이루어졌으며, 그 결과 기계 가공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기계 제작시 스틸을 원하는 형상으로 정밀하게 가공하기가 어려워서 디스크의 생산성이 많이 저하되었다. 결과적으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였다. 물론, 상기 디스크가 모두 스틸로 이루어지므로, 강도는 높았지만 무게가 무겁고 제조 단가가 고가였으며 부식되기 쉬웠다.
반면에, 본 발명의 디스크(100)는 기본 뼈대인 디스크 바디(300)만 금속으로 형성하고 2번의 사출 성형을 통하여 디스크 바디(300) 위에 플라스틱층들(302 및 304)을 형성한다.
디스크 바디(300)는 종래의 디스크에 비하여 상당히 얇으므로, 기계 가공을 하더라도 원하는 형상으로 정밀하게 가공하기가 용이하다. 특히, 디스크(100)의 정밀한 형상을 제 1 플라스틱층(302)으로 실현할 수 있으므로, 디스크 바디(300)를 정밀하게 가공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층들(302 및 304)로 인하여 디스크(100)의 내부식성 및 내산성이 상당히 향상되고 강도 특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플라스틱층(302)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수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므로, 디스크(100)는 종래 디스크와 유사한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초경량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틸로만 이루어진 종래의 버터플라이 밸브가 1㎏이라고 하면, 본 발명의 버터플라이 밸브는 강도는 유사하게 유지하면서 350g 정도의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즉, 초경량화가 가능하다.
한편, 제 1 플라스틱층(302) 없이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이루어진 제 2 플라스틱층(304)을 스틸로 이루어진 디스크 바디(300) 위에 직접적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상기 금속 위에 형성된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의 두께가 일정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정밀한 디스크 형상을 제작할 수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밸브 제조 방법은 금속 위에서 정밀한 형상의 제작이 가능한 고강도 플라스틱(예를 들어,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수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사용한다. 즉, 상기 밸브 제조 방법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디스크 바디(300) 위에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1 플라스틱층(302)을 형성하여 정밀한 형상을 실현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밸브 제조 방법은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1 플라스틱층(302) 위에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으로 이루어진 제 2 플라스틱층(304)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은 상기 고강도 플라스틱 위에 일정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요컨대, 디스크(100)의 개폐부(100a)는 기존 디스크만큼 정밀한 형상 및 가공을 유지하면서도 생산성을 상당히 향상시키고 무게를 상당히 감소시키고 제조 단가를 상당히 낮출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터플라이 밸브의 대량 생산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위에서는 디스크(100)만 언급하였지만, 버터플라이 밸브 외에도 다른 밸브들에서 우수한 내부식성이 필요한 유체와 접촉하는 유체 접촉부에 디스크(100)의 구조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즉, 상기 유체 접촉부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바디, 상기 바디 위에 형성되며 고강도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1 플라스틱층 및 상기 제 1 플라스틱층 위에 형성되며 불소 수지로 이루어진 제 2 플라스틱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바디(104)의 플라스틱층들(560 및 562)에 대하여 살펴보겠다. 다만, 플라스틱층들(560 및 562)의 성분이 동일하므로, 플라스틱층(560)만을 설명하겠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층(560)은 PP와 glass fiber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glass fiber는 전체 대비 0% 초과 40% 이하로 함유될 수 있으며, PP는 전체 대비 60%보다 큰 함량비를 가진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glass fiber 혼합비 Tensile strength(Mpa@23°C) [ASTM D638]
비교용 0 25
1 10 54
2 15 59
3 20 78
4 30 83
5 40 94
위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P와 glass fiber를 혼합하여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하는 경우, 플라스틱층(560)의 인장 강도가 glass fiber 없이 PP만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층에 비하여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glass fiber의 함량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층(560)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 공정의 특성이 저하되어 플라스틱층(560)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어려웠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층(560)은 PPS와 glass fiber의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glass fiber는 전체 대비 0% 초과 40% 이하로 함유될 수 있으며, PPS는 전체 대비 60%보다 큰 함량비를 가진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실시예 glass fiber 혼합비 Tensile strength(Mpa@23°C) [ASTM D638]
비교용 0 70
1 30 140
2 40 200
위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PS와 glass fiber를 혼합하여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하는 경우, 플라스틱층(560)의 인장 강도가 glass fiber 없이 PPS만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층에 비하여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면서 가볍고 단단하게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glass fiber의 함량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층(560)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 공정의 특성이 저하되어 플라스틱층(560)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어려웠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층(560)은 PPA와 glass fiber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glass fiber는 전체 대비 0% 초과 55% 이하로 함유될 수 있으며, PPA는 전체 대비 45%보다 큰 함량비를 가진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실시예 glass fiber 혼합비 Tensile strength(Mpa@23°C) [ASTM D638]
비교용 0 105
1 25 170
2 35 210
3 45 250
4 55 270
위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PA와 glass fiber를 혼합하여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하는 경우, 플라스틱층(560)의 인장 강도가 glass fiber 없이 PPA만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층에 비하여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면서 가볍고 단단하게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glass fiber의 함량비가 5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층(560)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 공정의 특성이 저하되어 플라스틱층(560)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어려웠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층(560)은 PA(Polyamide, PA6)와 glass fiber를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glass fiber는 전체 대비 0% 초과 50% 이하로 함유될 수 있으며, PA는 전체 대비 50%보다 큰 함량비를 가진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실시예 glass fiber 혼합비 Tensile strength(Mpa@23°C) [ASTM D638]
비교용 0 70
1 15 125
2 20 145
3 30 170
4 33 180
5 35 185
6 40 192
7 45 200
8 50 220
위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A와 glass fiber를 혼합하여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하는 경우, 플라스틱층(560)의 인장 강도가 glass fiber 없이 PA만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층에 비하여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면서 가볍고 단단하게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glass fiber의 함량비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층(560)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 공정의 특성이 저하되어 플라스틱층(560)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어려웠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층(560)은 PA(Polyamide, PA66)와 glass fiber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glass fiber는 전체 대비 0% 초과 50% 이하로 함유될 수 있으며, PA는 전체 대비 50%보다 큰 함량비를 가진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실시예 glass fiber 혼합비 Tensile strength(Mpa@23°C) [ASTM D638]
비교용 0 80
1 25 165
2 30 186
3 33 196
4 35 200
5 50 245
위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A와 glass fiber를 혼합하여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하는 경우, 플라스틱층(560)의 인장 강도가 glass fiber 없이 PA만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층에 비하여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면서 가볍고 단단하게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glass fiber의 함량비가 5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층(560)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 공정의 특성이 저하되어 플라스틱층(560)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어려웠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플라스틱층(560)은 POK(Polyketone)와 glass fiber을 혼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glass fiber는 전체 대비 0% 초과 40% 이하로 함유될 수 있으며, PA는 전체 대비 60%보다 큰 함량비를 가진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실시예 glass fiber 혼합비 Tensile strength(Mpa@23°C) [ASTM D638]
비교용 0 60
1 15 100
2 20 125
3 30 140
4 40 165
위 표 6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POK와 glass fiber를 혼합하여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하는 경우, 플라스틱층(560)의 인장 강도가 glass fiber 없이 POK만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층에 비하여 상당히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즉, 기계적, 화학적 물성이 향상될 수 있어서 기계적 물성을 향상시키면서 가볍고 단단하게 플라스틱층(560)을 형성할 수 있다. 다만, glass fiber의 함량비가 4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플라스틱층(560)을 제조하기 위한 사출 공정의 특성이 저하되어 플라스틱층(560)을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어려웠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00 : 디스크 102 : 디스크 지지부
104 : 바디 100a : 개폐부
100b : 조작부 100c : 고정부
104a : 상부 바디 104b : 하부 바디

Claims (5)

  1. 버터플라이 밸브에 사용되는 디스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금속을 재질로 하는 디스크 바디 위에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 1 플라스틱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플라스틱층 위에 사출 성형을 통하여 제 2 플라스틱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플라스틱층의 재질인 제 1 플라스틱의 녹는점이 상기 제 2 플라스틱층의 재질인 제 2 플라스틱의 녹는점보다 높으며, 상기 디스크 바디는 내부에 공간을 가지는 뼈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조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플라스틱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는 수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고, 상기 제 2 플라스틱은 불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수지는 폴리테트라 플루오로에틸렌(PTFE), PFA(Perfluoro alkyl) 또는 PVDF(Polyvinylidene fluorid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플라스틱의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 특성이 상기 제 1 플라스틱의 내부식성 또는 내산성 특성보다 우수하고, 상기 제 1 플라스틱의 강도 특성이 상기 제 2 플라스틱의 강도 특성보다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제조 방법.
KR1020180167461A 2018-04-25 2018-12-21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2162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975 WO2019208910A1 (ko) 2018-04-25 2019-01-23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N201980002067.XA CN110637182A (zh) 2018-04-25 2019-01-23 蝶形阀及其制造方法
JP2019559368A JP7021256B2 (ja) 2018-04-25 2019-01-23 バタフライバルブ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EP19786259.2A EP3608565A4 (en) 2018-04-25 2019-01-23 THROTTLE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US16/659,489 US11199266B2 (en) 2018-04-25 2019-10-21 Butterfly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7/488,473 US11828368B2 (en) 2018-04-25 2021-09-29 Butterfly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7/488,483 US11662028B2 (en) 2018-04-25 2021-09-29 Butterfly valv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22000770A JP2022033316A (ja) 2018-04-25 2022-01-05 バタフライバルブのボディ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48160 2018-04-25
KR1020180048160 2018-04-25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205A Division KR102216263B1 (ko) 2018-04-25 2018-12-21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127A KR20190124127A (ko) 2019-11-04
KR102216262B1 true KR102216262B1 (ko) 2021-02-17

Family

ID=68577942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459A KR20190124125A (ko) 2018-04-25 2018-12-21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167460A KR102216261B1 (ko) 2018-04-25 2018-12-21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167461A KR102216262B1 (ko) 2018-04-25 2018-12-21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167458A KR102216260B1 (ko) 2018-04-25 2018-12-21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167205A KR102216263B1 (ko) 2018-04-25 2018-12-21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10046270A KR102388185B1 (ko) 2018-04-25 2021-04-09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459A KR20190124125A (ko) 2018-04-25 2018-12-21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167460A KR102216261B1 (ko) 2018-04-25 2018-12-21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7458A KR102216260B1 (ko) 2018-04-25 2018-12-21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180167205A KR102216263B1 (ko) 2018-04-25 2018-12-21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210046270A KR102388185B1 (ko) 2018-04-25 2021-04-09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199266B2 (ko)
EP (1) EP3608565A4 (ko)
JP (2) JP7021256B2 (ko)
KR (6) KR20190124125A (ko)
CN (1) CN11063718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4125A (ko) * 2018-04-25 2019-11-04 이상선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98B1 (ko) 2012-10-16 2013-03-12 주식회사피앤엔피 버터플라이 밸브
JP2017032062A (ja) * 2015-07-31 2017-02-09 株式会社キッツ ライニング形バタフライバルブの弁体とその成形装置並びに成形方法及びバタフライバルブ
KR101749530B1 (ko) 2016-02-02 201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25439A (en) * 1965-10-19 1969-02-04 Duriron Co Butterfly valve
US3670071A (en) * 1970-07-16 1972-06-13 Xomox Corp Method of manufacture of a coated valving member
US4253641A (en) * 1978-12-07 1981-03-03 Vanryck Theodore H Butterfly valve and perimeter seal
FR2504638B1 (fr) * 1981-04-27 1986-01-17 Pont A Mousson Vanne papillon a corps revetu
JPS60188284U (ja) * 1984-05-23 1985-12-13 日立造船株式会社 バタフライ弁
US5150731A (en) * 1990-07-20 1992-09-29 Tomoe Technical Research Co. Butterfly valve to prevent dew condensation therefrom
US5360030A (en) * 1993-10-14 1994-11-01 Sisk David E Butterfly valve incorporating sleeve seals
JP3045939B2 (ja) * 1994-11-04 2000-05-29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バタフライ弁並びにその製造方法
CN2216174Y (zh) * 1995-05-09 1995-12-27 郑州蝶阀厂 耐腐蝶阀
JP3123908B2 (ja) * 1995-10-30 2001-01-15 株式会社巴技術研究所 バタフライ弁の弁体
CN1068666C (zh) * 1996-07-29 2001-07-18 常州市长江耐腐蚀设备厂 耐腐蝶阀
JP4412963B2 (ja) 2003-10-10 2010-02-10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バルブ用樹脂製部材
JP4853806B2 (ja) 2006-01-20 2012-01-11 旭有機材工業株式会社 バタフライバルブ
JP2008002512A (ja) 2006-06-20 2008-01-10 Asahi Organic Chem Ind Co Ltd バルブ用締結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バタフライバルブ
US7758017B2 (en) * 2007-01-22 2010-07-20 Sure Seal, Inc. Butterfly valves and construction thereof
US8430113B2 (en) * 2007-04-26 2013-04-30 Asahi Organic Chemicals Industry Co., Ltd. Method of manufacturing valve, and valve produced by the method
JP5601013B2 (ja) * 2010-04-22 2014-10-08 住友電工ファインポリマー株式会社 フッ素樹脂被覆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58946A (ja) * 2012-09-19 2014-04-03 Denso Corp ガス量調整弁及び排気ガス再循環装置
FR2997745B1 (fr) * 2012-11-06 2014-11-07 Sonceboz Automotive Sa Vanne motorisee surmoulee a etancheite amelioree
CN202971969U (zh) * 2012-12-05 2013-06-05 四川渊合高分子材料科技有限公司 蝶阀阀板
DE102013216250A1 (de) * 2013-08-15 2015-02-19 Behr Gmbh & Co. Kg Klappe für einen Luftführungskanal sowie ein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Klappe
CN203500505U (zh) * 2013-08-22 2014-03-26 天津市瑞斯特阀业有限公司 低能耗一体式注塑阀门
US9222592B2 (en) * 2014-01-02 2015-12-29 Shie Yu Machine Parts Ind. Co., Ltd. Composite structure of rotary valve
US20160178067A1 (en) * 2014-12-17 2016-06-23 Mueller International, Llc Valve body and seat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
WO2016110840A1 (en) * 2015-01-05 2016-07-14 Hakohav Valves Industries Metal (1987) Ltd. Corrosion-resistant valve disc
JP6715692B2 (ja) * 2016-06-17 2020-07-01 旭有機材株式会社 バタフライバルブ用のシートリング及びこれを備えるバタフライバルブ
KR101879541B1 (ko) 2017-05-25 2018-07-17 오현정 과회전 방지식 버터플라이 밸브
KR20190124125A (ko) * 2018-04-25 2019-11-04 이상선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998B1 (ko) 2012-10-16 2013-03-12 주식회사피앤엔피 버터플라이 밸브
JP2017032062A (ja) * 2015-07-31 2017-02-09 株式会社キッツ ライニング形バタフライバルブの弁体とその成形装置並びに成形方法及びバタフライバルブ
KR101749530B1 (ko) 2016-02-02 2017-06-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모터 구동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4126A (ko) 2019-11-04
KR102216260B1 (ko) 2021-02-17
KR20190124127A (ko) 2019-11-04
US11199266B2 (en) 2021-12-14
CN110637182A (zh) 2019-12-31
US20200049258A1 (en) 2020-02-13
EP3608565A1 (en) 2020-02-12
KR20210042879A (ko) 2021-04-20
JP2022033316A (ja) 2022-02-28
US11828368B2 (en) 2023-11-28
JP7021256B2 (ja) 2022-02-16
JP2020519816A (ja) 2020-07-02
KR102216263B1 (ko) 2021-02-17
KR20190124125A (ko) 2019-11-04
KR102216261B1 (ko) 2021-02-17
US20220018448A1 (en) 2022-01-20
US11662028B2 (en) 2023-05-30
US20220018447A1 (en) 2022-01-20
EP3608565A4 (en) 2021-05-05
KR102388185B1 (ko) 2022-04-19
KR20190124124A (ko) 2019-11-04
KR20190124123A (ko) 2019-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6262B1 (ko) 버터플라이 밸브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JP2015510459A (ja) 成型複合材ねじ
KR20180010041A (ko)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플라스틱 밸브
JP4017671B2 (ja) 流量制御装置用低透過性流体シール
US11592135B2 (en) Fitting for preventing distortion
KR102388188B1 (ko)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밸브
TWI832914B (zh) 蝶形閥、用於其之本體部、流體接觸部與圓盤及圓盤的製造方法
KR20180010058A (ko) 플라스틱 밸브
US11204101B2 (en) Valve having streamlined fluid flow space
EP3705762A1 (en) Valve having streamlined fluid transfer hole
US20200240432A1 (en) Casing for preventing distortion and pump including the same
EP3708889A1 (en) Valve capable of preventing distortion
KR102334609B1 (ko)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케이싱 및 이를 포함하는 펌프
CN104500748A (zh) O形圈
JPS6026864A (ja) ボ−ルバルブ用のバルブシ−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