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756B1 - 이중용기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이중용기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756B1
KR102215756B1 KR1020190078076A KR20190078076A KR102215756B1 KR 102215756 B1 KR102215756 B1 KR 102215756B1 KR 1020190078076 A KR1020190078076 A KR 1020190078076A KR 20190078076 A KR20190078076 A KR 20190078076A KR 102215756 B1 KR102215756 B1 KR 1022157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ution
lower mold
mold frame
container
doub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8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1665A (ko
Inventor
한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이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이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이옥스
Priority to KR1020190078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7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01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1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7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7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22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multilayered preforms or pari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68Auxiliary operations during the blow-mould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2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8Moulds
    • B29C2049/4879Moulds characterised by mould configurations
    • B29C2049/4882Mould cavity ge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우금형틀; 상기 블로우금형틀의 하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대향면에 각각 금형공간이 형성되어, 각 대향면이 밀착되었다 이격되었다 할 수 있도록 구동바에 의해 구동되는 제1하측금형틀과 제2하측금형틀;을 포함하여, 상기 블로우금형틀과 상기 제1하측금형틀과 상기 제2하측금형틀이 결합되면 프리폼에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블로우몰딩을 수행하며, 상기 제1하측금형틀과 제2하측금형틀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금형공간의 저면벽에 저면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리폼에 공급되는 가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프리폼을 저면에 홈을 가진 이중용기로 성형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중용기제조장치{MANUFACTURING APPARATUS FOR DUAL-LAYERED CONTAINER}
본 발명은 이중용기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블로우몰딩이 가능한 금형을 포함함으로써, 이중용기를 대량생산할 수 있는 이중용기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독제나 세제, 화장품 등을 저장하고, 필요 시 사용자에게 분사 등의 방법으로 공급하는 용기가 활용되고 있다. 기존기술에 의한 용기는 저장된 소독액이 피소독대상에 분사될 때, 용기 내부에 일시적으로 진공상태가 형성된다. 용기 내부공간에 변형이 없는 상태에서 용기 내의 물질이 외부로 나갔으므로 그 부피만큼 압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 진공이 해소되면서 외부공기가 유입되는데, 이 공기에 세균이 포함되어 용기 내의 액체가 오염될 우려가 있다.
이중용기는 이러한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내부용기, 외부용기의 이중으로 용기를 형성한 것이다. 내부용기는 연질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용기내부에 진공상태가 형성되면 용기가 변형되어 축소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공기가 용기내부로 들어오지 않으므로 세균유입의 우려가 해소될 수 있다. 소독액 등 저장된 액체를 계속 배출하여 사용을 계속하면 내용물이 감소됨에 따라 내부용기는 점차 축소되나, 외부용기의 형상은 유지된다. 그에 따라 저장된 액체가 오염될 가능성도 없애면서 용기의 외관형상은 그대로 유지시킬 수 있다.
이 때, 외부용기에는 통기공이 형성되어야 한다. 내부용기가 수축될 때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의 공간에 통기공을 통해 외부공기가 유입되어야 내부용기와 외부용기 사이가 벌어지면서 내부용기가 제대로 수축될 수 있다. 이중용기에는 통기공이 있어야 이중용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중용기의 제조에 있어서 통기공 형성공정도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한다.
일본국 등록특허 제 595571 호(2004년 12월 2일 공고)에는 통기공 형성공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예로서 이중벽 병의 성형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성형장치는 블로우성형을 이용해 이중용기를 생산한다. 성형장치는 블로우캐비티틀(72)과 바닥틀(72B), 블로우코어틀(82)를 구비하며, 프리폼(70)을 블로우성형하여 이중용기를 성형한다. 블로우성형 과정과 함께 통기공을 형성하기 위해 이 성형장치는 또한 에어빼기공형성용침(60,156A,156B)을 구비한다.
일본국 등록특허 제 3595571 호(2004년 12월 2일 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중용기 성형공정과 통기공을 형성공정을 하나의 장치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 공정들을 간단한 구조와 적은 에너지를 사용하여 실행할 수 있는 이중용기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우금형틀; 상기 블로우금형틀의 하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대향면에 각각 금형공간이 형성되어, 각 대향면이 밀착되었다 이격되었다 할 수 있도록 구동바에 의해 구동되는 제1하측금형틀과 제2하측금형틀;을 포함하여, 상기 블로우금형틀과 상기 제1하측금형틀과 상기 제2하측금형틀이 결합되면 프리폼에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블로우몰딩을 수행하며, 상기 제1하측금형틀과 제2하측금형틀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금형공간의 저면벽에 저면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리폼에 공급되는 가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프리폼을 저면에 홈을 가진 이중용기로 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상기 저면돌기부의 상면에는 상기 이중용기의 외부용기 저면을 녹일 수 있는 성분의 용해액을 공급하기 위한 용액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중용기 성형작업 시 상기 외부용기에 통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상기 제2하측금형틀에 형성되는 상기 저면돌기부의 상면에 상기 용액공급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하측금형틀의 측면에 상기 용해액을 저장하는 용액저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용액저장부로부터 상기 용액공급공까지 상기 용해액을 유통시키는 용액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상기 용액저장부는 상기 용액공급공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용액통로는, 상기 용액저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하측금형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용액통로; 상기 제2하측금형틀 내부에 형성되며 제1용액통로로부터 상기 저면돌기부 하측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용액통로; 상기 제2용액통로로부터 상기 용액공급공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용액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상기 제1하측금형틀의 상기 제2하측금형틀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하측금형틀을 향해 연장되는 용액주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측금형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용액통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빈 공간에 탄성변형막이 상기 용액주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하측금형틀과 상기 제2하측금형틀이 맞닿는 경우 상기 용액주입돌기가 상기 탄성변형막을 가압하여 상기 제3용액통로에 유지되고 있는 용해액을 상기 용액공급공을 통해 밀어올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상기 용액주입돌기는 상기 제2하측금형틀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변형막을 가압할 때 원활하게 상기 제2하측금형틀 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면돌기부에 의해 외부용기의 저면 두께가 얇아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수작업이든 장비에 의해 자동화하던 간에 통기공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폼을 이중용기로 성형함과 동시에 자동으로 통기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통기공 형성과정에서 외부의 동력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이미 당연히 활용하고 있는 금형틀의 이동동력을 빌려 쓰므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고 내구성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유지비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이중용기를 활용한 분무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이중용기의 저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의 금형틀을 보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의 통기공형성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시된 각 구성 부재의 크기 및 형상은 과장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한편, 제1 또는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이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이중용기를 활용한 분무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이중용기의 저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의 작동과정을 보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의 금형틀을 보인 사시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의 통기공형성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용기(10)를 이용한 분무장치는 트리거부와 이중용기(10)를 포함한다. 트리거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트리거헤드(5), 트리거목부(7)를 포함한다. 트리거헤드(5)의 일단에는 분사부(1)가 형성되고, 트리거헤드(5)의 일측면에는 트리거손잡이(3)가 설치된다. 트리거목부(7)는 이중용기(10)와 결합된다. 이중용기(10)는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3)를 포함한다. 내부용기(11)는 연질로, 외부용기(13)는 내부용기(11)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다. 내부용기(11)와 외부용기(13)는 합성수지 재질이다. 외부용기(13)의 저면(15)에는 통기공(17)이 형성된다. 통기공(17)을 통해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그러면 외부용기(13)와 내부용기(11) 사이가 벌어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내부용기(11)가 수축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통기공(17)을 형성하기 위해 먼저 이중용기(10)를 블로우몰딩으로 성형하고 칼이나 송곳등을 활용한 수작업으로 통기공(17)을 형성하는 공정이 널리 사용되었다. 본 발명은 이 통기공형성작업과 블로우몰딩작업을 모두 수행할 수 있으며 간단하고 효율적인 구성을 갖는 이중용기제조장치를 제시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프리폼(2)을 블로우몰딩하여 이중용기(10)를 제조할 수 있도록 여러 금형틀을 포함한다. 금형틀에는 블로우금형틀(30), 제1하측금형틀(20), 제2하측금형틀(40)이 포함될 수 있다. 블로우금형틀(30)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바(37)에 의해 지지된다.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은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동바(27, 47)에 의해 지지된다.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는 이중용기(10)가 성형될 수 있는 금형공간(23, 43)이 형성된다.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은 마주보는 면이 접촉되어 가압될 수 있도록 구동바(27, 47)에 의해 구동된다.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의 대향면이 접하면 양측의 금형공간(23, 43)은 이중용기(10) 완성품의 형태로 형성된다.
블로우금형틀(30)은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의 상부와 결합된다. 블로우금형틀(30)의 하단에 돌출부(35)가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이 돌출부(35)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에는 각각 반원통형의 삽입부(22)가 형성된다. 블로우금형틀(30)의 돌출부(35) 하단에는 공기주입공이 형성된다. 공기펌프에 의해 가압된 공기가 공기주입공(35)을 통해 금형공간(23, 43)으로 공급될 수 있다. 금형틀은 구동바(27, 37, 47)에 의해 이동할 수 있으므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될 수도 있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로우금형틀(30)의 돌출부(35) 하단에 프리폼(2)이 부착되어 공급될 수 있다. 블로우금형틀(30) 내부에 프리폼(2)의 재료를 피딩하는 장치가 내장되어 자동으로 블로우금형틀(30) 하단에 프리폼(2)이 형성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 별도로 프리폼(2)을 제조하여 이를 블로우금형틀(30) 하단에 부착하여 공급하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프리폼(2)은 이중용기(10) 제조용이므로 이중의 레이어를 가져야 하며, 두 레이어의 재질이 상이하고 서로 접착되지 않는 재질의 합성수지를 선택하여야 한다. 이후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이 프리폼(2) 측으로 각각 모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공간(23, 43)에 프리폼(2)이 내장될 수 있다. 금형공간(23, 43) 내부에 있더라도 프리폼(2)의 상단은 블로우금형틀(30)의 하단에 부착되므로 블로우금형틀(30)의 공기주입공을 통해 가압공기가 공급되면 프리폼(2)은 금형공간(23, 43)의 내벽 측으로 팽창하게 된다.
프리폼(2)이 완전히 팽창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공간(23, 43)을 이루는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의 내벽에 밀착하게 되고 더 이상의 팽창이 저지된다. 프리폼(2)이 이중용기(10)로 성형되면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 블로우금형틀(30)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이격되도록 이동한다. 이렇게 금형틀들이 분리되면 이중용기(10)가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떨어져 분리됨으로써 이중용기(10)의 생산이 완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이중용기제조장치는 블로우몰딩과 동시에 통기공형성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금형틀의 금형공간(23, 43) 저면벽에 저면돌기부(60)가 형성된다. 저면돌기부(60)는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에 각각 대칭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렇게 금형공간(23, 43) 하측에 저면돌기부(60)가 형성되므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폼(2)이 팽창할 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용기(13)의 저면벽이 저면돌기부(60)가 형성된 부위에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프리폼(2)이 가압공기를 공급받아 팽창할 때, 저면돌기부(60)에 먼저 접촉된 상태에서 팽창압력을 받으므로, 다른 부위보다 저면돌기부(60)가 형성된 부위의 외부용기(13) 저면 두께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외부용기(13)의 저면벽에 저면돌기부(6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저면돌기부(60)의 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면은 평평하게 형성된다. 저면돌기부(60)에 의해 금형틀에서 성형된 이중용기(10)가 분리되는 것이 다소 방해를 받을 수 있으나 이중용기(10)가 상당한 탄성을 가지므로 저면돌기부(60)에 걸려 이중용기(10)가 분리가 안 된다거나 파손된다거나 하는 가능성은 높지 않다.
도 7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의 제2하측금형틀(40)에는 통기공형성장치가 설치된다.
통기공형성장치는 용액저장부(50), 용액통로(53, 54, 55), 용액공급공(63)을 포함하여, 이중용기의 하부에 통기공(17)을 형성한다. 용액공급공(63)은 저면돌기부(60)의 상면에 형성된다. 용액저장부(50)는 제2하측금형틀(40)의 측면에 설치된다. 용액저장부(50)는 용액공급공(63)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용액저장부(50)의 내부공간에는 외부용기(13)를 용해할 수 있는 용해액이 저장된다. 이 용해액은 외부용기(13)는 용해할 수 있으나 내부용기(11)는 용해할 수 없는 성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해액이 외부용기(13)와 내부용기(11) 모두 용해할 수 있는 성분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용해액의 일회 공급량을 외부용기(13)를 용해하는 데 충분하지만, 내부용기(11)까지는 용해되지 않을 정도로 미세조정하여야 한다.
용액저장부(50)에 저장된 용해액은 용액통로(53, 54, 55)를 따라 용액공급공(63)으로 배출될 수 있다. 용액통로(53, 54, 55)는 용액저장부(50) 하단에서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1용액통로(53), 제1용액통로(53)하단에서 제2하측금형틀(40) 내부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용액통로(54), 제2용액통로(54) 단부와 저면돌기부(60) 상면의 용액공급공(63)까지를 수직하게 연결하는 제3용액통로(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용액통로(53)는 제2하측금형틀(40)의 측면을 따라 설치되고, 제2용액통로(54)와 제3용액통로(55)는 제2하측금형틀(40)의 내부를 지나는 유로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이 밀착하고 프리폼(2)에 가압된 공기가 주입되어 이중용기가 성형된 후 용액통로(53, 54, 55)를 통해 외부용기(13)의 저면측으로 용해액이 공급되면, 외부용기(13)의 바닥면이 일부 녹아 통기공(17)이 형성될 수 있다. 용해액은 이중용기 성형공정과 동시에 또는 성형완료 직전 또는 직후에 공급되어야 하며, 너무 많은 양이 공급될 경우 통기공(17)이 너무 크게 형성되거나 용해액이 낭비될 수 있으므로 미량으로 기설정된 양만큼 공급된다. 용해액의 정량공급을 위해 용액통로(53, 54, 55)에 펌프를 설치하고 제어장치로 기설정된 시기에 기설정된 양만큼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장치나 펌프를 설치하는 방법 외에도 자동으로 용해액을 용액공급공(63)을 통해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 도 10 및 도 11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제1하측금형틀(20)의 제2하측금형틀(40)과 마주보는 하측면에 용액주입돌기(28)가 형성된다. 용액주입돌기(28)와 반대되는 위치, 즉, 제2하측금형틀(40)의 제1하측금형틀(20)과 마주보는 하측면에 탄성변형막(48)이 설치된다. 용액주입돌기(28)는 제1하측금형틀(20)의 측면에서 멀어질수록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탄성변형막(48)은 제2하측금형틀(40)의 측면의 용액주입돌기(28)와 마주보는 부위로 부터 제3용액통로(55)까지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고 이 통로를 막는 탄성을 갖는 막으로서 설치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이 이격된 상태에서는 탄성변형막(48)은 변형이 없는 정상상태를 유지한다. 그러다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의 마주보는 면이 밀착하게 되면, 용액주입돌기(28)가 탄성변형막(48)이 설치된 공간으로 파고들게 된다. 그에 따라 제3용액통로(55)에 머물고 있던 용해액이 압력을 받아 밀려지면서 그 일부가 용액공급공(63)을 통해 금형공간(23, 43)으로 나올 수 있게 된다. 용액저장부(50)와 용액공급공(63)의 높이차, 용액주입돌기(28)의 크기나 부피 등은 용해액이 필요시에만 정량 공급될 수 있도록 용해액의 점도나 용액통로(53, 54, 55)의 직경 등에 맞춰 미세조정될 필요가 있다.
위에서 살핀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용기제조장치는 프리폼(2)이 이중용기(10)로 성형될 때 자동으로 통기공(17)이 함께 형성될 수 있으며, 통기공(17) 형성과정 즉, 용해액 주입과정에서 외부의 동력을 별도로 사용하지 않고 이미 당연히 활용하고 있는 제1하측금형틀(20)과 제2하측금형틀(40)이 접하는 힘을 빌려 쓰므로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고 내구성있게 구성할 수 있으며, 유지비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저면돌기부(60)에 의해 외부용기(13)의 저면 두께가 얇아지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므로 수작업이든 장비에 의해 자동화하던 간에 통기공(17)을 형성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저면돌기부(60)에 의해 외부용기(13) 저면에 홈이 형성되므로, 더 얇은 두께만을 절개하여도 통기공(17)이 형성될 수 있어 작업의 부담이 감소되고, 절개 시 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0; 제1하측금형틀 28; 용액주입돌기
30; 블로우금형틀 40; 제2하측금형틀
48; 탄성변형막 50; 용액저장부
53, 54, 55; 용액통로 60; 저면돌기부
63; 용액공급공

Claims (6)

  1. 가압공기를 공급하는 블로우금형틀;
    상기 블로우금형틀의 하측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대향면에 각각 금형공간이 형성되어, 각 대향면이 밀착되었다 이격되었다 할 수 있도록 구동바에 의해 구동되는 제1하측금형틀과 제2하측금형틀;을 포함하여,
    상기 블로우금형틀과 상기 제1하측금형틀과 상기 제2하측금형틀이 결합되면 프리폼에 가압공기를 공급하여 블로우몰딩을 수행하며,
    상기 제1하측금형틀과 제2하측금형틀의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금형공간의 저면벽에 저면돌기부가 형성되어, 상기 프리폼에 공급되는 가압공기의 팽창력에 의해 상기 프리폼을 저면에 홈을 가진 이중용기로 성형하며,
    상기 저면돌기부의 상면에는 상기 이중용기의 외부용기 저면을 녹일 수 있는 성분의 용해액을 공급하기 위한 용액공급공이 형성되어, 상기 이중용기 성형작업 시 상기 외부용기에 통기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2하측금형틀에 형성되는 상기 저면돌기부의 상면에 상기 용액공급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하측금형틀의 측면에 상기 용해액을 저장하는 용액저장부가 설치되고,
    상기 용액저장부로부터 상기 용액공급공까지 상기 용해액을 유통시키는 용액통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저장부는 상기 용액공급공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용액통로는,
    상기 용액저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며 상기 제2하측금형틀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용액통로;
    상기 제2하측금형틀 내부에 형성되며 제1용액통로로부터 상기 저면돌기부 하측까지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용액통로;
    상기 제2용액통로로부터 상기 용액공급공까지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3용액통로;를 포함하는 이중용기제조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하측금형틀의 상기 제2하측금형틀과 대향하는 면에는 상기 제2하측금형틀을 향해 연장되는 용액주입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제2하측금형틀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용액통로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이 빈 공간에 탄성변형막이 상기 용액주입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제1하측금형틀과 상기 제2하측금형틀이 맞닿는 경우 상기 용액주입돌기가 상기 탄성변형막을 가압하여 상기 제3용액통로에 유지되고 있는 용해액을 상기 용액공급공을 통해 밀어올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제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액주입돌기는 상기 제2하측금형틀 측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감소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탄성변형막을 가압할 때 원활하게 상기 제2하측금형틀 측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용기제조장치.
KR1020190078076A 2019-06-28 2019-06-28 이중용기제조장치 KR1022157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76A KR102215756B1 (ko) 2019-06-28 2019-06-28 이중용기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8076A KR102215756B1 (ko) 2019-06-28 2019-06-28 이중용기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65A KR20210001665A (ko) 2021-01-06
KR102215756B1 true KR102215756B1 (ko) 2021-02-16

Family

ID=74128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8076A KR102215756B1 (ko) 2019-06-28 2019-06-28 이중용기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75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294B2 (ja) 1993-06-14 1997-02-26 東洋製罐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315606B2 (ja) 1996-10-29 2002-08-19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多層容器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957901B2 (ja) * 1998-11-27 2007-08-1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二重容器の成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5571B2 (ja) 1980-11-12 1984-02-06 工業技術院長 γ−ケトピメリン酸ジエステルの製造方法
JPH081761A (ja) * 1994-06-24 1996-01-09 Yoshino Kogyosho Co Ltd 二層ブロー成形壜体の空気取り入れ孔形成方法
JPH11292076A (ja) * 1998-04-11 1999-10-26 Yoshino Kogyosho Co Ltd 内側層が剥離可能な積層容器とその成形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86294B2 (ja) 1993-06-14 1997-02-26 東洋製罐株式会社 積層剥離ボト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3315606B2 (ja) 1996-10-29 2002-08-19 株式会社日本製鋼所 多層容器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957901B2 (ja) * 1998-11-27 2007-08-15 株式会社日本製鋼所 二重容器の成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1665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2146832T3 (en) INTEGRATED TWO LAYER PREFERENCE, PROCEDURE, TOOL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REOF AND SO PREPARED POSE-I CONTAINER
US10189202B2 (en) Blow molding device
KR20000075750A (ko) 복수 개의 목을 갖는 스프레이 병 및 그 제조 방법
JP5927825B2 (ja) 積層パネル
WO2001026881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bouteilles stratifiees a couche interieure pelable
US71412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low molding a bottle with a punched hole in a molded neck recess
KR102215756B1 (ko) 이중용기제조장치
KR102215768B1 (ko) 이중용기제조장치
JP6450616B2 (ja) ブロー成形装置
JP4579576B2 (ja) 樹脂製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957901B2 (ja) 二重容器の成形方法
KR102215774B1 (ko) 이중용기제조장치
JPH06246777A (ja) 複合容器の製造装置
US20070248713A1 (en) Vertical alternation type bottle blower
US20220355519A1 (en) Apparatus for producing resin molded article, method for producing resin molded article, and resin molded article
JP3027690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製造方法
KR20100066446A (ko) 수지 공급 장치
JP4267413B2 (ja) 内容物封入容器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001105477A (ja) 積層剥離容器の製造方法、積層剥離容器のブロー成形用パリソンの製造装置、及び、積層射出成形体の外層のみに孔を形成する方法
KR200199385Y1 (ko) 합성수지용기용 라벨
KR102379130B1 (ko) 버 제거장치
JP2005075357A (ja) スプレー容器
US20220371257A1 (en) Molding system, support arm, resin molding device, method for supporting supported member, mold, and method for producing molded body
JP6401086B2 (ja) ブロー成形装置
CA124502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conomically producing blow molded containers having open necks on opposing fac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