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5380B1 -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 Google Patents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5380B1
KR102215380B1 KR1020190080016A KR20190080016A KR102215380B1 KR 102215380 B1 KR102215380 B1 KR 102215380B1 KR 1020190080016 A KR1020190080016 A KR 1020190080016A KR 20190080016 A KR20190080016 A KR 20190080016A KR 102215380 B1 KR102215380 B1 KR 102215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member
unit
body portion
presen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117A (ko
Inventor
배광호
Original Assignee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원액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원액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80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5380B1/ko
Priority to JP2019148924A priority patent/JP6987096B2/ja
Priority to CN201911139853.2A priority patent/CN111668798B/zh
Priority to TW108142829A priority patent/TWI760659B/zh
Priority to US16/752,819 priority patent/US11821491B2/en
Publication of KR20210004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62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 H02G3/0487Tubings, i.e. having a closed section with a non-circular cross-se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벨트부재 단위체 및 이를 포함하는 벨트부재에 관한 것으로, 제2단 벨트부재의 각각의 돌출부를 제1단 벨트부재의 각각의 공간에 삽입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A Belt member and A CABLES GUID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굴곡자세나 직선자세를 취하게 되는 케이블을 확실하게 보호하여 안내 유도할 수 있는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작기계, 전자기기, 산업용 로봇, 운반기계 등에 사용되어, 이들 이동하는 기계, 혹은 기계의 이동부에 전기공급, 액체공급, 기체공급 등을 수행하는 전선 케이블, 광파이버 케이블, 유체 공급 호스 등의 가요성 케이블이나 호스 등(이하, “케이블”라고 칭함)을 보호하여 유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작기계, 토목기계, 반송장치 등의 이동체에 케이블을 접속하면, 이동에 따라 케이블에 무리한 비틀림이나 인장력이 발생하여 케이블을 손상시키거나 외관도 어수선해지므로, 이들 케이블을 지지하여 유도 안내하는 케이블 안내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케이블 안내장치로서, 도체, 가스 등을 반송하는 도관과 일련의 비연동 동작 제한 고형물을 구비한 연속 재료 스트립으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를 복수의 채널 내에 봉입하여 평행하게 배치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하지만, 종래의 케이블 안내장치에서는,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가요성 재료가 스테인리스 강재나 판스프링이므로, 굴곡자세를 이룰 시에 정확한 굴곡 반경을 유지할 수 없고, 굴곡 반경이 커짐으로 인해 인접하는 위치에 있는 장애물 등에 접촉되거나 하여 소정의 공간 내에 설치하는 것이 곤란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특히 가요성 재료로서 스테인리스 강재를 이용한 경우에는, 장기간 사용으로 인해 피로 파괴를 일으켜 끊어지거나 파열되어, 사용이 불가능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가요성 재료가 스테인리스 강재나 판스프링이기 때문에, 이 스테인리스 강재나 판스프링은 간단하게 잘라 이어맞춤이 불가능하므로, 지지부재의 길이를 길게 변경하는 경우에 다른 새로운 지지부재로 대체하지 않으면 안되어, 지지부재의 낭비가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굴곡될 경우, 뒤틀림 강성이 낮으므로 공진을 일으켜 굴곡자세나 직선자세의 동작이 불안정해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테인리스 강재나 판스프링에 수지로 이루어진 피스를 1개씩 사출 성형하지 않으면 안되어, 제조시에 상당한 부담과 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므로 대량 생산이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안내장치에서는, 도체 또는 도관과 지지 부재를 재킷 컴포넌트에 삽입한 상태로 취급하기 때문에 재킷 컴포넌트를 상하 한 쌍의 협지 수단으로 유지 지지하고 있지만, 이러한 상하 한 쌍의 협지 수단을 이용하여 기대(機臺)측 고정단 영역 혹은 가동측 이동단 영역에 부착한 경우에는, 지지 부재가 재킷 컴포넌트와 위치 차이를 일으키거나 혹은, 재킷 컴포넌트로부터 갑자기 빠져 떨어지거나 하는 불편이 발생하여, 도체 또는 도관을 확실하게 안내 유도하지 못하고, 게다가, 신구(新舊), 크고 작음, 이종 기능 등의 케이블류를 교환하거나 수선하거나 하는 보수 유지시에 도체 또는 도관과 지지 부재를 기대측 고정단 영역 혹은 가동측 이동단 영역으로부터 별개로 제거할 수가 없기 때문에, 분해 조립 작업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일본등록특허 제4157096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벨트부재의 적층시, 적층된 벨트부재의 상호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부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굴곡자세나 직선자세를 취하게 되는 케이블을 확실하게 보호하여 안내 유도함과 동시에 부품수가 적고, 사용 상황에 따른 잘라 이어 맞춤이 간편한 다관절형 케이블 안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단측 커넥터 유닛 또는 이동단측 커넥터 유닛의 분해 조립 작업이 간편한 케이블 안내장치 및 상기 케이블 안내장치의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요성 벨트부재를 적층함으로써, 다수의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블 안내장치 및 케이블 안내장치의 고정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지적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관형상의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를 포함하는 벨트부재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의 단면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일정영역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 또는 하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몸체부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제2돌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일정영역은 상기 몸체부의 하면이고, 상기 제2일정영역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단 벨트부재; 및 상기 제1단 벨트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단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벨트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단 벨트부재는, 제1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 및 제1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는, 제2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 및 제2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 및 상기 제1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가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제1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는 제1-1몸체부의 제1-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1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는 제1-2몸체부의 제1-2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1돌출부 또는 상기 제1-2돌출부가 상기 제1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간은 상기 제1단 벨트부재의 상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1일정 영역은 상기 제1-1몸체부의 하면 영역이며, 제1-2일정 영역은 상기 제1-2몸체부의 하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단 벨트부재; 및 상기 제1단 벨트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단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벨트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단 벨트부재는, 제1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 및 제1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는, 제2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 및 제2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 및 상기 제1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가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제1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 및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가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제2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는 제1-1몸체부의 제1-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1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는 제1-2몸체부의 제1-2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는 제2-1몸체부의 제2-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1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는 제2-2몸체부의 제2-2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1돌출부 또는 상기 제2-2돌출부가 상기 제1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1돌출부 또는 상기 제1-2돌출부가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공간은 상기 제1단 벨트부재의 상부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공간은 상기 제2단 벨트부재의 하부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제1-1일정 영역은 상기 제1-1몸체부의 상면 영역이고, 제1-2일정 영역은 상기 제1-2몸체부의 상면 영역이며, 상기 제2-1일정 영역은 상기 제2-1몸체부의 하면 영역이고, 상기 제2-2일정 영역은 상기 제2-2몸체부의 하면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단 벨트부재; 및 상기 제1단 벨트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단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벨트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단 벨트부재는, 제1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 및 제1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는, 제2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 및 제2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는 제1-1몸체부의 제1-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1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는 제1-2몸체부의 제1-2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1-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1단위체는 제2-1몸체부의 제2-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1돌출부; 상기 제2-1몸체부의 제2-2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1돌출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2돌출부; 및 상기 제2-1돌출부와 상기 제2-2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2단 벨트부재 제2단위체는 제2-2몸체부의 제2-1'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제2-1'돌출부; 상기 제2-2몸체부의 제2-2'일정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1'돌출부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2'돌출부; 및 상기 제2-1'돌출부와 상기 제2-2'돌출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1-1돌출부는 상기 제1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1-2돌출부는 상기 제2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형상의 제1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벨트부재 단위체;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와 연속적으로 위치하고, 관형상의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벨트부재 단위체; 일단은 상기 제1몸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몸체부와 연결되는 돌출부; 및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을 포함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몸체부의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 상기 제2몸체부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만나는 접점을 포함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가 연결된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공간은 상기 돌출부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단 벨트부재; 및 상기 제1단 벨트부재의 상부에 적층되는 제2단 벨트부재를 포함하는 벨트부재에 있어서, 상기 제1단 벨트부재는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는 제1-1벨트부재 단위체 및 상기 제1-1벨트부재 단위체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1-2벨트부재 단위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는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는 제2-1벨트부재 단위체 및 상기 제2-1벨트부재 단위체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2벨트부재 단위체를 포함하며, 상기 제1-1벨트부재 단위체는 관형상의 제1-1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벨트부재 단위체는 관형상의 제1-2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1벨트부재 단위체는 관형상의 제2-1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2벨트부재 단위체는 관형상의 제2-2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는, 일단은 상기 제1-1몸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2몸체부와 연결되는 제1돌출부; 및 상기 제1-1벨트부재 단위체와 상기 제1-2벨트부재 단위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는, 상기 제2-1벨트부재 단위체와 상기 제2-2벨트부재 단위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단 벨트부재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단 벨트부재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와 일직선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는, 일단은 상기 제2-1몸체부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2몸체부와 연결되는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2-1몸체부의 제2-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1몸체부의 제2-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경사면; 상기 제2-2몸체부의 제2-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2몸체부의 제2-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경사면; 및 상기 제2-1경사면과 상기 제2-2경사면이 만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형상의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단 몸체부; 및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돌출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단 몸체부를 포함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몸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몸체부의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 상기 제2몸체부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만나는 접점을 포함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점은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일정영역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형상의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3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단 몸체부; 및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제1돌출몸체부 및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몸체부와 상기 제3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제2돌출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단 몸체부를 포함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돌출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몸체부의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경사면; 상기 제2몸체부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경사면; 및 상기 제1-1경사면과 상기 제1-2경사면이 만나는 제1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제3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경사면; 상기 제3몸체부의 제4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3몸체부의 제4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경사면; 및 상기 제2-1경사면과 상기 제2-2경사면이 만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벨트부재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제2단 벨트부재의 각각의 돌출부를 제1단 벨트부재의 각각의 공간에 삽입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굴곡자세나 직선자세를 취하게 되는 케이블을 확실하게 보호하여 안내 유도함과 동시에 부품수가 적고, 사용 상황에 따른 잘라 이어 맞춤이 간편한 다관절형 케이블 안내장치 및 상기 케이블 안내장치의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단측 고정부 또는 제1단측 고정부의 분해 조립 작업이 간편한 케이블 안내장치 및 상기 케이블 안내장치의 스토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요성 벨트부재를 적층함으로써, 다수의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는 케이블 안내장치 및 케이블 안내장치의 고정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의 제1단측 고정부가 분리된 분리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의 제2단측 고정부가 분리된 분리사시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의 제1단측 고정부의 제1클램프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의 제2단측 고정부의 제2클램프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g는 제1체결수단 내지 제3체결수단을 통한, 제1단측 제1클램프 내지 제1단측 제3클램프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체결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개별 단위의 블록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를 도시하는 일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를 도시하는 타 방향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의 상부 제1스토퍼를 도시하는 내부 평면도이고,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의 하부 제1스토퍼를 도시하는 내부 평면도이며,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와 다관절 지지부재의 블록체의 후방 몸체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일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와 다관절 지지부재의 블록체의 후방 몸체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타 방향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와 가요성 벨트부재의 외측 관형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를 도시하는 일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를 도시하는 타 방향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의 상부 제2스토퍼를 도시하는 내부 평면도이고,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의 하부 제2스토퍼를 도시하는 내부 평면도이며,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와 다관절 지지부재의 블록체의 전방 몸체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일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8f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와 다관절 지지부재의 블록체의 전방 몸체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타 방향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와 가요성 벨트부재의 외측 관형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b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복수개 결합시킨 상태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복수개 결합시킨 상태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a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b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복수개 결합시킨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5b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7b는 도 17a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8a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또 다른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8b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또 다른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0a는 도 19a 및 19b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기본으로 하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0b는 도 19a 및 19b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기본으로 하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20a 및 도 20b에서와 같은 제1단 벨트부재의 돌출부에 케이블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굴곡부를 도시하는 실사진이고, 도 22a 및 도 22b는 도 20a 및 도 20b에서와 같은 제1단 벨트부재의 돌출부에 케이블을 수용시킨 상태에서의 굴곡부를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아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 관계없이 동일한 부재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와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 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의 제1단측 고정부가 분리된 분리사시도이며,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의 제2단측 고정부가 분리된 분리사시도이며,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의 제1단측 고정부의 제1클램프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의 제2단측 고정부의 제2클램프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는 공작기계, 전자기기, 산업용 로버트, 운반 기계 등에 사용되고, 이들 이동하는 기계, 혹은, 기계의 이동부에 급전, 급액, 급기 등을 행하는 전선 케이블, 광 화이버 케이블, 유체 공급 호스 등의 가요성의 케이블이나 호스 등(이하, 「케이블」라고 칭한다.)을 보호하고 유도 안내하는 것이다.
한편,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의 형상을 일반적인 벨트부재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며,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의 구체적인 형상은 후술하기로 한다.
먼저,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는, 제1단 가요성 벨트부재(110)와 상기 제1단 가요성 벨트부재(110)와 적층되는 제2단 가요성 벨트부재(120)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제1단 가요성 벨트부재(110)의 하단에 상기 제2단 가요성 벨트부재(120)가 위치된 상태로, 상기 제1단 가요성 벨트부재(110)와 상기 제2단 가요성 벨트부재(120)가 적층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들의 적층순서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또한, 도면에서는 가요성 벨트부재가 2단으로 적층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2단 이상으로 적층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가요성 벨트부재의 적층 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단 가요성 벨트부재와 상기 제2단 가요성 벨트부재(120)를 "적층된 가요성 벨트부재"로 명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는, 상기 적층된 가요성 벨트부재의 일측과 체결되는 제1단측 고정부(200); 및 상기 적층된 가요성 벨트부재의 타측과 체결되는 제2단측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단측은 고정단측일 수 있고, 상기 제2단측은 이동단측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는 고정단측 고정부이고, 상기 제2측 고정부(300)는 이동단측 고정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 가요성 벨트부재(110)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 및 상기 제1내측 관형부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다관절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1외측 관형부(112)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단 가요성 벨트부재(120)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 및 상기 제2내측 관형부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다관절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2외측 관형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내측 관형부의 개수가 6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개수를 달리할 수 있는 것으로,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복수개의 내측 관형부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가용성 벨트부재는 상기 복수개의 내측 관형부와 상기 내측 관형부를 따라 병렬 배치된 좌우 한 쌍의 외측 관형부를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상기 복수개의 내측 관형부와 상기 한 쌍의 외측 관형부를 병렬 배치한 후, 이들 관형부를 공지된 접착수단을 통해 접착한 형태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가용성 벨트부재의 구성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제1단측 고정부(200) 및 제2단측 고정부(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는 하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로 정의하는 것일뿐, 그 방향성에 따라, "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는 각각 "하부" 및 "상부"라는 용어로 대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부" 및 "하부"라는 용어의 의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도 1b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는,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와 체결되어, 제1일정 공간(230)을 형성하는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 및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와 체결되어, 제2일정 공간(250)을 형성하는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는, 제1-1 플레이트(211);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 간격유지체(212); 및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 슬릿(2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1 간격유지체(212)는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1-1 간격유지체(212a) 및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1-1 간격유지체(21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는, 상기 제1-1 플레이트(211) 및 상기 제1-1 간격유지체(212)를 관통하는 제1-1 체결홀(214)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체결홀(214)은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1-1 체결홀(214a) 및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1-1 체결홀(214b)를 포함한다.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는, 제1-1 플레이트(221);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간격유지체(222);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 슬릿(2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2 간격유지체(222)는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1-2 간격유지체(222a)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1-2 간격유지체(22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단측 제2클램부(220)는, 상기 제1-2 플레이트(221) 및 상기 제1-2 간격유지체(222)를 관통하는 제1-2 체결홀(224)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체결홀(224)은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1-2 체결홀(224a) 및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1-2 체결홀(224b)를 포함한다.
이때,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제1-1 간격유지체(212a)와 상기 일측 제1-2 간격유지체(222a)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체결되고, 상기 타측 제1-1 간격유지체(212b)와 상기 타측 제1-2 간격유지체(222b)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와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가 체결되어,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는 상기 제1일정 공간(2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제1일정 공간(230)에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 및 상기 제1내측 관형부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다관절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1외측 관형부(112)를 포함하는 상기 제1가요성 벨트부재(110)의 제1단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1가요성 벨트부재(110)의 제1단측은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에는 케이블(미도시)이 수용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외측 관형부(112)에는 각각 다관절 지지부재(400)가 수용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b 및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는, 제1-3 플레이트(241);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3 간격유지체(242); 및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3 슬릿(2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3 간격유지체(242)는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1-3 간격유지체(242a) 및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1-3 간격유지체(24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는, 상기 제1-3 플레이트(241) 및 상기 제1-3 간격유지체(242)를 관통하는 제1-3 체결홀(244)를 포함하고, 상기 제1-3 체결홀(244)은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1-3 체결홀(244a) 및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1-3 체결홀(244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와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단측 보조 간격유지체(260a, 260b)를 포함하며, 상기 제1단측 보조 간격유지체(260a, 260b)는, 상기 일측 제1-3 간격유지체(242a)와 접촉하는 제1단측 제1보조 간격유지체(260a) 및 상기 타측 제1-3 간격유지체(242b)와 접촉하는 제1단측 제2보조 간격유지체(260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1단측 제1보조 간격유지체(260a)는, 상기 일측 제1-2 체결홀(224a) 및 일측 제1-3 체결홀(244a)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단측 제1보조 간격유지체(260a)를 관통하는 제1단측 제1보조 간격 유지체 체결홀(264a)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단측 제2보조 간격유지체(260b)는, 상기 타측 제1-2 체결홀(224b) 및 타측 제1-3 체결홀(244b)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단측 제2보조 간격유지체(260b)를 관통하는 제1단측 제2보조 간격 유지체 체결홀(264b)을 포함한다.
이때,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제1-3 간격유지체(242a)와 상기 제1단측 제1보조 간격유지체(260a)가 접촉한 상태로 체결되고, 또한, 상기 타측 제1-3 간격유지체(242b)와 상기 제1단측 제2보조 간격유지체(260b)가 접촉한 상태로 체결되며, 이러한 체결상태에서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와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가 체결되어,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는 상기 제2일정 공간(25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제2일정 공간(250)에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 및 상기 제2내측 관형부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다관절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2외측 관형부(122)를 포함하는 상기 제2가요성 벨트부재(120)의 제1단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2가요성 벨트부재(120)의 제1단측은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에는 케이블(미도시)이 수용되며, 상기 한 쌍의 제2외측 관형부(122)에는 각각 다관절 지지부재(400)가 수용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b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는, 상기 제1일정 공간(230)에 위치하고, 상기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일측 끝단과 체결되는 제1-1스토퍼(6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1스토퍼(600)는 상기 한 쌍의 제1외측 관형부(112)에 수용되는 각각의 다관절 지지부재(400)에 각각 체결되기 위한 한쌍의 제1-1스토퍼(600)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제1-1스토퍼(600)는 동일한 구조에 해당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제1-1스토퍼(6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1스토퍼(600)는 상부 제1-1스토퍼(610) 및 상기 상부 제1-1스토퍼(610)와 체결되는 하부 제1-1스토퍼(6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1스토퍼(6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는, 상기 제1일정 공간(2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제1-1스토퍼(6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1 가압유닛(51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1일정 공간(2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제1-1스토퍼(6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2 가압유닛(5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1 가압유닛(510)은 제1-1 가압플레이트(511); 및 상기 제1-1 가압플레이트(51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상기 제1-1 슬릿(213)에 삽입되는 제1-1 돌기부(5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1 돌기부(512)가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상기 제1-1 슬릿(2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1 가압유닛(510)이 상기 제1-1 플레이트(21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1 가압유닛(510)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를 상부 방향에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1 가압유닛(51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가 상기 제1일정 공간(2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제1-1 가압유닛(510)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1 가압유닛(510)의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의 개수 및 각각의 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1 가압유닛(510)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제1-2 가압유닛(520)은 상기 제1-1 가압유닛(510)과 대칭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2 가압유닛(520)은 제1-2 가압플레이트(도면부호 미도시); 및 상기 제1-2 가압플레이트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상기 제1-2 슬릿(223)에 삽입되는 제1-2 돌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2 돌기부(미도시)가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상기 제1-2 슬릿(2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2 가압유닛(520)이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2 가압유닛(520)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를 하부 방향에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2 가압유닛(5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가 상기 제1일정 공간(2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제1-2 가압유닛(520)의 개수가 3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제1-2 가압유닛(520)의 개수는,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의 개수 및 각각의 폭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 가압유닛(520)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b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는, 상기 제2일정 공간(250)에 위치하고, 상기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일측 끝단과 체결되는 제1-2스토퍼(6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2스토퍼(600')는 상기 한 쌍의 제2외측 관형부(122)에 수용되는 각각의 다관절 지지부재(400)에 각각 체결되기 위한 한쌍의 제1-2스토퍼(600')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제1-2스토퍼(600')는 동일한 구조에 해당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제1-2스토퍼(6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1-2스토퍼(600')는 상부 제1-2스토퍼(610') 및 상기 상부 제1-2스토퍼(610')와 체결되는 하부 제1-2스토퍼(620')을 포함한다.
상기 제1-2스토퍼(6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는, 상기 제2일정 공간(2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제1-2스토퍼(6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3 가압유닛(51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일정 공간(25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제1-2스토퍼(6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4 가압유닛(5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3 가압유닛(510')은 제1-3 가압플레이트(511'); 및 상기 제1-3 가압플레이트(51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상기 제1-2 슬릿(223)에 삽입되는 제1-3 돌기부(5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3 돌기부(512')가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상기 제1-2 슬릿(2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3 가압유닛(510')이 상기 제1-2 플레이트(22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3 가압유닛(510')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를 상부 방향에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3 가압유닛(51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가 상기 제2일정 공간(25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4 가압유닛(520')은 상기 제1-3 가압유닛(510')과 대칭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1-4 가압유닛(520')은 제1-4 가압플레이트(도면부호 미도시); 및 상기 제1-4 가압플레이트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상기 제1-3 슬릿(243)에 삽입되는 제1-4 돌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1-4 돌기부(미도시)가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상기 제1-3 슬릿(24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4 가압유닛(520')이 상기 제1-3 플레이트(24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4 가압유닛(520')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를 하부 방향에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4 가압유닛(5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가 상기 제2일정 공간(25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b 및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1단측 고정부(200)는,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 및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 측에 위치하는 제1체결수단(201a, 201b);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 측에 위치하는 제2체결수단(202a, 202b); 및 일단은 상기 제1체결수단과 체결되고, 타탄은 상기 제2체결수단과 체결되는 제3체결수단(270a, 270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체결수단 및 상기 제3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 및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를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체결수단 및 상기 제3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 및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수단(201a, 201b)은 너트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2체결수단(202a, 202b)은 볼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체결수단(201a, 201b)은 볼트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2체결수단(202a, 202b)은 너트의 형태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체결수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3체결수단(270a)은 헤드부(271a); 상기 헤드부(271a)의 제1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본체부(272a); 및 상기 헤드부(271a)의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본체부(273a)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3체결수단(270a)의 상기 제1본체부(272a)는 원기둥형 제1몸체(272-1a); 및 원기둥형 제1몸체(272-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272-2a)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3체결수단(270a)의 상기 헤드부(271a) 및 상기 제1본체부(272a)는 볼트의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271a)의 형상은 둥근머리 형상, 냄비머리 형상 또는 접시머리 형상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헤드부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3체결수단(270a)의 상기 제2본체부(273a)는 원통형 제2몸체(273-1a); 상기 원통형 제2몸체(273-1a)의 내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273-2a)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3체결수단(270a)의 상기 제2본체부(273a)는 너트의 형태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본체부(273a)는 상기 원통형 제1몸체(273-1a)의 상단에 홈부(273-3a)를 포함하며, 상기 홈부(273-3a)에 공지된 드라이버를 삽입하여 상기 제1본체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체결수단 및 상기 제3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 및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를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체결수단 및 상기 제3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 및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수단(201a, 201b)은 너트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2체결수단(202a, 202b)은 볼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제3체결수단의 경우, 상기 원기둥형 제1몸체(272-1a)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나사산(272-2a)을 포함하는 상기 제1본체부(272a) 및 상기 원통형 제2몸체(273-1a)의 내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273-2a)을 포함하는 상기 제2본체부(273a)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너트 형태의 상기 제1체결수단은 상기 제3체결수단의 제1본체부(272a)와 체결되며, 볼트 형태의 상기 제2체결수단은 상기 제3체결수단의 제2본체부(273a)와 체결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체결수단 및 상기 제3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 및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를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체결수단 및 상기 제3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 및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를 체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b 및 도 2a에서와 같이, 상기 일측 제1-1 간격유지체(212a)와 상기 일측 제1-2 간격유지체(222a)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타측 제1-1 간격유지체(212b)와 상기 타측 제1-1 간격유지체(222b)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수단(201a, 201b) 및 상기 제3체결수단(270a, 270b)이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와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b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제1-3 간격유지체(242a)와 상기 제1단측 제1보조 간격유지체(260a)가 접촉한 상태로 체결되고, 또한, 상기 타측 제1-3 간격유지체(242b)와 상기 제1단측 제2보조 간격유지체(260b)가 접촉한 상태로 체결되며, 이러한 체결상태에서 상기 제2체결수단(202a, 202b) 및 상기 제3체결수단(270a, 270b)이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와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가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체결수단 내지 제3체결수단을 통한, 제1단측 제1클램프 내지 제1단측 제3클램프의 체결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a 내지 3g는 제1체결수단 내지 제3체결수단을 통한, 제1단측 제1클램프 내지 제1단측 제3클램프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다른 클램프의 체결은 본 도면 및 관련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체결수단을 통한 클램프의 체결은 하기에서 설명하는 체결순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제1체결수단(201a, 201b)이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의 제1-1 체결홀(214)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제1체결수단(201a, 201b)의 끝단 영역이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의 제1-2 체결홀(21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와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가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c 및 도 3d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측 제1클램프부(210)와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가 접촉한 상태에서, 제3체결수단(270a, 270b)이 상기 제1단측 제2클램프부(220)의 제1-2 체결홀(214)에 삽입되되, 상술한 도 4a 내지 도 4c의 상기 제3체결수단의 제1본체부(272a)가 상기 제1체결수단(201a, 201b)과 체결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d 및 도 3e를 참조하면, 상술한 도 4a 내지 도 4c의 상기 제3체결수단의 제2본체부(273a)가 상기 제1단측 보조 간격유지체(260a, 260b)의 제1단측 보조 간격 유지체 체결홀(264)에 삽입된다.
다음으로, 도 3e 및 도 3f를 참조하면, 상기 제3체결수단의 제2본체부(273a)의 끝단 영역이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의 제1-3 체결홀(244)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단측 보조 간격유지체(260a, 260b)와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가 접촉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3f 및 도 3g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측 보조 간격유지체(260a, 260b)와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가 접촉한 상태에서, 제2체결수단(202a, 202b)이 상기 제1단측 제3클램프부(240)의 제1-3 체결홀(244)에 삽입되되, 상술한 도 4a 내지 도 4c의 상기 제3체결수단의 제2본체부(273a)가 상기 제2체결수단(202a, 202b)과 체결되게 된다.
이로써, 제1체결수단 내지 제3체결수단을 통해, 제1단측 제1클램프 내지 제1단측 제3클램프를 체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측 고정부를 설명하기로 하며,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제2단측 고정부는 대부분의 내용이 상술한 제1단측 고정부와 동일하므로, 상술한 제1단측 고정부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c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는, 제2단측 제1클램프부(310); 상기 제2단측 제1클램프부(310)와 체결되어, 제3일정 공간(330)을 형성하는 제2단측 제2클램프부(320); 및 상기 제3단측 제2클램프부(320)와 체결되어, 제4일정 공간(350)을 형성하는 제2단측 제3클램프부(34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단측 제1클램프부(310)는, 제2-1 플레이트(311);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 간격유지체(312); 및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 슬릿(3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1 간격유지체(312)는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2-1 간격유지체(312a) 및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2-1 간격유지체(31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단측 제1클램프부(310)는, 상기 제2-1 플레이트(311) 및 상기 제2-1 간격유지체(312)를 관통하는 제2-1 체결홀(314)를 포함하고, 상기 제2-1 체결홀(314)은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2-1 체결홀(314a) 및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2-1 체결홀(314b)를 포함한다.
상기 제2단측 제2클램프부(320)는, 제2-1 플레이트(321);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 간격유지체(322); 및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 슬릿(3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2 간격유지체(322)는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2-2 간격유지체(322a) 및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2-2 간격유지체(32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단측 제2클램부(320)는, 상기 제2-2 플레이트(321) 및 상기 제2-2 간격유지체(322)를 관통하는 제2-2 체결홀(324)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체결홀(324)은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2-2 체결홀(324a) 및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2-2 체결홀(324b)를 포함한다.
이때, 도 1c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제2-1 간격유지체(312a)와 상기 일측 제2-2 간격유지체(322a)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체결되고, 상기 타측 제2-1 간격유지체(312b)와 상기 타측 제2-2 간격유지체(322b)가 상호 마주보는 상태로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2단측 제1클램프부(310)와 상기 제2단측 제2클램프부(320)가 체결되어,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는 상기 제3일정 공간(33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제3일정 공간(330)에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 및 상기 제1내측 관형부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다관절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1외측 관형부(112)를 포함하는 상기 제1가요성 벨트부재(110)의 제2단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1가요성 벨트부재(110)의 제2단측은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에는 케이블(미도시)이 수용되며, 상기 한 쌍의 제1외측 관형부(112)에는 각각 다관절 지지부재(400)가 수용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c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측 제3클램프부(340)는, 제2-3 플레이트(341);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3 간격유지체(342); 및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3 슬릿(34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3 간격유지체(342)는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2-3 간격유지체(342a) 및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2-3 간격유지체(342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단측 제3클램프부(340)는, 상기 제2-3 플레이트(341) 및 상기 제2-3 간격유지체(342)를 관통하는 제2-3 체결홀(344)를 포함하고, 상기 제2-3 체결홀(344)은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일측에 위치하는 일측 제2-3 체결홀(344a) 및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타측에 위치하는 타측 제2-3 체결홀(344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단측 제2클램프부(320)와 상기 제2단측 제3클램프부(340)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단측 보조 간격유지체(360a, 360b)를 포함하며, 상기 제2단측 보조 간격유지체(360a, 360b)는, 상기 일측 제2-3 간격유지체(342a)와 접촉하는 제2단측 제1보조 간격유지체(360a) 및 상기 타측 제2-3 간격유지체(342b)와 접촉하는 제2단측 제2보조 간격유지체(360b)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 제2단측 제1보조 간격유지체(360a)는, 상기 일측 제2-2 체결홀(324a) 및 일측 제2-3 체결홀(344a)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단측 제1보조 간격유지체(360a)를 관통하는 제2단측 제1보조 간격 유지체 체결홀(364a)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2단측 제2보조 간격유지체(360b)는, 상기 타측 제2-2 체결홀(324b) 및 타측 제2-3 체결홀(344b)과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단측 제2보조 간격유지체(360b)를 관통하는 제2단측 제2보조 간격 유지체 체결홀(364b)을 포함한다.
이때, 도 1c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측 제2-3 간격유지체(342a)와 상기 제2단측 제1보조 간격유지체(360a)가 접촉한 상태로 체결되고, 또한, 상기 타측 제2-3 간격유지체(342b)와 상기 제2단측 제2보조 간격유지체(360b)가 접촉한 상태로 체결되며, 이러한 체결상태에서 상기 제2단측 제3클램프부(340)와 상기 제2단측 제2클램프부(320)가 체결되어,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는 상기 제4일정 공간(350)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내지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제4일정 공간(350)에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 및 상기 제2내측 관형부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다관절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한 쌍의 제2외측 관형부(122)를 포함하는 상기 제2가요성 벨트부재(120)의 제2단측이 삽입되어, 상기 제2가요성 벨트부재(120)의 제2단측은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에 의해 고정 및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에는 케이블(미도시)이 수용되며, 상기 한 쌍의 제2외측 관형부(122)에는 각각 다관절 지지부재(400)가 수용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c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는, 상기 제3일정 공간(330)에 위치하고, 상기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타측 끝단과 체결되는 제2-1스토퍼(8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1스토퍼(800)는 상기 한 쌍의 제1외측 관형부(112)에 수용되는 각각의 다관절 지지부재(400)에 각각 체결되기 위한 한쌍의 제2-1스토퍼(800)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제2-1스토퍼(800)는 동일한 구조에 해당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제2-1스토퍼(8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1스토퍼(800)는 상부 제2-1스토퍼(810) 및 상기 상부 제2-1스토퍼(810)와 체결되는 하부 제2-1스토퍼(8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1스토퍼(8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는, 상기 제3일정 공간(33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제2-1스토퍼(8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1 가압유닛(71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3일정 공간(33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제2-1스토퍼(8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2 가압유닛(7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1 가압유닛(710)은 제2-1 가압플레이트(711); 및 상기 제2-1 가압플레이트(71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1 플레이트(711)의 상기 제2-1 슬릿(313)에 삽입되는 제2-1 돌기부(7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1 돌기부(712)가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상기 제2-1 슬릿(3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1 가압유닛(710)이 상기 제2-1 플레이트(31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1 가압유닛(710)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를 상부 방향에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1 가압유닛(71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가 상기 제3일정 공간(3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2 가압유닛(720)은 상기 제2-1 가압유닛(710)과 대칭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2-2 가압유닛(720)은 제2-2 가압플레이트(도면부호 미도시); 및 상기 제2-2 가압플레이트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상기 제2-2 슬릿(323)에 삽입되는 제2-2 돌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2 돌기부(미도시)가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상기 제2-2 슬릿(3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2 가압유닛(720)이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2 가압유닛(720)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를 하부 방향에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2 가압유닛(7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1내측 관형부(111)가 상기 제3일정 공간(3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c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는, 상기 제4일정 공간(350)에 위치하고, 상기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타측 끝단과 체결되는 제2-2스토퍼(8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2스토퍼(800')는 상기 한 쌍의 제2외측 관형부(122)에 수용되는 각각의 다관절 지지부재(400)에 각각 체결되기 위한 한쌍의 제2-2스토퍼(800')를 포함한다.
상기 한쌍의 제2-2스토퍼(800')는 동일한 구조에 해당하므로, 이하에서는 하나의 제2-2스토퍼(80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2-2스토퍼(800')는 상부 제2-2스토퍼(810') 및 상기 상부 제2-2스토퍼(810')와 체결되는 하부 제2-2스토퍼(820')을 포함한다.
상기 제2-2스토퍼(8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도 1a 및 도 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는, 상기 제4일정 공간(350)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제2-2스토퍼(8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3 가압유닛(710')을 포함하며, 또한, 상기 제4일정 공간(35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한쌍의 제2-2스토퍼(800')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길이방향(X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4 가압유닛(720')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3 가압유닛(710')은 제2-3 가압플레이트(711'); 및 상기 제2-3 가압플레이트(711')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상기 제2-2 슬릿(323)에 삽입되는 제2-3 돌기부(712')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3 돌기부(712')가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상기 제2-2 슬릿(3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3 가압유닛(710')이 상기 제2-2 플레이트(32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3 가압유닛(710')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를 상부 방향에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3 가압유닛(71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가 상기 제4일정 공간(35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4 가압유닛(720')은 상기 제2-3 가압유닛(710')과 대칭되어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 제2-4 가압유닛(720')은 제2-4 가압플레이트(도면부호 미도시); 및 상기 제2-4 가압플레이트의 일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상기 제2-3 슬릿(343)에 삽입되는 제2-4 돌기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2-4 돌기부(미도시)가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상기 제2-3 슬릿(34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4 가압유닛(720')이 상기 제2-3 플레이트(34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2-4 가압유닛(720')은 케이블을 수용하는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를 하부 방향에서 가압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2-4 가압유닛(720')의 가압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제2내측 관형부(121)가 상기 제4일정 공간(35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c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안내장치(100)의 상기 제2단측 고정부(300)는, 상기 제2단측 제1클램프부(310), 상기 제2단측 제2클램프부(320) 및 상기 제2단측 제3클램프부(340)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제2단측 제1클램프부(310) 측에 위치하는 제1체결수단(301a, 301b); 상기 제2단측 제3클램프부(340) 측에 위치하는 제2체결수단(302a, 302b); 및 일단은 상기 제1체결수단과 체결되고, 타탄은 상기 제2체결수단과 체결되는 제3체결수단(370a, 370b)을 포함한다.
즉, 상기 제1체결수단 및 상기 제3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2단측 제1클램프부(310) 및 상기 제2단측 제2클램프부(320)를 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2체결수단 및 상기 제3체결수단을 통해, 상기 제2단측 제2클램프부(320) 및 상기 제2단측 제3클램프부(34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때, 도 1c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수단(301a, 301b)은 너트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2체결수단(302a, 302b)은 볼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1체결수단(301a, 301b)은 볼트의 형태일 수 있고, 상기 제2체결수단(302a, 302b)은 너트의 형태일 수 있다.
제1체결수단 내지 제3체결수단을 통해, 제2단측 제1클램프 내지 제2단측 제3클램프를 체결하는 것은, 제1단측 고정부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지지부재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지지부재를 구성하는 개별 단위의 블록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먼저,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410)는 후방 몸체부(420); 및 상기 후방 몸체부로부터 연장되는 전방 몸체부(430)를 포함한다.
상기 후방 몸체부(420)는 수평 몸체(421); 상기 수평 몸체(421)의 일측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몸체(422a); 상기 수평 몸체(421)의 타측으로부터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수직 몸체(422b); 및 상기 제1수직 몸체(422a)와 상기 제2수직 몸체(422b)의 이격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갭부(42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방 몸체부(430)는 상기 수평 몸체(421)의 중심영역으로부터 제2방향으로 돌출되는 전방 몸체(43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방향과 상기 제2방향은 상기 수평 몸체(421)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해당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후방 몸체부(420) 및 상기 전방 몸체부(430)를 포함하는 상기 블록체(410)의 전체적인 평면형상은 대략 "
Figure 112019068203373-pat00001
"의 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전방 몸체부(430)는, 상기 전방 몸체(431)의 양 측면에 위치하고, 상기 전방 몸체(431)의 돌출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쌍의 연결핀(420a)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후방 몸체부(420)는, 상기 제1수직 몸체(422a)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연결핀 제1삽입홀(424a) 및 상기 제2수직 몸체(422b)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연결핀 제2삽입홀(424b)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후방 몸체부(420)는, 상기 제1수직 몸체(422a)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연결핀 제1삽입홀(424a)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 홈(425a) 및 상기 제2수직 몸체(422b)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연결핀 제2삽입홀(424b)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 홈(425b)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지지부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블록체가 복수개(410-1, 410-2, 410-3)가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다관절 지지부재(400)를 구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도 5a에서와 같은 블록체를 참조하여, 예를 들면, 선행 블록체(410-1)와 후행 블록체(410-2)가 상호 체결되어 다관절 지지부재(400)를 구성한다 가정시, 상기 선행 블록체(410-1)의 후방 몸체부의 갭부(도 5a의 423)에, 후행 블록체(410-2)의 전방 몸체부의 전방 몸체(도 5a의 431)가 삽입되며, 이때, 상기 후행 블록체(410-2)의 상기 전방 몸체의 좌우 한쌍의 연결핀(도 5a의 420a)이 상기 선행 블록체(410-1)의 연결핀 제1삽입홀(도 5a의 424a) 및 연결핀 제2삽입홀(도 5a의 424b)에 각각 삽입됨에 의하여, 상기 선행 블록체(410-1)와 상기 후행 블록체(410-2)가 상호 체결되어 다관절 지지부재(4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후행 블록체(410-2)의 상기 전방 몸체의 좌우 한쌍의 연결핀(도 5a의 420a)이 상기 선행 블록체(410-1)의 연결핀 제1삽입홀(도 5a의 424a) 및 연결핀 제2삽입홀(도 5a의 424b)에 각각 삽입됨에 있어서, 그 삽입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기 선행 블록체(410-1)는, 상기 제1수직 몸체(도 5a의 422a)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연결핀 제1삽입홀(도 5a의 424a)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1가이드 홈(도 5a의 425a) 및 상기 제2수직 몸체(도 5a의 422b)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연결핀 제2삽입홀(도 5a의 424b)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제2가이드 홈(도 5a의 425b)을 포함한다.
다만, 도 5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블록체의 개수가 3개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다관절 지지부재(400)를 구성하는 블록체의 개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다관절 지지부재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한국 등록특허 10-1074440을 참조할 수 있으며, 이러한 다관절 지지부재의 작동은 당업계에서 이미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를 도시하는 일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를 도시하는 타 방향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의 상부 제1스토퍼를 도시하는 내부 평면도이고, 도 6d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의 하부 제1스토퍼를 도시하는 내부 평면도이며, 도 6e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와 다관절 지지부재의 블록체의 후방 몸체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일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f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와 다관절 지지부재의 블록체의 후방 몸체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타 방향의 분리사시도이다.
먼저,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600)는, 상부 제1스토퍼(610) 및 상기 상부 제1스토퍼(610)와 체결되는 하부 제1스토퍼(620)을 포함한다.
이때, 도 6e 및 도 6f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600)는,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개별 단위인 블록체(410)의 후방 몸체부(420)와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제1스토퍼(610)는 상부 제1커버(611); 상기 상부 제1커버(611)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제1커버(611)의 높이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1커버 제1체결홈(612); 상기 상부 제1커버(611)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제1커버(611)의 폭 방향(X, -X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제1커버 제1체결 돌기부(613)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제1스토퍼(610)는 상기 상부 제1커버(611)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술한 도 1b 및 도 1c의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211)의 상기 제1상부 슬릿(213)에 삽입되는 상부 제1커버 돌기부(6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 제1커버 돌기부(615)가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211)의 상기 제1상부 슬릿(2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스토퍼(600)가 상기 제1상부 플레이트(21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제1스토퍼(610)는 상기 상부 제1커버(611)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 제1커버(611)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 돌기부(614a)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하부 제1스토퍼(620)는 하부 제1커버(621);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폭 방향(X, -X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제1커버 제1체결 돌기부(613);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높이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1커버 제1체결홈(62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 제1스토퍼(610)의 상기 상부 제1커버 제1체결홈(612)과 상기 하부 제1스토퍼(620)의 상기 하부 제1커버 제1체결 돌기부(613)가 체결되고, 상기 상부 제1스토퍼(610)의 상부 제1커버 제1체결 돌기부(613)와 상기 하부 제1스토퍼(620)의 상기 하부 제1커버 제1체결홈(623)이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 제1스토퍼(610)와 상기 하부 제1스토퍼(620)가 체결되어, 제1스토퍼(6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제1스토퍼(620)는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술한 도 1b 및 도 1c의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221)의 상기 제1하부 슬릿(223)에 삽입되는 하부 제1커버 돌기부(625)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 제1커버 돌기부(625)가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221)의 상기 제1하부 슬릿(2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스토퍼(600)가 상기 제1하부 플레이트(22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제1스토퍼(620)는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 돌기부(624a)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제1스토퍼(620)는,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돌출턱(626a) 및 상기 내부 돌출턱(626a)의 측면으로 돌출되는 좌우 한쌍의 돌출턱 연결핀(626b)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400)의 상기 후방 몸체부(420)는, 제1수직 몸체(422a)와 제2수직 몸체(422b)의 이격 간격에 의해 형성되는 갭부(423)를 포함하고, 또한, 상기 제1수직 몸체(422a)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연결핀 제1삽입홀(424a) 및 상기 제2수직 몸체(422b)의 일정 영역에 위치하는 연결핀 제2삽입홀(424b)를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600)는,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개별 단위인 블록체(410)의 후방 몸체부(420)와 체결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6e 및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부 돌출턱(626a)이 상기 블록체(400)의 갭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후방 몸체부(420)의 연결핀 제1삽입홀(424a) 및 연결핀 제2삽입홀(424b)이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좌우 한쌍의 돌출턱 연결핀(626b)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개별 단위인 블록체(410)가 상기 제1스토퍼(600)와 체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와 가요성 벨트부재의 외측 관형부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스토퍼와 가요성 벨트부재의 외측 관형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제1스토퍼(610)는 상기 상부 제1커버(611)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 제1커버(611)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 돌기부(614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제1스토퍼(620)는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제1커버(621)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 돌기부(6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는 상기 상부 제1커버(611)와 제1단차를 이루어 배치되며, 상기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는 상기 하부 제1커버(621)와 제2단차를 이루어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제1커버(611)로부터 상기 하부 제1커버(621)까지의 간격(g1)은 상기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로부터 상기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까지의 간격(g2)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상술한 가요성 벨트부재(120)의 외측 관형부(122)에 상기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 및 상기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를 삽입하기 위함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요성 벨트부재(120)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내측 관형부(121); 및 상기 내측 관형부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다관절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한 쌍의 외측 관형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측 관형부(122)의 내부공간에 상기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 및 상기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가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외측 관형부(122)는 일정 두께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외측 관형부(122)의 일정 두께를 고려하여, 상술한 상기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와 상기 상부 제1커버(611)가 이루는 제1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와 상기 하부 제1커버(621)가 이루는 제2단차를 형성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b 및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제1단측 제1고정 플레이트부(210)와 상기 제1단측 제2고정 플레이트부(220)가 체결되어, 제1일정 공간(230)을 형성하고, 상기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일측 끝단과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제1스토퍼(600)가 상기 제1일정 공간(230)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단차 및 상기 제2단차를 통해, 상기 외측 관형부의 일정 두께를 보상하기 때문에, 상기 외측 관형부의 두께에 의해, 상기 제1스토퍼(600)의 상면 및 하면이 상기 제1단측 제1고정 플레이트부(210) 및 상기 제1단측 제2고정 플레이트부(220)에 긴밀하게 접촉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스토퍼(600)의 상면 및 하면이 상기 제1단측 제1고정 플레이트부(210) 및 상기 제1단측 제2고정 플레이트부(220)에 긴밀하게 접촉되어, 상기 제1스토퍼가 상기 제1일정 공간(2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 돌기부(614a) 및 상기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 돌기부(624)를 통해, 상기 외측 관형부(122)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상부 제1연장 플레이트(614) 및 상기 하부 제1연장 플레이트(624)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를 도시하는 일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를 도시하는 타 방향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8c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의 상부 제2스토퍼를 도시하는 내부 평면도이고, 도 8d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의 하부 제2스토퍼를 도시하는 내부 평면도이며, 도 8e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와 다관절 지지부재의 블록체의 전방 몸체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일 방향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8f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와 다관절 지지부재의 블록체의 전방 몸체부의 체결을 설명하기 위한 타 방향의 분리사시도이다.
먼저,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800)는, 상부 제2스토퍼(810) 및 상기 상부 제2스토퍼(810)와 체결되는 하부 제2스토퍼(820)을 포함한다.
이때, 도 8e 및 도 8f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800)는,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개별 단위인 블록체(410)의 전방 몸체부(430)와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 제2스토퍼(810)는 상부 제2커버(811); 상기 상부 제2커버(811)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상부 제2커버(811)의 높이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2커버 제1체결홈(812); 상부 제2커버 제1체결홈(812)과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상부 제2커버(811)의 높이 방향(Z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2커버 제2체결홈(81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제2스토퍼(810)는 상기 상부 제2커버(811)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술한 도 1d 및 도 1f의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311)의 상기 제2상부 슬릿(313)에 삽입되는 상부 제2커버 돌기부(815)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 제2커버 돌기부(815)가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311)의 상기 제2상부 슬릿(31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스토퍼(800)가 상기 제2상부 플레이트(31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제2스토퍼(810)는 상기 상부 제2커버(811)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 제2커버(811)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 돌기부(814a)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계속해서, 상기 하부 제2스토퍼(820)는 하부 제2커버(821);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일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폭 방향(X, -X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제2커버 제1체결 돌기부(822); 상기 하부 제2커버 제1체결 돌기부(822)와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폭 방향(X, -X 방향)으로 돌출되는 하부 제2커버 제2체결 돌기부(82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상부 제2스토퍼(810)의 상기 상부 제2커버 제1체결홈(812)과 상기 하부 제2스토퍼(820)의 상기 하부 제2커버 제1체결 돌기부(822)가 체결되고, 상기 상부 제2스토퍼(810)의 상부 제2커버 제2체결홈(813)과 상기 하부 제2스토퍼(820)의 상기 하부 제2커버 제2체결 돌기부(823)이 상호 체결됨으로써, 상기 상부 제2스토퍼(810)와 상기 하부 제2스토퍼(820)가 체결되어, 제2스토퍼(8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제2스토퍼(820)는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술한 도 1d 및 도 1e의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321)의 상기 제2하부 슬릿(323)에 삽입되는 하부 제2커버 돌기부(825)를 포함한다.
즉, 상기 하부 제2커버 돌기부(825)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321)의 상기 제2하부 슬릿(323)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스토퍼(800)가 상기 제2하부 플레이트(321)의 폭방향(Y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제2스토퍼(820)는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 돌기부(624a)를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제2스토퍼(820)는,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부(826); 및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타측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폭 방향(X, -X 방향)으로 형성되는 좌우 한쌍의 체결공(827)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체(400)의 상기 전방 몸체부(420)는, 전방 몸체(431) 및 상기 전방 몸체(431)의 양 측면에 위치하는 좌우 한쌍의 연결핀(420a)을 포함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800)는,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개별 단위인 블록체(410)의 전방 몸체부(430)와 체결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 8e 및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록체(400)의 전방 몸체(431)가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내측에 위치하는 공간부(826)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전방 몸체부(430)의 좌우 한쌍의 연결핀(420a)이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폭 방향(X, -X 방향)으로 형성되는 좌우 한쌍의 체결공(827)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개별 단위인 블록체(410)가 상기 제2스토퍼(800)와 체결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와 가요성 벨트부재의 외측 관형부의 결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토퍼와 가요성 벨트부재의 외측 관형부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제2스토퍼(810)는 상기 상부 제2커버(811)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상부 제2커버(811)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 돌기부(814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부 제2스토퍼(820)는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타측으로부터 상기 하부 제2커버(821)의 길이 방향(Y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의 상면에는 복수개의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 돌기부(8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는 상기 상부 제2커버(811)와 제1단차를 이루어 배치되며, 상기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는 상기 하부 제2커버(821)와 제2단차를 이루어 배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제2커버(811)로부터 상기 하부 제2커버(821)까지의 간격(g1)은 상기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로부터 상기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까지의 간격(g2)보다 크게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이와 같이 구성한 이유는, 상술한 가요성 벨트부재(120)의 외측 관형부(122)에 상기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 및 상기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를 삽입하기 위함이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요성 벨트부재(120)는 케이블을 수용하는 복수개의 내측 관형부(121); 및 상기 내측 관형부의 외측에 각각 위치하고, 다관절 지지부재를 수용하는 한 쌍의 외측 관형부(122)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측 관형부(122)의 내부공간에 상기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 및 상기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가 삽입된다.
이 경우, 상기 외측 관형부(122)는 일정 두께를 포함하고 있는데, 상기 외측 관형부(122)의 일정 두께를 고려하여, 상술한 상기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와 상기 상부 제2커버(811)가 이루는 제1단차를 형성하며, 상기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와 상기 하부 제2커버(821)가 이루는 제2단차를 형성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c 및 도 1d에서와 같이, 상기 제2단측 제1고정 플레이트부(310)와 상기 제2단측 제2고정 플레이트부(320)가 체결되어, 제2일정 공간(330)을 형성하고, 상기 다관절 지지부재(400)의 타측 끝단과 체결된 상태로, 상기 제2스토퍼(800)가 상기 제2일정 공간(330)에 위치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단차 및 상기 제2단차를 통해, 상기 외측 관형부의 일정 두께를 보상하기 때문에, 상기 외측 관형부의 두께에 의해, 상기 제2스토퍼(800)의 상면 및 하면이 상기 제2단측 제1고정 플레이트부(310) 및 상기 제2단측 제2고정 플레이트부(320)에 긴밀하게 접촉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스토퍼(800)의 상면 및 하면이 상기 제2단측 제1고정 플레이트부(310) 및 상기 제2단측 제2고정 플레이트부(320)에 긴밀하게 접촉되어, 상기 제2스토퍼가 상기 제2일정 공간(33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 돌기부(814a) 및 상기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의 상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 돌기부(824)를 통해, 상기 외측 관형부(122)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상기 상부 제2연장 플레이트(814) 및 상기 하부 제2연장 플레이트(824)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벨트부재(11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a 내지 도 1c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의 형상을 일반적인 벨트부재의 형상으로 도시하였다.
일반적인 벨트부재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은 도 1a 내지 도 1c에서와 같이, 벨트부재를 복수개의 층, 예를 들어, 제1단 벨트부재 및 제2단 벨트부재로 적층한 경우, 상기 제1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2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벨트부재의 형상을 통하여, 벨트부재를 복수개의 층으로 적층한 경우에도 상호간에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벨트부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10b의 I-I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10)는, 관형상의 몸체부(11); 및 상기 몸체부(11)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12)를 포함한다.
이때,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상기 관형상의 몸체부(11)의 단면이 타원형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관형상의 몸체부(1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관형상의 몸체부(11)의 단면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10)의 상기 제1돌출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11)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일정영역은, 상기 몸체부(11)의 상면 또는 하면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일정영역은 상기 몸체부(11)의 하면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1)의 상면 또는 하면의 의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부(12)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돌출부(12)의 단면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1b는 도 11a의 Ⅱ-Ⅱ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20)는, 관형상의 몸체부(21); 및 상기 몸체부(21)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22)를 포함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상기 관형상의 몸체부(11)의 단면이 타원형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관형상의 몸체부(2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서, 상기 관형상의 몸체부(21)의 단면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도 12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2a의 Ⅲ-Ⅲ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30)는, 관형상의 몸체부(31); 상기 몸체부(31)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32a); 및 상기 몸체부(31)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제2돌출부(32b)를 포함한다.
상기 제1일정영역은 상기 몸체부(31)의 하면일 수 있고, 상기 제2일정영역은 상기 몸체부(31)의 상면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돌출부가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는, 도 12a 및 도 12b에서와 같이, 상기 몸체부의 하면 및 상면에 동시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2a 및 도 12b에서는, 상기 관형상의 몸체부(31)의 단면이 타원형인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관형상의 몸체부(31)의 단면은 원형일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복수개 결합시킨 상태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3b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복수개 결합시킨 상태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때,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도 10a 및 도 10b에서와 같은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벨트부재 단위체(10a, 10b, 10c …)를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결합하여, 제1단 벨트부재(100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 벨트부재(1000)는 예를 들어, 벨트부재 제1단위체(10a) 및 벨트부재 제2단위체(10b)를 기준으로,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10a)와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10b)가 연결된 제1연결지점(13a)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지점(13a)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공간(14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연결지점(13a)은 상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예를 들어,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10a)의 하면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10b)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돌출부가 형성되지 않는 측면, 즉,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10a)의 제1측면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10b)의 제2측면이 접촉하여 제1연결지점(13a)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공간(14a)이라 함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10a)의 하면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10b)의 하면에는 각각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공간(14a)은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 영역인,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10a)의 상면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10b)의 상면을 기준으로 시작하여,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10a)의 몸체부의 외곽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10b)의 몸체부의 외곽을 따라, 상기 제1연결지점(13a)까지 존재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벨트부재 제2단위체(10b) 및 벨트부재 제3단위체(10c)를 기준으로,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10b)와 상기 벨트부재 제3단위체(10c)가 연결된 제2연결지점(13b)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지점(13b)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공간(14b)을 포함한다.
상기 제2연결지점(13b) 및 상기 제2공간(14b)의 정의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도 13a 및 도 13b에서는 상기 벨트부재 단위체의 개수가 5개인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벨트부재 단위체는 적어도 2개 이상이 수평방향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 14a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일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4b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일례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1단 벨트부재(1000-1)와 제2단 벨트부재(1000-2)가 적층되어, 적층된 벨트부재(20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 벨트부재(1000-1)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10a, 10b, 10c …)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단 벨트부재(1000-2)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10a', 10b', 10c'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 벨트부재(1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1000-1)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단 벨트부재(1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1000-1)로부터 일정 간격 어긋나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 벨트부재(1000-1)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가 연결되면서 형성되는 복수개의 공간(도 13a의 제1공간(14a), 제2공간(14b) 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1000-2)는 상기 제2단 벨트부재(1000-2)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10a', 10b', 10c' …)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단 벨트부재(1000-2)의 복수개의 돌출부의 각각이 상기 제1단 벨트부재(1000-1)의 복수개의 공간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 벨트부재(1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1000-1)의 상부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단 벨트부재(1000-1)는 제1공간, 제2공간 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1000-2)는 제1돌출부, 제2돌출부, 제3돌출부 등을 포함한다고 가정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고, 상기 제3돌출부는 제2공간에 삽입되어 위치하는 형태로, 상기 제2단 벨트부재(1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1000-1)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벨트부재의 경우, 벨트부재를 복수개의 층, 예를 들어, 제1단 벨트부재 및 제2단 벨트부재로 적층한 경우, 상기 제1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2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2단 벨트부재(1000-2)의 각각의 돌출부를 제1단 벨트부재(1000-1)의 각각의 공간에 삽입하여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복수개 결합시킨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5b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다른 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이때, 도 15a 및 도 15b에서는, 도 12a 및 도 12b에서와 같은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복수개 결합시킨 상태의 다른 예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복수개 결합시킨 상태의 일예를 참조할 수 있고,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다른 예는 상술한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일예를 참조할 수 있다.
먼저, 도 1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벨트부재 단위체(30a, 30b, 30c …)를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결합하여, 제1단 벨트부재(30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벨트부재 단위체(30a, 30b, 30c …)는 각각의 몸체부의 하면 및 상면에 각각 제1돌출부(31a) 및 제2돌출부(31b)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는 예를 들어, 벨트부재 제1단위체(30a) 및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를 기준으로,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30a)와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가 연결된 제1연결지점(33a)을 포함하고, 상기 제1연결지점(33a)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1-1공간(34a)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복수개 결합시킨 상태의 다른 예는 상기 제1연결지점(33a)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1-2공간(35a)을 포함한다.
연결지점에 관한 사항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1공간(34a)이라 함은, 상기 제1돌출부(31a)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30a)의 하면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의 하면에는 각각 제1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1공간(34a)은 상기 제1돌출부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 영역인,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30a)의 상면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의 상면을 기준으로 시작하여,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30a)의 몸체부의 외곽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의 몸체부의 외곽을 따라, 상기 제1연결지점(33a)까지 존재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2공간(35a)이라 함은, 상기 제2돌출부(31b)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30a)의 상면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의 상면에는 각각 제2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2공간(35a)은 상기 제2돌출부가 형성된 지점의 반대편 영역인,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30a)의 하면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의 하면을 기준으로 시작하여, 상기 벨트부재 제1단위체(30a)의 몸체부의 외곽 및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의 몸체부의 외곽을 따라, 상기 제1연결지점(33a)까지 존재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는 예를 들어,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 및 벨트부재 제3단위체(30c)를 기준으로, 상기 벨트부재 제2단위체(30b)와 상기 벨트부재 제3단위체(30c)가 연결된 제2연결지점(33b)을 포함하고, 상기 제2연결지점(33b)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2-1공간(34b) 및 상기 제2연결지점(33b)의 하부에 위치하는 제2-2공간(35b)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도 1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1단 벨트부재(3000-1)와 제2단 벨트부재(3000-2)가 적층되어, 적층된 벨트부재(40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30a, 30b, 30c …)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30a', 30b', 30c'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로부터 일정 간격 어긋나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가 연결되면서 형성되고, 연결지점의 상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공간(도 15a의 제1-1공간(34a), 제2-1공간(34b) 등)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는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30a', 30b', 30c' …)의 하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제1돌출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의 복수개의 제1돌출부의 각각이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의 복수개의 공간(도 15a의 제1-1공간(34a), 제2-1공간(34b) 등)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의 상부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30a, 30b, 30c …)의 상면에 각각 형성된 복수개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가 연결되면서 형성되고, 연결지점의 하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공간(도 15a의 제1-2공간(35a), 제2-2공간(35b) 등)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의 복수개의 제2돌출부의 각각이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의 복수개의 공간(도 15a의 제1-2공간(35a), 제2-2공간(35b) 등)의 각각에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제2단 벨트부재(3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3000-1)의 상부에 위치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2단 벨트부재(3000-2)의 각각의 돌출부를 제1단 벨트부재(3000-1)의 각각의 공간에 삽입하여 위치시키고, 또한, 제1단 벨트부재(3000-1)의 각각의 돌출부를 제2단 벨트부재(3000-2)의 각각의 공간에 삽입하여 위치시킴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Ⅳ-Ⅳ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40)는, 관형상의 몸체부(41); 및 상기 몸체부(41)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42)를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40)는 상기 제1돌출부(42)의 내부 영역이 중공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0a 및 도 10b에서는 제1돌출부의 내부영역이 물질로 차 있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1돌출부(42)의 내부 영역이 중공상태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관형상의 몸체부(41)가 보다 용이하게 만곡할 수 있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7b는 도 17a의 Ⅴ-Ⅴ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50)는, 관형상의 몸체부(51); 상기 몸체부(51)의 제1일정영역에 위치하는 제1돌출부(52a); 상기 몸체부(51)의 제2일정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돌출부(52a)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2돌출부(52b); 및 상기 제1돌출부(52a)와 상기 제2돌출부(52b)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5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일정영역 및 상기 제2일정영역은 상기 몸체부(51)의 하면일 수 있고, 이와는 달리, 상기 제1일정영역 및 상기 제2일정영역은 상기 몸체부(51)의 상면일 수 있으며,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제5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결합하여, 제1단 벨트부재(도 18a의 5000-1)를 구성할 수 있고, 상기 제4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결합하여, 제2단 벨트부재(도 18a의 5000-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8a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또 다른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8b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의 또 다른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1단 벨트부재(5000-1)와 제2단 벨트부재(5000-2)가 적층되어, 적층된 벨트부재(60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 벨트부재(5000-1)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50a, 50b, 50c …)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단 벨트부재(5000-2)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40a, 40b, 40c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8b를 참조하면, 상기 제2단 벨트부재(5000-2)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40a, 40b, 40c …)는 각각 제1돌출부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1-1벨트부재 단위체(40a)는 제1-1돌출부(42a)를 포함하고, 제1-2벨트부재 단위체(40a)는 제1-2돌출부(42b)를 포함하며, 제1-3벨트부재 단위체(40c)는 제1-3돌출부(42c)를 포함한다.
또한, 도 18b를 참조하면, 상기 제1단 벨트부재(5000-1)는, 복수개의 벨트부재 단위체(50a, 50b, 50c …)는 각각 제1돌출부(52a, 52c, 52e) 및 제2돌출부(52b, 52d, 52f)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53a, 53b, 53c)을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제2-1벨트부재 단위체(50a)는 제1-1공간(53a)을 포함하고, 제2-2벨트부재 단위체(50b)는 제1-2공간(53b)을 포함하며, 제2-3벨트부재 단위체(50c)는 제1-2공간(53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단 벨트부재(5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5000-1)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단 벨트부재(5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5000-1)와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1벨트부재 단위체(40a)의 제1-1돌출부(42a)는 상기 제2-1벨트부재 단위체(50a)의 제1-1공간(53a)에 위치하고, 상기 제1-2벨트부재 단위체(40b)의 제1-2돌출부(42b)는 상기 제2-2벨트부재 단위체(50b)의 제1-2공간(53b)에 위치하며, 상기 제1-3벨트부재 단위체(40c)의 제1-3돌출부(42c)는 상기 제2-3벨트부재 단위체(50c)의 제1-3공간(53c)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2단 벨트부재(5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5000-1)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단 벨트부재(5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5000-1)와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단 벨트부재(5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5000-1)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단 벨트부재(5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5000-1)와 일직선으로 배치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의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의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상기에서는 하나의 벨트부재 단위체에 돌출부를 포함하는 구조에 해당하였으나, 이하의 구조에서는 2개의 벨트부재 단위체에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벨트부재 중간단위체의 구조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를 구성하게 된다.
도 19a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 및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구조를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로 정의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는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b)는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일단은 상기 제1몸체부(61a)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몸체부(62b)와 연결되는 돌출부(6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62a);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62b); 및 상기 제1경사면(62a)과 상기 제2경사면(62b)이 만나는 접점(62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점(62)은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일정영역 및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 및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b)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한편, 도 19b에서는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일정영역이 상기 제1몸체부(61a)의 상면이고,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일정영역이 상기 제2몸체부(61b)의 상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경사면(62a)이 연장되는 제1방향은 상기 제1경사면(62a)의 상면방향에 해당하고, 또한, 상기 제2경사면(62b)이 연장되는 제2방향은 상기 제2경사면(62b)의 상면방향에 해당한다.
하지만, 도 19b에 도시된 바와는 반대로,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일정영역이 상기 제1몸체부(61a)의 하면이고,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일정영역이 상기 제2몸체부(61b)의 하면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경사면(62a)이 연장되는 제1방향은 상기 제1경사면(62a)의 하면방향에 해당하고, 또한, 상기 제2경사면(62b)이 연장되는 제2방향은 상기 제2경사면(62b)의 하면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6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공간(63)은 상기 돌출부(62)와 반대 방향에 위치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가 연결된 라인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가 연결된 라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간(63)은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가 연결된 라인의 하부에 위치한다.
한편, 도 19b에서는,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가 연결된 라인의 상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간(63)은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가 연결된 라인의 하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와는 반대로, 상기 돌출부(62)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가 연결된 라인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공간(63)은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가 연결된 라인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공간(63)이 상기 돌출부(62)와 반대 방향에 위치한다함은, 상술한 2가지 경우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에 해당한다.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의 상기 공간(63)의 내부영역은 중공상태일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제4실시예에 따른 벨트부재 단위체의 경우와 동일한 논리이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기본으로 하여,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의 수평방향으로 벨트부재 중간단위체 또는 벨트부재 단위체가 복수개 결합하여, 제1단 벨트부재(도 20a의 7000-1)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단 벨트부재(도 20a의 7000-1)와 동일한 형태로 제2단 벨트부재(도 20a의 7000-2)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0a는 도 19a 및 19b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기본으로 하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0b는 도 19a 및 19b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기본으로 하는 제1단 벨트부재와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된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제1단 벨트부재(7000-1)와 제2단 벨트부재(7000-2)가 적층되어, 적층된 벨트부재(70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는,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제1-1벨트부재 단위체(60a) 및 상기 제1-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1-2벨트부재 단위체(60a)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1벨트부재 단위체(60a)는 관형상의 제1-1몸체부(61a)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벨트부재 단위체(60b)는 관형상의 제1-2몸체부(61b)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일단은 상기 제1-1몸체부(61a)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2몸체부(62b)와 연결되는 제1돌출부(6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돌출부(62)는 상기 제1-1몸체부(61a)의 제1-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1몸체부(61a)의 제1-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경사면(62a); 상기 제1-2몸체부(61b)의 제1-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2몸체부(61b)의 제1-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경사면(62b); 및 상기 제1-1경사면(62a)과 상기 제1-2경사면(62b)이 만나는 제1접점(62c)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상기 제1-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1-2벨트부재 단위체(60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1공간(63)을 포함한다.
이는 상술한 도 19a 및 도 19b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단 벨트부재(7000-1)와 제2단 벨트부재(7000-2)가 적층되어, 적층된 벨트부재(7000)를 구성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의 구성의 구체적인 도면부호는 생략하였으며,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의 구성의 구체적인 도면부호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의 도면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1)는,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는 제2-1벨트부재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 및 상기 제2-1벨트부재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2벨트부재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1벨트부재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는 관형상의 제2-1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2벨트부재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는 관형상의 제2-2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는, 일단은 상기 제2-1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2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연결되는 제2돌출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돌출부(도면부호 미표기)는 상기 제2-1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의 제2-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1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의 제2-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경사면(도면부호 미표기); 상기 제2-2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의 제2-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2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의 제2-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경사면(도면부호 미표기); 및 상기 제2-1경사면과 상기 제2-2경사면이 만나는 제2접점(도면부호 미표기)을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 상기 제2돌출부의 유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포함하는 제2단 벨트부재의 상부에, 예를 들면, 제3단 벨트부가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단 벨트부재의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 제2돌출부를 포함하여야 할 것이나, 상기 제2단 벨트부재가 최상단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의 경우 상기 제2돌출부를 포함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는, 상기 제2-1벨트부재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와 상기 제2-2벨트부재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공간(도면부호 미표기)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의 구성의 구체적인 도면부호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의 도면부호를 참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와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의 상기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의 상기 제1돌출부(62)는,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의 상기 제2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의 제2공간(도면부호 미표기)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와 일직선으로 배치된다.
이로써,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의 상부에 위치하되, 상기 제2단 벨트부재(7000-2)는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와 일직선으로 배치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19a, 도 19b, 도 20a 및 도 20b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의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를 구성하는 것을 설명하였다.
이때, 도 19a 및 도 19b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9a 및 도 19b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의 돌출부(62)는, 벨트부재가 2단으로 적층시, 즉, 제1단 벨트부재의 상부에 제2단 벨트부재가 적층시,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역할에 추가하여, 도 19a 및 도 19b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의 돌출부(62)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의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b)의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상기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는, 케이블(전선 케이블, 광 화이버 케이블, 유체 공급 호스 등의 가요성의 케이블이나 호스 등)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데, 상기 도 19a 및 도 19b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의 돌출부(62)는, 벨트부재가 적층시,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상기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상기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와 동일한 역할, 즉, 케이블을 수용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a와 같은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 상기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상기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에 각각 1개씩의 케이블이 수용된다고 한다면,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의 돌출부(62)에도 1개의 케이블이 추가로 수용됨으로써, 도 19a와 같은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는 총 3개의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수용해야 할 케이블의 개수가 3개라고 가정시, 일반적으로는, 도 19a와 같은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는, 상기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상기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에 각각 1개씩의 케이블이 수용되므로, 따라서, 추가적으로 1개의 케이블을 수용시키기 위해, 또 다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가 적층되어야 한다.
하지만, 수용해야 할 케이블의 개수가 3개라고 가정시, 본 발명에서는, 도 19a와 같은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 상기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상기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에 각각 1개씩의 케이블을 수용시키고,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의 돌출부(62)에도 1개의 케이블을 추가로 수용시킴으로써, 또 다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가 적층되지 않더라도, 목적한 바의 케이블을 수용시킬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서의 돌출부(62)에 케이블을 수용시킴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1a 및 도 21b는 도 20a 및 도 20b에서와 같은 제1단 벨트부재의 돌출부에 케이블이 수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굴곡부를 도시하는 실사진이고, 도 22a 및 도 22b는 도 20a 및 도 20b에서와 같은 제1단 벨트부재의 돌출부에 케이블을 수용시킨 상태에서의 굴곡부를 도시하는 실사진이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1단 벨트부재를 벨트부재로 표현하기로 한다.
도 21a 및 도 21b를 참조하면, 벨트부재의 돌출부에 케이블을 수용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벨트부재를 굴곡시키는 경우, 상기 굴곡부에서 상기 돌출부가 눌려지게 되어, 상기 굴곡부 영역에서는, 상기 돌출부의 역할, 즉,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 어려운 점이 있다.
하지만, 도 22a 및 도 22b를 참조하면, 벨트부재의 돌출부에 케이블을 수용시킨 상태에서 상기 벨트부재를 굴곡시키는 경우, 상기 굴곡부에 삽입된 상기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가 지지되고, 따라서, 상기 벨트부재가 굴곡부 영역 굴곡이 되더라도, 상기 돌출부는, 돌출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상기 돌출부에 케이블이 삽입됨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이 상기 돌출부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벨트부재가 굴곡부 영역 굴곡이 되더라도, 상기 돌출부는, 돌출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내용에 따라, 도 19a 및 도 19b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는 다음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다만, 이하의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의 정의는, 후술하는 바를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19a, 도 19b, 도 20a 및 도 20b의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9a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9b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 및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구조를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로 정의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는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를 포함하고,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b)는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의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b)의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를 제1단 몸체부로 정의할 수 있다.
즉,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상기 제1몸체부(61a)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를 포함하는 제1단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일단은 상기 제1몸체부(61a)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몸체부(62b)와 연결되는 돌출부(62)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출부(62)에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으므로,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와 동일한 방식으로 정의하는 경우, 상기 돌출부(62)를,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61a) 및 상기 제2몸체부(61b)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돌출몸체부(62)를 포함하는 제2단 몸체부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및 상기 제1몸체부(61a)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를 포함하는 제1단 몸체부; 및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61a) 및 상기 제2몸체부(61b)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돌출몸체부(62)를 포함하는 제2단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영역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상부일 수 있고, 다만, 이와는 달리 상기 제1영역은 상기 제1단 몸체부의 하부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부 및 하부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몸체부(61a)에는 제1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몸체부(61b)에는 제2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돌출몸체부(62)에는 제3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돌출몸체부(62)에 케이블이 삽입됨에 의하여,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이 상기 돌출몸체부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벨트부재가 굴곡부 영역 굴곡이 되더라도, 상기 돌출몸체부는, 돌출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상기 돌출몸체부(62)는, 일단은 상기 제1몸체부(61a)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몸체부(62b)와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돌출몸체부(62)는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62a);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62b); 및 상기 제1경사면(62a)과 상기 제2경사면(62b)이 만나는 접점(62c)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접점(62)은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일정영역 및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돌출몸체부(62)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 및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b)로부터 돌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도 19b에서는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일정영역이 상기 제1몸체부(61a)의 상면이고,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일정영역이 상기 제2몸체부(61b)의 상면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경사면(62a)이 연장되는 제1방향은 상기 제1경사면(62a)의 상면방향에 해당하고, 또한, 상기 제2경사면(62b)이 연장되는 제2방향은 상기 제2경사면(62b)의 상면방향에 해당한다.
하지만, 도 19b에 도시된 바와는 반대로, 상기 제1몸체부(61a)의 제1일정영역이 상기 제1몸체부(61a)의 하면이고, 상기 제2몸체부(61b)의 제2일정영역이 상기 제2몸체부(61b)의 하면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제1경사면(62a)이 연장되는 제1방향은 상기 제1경사면(62a)의 하면방향에 해당하고, 또한, 상기 제2경사면(62b)이 연장되는 제2방향은 상기 제2경사면(62b)의 하면방향에 해당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상면 및 상기 하면의 의미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계속해서, 도 1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상기 제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상기 제2벨트부재 단위체(60a)의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63)을 포함한다.
이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기본으로 하여,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의 수평방향으로 벨트부재 중간단위체 또는 벨트부재 단위체가 복수개 결합하여, 제1단 벨트부재(도 20a의 7000-1)를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1단 벨트부재(도 20a의 7000-1)와 동일한 형태로 제2단 벨트부재(도 20a의 7000-2)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태의 벨트부재에 대하여, 상술한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정의한 방법과 동일하게 벨트부재를 정의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는 제1단 벨트부재(7000-1)를 벨트부재를 정의하기로 하며, 제2단 벨트부재(7000-2)는 제1단 벨트부재(7000-1)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다.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단 벨트부재(7000-1)와 제2단 벨트부재(7000-2)가 적층되어, 적층된 벨트부재(70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는,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를 포함하며, 상기 제1벨트부재 중간 단위체(60)는 제1-1벨트부재 단위체(60a); 상기 제1-1벨트부재 단위체(60a)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1-2벨트부재 단위체(60b); 및 상기 제1-2벨트부재 단위체(60b)와 연속적으로 위치하는 제1-3벨트부재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1벨트부재 단위체(60a)는 관형상의 제1-1몸체부(61a)를 포함하고, 상기 제1-2벨트부재 단위체(60b)는 관형상의 제1-2몸체부(61b)를 포함하며, 상기 제1-3벨트부재 단위체(도면부호 미표기)는 관형상의 제1-3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1몸체부(61a), 상기 제1-2몸체부(61b) 및 제1-3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는 제1단 몸체부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는, 일단은 상기 제1-1몸체부(61a)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2몸체부(61b)와 연결되는 제1돌출몸체부(62)를 포함하고, 또한, 일단은 상기 제1-2몸체부(61b)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3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와 연결되는 제2돌출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돌출몸체부(62) 및 상기 제2돌출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는 제2단 몸체부로 정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의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단 벨트부재(7000-1)는, 관형상의 제1몸체부(61a), 상기 제1몸체부(61a)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2몸체부(61b) 및 상기 제2몸체부(61b)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3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하는 제1단 몸체부; 및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61a)와 상기 제2몸체부(61b)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제1돌출몸체부(62) 및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몸체부(61b)와 상기 제3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제2돌출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를 포함하는 제2단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몸체부(62)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몸체부의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경사면(62a); 상기 제2몸체부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경사면(62b); 및 상기 제1-1경사면과 상기 제1-2경사면이 만나는 제1접점(62c)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제3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경사면(도면부호 미표기); 상기 제3몸체부의 제4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3몸체부의 제4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경사면(도면부호 미표기); 및 상기 제2-1경사면과 상기 제2-2경사면이 만나는 제2접점(도면부호 미표기)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돌출몸체부(62) 및 상기 제2돌출몸체부(도면부호 미표기)에는 케이블이 삽입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돌출몸체부에 케이블이 삽입됨에 의하여,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케이블을 수용하는 역할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케이블이 상기 돌출몸체부를 지지함에 의하여, 상기 벨트부재가 굴곡부 영역 굴곡이 되더라도, 상기 돌출몸체부는, 돌출된 형상을 유지할 수 있어, 상기 제2단 벨트부재와 상기 제1단 벨트부재가 상호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1단 벨트부재(7000-1)와 제2단 벨트부재(7000-2)의 적층관계는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제2단 벨트부재(7000-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단 벨트부재(7000-1)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의할 수 있으므로, 제2단 벨트부재(7000-2)에 대한 정의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6)

  1.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는, 관형상의 제1몸체부 및 상기 제1몸체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2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단 몸체부; 및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돌출몸체부를 포함하는 제2단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몸체부에 케이블이 삽입되며,
    상기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를 포함하여 제1단 벨트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몸체부의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면; 상기 제2몸체부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면; 및 상기 제1경사면과 상기 제2경사면이 만나는 접점을 포함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은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일정영역 및 상기 제2몸체부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이격하여 위치함으로써, 상기 돌출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이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케이블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벨트부재 중간 단위체.
  5. 벨트부재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재는, 관형상의 제1몸체부, 상기 제1몸체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2몸체부 및 상기 제2몸체부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관형상의 제3몸체부를 포함하는 제1단 몸체부; 및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1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제1돌출몸체부 및 상기 제1단 몸체부의 제2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2몸체부와 상기 제3몸체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관형상의 제2돌출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부재를 포함하여 제1단 벨트부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2단 몸체부를 포함하는 벨트부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몸체부는, 상기 제1몸체부의 제1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1몸체부의 제1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1경사면; 상기 제2몸체부의 제2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제2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2경사면; 및 상기 제1-1경사면과 상기 제1-2경사면이 만나는 제1접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돌출몸체부는, 상기 제2몸체부의 제3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2몸체부의 제3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1경사면; 상기 제3몸체부의 제4일정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제3몸체부의 제4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2경사면; 및 상기 제2-1경사면과 상기 제2-2경사면이 만나는 제2접점을 포함하는 벨트부재.
KR1020190080016A 2019-03-07 2019-07-03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KR1022153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16A KR102215380B1 (ko) 2019-07-03 2019-07-03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JP2019148924A JP6987096B2 (ja) 2019-03-07 2019-08-14 ベルト部材及びこれを含むケーブル案内装置
CN201911139853.2A CN111668798B (zh) 2019-03-07 2019-11-20 传送带构件
TW108142829A TWI760659B (zh) 2019-03-07 2019-11-26 傳送帶構件單體、傳送帶構件、傳送帶構件中間單體
US16/752,819 US11821491B2 (en) 2019-03-07 2020-01-27 Belt member and a cable guiding device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016A KR102215380B1 (ko) 2019-07-03 2019-07-03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17A KR20210004117A (ko) 2021-01-13
KR102215380B1 true KR102215380B1 (ko) 2021-02-15

Family

ID=74142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016A KR102215380B1 (ko) 2019-03-07 2019-07-03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3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740A (ja) * 1999-05-11 2000-11-24 Shirataka Kogyo Kk ケーブル収納用地下埋設管及びそれを構成するケーブル収納用内管の保持板
JP2012149752A (ja) * 2011-01-21 2012-08-09 Tsubakimoto Chain Co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57096B2 (ja) 2002-11-22 2008-09-24 ゴア エンタープライズ ホールディングス,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アセンブリ用支持部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20740A (ja) * 1999-05-11 2000-11-24 Shirataka Kogyo Kk ケーブル収納用地下埋設管及びそれを構成するケーブル収納用内管の保持板
JP2012149752A (ja) * 2011-01-21 2012-08-09 Tsubakimoto Chain Co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117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953B1 (ko) 다관절형 지지부재를 포함한 케이블 및 적층형 케이블
KR101640021B1 (ko)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케이블
JP5414704B2 (ja) 多関節型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1765509B1 (ko) 태양광 설비 제조에 사용되는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케이블 및 다목적 공간부를 갖는 적층형 케이블
US20120228437A1 (en) Articulated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US11242683B2 (en) Reinforcing bar coupler
US20180012679A1 (en) Flat cab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215380B1 (ko)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TWI440774B (zh) 連結扣件組合
EP1712802A1 (en) Joint for flat parts
KR20190113194A (ko) 케이블 안내장치
KR20200107282A (ko) 벨트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CN111668798B (zh) 传送带构件
JP6943758B2 (ja) 電線用外装体及び外装体付きワイヤーハーネス
KR20190118149A (ko) 케이블 안내장치
KR101760642B1 (ko) 케이블 보호장치
CN106460397B (zh) 模件式脚手板
KR102281013B1 (ko) 패드부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안내장치
JP5131922B2 (ja) 部品供給テープのスプライシング装置
JP2005316221A (ja) メカニカル接続型光コネクタ。
CN102472875A (zh) 具有触发覆盖件的光纤连接器
WO2018190369A1 (ja) 帯状ベルト及び無端ベルト
JP2020063771A (ja) 係合部材
KR102601332B1 (ko) 탄성웨지 블럭 및 이를 이용한 커플러
KR20040029847A (ko) 교량연결용 핑거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