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721B1 -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 Google Patents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721B1
KR102214721B1 KR1020180168756A KR20180168756A KR102214721B1 KR 102214721 B1 KR102214721 B1 KR 102214721B1 KR 1020180168756 A KR1020180168756 A KR 1020180168756A KR 20180168756 A KR20180168756 A KR 20180168756A KR 102214721 B1 KR102214721 B1 KR 102214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emulsion
weight
idebenone
ethanol
aqueous ph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9393A (ko
Inventor
황준석
방성식
진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메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메딕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메딕스
Priority to KR1020180168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721B1/ko
Publication of KR20200079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9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7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30Encapsulation of particles, e.g. foodstuff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2Ketones
    • A61K31/122Ketones having the oxygen directly attached to a ring, e.g. quinones, vitamin K1, anthral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08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containing oxygen, e.g. ethers, acetals, ketones, quinones, aldehydes, peroxides
    • A61K47/10Alcohols; Phenols; Salts thereof, e.g. glycerol; Polyethylene glycols [PEG]; Poloxamers; PEG/POE alkyl 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5Ketones, e.g. benzophenone
    • A61K8/355Quin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07Emulsions ; Emulsion preconcentrates; Micelles
    • A61K9/1075Microemulsions or submicron emulsions; Preconcentrates or solids thereof; Micelles, e.g. made of phospholipids or 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그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은 이데베논의 안정성 및 피부흡수가 증가하므로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Nanoemulsion Comprising Idebenone-Encapsulated Liposome}
본 발명은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데베논의 안정성 및 피부 흡수능이 향상된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및 그를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하기 화학식 1의 이데베논은 유비퀴논(ubiquinone)계 항산화제로서, 세포호흡에 관여하는 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서 산화를 개선하며, 세포의 산화 스트레스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이데베논은 신경세포손상에 의한 운동실조증이나 치매 등의 신경학적 증상 회복, 시신경염 호전, 외부 손상에 의한 청력 저하 개선 등에 효과가 있어 주로 신경과와 이비인후과, 안과에서 사용되어 왔다.
[화학식 1]
Figure 112018130002357-pat00001
최근에는 이데베논이 피부에도 효과가 있다는 사실들이 밝혀지며 피부 보습과 노화 억제, 콜라겐 합성 증진에 의한 주름 개선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1265호 참조]. 이데베논은 코엔자임Q10, 비타민C 및 E보다도 피부에 대한 항산화 효과가 더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데베논은 퀴논기(quinine group), 포화 탄화수소기(saturated hydrocarbon group) 및 히드록실기(hydroxyl group) 등의 다양한 작용기를 가지고 있어, 안정화가 어렵고 피부 침투도 용이하지 않다. 이데베논은 일단 용해를 시켜 유화 입자를 형성하였다고 하더라도, 종래 유화기법 및 유화제를 이용할 경우에는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피부 침투도 용이하지 않다. 또한 이데베논은 빛, 공기, 물, 열 등의 외부 환경에 노출 시 색이 변하기 쉽고 그 역가 보존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특히 물과 접촉 시에는 이러한 불안정성이 배가될 수 있다. 더욱이, 이데베논은 세포간지질과의 상용성이 좋지 않아 피부속으로 전달하기 힘들다.
따라서, 이데베논의 안정성 및 피부 흡수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01265호
본 발명의 목적은 이데베논의 안정성 및 피부 흡수능이 향상된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으로서, 상기 리포좀은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콜레스테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폴리소르베이트 60을 포함하는 지질층, 및 상기 지질층 내부에 포집되는 이데베논을 포함하며, 상기 수상은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나노에멀젼은 수상, 및 상기 수상에 분산된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포함한다.
상기 리포좀은 지질층 및 상기 지질층 내부에 포집되는 이데베논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데베논은 유효 성분으로서,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된다. 상기 이데베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효능이 미비할 수 있고, 10 중량% 초과이면 포집율이 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질층은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콜레스테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폴리소르베이트 60을 포함한다.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는 글리세롤과, 시트르산, 락트산, 리놀레산 및 올레산 블렌드의 에스테르화물로서 유화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으로는 통상의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는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4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의 함량이 상술한 범위 내인 경우, 리포좀의 입자 크기와 안정성, 및 이데베논의 포집율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리포좀의 형태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콜레스테롤은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22 내지 0.3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상술한 범위 내인 경우, 리포좀의 입자 크기와 안정성, 및 이데베논의 포집율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글리세롤과, 카프릴릭산 및 카프릭산 혼합물의 트리에스테르로서 오일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통상의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는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포집율이 낮을 수 있고, 15 중량% 초과이면 리포좀의 입자 크기가 커지고 포집율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60은 폴리옥시에틸렌(20)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여기에서, (20)은 분자 내 옥시에틸렌기(-(CH2CH2O)-)의 전체 수를 나타냄)로서 보조유화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60은 통상의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60은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 중량%, 바람직하게는 0.35 내지 0.4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폴리소르베이트 60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포집율이 낮을 수 있고, 1 중량% 초과이면 포집율이 더 이상 상승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수상은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한다.
상기 에탄올은 나노에멀젼 제조시 이데베논의 용매로서 작용하며, 투과촉진제로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에탄올은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에탄올의 함량이 상술한 범위 내인 경우, 리포좀의 입자 크기와 안정성, 및 이데베논의 포집율면에서 유리하다.
상기 물은 리포좀이 분산되는 분산매로서, 잔량의 양으로 포함된다.
상기 물로는 정제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상은 보습제 및 방부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부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1,2-헥산디올 및 펜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페녹시에탄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은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이데베논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1 내지 10 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 내지 15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0.1 내지 1 중량%, 에탄올 5 내지 3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은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이데베논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3 내지 4 중량%, 콜레스테롤 0.22 내지 0.3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5 내지 1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0.35 내지 0.4 중량%, 에탄올 10 내지 2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리포좀은 100 nm 이하, 예컨대 30 nm 내지 100 nm, 바람직하기로 30 nm 내지 80 nm의 입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포좀의 입자 크기가 100 nm 보다 크면 피부흡수능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리포좀 내 이데베논의 포집율은 70%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으로서,
(i) 수상과 유상을 각각 가온시키는 단계;
(ii) 상기 수상에 유상을 넣으며 교반하는 단계;
(iii) 상기 교반액에 에탄올상을 넣으며 교반하는 단계; 및
(iv) 상기 교반액을 고압 균질기로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은 물을 포함하며,
상기 유상은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콜레스테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폴리소르베이트 60을 포함하고,
상기 에탄올상은 이데베논 및 에탄올을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수상은 보습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에탄올상은 방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각 성분의 함량 및 구체예는 상기 나노에멀젼에 대한 설명과 동일하다.
상기 단계 (i)에서 가온은 60 내지 90℃, 예컨대 80℃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i) 및 단계 (iii)은 1차 유화 단계로서, 1,200 내지 14,000 rpm으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교반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v)는 2차 유화 단계로서,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700 내지 1,300 bar로 3 내지 5회 균질화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단계 (iii)과 단계 (iv) 사이에 교반액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은 20 내지 40℃, 예컨대 30℃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이, 특정 조성의 수상, 유상 및 에탄올상을 사용하여 1차 유화 단계를 수행한 후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2차 유화 단계를 더 수행함으로써 100 nm 이하의 균일한 입자 크기를 갖고 이데베논의 포집율이 우수한 리포좀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은 리포좀화하지 않은 이데베논과 비교하여 이데베논의 안정성이 현저하게 개선되었으며, 피부 흡수율이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은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상기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을 유효성분으로서 약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한다. 유효성분의 함량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 예를 들어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파우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색조화장품, 선크림, 투웨이케이크,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아이쉐도우, 립스틱, 립글로스, 립픽스, 아이브로우 펜슬 등의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경구적으로(예를 들면, 복용 또는 흡입) 또는 비경구적으로(예를 들면, 주사, 경피흡수, 직장투여) 투여될 수 있으며, 주사는 예를 들면, 정맥주사, 피하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복강내 주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투여 경로에 따라, 정제, 캡슐제, 과립제, 파인 서브틸래(fine subtilae), 분제, 설하 정제, 좌약, 연고, 주사제, 유탁액제, 현탁액제, 시럽제, 분무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여러 가지 형태의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각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carrier)를 사용하여 공지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는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disintegrating agent), 윤활제, 방부제, 항산화제, 등장제(isotonic agent), 완충제, 피막제, 감미제, 용해제, 기제(base), 분산제, 습윤제, 현탁화제, 안정제, 착색제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약제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상기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을 약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구체적인 투여량은 치료되는 사람을 포함한 포유동물의 종류, 체중, 성별,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투여의 경우에는 하루에 체중 1 kg 당 활성성분 10 내지 200 mg이 투여된다. 상기 총 일일 투여량은 질환의 정도, 의사의 판단 등에 따라 한번에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는 상기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제, 에멀젼, 시럽제 등의 경구형 제제 형태이거나, 캔디, 과자, 껌, 아이스크림, 면류, 빵, 음료 등 일반적인 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형태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계면활성제, 윤활제, 부형제 등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적절히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의 함량은 건강기능식품의 형태에 따라 다르지만, 약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 중량%의 농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은 이데베논의 안정성이 개선되고, 피부 흡수력 향상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은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약제학적 조성물, 건강기능식품 등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의 안정성 시험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과 리포좀화하지 않은 이데베논 용액의 투명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의 피부흡수 시험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직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실시예 1: 고압균질기 통과 횟수에 따른 리포좀 입자 특성
리포좀 나노에멀젼은 수상, 유상 및 에탄올상으로 구성된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프리믹스 호모 믹서(Primix Homo Mixer) 및 고압 균질기(High Pressure Homogenizer)를 사용하는 2차 균질화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수상과 유상을 80℃까지 가온 후 수상에 유상을 천천히 넣으며 프리믹스 호모 믹서로 10분간 1,300rpm으로 교반하였다. 그 다음 60℃에서 에탄올상을 넣어주며 5분간 1,300rpm으로 교반하였다. 교반이 끝난 후 30℃까지 냉각시킨 후 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압력 1,000 bar에서 챔버를 1 내지 5회 통과시켰다.
성분 조성비(중량%)
수상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5
유상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3.0
콜레스테롤 0.2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폴리소르베이트 60 0.3
에탄올상 에탄올 10
페녹시에탄올 0.4
이데베논 1
고압균질기 통과 횟수에 따른 입자크기와 입자분산지수를 나노입자크기분석기(Zeta-Sizer, Malvern, USA)를 이용하여 제조된 리포좀 나노에멀젼을 100배 희석하여 셀(cell)에 채운 후 각각 동일한 조건으로 3번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 값을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횟수(회) 입자크기(nm) 입자분산지수(PdI)
1 109.6 0.34
2 88.2 0.28
3 77.8 0.23
4 77.4 0.22
5 77.6 0.23
상기 표 2를 통해, 고압 균질기 2회 통과 시 입자는 100 nm 이하의 크기를 갖고, 3회 통과 이후 입자분산지수가 최적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유화제 함량에 따른 리포좀 입자 특성 및 이데베논 포집율
하기 표 3과 같이 유화제인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성분 조성비(중량%)
A0 A1 A2 A3 A4 A5 A6
수상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5
유상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1.0 1.5 2.0 2.5 3.0 3.5 4.0
콜레스테롤 0.2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폴리소르베이트 60 0.3
에탄올상 에탄올 10
페녹시에탄올 0.4
이데베논 1
유화제의 함량에 따른 입자크기와 입자분산지수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No 입자크기(nm) 입자분산지수(PdI)
A0 100.4 0.406
A1 89.5 0.294
A2 83.5 0.231
A3 79.5 0.292
A4 77.6 0.232
A5 70.7 0.226
A6 74.0 0.227
또한, 유화제의 함량에 따른 이데베논 포집율을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완성된 리포좀 나노에멀젼 1ml를 취해 스판덱스(spandex) 컬럼을 통과시키고 2차 정제수 49 ml을 더 투입하여 스판덱스 컬럼을 통과시켰다. 그 다음 통과한 시료 1 ml를 취해 메탄올 9 ml을 이용하여 리포좀의 막을 파괴시켰다. 이렇게 준비한 시료를 HPLC를 이용하여 이데베논(278 nm)을 측정하였다. 측정한 이데베논 HPLC값을 표준(이데베논 0.01%)과 동일 농도로 계산 후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Spandex 컬럼을 통과시킨 HPLC 값과 이데베논 0.01% HPLC 값의 비율로 포집율을 측정하였다.
[수학식 1]
포집율 = A / B × 100
상기 수학식에서, A는 Spandex 컬럼을 통과한 이데베논의 HPLC 값이고, B는 이데베논 0.01%의 HPLC 값이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No 포집율(%)
A0 72.3
A1 72.4
A2 72.6
A3 72.8
A4 81.6
A5 81.9
A6 82.0
상기 표 4 및 표 5를 통해, 유화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감소하나, 3 중량% 이상에서는 포집율이 거의 동등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오일 함량에 따른 리포좀 입자 특성 및 이데베논 포집율
하기 표 6과 같이 오일인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성분 조성비(중량%)
B0 B1 B2 B3 B4 B5 A4
수상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5
유상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3.0
콜레스테롤 0.2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0 4.0 4.5 5.0 6.0 9.0 10
폴리소르베이트 60 0.3
에탄올상 에탄올 10
페녹시에탄올 0.4
이데베논 1
오일의 함량에 따른 입자크기와 입자분산지수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No 입자크기(nm) 입자분산지수(PdI)
B0 69.7 0.209
B1 70.6 0.214
B2 68.4 0.201
B3 72.5 0.209
B4 70.6 0.195
B5 81.0 0.238
A4 77.6 0.232
또한, 오일의 함량에 따른 이데베논 포집율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No 포집율(%)
B0 73.0
B1 73.4
B2 83.2
B3 82.2
B4 82.1
B5 82.2
A4 81.6
상기 표 7 및 표 8을 통해, 오일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4.5 중량% 이상에서는 포집율이 거의 동등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콜레스테롤 함량에 따른 리포좀 입자 특성 및 이데베논 포집율
하기 표 9와 같이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성분 조성비(중량%)
C0 C1 C2 C3 C4 B2 C5
수상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5
유상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3.0
콜레스테롤 0.1 0.15 0.2 0.22 0.24 0.25 0.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5
폴리소르베이트 60 0.3
에탄올상 에탄올 10
페녹시에탄올 0.4
이데베논 1
콜레스테롤의 함량에 따른 입자크기와 입자분산지수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No 입자크기(nm) 입자분산지수(PdI)
C0 75.7 0.197
C1 67.1 0.197
C2 85.5 0.225
C3 72.0 0.187
C4 66.9 0.214
B2 68.4 0.201
C5 60.6 0.191
또한, 콜레스테롤의 함량에 따른 이데베논 포집율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No 포집율(%)
C0 81.9
C1 81.9
C2 81.7
C3 83.6
C4 83.8
B2 83.8
C5 83.7
상기 표 10 및 표 11을 통해, 콜레스테롤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0.22 중량% 이상에서는 포집율이 거의 동등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보조유화제 함량에 따른 리포좀 입자 특성 및 이데베논 포집율
하기 표 12와 같이 보조유화제로서 폴리소르베이트 60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성분 조성비(중량%)
D0 D1 D2 D3 C3 D4 D5
수상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5
유상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3.0
콜레스테롤 0.22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5
폴리소르베이트 60 0.1 0.15 0.2 0.25 0.3 0.35 0.4
에탄올상 에탄올 10
페녹시에탄올 0.4
이데베논 1
보조유화제의 함량에 따른 입자크기와 입자분산지수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No 입자크기(nm) 입자분산지수(PdI)
D0 61.0 0.183
D1 58.8 0.208
D2 53.2 0.210
D3 58.8 0.199
C3 72.0 0.187
D4 68.4 0.201
D5 53.5 0.192
또한, 보조유화제의 함량에 따른 이데베논 포집율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No 포집율(%)
D0 82.4
D1 82.1
D2 83.6
D3 84.2
C3 83.6
D4 85.1
D5 85.2
상기 표 13 및 표 14를 통해, 보조유화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감소하다가 0.25 중량% 이상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0.35 중량% 이상에서는 포집율이 거의 동등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에탄올 함량에 따른 리포좀 입자 특성 및 이데베논 포집율
하기 표 15와 같이 에탄올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리포좀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성분 조성비(중량%)
E0 D5 E1 E2
수상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1.5
유상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3.0
콜레스테롤 0.22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4.5
폴리소르베이트 60 0.4
에탄올상 에탄올 5 10 15 20
페녹시에탄올 0.4
이데베논 1
에탄올의 함량에 따른 입자크기와 입자분산지수를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No 입자크기(nm) 입자분산지수(PdI)
E0 76.6 0.201
D5 53.5 0.192
E1 50.1 0.208
E2 59.3 0.193
또한, 에탄올의 함량에 따른 이데베논 포집율을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No 포집율(%)
E0 73.4
D5 85.2
E1 85.3
E2 86.1
상기 표 16 및 표 17을 통해, 에탄올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입자 크기가 감소하다가 20 중량% 이상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며, 10 중량% 이상에서는 포집율이 거의 동등 수준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1: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 나노에멀젼의 안정성 평가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이데베논을 에탄올에 1 중량%의 농도로 녹인 리포좀화하지 않은 이데베논 용액(A)과 상기 D5 의 리포좀 나노에멀젼(B)을 25℃의 조건에서 12주 동안 보관하면서 일정 기간마다 침전, 색변화 및 취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7일째에 리포좀화하지 않은 이데베논 용액(A)은 침전현상을 보이지만, D5의 리포좀 나노에멀젼(B)은 동일한 성상을 유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D5의 리포좀 나노에멀젼(B)은 12주 후에도 동일한 성상을 유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도 2를 통해 D5의 리포좀 나노에멀젼(B)은 리포좀화하지 않은 이데베논 용액(A)보다 투명도도 우수한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투과 평가
프란츠 확산 셀(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한 피부투과를 평가하였다. 피부는 시험관내(in vitro) 경피 확산평가를 위한 합성 모델인 Strat-M® 멤브레인을 이용하였다. 매끄러운 부분이 위로 향하도록 도너(donor)와 리셉터 페이스(receptor phase) 사이에 멤브레인을 고정시켰다. 리셉터 페이스(Receptor phase)와 접촉하는 표면의 면적은 1.093cm2이었고, 리셉터 페이스로는 물과 에탄올의 1:1(w/w%) 혼합액을 사용하였다. 리셉터 페이스는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140 rpm 속도로 교반시켰다. D5의 리포좀 나노에멀젼과, 대조군으로 이데베논을 에탄올에 1 중량%의 농도로 녹인 리포좀화하지 않은 이데베논 용액을 각각 0.6ml씩 도너의 멤브레인 표면에 가한 다음 1, 2, 3, 4, 7, 24 시간 후 (총6회) 매 회 0.3ml의 리셉터 페이스를 샘플링 포트를 통해 피펫으로 채취 후 HPLC 측정을 하였다.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을 통해, D5의 리포좀 나노에멀젼이 대조군의 리포좀화하지 않은 이데베논 용액 대비 4.6배 이상 우수한 피부투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Claims (15)

  1.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으로서,
    상기 리포좀은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콜레스테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폴리소르베이트 60을 포함하는 지질층, 및
    상기 지질층 내부에 포집되는 이데베논을 포함하며,
    상기 수상은 에탄올 및 물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에멀젼은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이데베논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1 내지 10 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 내지 15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0.1 내지 1 중량%, 에탄올 5 내지 3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2. 제1항에 있어서, 보습제 및 방부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습제는 부틸렌글라이콜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부제는 페녹시에탄올, 1,2-헥산디올 및 펜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은 100 nm 이하의 입자 크기를 갖는 것인 나노에멀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포좀 내 이데베논의 포집율은 70% 이상인 나노에멀젼.
  8.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이 수상에 분산된 나노에멀젼의 제조방법으로서,
    (i) 수상과 유상을 각각 가온시키는 단계;
    (ii) 상기 수상에 유상을 넣으며 교반하는 단계;
    (iii) 상기 교반액에 에탄올상을 넣으며 교반하는 단계; 및
    (iv) 상기 교반액을 고압 균질기로 균질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수상은 물을 포함하며,
    상기 유상은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콜레스테롤,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폴리소르베이트 60을 포함하고,
    상기 에탄올상은 이데베논 및 에탄올을 포함하며,
    상기 나노에멀젼은 나노에멀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이데베논 0.1 내지 10 중량%, 글리세릴 시트레이트/락테이트/리놀리에이트/올리에이트 1 내지 10 중량%, 콜레스테롤 0.1 내지 1 중량%,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 내지 15 중량%, 폴리소르베이트 60 0.1 내지 1 중량%, 에탄올 5 내지 30 중량% 및 잔량의 물을 포함하는 제조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 및 단계 (iii)에서 교반은 1,200 내지 14,000 rpm으로 호모 믹서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v)에서 균질화는 700 내지 1,300 bar로 3 내지 5회 수행하는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iii)과 단계 (iv) 사이에 교반액을 냉각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조방법.
  13.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약제학적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4항 및 제6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또는 노화방지용 건강기능식품.
KR1020180168756A 2018-12-24 2018-12-24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KR1022147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756A KR102214721B1 (ko) 2018-12-24 2018-12-24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756A KR102214721B1 (ko) 2018-12-24 2018-12-24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393A KR20200079393A (ko) 2020-07-03
KR102214721B1 true KR102214721B1 (ko) 2021-02-15

Family

ID=715718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756A KR102214721B1 (ko) 2018-12-24 2018-12-24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7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855A (ko)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이데베논 경피 흡수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질 비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350B1 (ko) * 2020-07-13 2022-11-03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이데베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함유하는 지질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7522B1 (ko) * 2020-10-28 2023-09-12 코스맥스 주식회사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15363970B (zh) * 2022-09-22 2023-08-15 广州金御化妆品有限公司 一种水溶性艾地苯脂质体溶液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5484B1 (ko) * 2006-01-09 2007-12-12 한국콜마 주식회사 고농도의 이데베논을 나노캡슐화한 기제 조성물, 이의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한 화장료
KR100810164B1 (ko) * 2006-05-26 2008-03-06 한국콜마 주식회사 이데베논 나노캡슐을 함유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이의 제조방법
KR20090001265A (ko) 2007-06-29 2009-01-08 한국콜마 주식회사 주름개선용의 이데베논 및 이데베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화장료 조성물
KR101521868B1 (ko) * 2013-02-15 2015-05-20 한국콜마주식회사 피부 지질 복합체 및 보습 오일에 포접된 이데베논 캡슐을 포함하는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데베논 안정화 방법
KR101682984B1 (ko) * 2015-05-19 2016-12-08 한국콜마주식회사 제니스테인 메틸 에테르-함유 나노리포좀,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8855A (ko) 2021-10-25 2023-05-03 주식회사 알엠사이언스 이데베논 경피 흡수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지질 비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9393A (ko) 2020-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721B1 (ko) 이데베논이 포집된 리포좀을 함유하는 나노에멀젼
CN108721133B (zh) 一种α-熊果苷共输送纳米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7582677B2 (en) Lignan formulations
CN101346136A (zh) 可氧化剂的保护
US20220073443A1 (en) Cannabinoid formulation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20110072022A (ko) 성상 변화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WO1995009692A1 (fr) Agent tensio-actif, et produit cosmetique en emulsion et liposome le contenant
EP1084701A1 (de) O/W-Emulsion mit einem Gehalt an einem oder mehreren Biochinonen und einem erhöhten Gehalt an Glycerina
KR102138733B1 (ko) 인지질 나노구조체를 함유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2657B1 (ko) 해죽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6799542B2 (ja) コウジ酸誘導体を有効成分として含む長寿遺伝子活性化用組成物
TR201911262T4 (tr) Melatonin veya bunun türevleri ile koenzim q10 içeren bileşim ve bunun cilt yaşlanmasına karşı kullanımı.
JP5641665B2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10036166A (ko)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JP7432672B2 (ja) アスコルビン酸とリポソーム化したトコフェロール、メナジオン、リノール酸、及びレチニルパルミテートを含有する固形状剤型の化粧料組成物
KR102667301B1 (ko) 병풀 정량 추출물의 나노 현탁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544442B1 (ko) 불포화 레시틴을 함유한 안정한 나노리포좀 및 이를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
FR2774286A1 (fr) Composition cosmetique sous forme d'une phase grasse et procede pour sa preparation
KR102660509B1 (ko) 알칼리성 조건에서 식물성 혼합계면활성제의 제조방법과 장기 안정화 개선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8191A (ko)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7721B1 (ko) 신규한 생체 네트워크 모방 추출방법을 활용한 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73271B1 (ko) 미네랄코티코이드 수용체 활성 저해용 조성물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4433B1 (ko) 두부 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2105210B1 (ko) 레티노이드 유도체를 안정화시킨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