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542B1 -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542B1
KR102214542B1 KR1020200075933A KR20200075933A KR102214542B1 KR 102214542 B1 KR102214542 B1 KR 102214542B1 KR 1020200075933 A KR1020200075933 A KR 1020200075933A KR 20200075933 A KR20200075933 A KR 20200075933A KR 102214542 B1 KR102214542 B1 KR 1022145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dioxide
filter
flow path
flow rate
total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철
Original Assignee
에이티티(주)
에널텍티엠에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티티(주), 에널텍티엠에스(주) filed Critical 에이티티(주)
Priority to KR1020200075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5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5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5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26Organic contamination in water
    • G01N33/1846Total carbon analy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14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germanium, tin or l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3/0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 B01J23/70Catalysts comprising metals or metal oxides or hydrox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 B01J21/00 of the iron group metals or copper
    • B01J23/72Copp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 하, 폐수 중 적어도 하나의 물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하여 물의 총유기탄소를 측정할 수 있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유기탄소 측정장치는, 총유기탄소가 측정될 상, 하, 폐수 중 적어도 하나의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조(10); 물 저장조(10)로부터 반응관(21)으로 유입되는 물을 반응관(21)에서 가열하여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기(20); 반응관(21)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에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컨덴서(30); 서로 다른 복수의 촉매가 배치되는 필터부(42)를 이용하여 컨덴서(30)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중 총유기탄소 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하는 전처리기(40); 및 전처리기(40)에 설치되어 컨덴서(30)로부터 유입될 때의 이산화탄소 유량인 제1 이산화탄소 유량, 필터부(42)에 의해 방해물질이 한 번 이상 제거된 이산화탄소 유량인 제2 이산화탄소 유량 및 외부로 배출될 이산화탄소 유량인 제3 이산화탄소 유량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부(51)를 통해 물의 총유기탄소를 검출하는 TOC 검출기(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총유기탄소 측정장치{Measuring device for total organic carbon}
본 발명은 총유기탄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 하, 폐수 중 적어도 하나의 물로부터 생성된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하여 물의 총유기탄소를 측정할 수 있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활하수 및 산업폐수가 하천을 오염시키는 오염원으로는 유기물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유기물의 측정지표로는 COD(Chemical Oxygen Demand), BOD(Biological Oxygen Demand), TOC(Total Organic Carbon) 등이 있으며, 현재 국내에서는 COD와 BOD의 보완 방식을 채택하여 사용하지만 유기물의 약 60 %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반면, TOC 방식의 경우 유기물의 약 90 % 정도를 측정할 수 있어 유기물측정지표의 새로운 대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또한, 난분해성 유기물의 유입, BOD 측정의 긴 분석시간, COD 측정 시 2차 오염물질 발생 등의 원인으로 TOC 측정기의 중요성이 더 강조되는 실정이다.
기존의 TOC 측정기는 시료 내에 포함된 유기탄소 외에 불필요한 무기탄소를 제거하는 전처리 장치와, 수중의 다양한 유기탄소 물질을 전부 수증기 및 이산화탄로 산화시키기 위한 산화장치 및 반응기와, 산화된 이산화탄소를 측정하는 측정기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나, 이 경우 부피 및 크기가 매우 크고, 특히 TOC 측정 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TOC 측정기와 관련된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5445호(이하에서는 '선행기술 1')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7559호(이하에서는' 선행기술 2')가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 1은 총탄소와 총유기탄소와 총무기탄소 및 총질소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나의 측정 장치에서 별다른 개조 없이도 TC, TOC, TIC, TN 및 VOC를 겸용으로 측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의 방식인 TC와 TIC를 측정한 후 TOC=TC-TIC를 계산하여 TOC를 구하는 방식에 비하여 정확도가 높으며, 캐리어 가스로 고순도 질소를 사용하지 않고 공기를 정제하여 공급하여도 무방하기 때문에 측정을 위한 단가도 저렴한 측정장치가 개시된다.
선행기술 2는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기탄소가 제거된 측정 시료를 산화시킬 때 사용하는 산화로를 슬라이드에 장착하여 측정장치의 내부 및 외부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장치의 유지관리성이 향상된 효과가 있으며, 비분산적외선 센서의 전압값을 이용하여 총유기탄소를 측정함으로써, 측정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들은 시료로부터 이산화탄소를 생성하는 산화 및 반응 공정이 복잡함에 따라, 산화 및 반응 공정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은 TOC 측정 공정 중에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완벽히 제거하지 않는 공정이 미구성됨에 따라, 최종적으로 도출하는 TOC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65445호(2014. 11. 20.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87559호(2016. 01. 15.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시료인 물로부터 용이하게 이산화탄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완벽히 제거함으로써 상, 하, 폐수 중 적어도 하나의 물에 대한 총유기탄소의 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기반으로 방해물질의 제거 정도를 확인하여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는 촉매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총유기탄소의 오차가 발생될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총유기탄소 측정장치는, 총유기탄소가 측정될 상, 하, 폐수 중 적어도 하나의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조(10); 물 저장조(10)로부터 반응관(21)으로 유입되는 물을 반응관(21)에서 가열하여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기(20); 반응관(21)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에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컨덴서(30); 서로 다른 복수의 촉매가 배치되는 필터부(42)를 이용하여 컨덴서(30)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중 총유기탄소 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하는 전처리기(40); 및 전처리기(40)에 설치되어 컨덴서(30)로부터 유입될 때의 이산화탄소 유량인 제1 이산화탄소 유량, 필터부(42)에 의해 방해물질이 한 번 이상 제거된 이산화탄소 유량인 제2 이산화탄소 유량 및 외부로 배출될 이산화탄소 유량인 제3 이산화탄소 유량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부(51)를 통해 물의 총유기탄소를 검출하는 TOC 검출기(50);를 포함한다.
또한, 반응기(20)는, 내부를 관통하는 반응관(21)을 통해 반응관(21)을 체결하는 클램프(22); 및 클램프(22)와 반응관(21)의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반응관(21)의 열이 클램프(21)에 도달하기 전에 방열하는 방열판(23);을 포함한다.
그리고 클램프(22)는, 반응관(21)을 투터치 피팅 구조로 체결하여 총유기탄소 측정 과정에서 반응관(21)의 체결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클램프(22)는, 반응관(21)의 상부가 인입되는 인입구(220a) 및 제1 나사산(220b)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1 피팅(220); 반응관(21)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구(221a)가 형성되며, 제1 나사산(220b)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산(221b)이 상측에 형성되는 제2 피팅(221); 및 제1 피팅(220)과 제2 피팅(221)이 나사결합될 때, 제1 피팅(220)과 제2 피팅(221)의 간극에 배치되어 물 저장조(10)로부터 반응관(21)에 유입되지 않고 누수되는 물을 방수 처리하는 오링(2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전처리기(40)는, 컨덴서(3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필터부(42)로 유입되도록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유입관(41); 이산화탄소 유입관(41)과 연결되며, 서로 다른 복수의 촉매가 배치되는 하나 이상 필터를 통해 이산화탄소 유입관(41)으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하는 상기 필터부(42); 필터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필터와 인접한 필터를 연결하며, 필터로부터 인접한 필터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동경로부(43); 및 필터부(42)와 연결되며, 필터부(42)로부터 방해물질이 최종 제거된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을 포함한다.
또한, 필터부(42)는,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이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이산화탄소 유입관(41)으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촉매(420a)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필터(420); 제1 필터(420) 하측의 홈을 관통하는 유동경로부(43)가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제1 필터(42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제1 필터(420)에서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로부터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촉매(420a)와 다른 제2 촉매(421a)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필터(421); 제2 필터(421) 하측의 홈을 관통하는 유동경로부(43)가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제2 필터(421)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제2 필터(421)에서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로부터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2 촉매(420a, 421a)와 다른 제3 촉매(422a)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3 필터(422); 및 제3 필터(422) 하측의 홈을 관통하는 유동경로부(43)가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제3 필터(422)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제3 필터(422)에서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로부터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 촉매(422a)와 동일한 제4 촉매(423a)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4 필터(42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촉매(420a)는, 이산화탄소 유입관(41)으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주석이다.
또한, 제2 촉매(421a)는, 제1 필터(420)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리이다.
그리고 제3, 4 촉매(422a, 423a)는, 제2 필터(421) 및/또는 제3 필터(422)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그라스울이다.
또한, 유동경로부(43)는, 제1 필터(420)의 하측 홈과 제2 필터(421)의 상측 홈을 관통하여 제1 필터(420)에서 제2 필터(421)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동경로부(430); 제2 필터(421)의 하측 홈과 제3 필터(422)의 상측 홈을 관통하여 제2 필터(421)에서 제3 필터(422)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동경로부(431); 및 제3 필터(422)의 하측 홈과 제4 필터(423)의 상측 홈을 관통하여 제3 필터(422)에서 제4 필터(423)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제3 유동경로부(432);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2, 3 유동경로부(430, 431, 432)는, 유동경로가 원형의 유동경로가 되도록, 내부에서 이산화탄소가 유동 가능한 오링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센서부(51)는,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제1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510); 제1 유동경로부(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유동경로부(430)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제2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2 센서(511); 제2 유동경로부(4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유동경로부(431)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제2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3 센서(512); 제3 유동경로부(432)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3 유동경로부(432)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제2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4 센서(513); 및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제3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5 센서(514);를 포함한다.
그리고 TOC 검출기(50)는, 제1, 2, 3, 4 센서(510, 511, 512, 513)에서 각각 감지된 제1, 2 이산화탄소 유량을 기반으로 방해물질의 제거 정도를 확인하며, 제5 센서(514)에서 감지된 제3 이산화탄소 유량을 기반으로 물의 총유기탄소를 검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료인 물로부터 용이하게 이산화탄소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완벽히 제거함으로써 상, 하, 폐수 중 적어도 하나의 물에 대한 총유기탄소의 오차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기반으로 방해물질의 제거 정도를 확인하여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는 촉매의 교체시기를 용이하게 판단함으로써,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됨과 동시에 총유기탄소의 오차가 발생될 확률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총유기탄소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총유기탄소 측정장치의 실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덴서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기의 정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의 총유기탄소 측정장치(1)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총유기탄소 측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총유기탄소 측정장치의 실제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기의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컨덴서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기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전처리기의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바람직한 실시예의 총유기탄소 측정장치(1)는 상수, 하수 및 폐수 중 적어도 하나의 물로부터 총유기탄소(TOC)를 측정하기 위해 물 저장조(10), 반응기(20), 컨덴서(30), 전처리기(40) 및 TOC 검출기(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물 저장조(10)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1)에서 총유기탄소가 측정될 시료인 상수, 하수 및 폐수 중 적어도 하나의 물을 저장하며, 물의 특성상 상기 물에 의해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 저장조(10)에 저장되는 물은 상기 상수, 하수 및 폐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반도체용 처리수, 냉각수, 보일러수 등의 시료도 포함될 수 있다.
반응기(20)는 물 저장조(10)로부터 일정량만큼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여 산화시킴으로써, 유입된 물로부터 수증기 및 이산탄소가 포함된 가스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반응기(20)는 반응관(21), 클램프(22) 및 방열판(23)로 이루어진다.
반응관(21)은 석영관으로 이루어지며, 물 저장조(10)로부터 유입된 물이 별도의 가열수단(미도시)에 의해 가열된다.
여기서, 가열수단(미도시)의 가열 방식은 마이크로파 가열기의 마이크로파에 의해 가열되는 방식 및 적외선 램프의 적외선을 통해 가열되는 방식 중 하나가 채택될 수 있으나,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석영관을 가열하는 다른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또한, 반응관(21)은 가열수단(미도시)에 의해 가열되어 약 1200 ℃까지 가열되면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클램프(22)는 제1 피팅(220), 제2 피팅(221) 및 오링(222)으로 이루어진다.
제1 피팅(220)은 반응관(21)의 체결을 위해 인입구(220a) 및 제1 나사산(220b)이 형성된다.
인입구(220a)는 제1 피팅(220)의 하측에 형성되어 반응관(21)의 상부가 인입되도록 한다.
제1 나사산(220b)은 제1 피팅(220)의 하측에 형성되며, 제2 피팅(22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2 나사산(221b)과 맞물리게 되어 제1 피팅(221)과 제2 피팅(222)이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제2 피팅(221)은 반응관(21)의 체결을 위해 관통구(221a) 및 제2 나사산(221b)이 형성된다.
관통구(221a)는 제2 피팅(221)의 상측 및 하측을 관통하여 제1 피팅(220)에 인입될 반응관(21)의 상부가 관통되도록 한다.
제2 나사산(221b)은 제2 피팅(221)의 상측에 형성되며, 제1 피팅(220)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1 나사산(220b)과 맞물리게 되어 제1 피팅(221)과 제2 피팅(222)이 나사결합되도록 한다.
오링(222)은 제1 피팅(220)과 제2 피팅(221)이 나사결합될 때, 제1 피팅(220)과 제2 피팅(221)의 간극에 배치되어 상기 간극의 밀폐성을 확보함으로써, 물 저장조(10)로부터 반응관(21)에 유입되지 않고 누수되는 물을 방수 처리한다.
여기서, 오링(222)은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 피팅(220)과 제2 피팅(221)의 간극은 제1 나사산(220b)과 제2 나사산(221b)의 틈새를 의미한다.
방열판(23)은 반응관(21)과 클램프(22)의 사이에 배치되어 반응관(21)에서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가스를 생성하기 위해 발생되는 열이 클램프(22)에 도달하기 전에 방열함으로써, 반응관(21)에서 발생되는 열로부터 클램프(22)를 보호한다.
또한, 방열판(23)은 방열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반응관(21)과 클램프(22)의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컨덴서(30)는 반응관(21)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에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컨덴서(30)는 반응관(21)과 연결되어 반응관(21)으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튜브(31)로 이루어진다.
또한, 컨덴서(30)는 튜브(31) 내에 유입된 가스로부터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기 위해 가스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장치(미도시)는 전자 또는 전기 냉각기, 응축관, 드레인 트랩 등의 냉각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튜브(31)는 반응관(21)으로부터 가스가 유입되는 유체통로와 내부에서 분리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위한 유체통로를 구비한다.
구체적인 일례로, 튜브(31)는 가스가 유입되는 제1 유체통로(32), 수증기가 냉각되어 하측에 생성된 수분(31a)을 배출하기 위한 제2 유체통로(33) 및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위한 제3 유체통로(34)를 구비한다.
상기 유체통로 중 제3 유체통로(34)는 수증기와 분리된 이산화탄소가 전처리기(40)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 전처리기(40)와 호스 등의 수단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처리기(40)는 제3 유체통로(34)를 따라 유동되는 이산화탄소로부터 총유기탄소 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하기 위해 이산화탄소 유입관(41), 필터부(42), 유동경로부(43) 및 이산화탄소 배출관(44)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방해물질은 이산화탄소에 포함되는 할로겐 화합물(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아이오딘, 이스타틴, 테네신)일 수 있다.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은 제3 유체통로(34)와 연결되면서 제1 필터(420)의 상측 홈을 관통하여 제3 유체통로(34)를 따라 유동되는 이산화탄소가 제1 필터(420)의 내부에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유동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은 이산화탄소의 유동경로가 원형의 유동경로가 되도록, 내부에서 이산화탄소가 유동 가능한 오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의 형태를 오링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필터부(42)는 이산화탄소 유입관(41)과 연결되며, 서로 다른 복수의 촉매가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필터를 이용하여 이산화탄소 유입관(41)으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한다.
이러한 필터부(42)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하기 위한 제1 필터(420), 제2 필터(421), 제3 필터(422) 및 제4 필터(423)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 2, 3, 4 필터(420, 421, 422, 423)는 수직방향으로 일렬 배치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일렬배치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2, 3, 4 필터(420, 421, 422, 423)는 제1, 2, 3 유동경로부(430, 431, 432)를 따라 수직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다.
제1 필터(420)는 상측의 홈을 관통하는 이산화탄소 유입관(41)으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촉매(420a)가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촉매(420a)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주석(Sn)일 수 있으며, 제1 촉매(420a)는 방해물질을 일부 또는 전부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한 실시예의 필터부(42)는 복수의 필터(420, 421, 422, 423)를 구비함에 따라, 제1 촉매(420a)는 방해물질을 일부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필터(421)는 제1 필터(420)의 하측 홈을 관통하는 제1 유동경로부(430)가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제1 필터(42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제1 필터(420)에서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로부터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2 촉매(421a)가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2 촉매(421a)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리(Cu)일 수 있으며, 제2 촉매(421a)는 상기 제1 촉매(420a)와 마찬가지로 방해물질을 일부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필터(422)는 제2 필터(421)의 하측 홈을 관통하는 제2 유동경로부(431)가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제2 필터(421)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제2 필터(421)에서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로부터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3 촉매(422a)가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3 촉매(422a)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그라스울(Glass Wool)일 수 있으며, 제3 촉매(422a)는 상기 제1, 2 촉매(420a, 421a)와 마찬가지로 방해물질을 일부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필터(423)는 제3 필터(422)의 하측 홈을 관통하는 제3 유동경로부(432)가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제3 필터(422)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제3 필터(422)에서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로부터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4 촉매(423a)가 내부에 배치된다.
여기서, 제4 촉매(423a)는 제3 촉매(422a)와 동일한 그라스울 일 수 있으며, 제4 촉매(423a)는 상기 제1, 2, 3 촉매(420a, 421a, 422a)와 마찬가지로 방해물질을 일부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제4 촉매(423a)를 통과한 이산화탄소는 방해물질이 완전 제거된 상태일 수 있다.
유동경로부(430)는 제1, 2, 3, 4 필터(420, 421, 422, 423)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경로를 제공하며 제1 유동경로부(430), 제2 유동경로부(431) 및 제3 유동경로부(432)로 이루어진다.
제1 유동경로부(430)는 이산화탄소가 내부의 유동경로를 따라 제1 필터(420)로부터 제2 필터(421)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1 필터(420)의 하측 홈과 제2 필터(421)의 상측 홈을 관통한다.
제2 유동경로부(431)는 이산화탄소가 내부의 유동경로를 따라 제2 필터(421)로부터 제3 필터(422)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2 필터(421)의 하측 홈과 제3 필터(422)의 상측 홈을 관통한다.
제3 유동경로부(432)는 이산화탄소가 내부의 유동경로를 따라 제3 필터(422)로부터 제4 필터(423)로 유동되도록 하기 위해 제3 필터(422)의 하측 홈과 제4 필터(423)의 상측 홈을 관통한다.
이와 같은, 제1, 2, 3 유동경로부(430, 431, 432)는 이산화탄소의 유동경로가 원형의 유동경로가 되도록, 내부에서 이산화탄소가 유동 가능한 오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제1, 2, 3 유동경로부(430, 431, 432)의 형태를 오링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은 제4 필터(423)의 하측 홈을 관통하여 제4 필터(423)에서 방해물질이 제거된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유동경로를 제공한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은 이산화탄소의 유동경로가 원형의 유동경로가 되도록, 내부에서 이산화탄소가 유동 가능한 오링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산화탄소 유입관(44)의 형태는 오링 형태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의 전처리기(40)는 제1, 2, 3, 4 촉매(420a, 421a, 422a, 423a)를 이용하여 제1, 2, 3, 4 필터(420, 421, 422, 423)에서 한 번 이상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며, 원형의 유동경로를 통해 이산화탄소를 유동시킬 수 있다.
TOC 검출기(50)는 전처리기(40)에 설치되는 센서부(51)를 통해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유량을 기반으로 물의 총유기탄소를 검출한다.
센서부(51)는 TOC 검출기(50)가 이산화탄소 유량을 기반으로 방해물질의 제거 정도와 물의 총유기탄소를 검출하기 위해 제1 센서(510), 제2 센서(511), 제3 센서(512), 제4 센서(513) 및 제5 센서(514)로 이루어진다.
제1 센서(510)는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을 따라 유동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1 센서(510)가 감지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제1 이산화탄소 유량으로서, 제1 이산화탄소 유량은 제3 유체통로(34)로부터 유입되어 이산화탄소 유입관(41)를 따라 유동되는 방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의미한다.
제2 센서(511)는 제1 유동경로부(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1 유동경로부(430)를 따라 유동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2 센서(511)가 감지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제2 이산화탄소 유량으로서, 제1 촉매(420a)에 의해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의미한다.
제3 센서(512)는 제2 유동경로부(4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2 유동경로부(431)를 따라 유동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3 센서(512)가 감지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제2 이산화탄소 유량으로서, 제2 촉매(421a)에 의해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의미한다.
제4 센서(513)는 제3 유동경로부(432)의 일측에 설치되어 제3 유동경로부(432)를 따라 유동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4 센서(513)가 감지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은 제2 이산화탄소 유량으로서, 제3 촉매(422a)에 의해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의미한다.
제5 센서(514)는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의 일측에 설치되어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을 따라 외부로 유동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감지한다.
여기서, 제5 센서(514)가 감지하는 이산화탄소 유량은 제3 이산화탄소 유량으로서,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을 따라 유동되는 방해물질이 완벽히 제거된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의미한다.
다만, 상기 제1, 2, 3, 4, 5 센서(510, 511, 512, 513, 514)는 도면에 미도시되었으나, 이산화탄소의 유동경로가 원형 형태임에 따라 하나 이상의 유동경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설치되는 구성요소의 타측에도 구비되어 것이 바람직하다.
TOC 검출기(50)는 상기 제1, 2, 3, 4 센서(510, 511, 512, 513)에서 각각 감지된 제1, 2 이산화탄소 유량을 기반으로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 제거 정도를 확인한다.
이를 통해, 총유기탄소 측정장치(1)의 사용자는 TOC 검출기(50)에서 확인된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 제거 정도를 기반으로 제1, 2, 3, 4 촉매(420a, 421a, 422a, 423a)의 교체 시기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TOC 검출기(50)는 상기 제5 센서(514)에서 감지된 제3 이산화탄소 유량을 기반으로 물의 총유기탄소를 검출한다.
이는, 제5 센서(514)가 감지한 제3 이산화탄소 유량에 방해물질이 완벽히 제거된 상태이기 때문이며, 이를 통해 총유기탄소 측정장치(10의 사용자는 물의 총유기탄소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TOC 검출기(50)에서 검출된 총유기탄소는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예: 블록체인 등)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총유기탄소 측정장치(1)는 수분 저장조(60), 이산화탄소 저장조(70), 유량 조절계(80) 및 프레임(90)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수분 저장조(60)는 컨덴서(30)의 제2 유체통로(33)를 따라 배출되는 수분(31a)이 저장된다.
이산화탄소 저장조(70)는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을 따라 외부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가 저장된다.
유량 조절계(80)는 각 저장조(10, 60, 70)에 저장된 유체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서 물 유량 조절계(81), 수분 유량 조절계(82) 및 이산화탄소 유량 조절계(83)로 이루어진다.
물 유량 조절계(81)는 물 저장조(10)에 저장된 물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수분 유량 조절계(82)는 수분 저장조(60)에 저장된 수분(31a)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산화탄소 유량 조절계(83)는 이산화탄소 저장조(7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프레임(90)은 총유기탄소 측정장치(1)의 외형을 이루며, 상기 총유기탄소 측정장치(1)의 구성요소들(10, 20, 30, 40, 50, 60, 70, 80)이 외, 내벽에 결합되거나 내부에 배치되도록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10: 물 저장조,
20: 반응기, 21: 반응관,
22: 클램프, 220: 제1 피팅,
220a: 인입구, 220b: 제1 나사산,
221: 제2 피팅, 221a: 관통구,
221b: 제2 나사산, 222: 오링,
23: 방열판, 30: 컨덴서,
31: 튜브, 31a: 수분,
32: 제1 유체통로, 33: 제2 유체통로,
34: 제3 유체통로, 40: 전처리기,
41: 이산화탄소 유입관, 42: 필터부,
420: 제1 필터, 420a: 제1 촉매,
421: 제2 필터, 421a: 제2 촉매,
422: 제3 필터, 422a: 제3 촉매,
423: 제4 필터, 423a: 제4 촉매,
43: 유동경로부, 430: 제1 유동경로부,
431: 제2 유동경로부, 432: 제3 유동경로부,
44: 이산화탄소 배출관, 50: TOC 검출기,
51: 센서부, 510: 제1 센서,
511: 제2 센서, 512: 제3 센서,
513: 제4 센서, 514: 제5 센서,
60: 수분 저장조, 70: 이산화탄소 저장조,
80: 유량 조절계, 81: 물 유량 조절계,
82: 수분 유량 조절계, 83: 이산화탄소 유량 조절계,
90: 프레임.

Claims (13)

  1. 총유기탄소가 측정될 상수, 하수, 폐수 중 적어도 하나의 물이 저장되는 물 저장조(10);
    상기 물 저장조(10)로부터 반응관(21)으로 유입되는 물을 상기 반응관(21)에서 가열하여 수증기 및 이산화탄소가 포함된 가스를 생성하는 반응기(20);
    상기 반응관(21)으로부터 유입되는 가스에서 수증기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컨덴서(30);
    서로 다른 복수의 촉매가 배치되는 필터부(42)를 이용하여 상기 컨덴서(30)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중 총유기탄소 측정에 오차를 발생시키는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하는 전처리기(40); 및
    상기 전처리기(40)에 설치되어 상기 컨덴서(30)로부터 유입될 때의 이산화탄소 유량인 제1 이산화탄소 유량, 상기 필터부(42)에 의해 방해물질이 한 번 이상 제거된 이산화탄소 유량인 제2 이산화탄소 유량 및 외부로 배출될 이산화탄소 유량인 제3 이산화탄소 유량을 각각 감지하는 센서부(51)를 통해 상기 물의 총유기탄소를 검출하는 TOC 검출기(50);를 포함하고,
    상기 전처리기(40)는,
    상기 컨덴서(3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상기 필터부(42)로 유입되도록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유입관(41);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관(41)과 연결되며, 상기 서로 다른 복수의 촉매가 배치되는 하나 이상 필터를 통해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관(41)으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한 번 이상 제거하는 상기 필터부(42);
    상기 필터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된 홈을 관통하여 상기 필터와 인접한 필터를 연결하며, 상기 필터로부터 상기 인접한 필터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유동경로부(43); 및
    상기 필터부(42)와 연결되며, 상기 필터부(42)로부터 방해물질이 최종 제거된 이산화탄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을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42)는,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이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관(41)으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제1 촉매(420a)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1 필터(420);
    상기 제1 필터(420) 하측의 홈을 관통하는 상기 유동경로부(43)가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필터(420)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상기 제1 필터(420)에서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로부터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제1 촉매(420a)와 다른 제2 촉매(421a)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2 필터(421);
    상기 제2 필터(421) 하측의 홈을 관통하는 상기 유동경로부(43)가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필터(421)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상기 제2 필터(421)에서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로부터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제1, 2 촉매(420a, 421a)와 다른 제3 촉매(422a)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3 필터(422); 및
    상기 제3 필터(422) 하측의 홈을 관통하는 상기 유동경로부(43)가 상측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3 필터(422)로부터 이산화탄소가 유입되며, 상기 제3 필터(422)에서 방해물질이 일부 제거된 이산화탄소로부터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상기 제3 촉매(422a)와 동일한 제4 촉매(423a)가 내부에 배치되는 제4 필터(423);를 포함하고,
    상기 유동경로부(43)는,
    상기 제1 필터(420)의 하측 홈과 상기 제2 필터(421)의 상측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1 필터(420)에서 상기 제2 필터(421)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제1 유동경로부(430);
    상기 제2 필터(421)의 하측 홈과 상기 제3 필터(422)의 상측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필터(421)에서 상기 제3 필터(422)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제2 유동경로부(431); 및
    상기 제3 필터(422)의 하측 홈과 상기 제4 필터(423)의 상측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3 필터(422)에서 상기 제4 필터(423)로 이산화탄소가 유동되도록 내부에 유동경로를 제공하는 제3 유동경로부(432);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51)는,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관(41)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제1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1 센서(510);
    상기 제1 유동경로부(4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동경로부(430)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제2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2 센서(511);
    상기 제2 유동경로부(431)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유동경로부(431)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제2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3 센서(512);
    상기 제3 유동경로부(432)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3 유동경로부(432)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제2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4 센서(513); 및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산화탄소 배출관(44)의 유동경로를 따라 유동되는 상기 제3 이산화탄소 유량을 감지하는 제5 센서(5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20)는,
    내부를 관통하는 상기 반응관(21)을 통해 상기 반응관(21)을 체결하는 클램프(22); 및
    상기 클램프(22)와 상기 반응관(21)의 사이에 하나 이상 배치되어 상기 반응관(21)의 열이 상기 클램프(22)에 도달하기 전에 방열하는 방열판(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2)는,
    상기 반응관(21)을 투터치 피팅 구조로 체결하여 총유기탄소 측정 과정에서 상기 반응관(21)의 체결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22)는,
    상기 반응관(21)의 상부가 인입되는 인입구(220a) 및 제1 나사산(220b)이 하측에 형성되는 제1 피팅(220);
    상기 반응관(21)에 의해 관통되는 관통구(221a)가 형성되며, 상기 제1 나사산(220b)과 나사결합되기 위한 제2 나사산(221b)이 상측에 형성되는 제2 피팅(221); 및
    상기 제1 피팅(220)과 상기 제2 피팅(221)이 나사결합될 때, 상기 제1 피팅(220)과 상기 제2 피팅(221)의 간극에 배치되어 상기 물 저장조(10)로부터 상기 반응관(21)에 유입되지 않고 누수되는 물을 방수 처리하는 오링(22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촉매(420a)는,
    상기 이산화탄소 유입관(41)으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주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촉매(421a)는,
    상기 제1 필터(420)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구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4 촉매(422a, 423a)는,
    상기 제2 필터(421) 및/또는 상기 제3 필터(422)로부터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방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그라스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10. 삭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3 유동경로부(430, 431, 432)는,
    상기 유동경로가 원형의 유동경로가 되도록, 내부에서 이산화탄소가 유동 가능한 오링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12. 삭제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TOC 검출기(50)는,
    상기 제1, 2, 3, 4 센서(510, 511, 512, 513)에서 각각 감지된 상기 제1, 2 이산화탄소 유량을 기반으로 방해물질의 제거 정도를 확인하며, 상기 제5 센서(514)에서 감지된 상기 제3 이산화탄소 유량을 기반으로 상기 물의 총유기탄소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KR1020200075933A 2020-06-22 2020-06-22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KR1022145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33A KR102214542B1 (ko) 2020-06-22 2020-06-22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933A KR102214542B1 (ko) 2020-06-22 2020-06-22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542B1 true KR102214542B1 (ko) 2021-02-10

Family

ID=74561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933A KR102214542B1 (ko) 2020-06-22 2020-06-22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5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547B1 (ko) * 2021-12-27 2022-03-28 주식회사 에이치코비 고온연소산화식 총유기탄소 측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126A (ja) * 1999-04-13 2000-10-24 Horiba Ltd 水質分析計
KR20040086395A (ko) * 2002-02-19 2004-10-08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기체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KR100927847B1 (ko) * 2009-03-02 2009-11-23 정성봉 총 유기탄소 분석기
KR101465445B1 (ko) 2014-08-05 2014-11-26 주식회사 엘가 총탄소와 총유기탄소와 총무기탄소 및 총질소 측정 장치
KR101587559B1 (ko) 2013-12-27 2016-01-27 (주) 휴마스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8126A (ja) * 1999-04-13 2000-10-24 Horiba Ltd 水質分析計
KR20040086395A (ko) * 2002-02-19 2004-10-08 프랙스에어 테크놀로지, 인코포레이티드 기체로부터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방법
KR100927847B1 (ko) * 2009-03-02 2009-11-23 정성봉 총 유기탄소 분석기
KR101587559B1 (ko) 2013-12-27 2016-01-27 (주) 휴마스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방법
KR101465445B1 (ko) 2014-08-05 2014-11-26 주식회사 엘가 총탄소와 총유기탄소와 총무기탄소 및 총질소 측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547B1 (ko) * 2021-12-27 2022-03-28 주식회사 에이치코비 고온연소산화식 총유기탄소 측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4542B1 (ko)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RU259465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параметров системы в целях уменьшения коррозии в установке первичной обработки нефти
JP2009008333A (ja) 排ガス処理装置
KR101587559B1 (ko)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및 상기 측정장치를 이용한 연소산화방식 총유기탄소 측정방법
KR101359903B1 (ko) 에어 흐름 변동에 의한 측정값 편차를 최소화한 총유기 탄소 및 총질소 함유량 측정 장치
CN208642222U (zh) 一种废气吸附脱附专用活性炭箱罐
JP5533641B2 (ja) 分析装置
CN106092937A (zh) 采用气液分离膜的分子吸收光谱仪
JP2023052048A (ja) 成分分析システムおよび成分検出装置
JP4025702B2 (ja) 紫外線蛍光法による硫黄成分の分析方法及び分析装置
KR102176595B1 (ko) 고주파 가열 연소를 이용한 toc 측정 시스템
CN106645619A (zh) 一种实时原位水质监测仪及其监测方法
KR102231380B1 (ko) 연속적인 시료 주입이 가능한 총유기탄소 측정장치
CN104792704A (zh) Toc、tn、tp三指标连续同步实时在线测定方法与仪器
KR102087642B1 (ko) 시료 및 가스 공급을 자동화한 총 유기탄소 측정 장치.
KR102379547B1 (ko) 고온연소산화식 총유기탄소 측정기
KR101809021B1 (ko) 전도도법 검출방식의 총유기탄소 측정 센서 및 이를 이용한 총유기탄소 검출 시스템
RU2489714C2 (ru)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ределения содержания фосфора в водной пробе
JP5585434B2 (ja) 全有機体炭素測定装置
JP2008241534A (ja) 高温水用空冷式冷却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温水用分析装置
CN205910145U (zh) 基于燃烧法的总有机碳水质分析仪
JP3595461B2 (ja) 水質分析計
KR102074727B1 (ko) 가스 농도 측정 장치
JP2022520557A (ja) バイオガス中の気体種の濃度を測定する方法
JP5423662B2 (ja) 水質分析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