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985B1 - 바이패스 체크 밸브 및 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바이패스 체크 밸브 및 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985B1
KR102213985B1 KR1020167028196A KR20167028196A KR102213985B1 KR 102213985 B1 KR102213985 B1 KR 102213985B1 KR 1020167028196 A KR1020167028196 A KR 1020167028196A KR 20167028196 A KR20167028196 A KR 20167028196A KR 102213985 B1 KR102213985 B1 KR 102213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s
height
port
sealing membe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0719A (ko
Inventor
앤드류 니더흐트
브라이언 엠. 그레이첸
Original Assignee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filed Critical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Publication of KR20160140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9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47/00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 F16K47/04Means in valves for absorbing fluid energy for decreasing pressure or noise level, the throttle being incorporated in the closure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02Check valves with guided rigid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18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with variable cross-sections of intake ducts along their length; Venturis; Diff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2Arrangements of pumps or compressors, or control devic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04Arrangements of piping, valves in the piping, e.g. cut-off valves, couplings or air h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0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 F02M35/10229Fluid connections to the air intake system; their arrangement of pipes, valves or the like the intake system acting as a vacuum or overpressure source for auxiliary devices, e.g. brake systems; Vacuum cha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75Means to avoid a change in direction of incoming fluid, e.g. all intake ducts diverging from plenum chamber at acute angles; Check valves; Flame arrestors for backfire pre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7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using absorbing, damping, insulating or reflecting materials, e.g. porous foams, fibres, rubbers, fabrics, coatings or membra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754Line flow effect assis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38Plural
    • Y10T137/7839Dividing and recombining in a single flow path

Abstract

벤튜리 갭을 바이패스하는데 적절한 바이패스 체크 밸브들이 개시되고, 바이패스 체크 밸브들은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우징, 제1 시트에 대한 폐쇄 위치와 제2 시트에 대한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병진 가능한 내부 캐비티 내의 밀봉 부재를 포함한다. 제2 시트는 사전 결정된 높이의 중간 영역를 가지는 지지 구조체와, 중간 영역의 사전 결정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지는 하류측을 형성한다. 밀봉 부재는 그 하류 부분이 그 상류 부분보다 제1 시트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상태에서 제2 시트에 대향하여 안착 가능하다.

Description

바이패스 체크 밸브 및 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A BYPASS CHECK VALVE AND VENTURI DEVICES HAVING THE SAME}
관련 출원
본 출원은 그 전체에 있어서 본원에 통합되는 2014년 4월 4일자 출원된 미국 특허 가출원 제61/975,542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벤튜리 효과를 사용하여 진공을 생성하기 위한 흡입기(aspirator)에서의 소음 감쇠와, 체크 밸브들, 특히 개선된 관통 공기 유동을 가지며 신속하게 밀봉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엔진, 예를 들어, 차량 엔진은 장기간 동안 흡입기들 및/또는 체크 밸브들을 포함하였다. 전형적으로, 흡입기들은 벤튜리 갭(Venturi gap)을 통해 진행하도록 엔진 공기의 일부를 유도하는 것에 의해 엔진 매니폴드 진공보다 낮은 진공을 발생시키도록 사용된다. 흡입기들은 그 안에 체크 밸브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시스템이 별개의 체크 밸브들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기 또는 체크 밸브의 대부분의 동작 조건 동안, 유동은 난류로서 분류된다. 이러한 것은 공기의 체적 운동(bulk motion)에 추가하여, 겹쳐지는 와류들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와류는 유체 역학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것이다. 동작 조건에 의존하여, 이러한 와류의 수, 물리적 크기, 및 위치는 계속해서 변한다. 존재하는 이러한 와류의 하나의 결과는 와류가 유체에서 압력파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압력파는 일정 범위의 진동수와 규모의 범위에 걸쳐서 발생된다. 이러한 압력파가 연결공(connecting hole)들을 통해 이러한 진공을 사용하는 디바이스로 진행할 때, 상이한 고유 진동수(natural frequency)가 여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유 진동수는 공기 또는 주위 구조물의 진동이다. 이러한 고유 진동수가 가청 범위에 있고 충분한 규모이면, 난류 발생 소음(turbulence generated noise)이 후드 아래에서 및/또는 객실에서 들리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불필요하며, 난류 공기 유동으로부터 초래되는 소음을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 신규의 흡입기 및/또는 체크 밸브들이 필요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소음 문제와 바이패스 체크 밸브에서 밀봉 부재의 고르지 않은 폐쇄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의해 극복되었다. 바이패스 체크 밸브는 제1 시트(seat) 및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를 형성하는 하우징, 및 제1 시트에 대한 폐쇄 위치와 제2 시트에 대한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병진운동 가능한 내부 캐비티 내의 밀봉 부재를 가진다. 제2 시트는, 사전 결정된 높이의 중간 영역을 가지는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중간 영역의 사전 결정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지는 하류측(downstream side)를 형성한다. 밀봉 부재는 그 하류 부분이 그 상류 부분보다 제1 시트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상태에서 제2 시트에 대향하여 안착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서, 제2 시트는 중간 영역의 높이보다 짧지만 하류측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상류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제1 시트에 대해 거의 평면인 폐쇄 위치와 제2 시트에 대해 아치형 위치(arcuate position) 사이에서 편향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거의 강성이며, 바이패스 체크 밸브의 제1 시트를 형성하는 표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제2 시트에 안착된다.
중간 영역은 사전 결정된 거리보다 제1 시트에 근접하여 밀봉 부재를 위치시키는 높이를 가지며, 지지 구조체는 체크 밸브의 유출 포트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다수의 핑거들을 포함한다. 다수의 핑거들은 상이한 높이 및 다음의 배열을 가진다: (i) 중간 영역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핑거들; (ⅱ) 중간 영역을 형성하는 핑거들의 전체 높이보다 약 10% 내지 약 30% 짧은 높이를 가지는, 중간 영역의 상류측 상의 하나 이상의 중간 높이 핑거들; 및 (ⅲ) 중간 높이 핑거들의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지는, 중간 영역의 하류측 상의 하나 이상의 짧은 핑거들.
지지 구조체는 중간 영역 반대편의 면에 근접하도록 하나 이상의 중간 높이 핑거들에 대하여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제4 높이 핑거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4 높이 핑거들은 중간 높이 핑거들의 높이보다 작지만 하나 이상의 짧은 핑거들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진다. 또한, 중간 영역 반대편의 면에 근접하도록 짧은 핑거들에 대하여 위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5 높이 핑거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제5 높이 핑거들은 짧은 핑거들보다 작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하우징은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핀, 밀봉 부재를 관통하는 보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핀은 핀을 따르는 밀봉 부재의 병진운동을 위하여 보어에 수용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들은, 벤튜리 갭의 하류에 배치되고, 벤튜리 갭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포트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제어하도록 벤튜리 디바이스에 포함될 수 있다. 벤튜리 디바이스는 벤튜리 갭과 유체 소통하는 흡입 포트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제2 체크 밸브, 및 벤튜리 갭과 바이패스 체크 밸브의 제2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에 배치된 제1 소리감쇠 부재, 및/또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내로 유입 포트의 상류에 연결되는 제2 소리감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소리감쇠 부재를 수용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제1 챔버로부터 상류의 상기 벤튜리 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출 섹션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제2 챔버를 형성하는 듀얼 챔버형 캐니스터에 상기 소리감쇠 부재가 수용되며; 제2 소리감쇠 부재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와 유체 소통하는(fluid communication) 유동 경로 내에 소리감쇠 부재를 배치하는 도관 또는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관 또는 하우징은 단일 챔버 또는 제1 소리감쇠 부재의 듀얼 챔버와 유사한 듀얼 챔버일 수 있다.
일 실시예는, 벤튜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중앙 길이 방향 축선을 가지는 통로를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흡입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유체 합류 지점에서 제2 테이퍼링 부분에 결합된 제1 테이퍼링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테이퍼링 부분의 하류에 위치되어 상기 통로와 유체 소통하는 바이패스 포트를 한정하고, 상기 바이패스 포트를 통한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를 한정하며; 상기 바이패스 체크 밸브는: 폐쇄 위치를 한정하는 제1 시트(seat)와 개방 위치를 한정하는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 - 여기서,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바이패스 포트에 대해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돌출하는 다수의 핑거를 포함함;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에 위치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다수의 핑거에 대해 각을 이룬 또는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핑거는 가장 짧은 핑거 및 상기 가장 짧은 핑거보다 긴 복수의 핑거들을 가지고, 상기 가장 짧은 핑거는 통로와 유체 소통하는 바이패스 포트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고, 바이패스 포트의 유체 소통하는 상기 밀봉 부재의 제1 부분에 대해 필요한 상기 폐쇄 위치까지의 더 긴 진행 거리를 정의하고, 상기 가장 짧은 핑거보다 긴 복수의 핑거들은 통로와 유체 소통하는 바이패스 포트에 대해 상류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부재의 제2 부분에 대해 필요한 상기 폐쇄 위치까지의 더 짧은 진행 거리를 정의하고, 이에 의해 작동 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압력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트에 대해 서로 더 근접한 시간에 안착되는, 벤튜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벤튜리 디바이스는, 상기 흡입 포트와 상기 바이패스 포트 사이 상기 통로의 유체 경로에 배치된 제1 소리 감쇠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벤튜리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소리 감쇠 부재는 듀얼 챔버형 캐니스터에 수용되며, 상기 듀얼 챔버형 캐니스터는 상기 제1 소리 감쇠 부재를 수용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제2 테이퍼링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는 제2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1 챔버의 상류에 있는, 벤튜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벤튜리 디바이스는, 상기 바이패스 체크 밸브의 유입 포트의 상류에 연결된 제2 소리 감쇠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체크 밸브 유닛에 있어서, 유입 포트, 유출 포트, 및 상기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내부 캐비티를 한정하고 그에 의해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내부 캐비티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 포트까지 유동 경로를 한정하는 하우징 - 여기서, 상기 내부 캐비티는 폐쇄 위치를 한정하는 제1 시트(seat)와 개방 위치를 한정하는 제2 시트를 가지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유출 포트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돌출하는 다수의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면의 평면을 가로 지르는 중앙 축선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축선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된 가장 짧은 핑거를 가짐;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부의 밀봉 부재 - 여기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중앙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상태 또는 상기 다수의 핑거들에 대하여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고 그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가장 짧은 핑거의 위치와 관련된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더 긴 진행 거리를 정의함;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 유닛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에 있어서, 중앙 길이 방향 축선을 가지는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통로와 유체 소통하는 체크 벨브를 위한 방출 포트를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방출포트를 형성하고, 제2 캐니스터 부분의 반대에서 소리 감쇠 부재가 안착할 수 있는 제1 캐니스터 부분을 형성하는 방출 포트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는 통로로부터 돌출되고, 방출 포트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핑거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면의 평면을 가로 지르는 중앙 축선에 위치된 높이가 가장 큰 대향하는 중앙 핑거들을 가지고 상기 중앙 축선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된 가장 짧은 핑거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일 수 있다.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니스터 부분은 벤튜리 부분에 의해 정의된 제2 캐니스터 부분에 결합될 수 있는,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일 수 있다.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상기 제1 캐니스터 부분은 상기 제2 캐니스터 부분을 넘어서 연장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상기 포트에 가장 근접하여 제1 챔버 내의 소리 감쇠 부재와 상기 제1 챔버의 상류에 제2 챔버를 수용하는 듀얼 챔버형 캐니스터를 한정하는,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일 수 있다.
바이패스 체크 밸브에 있어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이들과 유체 소통하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를 한정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한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제2 시트에 대한 개방 위치에서의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디스크(disc)이며; 상기 제2 시트는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들에 의해 한정된 사전 결정된 높이의 중간 영역을 가진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중간 영역의 상기 사전 결정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진 하류측을 한정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하류 부분이 그 상류 부분보다 상기 제1 시트로부터 더 먼 거리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안착될 수 있고, 여기서 하류는 제2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방향의 통로 내의 유동 방향에 관련되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중간 영역의 높이보다 짧지만 상기 하류측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진 상류측을 더 포함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일 수 있다.
바이패스 체크 밸브에 있어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이들과 유체 소통하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를 한정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한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제2 시트에 대한 개방 위치에서의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디스크이며; 상기 제2 시트는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들에 의해 한정된 사전 결정된 높이의 중간 영역을 가지는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중간 영역의 상기 사전 결정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진 하류측을 한정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하류 부분이 그 상류 부분보다 상기 제1 시트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안착될 수 있고 여기서 하류는 제2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방향의 통로 내의 유동 방향에 관련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관통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핀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핀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보어에 수용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일 수 있다.
바이패스 체크 밸브에 있어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이들과 유체 소통하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를 한정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한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제2 시트에 대한 개방 위치에서의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디스크이며; 상기 제2 시트는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들에 의해 한정된 사전 결정된 높이의 중간 영역을 가지는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중간 영역의 상기 사전 결정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진 하류측을 한정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하류 부분이 그 상류 부분보다 상기 제1 시트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안착될 수 있고, 여기서 하류는 제2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방향의 통로 내의 유동 방향에 관련되며; 상기 제1 시트는 제1 고리형 밀봉 비드(annular seal bead)와 상기 제1 고리형 밀봉 비드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제2 고리형 밀봉 비드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일 수 있다.
도 1은 난류 공기 유동으로부터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흡입기의 제1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흡입기의 측면 종단면도.
도 3a는 난류 공기 유동으로부터 소음을 감쇠시기키 위한 흡입기의 제2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흡입기의 측면 종단면도.
도 4a는 소리감쇠 부재의 한 실시예의 평면 사시도.
도 4b는 소리감쇠 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 사시도.
도 4c는 소리감쇠 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도 5a는 난류 공기 유동으로부터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흡입기의 제3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흡입기의 측면 종단면도.
도 6a는 난류 공기 유동으로부터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흡입기의 제4 실시예의 측면 사시도.
도 6b는 도 6a의 흡입기의 측면 종단면도.
도 7은 개선된 바이패스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난류 유동으로부터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흡입기의 제5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각각 도 7에 도시된 바이패스 체크 밸브의 하부 밸브 시트 부분의 단부 사시도 및 측면도.
도 9는 개선된 바이패스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난류 유동으로부터 소음을 감쇠시키기 위한 제6 실시예의 측면 종단면도.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일반적인 원리를 설명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별도로 첨부된 도면에서 추가로 예시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기능적으로 유사한 요소를 지시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유체"는 임의의 액체, 현탁액, 콜로이드(colloid), 가스, 플라즈마, 또는 그 조합을 의미한다.
도 1은 엔진, 예를 들어 차량 엔진에서 사용하기 위한, 대체로 도면부호 100에 의해 지시되는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엔진은 내연기관일 수 있으며, 차량 및/또는 엔진은 진공을 요구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들 및/또는 흡입기들은 엔진 스로틀 앞 및 엔진 스로틀 뒤에 내연기관에 때때로 연결된다. 엔진과 그 모든 구성요소 및/또는 서브시스템들은 본 명세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엔진의 특정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도록 포함되는 약간의 박스 외에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며, 엔진 구성요소들 및/또는 서브시스템들은 차량 엔진에서 임의의 공통으로 보이는 것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모티브 포트(motive port)(108)가 대기압에 연결되기 때문에, 도면들에 있는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흡입기들로서 지칭되지만, 실시예들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모티브 포트(108)는 과급기에 의해 만들어진 승압 공기(boosted air)에 기인하는 압력과 같은 승압된 압력에 연결될 수 있고,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는 이제 바람직하게는 이젝터로서 지칭되고, 총칭해서 양자는 벤튜리 디바이스로 지칭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들은 도 1 및 도 2, 도 3a 및 도 3b, 도 5a 및 도 5b, 도 6a 및 도 6b, 및 도 7의 실시예들과 같은 대안적인 실시예들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는 진공 필요 디바이스(102)에 연결될 수 있고, 벤튜리 효과를 생성하도록 디자인된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의 일부분의 길이를 대체로 확장하는 통로(144)를 통한 공기의 유동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102)를 위한 진공을 생성한다.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하우징 부분(104)과 하부 하우징 부분(106)으로 형성된 하우징(101)을 포함한다. 상부 부분과 하부 부분의 지정은 설명의 목적을 위하여 지면(page)에서 지향된 바와 같이 도면에 관계하고, 엔진 시스템에서 이용될 때 예시된 지향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하우징 부분(104)은 초음파 용접, 가열, 또는 그 사이에 기밀성 밀봉을 형성하기 위한 다른 종래의 방법에 의해 하부 하우징 부분(106)에 연결된다.
여전히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하부 하우징 부분(106)은 다수의 포트들을 포함하는 통로(144)를 형성하며, 포트들 중 일부는 엔진의 구성요소들 또는 서브시스템들에 연결 가능하다. 포트들은, (1) 전형적으로 흡입기로서 사용될 때 엔진의 스로틀의 상류에서 얻어지는 청정 공기를 엔진 흡기 클리너(170)로부터 공급하는 모티브 포트(108); (2) 체크 밸브(111)를 통해 진공 필요 디바이스(102)에 연결될 수 있는 흡입 포트(110); (3) 엔진의 스로틀의 하류의 엔진 흡기 매니폴드(172)에 연결되는 방출 포트(112); 및 선택적으로 (4) 바이패스 포트(114)를 포함한다. 체크 밸브(111)는 바람직하게는 유체가 흡입 포트(110)로부터 적용 디바이스(102)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한 실시예에서, 진공 필요 디바이스(102)는 차량 브레이크 부스트 디바이스(vehicle brake boost device)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바이패스 포트(114)는 진공 필요 디바이스(102)에 연결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그 사이의 유체 유동 경로에 있는 체크 밸브(120)를 포함할 수 있다. 체크 밸브(120)는 바람직하게는 유체가 바이패스 포트(114)로부터 적용 디바이스(102)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배열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실시예들에 있는 하부 하우징 부분(106)들은 하부 밸브 시트(124, 126)들을 포함한다. 각 하부 밸브 시트(124, 126)는 연속 외부 벽(128, 129), 선택적으로 하부 밸브 시트(124)에 있는 벽(130)과 같은 저부 벽에 의해 형성된다. 보어(132, 133)는 공기 통로(144)와의 공기 유동 소통을 허용하도록 각 하부 밸브 시트(124, 126)에서 형성된다. 도 2에서, 각 하부 밸브 시트(124, 126)는 그 상부면으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다수의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핑거(134, 135)들을 포함한다. 반경 방향으로 이격된 핑거(134, 135)들은 밀봉 부재(136, 137)를 지지하는데 기여한다.
도 1 및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상부 하우징 부분(104)은 만일 양쪽이 존재한다면 체크 밸브(111, 120)들을 형성하도록 하부 하우징 부분(106)과 짝을 이루거나 또는 이와 접합하도록 구성된다. 상부 하우징 부분(104)은 그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는 통로(146)를 형성하고, 다수의 포트들을 형성하며, 포트들 중 일부는 엔진의 구성요소들 또는 서브시스템들에 연결 가능하다. 포트들은, (1) 캡(174)으로 씌워질 수 있거나 또는 엔진의 구성요소 또는 서브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는 제1 포트(148); (2) 하부 하우징 부분(106)에 있는 흡입 포트(110)와 유체 소통하고, 흡입 포트와의 사이에 밀봉 부재(136)가 배치되는 제2 포트(150); (3) 하부 하우징 부분(106)에 있는 바이패스 포트(114)와 유체 소통하고, 바이패스 포트와의 사이에 밀봉 부재(137)가 배치되는 제3 포트(152); (4)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를 진공 필요 디바이스(102)에 연결하는 입구로서 기능할 수 있는 제4 포트(154)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 실시예에 있는 상부 하우징 부분(104)은 상부 밸브 시트(125, 127)들을 포함한다. 각 상부 밸브 시트(125, 127)는 연속적인 외벽(160, 161)과 저부 벽(162, 163)에 의해 형성된다. 양 상부 밸브 시트(125, 127)들은 각각 저부 벽(162, 163)들로부터 하부 하우징 부분(106)을 향하여 연장하는 핀(164, 165)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핀(164, 165)들은, 하부 밸브 시트(124)와 짝을 이룬 상부 밸브 시트(125)에 의해 형성되고 하부 밸브 시트(126)와 짝을 이룬 상부 밸브 시트(127)에 의해 형성되는 캐비티(166, 167)들 내에서 밀봉 부재(136, 137)들의 병진운동을 위한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각 밀봉 부재(136, 137)는 그 각각의 캐비티(166, 167) 내에서 핀(164, 165)의 수령을 위한 크기로 밀봉 부재에 위치되는 관통 보어를 포함한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하부 하우징 부분(106)에 있는 통로(144)는, 하부 하우징 부분(106)의 방출 섹션(181)에 있는 제2 테이퍼링(tapering) 부분(183)(또한 본 명세서에서 방출 원뿔(discharge cone)로서 지칭됨)에 결합된 하부 하우징 부분(106)의 제1 테이퍼링 부분(182)(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티브 원뿔로서 지칭됨)을 포함하는 중앙 길이 방향 축선(B)(도 7에서 도면부호가 도시됨)을 따르는 내경을 가진다. 여기에서, 제1 테이퍼링 부분(182)과 제2 테이퍼링 부분(183)은 한 줄로 정렬된다(방출 섹션(181)의 입구 단부(186)에 대한 모티브 섹션(180)의 출구 단부(184)). 입구 단부(188, 186)들과 출구 단부(184, 189)들은 임의의 원형 형상, 타원 형상, 또는 다른 다각형 형태일 수 있으며, 이로부터 연장하는 점차로, 연속적으로 테이퍼지는 내경은 쌍곡면(hyperboloid) 또는 원뿔을 형성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티브 섹션(180)의 출구 단부(184)와 방출 섹션(181)의 입구 단부(186)의 일부 예시적인 구성이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되는 2014년 6월 3일 출원된 동시 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제14/294,7276호의 도 4 내지 도 6에 제시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테이퍼링 부분(182)은 이와 유체 소통하는 흡입 포트(110)와의 유체 합류 지점에서 종료하고, 이러한 합류 지점에서, 제2 테이퍼링 부분(183)이 시작하여 제1 테이퍼링 부분(182)으로부터 멀리 연장한다. 제2 테이퍼링 부분(183)은 또한 흡입 포트(110)와 유체 소통한다. 제2 테이퍼링 부분(183)은 그런 다음 제2 테이퍼링 부분의 출구 단부(189)에 근접한 바이패스 포트(114)와의 합류 지점을 형성하고 이와 유체 소통한다. 제1 및 제2 테이퍼링 부분(182, 183)들은 전형적으로 하부 하우징 부분(106)의 중앙 길이 방향 축선(B)을 공유한다.
여전히 도 2를 참조하여, 제2 테이퍼링 부분(183)의 내부 치수는 보다 작은 입구 단부(186)로부터 연속하여 보다 큰 출구 단부(189)로 점차적으로 테이퍼진다. 이러한 내부 치수는 임의의 원형 형상, 타원 형상, 또는 쌍곡면 또는 원뿔을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 일부 다른 다각형 형태일 수 있다. 선택적인 바이패스 포트(11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테이퍼링 부분(183)과 유체 소통하도록 방출 섹션(190)을 교차할 수 있다. 바이패스 포트(114)는 출구 단부(189)에 인접하지만 그 하류에 있는 제2 테이퍼링 부분(183)을 교차할 수 있다. 하부 하우징 부분(106)은 그 후, 즉 바이패스 포트의 이러한 교차 지점의 하류에서 방출 포트(112)에서 종료할 때까지 원통형으로 균일한 내경으로 연속할 수 있다. 각각의 포트(108, 110, 112, 및 114)들의 각각은 엔진에 있는 호스들 또는 다른 특징들(features)에 통로(144)를 연결하기 위하여 그 외부면에 커넥터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100)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시스템에 연결될 때, 체크 밸브(111 및 120)들은 다음과 같이 기능한다. 엔진이 동작함에 따라서, 흡기 매니폴드(172)는 모티브 포트(180)내로, 통로(144)를 통해 방출 포트(112) 밖으로 공기를 흡기한다. 이러한 것은 체크 밸브(111, 120)들과 통로(146)에서 부분적으로 진공을 생성하여, 다수의 핑거(134, 135)들에 대하여 하류에 있는 밀봉 부재(136, 137)들을 흡인한다. 핑거(134, 135)들의 간격으로 인하여, 통로(144)로부터 통로(146)로의 자유로운 유체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엔진의 동작에 의해 생성된 부분적인 진공은 적어도 진공 필요 디바이스(102)의 동작의 진공 지원에서 도움이 된다.
전술한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들 내에서 유체 유동은 대체로 난류로서 분류된다. 이러한 것은 공기와 같은 유체 유동의 체적 운동(bulk motion)에 더하여, 조립체를 통하여 압력파가 진행하고 상이한 고유 진동수가 여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난류 발생 소음을 유발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100)는 하나 이상의 소리감쇠 부재(194, 196)들을 포함한다. 소리감쇠 부재(194, 196)들은 난류 발생 소음이 생성되는 영역들에 근접하지만 그 하류의 유동 경로 내에 배치된다.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소리감쇠 부재(194)는, 방출 섹션(190)이 이러한 소음이 발생되는 하나의 부분이기 때문에, 방출 포트(112)에 근접하거나 또는 그 안에 배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소리감쇠 부재(196)는, 바이패스 포트(114), 체크 밸브(120), 및 제4 포트(154) 사이의 유동 경로가 이러한 소음이 생성되는 하나의 부분이기 때문에, 통로(146)의 제4 포트(154)에 근접하거나 또는 그 안에 배치되도록 제공된다.
소리감쇠 부재(194, 196)들은, 통로(144, 146)들을 통하여 통로들 사이의 유체 유동이 제한되지 않지만 소리(난류 발생 소음)가 약화되도록 다공성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실선 화살표는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 내에서의 유체 유동을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는 난류 발생 소음의 진행 경로를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1) 엔진 흡기 매니폴드(172)를 향하고; 및 (2) 진공 필요 디바이스(102)를 향하는 난류 발생 소음을 위한 2개의 잠재적 경로들이 있다. 이러한 소음을 제거하거나 또는 감소시키도록, 다공성 요소들은 난류 소음원에 근접하지만 그 하류에 있다. 예를 들어, 소리감쇠 부재들은 방출 포트, 흡입 포트, 체크 밸브 위의 바이패스 체크 밸브 통로, 및/또는 체크 밸브 위의 흡입 체크 밸브에 위치될 수 있다.
체크 밸브(111, 120)들은 관통하는 유동으로 인하여 난류 소음을 또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소음은 2개의 연결부들 중 어느 하나의 아래로 진행할 것이다. 소리감쇠 부재들은 그 입구 또는 출구 통로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소리감쇠 부재(194, 196)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다공성이며, 금속, 플라스틱, 세라믹, 또는 유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소리감쇠 부재들은 와이어, 직조물 또는 매트, 소결 입자, 직조된 섬유 또는 매트로 만들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소리감쇠 부재들의 다공성 특성은 소음 압력파와 간섭하는 것에 의해 소음 압력파를 감쇠시키지만, 유체 유동을 과도하게 제한하지 않는 충분한 크기 및 형상의 것이어야 한다. 한 실시예에서, 소리감쇠 부재(194, 196)들은 엔진 시스템에서 흡입기의 배치에 기초하여 엔진의 동작 온도에 의해 피해를 입지 않는다(악화되지 않는다). 추가적으로, 소리감쇠 부재(194, 196)들은 엔진의 동작 상태 동안 겪는 진동에 의해 피해를 입지 않는다.
도 3a 및 도 3b, 도 5a 및 도 5b, 및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실시예들은 각각 흡입기(400, 401, 및 402)들의 대안적인 실시예들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지시하는 도면부호들은 마찬가지로 이 도면들에서 사용된다. 흡입기(400, 401, 및 402)들의 각각은 벤튜리 부분의 보어(132)의 하류에 있는 통로(144) 내에서 방출 섹션(181)에 배치된 다공성 소리감쇠 부재(300)를 포함한다. 그래서, 도 3b, 도 5b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리감쇠 부재(300)는 보어(132) 뒤에 그리고 바이패스 포트(114) 앞에 있다. 소리감쇠 부재는 도 4a의 소리감쇠 부재이도록 도시되지만, 물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 및 도 4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공성 소리감쇠 부재들은 대체로 이들 도면에서 도면부호 300으로 지시되고, 하나 이상의 관통 보어 홀(322, 342)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어 홀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 내에서 원치않는 체적 유동 제한을 최소화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보어 홀(322, 342)들은 단면에서 원형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보어 홀(322, 342)들은 타원 또는 다각형 단면일 수 있다. 각 보어 홀은 전형적으로 소리감쇠 부재(300)가 배치되는 흡입기의 부분을 통한 유동의 방향에 대체로 평행하게 지향되는 중앙축선을 가진다. 도 4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일의 보어 홀(322)이 제공되면, 이것은 소리감쇠 부재(300) 내에서 대체로 중앙에 위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어 홀(322)의 치수는 전형적으로 소리감쇠 부재(300)에 인접한 상류 통로의 내부 치수보다 작다. 보어 홀(322)이 원형 단면일 때, 보어 홀(322)의 치수는 약 8 mm 내지 약 14 mm일 수 있다. 도 4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수의 보어 홀(342)들이 존재하고, 다공성 소리감쇠 부재(300) 내에서 서로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된다. 이러한 보어 홀(34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하면 비대칭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4a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이, 여기에서 또한 보어 홀(342)들의 치수는 소리감쇠 부재(300)에 인접한 상류 통로의 내부 치수보다 작다. 보어 홀(342)들이 원형 단면일 때, 그 각각의 치수는 약 3 mm 내지 약 5 mm일 수 있다.
그러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있는 다공성 소리감쇠 부재들 중 어느 것은 다공성 재료의 연속 플러그일 수 있으며, 단지 이를 관통하는 통로들은 그 고유 다공성에 의해 형성된 채널들이며, 즉 확장된 보어 홀들이 존재하지 않는다. 연속 플러그는 체크 밸브 또는 흡입기의 선택된 부분 내에 끼워지는 임의의 형상 및 구성일 수 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 형상일 수 있다.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는 3개의 주 하우징 부분들을 가진다: (1) 전술한 바와 같은 상부 하우징 부분(104), 및 전술한 바와 같지만 (2) 벤튜리 부분(106a)과 (3) 바이패스 부분(106b)으로 분할되는 하부 하우징 부분(106). 벤튜리 부분(106a)은 모티브 포트(108)를 형성하는 외측 외부면 상의 호스 커넥터(410)를 포함할 수 있는 모티브 포트(108), 모티브 원뿔(182), 흡입 벤튜리(132), 체크 밸브(111)의 하부 절반부, 특히 하부 밸브 시트(124), 및 제1 캐니스터 부분(412)에서 종료하는 방출 원뿔(183)을 포함한다. 바이패스 부분(106b)은 제1 캐니스터 부분(412)과 접합할 수 있는 제2 캐니스터 부분(414)을 포함하여, 제1 및 제2 캐니스터 부분(412, 414)들이 접합될 때 형성되는 캐니스터(416)에 의해 형성된 봉입 챔버(420)(enclosed chamber)에서 소리감쇠 부재(300)를 둘러싼다. 바이패스 부분은 체크 밸브(120)의 바이패스 포트(114) 및 하부 절반부, 특히 하부 시트(126), 및 제2 캐니스터 부분(414)의 반대의 방출 포트(112)를 형성하는 외측 외부면 상의 호스 커넥터(418)를 포함할 수 있는 방출 포트(112)를 또한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 부분(104)과 벤튜리 부분(106a)과 바이패스 부분(106b)이 조립될 때, 제1 밀봉 부재(136)는 체크 밸브(111)에 안착되고, 제2 밀봉 부재(137)는 체크 밸브(120)에 안착된다.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들과 유사한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는 3개의 주 하우징 부분을 가진다: (1) 상부 하우징 부분(104), 및 전술한 바와 같지만 (2) 벤튜리 부분(106a')과 (3) 바이패스 부분(106b')으로 분할되는 하부 하우징 부분(106). 벤튜리 부분(106a')은, 방출 원뿔(183)이 제1 캐니스터 부분(412)에서 종료하는 그 상류에서, 칼라(424)가 방출 원뿔(183)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여 연장하는 것 외에, 도 5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도 5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칼라(424)는 보어(132)와 제1 캐니스터 부분(412) 사이에 위치된다. 바이패스 부분(106b')은, 제2 캐니스터 부분(414')이 칼라(424)와 접합하거나 또는 결합하도록 제1 캐니스터 부분(412) 너머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것 외에, 도 3b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다. 제1 캐니스터 부분(412)과 제2 캐니스터 부분(414')이 서로 접합할 때, 이것들은 봉입 챔버(420')에서 그 사이에서 소리감쇠 부재(300)를 둘러싸고, 칼라(424)와 제1 캐니스터 부분(412) 사이에 위치된 제2 챔버(426)를 또한 형성한다. 조립될 때, 캐니스터(417)는 소리감쇠 부재(300)를 수용하는 제1 챔버(420)로부터 상류에 있는 방출 원뿔(183)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2 챔버(426)를 가지는 듀얼 챔버이다. 도 3b에서, 제2 챔버(426)는 공기를 수용하고, 그 공기를 수용하도록 밀봉될 수 있거나, 또는 흡입기(401)를 둘러싸는 주위 공기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제2 챔버(426)는,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보어 홀들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다공성 재료일 수 있는 제2 소리감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될 때, 흡입기(401)는 상부 하우징 부분(104)과 벤튜리 부분(106a') 사이의 체크 밸브(111)에 안착된 제1 밀봉 부재(136)와, 상부 하우징 부분(104)과 바이패스 부분(106b') 사이의 체크 밸브(120)에 안착된 제2 밀봉 부재(137)를 또한 포함한다.
도 6a 및 도 6b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도 3a 및 도 3b의 실시예이지만, 2개의 서브 조립체(430, 440)들로 분할되고, 서브 조립체들 중 하나는 하나 이상의 호스(450)들에 의해 유체 소통으로 결합 가능한 소리감쇠 캐니스터(458)를 포함한다.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을지라도 마찬가지로 유사한 형태로 2개의 서브 조립체들로 또한 분할될 수 있다. 서브 조립체들은 벤튜리 서브 조립체(430)와, 바이패스 서브 조립체(440)를 포함한다.
벤튜리 서브 조립체(43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상부 밸브 시트(125)를 포함하는 제1 상부 하우징 부분(432)과, 제1 캐니스터 부분(412)이 종료하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하부 벤튜리 부분(106a)을 포함한다. 제1 상부 하우징 부분(432)이 하부 벤튜리 부분(106a)에 접합될 때, 제1 밀봉 부재(136)는 체크 밸브(111)를 형성하도록 상부 밸브 시트(125)와 하부 밸브 시트(126) 사이에 안착된다. 벤튜리 부분(106a)은 모티브 포트(108)를 형성하는 외측 외부면 상의 호스 커넥터(410)를 포함할 수 있는 모티브 포트(108), 모티브 원뿔(182), 흡입 벤튜리(132), 체크 밸브(111)의 하부 절반부, 특히 하부 밸브 시트(124), 및 제1 캐니스터 부분(412)에서 종료하는 방출 원뿔(183)을 포함한다. 제2 캐니스터 부분(462)과, 그 외부면 상에 호스 연결 특징(466)들을 가지는 커넥터 부분(464)을 포함하는 캐니스터 캡(460)은 하부 벤튜리 부분(106a)에 연결 가능하다. 제2 캐니스터 부분(462)은, 제1 및 제2 캐니스터 부분(412, 414)들이 서로 접합될 때 그 사이에 형성된 봉입 챔버(470)에서 소리감쇠 부재(300)를 둘러싸도록 제1 캐니스터 부분(412)과 접합 가능하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하우징(430)은, 하부 벤튜리 부분(106a)의 부분으로서 포함되는 제2 안정화 부재(482)와 접합하도록 하부 하우징(430)을 향하여 위치된 제1 안정화 부재(48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된 흡입기(402)는 흡입기, 특히 소리감쇠 캐니스터(458)를 가지는 흡입기의 절반부를 경화하고 강화하도록 제2 안정화 부재(482)와 접합된 제1 안정화 부재(480)를 가진다.
바이패스 조립체(440)는 제2 상부 하우징 부분(434)과 하부 바이패스 부분(106c)을 포함한다. 제2 상부 하우징 부분(43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체크 밸브(120)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밸브 시트(125)와, 하부 바이패스 하우징 부분(106c)에 있는 바이패스 포트(114)와 유체 소통하는 제3 포트(152)를 포함한다. 제2 상부 하우징 부분(434)은 호스(450)에 의해 제1 상부 하우징 부분(432)의 제6 포트(436)에 연결 가능한 제5 포트(474)를 가지는 도관(472)을 또한 포함한다. 상부 바이패스 하우징 부분(434)은 전술한 바와 같이 진공 필요 디바이스에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402)를 연결하는 입구로서 기능할 수 있는 제4 포트(154)를 또한 포함한다. 하부 바이패스 하우징 부분(106c)은 바이패스 포트(114), 체크 밸브(120)의 하부 절반부, 특히 하부 밸브 시트(126), 및 그 외측 외부면 상의 호스 연결 특징(418)을 포함할 수 있는 방출 포트(112)를 포함한다.
전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의 많은 테스트를 통하여, 바이패스 체크 밸브(120)에 있는 밀봉 부재(137)가 대체로 고르지 않은 방식으로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주목하였다. 특히, 방출 포트(112)에 가장 근접한 밀봉 부재(137)의 제1 부분은 먼저 폐쇄 위치로 이동하고, 그런 다음 그 반대편의 제2 부분이 폐쇄 위치로 움직인다. 이러한 문제는, 캐비티(154)에서의 압력이 방출 포트(112)에서의 압력보다 낮을 때, 폐쇄 위치에 도달하도록 짧은 거리를 진행하는 그렇지 않으면 앞의 실시예에서 뒤떨어진 밀봉 부재(137)의 제2 부분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도 8a 및 도 8b에 가장 잘 도시된 제2 시트(514)의 구성에서의 변화를 통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의 제2 시트(514)에 의해 해결된다. 따라서, 바이패스 체크 밸브는 폐쇄 위치에서 제1 시트에 안착되는 밀봉 부재의 제1 부분과 함께 있는 밀봉 부재를 가질 가능성이 적은 반면, 제2 부분은 폐쇄 위치에서 안착되지, 즉 밀봉되지 않는다. 도 7에서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는, 밀봉 부재(510)의 제1 및 제2 부분들이 제1 시트(도 7에 도시된 폐쇄 위치)에 대해 서로 더 근접한 시간에, 이상적으로는 대체로 동시에 안착되도록 동작한다.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의 추가의 이점은, 개방 위치에서, 제2 밀봉 부재(510)가 제2 시트(514)에 대해 안착되는 것에 의해, 밀봉 부재를 지나는 개선된 유체 유동이 있다는 것이다.
도 7의 실시예는, 흡입기(500)가, (1) 이 실시예에서 도면부호 104'로서 지시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 및 전술한 하부 하우징 부분(106)이 (2) 벤튜리 부분(106a')과 (3) 바이패스 부분(106b')으로 분할되는 3개의 주 하우징 부분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벤튜리 부분(106a')은, 방출 원뿔(183)이 제1 캐니스터 부분(412)에서 종료하는 그 상류에서, 제1 캐니스터 부분이 방출 원뿔(183)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여 연장하는 칼라(424)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대체로 도 5b에 개시된 것과 동일하다. 칼라(424)는 보어(132)와 제1 캐니스터 부분(412) 사이에 위치된다.
여전히 도 7을 참조하면, 바이패스 부분(106b')은, 칼라(424)에 접합되거나 또는 결합되도록 제2 캐니스터 부분(414')이 제1 캐니스터 부분(412)을 지나서 연장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에서 도 5a 및 도 5b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지만, 상부 하우징 부분(104')의 부분으로서 제4 포트를 가지는 대신에, 보조 포트(540)로서 바이패스 포트(508) 아래에 위치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벤튜리 부분(106a')의 제1 캐니스터 부분(412)과 바이패스 부분(106b')의 제2 캐니스터 부분(414')이 서로 접합될 때, 이것들은 봉입 챔버(420')에서 그 사이에서 소리감쇠 부재(300)를 봉입하고, 또한 칼라(424)와 제1 캐니스터 부분(412) 사이에 위치된 제2 챔버(426)를 형성한다. 조립될 때, 캐니스터(417)는 소리감쇠 부재(300)를 수용하는 제1 챔버(420)로부터 상류에서 방출 원뿔(183)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2 챔버(426)를 가지는 듀얼 챔버이다. 제2 챔버(426)는 공기를 수용하고, 그 공기를 수용하도록 밀봉될 수 있거나, 또는 흡입기(500)를 둘러싸는 주위 공기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제2 챔버(426)는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보어 홀들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다공성 재료일 수 있는 제2 소리감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될 때, 도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기(500)는 상부 하우징 부분(104')과 벤튜리 부분(106a') 사이의 체크 밸브(111)에 안착된 제1 밀봉 부재(136), 및 상부 하우징 부분(104')과 바이패스 부분(106b') 사이의 개선된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에 안착된 제2 체크 밸브 디스크(510)를 또한 포함한다. 개선된 체크 밸브(501)는 양 포트 모두 내부 캐비티(504)와 유체 소통하는, 제1 포트(506)(입구)와 제2 포트(508)(출구)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504)를 형성하는 하우징(502)(상부 하우징 부분(104')과 하부 바이패스 하우징(106b')의 일부로 만들어짐)을 가진다. 내부 캐비티(504)는 폐쇄 위치를 형성하는 제1 시트(512)와, 개방 위치를 형성하는 제2 시트(514)를 가진다. 밀봉 부재(137)는 내부 캐비티(504) 내에서 밀봉되고, 제1 시트(512)에 대한 폐쇄 위치와, 제2 시트(514)에 대한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병진운동 가능하다. 한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137)는 대체로 강성 재료로 만들어지고, 그러므로, 중앙 길이 방향 축선(B)에 대해 각을 이룬 위치에서 제2 시트에 안착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는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도 8b에 도시된 가요성 밀봉 부재(510)는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와 제2 시트(514)에 대한 아치형 위치로서 도 8b에 도시된 방향을 바꾼 개방 상태 사이에서 편향될 수 있다.
이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제2 시트(514)는 중간 영역(M)보다 모두 짧은 우측(R) 및 좌측(L)을 포함하는 밀봉 부재(510)를 위한 지지 구조체를 형성하며, 우측(R)은 전체적으로 좌측(L)보다 짧아서, 밀봉 부재(510)가 좌측(L)에서보다 우측(R) 위에서 더욱 방향을 바꾸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중간 영역(M)은 사전 결정된 거리보다 도 7의 제1 시트(512)에 근접하여 밀봉 부재(510)를 위치시키는 높이(H)(도 8a)를 가진다. 사전 결정된 거리는, 체크 밸브의 개선된 더욱 신속한 폐쇄 및/또는 체크 밸브를 통한 유동의 최대량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선택되고, 약 0.5 mm 내지 약 3 mm, 또는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 mm 내지 약 2 mm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좌측(L)은 모티브 포트(108)에 더욱 근접하고, 우측(R)은 방출 포트(112)에 더욱 근접한다. 지지 구조체는 밀봉 부재(510) 위 및 주위에서 제1 포트(506)를 통과한 후에 제2 포트(508)와 유체 소통하는, 유체를 위한 충분한 수의 통로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2 시트(514)의 지지 구조체는 내부 캐비티(504) 내로 연장하는, 제2 포트(508)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핑거(520, 522, 524, 526, 528)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핑거들은 서로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다수의 핑거들은 상이한 높이를 가지며, 중간 영역(M)을 형성하는 적어도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520)들, 제1 핑거(520)들의 전체 높이의 약 70% 내지 약 90%이며 지지 구조체의 좌측(L)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중간 높이 핑거(522)들, 및 중간 높이 핑거(522)들보다 짧고 지지 구조체의 우측(R)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짧은 핑거(524)들을 포함한다. 제2 시트(514)를 위한 이러한 형태의 지지 구조체에 의해, 밀봉 부재(510)는 진공 필요 디바이스(102)에서의 압력이 흡입기(500)의 방출 포트(112)에 유체적으로 결합된 엔진의 매니폴드 압력보다 클 때 진공 필요 디바이스(102)로부터 유체의 높은 바이패스 유동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방향을 바꾸고,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의 신속하고 더욱 균일한 폐쇄를 또한 제공한다.
지지 구조체는, 하나 이상의 중간 높이 핑거(522)들보다 짧고 하나 이상의 중간 높이 핑거(522)들보다 모티브 포트(108)에 더욱 근접하여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제4 높이 핑거(526)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구조체는, 짧은 핑거(524)들보다 짧고 짧은 핑거(524)들보다 방출 포트(112)에 더욱 근접하여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제5 높이 핑거(528)들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8b는 다수의 핑거들에 대한 높이의 하나의 예를 포함한다. 이 도면에서, 제1 핑거(520)들이 가장 크고, 중간 높이 핑거(522)들이 제1 핑거들보다 1 mm 짧고, 짧은 핑거(524)들은 제1 핑거들보다 약 3 mm 짧으며(중간 높이 핑거들보다 약 2 mm 짧으며), 제4 높이 핑거(526)들은 제1 핑거들보다 약 1.5 mm 짧으며(중간 높이 핑거(522)들보다 약 0.5 mm 짧으며), 제5 높이 핑거(528)들은 제1 핑거들보다 약 6.75 mm 짧다(중간 높이 핑거(522)들보다 약 3.75 mm 짧다).
밀봉 부재(510)는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172)에 연결될 때 흡입기(500)에서 사용하는데 적절한 탄성 중합 재료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엔진 온도 및 압력에 노출될 때 내구성이 있다. 한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510)는 천연고무, 합성고무, 실리콘, 플루오르실리콘, 플루오르카본, 니트릴, EPDM, PTFE, 및 그 조합 중 하나 이상일 수 있거나 이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선된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의 하우징(502)은 내부 캐비티(504) 내로 연장하는 핀(530)을 포함한다. 밀봉 부재(510)는 관통 보어(511)를 포함하고, 핀(530)은 관통 보어에 수용된다. 밀봉 부재(510)는 핀을 따라서 병진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것은 병진운동 동안 밀봉 부재(510)의 정렬을 유지하는 단지 하나의 비제한적인 예이다. 내부 챔버(504) 내의 제1 시트(512)는 제1 고리형 밀봉 비드(532)를 포함하며, 제1 고리형 밀봉 비드(532)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내향하여 배치된 제2 고리형 밀봉 비드(5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전히 도 7을 참조하면, 하나의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방출 포트(112)는 내연기관의 흡기 매니폴드와 유체 소통하며, 보조 포트(540)는 제동 시스템 또는 4륜 구동 시스템과 같은 진공을 이용하는 디바이스(550)와 유체 소통하며, 모티브 포트(108)는 공기원, 바람직하게는 청정 공기와 유체 소통하며, 제1 포트(148)는 브레이크 부스터와 같은 진공을 이용하는 다른 디바이스(552)와 유체 소통한다.
이제 도 9를 참조하면,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의 실시예는 대체로 도면부호 600으로 지시된다. 이러한 흡입기-체크 밸브 조립체(600)는 대체로, 흡입기(600)가, (1)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에 부착되는 다른 구성을 가지기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 도면부호 104a'로서 지시되는 상부 하우징 부분; (2) 벤튜리 부분(106a')으로서 지칭되는, 하부 하우징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1 부분; (3) 바이패스 부분(106b')으로서 지칭되는, 하부 하우징의 부분을 형성하는 제2 부분의 3개의 주 하우징 부분을 가진다는 점에서 도 7, 도 5a 및 도 5b의 실시예와 대체로 유사하다. 벤튜리 부분(106a')은 도 7 및 도 5b에 도시된 것과 대체로 동일하며, 즉, 방출 원뿔(183)이 제1 캐니스터 부분(412)에서 종료하는 그 상류에서, 제1 캐니스터 부분은 방출 원뿔(183)의 외부면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칼라(424)를 포함한다. 칼라(424)는 보어(132)와 제1 캐니스터 부분(412) 사이에 위치된다.
바이패스 부분(106b')은, 이것이 전술한 바와 같은 개선된 지지 구조체를 가지는 제2 시트(514), 벤튜리 부분(106a')의 칼라(424)에 접합하거나 또는 결합되도록 제1 캐니스터 부분(412) 너머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는 제2 캐니스터 부분(414'), 및 방출 포트(112)와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의 제2 포트(508)와 유체 소통하는 보조 포트(540)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 7에 도시된 것과 유사하다. 벤튜리 부분(106a')의 제1 캐니스터 부분(412)과 바이패스 부분(106b')의 제2 캐니스터 부분(414')이 서로 접합될 때, 이것들은 봉입된 챔버(420')에서 그 사이에서 소리감쇠 부재(300)를 둘러싸고, 칼라(424)와 제1 캐니스터 부분(412) 사이에 위치된 제2 챔버(426)를 또한 형성한다. 조립될 때, 캐니스터(417)는 소리감쇠 부재(300)를 수용하는 제1 챔버(420)로부터 상류에서 방출 원뿔(183)의 외측을 둘러싸는 제2 챔버(426)를 가지는 듀얼 챔버이다. 제2 챔버(426)는 공기를 수용할 수 있고 공기를 수용하도록 밀봉될 수 있거나, 또는 흡입기(500)를 둘러싸는 주위 공기와 유체 소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에서, 제2 챔버(426)는 도 4a 및 도 4c에 도시된 것들과 같은 보어 홀들을 포함하거나 또는 포함하지 않는 다공성 재료일 수 있는 제2 소리감쇠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상부 하우징 부분(104a')은 이에 의해 형성되는 챔버(602)에 있는 상부 밸브 시트(127) 위에서 종료하고, 즉 (1)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 (2) 챔버(602)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소음 감쇠 유닛(604); 및 (3) 제2 체크 밸브(111)와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 사이에서 상부 하우징의 길이를 따라서 연장하는 통로(146)와 유체 소통한다. 통로(14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종단면에 대하여 취해졌을 때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의 폭과 대체로 유사한 폭을 가지지만, 상기 폭은 챔버의 높이가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로부터 멀리 직접적인 움직임에서 증가함에 따라서 다르게 증가한다.
조립될 때, 도 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기(600)는 상부 하우징 부분(104a')과 벤튜리 부분(106a') 사이의 체크 밸브(111)에 안착된 제1 밀봉 부재(136)와, 상부 하우징 부분(104')과 바이패스 부분(106b') 사이의 개선된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에 안착된 제2 체크 밸브 디스크(510)를 또한 포함한다. 개선된 체크 밸브(501)(상부 하우징 부분(104a')의 일부와 하부 바이패스 하우징(106b')으로 만들어짐)은 제1 포트(506) 및 제2 포트(508)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504)를 형성하며, 그 양자는 내부 캐비티(504)와 유체 소통한다. 바이패스 체크 밸브(501)는 제2 지지 구조체(514)와 밀봉 부재(510)를 포함하는 도 7에 대하여 설명된 특징들을 가지며, 전술한 바와 같이 동작한다.
소음 감쇠 유닛(604)은 그 전체에 있어서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 2015년 1월 9일 출원된 동시 계류중이고 공동 소유된 미국 특허 출원 제14/593,36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소음 감쇠 유닛(604)은 그 안에서 소음 감쇠 부재(616)를 둘러싸는 내부 캐비티(606)를 형성하는 하우징(605)을 포함한다. 소음 감쇠 부재(616)는 전형적으로 내부 캐비티(606) 내에 적어도 축방향으로 단단히 끼워진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감쇠 부재(616)는 대체로 캐비티(606)의 내부와의 억지 끼워맞춤을 가지지만, 이러한 구성은 요구되지 않는다. 하우징은 내부 캐비티(606)와 유체 소통하는 제1 포트(610)와 제2 포트(612)를 형성한다. 적어도 제1 포트(610)들의 외부면은 엔진의 유체 유동 경로 내로 소음 감쇠 유닛(604)을 연결하기 위한 끼워맞춤 특징(611)들, 예를 들어, 안전한 유체 기밀성 연결을 제공하도록 호스 또는 도관 내에 삽입 가능한 특징을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포트(612)는 상부 하우징 부분(104a')의 챔버(602)에 연결 가능한 리드형(lid-like) 특징(620)을 포함한다. 제1 포트(610)와 제2 포트(612)는 소음 감쇠 유닛(10)을 통한 대체로 선형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도록 서로 맞은편에 위치된 것으로 도 9에서 예시되지만, 유닛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하우징(605)은 유체 기밀성 밀봉(fluid-tight seal)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부분들을 구비한 다중 부분 하우징일 수 있다. 다중 부분들은 제1 포트(610)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부분(608)과, 제2 포트(612)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부분(609)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 부분들은 총체적으로 캐비티(606)를 형성하고, 캐비티의 부분의 임의의 조합은 어느 한 부분에 의해 형성된다. 도 9에서, 제2 하우징 부분(609)은 캐비티(606)의 대부분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도시되고, 이러한 것은 제1 하우징 부분(608)을 더욱 리드처럼 만든다.
소음 감쇠 부재(616)는 유닛(604)을 통과하는 유체 유동이 가능한 최소량으로 제한되지만 소리(난류 발생 소음)가 감쇠되도록 다공성인 소음 감쇠 재료를 포함한다. 소음 감쇠 부재(616)를 위한 재료들의 예와 다수의 실시예들이 상기에서 설명되었다.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소음 감쇠 재료는 코어(614) 주위에 배치되고, 코어는, 코어가 내부 캐비티(622)를 형성하는 중공이고 내부 캐비티(622)로부터 소음 감쇠 부재(616) 내로 유체가 반경 방향으로 외향하여 유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다수의 관통 개구(624)들을 가지기 때문에 골조 코어(skeletal core)로서 지칭될 수 있다. 내부 캐비티(622)는 전형적으로 소음 감쇠 유닛(604)을 통한 두드러진 유체 유동의 방향과 정렬된다. 소리감쇠 부재(616)는 전술한 것들 중 하나와 같은 다공성 재료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많은 변형과 변화가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 한정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할 것이다.

Claims (48)

  1. 벤튜리 디바이스에 있어서,
    중앙 길이 방향 축선을 가지는 통로를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흡입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유체 합류 지점에서 제2 테이퍼링 부분에 결합된 제1 테이퍼링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테이퍼링 부분의 하류에 위치되어 상기 통로와 유체 소통하는 바이패스 포트를 한정하고, 상기 바이패스 포트를 통한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를 한정하며;
    상기 바이패스 체크 밸브는:
    폐쇄 위치를 한정하는 제1 시트(seat)와 개방 위치를 한정하는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 - 여기서,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바이패스 포트에 대해서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돌출하는 다수의 핑거를 포함함;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에 위치되며, 상기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다수의 핑거에 대해 각을 이룬 또는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는 밀봉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핑거는 가장 짧은 핑거 및 상기 가장 짧은 핑거보다 긴 복수의 핑거들을 가지고,
    상기 가장 짧은 핑거는 통로와 유체 소통하는 바이패스 포트에 대해 하류에 위치하고, 바이패스 포트의 유체 소통하는 상기 밀봉 부재의 제1 부분에 대해 필요한 상기 폐쇄 위치까지의 더 긴 진행 거리를 정의하고,
    상기 가장 짧은 핑거보다 긴 복수의 핑거들은 통로와 유체 소통하는 바이패스 포트에 대해 상류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부재의 제2 부분에 대해 필요한 상기 폐쇄 위치까지의 더 짧은 진행 거리를 정의하고,
    이에 의해 작동 시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제1 부분 및 제2 부분은 압력 차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시트에 대해 서로 더 근접한 시간에 안착되는, 벤튜리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포트를 통한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제2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면의 평면을 가로 지르는 중앙 축선을 가지고, 상기 중앙 축선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된 상기 가장 짧은 핑거를 가지며, 상기 다수의 핑거들은 상기 가장 짧은 핑거의 반대측에 위치된 제2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핑거는 상기 가장 짧은 핑거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더 긴 핑거들은 상기 제2 핑거와 상기 가장 짧은 핑거 사이에 대향하는 제3 핑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핑거들은 상기 제2 핑거보다 큰 높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핑거는 상기 제3 핑거들의 높이의 70% 내지 90%의 높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핑거들은 상기 중앙 축선과 정렬되는, 벤튜리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핀을 포함하며,
    밀봉 부재는 관통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핀은 밀봉 부재가 상기 핀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보어에 수용되는, 벤튜리 디바이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포트와 상기 바이패스 포트 사이 상기 통로의 유체 경로에 배치된 제1 소리 감쇠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소리 감쇠 부재는 듀얼 챔버형 캐니스터에 수용되며,
    상기 듀얼 챔버형 캐니스터는 상기 제1 소리 감쇠 부재를 수용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제2 테이퍼링 부분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는 제2 챔버를 형성하며,
    상기 제2 챔버는 상기 제1 챔버의 상류에 있는, 벤튜리 디바이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체크 밸브의 유입 포트의 상류에 연결된 제2 소리 감쇠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는 상기 제2 테이퍼링 부분의 하류에 위치되어 상기 바이패스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보조 포트를 더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12. 체크 밸브 유닛에 있어서,
    유입 포트, 유출 포트, 및 상기 유입 포트 및 상기 유출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내부 캐비티를 한정하고 그에 의해 상기 유입 포트로부터 상기 내부 캐비티를 통과하여 상기 유출 포트까지 유동 경로를 한정하는 하우징 - 여기서, 상기 내부 캐비티는 폐쇄 위치를 한정하는 제1 시트(seat)와 개방 위치를 한정하는 제2 시트를 가지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유출 포트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돌출하는 다수의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면의 평면을 가로 지르는 중앙 축선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 축선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된 가장 짧은 핑거를 가짐;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부의 밀봉 부재 - 여기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중앙 축선에 대해 각을 이룬 상태 또는 상기 다수의 핑거들에 대하여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하고 그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가장 짧은 핑거의 위치와 관련된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폐쇄 위치에 도달하기 위한 더 긴 진행 거리를 정의함;
    를 포함하는, 체크 밸브 유닛.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는 상기 가장 짧은 핑거로부터 상기 중앙 축선의 반대측에 위치된 제2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핑거는 상기 가장 짧은 핑거보다 큰 높이를 가진, 체크 밸브 유닛.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는 상기 제2 핑거와 상기 가장 짧은 핑거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된 대향하는 제3 핑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핑거들은 각각 상기 제2 핑거보다 큰 높이를 가진, 체크 밸브 유닛.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핑거는 상기 제3 핑거들의 높이의 70% 내지 90%의 높이를 가지는, 체크 밸브 유닛.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관통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핀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핀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보어에 수용되는, 체크 밸브 유닛.
  17.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에 있어서,
    중앙 길이 방향 축선을 가지는 통로를 한정하고 상기 통로와 유체 소통하는 체크 밸브를 위한 방출 포트를 한정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통로는 방출포트를 형성하고, 제2 캐니스터 부분의 반대에서 소리 감쇠 부재가 안착할 수 있는 제1 캐니스터 부분을 형성하는 방출 포트를 가지며,
    상기 하우징의 외부는 통로로부터 돌출되고, 방출 포트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핑거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핑거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 단면의 평면을 가로 지르는 중앙 축선에 위치된 높이가 가장 큰 대향하는 중앙 핑거들을 가지고 상기 중앙 축선의 좌측 또는 우측에 위치된 가장 짧은 핑거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니스터 부분은 벤튜리 부분에 의해 정의된 제2 캐니스터 부분에 결합될 수 있는,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의 상기 제1 캐니스터 부분은 상기 제2 캐니스터 부분을 넘어서 연장하는 길이를 구비하여, 상기 포트에 가장 근접하여 제1 챔버 내의 소리 감쇠 부재와 상기 제1 챔버의 상류에 제2 챔버를 수용하는 듀얼 챔버형 캐니스터를 한정하는,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캐니스터 부분 내에 안착된 제1 소리 감쇠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는 상기 중앙 축선의 상류에 위치된 제2 핑거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핑거는 상기 가장 짧은 핑거보다 큰 높이를 가진,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
  22.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핑거는 제2 핑거와 상기 가장 짧은 핑거 사이에 원주 방향으로 위치된 대향하는 제3 핑거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3 핑거들은 각각 상기 제2 핑거보다 큰 높이를 가진,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핑거는 상기 제3 핑거들의 높이의 70% 내지 90%의 높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의 하우징 유닛.
  24. 바이패스 체크 밸브에 있어서,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이들과 유체 소통하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를 한정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한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제2 시트에 대한 개방 위치에서의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디스크(disc)이며; 상기 제2 시트는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들에 의해 한정된 사전 결정된 높이의 중간 영역을 가진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중간 영역의 상기 사전 결정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진 하류측을 한정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하류 부분이 그 상류 부분보다 상기 제1 시트로부터 더 먼 거리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안착될 수 있고, 여기서 하류는 제2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방향의 통로 내의 유동 방향에 관련되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중간 영역의 높이보다 짧지만 상기 하류측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진 상류측을 더 포함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한 평탄 폐쇄 위치와 상기 제2 시트에 대한 아치형 위치 사이에서 편향될 수 있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제2 포트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다수의 핑거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핑거들은 상이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들의 전체 높이보다 10% 내지 30% 작은 높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중간-높이 핑거는 상기 상류측을 한정하고, 상기 중간-높이 핑거들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더 짧은 핑거들은 상기 하류측을 한정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을 한정하는 핑거들에 대향하는 측면에 근접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높이 핑거들과 관련하여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제4 높이 핑거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높이 핑거들의 높이는 상기 중간-높이 핑거들의 높이보다 작지만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짧은 핑거들의 높이보다 큰, 바이패스 체크 밸브.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을 한정하는 핑거들에 대향하는 측면에 근접하도록 상기 더 짧은 핑거들과 관련하여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제5 높이 핑거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높이 핑거들은 상기 더 짧은 핑거들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29. 벤튜리 갭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벤튜리 갭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포트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제24항에 따른 바이패스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벤튜리 갭과 상기 바이패스 체크 밸브의 상기 제2 포트 사이의 유체 경로에 배치된 소리 감쇠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감쇠 부재는 듀얼 챔버형 캐니스터에 수용되며,
    상기 듀얼 챔버형 캐니스터는 상기 소리 감쇠 부재를 수용하는 제1 챔버와, 상기 제1 챔버의 상류에서 상기 벤튜리 갭으로부터 이어지는 방출 섹션의 일부 또는 전부를 둘러싸는 제2 챔버를 형성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체크 밸브의 유입 포트의 상류에 연결된 소리 감쇠 부재를 더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소리 감쇠 부재는 상기 바이패스 체크 밸브와 유체 소통하는 유체 유동 경로 내에 상기 소리 감쇠 부재를 배치하는 도관 또는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벤튜리 디바이스.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벤튜리 캡과 유체 소통하는 흡입 포트를 통한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제2 체크 밸브를 더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은 사전 결정된 거리보다 상기 제1 시트에 더 가까이 상기 밀봉 부재를 위치시키는 높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36.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제2 포트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다수의 핑거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핑거들은 상이한 높이를 가지며,
    상기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의 전체 높이보다 10% 내지 30% 작은 높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중간-높이 핑거들은 상기 상류측을 한정하며, 상기 중간-높이 핑거들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더 짧은 핑거들은 상기 하류측을 한정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높이 핑거들은 상기 더 짧은 핑거들보다 상기 벤튜리 갭과 유체 소통하는 모티브 포트에 더욱 근접하여 위치되는 반면, 상기 더 짧은 핑거들은 상기 벤튜리 갭과 유체 소통하는 방출 포트에 더욱 근접하여 위치되는, 벤튜리 디바이스.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을 한정하는 핑거들에 대향하는 측면에 근접하도록 상기 하나 이상의 중간-높이 핑거들과 관련하여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제4 높이 핑거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높이 핑거들의 높이는 상기 중간-높이 핑거들의 높이보다 작지만 상기 하나 이상의 더 짧은 핑거들의 높이보다 큰, 벤튜리 디바이스.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영역을 한정하는 핑거들에 대향하는 측면에 근접하도록 상기 더 짧은 핑거들과 관련하여 위치된 하나 이상의 제5 높이 핑거들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높이 핑거들은 상기 더 짧은 핑거들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4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관통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핀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핀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보어에 수용되는, 벤튜리 디바이스.
  41.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이들과 유체 소통하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를 한정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한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제2 시트에 대한 개방 위치에서의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디스크이며; 상기 제2 시트는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들에 의해 한정된 사전 결정된 높이의 중간 영역을 가지는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중간 영역의 상기 사전 결정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진 하류측을 한정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하류 부분이 그 상류 부분보다 상기 제1 시트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안착될 수 있고 여기서 하류는 제2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방향의 통로 내의 유동 방향에 관련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핀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관통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핀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핀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보어에 수용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42.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이들과 유체 소통하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를 한정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한 폐쇄 위치에서의 평탄 밀봉 상태와 상기 제2 시트에 대한 개방 위치에서의 편향된 상태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디스크이며; 상기 제2 시트는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들에 의해 한정된 사전 결정된 높이의 중간 영역을 가지는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중간 영역의 상기 사전 결정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진 하류측을 한정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디스크의 하류 부분이 그 상류 부분보다 상기 제1 시트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안착될 수 있고, 여기서 하류는 제2 포트와 유체 소통하는 방향의 통로 내의 유동 방향에 관련되며; 상기 제1 시트는 제1 고리형 밀봉 비드(annular seal bead)와 상기 제1 고리형 밀봉 비드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제2 고리형 밀봉 비드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43. 제1 포트 및 제2 포트를 구비하고 이들과 유체 소통하며 제1 시트 및 제2 시트를 가지는 내부 캐비티를 한정하는 하우징; 및 상기 내부 캐비티 내의 밀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한 폐쇄 위치와 상기 제2 시트에 대한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제2 시트는 사전 결정된 높이의 중간 영역을 가진 지지 구조체, 및 상기 중간 영역의 상기 사전 결정된 높이보다 짧은 높이를 가진 하류측을 한정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하류 부분이 상류 부분보다 상기 제1 시트로부터 먼 거리에 있는 상태로 상기 제2 시트에 대하여 안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시트는 상기 중간 영역의 높이보다 짧지만 상기 하류측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를 가진 상류측을 더 포함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44. 벤튜리 갭의 하류에 배치되어 상기 벤튜리 갭을 바이패스하는 바이패스 포트를 통과하는 유체 유동을 제어하는 제43항에 따른 바이패스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벤튜리 디바이스.
  45.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1 시트에 대한 평탄한 폐쇄 위치와 상기 제2 시트에 대한 아치형 위치 사이에서 편향될 수 있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구조체는 상기 제2 포트에 대하여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다수의 핑거들을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핑거들은 상이한 높이를 가지며,
    2개의 지름방향으로 대향된 제1 핑거의 전체 높이보다 10% 내지 30% 작은 높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중간-높이 핑거는 상기 상류측을 한정하고, 상기 중간-높이 핑거들의 높이보다 작은 높이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더 짧은 핑거들은 상기 하류측을 한정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내부 캐비티 내로 연장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밀봉 부재는 관통 보어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핀은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핀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밀봉 부재의 상기 보어에 수용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48.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트는 제1 고리형 밀봉 비드와 상기 제1 고리형 밀봉 비드의 반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제2 고리형 밀봉 비드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체크 밸브.
KR1020167028196A 2014-04-04 2015-04-03 바이패스 체크 밸브 및 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KR1022139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75542P 2014-04-04 2014-04-04
US61/975,542 2014-04-04
PCT/US2015/024195 WO2015153939A2 (en) 2014-04-04 2015-04-03 A bypass check valve and venturi devices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719A KR20160140719A (ko) 2016-12-07
KR102213985B1 true KR102213985B1 (ko) 2021-02-08

Family

ID=54209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196A KR102213985B1 (ko) 2014-04-04 2015-04-03 바이패스 체크 밸브 및 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10024458B2 (ko)
EP (1) EP3126201B1 (ko)
JP (1) JP6632991B2 (ko)
KR (1) KR102213985B1 (ko)
CN (2) CN105378358B8 (ko)
BR (1) BR112016021852B1 (ko)
WO (1) WO201515393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2991B2 (ja) 2014-04-04 2020-01-22 デイコ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Dayco Ip Holdings, Llc バイパス一方向バルブ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ベンチュリデバイス
US10107240B2 (en) 2014-04-04 2018-10-23 Dayco Ip Holdings, Llc Check valves and Venturi devices having the same
CN105378240B (zh) * 2014-06-06 2018-10-09 戴科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文丘里装置和/或止回阀中的噪声衰减
USD764630S1 (en) * 2015-08-12 2016-08-23 James T. Sutton Venturi meter
WO2017218126A1 (en) * 2016-06-14 2017-12-21 Dayco Ip Holdings, Llc Check valves and venturi devices having the same
BR112018076038B1 (pt) * 2016-06-14 2023-05-02 Dayco Ip Holdings, Llc Dispositivo venturi e motor de combustão interna
JP7008691B2 (ja) 2016-09-21 2022-01-25 デイコ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ス,エルエルシー 真空を生むためのベンチュリデバイスのベンチュリギャップ内のバルブゲート
EP3685041B1 (en) 2017-09-21 2023-05-10 Dayco IP Holdings, LLC Solenoid activated vacuum pump for an engine system and system having same
US11486504B2 (en) * 2018-04-23 2022-11-01 Dayco Ip Holdings, Llc Check valve insert defining an open position and check valves hav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1916A (en) 1992-12-28 1994-03-08 Excel Industries, Inc. Check valve
US6308731B1 (en) 1999-06-25 2001-10-30 Itz Corporation Vent valve
US20110186151A1 (en) 2010-02-04 2011-08-04 Bernard Joseph Sparazynski Check valve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30437A (en) 1966-10-05 1969-03-04 Holley Carburetor Co Automotive exhaust emission system
DE1750021A1 (de) 1968-03-21 1971-01-07 Fichtel & Sachs Ag Ventileinrichtung fuer hydraulische,pneumatische oder hydropneumatische Einrichtungen
US3826281A (en) 1969-10-29 1974-07-30 Us Navy Throttling ball valve
CH623905A5 (ko) 1977-06-24 1981-06-30 Fischer Ag Georg
US4354492A (en) 1979-04-16 1982-10-19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Medical administration set with backflow check valve
US4556086A (en) * 1984-09-26 1985-12-03 Burron Medical Inc. Dual disc low pressure back-check valve
US4683916A (en) * 1986-09-25 1987-08-04 Burron Medical Inc. Normally closed automatic reflux valve
JPH01111878U (ko) 1988-01-22 1989-07-27
US4893654A (en) 1988-07-08 1990-01-16 Feuz John G Double check valve backflow preventer assembly
US4951708A (en) 1988-11-30 1990-08-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Vacuum check valve
NL9000339A (nl) 1990-02-13 1991-09-02 System Engineering & Component Drukvalreductie-inrichting, en klep voorzien van een drukvalreductie-inrichting.
US4958661A (en) * 1989-08-08 1990-09-25 The Lee Company Check valve
US5108266A (en) 1991-05-29 1992-04-28 Allied-Signal Inc. Check valve with aspirating function
JPH08174860A (ja) 1994-10-26 1996-07-09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H09144986A (ja) 1995-11-27 1997-06-03 Nissan Motor Co Ltd 吸音ダクト構造体
CN2400655Y (zh) 1999-11-23 2000-10-11 屠申富 车用限压单向阀
WO2003023229A1 (fr) 2001-09-06 2003-03-20 Ulvac, Inc. Systeme de pompe a vide et procede de fonctionnement d'un systeme de pompe a vide
CN2636018Y (zh) 2003-07-22 2004-08-25 刘万斌 机油滤清器用旁通止回阀
CN100436817C (zh) * 2003-07-23 2008-11-26 哈格雷夫斯技术公司 具有可控制行程的泵阀
US20050121084A1 (en) 2003-12-04 2005-06-09 Danfoss Flomatic Corporation Ball check valve
US7673653B2 (en) 2004-06-17 2010-03-09 Filtertek Inc. Check valve
US20060016477A1 (en) 2004-07-23 2006-01-26 Algis Zaparackas Vacuum enhancing check valve
US7438090B2 (en) 2005-01-06 2008-10-21 Dynamic Air Inc. Booster valve
SE0502371L (sv) 2005-10-27 2006-09-19 Xerex Ab Ejektor med monteringshylsa, samt monteringsförfarande
WO2007140519A1 (en) 2006-06-05 2007-12-13 Cullin Innovation Pty Ltd Fluid regulator
JP4238882B2 (ja) 2006-06-09 2009-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ゼクタシステム
JP2009544978A (ja) 2006-07-25 2009-12-17 ウオーターズ・テクノロジーズ・コーポレイシヨン 弾性封止逆止弁
ITTO20070023A1 (it) * 2007-01-17 2008-07-18 Borla Ind Valvola unidirezionale per linee medicali di infusione e simili
US7628170B2 (en) 2007-09-05 2009-12-08 Emerson Electric Co. Flow control valve
JP5085348B2 (ja) 2008-01-16 2012-11-28 株式会社パイオラックス 弁装置
CN201377408Y (zh) 2009-03-31 2010-01-06 台州职业技术学院 适用于干式真空泵的组合式消声器
US8925520B2 (en) 2010-03-10 2015-01-0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take system including vacuum aspirator
DE102010033091A1 (de) 2010-08-02 2012-02-02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Hydraulisches Spannausgleichselement
CN201907500U (zh) 2010-12-22 2011-07-27 安徽江淮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用单向阀
WO2013025991A2 (en) 2011-08-17 2013-02-21 Hendrickson Usa, L.L.C. Vehicle axle vent system
US10337628B2 (en) * 2012-02-20 2019-07-02 Nyloncraft Incorporated High mass flow check valve aspirator
US9097149B2 (en) 2012-07-13 2015-08-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spirator for crankcase ventilation and vacuum generation
US9441557B2 (en) 2012-12-13 2016-09-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vacuum generation
KR102173205B1 (ko) 2014-01-20 2020-11-03 데이코 아이피 홀딩스 엘엘시 개선된 실링 부재를 구비한 체크밸브
JP6632991B2 (ja) 2014-04-04 2020-01-22 デイコ アイピー ホールディングス, エルエルシーDayco Ip Holdings, Llc バイパス一方向バルブならびにそれを備えたベンチュリデバイス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1916A (en) 1992-12-28 1994-03-08 Excel Industries, Inc. Check valve
US6308731B1 (en) 1999-06-25 2001-10-30 Itz Corporation Vent valve
US20110186151A1 (en) 2010-02-04 2011-08-04 Bernard Joseph Sparazynski Check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26201A4 (en) 2018-02-07
US10473235B2 (en) 2019-11-12
EP3126201B1 (en) 2019-12-25
KR20160140719A (ko) 2016-12-07
US20150285401A1 (en) 2015-10-08
CN108361438A (zh) 2018-08-03
CN105378358B (zh) 2018-03-27
BR112016021852A2 (ko) 2017-08-15
US20180283578A1 (en) 2018-10-04
BR112016021852B1 (pt) 2022-09-27
US10024458B2 (en) 2018-07-17
WO2015153939A8 (en) 2016-08-18
JP2017517686A (ja) 2017-06-29
EP3126201A2 (en) 2017-02-08
CN105378358A (zh) 2016-03-02
JP6632991B2 (ja) 2020-01-22
WO2015153939A3 (en) 2015-11-26
CN108361438B (zh) 2020-09-04
CN105378358B8 (zh) 2018-04-24
WO2015153939A2 (en)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985B1 (ko) 바이패스 체크 밸브 및 이를 가지는 벤튜리 디바이스
US10190549B2 (en) Check valves and venturi devices having the same
KR102184253B1 (ko) 체크 밸브 유닛 또는 진공 생성 장치의 소음 감쇄기
JP2019215085A (ja) エンジンシステムのノイズ減衰ユニット
JP7035129B2 (ja) 逆止弁および逆止弁を有するベンチュリ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