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388B1 - 금형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 Google Patents

금형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388B1
KR102213388B1 KR1020200111308A KR20200111308A KR102213388B1 KR 102213388 B1 KR102213388 B1 KR 102213388B1 KR 1020200111308 A KR1020200111308 A KR 1020200111308A KR 20200111308 A KR20200111308 A KR 20200111308A KR 102213388 B1 KR102213388 B1 KR 1022133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ircumferential surface
ear canal
earphone
intermediat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1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즈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즈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즈라
Priority to KR10202001113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3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3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388B1/ko
Priority to US17/217,216 priority patent/US11240582B1/en
Priority to JP2021061564A priority patent/JP6967170B1/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16Earpieces of the intra-aural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2Ear tips; Ear mou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91Detai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R1/1008 - H04R1/108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5Determination of the acoustic seal of ear moulds or ear tips of hearing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5/00Deaf-aid sets, i.e. electro-acoustic or electro-mechanical hearing aids; Electric tinnitus maskers providing an auditory perception
    • H04R25/65Housing parts, e.g. shells, tips or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H04R25/658Manufacture of hous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eurosurgery (AREA)
  • Otolaryngology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이어팁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은,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링구조로 형성되고, 이어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 만입구조와 대응되는 돌기 구조의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링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 구조이며, 결속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나 또는 다수 배치된 돌기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 공정에 있어 점착성이 높은 재질에 대해서도 별도의 화학물질 등의 도움이 없이도 금형으로부터 물리적인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금형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Eartip Having Structure Easily Removable From Mold}
본 발명은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금형으로부터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어팁은 공장이나 사업장과 같이 큰 소음이 발생하는 장소에서 소음의 크기를 줄이는 목적으로 작업자들의 귀에 삽입하여 사용되거나, 스마트폰이나 MP3 등의 기기를 통해 개인적으로 음성이나 음악을 듣기 위하여 사용되는 이어폰의 사용자 편의성을 위하여 이어폰에 결합되어 귀에 접촉되는 부분에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이어팁은 귀에 접촉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되고 있는데,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323805호에서는 실리콘 재질을 이용하여 이어팁(도 1 참조)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과 같이 실리콘 재질로 이어팁을 제조하는 경우 사용자의 착용감을 높이기 위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하거나 강도를 낮추어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실리콘 재질의 이어팁은 착용감은 좋을 수 있으나 탄력도가 높아 형상이 바로 복원되는 단점이 있어 귀에 삽입시 압력을 가하여야 하고, 변형 정도가 정형화되어 있어 귀 구멍의 크기에 따라서 귀의 밀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탄력성이 우수한 반면 서서히 복원되는 성질이 특징인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이어팁을 제조하는 경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정도의 매우 소형인 이어팁을 성형함에 있어 가스배출 등의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보다 자세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폴리우레탄 등의 성형 시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금형에 반드시 가스배출구가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어팁은 사람의 귀에 들어갈 정도의 소형으로 형성되는데, 작은 모양의 이어팁 금형에 하나하나 가스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어팁 모양 마다 가스배출구를 형성하더라도 가스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성형 배출물을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고, 제품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실리콘 등의 재질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이어팁을 제조하는 경우 성형배출물을 제거하기 위한 이어팁의 말단 처리를 하여야 하는데, 소형의 이어팁의 말단 처리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하기에는 시간과 노력이 많이 발생하고, 특히 상부가 불균일한 이어팁을 제조하는 경우 수작업으로 처리하기도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탄력성이 우수한 반면 서서히 복원되는 성질이 특징인 열가소성엘라스토머(TPE),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을 이용하여 이어팁을 제조하는 경우 사용자의 귀에 삽입될 정도의 매우 소형인 이어팁을 성형함에 있어 가스배출 등의 어려운 문제가 발생한다.
구체적으로, 일반적으로 열가소성엘라스토머(TPE),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제품을 제조하는 경우 열가소성엘라스토머(TPE), 폴리우레탄 등의 성형 시 발생하는 가스를 제거하기 위하여 금형에 반드시 가스배출구가 형성 되어야한다.
그러나, 이어팁은 사람의 귀에 들어갈 정도의 소형으로 형성되는데, 작은 모양의 이어팁 금형에 하나하나 가스배출구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어려울 뿐 만 아니라 이어팁 모양 마다 가스배출구를 형성하더라도 가스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성형 배출물을 일일이 제거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이 발생하고, 제품 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3805호 (등록일자: 2013년10월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제작 공정에 있어 점착성이 높은 재질에 대해서도 별도의 화학물질 등의 도움이 없이도 금형으로부터 물리적인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어팁은,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링구조로 형성되고, 이어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 만입구조와 대응되는 돌기 구조의 결속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링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 구조이며, 결속부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나 또는 다수 배치된 돌기부; 및 상기 본체부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에 완만하게 진입하도록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가 내주면 및 외주면에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 하단부; 상기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원통형 구조이고, 하단부와 상단부를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 및 상기 중간연결부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가 상단 외주면에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 상단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단부의 상단 내주면에는,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가 상단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의 상단에는,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가 결속부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결속부와 돌기부 사이 이격 거리는 이어폰의 외주면 구조와 대응되는 길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의 상단과 하단은 단면상 본체부의 내주면과 수직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본체부의 하단 외주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되며, 본체부의 외주면과 함께 내측 그루브를 형성하는 외이도 진입 하단부; 상기 외이도 진입 하단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횡단면상 상방으로 외경이 증가하는 구조의 중간 연결부; 및
상기 중간 연결부로부터 일체형으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중간 연결부의 상단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이도 접촉부의 상단부의 높이는, 본체부의 상단보다 본체부의 두께만큼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는, 인체의 체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 폴리머(SMP, shape-memory polymer)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이어팁이 착용자의 외이도 내에 삽입된 후, 중간 연결부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외이도 접촉부의 상단부는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 표면과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본체부의 하부 내주면에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나의 군을 형성하고, 하나의 군을 형성하는 다수의 돌기부들 중 하방, 중간 또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결속부, 돌기부 및 외이도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제작 공정에 있어 점착성이 높은 재질에 대해서도 별도의 화학물질 등의 도움이 없이도 금형으로부터 물리적인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단부, 중간연결부 및 상단부로 구성되는 본체부를 구비함으로써, 이어폰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에 완만하게 진입할 수 있고, 진입된 후 안정적으로 착용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외이도 진입 하단부, 중간 연결부 및 상단부로 구성되는 외이도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에 면접촉함과 동시에 이어팁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외이도 접촉부의 중간 연결부를 인체의 체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 폴리머(SMP, shape-memory polymer)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이어팁이 착용자의 외이도 내에 삽입된 후, 중간 연결부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외이도 접촉부의 상단부는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 표면과 밀착될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본체부의 하부 내주면에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기부를 다수 형성하고, 다양한 돌출 길이로 돌기부를 구성함으로써, 제작 공정에 있어 점착성이 높은 재질에 대해서도 별도의 화학물질 등의 도움이 없이도 금형으로부터 물리적인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사진이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 사진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결속부(120), 돌기부(130) 및 외이도 접촉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제작 공정에 있어 점착성이 높은 재질에 대해서도 별도의 화학물질 등의 도움이 없이도 금형으로부터 물리적인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의 본체부(110)는,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본체부(110)는 특정 구조의 하단부(111), 중간연결부(112) 및 상단부(11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체부(110)의 하단부(111)는,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에 완만하게 진입하도록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111a, 111b)가 내주면 및 외주면에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10)의 중간연결부(112)는, 하단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원통형 구조이고, 하단부(111)와 상단부(113)를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본체부(110)의 상단부(113)는, 중간연결부(112)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상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113a)가 상단 외주면에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 본체부(110)의 상단 내주면에도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가 상단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이어팁(100)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단부(111), 중간연결부(112) 및 상단부(113)로 구성되는 본체부(110)를 구비함으로써, 이어폰의 일측에 안정적으로 장착될 수 있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에 완만하게 진입할 수 있고, 진입된 후 안정적으로 착용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결속부(120)는, 본체부(110)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링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 만입구조와 대응되는 돌기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속부(120)의 상단에는,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120a)가 결속부(120)의 상단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돌기부(130)는, 본체부(110)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링구조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 구조이며, 결속부(12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나 또는 다수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30)는 결속부(120)와 소정 거리(L)만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속부(120)와 돌기부(130) 사이 이격 거리(L)는 이어폰의 외주면 구조와 대응되는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기부(130)의 상단과 하단은 단면상 본체부(110)의 내주면과 수직을 이루는 구조일 수 있다.
돌기부(130)는 금형으로부터 이어팁(100)을 물리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하나의 핸들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30)는 작업자의 손 또는 작업 공구에 의해 파지되어 성형 직후의 이어팁(100)을 손쉽게 들어 올려 제작 완성된 이어팁(100)을 금형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외이도 접촉부(140)는,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로서,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외이도 접촉부(140)는 특정 구조의 외이도 진입 하단부(141), 중간 연결부(142) 및 상단부(14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외이도 진입 하단부(141)는,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되며, 본체부(110)의 외주면과 함께 내측 그루브(144)를 형성할 수 있다.
중간 연결부(142)는 외이도 진입 하단부(141)로부터 일체형으로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횡단면상 상방으로 외경이 증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단부(143)는 중간 연결부(142)로부터 일체형으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중간 연결부(142)의 상단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단부(143)의 상단 높이(H)는, 본체부(110)의 상단보다 본체부(110)의 두께(T)만큼 더 높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본체부(110)에 이어폰이 결속되면 사용자의 귀 표면과 이어폰의 외부면이 접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경질 이어폰 외부면으로 인해 사용자의 귀에 이물감이 느껴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외이도 접촉부(140)는 이어폰과 사용자의 귀 표면이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본체부(110)의 상단보다 소정 길이만큼 더 연장된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100)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외이도 진입 하단부(141), 중간 연결부(142) 및 상단부(143)로 구성되는 외이도 접촉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에 면접촉함과 동시에 이어팁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이어팁(100)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중간 연결부(142)는, 인체의 체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 폴리머(SMP, shape-memory polymer)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형상기억 폴리머(SMP: shape-memory polymer)는 일시적인 변형 상태에서 외부의 자극이나 환경의 변화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스마트 폴리머의 일종이다. 형상기억 폴리머(SMP)는 또 다른 형상기억 소재인 형상기억 합금에 비해서 제조원가가 싸고 가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이어팁(100)에 따르면, 외이도 접촉부(140)의 중간 연결부(142)를 인체의 체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 폴리머(SMP, shape-memory polymer) 소재로 구성함으로써, 이어팁이 착용자의 외이도 내에 삽입된 후, 중간 연결부(142)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외이도 접촉부(140)의 상단부(113)는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 표면과 밀착될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30)는, 본체부(110)의 하부 내주면에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나 또는 다수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30)는, 성형 완성된 이어팁(100)을 금형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핸들로서 활용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돌기부(130)의 구조 및 수량은 금형으로부터 이어팁(100)을 보다 손쉽게 제거할 수 있는 방향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돌기부(130)는,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최적의 핸들링 도구로 활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 및 수량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의 (a)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나의 군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군을 형성하는 다수의 돌기부(130)들 중 하방, 중간 또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이어팁(100)에 따르면, 본체부(110)의 하부 내주면에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돌기부(130)를 다수 형성하고, 다양한 돌출 길이로 돌기부(130)를 구성함으로써, 제작 공정에 있어 점착성이 높은 재질에 대해서도 별도의 화학물질 등의 도움이 없이도 금형으로부터 물리적인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100)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이어팁
110: 본체부
111: 하단부
112: 중간연결부
113: 상단부
120: 결속부
130: 돌기부
140: 외이도 접촉부
141: 외이도 진입 하단부
142: 중간 연결부
143: 상단부
144: 내측 그루브
H: 외이도 접촉부의 상단부의 높이
T: 본체부의 두께

Claims (5)

  1.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상부 내주면을 따라 링구조로 형성되고, 이어폰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속 만입구조와 대응되는 돌기 구조의 결속부(120);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 내주면을 따라 링구조로 형성되고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돌기 구조이며, 결속부(120)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나 또는 다수 배치된 돌기부(130); 및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부(130)는, 본체부(110)의 하부 내주면에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130)는, 서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하나의 군을 형성하고,
    하나의 군을 형성하는 다수의 돌기부(130)들 중 하방, 중간 또는 상방으로 향할수록 돌출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에 완만하게 진입하도록 하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111a, 111b)가 내주면 및 외주면에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 하단부(111);
    상기 하단부(111)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원통형 구조이고, 하단부(111)와 상단부(113)를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하는 중간연결부(112); 및
    상기 중간연결부(112)의 상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방으로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진 경사부(113a)가 상단 외주면에 연속적인 폐곡선 형태로 형성된 상단부(11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140)는,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과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되며, 본체부(110)의 외주면과 함께 내측 그루브(144)를 형성하는 외이도 진입 하단부(141);
    상기 외이도 진입 하단부(141)로부터 일체형으로 상방으로 연장되고, 횡단면상 상방으로 외경이 증가하는 구조의 중간 연결부(142);
    상기 중간 연결부(142)로부터 일체형으로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되고, 중간 연결부(142)의 상단과 동일한 외경을 가지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상단부(14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연결부(142)는, 인체의 체온에 의해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는 형상기억 폴리머(SMP, shape-memory polymer)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이어팁이 착용자의 외이도 내에 삽입된 후, 중간 연결부(142)가 원래의 상태로 복원되고, 외이도 접촉부(140)의 상단부(143)는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 표면과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5. 삭제
KR1020200111308A 2020-09-01 2020-09-01 금형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KR1022133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08A KR102213388B1 (ko) 2020-09-01 2020-09-01 금형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US17/217,216 US11240582B1 (en) 2020-09-01 2021-03-30 Ear tip including structure easily removable from mold
JP2021061564A JP6967170B1 (ja) 2020-09-01 2021-03-31 金型の取外しが容易な構造を含むイヤーチッ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1308A KR102213388B1 (ko) 2020-09-01 2020-09-01 금형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3388B1 true KR102213388B1 (ko) 2021-02-09

Family

ID=74559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1308A KR102213388B1 (ko) 2020-09-01 2020-09-01 금형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40582B1 (ko)
JP (1) JP6967170B1 (ko)
KR (1) KR1022133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793B1 (ko) * 2022-05-09 2022-09-15 주식회사 아즈라 하이브리드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829A (ko) * 2007-02-28 2008-09-02 주식회사 이채 이어폰
JP2010068299A (ja) * 2008-09-11 2010-03-25 Yamaha Corp イヤホン
KR101323805B1 (ko) 2012-10-24 2013-10-31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 폰
KR101875670B1 (ko) * 2017-04-26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JP2020109951A (ja) * 2018-12-07 2020-07-16 ジーエヌ ヒアリング エー/エスGN Hearing A/S 構成可能な聴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80093B2 (en) * 2008-09-05 2012-10-02 Apple Inc. Deformable ear tip for earphone and method therefor
KR101350752B1 (ko) 2012-06-04 2014-01-10 크레신 주식회사 가변 이어팁
KR101330661B1 (ko) 2012-07-16 2013-11-15 이상현 소음 차단용 귀마개
US20160173971A1 (en) * 2014-12-10 2016-06-16 Fender Musical Instruments Corporation Thermoplastic elastomer earpiece tip
CN110169086B (zh) * 2016-12-01 2021-09-21 索诺亚公司 定制听力装置部件的方法、听力装置部件以及听力装置
KR200491202Y1 (ko) 2018-03-05 2020-03-03 박영욱 소음 감쇠 귀마개
KR20200045281A (ko) 2018-10-22 2020-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물 유입 방지부를 포함하는 이어팁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9829A (ko) * 2007-02-28 2008-09-02 주식회사 이채 이어폰
JP2010068299A (ja) * 2008-09-11 2010-03-25 Yamaha Corp イヤホン
KR101323805B1 (ko) 2012-10-24 2013-10-31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 폰
KR101875670B1 (ko) * 2017-04-26 2018-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어폰
JP2020109951A (ja) * 2018-12-07 2020-07-16 ジーエヌ ヒアリング エー/エスGN Hearing A/S 構成可能な聴覚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2793B1 (ko) * 2022-05-09 2022-09-15 주식회사 아즈라 하이브리드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US11683629B1 (en) 2022-05-09 2023-06-20 Azla Inc. Eartip including hybrid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041862A (ja) 2022-03-11
JP6967170B1 (ja) 2021-11-17
US11240582B1 (en) 2022-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68142B1 (en) Comfort and high retention vibration and sound damping ear tips
JP5271412B2 (ja) 非ロール型フォームイヤーチップ
US20210243514A1 (en) Eartips for in-ear listening devices
US9736569B2 (en) In-ear headphones with retention members
KR102213388B1 (ko) 금형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KR20090097875A (ko) 셀프 피팅 장치
EP3528507A1 (en) Earphone cover and earphone having same
US10940043B2 (en) Sound attenuation apparatus and method
JP2022120049A (ja) イヤホン及びサポータ
NO994840D0 (no) Fleksibel örekrok
EP3893518A1 (en) Earphone sleeve and earphone assembly comprising same
CN106878894A (zh) 密封耳件
JP2021077991A (ja) イヤホン、イヤホンのドライバ用カバー、およびカバーセット
US2391924A (en) Phone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2384246B1 (ko)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
US9486365B2 (en) Earplug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10383413B1 (en) Ring support
US6480612B2 (en) Holder-ring for earphone plug
CN208707880U (zh) 耳机
KR101063521B1 (ko) 보청기
KR200454789Y1 (ko) 개선된 귀이개, 및 귀이개 및 이쑤시개를 함께 수용하는 휴대용 디바이스
US20240179450A1 (en) Dual structure tpe eartip having wax guard
DE502004008686D1 (de) Gleitstein für gelenkspindeln
US20220312871A1 (en) Moldable Mitt Assembly
NL1026917C2 (nl) Oormerkelement en werkwijzen voor de vervaardiging van een oormerk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