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246B1 -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 - Google Patents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246B1
KR102384246B1 KR1020210163759A KR20210163759A KR102384246B1 KR 102384246 B1 KR102384246 B1 KR 102384246B1 KR 1020210163759 A KR1020210163759 A KR 1020210163759A KR 20210163759 A KR20210163759 A KR 20210163759A KR 102384246 B1 KR102384246 B1 KR 102384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ain body
ear
earphone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3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즈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즈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즈라
Priority to KR1020210163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2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09Non-occlusive ear tips, i.e. leaving the ear canal open, for both custom and non-custom ti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dphones And Earphones (AREA)

Abstract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은,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상부 내주면을 따라 환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환형 결속돌기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내측면에 장착되고, 본체부의 하방 개방면을 차단하는 판상형 구조이며,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착용자의 귀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재로 구성된 박막형 구조의 왁스가드; 상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하방연장부; 및 상기 본체하방연장부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어팁 개발 및 대량 생산 시 금형 제작 및 금형 개발에 상당한 투자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이즈에 따라 서로 다른 금형 제작에 발생하는 고가의 투자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왁스가드를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Eartips Having Wax Guards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Mass-Produced Efficiently}
본 발명은 이어팁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에 관한 것이다.
요즘 많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스마트폰으로 음악을 감상하거나 전화 통화를 하는 경우 핸즈프리 기능에 의한 일반 이어폰 또는 블루투스 이어폰을 사용한다.
보통 스마트폰을 처음 구입하는 경우 번들용 이어폰이 제공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헤드폰과 비교하여 이어폰은 음량에 있어서 조금 떨어질 수 있으나, 작은 크기로 인하여 휴대하기 간편하기 때문에 스마트폰의 대중적인 보급과 함께 생활의 필수품이 되어버린 것이 현실이다.
이어폰을 형태로 분류를 하면 크게 개방형과 커널형 이어폰으로 분류할 수 있다. 초기 모델의 경우 개방형이 많이 사용되었으나 요즘은 개방형과 커널형 모두 비슷한 비율로 사용되고 있다.
개방형 이어폰의 장점이라면 이어폰의 하우징 내에 있는 스피커 모듈이 귓구멍에 완전히 밀폐되지 않고, 직접 음향이 전달되지 않아 음향의 일부가 새어나가서 편안한 개방감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다. 커널형 이어폰의 장점은 소음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고 사람마다 개성적인 외이의 모양에 상관없이 내이의 폭에 맞는 이어팁을 장착하는 경우에는 귀구멍과 밀착이 잘되어서 고정력이 강하다는 점이다.
상기 개방형 이어폰과 커널형 이어폰은 상호 보완적인 면이 있는데, 개방형 이어폰의 단점인 고정력 및 음샘으로 인한 저음역 재생능력 저하와 외부소음 유입의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에서 만들어진 이어폰이 커널형 이어폰이며, 반대로 커널형 이어폰은 개방형 이어폰과는 반대로 고정력 및 소음차단의 기능은 있으나 귓구멍과 밀착되어서 공기의 순환이 잘되지 않아 저음의 음역이 강하나, 사람마다 이물감 내지는 답답함, 그리고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커널형 이어폰은 밀폐형 헤드폰처럼 스피커와 귀 사이를 최대한 밀착시켜서 외부의 소음을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주변 소리로 인한 방해가 적고 진동판에서 발생하는 음향이 외부로 새어 나가지 않기 때문에 외부환경이 열악한 장소, 즉 외부소음이 심한 장소에서 음악 등의 청취가 가능하고 주변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장시간 사용할 경우 귀에 밀착된 이어팁의 압력 때문에 개방형 이어폰에 비해 착용감은 상대적으로 좋지 않으며 진동판의 소리가 직접 고막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공기의 압력에 의한 충격으로 인해 고막이 충격을 받을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어팁의 내부 공간에 충진재(200)를 삽입하여 귓구멍과 밀착되도록 하였으나, 충진재의 압력으로 인해 외부소음을 일부 차단할 수 있으나, 착용상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있어 편안한 청취가 곤란하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팁의 경우, 착용자의 귀 내부에서 발생하는 이물질이 이어팁 내부에 퇴적되는 구조로서, 착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이어팁 내부가 불결해짐과 동시에 이어폰으로부터 전달되는 음향이 제대로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23805호 (등록일자: 2013년10월24일)
본 발명의 목적은, 이어팁 개발 및 대량 생산 시 금형 제작 및 금형 개발에 상당한 투자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사이즈에 따라 서로 다른 금형 제작에 발생하는 고가의 투자 비용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대량생산 가능한 왁스가드를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이어팁은,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상부 내주면을 따라 환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환형 결속돌기가 형성된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 내측면에 장착되고, 본체부의 하방 개방면을 차단하는 판상형 구조이며, 다수의 관통공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착용자의 귀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재로 구성된 박막형 구조의 왁스가드; 상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하방연장부; 및 상기 본체하방연장부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와 왁스가드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하방연장부와 외이도 접촉부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와 본체하방연장부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링 구조이고, 외이도 접촉부의 하부 내측공간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자력형성부재가 내장된 하단결속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하방연장부는, 상기 하단결속부와 맞닿는 위치에 장착되고, 하단결속부의 자력형성부재와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환형구조의 금속소재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증가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외이도 접촉부는, 상기 본체하방연장부의 하단 외주면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곡면구조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고, 본체부의 하단 높이까지 연장되며, 제1두께를 가지는 구조의 하단 접촉날개; 상기 하단 접촉날개와 일체형 구조로 곡면구조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고, 본체부의 중앙 높이까지 연장되며, 제2두께를 가지는 구조의 중앙 접촉날개; 및 상기 중앙 접촉날개와 일체형 구조로 수직 측벽구조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고, 본체부의 상단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연장되며, 제3두께를 가지는 구조의 상단 접촉날개;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두께, 제2두께 및 제3두께는 순차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길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왁스가드에 형성된 관통공은, 평면상 다각형 구조, 정다각형 구조, 원 구조 또는 타원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하방연장부는, 본체부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본체하방연장부의 상부 내측면에는 왁스가드의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구조의 이물질제거 블레이드가 장착되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물질제거 블레이드는, 상기 본체하방연장부의 상부 내주면의 양측을 연장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본체하방연장부의 중앙부를 향해 두께와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 왁스가드, 본체하방연장부 및 외이도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원통형 구조의 본체부의 하부에 왁스가드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어, 대량 생산 시 외이도 접촉부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본체부와 왁스가드를 형성하는 금형을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이어팁 개발 및 대량생산을 위한 투자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본체부와 왁스가드를 형성하는 금형 공용화로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의 본체하방연장부와 외이도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본체부와 왁스가드는 공용으로 사용하고 외이도 접촉부는 사용자의 취향과 외이도의 크기에 맞춰 다양한 사이즈로 교체 장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외이도 사이즈에 손쉽게 맞춤 적용될 수 있는 구조의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단 접촉날개, 중앙 접촉날개 및 상단 접촉날개를 포함하는 외이도 접촉부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귀에 삽입 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이 접촉되도록 하여 착용 시 체감하는 이질감을 최소로 하고, 착용 후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외이도를 밀폐함으로써 이어폰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진동을 최소화하여 원음을 최대한 손실 없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관통공이 형성된 왁스가드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귀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이어폰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의 관통공을 통해 이어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손실없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왁스 가드의 강도를 최대로 보강할 수 있도록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어팁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이물질제거 블레이드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귀로부터 발생하는 이물질을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본체하방연장부와 외이도 접촉부를 손쉽게 회전시켜 왁스가드의 하부면에 흡착되거나 퇴적된 이물질을 이물질제거 블레이드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별도의 청소도구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종절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어팁의 왁스가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어팁의 외이도 접촉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1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사시도고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의 하부를 나타내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종절단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구성으로서,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왁스가드(120), 본체하방연장부(130) 및 외이도 접촉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원통형 구조의 본체부(110)의 하부에 왁스가드(120)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어, 대량 생산 시 외이도 접촉부(14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본체부(110)와 왁스가드(120)를 형성하는 금형을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이어팁 개발 및 대량생산을 위한 투자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본체부(110)와 왁스가드(120)를 형성하는 금형 공용화로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5에는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2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이어팁의 왁스가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의 본체부(110)는,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상부 내주면을 따라 환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환형 결속돌기(111)가 형성된 구성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왁스가드(120)는, 본체부(110)의 하부 내측면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하방 개방면을 차단하는 판상형 구조이다. 이때, 왁스가드(120)에는 다수의 관통공(121)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왁스가드(120)는, 착용자의 귀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재로 구성된 박막형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또한, 왁스가드(120)에 형성된 관통공(121)은, 평면상 다각형 구조, 정다각형 구조, 원 구조 또는 타원 구조임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출원인은 다수의 실험과 시행착오를 바탕으로 제작공정과 사용상태를 모두 고려할 때, 관통공(121)의 평면상 형상은 육각형 구조가 가장 바람직하다. 제작공정과 사용상태를 고려할 때, 육각형 구조만 써야 관통공(121)의 평면상 면적을 최대화시킬 수 있고, 이때 관통공(121)을 통해 제공되는 소리의 양이 증대되어 음질적으로 최상의 품질을 가지는 소리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관통공(121)이 형성된 왁스가드(120)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귀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이어폰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다수의 관통공(121)을 통해 이어폰으로부터 발생되는 소리를 손실없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두께가 얇은 왁스 가드의 강도를 최대로 보강할 수 있도록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하방연장부(130)는, 본체부(1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실린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이도 접촉부(140)는, 본체하방연장부(13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성으로서,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본체부(110), 왁스가드(120), 본체하방연장부(130) 및 외이도 접촉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원통형 구조의 본체부(110)의 하부에 왁스가드(120)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할 수 있어, 대량 생산 시 외이도 접촉부(140)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본체부(110)와 왁스가드(120)를 형성하는 금형을 공용으로 활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이어팁 개발 및 대량생산을 위한 투자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고, 본체부(110)와 왁스가드(120)를 형성하는 금형 공용화로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외이도 접촉부(140)는,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증가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외이도 접촉부(140)는, 특정 구조의 하단 접촉날개(141), 중앙 접촉날개(142) 및 상단 접촉날개(143)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외이도 접촉부(140)의 하단 접촉날개(141)는, 본체하방연장부(130)의 하단 외주면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는 구성으로서, 곡면구조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고, 본체부(110)의 하단 높이까지 연장되며, 제1두께(d1)를 가지는 구조이다. 중앙 접촉날개(142)는, 하단 접촉날개(141)와 일체형 구조로 곡면구조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중앙 높이까지 연장되며, 제2두께(d2)를 가지는 구조이다. 또한, 상단 접촉날개(143)는, 중앙 접촉날개(142)와 일체형 구조로 수직 측벽구조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는 구성으로서, 본체부(110)의 상단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연장되며, 제3두께(d3)를 가지는 구조이다. 이때, 상기 언급한 제1두께(d1), 제2두께(d2) 및 제3두께(d3)는 순차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길이임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하단 접촉날개(141), 중앙 접촉날개(142) 및 상단 접촉날개(143)를 포함하는 외이도 접촉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귀에 삽입 시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부분이 접촉되도록 하여 착용 시 체감하는 이질감을 최소로 하고, 착용 후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이 외이도를 밀폐함으로써 이어폰에서 발생하는 물리적 진동을 최소화하여 원음을 최대한 손실 없이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에 도시된 이어팁의 외이도 접촉부를 본체부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부(110)와 왁스가드(120)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본체하방연장부(130)와 외이도 접촉부(140)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와 본체하방연장부(130)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하단부와 본체하방연장부(130)는 자성에 의해 서로 부착될 수 있는 구조이다.
이때,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에는 특정 구조의 하단결속부(112)가 형성되고, 본체하방연장부(130) 내부에는 금속소재부(131)가 장착된다. 본체부(110)의 하단결속부(112)는,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링 구조이고, 외이도 접촉부(140)의 하부 내측공간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자력형성부재(112a)가 내장된 구조이다. 또한, 본체하방연장부(130)의 금속소재부(131)는, 하단결속부(112)와 맞닿는 위치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하단결속부(112)의 자력형성부재(112a)와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환형구조이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탈부착 가능한 구조의 본체하방연장부(130)와 외이도 접촉부(140)를 구비함으로써, 본체부(110)와 왁스가드(120)는 공용으로 사용하고 외이도 접촉부(140)는 사용자의 취향과 외이도의 크기에 맞춰 다양한 사이즈로 교체 장착할 수 있어, 사용자의 외이도 사이즈에 손쉽게 맞춤 적용될 수 있는 구조의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을 나타내는 종절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11에 도시된 이어팁을 나타내는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이어팁(100)은, 특정 구조의 이물질제거 블레이드(132)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하방연장부(130)는 본체부(1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본체하방연장부(130)의 상부 내측면에는 왁스가드(120)의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구조의 이물질제거 블레이드(132)가 장착된다.
이때,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제거 블레이드(132)는, 본체하방연장부(130)의 상부 내주면의 양측을 연장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본체하방연장부(130)의 중앙부를 향해 두께와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이물질제거 블레이드(132)를 구비함으로써, 착용자의 귀로부터 발생하는 이물질을 착용자의 의도에 따라 본체하방연장부(130)와 외이도 접촉부를 손쉽게 회전시켜 왁스가드(120)의 하부면에 흡착되거나 퇴적된 이물질을 이물질제거 블레이드(132)로 손쉽게 제거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별도의 청소도구가 필요하지 않아 유지관리가 용이한 이어팁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이어팁
110: 본체부
111: 결속돌기
112: 하단결속부
112a: 자력형성부재
120: 왁스가드
121: 관통공
130: 본체하방연장부
131: 금속소재부
132: 이물질제거 블레이드
133: 결속구조
140: 외이도 접촉부
141: 하단 접촉날개
142: 중앙 접촉날개
143: 상단 접촉날개
d1: 제1두께
d2: 제2두께
d3: 제3두께

Claims (7)

  1.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상부 내주면을 따라 환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환형 결속돌기(111)가 형성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 내측면에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하방 개방면을 차단하는 판상형 구조이며, 다수의 관통공(121)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착용자의 귀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재로 구성된 박막형 구조의 왁스가드(120);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하방연장부(130); 및
    상기 본체하방연장부(13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부(110)와 왁스가드(120)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하방연장부(130)와 외이도 접촉부(140)는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본체부(110)와 본체하방연장부(130)는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 외주면을 따라 소정 높이만큼 돌출 형성된 링 구조이고, 외이도 접촉부(140)의 하부 내측공간과 대응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소정 크기의 자력형성부재(112a)가 내장된 하단결속부(112);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하방연장부(130)는,
    상기 하단결속부(112)와 맞닿는 위치에 장착되고, 하단결속부(112)의 자력형성부재(112a)와 자성에 의해 부착되는 환형구조의 금속소재부(131);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이도 접촉부(140)는, 상방으로 갈수록 단면 두께가 증가하는 구조이고,
    상기 외이도 접촉부(140)는,
    상기 본체하방연장부(130)의 하단 외주면과 일체형 구조로 결속되고, 곡면구조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고, 본체부(110)의 하단 높이까지 연장되며, 제1두께(d1)를 가지는 구조의 하단 접촉날개(141);
    상기 하단 접촉날개(141)와 일체형 구조로 곡면구조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고, 본체부(110)의 중앙 높이까지 연장되며, 제2두께(d2)를 가지는 구조의 중앙 접촉날개(142); 및
    상기 중앙 접촉날개(142)와 일체형 구조로 수직 측벽구조를 형성하며 상방으로 연장되고, 본체부(110)의 상단 높이보다 소정 높이만큼 더 연장되며, 제3두께(d3)를 가지는 구조의 상단 접촉날개(143);
    를 포함하고,
    상기 제1두께(d1), 제2두께(d2) 및 제3두께(d3)는 순차적으로 점차 증가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4. 삭제
  5. 삭제
  6. 이어폰의 일측에 장착되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로 삽입되어 이어폰의 위치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이어팁으로서,
    이어폰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중공형 실린더 구조이고,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구조이며, 상부 내주면을 따라 환형 구조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된 환형 결속돌기(111)가 형성된 본체부(110);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 내측면에 장착되고, 본체부(110)의 하방 개방면을 차단하는 판상형 구조이며, 다수의 관통공(121)이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형성되고, 착용자의 귀 내부로부터 발생되는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소재로 구성된 박막형 구조의 왁스가드(120);
    상기 본체부(110)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실린더 구조의 본체하방연장부(130); 및
    상기 본체하방연장부(130)의 하단 외주면으로부터 방사형태로 돌출되어 상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연장된 구조이고, 착용자의 외이도 내부면과 접촉하는 외이도 접촉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하방연장부(130)는, 본체부(1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본체하방연장부(130)의 상부 내측면에는 왁스가드(120)의 하부면과 면접촉하는 구조의 이물질제거 블레이드(132)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제거 블레이드(132)는,
    상기 본체하방연장부(130)의 상부 내주면의 양측을 연장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본체하방연장부(130)의 중앙부를 향해 두께와 폭이 점차 좁아지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팁.
KR1020210163759A 2021-11-24 2021-11-24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 KR102384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759A KR102384246B1 (ko) 2021-11-24 2021-11-24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3759A KR102384246B1 (ko) 2021-11-24 2021-11-24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4246B1 true KR102384246B1 (ko) 2022-04-08

Family

ID=81182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3759A KR102384246B1 (ko) 2021-11-24 2021-11-24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24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214B1 (ko) 2022-09-02 2023-06-20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폰용 이어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KR102553394B1 (ko) * 2022-11-29 2023-07-10 주식회사 아즈라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중구조 티피이 이어팁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417A (ko) * 2008-06-25 2011-03-15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이어 칩 및 삽입형 이어폰
KR101323805B1 (ko) 2012-10-24 2013-10-31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 폰
KR20210135150A (ko) * 2020-05-04 2021-11-12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구비한 이어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6417A (ko) * 2008-06-25 2011-03-15 스타 마이크로닉스 컴퍼니 리미티드 이어 칩 및 삽입형 이어폰
KR101323805B1 (ko) 2012-10-24 2013-10-31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 팁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어 팁을 구비하는 이어 폰
KR20210135150A (ko) * 2020-05-04 2021-11-12 부전전자 주식회사 이물질 유입 방지 구조를 구비한 이어팁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5214B1 (ko) 2022-09-02 2023-06-20 주식회사 에이피케이 이어폰용 이어팁 및 이를 구비하는 이어폰
KR102553394B1 (ko) * 2022-11-29 2023-07-10 주식회사 아즈라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중구조 티피이 이어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6564B2 (en) Flexible earphone cover for earphones with sensors
KR102384246B1 (ko) 효율적인 대량생산 가능 구조의 왁스가드를 포함하는 이어팁
EP3082347B1 (en) In-ear headphones with retention members
US11044542B2 (en) Composite earcushion
EP3522560B1 (en) Earphone
US9161114B2 (en) Earmolds
JP4839016B2 (ja) 補聴器用柔軟性耳当て
CN111164987B (zh) 复合耳垫
AU2007326143B2 (en) Face plate, vibration speaker having face plate, and portable terminal including the same
US20090232342A1 (en) Earbud adapter with increased flexibility region
CN110679160B (zh) 一种耳承以及应用该耳承的耳塞和助听器
CN106028198A (zh) 耳机定位和保持结构
US20130177193A1 (en) Earbud or in-ear headphone clip
JP2021077991A (ja) イヤホン、イヤホンのドライバ用カバー、およびカバーセット
CN108650577A (zh) 耳机套及耳机组件
US20060147079A1 (en) Earphone
CN205081916U (zh) 耳挂式耳机
EP3367696A1 (en) Flexible earphone cover for earphones with sensors
JP2010226300A (ja) イヤーピース及びそれを備えたヘッドホン
CN209608820U (zh) 入耳式耳机
JP2017139523A (ja) ヘッドホン
KR101441821B1 (ko) 귀걸이형 이어폰 거치 장치
KR101756648B1 (ko) 착용감이 부드러우며, 운동시에 이탈이 되지 않는 이어폰 및 보청기
JPS6379500A (ja) 電気音響変換器
KR102315063B1 (ko) 세미 커널 타입 무선 이어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