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02Y1 - 소음 감쇠 귀마개 - Google Patents

소음 감쇠 귀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02Y1
KR200491202Y1 KR2020180000951U KR20180000951U KR200491202Y1 KR 200491202 Y1 KR200491202 Y1 KR 200491202Y1 KR 2020180000951 U KR2020180000951 U KR 2020180000951U KR 20180000951 U KR20180000951 U KR 20180000951U KR 200491202 Y1 KR200491202 Y1 KR 200491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frame
noise
blocking
holes
block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9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2280U (ko
Inventor
박영욱
박광헌
Original Assignee
박영욱
박광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욱, 박광헌 filed Critical 박영욱
Priority to KR20201800009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02Y1/ko
Publication of KR201900022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2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0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06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 A61F11/08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 A61F11/085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internal, e.g. earplugs including an inner channel
    • A61F2011/085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syc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일상 생활에 필요한 청음기능은 제공하면서 청력에 손실을 가하는 노이즈는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소음 감쇠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 감쇠 귀마개는 일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코어프레임 및 상기 코어프레임을 둘러싸는 차단막들이 상기 코어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어 복수의 챔버들을 형성하는 소음감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들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차단막들 및 상기 코어프레임의 양끝단에 위치한 상기 차단막들 각각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챔버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소음 감쇠 귀마개{EARPLUG FOR NOISE REDUCTION}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귀에 착용되어 외부의 노이즈를 감소시키는 소음 감쇠 귀마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귀마개는 귀에 착용되어 노이즈로부터 청력을 보호하고 수중에서 방수용으로 사용되거나 일 또는 공부 중에 집중력을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노이즈 캔슬링 기술을 통해 특정 음역대의 소음을 차단하는 귀마개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노이즈 캔슬링 기능을 가지는 귀마개의 경우 가격이 높고 충전의 불편함이 있으며,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대의 귀마개의 경우 기능이 제한적이며 착용감, 차음 및 방음만을 목적으로 하는 등 기능이 매우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소통은 가능하면서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대에 충전의 불편함이 없이 착용감이 좋고 노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귀마개의 개발을 통해 일반 대중들의 구입을 도모하고 우선적으로는 충격음에 노출된 자, 그 외 대중의 청력에 관한 질환을 예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31332호는 푸시-인 귀마개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3258호는 선택적 감쇠 귀마개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발명들은 별도의 조작이 필요없이 노이즈는 감소시키면서 일반적인 소통을 가능케 하는 귀마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일상 생활에 필요한 청음 기능은 제공하면서 청력에 손실을 가하는 노이즈는 효과적으로 감쇠시키는 소음 감쇠 귀마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소음 감쇠 귀마개는 일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코어프레임 및 상기 코어프레임을 둘러싸는 차단막들이 상기 코어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어 복수의 챔버들을 형성하는 소음감쇠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들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차단막들 및 상기 코어프레임의 양끝단에 위치한 상기 차단막들 각각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챔버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막들 각각은 일단이 상기 코어프레임의 일단을 향해 오목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어프레임을 둘러싸고, 타단은 상기 코어프레임의 타단을 향해 확장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들 각각은 상기 코어프레임의 타단에 인접할수록 타단의 원형 가장자리의 크기가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타단 일부분이 인접한 상기 차단막들 각각의 일단 경사면에 결합하여 상기 챔버들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단막들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홀들은 상기 코어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어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되는 상기 차단막들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홀들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차단막들에 형성된 상기 홀들과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음 감쇠 귀마개는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챔버들을 통해 청력에 손실을 가하는 높은 음파가 단시간에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음파가 장거리를 경유하며 감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음 감쇠 귀마개는 청력에 영향을 주는 상대적으로 높은 음파에 대한 감쇠 기능은 유지함과 동시에 상대적으로 낮은 음파의 전달력은 유지하여 청력은 보호하면서 일상생활의 청음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소음 감쇠 귀마개는 음파가 외이도의 내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회전하는 경로를 거치며 직선으로 외이도로 이동하는 음파보다 상대적으로 장거리를 경유하며 이동하므로 감쇠효과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음 감쇠 귀마개는 작은 홀을 통해 챔버로 이동하는 음파가 챔버의 내부에서 차단막들에 반사되며 발생하는 반대 위상의 음파로 소리가 상쇄되어 복수의 챔버들을 통해 소음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음 감쇠 귀마개는 차단막에 음파가 부딪히는 것으로 열에너지로 변환되어 자연적으로 소리가 감소되며, 복수의 차단막들에 의해 넓은 표면적에 음파가 부딪히는 과정에서 소음이 현저히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고안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고안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고안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소음 감쇠 귀마개의 일측면도.
도 3은 도 1의 소음 감쇠 귀마개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소음 감쇠 귀마개를 I-I'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소음 감쇠 귀마개의 홀들을 따라 소리가 감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의 단면도.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의 사시도 및 저면도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의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소음 감쇠 귀마개의 일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 및 2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감쇠 귀마개(100)는 코어프레임(200) 및 소음감쇠부(400)를 포함한다.
소음 감쇠 귀마개(100)는 일측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실린더 형태의 코어프레임(200) 및 상기 코어프레임(200)을 둘러싸는 복수의 차단막들이 코어프레임(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어 복수의 공간들을 형성한다.
소음 감쇠 귀마개(100)는 일단은 상기 차단막들에 의해 오목한 반구 형태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단면 형상이 원형의 형태로 확장되도록 형성되며 중앙에는 코어프레임(200)의 타단이 타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코어프레임(200)은 소음 감쇠 귀마개(100)의 전체적인 강성 확보 및 형태 유지를 위해 폴리아미드(PA), 지텔(ZYTEL: 듀퐁),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옥시메틸렌(POM)을 포함하는 고분자, 천연소재, 세라믹 또는 금속 소재로 제작된다.
소음감쇠부(400)는 귀의 외이도 내부에 삽입되어 귀의 내부 피부와 부드럽게 밀착되어 외부와 외이도 내부 사이를 밀봉시키기 위해 스티렌 에틸렌 부틸렌 스티렌(SEBS), 열가소성 탄성중합체(TPE), C-플렉스(FLEX: CONSOLIDATED POLYMER TECHNOLOGIES, Inc.), 폴리우레탄 발포체 및 절연 실리콘 소재를 포함하는 고분자 소재 또는 천연소재를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음감쇠부(400)는 제1 차단막(420), 제2 차단막(430), 제3 차단막(440) 및 제4 차단막(450)을 포함한다.
제1 차단막(420)은 코어프레임(200)의 타단과 이격된 위치에서 일단은 코어프레임(20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되고, 타단은 코어프레임(200)의 타단을 향해 원형으로 확장 연장된다.
제2 차단막(430)의 일단은 제1 차단막(420)의 일단부터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코어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제2 차단막(430)의 타단은 코어프레임(200)의 타단을 향해 원형으로 확장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타단 가장자리는 제1 차단막(430)의 일단 외측면의 경사면에 결합된다.
제2 차단막(430)의 타단 가장자리 및 코어프레임(200) 사이의 거리는 제1 차단막(420)의 타단 및 코어프레임(200)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고, 제1 차단막(420) 및 제2 차단막(43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차단막(420)의 일단 일부는 제2 차단막(430)의 타단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와 격리된다.
제3 차단막(440)의 일단은 제2 차단막(430)의 일단부터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코어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제3 차단막(440)의 타단은 코어프레임(200)의 타단을 향해 원형으로 확장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타단 가장자리는 제2 차단막(430)의 일단 외측면에 형성된 곡면의 경사면에 결합된다.
제3 차단막(440)의 타단 가장자리 및 코어프레임(200) 사이의 거리는 제2 차단막(430)의 타단 및 코어프레임(200)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고, 제2 차단막(430) 및 제3 차단막(440)이 서로 결합 된 상태에서 제2 차단막(430)의 일단 일부는 제3 차단막(440)의 타단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와 격리된다.
제4 차단막(450)의 일단은 제3 차단막(440)의 일단에서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코어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제4 차단막(450)의 타단은 코어프레임(200)의 타단을 향해 원형으로 확장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타단 가장자리는 제3 차단막(440)의 일단 외측면에 형성된 곡면의 경사면에 결합된다.
제4 차단막(450)의 타단 가장자리 및 코어프레임(200) 사이의 거리는 제3 차단막(440)의 타단 및 코어프레임(200)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고, 제3 차단막(440) 및 제4 차단막(450)이 서로 결합 된 상태에서 제3 차단막(440)의 일단 일부는 제4 차단막(450)의 타단에 의해 커버되어 외부와 격리된다.
따라서, 외이도에 소음 감쇠 귀마개(100)를 삽입하면 외부에 코어프레임(200)의 타단 및 제1 차단막(420)의 타단 내측면이 노출되고, 제1 차단막(420)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의 음파가 소음감쇠부(400)의 내부로 이동하며 감쇠된 후 제4 차단막(450)에 형성된 홀을 통해 귀의 내부로 전달된다.
또한, 소음감쇠부(400)의 내부로 전달되는 상기 음파는 제1 내지 제4 차단막(420, 430, 440, 450)들의 결합을 통해 소음감쇠부(400)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공간들을 거쳐 감쇠되므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높은 음파에 대한 소음 감쇠 효과가 극대화되면서 일상 생활에서 필요한 소리의 청취는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3은 도 1의 소음 감쇠 귀마개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2의 소음 감쇠 귀마개를 I-I' 및 II-II'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도 1의 소음 감쇠 귀마개의 홀들을 따라 소리가 감쇠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5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내지 제4 차단막(420, 430, 440, 450)들 각각에는 외부의 음파가 외이도의 내부로 이동하도록 제1 내지 제4 홀(425, 435, 445, 455)들이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음파는 제1 내지 제4 홀(425, 435, 445, 455)들을 통과하며 제1 내지 제4 경로(20, 22, 24, 26)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소음이 현저하게 감쇠되지만, 일상 생활의 대화 수준의 음파는 제1 내지 제4 경로(20, 22, 24, 26)들을 따라 이동하면서 외이도로 전달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425)들은 코어프레임(200)에 인접한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제1 차단막(4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외부의 음파는 제1 경로(20)를 따라 제1 차단막(420) 및 제2 차단막(430) 사이에 형성되는 제1 챔버(30)로 이동한다.
제2 홀(435)들은 코어프레임(200)에 인접한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제2 차단막(43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1 챔버(30)로 유입된 음파는 제2 차단막(430) 및 제3 차단막(440)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챔버(32)로 이동한다.
제2 홀(435)들 각각의 위치는 제1 홀(425)들 각각이 코어프레임(200)의 중심에 위치한 코어프레임(20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이동한 위치와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되고, 제1 홀(425)들 각각을 통해 유입된 음파는 제1 챔버(30)에서 제1 홀(425)들 각각의 양측 방향인 제2 경로(22)를 따라 제2 홀(435)들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음파는 제1 챔버(3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및 제2 차단막(420, 430)들 각각과 반사되며 감쇠되고,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한 직선 경로가 아닌 제2 경로(22)를 따라 코어프레임(200)을 둘러싸며 이동하면서 감쇠되므로 감쇠효과가 상승하는 장점이 있다.
제3 홀(445)들은 코어프레임(200)에 인접한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제3 차단막(44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 챔버(32)로 유입된 음파는 제3 차단막(440) 및 제4 차단막(45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인 제3 챔버(34)로 이동한다.
제3 홀(445)들 각각의 위치는 제2 홀(435)들 각각이 코어프레임(200)의 중심에 위치한 코어프레임(20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만큼 회전되는 위치와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되어 제1 홀(425)들 각각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제2 홀(435)들 각각을 통해 제2 챔버(32)로 유입된 음파는 제2 홀(435)들 각각의 양측 방향인 제3 경로(24)를 따라 제3 홀(445)들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음파는 제2 챔버(32)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2 및 제3 차단막(430, 440)들 각각과 반사되며 감쇠되고,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한 직선 경로가 아닌 제3 경로(24)를 따라 코어프레임(200)을 둘러싸며 이동하면서 감쇠되므로 감쇠효과가 상승하는 장점이 있다.
제4 홀(455)들은 코어프레임(200)의 일단 외측면과 인접한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제4 차단막(45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3 챔버(34)로 유입된 음파는 제4 차단막(450)에 형성된 제4 홀(455)을 통해 외이도의 내부로 이동한다.
제4 홀(455)들 각각의 위치는 제3 홀(445)들 각각이 코어프레임(200)의 중심에 위치한 코어프레임(20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만큼 회전되는 위치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여 제2 홀(435)들 각각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고, 제3 홀(445)들 각각을 통해 제3 챔버(34)로 유입된 음파는 제3 홀(445)들 각각의 양측 방향인 제4 경로(26)를 따라 제4 홀(455)들을 향해 이동한다.
상기 음파는 제3 챔버(34)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3 및 제4 차단막(440, 450)들 각각에 번갈아가며 반사되며 감쇠되고,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한 직선 경로가 아닌 제4 경로(26)를 따라 코어프레임(200)을 둘러싸며 상대적으로 먼거리를 경유하며 이동하므로 감쇠효과가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음파는 제1 내지 제3홀(425, 435, 445)들을 통해 제1 내지 제3 챔버(30, 32, 34)들로 이동하는 음파가 제1 내지 제3 챔버(30, 32, 34)들의 내부에서 제1 내지 제4 차단막(420, 430, 440, 450)들에 반사되어 발생하는 반대 위상의 음파에 의해 소리가 상쇄되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의 단면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120)는 제1 내지 제4 필터(427, 437, 447, 457)들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소음 감쇠 귀마개(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감쇠 귀마개(120)는 제1 필터(427)들, 제2 필터(437)들, 제3 필터(447)들 및 제4 필터(457)들을 포함한다.
제1 필터(427)들은 제1 홀(425)들 각각을 커버하는 형태로 제1 차단막(42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제1 차단막(42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발포 고분자 또는 내부에 진동을 흡수하는 복수의 필러들이나 와이어들이 형성되는 필터로 형성된다.
제1 필터(427)들은 콘서트 공연장, 공항, 클럽 및 레이싱 경기를 포함하는 높은 노이즈가 발생하는 지역에서 제1 챔버(30)로 유입되는 음파를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 있고, 귀의 외부를 향해 배치되므로 손으로 탈착하여 환경에 따른 감쇠효과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필터(427)들 중 어느 하나를 제1 홀(425)에서 분리시켜 노이즈 감쇠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고, 노이즈가 심한 환경에서 벗어나는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제2 필터(437)들 각각은 제2 홀(435)들 각각을 커버하는 형태로 제2 차단막(43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제2 차단막(43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발포 고분자 또는 내부에 진동을 흡수하는 복수의 필러들이나 와이어들이 형성되는 필터로 형성된다.
제3 필터(447)들 각각은 제3 홀(445)들 각각을 커버하는 형태로 제3 차단막(44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제3 차단막(44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발포 고분자 또는 내부에 진동을 흡수하는 복수의 필러들이나 와이어들이 형성되는 필터로 형성된다.
제4 필터(457)들 각각은 제4 홀(455)들 각각을 커버하는 형태로 제4 차단막(450)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제4 차단막(450)과 일체형으로 제작되고, 발포 고분자 또는 내부에 진동을 흡수하는 복수의 필러들이나 와이어들이 형성되는 필터로 형성된다.
제4 필터(457)들 각각의 경우 어느 하나를 제4 홀(455)에서 분리하거나 제4 필터(457)들 모두를 제4 홀(455)들에서 분리하여 소음 감쇠 효과를 저감시킬 수 있고, 제1 필터(427)들의 탈부착 기능과 겸용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필터(427)들, 제2 필터(437)들, 제3 필터(447)들 및 제4 필터(457)들 각각은 제1 내지 제4 홀(425, 435, 445, 455)들 각각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내지 제4 차단막(420, 430, 440, 450)들 각각을 확장시키고, 제1 내지 제4 차단막(420, 430, 440, 450)들 각각은 제작된 소재의 탄성력에 의해 제1 필터(427)들, 제2 필터(437)들, 제3 필터(447)들 및 제4 필터(457)들 각각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도 7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의 사시도 및 저면도들을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140)는 소음조절부(6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소음 감쇠 귀마개(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감쇠 귀마개(140)는 소음 조절부(600)를 더 포함한다.
소음 조절부(600)의 일단은 양측으로 확장 연장된 날개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차단막(420)의 내측면과 밀착되며, 타단은 일단의 중앙에서 타단을 향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원기둥 형태로 연장되어 일단이 제1 차단막(420)의 내측면과 밀착된 상태에서 코어프레임(200)의 외측면을 커버한다.
소음 조절부(600)는 소음 감쇠 귀마개(140)와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타단을 잡고 코어프레임(20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소음 조절부(600)를 회전시키면, 회전 각도 및 방향에 따라 제1 홀(425)들을 외부로부터 차단하거나 개방한다.
구체적으로, 소음 조절부(600)는 본체(620) 및 커버(640)들을 포함한다.
본체(620)는 원기둥 형태로 일단 및 타단을 향해 내부공간이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탄성이 있는 고분자 소재로 제작되어 일단의 확장을 통해 코어프레임(200)을 둘러싼 후 소음 감쇠 귀마개(140)의 일단을 향해 이동하며 코어프레임(200)과 밀착 결합된다.
커버(640)들 각각의 일단은 본체(62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본체(620)의 일단 외측면에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후방을 향해 절곡된 곡면을 형성하며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된다.
따라서, 본체(620)가 코어프레임(200)의 타단을 둘러싸며 코어프레임(200)과 밀착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640)들 각각의 전면은 제1 차단막(420)의 내측면과 밀착되고, 본체(620)의 회전 방향 및 각도에 따라 커버(640)들 각각은 제1 홀(425)들 각각을 커버 또는 개방한다.
이를 통해 해당 사용자는 제1 홀(425)들을 외부의 음파로부터 개방하거나 차단시킬 수 있고, 소음 감쇠 귀마개(140)를 귀에 장착한 상태에서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경우 제1 홀(425)들을 개방하고, 심한 노이즈가 지속되는 경우 제1 홀(425)들을 커버하여 소음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커버(640)들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은 본체(620)의 외측면을 따라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본체(620)를 사이에 두고 대칭으로 형성되는 다른 커버(640)와 다른 형태로 제작될 수 있고, 이 경우, 해당 사용자는 제1 홀(425)들을 모두 커버하거나, 본체(620)의 회전방향 및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상기 돌출부를 통해 제1 홀(425)들 중 어느 하나만 커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소음 감쇠 귀마개(160)는 소음감쇠부(700)를 제외하면, 도 1 내지 5들의 소음 감쇠 귀마개(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와 명칭을 사용하고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 감쇠 귀마개(160)는 소음감쇠부(700)를 포함한다.
소음감쇠부(700)는 제1 차단막(720), 제2 차단막(730), 제3 차단막(740) 및 제4 차단막(750)을 포함한다.
소음감쇠부(700)는 제1 차단막(720), 제2 차단막(730), 제3 차단막(740) 및 제4 차단막(750)들 각각이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코어프레임(200)을 둘러싸는 형태로 코어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제1 차단막(720)은 코어프레임(200)의 타단을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코어프레임(200)의 타단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제1 차단막(720)을 관통하는 제1 홀(722)들이 형성된다.
제2 차단막(730)은 제1 차단막(720)의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코어프레임(200)을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제1 차단막(72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차단막(730)이 둘러싸는 코어프레임(200)의 표면 및 제2 차단막(73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제1 차단막(720)이 둘러싸는 코어프레임(200)의 표면 및 제1 차단막(72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또한, 제2 차단막(730)에는 제2 차단막(730)이 둘러싸는 코어프레임(200)의 타단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제2 차단막(730)을 관통하는 제2 홀(732)들이 형성되고, 제2 홀(732)들은 제1 홀(722)들 각각이 코어프레임(200)의 중심에 위치한 코어프레임(20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이동한 위치와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된다.
제3 차단막(740)은 제2 차단막(730)의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코어프레임(200)을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차단막(73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3 차단막(740)이 둘러싸는 코어프레임(200)의 표면 및 제3 차단막(74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제2 차단막(730)이 둘러싸는 코어프레임(200)의 표면 및 제2 차단막(73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또한, 제3 차단막(740)에는 제3 차단막(740)이 둘러싸는 코어프레임(20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제3 차단막(740)을 관통하는 제3 홀(742)들이 형성되고, 제3 홀(742)들은 제2 홀(732)들 각각이 코어프레임(200)의 중심에 위치한 코어프레임(200)의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이동한 위치와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되어 제1 홀(722)들 각각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된다.
제4 차단막(750)은 제3 차단막(740)의 위치에서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상태에서 코어프레임(200)의 일단을 둘러싸는 환 형태로 형성되고, 제3 차단막(740)의 크기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4 차단막(750)이 둘러싸는 코어프레임(200)의 일단 표면 및 제4 차단막(75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는 제3 차단막(740)이 둘러싸는 코어프레임(200)의 표면 및 제3 차단막(740)의 가장자리 사이의 거리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된다.
또한, 제4 차단막(750)은 제 차단막(750)이 둘러싸는 코어프레임(200)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제4 차단막(750)을 관통하는 제4 홀(752)들이 형성되고, 제4 홀(752)들은 제3 홀(742)들 각각이 코어프레임(200)의 상기 연장방향을 기준으로 90도의 각도만큼 회전되어 이동한 위치와 동일한 수평선상에 형성되어 제2 홀(732)들 각각과 동일 수평선상에 형성된다.
소음 감쇠 귀마개(160)가 귀에 삽입된 상태에서 제1 차단막(720) 내지 제4 차단막(750)들은 외이도에서 피부와 밀착하며 제1 차단막(720) 및 제2 차단막(730) 사이에 제1 챔버(724)를 형성하고, 제2 차단막(730) 및 제3 차단막(740) 사이에 제2 챔버(734)를 형성하며, 제3 차단막(740) 및 제4 차단막(750) 사이에 제3 챔버(744)가 형성된다.
제1 홀(722)들 각각으로 제1 경로(20)를 따라 이동하는 음파는 제1 챔버(724)로 이동하여 제1 및 제2 차단막(720, 730)들 각각과 반사되며 제2 경로(22)를 따라 제2 홀(732)들을 향해 이동한다.
제2 홀(732)들을 통해 제2 챔버(734)로 이동한 음파는 제2 차단막(730) 및 제3 차단막(740)들 각각과 반사되며 제3 경로(24)를 따라 제3 홀(742)들을 향해 이동하고, 제3 홀(742)들을 통해 제3 챔버(744)로 이동한 음파는 제3 차단막(740) 및 제4 차단막(750)들 각각과 반사되며 제4 경로(26)를 따라 제4 홀(752)들로 이동한다.
따라서, 소음 감쇠 귀마개(160)는 제1 차단막(720), 제2 차단막(730), 제3 차단막(740) 및 제4 차단막(750)들 각각이 피부와 밀착하며 형성하는 제1 내지 제3 챔버(724, 734, 744)들을 음파가 이동하며 노이즈가 저감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음파가 제1 내지 제3 경로(20, 22, 24, 26)를 따라 제1 내지 제4 차단막(720, 730, 740, 750)들 각각과 반사되며 우회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노이즈 제거효과가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고안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20, 140, 160: 소음 감쇠 귀마개
200: 코어프레임 400: 소음감쇠부
600: 소음조절부

Claims (5)

  1. 일측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코어프레임;
    일단이 상기 코어프레임의 일단을 향해 오목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코어프레임을 둘러싸고, 타단은 일단에서 상기 코어프레임의 타단을 향해 확장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차단막들이 상기 코어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되며 서로 결합되어 복수의 챔버들을 형성하는 소음감쇠부; 및
    상기 코어프레임의 타단을 둘러싸는 원통으로 형성되는 본체 및 각각의 일단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은 서로 이격되는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상기 차단막들 중 인접한 어느 하나에 밀착되는 커버들을 포함하는 소음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챔버들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차단막들 및 상기 코어프레임의 양끝단에 위치한 상기 차단막들 각각에 홀이 형성되어 상기 챔버들을 연결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코어프레임의 연장방향을 축으로 상기 본체를 회동시켜 상기 커버들이 상기 차단막에 형성된 홀을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쇠 귀마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들 각각은,
    상기 코어프레임의 타단에 인접할수록 타단의 원형 가장자리의 크기가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각각의 타단 일부분이 인접한 상기 차단막들 각각의 일단 경사면에 결합하여 상기 챔버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쇠 귀마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막들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홀들은 상기 코어프레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쇠 귀마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프레임의 연장방향을 따라 차례대로 배치되는 상기 차단막들 각각에 형성되는 상기 홀들은 인접한 위치의 상기 차단막들에 형성된 상기 홀들과 서로 다른 수평선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 감쇠 귀마개.






KR2020180000951U 2018-03-05 2018-03-05 소음 감쇠 귀마개 KR200491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51U KR200491202Y1 (ko) 2018-03-05 2018-03-05 소음 감쇠 귀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951U KR200491202Y1 (ko) 2018-03-05 2018-03-05 소음 감쇠 귀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80U KR20190002280U (ko) 2019-09-17
KR200491202Y1 true KR200491202Y1 (ko) 2020-03-03

Family

ID=68066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951U KR200491202Y1 (ko) 2018-03-05 2018-03-05 소음 감쇠 귀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0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3388B1 (ko) 2020-09-01 2021-02-09 주식회사 아즈라 금형 탈거가 용이한 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KR20230138235A (ko) 2022-03-23 2023-10-05 임화목 소음 차단 및 압력 조절 기능을 가진 귀마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7080A1 (en) 2005-01-25 2006-08-10 Smith Richard C Earpiece with flanged extension
JP2011049628A (ja) * 2009-08-25 2011-03-10 Panasonic Corp 耳栓およびこれを用いた補聴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54985B2 (en) * 2003-11-03 2011-11-0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ow sound attenuating hearing protection device with filter arrangement
US9814625B2 (en) * 2013-01-04 2017-11-1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elective attenuating earpl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7080A1 (en) 2005-01-25 2006-08-10 Smith Richard C Earpiece with flanged extension
JP2011049628A (ja) * 2009-08-25 2011-03-10 Panasonic Corp 耳栓およびこれを用いた補聴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280U (ko) 201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1472B2 (en) Selective attenuating earplug
JP4143939B2 (ja) 聴力保護耳栓及び耳栓において選択的に音を減衰する方法
KR200491202Y1 (ko) 소음 감쇠 귀마개
US20130294633A1 (en) Battery door
US20100119076A1 (en) Hearing Protection Device Ear Seal With Acoustic Barrier
US20100027803A1 (en) Supra-aural headphone noise reducing
JP7418701B2 (ja) パッド
US2899683A (en) Ear protectors
KR101089115B1 (ko) 음향 조리개를 갖는 스피커 유닛
EP3122065B1 (en) Noise-cancelling headphone
US20220086551A1 (en) Headphone earcup structure
KR102162383B1 (ko) 이어폰
EP3628285A1 (en) Hearing protection device with sound reflectors
CA2180036A1 (en) Combination earmuff radio headset (original radio earmuffs)
KR20160129379A (ko) 통기 구조를 갖는 이어폰 및 이에 사용되는 이어팁
CN109246510A (zh) 耳机
US20220354699A1 (en) Ear protection device
US20220295172A1 (en) Ear pad, earmuff component, and headset
KR102349623B1 (ko) 이물질 침투방지구조를 포함하는 이어팁
EP3896993A1 (en) Headphones
KR20160073884A (ko) 이중 보온-방음 처리된 이어폰을 연결 할 수 있는 귀마개
EP3896994A1 (en) Headphones
CN104884007B (zh) 选择性衰减耳塞
KR20060013340A (ko) 소음 및 이물질 차폐를 위한 이어폰 보조기구
JP2023521841A (ja) ヘッドフォ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