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3364B1 - 네일프린터 - Google Patents

네일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3364B1
KR102213364B1 KR1020190037943A KR20190037943A KR102213364B1 KR 102213364 B1 KR102213364 B1 KR 102213364B1 KR 1020190037943 A KR1020190037943 A KR 1020190037943A KR 20190037943 A KR20190037943 A KR 20190037943A KR 102213364 B1 KR102213364 B1 KR 102213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otation
user
fingernail
prin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305A (ko
Inventor
황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90037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3364B1/ko
Publication of KR20200116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3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3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5/00Action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5/304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 B41J25/316Bodily-movable mechanisms for print heads or carriages movable towards or from paper surface with tilting motion mechanisms relative to paper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9/22Finger-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8Controlling printhead for accurately positioning print image on printing material, e.g. with the intention to control the width of marg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B41J3/40731Holders for objects, e. g. holders specially adapted to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printed or adapted to hold several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029/005Printing or stamping devices for applying images or ornaments to n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3/00Arrangements for actuating or driving printing presses; 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 B41P2213/10Constitutive elements of driving devices
    • B41P2213/20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7/00Printing machines of special types or for particular purposes
    • B41P2217/50Printing presses for particular purposes
    • B41P2217/60Means for supporting the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인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며, 상기 손가락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홀딩유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톱에 접촉하며, 상기 손톱영역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패턴 또는 색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유닛의 위치를 조절해 사용자의 손톱영역에 배치되도록 조절하는 위치조절유닛 및 상기 위치조절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유닛이 사용자의 손톱 굴곡을 따라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틸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유닛은 상기 틸팅유닛에 의해 상기 손톱영역의 횡 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사용자의 손톱에 접촉해 인쇄하는 네일프린터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네일프린터{Nail printer}
본 발명은 네일프린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손톱영역을 도출하고 곡률에 대응하여 균일한 품질로 인쇄를 할 수 있는 네일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올라가며 외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손 발톱 등에 단순 색상뿐만 아니라 무늬 등을 추가하는 네일아트가 성행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네일아트의 경우 사람들이 손수 수작업을 통해 대부분이 사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실질적으로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비용 또한 부담이 된다.
특히 네일아트 등을 위해 유명 샵을 찾는 경우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되며, 사람이 직접 수행함으로써 품질이나 형태 등이 균일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 사람이 직접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네일프린터가 개발되어 기계를 통해 사용자의 손톱에 기 설정된 색상 및 패턴을 인쇄하도록 하였다.
종래에 개발된 네일프린터를 살펴보면, 사용자의 손톱을 기기 내에 삽입하고, 삽입된 상태에서 인쇄헤드가 접촉하여 이동하며 인쇄를 수행하는 방식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러한 네일프린터에서 인쇄헤드는 장치 내부에 위치하여 사용자의 손톱과 접촉한 상태로 횡 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인쇄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톱에서 가장자리부분과 중앙부분의 품질이 상이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의 손톱 곡률을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인쇄헤드가 횡 방향으로 이동하며 인쇄하는 경우, 손톱의 중앙부분과 가장자리 부분이 각각 헤드와 상이한 이격거리를 가지기 때문에 잉크가 고르게 분산되지 못해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쇄품질 저하의 문제점 해결이 가능한 네일프린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사용자의 손톱영역에 기 설정된 패턴 또는 색상의 인쇄 시 손톱의 곡률에 대응하여 인쇄유닛이 틸팅 됨으로써 손톱의 양측면에도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며 인쇄할 수 있는 네일프린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일프린터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인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며, 상기 손가락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홀딩유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톱에 접촉하며, 상기 손톱영역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패턴 또는 색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유닛의 위치를 조절해 사용자의 손톱영역에 배치되도록 조절하는 위치조절유닛 및 상기 위치조절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유닛이 사용자의 손톱 굴곡을 따라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틸팅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유닛은 상기 틸팅유닛에 의해 상기 손톱영역의 횡 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사용자의 손톱에 접촉해 인쇄한다.
또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위치조절유닛과 제1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인쇄유닛이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호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호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둘레를 따라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부재에 대응하도록 호를 따라 랙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톱 곡률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의 상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회전부 또는 위치조절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유닛은 상기 제1회전축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회전축과의 이격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회전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유닛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고정된 사용자의 손가락에서 상기 손톱영역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인입구 내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고정시키는 승하강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인입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인쇄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인쇄유닛을 세정하는 세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네일프린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네일프린터는 사용자의 손톱영역에 접촉하여 인쇄하는 인쇄유닛이 별도의 틸팅유닛에 의해 회전하며 손톱과 접촉상태를 유지한 채 인쇄하여 인쇄품질을 증가시킬 수 잇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별도의 감지유닛에 의해 도출된 손톱영역의 곡률을 따라 인쇄유닛의 틸팅 곡률을 조절함으로써 인쇄유닛과 손톱의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프린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네일프린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네일프린터에서 인쇄유닛이 일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2의 네일프린터에서 내부 측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2의 네일프린터에서 틸팅유닛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네일프린터에서 홀딩유닛에 의해 손가락이 고정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네일프린터에서 감지유닛에 의해 손톱영역이 도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네일프린터에서 인쇄유닛이 피봇중심으로 회전하며 인쇄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네일프린터의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네일프린터는 사용자가 손가락(F)을 투입하고, 원하는 무늬 또는 색상을 선택하여 손톱에 인쇄하는 장치로서, 크게 케이스(100), 홀딩유닛(200), 감지유닛(300), 인쇄유닛(400), 위치조절유닛(500), 및 틸팅유닛(600)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100) 내부로 투입된 손가락(F)의 손톱영역(A)에 상기 인쇄유닛(400)이 접촉하여 기 설정된 패턴 또는 색상을 인쇄한다.
상기 케이스(100)는 전체를 감싸며 내부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어 상기 홀딩유닛(200), 상기 감지유닛(300), 상기 인쇄유닛(400), 상기 위치조절유닛(500) 및 상기 틸팅유닛(600)을 수용하고, 전방에 개방된 인입구(120)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입구(120)는 상기 케이스(100)의 일측에서 상항방향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F)이 투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인입구(120)는 후술하는 상기 홀딩유닛(200)과 연동되어 함께 사용자의 손가락(F)을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스(100)는 전방에 인입구(120)가 길게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F) 형상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슬릿홈과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상부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구(120)는 사용자의 손가락(F)을 일부를 상부에서 감싸는 지지대(122)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인입구(120)는 후술하는 상기 홀딩유닛(200)과 함께 사용자의 손가락(F)이 투입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100)는 외부에 노출되는 별도의 디스플레이부(13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네일프린터의 조작정보 및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가 출력되며, 사용자가 원하는 패턴이나 색상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는 일반적인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단순한 출력용 모니터 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100)는 내부에 상기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며, 전방에 상기 인입구(120)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F)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로 투입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홀딩유닛(2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기 인입구(120)에 배치되며, 투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F)을 지지 및 고정하는 구성으로 상기 인입구(12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승강하여 상기 손가락(F)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유닛(200)은 크게 고정부재(210) 및 승하강조절부(미도시)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210)는 상기 인입구(120)의 하부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면에 사용자의 손가락(F)이 안착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210)는 사용자의 손가락(F) 형상에 대응하여 하부에서 접촉하며 슬릿형태의 상기 인입구(120)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조절부는 상기 고정부재(210)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며 사용자의 손가락(F)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 별도의 모터에 의해서 구동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승하강조절부는 일반적인 모터와 기어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재(210)를 상하이동 시킨다. 물론 상기 승하강조절부는 일반적인 모터뿐만 아니라 액츄에이터나 링크 등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210)를 승하강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의 (a)와 같이 상기 인입구(120) 내부로 사용자의 손가락(F)이 투입된 이후, 도 6의 (b)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210)의 승강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F)이 함께 승강하여 상기 인입구(120)의 상측에 접촉하며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인입구(120)의 상측은 사용자의 손가락(F)을 상부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대(122)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대(122)는 상기 인입구(120) 내부에서 사용자의 손톱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를 상부에서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인입구(120)에서 사용자의 손가락(F)이 삽입되는 경우 손톱부분이 노출되어 후술하는 감지유닛(300)이 사용자의 손톱영역(A)을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122)는 사용자가 인입구(120)로 손가락(F)을 삽입한 상태에서 적어도 손톱부분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홀딩유닛(200)은 적어도 일부가 승하강하여 상기 인입구(120) 내부에서 상기 지지대(122)와 함께 사용자의 손가락(F)을 선택적으로 고정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상기 인쇄유닛(400)에 의해 사용자의 손톱에 기 설정된 패턴 또는 색상을 인쇄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홀딩유닛(200)은 상기 고정부재(210)의 승강 시 일정 높이에서 승강을 중지하여 사용자의 손가락(F)에 과도한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유닛(200)은 상기 지지대(122)에 의해 일정 높이 이상에서 승강이 멈추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압력센서를 구비하거나 부하전류측정방식 또는 손가락(F)의 높이 측정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감지유닛(3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사용자의 손가락(F)을 감지하고 손가락(F)에서 별도의 손톱영역(A)을 도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유닛(300)은 도 7과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입구(120)를 통해 투입된 손가락(F)을 감지하고, 이미지를 촬영하여 상기 손톱영역(A)을 도출한다.
상기 감지유닛(300)은 일반적인 포토센서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손톱영역(A)을 도출한다.
이와 같이 상기 감지유닛(3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상기 인입구(120)를 통해 투입된 사용자의 손가락(F)에서 손톱영역(A)을 도출하고 후술하는 상기 인쇄유닛(400)이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인쇄유닛(400)은 사용자의 손톱에 접촉하여 인쇄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구비되며, 사용자의 손톱영역(A)에 대응해 기 설정된 패턴 또는 색상을 인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유닛(400)은 카트리지 형태로 형성되어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하부에 헤드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손톱과 접촉하며 인쇄를 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인쇄유닛(400)은 후술하는 상기 위치조절유닛(500) 또는 상기 틸팅유닛(600)에 체결된다.
여기서, 상기 인쇄유닛(400)은 복수 개의 색상을 가지며 적어도 일부의 색상을 이용해 사용자의 손톱에 인쇄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톱 일측에서 타측을 경유하며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손톱을 따라서 접촉상태로 이동하며 상기 인쇄유닛(400)이 패턴이나 색상을 인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유닛(400)은 후술하는 상기 위치조절유닛(500) 또는 상기 틸팅유닛(600)에 의해 상기 손톱영역(A)의 횡 방향을 따라 접촉지점이 이동하며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인쇄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은 상기 케이스(100) 내부에서 상기 인쇄유닛(400)의 위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상기 수용공간(110)상에 구비되어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며 위치가 조절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적어도 일부가 횡 방향 및 상하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되며, 크게 프레임(510) 및 이동부(52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51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횡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520)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510)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사용자의 시각을 기준으로 좌우방향 배치되어 양단이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510)은 바(bar)형태로 양단부가 상기 케이스(100)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전후방향으로 복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520)가 안착되도록 구성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프레임(51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510)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수평을 이루며 횡 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양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10)의 내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의 양측 내부에 별도의 슬라이딩부(530)가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510)을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5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이동부(520)가 좌우방향으로 슬위치가 조절됨과 동시에 상기 프레임(510) 자체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됨으로써, 2축 스테이지 형태로 상기 이동부(520) 위치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위치조절유닛(500)은 상기 이동부(520)가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서 횡 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쇄유닛(400)이 사용자의 손톱영역(A)에 배치되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은 상기 이동부(520)가 횡 방향 이동과 함께 상하방향 위치도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쇄유닛(400)의 상하위치도 함께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이동부(520)는 상기 프레임(510)상에서 결합되어 횡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성으로, 상기 인쇄유닛(400) 또는 상기 틸팅유닛(600) 중 적어도 하나가 결합되며, 상기 인쇄유닛(400)의 횡 방향위치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부(520)는 상기 틸팅유닛(600)이 체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510)에 결합되어 이동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520)에는 별도의 조절모터(522)가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520)의 위치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510)은 길이방향을 따라 제1랙기어(524)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520)에는 상기 조절모터(522)와 연결되는 제1피니언기어(526)가 구비되어 상기 조절모터(522)의 구동을 통해 상기 이동부(520)가 상기 프레임(5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은 상기 프레임(510) 및 상기 이동부(520)에 의해 상기 인쇄유닛(400)의 횡 방향에 따른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상기 프레임(510)을 상하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인쇄유닛(400)의 상하위치를 함께 조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유닛(400)은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에 의해 사용자의 손톱영역(A)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틸팅유닛(600)은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유닛(400)과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인쇄유닛(400)을 좌우방향으로 틸팅시킨다.
여기서 좌우방향이란, 상기 케이스(100)상에 구비된 상기 인입구(120)가 전방이며, 상기 인입구(120)를 중심으로 좌 우측 방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틸팅유닛(600)은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에 의해 상기 인쇄유닛(400)과 함께 횡 방향으로 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인쇄유닛(400)이 사용자의 손톱굴곡을 따라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팅유닛(600)은 크게 회전부(610), 구동부(620) 및 엔코더(630)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610)는 상기 위치조절유닛(500)과 제1회전축(L1)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인쇄유닛(40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회전축(L1)은 상기 수용공간(110)에서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이동부(520)상에 위치하여 상기 회전부(610)가 회전하는 중심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6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L1)에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인쇄유닛(40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회전부(610)는 상기 호 상에 제2랙기어(612)가 형성되며, 후술하는 구동부(620)재가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610)를 회전시킨다.
상기 회전부(6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호에서 상기 제1회전축(L1)을 향해 상기 제2랙기어(612)가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구동부(620)재는 상기 상기 제2랙기어(612)에 대응하여 제2피니언기어(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610)는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인쇄유닛(400)을 좌우방향으로 틸팅시킨다.
한편, 상기 구동부(620)는 상기 회전부(610)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회전부(610)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부(620)는 상기 이동부(520)상에 고정 결합되며, 상기 회전부(610)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상기 회전부(610)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620)는 상기 제1회전축(L1)과 이격된 위치에서 제2회전축(L2)을 가지며 일부가 상기 호와 접촉해 상기 회전부(610)를 회전시킨다. 도시된 도면과 같이 상기 구동부(620)는 제2회전축(L2)상에서 회전하는 구동부(620)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620)재는 상기 회전부(610)의 호와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부(620)재가 상기 제2회전축(L2)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620)재와 상기 회전부(610)의 호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620)재와 상기 호는 단순 접촉으로 인한 마찰로 회전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호에 형성된 상기 제2랙기어(612) 및 상기 구동부(620)재에 형성된 제2피니언기어(622)에 의해 회전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구동부(620)가 동작함으로써 상기 구동부(620)재가 회전하고, 이에 연동하여 상기 회전부(610)가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기 인쇄유닛(400)을 틸팅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부(610)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호의 내면에 제2랙기어(6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부(620)재는 상기 회전부(610)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호에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구동부(620)재가 상기 회전부(610) 외부에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610)는 상기 구동부(620)가 상기 제2회전축(L2)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피봇형태로 동작한다.
한편, 상기 틸팅유닛(600)은 추가적으로 별도의 엔코더(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엔코더(630)는 상기 회전부(610) 또는 상기 위치조절유닛(50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610)의 회전각도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엔코더(630)는 상기 회전부(610)와 상기 이동부(520)에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520)상에서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상대 회전하는 상기 회전부(610)의 각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엔코더(630)는 상기 이동부(520)상에서 고정 결합된 기준부재(634)와 상기 회전부(610)에 연결된 감지부재(632)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61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감지부재(632)가 함께 회전하며 기준부재(634)를 통해 회전각도를 측정한다.
따라서, 상기 엔코더(630)는 상기 회전부(61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며 사용자의 손톱영역(A)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회전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인쇄유닛(400)은 상기 손톱영역(A)의 굴곡에 따라 틸팅하며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인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팅유닛(600)은, 상기 이동부(520)와 상기 인쇄유닛(400) 사이에서 상호 결합시키며,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부(610)가 회전함으로써 도 8의 (a), (b), (c) 순서로 상기 인쇄유닛(400)이 함께 회전하여 상기 손톱영역(A)의 횡 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인쇄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틸팅유닛(600)은 상기 회전부(6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전부(610)는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부(610) 전체가 상기 제1회전축(L1)과 함께 상하 위치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톱영역(A)에서 곡률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L1)의 상하위치가 조절되며, 상기 인쇄유닛(400)이 사용자의 손톱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손톱은 크기나 형상 및 곡률이 상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틸팅유닛(600)은 상기 회전부(610)의 형상에 따라 균일한 곡률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손톱 형상이나 곡률에 대응해 상기 인쇄유닛(400)이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회전부(610)가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회전부(610)가 상하이동을 함으로써 실제 상기 인쇄유닛(400)의 회전곡률을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상기 손톱영역(A)의 곡률을 감지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610)의 회전 시 상하이동도 함께 함으로써 다양한 곡률로 상기 인쇄유닛(400)이 틸팅되고, 이에 따라 상기 인쇄유닛(400)이 사용자의 손톱에 기 설정된 패턴이나 색상의 인쇄 시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인쇄유닛(400)은 상기 상기 제1회전축(L1)을 향해 탄성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회전축(L1)과 이격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쇄유닛(400)은 상기 회전부(610)와 체결되며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탄성 가압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인쇄유닛(400)이 상기 손톱영역(A)에 접촉 시 일정 수준 이상의 접촉압력을 가지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쇄유닛(400)은 안정적으로 상기 손톱영역(A)에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인쇄품질을 증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인쇄유닛(400)이 상기 제1회전축(L1)을 중심으로 탄성 가압되는 구성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회전부(610)와 결합 시 슬릿형태로 체결되며 내부에 별도의 탄성체를 구비하여 상기 제1회전축(L1)을 향해 가압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네일프린터는 상기 케이스(100), 상기 홀딩유닛(200), 상기 감지유닛(300), 상기 인쇄유닛(400), 상기 위치조절유닛(500) 및 상기 틸팅유닛(600)을 포함하며, 상기 인입구(120)를 통해 투입된 사용자의 손톱에서 손톱영역(A)을 감지한 후 이에 대응하여 상기 인쇄유닛(400)이 사용자의 손톱에 균일한 압력으로 접촉해 인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네일프린터는 별도의 세정유닛(800) 및 키핑유닛(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핑유닛(700)은 상기 수용공간(110)내부에서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유닛(400)을 수용하는 구성으로, 상기 인쇄유닛(400)의 미사용 시 이를 보호하며 잉크의 건조를 방지하기 위해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키핑유닛(700)은 상기 수용공간(110)내부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안착홈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에 의해 상기 인쇄유닛(400)이 상기 안착홈 내부에 일부가 삽입된다.
이에 따라 상기 키핑유닛(700)은 상기 인쇄유닛(400)의 미사용 시 헤드를 안착시켜 보호랄 수 있다.
상기 세정유닛(800)은 상기 키핑유닛(700)과 별도로 상기 수용공간(1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인쇄유닛(400)을 세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정유닛(8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인입구(120)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인쇄유닛(400)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며, 안착된 상태로 상기 인쇄유닛(400)의 헤드를 세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세정유닛(800)은 브러쉬 형태로 형성되어 헤드에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키핑유닛(700)과 마찬가지로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에 의해 상기 인쇄유닛(400)이 선택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도 3을 살펴보면, 상기 인쇄유닛(400)이 상기 세정유닛(800)으로 이송되어 안착된 상태로 상기 인쇄유닛(400)의 헤드가 세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네일프린터는 상기 키핑유닛(700) 및 상기 세정유닛(8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인쇄유닛(400)의 헤드를 보호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세정하여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본 발명에 따른 네일프린터를 통해 사용자의 손톱에 기 설정된 패턴 또는 색상을 인쇄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의 손가락(F)이 상기 인입구(120) 내부로 투입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구(120) 내에서 상기 고정부재(210)가 상승하며 사용자의 손가락(F)을 고정하고, 이와 함께 상기 감지유닛(300)에서 사용자의 손톱영역(A)을 감지한다.
이후, 상기 위치조절유닛(500)에 의해 상기 인쇄유닛(400)이 이동하며 상기 손톱영역(A)의 횡 방향에 따른 일측에 접촉한다. 여기서, 사용자는 먼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를 통해 원하는 패턴이나 색상을 설정한다.
이어서, 상기 인쇄유닛(400)은 상기 틸팅유닛(600)의 동작에 의해 상기 손톱영역(A)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접촉상태를 유지하여 인쇄한다. 이때, 상기 회전부(610)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경우, 상기 손톱영역(A)의 곡률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부(610)의 회전과 동시에 상하이동도 함께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네일프린터는 사용자의 손톱에 인쇄를 진행하며, 사용자의 손톱영역(A) 가장자리에도 균일한 품질을 유지하며 인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케이스
200: 홀딩유닛
300: 감지유닛
400: 인쇄유닛
500: 위치조절유닛
600: 틸팅유닛
700: 키핑유닛
800: 세정유닛

Claims (11)

  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에 인입구가 형성된 케이스;
    상기 인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거치되며, 상기 손가락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홀딩유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인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손가락을 감지하고, 이미지를 촬영하여 손톱영역을 도출하는 감지유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손톱에 접촉하며, 상기 손톱영역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패턴 또는 색상을 인쇄하는 인쇄유닛;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유닛의 위치를 조절해 사용자의 손톱영역에 배치되도록 조절하는 위치조절유닛; 및
    상기 위치조절유닛에 구비되어 상기 인쇄유닛이 사용자의 손톱 굴곡을 따라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기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키는 틸팅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인쇄유닛은 상기 틸팅유닛에 의해 상기 손톱영역의 횡 방향에 따른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며 사용자의 손톱에 접촉해 인쇄하고,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위치조절유닛과 제1회전축을 가지며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이격된 위치에 상기 인쇄유닛이 결합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호의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회전부의 호와 접촉하여 회전하며,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도록 하는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회전축과 이격된 위치에 형성된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회전부의 호와 접촉해 회전하여 상기 회전부를 회전시키며, 상기 구동부재가 상기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회전부의 호가 접촉한 상태에서 상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네일프린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둘레를 따라 피니언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구동부재에 대응하도록 호를 따라 랙기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프린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톱 곡률에 따라 상기 제1회전축의 상하 위치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네일프린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회전부 또는 위치조절유닛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부의 회전 각도를 측정하는 엔코더를 더 포함하는 네일프린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유닛은,
    상기 제1회전축을 향해 탄성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제1회전축과의 이격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네일프린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절유닛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프레임; 및
    상기 회전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부;
    를 포함하는 네일프린터.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유닛은,
    상기 인입구 내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하부에서 지지하는 고정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를 선택적으로 승하강시키며 사용자의 손가락을 고정시키는 승하강조절부; 를 포함하는 네일프린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서 상기 인입구와 이격 배치되며 상기 인쇄유닛의 적어도 일부가 안착되고, 안착된 상기 인쇄유닛을 세정하는 세정유닛을 더 포함하는 네일프린터.
KR1020190037943A 2019-04-01 2019-04-01 네일프린터 KR102213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943A KR102213364B1 (ko) 2019-04-01 2019-04-01 네일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943A KR102213364B1 (ko) 2019-04-01 2019-04-01 네일프린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305A KR20200116305A (ko) 2020-10-12
KR102213364B1 true KR102213364B1 (ko) 2021-02-09

Family

ID=72886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943A KR102213364B1 (ko) 2019-04-01 2019-04-01 네일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33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826B1 (ko) * 2022-03-21 2022-09-08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네일 아트 장치
KR102441817B1 (ko) * 2022-03-21 2022-09-08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네일 홀더 모듈
KR102450156B1 (ko) * 2022-03-25 2022-10-04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프린터 모듈
KR102451389B1 (ko) * 2022-03-25 2022-10-11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프린터 구동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4637A (ja) * 2005-02-25 2006-08-31 Atom:Kk ネイルアート装置
JP2015116429A (ja) * 2013-12-20 2015-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ネイルプリント装置及びネイルプリント装置の印刷制御方法
JP2017019269A (ja) * 2015-07-09 2017-01-26 船井電機株式会社 射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4637A (ja) * 2005-02-25 2006-08-31 Atom:Kk ネイルアート装置
JP2015116429A (ja) * 2013-12-20 2015-06-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ネイルプリント装置及びネイルプリント装置の印刷制御方法
JP2017019269A (ja) * 2015-07-09 2017-01-26 船井電機株式会社 射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305A (ko) 2020-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3364B1 (ko) 네일프린터
US10292475B2 (en)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for drawing apparatus
US20170172279A1 (en)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for drawing apparatus
US9894978B2 (en)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for drawing apparatus
US9799116B2 (en) Draw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cquiring inclination of nail
CN208248017U (zh) 一种用于车辆的座椅组件
CN107953683B (zh) 布料加热装置及方法、对布料赋予图像的方法及介质加热装置
US5238041A (en) Skiving equipment and method for recapping tire
CN107224090B (zh) 描绘装置、描绘装置的描绘方法及计算机可读取的记录介质
US9901156B2 (en) Drawing apparatus and drawing method for drawing apparatus
BR102013022795B1 (pt) Aparelho de impressão de unhas e método de controle de impressão
CN105433577A (zh) 指甲信息检测装置、描画装置以及指甲信息检测方法
US4630862A (en) Dental chair
US9671313B2 (en) Tire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a tire
WO2008107494A1 (es) Sistema de reposacabezas, asiento con sistema de reposacabezas, y vehículo que lo incluye
JP3676321B2 (ja) 小型滑走艇の推力測定装置
CN100562289C (zh) 腰围计算装置和身体组成确定装置
KR200483525Y1 (ko) 수평도 조절형 유모차
KR102100365B1 (ko) 매트리스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매트리스 일체형 전동 침대
CN107667014A (zh) 用于服装的印刷系统
KR20170142105A (ko) 마사지 유닛 및 마사지기
CN104842666A (zh) 图像读取和记录装置及方法
JP5839178B2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装置
JP6545525B2 (ja)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保守部材高さ調節システム、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保守部材高さ調節方法、及び、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
US20090146039A1 (en) Electricity-Powered Apparatus Support with a Safet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