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156B1 - 프린터 모듈 - Google Patents

프린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156B1
KR102450156B1 KR1020220037037A KR20220037037A KR102450156B1 KR 102450156 B1 KR102450156 B1 KR 102450156B1 KR 1020220037037 A KR1020220037037 A KR 1020220037037A KR 20220037037 A KR20220037037 A KR 20220037037A KR 102450156 B1 KR102450156 B1 KR 102450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r
module
block
nail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키닉스 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2003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0156B1/ko
Priority to KR1020220122388A priority patent/KR20230139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6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ortability, i.e. hand-held printers or laptop pr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B41J3/4073Printing on three-dimensional objects not being in sheet or web form, e.g. spherical or cubic objec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0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9/00Manicuring or pedicuring implements
    • A45D2029/005Printing or stamping devices for applying images or ornaments to n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하면 프린터 구동 모듈에 탈착 가능한 프린터 모듈이 개시된다. 상기 프린터 모듈은: 장치케이싱; 및 상기 장치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값을 생성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터 모듈{PRINTER MODULE}
본 개시는 프린터 모듈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휴대성이 우수하고, 종이, 피부, 네일(nail) 등의 다양한 프린팅대상물에 원하는 디자인을 손쉽게 프린팅할 수 있으며, 또한, 프린터 구동 모듈과 함께 운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프린터의 기능은 종이, 직물 등에 원하는 이미지를 출력하는 장치이다.
과거에는 비교적 크기가 큰 프린터를 사무공간, 집 등에 배치하고 사무용으로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휴대성이 강조되는 특정 목적의 제품들이 요구되고, 일 예로 사진 출력 목적의 프린터 등과 같은 소형화된 프린터들이 출시되고 있다.
다만 소형화된 프린터들은 대체로 특정 목적에 국한하여 출시되므로, 다양한 프린팅대상물에 폭넓게 적용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휴대성이 있는 프린터라고 하더라도, 종이, 직물 등 비교적 평평한 곳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목적인 경우, 피부, 네일 등과 같이 표면에 변화가 있는 프린팅대상물에는 제대로 디자인이 프린팅되지 않아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미국 특허출원번호 17-198942 (2021.03.11)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휴대성이 우수하고 종이, 피부, 네일(nail) 등의 다양한 프린팅대상물에 원하는 디자인을 손쉽게 프린팅할 수 있으며, 또한, 프린터 구동 모듈과 함께 운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빠르고 정확하게 프린팅할 수 있는 프린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구동 모듈에 탈착 가능한 프린터 모듈은: 장치케이싱; 및 상기 장치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값을 생성하는 감지센서;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케이싱의 하부에 잉크부재의 프린팅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상기 장치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의 회전 수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엔코더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러의 중심 축은, 상기 감지 센서 및 상기 프린팅부와 동일 수직 선상에 존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장치케이싱의 하단 중앙부에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터 모듈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장착된 경우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의 가이드패널과 접하고,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상기 가이드패널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과 분리된 상태에서 인쇄 매체에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인쇄 매체와 접하고,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인쇄 매체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인쇄 매체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인쇄 매체와 접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경우 상기 프린터 모듈의 움직임을 보조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장치케이싱은,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의 프린터데크에 형성되는 탈착바의 걸림턱에 탈착되는 탈착홈을 측부에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프린터 모듈(300)을 가로 방향(X)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전달한 후에 상기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손가락 또는 상기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너비를 결정한 후에 상기 프린터 모듈을 다시 가로 방향(X)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전달한 후에 상기 너비에 기초하여 결정된 프린팅 영역 내에 이미지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에 따른 프린터 구동 모듈에 탈착 가능한 프린터 모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의한 프린터 모듈은 휴대성이 우수하여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는 종이, 피부, 네일 등에 프린팅을 할 수 있고, 종이, 직물 등 뿐만 아니라, 표면에 변화가 있는 피부, 네일 등과 같은 다양한 프린팅대상물에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되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들은 총괄적으로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지칭하는데 이용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설명 목적을 위해, 다수의 특정 세부사항들이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의 총체적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제시된다. 그러나, 그러한 실시예(들)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 실시될 수 있음은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에서 홀더 케이싱을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에서 홀더 케이싱을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이동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이동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데크케이싱과 데크하판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및 이동블록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블록과 프린터데크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 및 프린터 구동 모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 및 프린터 구동 모듈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장치리드와 장치케이싱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2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동작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측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1 롤러의 회전 수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엔코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과 프린터 모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네일에 프린터 모듈이 네일 아트를 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여 네일 프린팅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 네일 아트 장치를 구성하는 프린터 구동 모듈 및 프린터 모듈의 다양한 실시예(들)를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개시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본 개시의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 요소가 될 수도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단수 형태를 지시하는 것으로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 본 개시와 청구범위에서 단수는 일반적으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는",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개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또는"이라는 용어는 배타적 의미의 "또는"이 아니라 내포적 의미의 "또는"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달리 특정되지 않거나 문맥상 명확하지 않은 경우에,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는 자연적인 내포적 치환 중 하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즉, X가 A를 이용하거나; X가 B를 이용하거나; 또는 X가 A 및 B 모두를 이용하는 경우, "X는 A 또는 B를 이용한다"가 이들 경우들 어느 것으로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사용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열거된 관련 아이템들 중 하나 이상의 아이템의 가능한 모든 조합을 지칭하고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개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전면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에서 홀더 케이싱을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에서 홀더 케이싱을 제거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이동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하측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이동수단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상측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100)은 사용자의 네일(nail)을 고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홀더 케이싱(110) 및 홀더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 케이싱(110)은 네일 홀더 모듈(100)의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홀더 케이싱(110)의 전면부에는 관통된 개구홀(112)이 형성될 수 있다.
개구홀(112)의 상단부는 상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는 아치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홀(112)로는 네일 아트를 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네일이 투입될 수 있으며, 이때 아치부(113)가 사용자의 손가락의 상부에 대응되는 곡면 형상이므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홀더 케이싱(110)의 상부 일측, 구체적으로는 개구홀(112)에 인접하여 하방향으로 한 쌍의 케이싱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 케이싱(110)의 상부 타측에는 상부가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119)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 케이싱(110)의 측부에는 사이드홈(111), 홈확장부(111a) 및 고정홈(111b)이 형성될 수 있다. 사이드홈(111)은 홀더 케이싱(110)의 외측면에 제1 방향(X)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홈확장부(111a)는 사이드홈(111)의 단부에 연결되고 사이드홈(111)의 입구가 홀더 케이싱(110)의 후면부 방향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홈(111b)은 홈확장부(111a)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사이드홈(111)은 이하 검토할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결합바(222)가 삽입될 수 있는 부분일 수 있다. 이때 홈확장부(111a)는 사이드홈(111)의 입구를 확장하여 결합바(222)가 원활하게 사이드홈(111)의 입구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홈(111b)에는 이하 검토할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걸림블록(223)이 삽입되는 부분일 수 있다. 즉 결합바(222)가 사이드홈(111)의 내부에 완전히 삽입되면, 걸림블록(223)이 고정홈(111b)에 끼워지며 네일 홀더 모듈(100)을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결합하게 된다.
도 5 및 도 7을 참고하면, 홀더 케이싱(110)의 하부에는 홀더하판(116)이 장착될 수 있다. 홀더하판(116)의 양측부에는 이하 검토할 제2 스프링(162)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피스(117)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스프링 지지피스(117)가 제2 스프링(162)의 일단부를 지지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하판(116)에는 이하 검토할 홀더기어(164)를 고정하는 기어 고정피스(118)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9을 참고하면, 기어 고정피스(118)에 홀더기어(164)가 결합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홀더부(170)는 홀더 케이싱(110)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네일을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더부(170)는 안착블록(150), 제1 홀더블록(120), 제2 홀더블록(130) 및 이동수단(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더블록(120)은 케이싱홈(114)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더블록(120)은 제1 상단블록(121)과 제1 상단블록(121)의 양측 하단에 연결되는 제1 사이드블록(122)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제1 사이드블록(122)이 한 쌍의 케이싱홈(114)에 각각 삽입되고, 제1 상단블록(121)은 홀더 케이싱(110)의 상부에 대해 약간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안착블록(150)은 개구홀(112)을 관통하며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안착블록(150)은 안착부(151), 투입부(152), 블록이동홈(153) 및 누름홈(155)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부(151)는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부(151)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하부가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하부에 대응되게 곡면 형상이므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은 편안하게 안착될 수 있다.
투입부(152)는 안착부(151)에 연결되고 개구홀(112)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투입부(152)는 안착부(151) 방향으로 곡면을 형성할 수 있는데, 이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이 투입부(152)의 부드러운 곡면을 따라 안착부(151)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블록이동홈(153)은 안착부(151)의 측부에서 제2 방향(Y)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블록이동홈(153)에는 이하 검토할 제2 홀더블록(130)을 구성하는 제2 링크블록(132)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이동수단(160)의 작동에 따라 제2 홀더블록(130)은 블록이동홈(153)을 따라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한쌍의 제2 홀더블록(130)은 서로 멀어지거나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누름홈(155)은 안착부(151)의 측부에서 제1 홀더블록(120)을 구성하는 제1 사이드블록(1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사용자가 제1 상단블록(121)을 누르면 제1 사이드블록(122)이 함께 눌러지며 누름홈(155)을 하방향으로 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안착블록(150) 전체가 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제2 홀더블록(130)은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개방부(119)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홀더블록(130)은 제2 상단블록(131), 제2 링크블록(132), 제2 신장블록(133) 및 제2 하단블록(1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상단블록(131)은 개방부(119)의 상부에서 제1 방향(X)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링크블록(132)은 제2 상단블록(131)의 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링크블록(132)은 블록이동홈(153)을 관통하며 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신장블록(133)은 제2 상단블록(131)의 일단에 연결되고, 홀더 케이싱(110)의 후면부 방향으로 신장되며 배치될 수 있다. 제2 신장블록(133)의 상단에는 광 반사 플레이트(140)가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홀더 케이싱(110)의 후면부에서 개방부(119)의 내측면에는 제2 방향(Y)으로 블록지지부(115)가 형성될 수 있다. 블록지지부(115)의 상단에는 제2 신장블록(133)의 단부가 안착될 수 있으며, 제2 홀더블록(130)의 이동시 제2 신장블록(133)의 단부는 블록지지부(115)의 상단을 따라 지지되며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을 참고하면, 제2 홀더블록(130)은 개방부(119)의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2 신장블록(133)도 각각 한 쌍이 배치되어 있고, 광 반사 플레이트(140) 또한 개방부(119)의 상부에서 서로 소정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는 이하 검토할 감지센서(364)와 연동되며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서 광 반사 플레이트(140)는 반사판일 수 있고, 감지센서(364)는 광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감지센서(364)가 빛을 쏘면,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에 반사되는 신호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하단블록(134)은 도 6을 참고하면, 제2 링크블록(132)의 하단에 연결되고, 안착블록(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하단블록(134)은 이동수단(160)에 연동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을 참고하면, 이동수단(160)은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안착블록(15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홀더블록(120)과 제2 홀더블록(130)간에 연동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홀더블록(120)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제1 홀더블록(120)이 이동수단(160)을 작동시키고, 이동수단(160)은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을 개방부(119)의 내부에서 블록이동홈(153)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은 개방부(119)의 양측부 방향으로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수단(160)은 제1 경사부(167), 제2 경사부(168), 랙기어블록(166), 홀더기어(164), 가이드홈(165) 및 가이드빔(169)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1 경사부(167)는 안착블록(150)의 하단부에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경사부(168)는 제2 하단블록(134)에 제1 경사부(167)에 대향되는 경사각도를 이루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홀더블록(130)은 홀더 케이싱(110)의 내부에서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안착블록(150)의 하단에는 한 쌍의 제1 경사부(167)가 형성되고, 제2 하단블록(134)에도 한 쌍의 제1 경사부(167)에 각각 접촉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경사부(168)가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홀더블록(120)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제1 홀더블록(120)이 누름홈(155)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안착블록(15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안착블록(15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 경사부(167)가 한 쌍의 제2 경사부(168)를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한 쌍의 제2 경사부(168)는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밀리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경사부(168)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또는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이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게 된다.
한편, 안착블록(150)의 하단면과 홀더하판(116)의 상단면 사이에는 제1 스프링(16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스프링(161)은 안착블록(150)이 하방향으로 눌렸을 때, 누르는 가압력이 사라지면 안착블록(15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안착블록(150)이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홀더하판(116)에는 안착블록(150)이 하방향 눌러지는 범위를 제한하는 리미트블록(163)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프링(162)은 제2 하단블록(134)에 형성되는 스프링수용홈(134a)과 홀더하판(116)의 측부에 형성되는 스프링 지지피스(117)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스프링(162)은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스프링(162)은, 안착블록(150)이 눌려 한 쌍의 제2 경사부(168)에 하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한 쌍의 제1 경사부(167)와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이 외측 방향으로 밀렸을 때, 이후 누르는 힘이 사라지면,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또는 제2 홀더블록(13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랙기어블록(166)은 제2 하단블록(134)에서 제2 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8을 참고하면,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에 배치되는 한 쌍의 랙기어블록(166)은 홀더기어(164)를 중심으로하여 서로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기어(164)는 홀더하판(116)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기어 고정피스(1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랙기어블록(166)과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안착블록(150)이 눌리면, 한 쌍의 제1 경사부(167)의 하강에 따라 제2 경사부(168)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제2 하단블록(134)이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한 쌍의 랙기어블록(166)은 홀더기어(164)와 맞물린 상태에서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안착블록(150)을 누르는 힘이 없어지면, 제2 스프링(162)이 제2 하단블록(134)에 복원력을 제공하고, 한 쌍의 랙기어블록(166)은 홀더기어(164)와 맞물린 상태로 서로 가까워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고하면, 가이드홈(165)은 랙기어블록(166)의 하단에 제2 방향(Y)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빔(169)은 홀더하판(116)에 제2 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랙기어블록(166)이 이동할 때 가이드홈(165)에 가이드빔(169)이 삽입되어 있으므로, 랙기어블록(166)의 제2 방향(Y)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도 10를 참고하면, 상술한 제1 홀더블록(120)이 홀더 케이싱(110)의 케이싱홈(114)에 삽입되고, 안측블록의 누름홈(155)에 결합되는 구조, 제2 홀더블록(130)이 안착블록(150)의 블록이동홈(153)에 삽입되며 배치되는 구조, 안착블록(150)과 홀더하판(116) 사이에 배치되는 제1 스프링(161) 배치구조, 제2 홀더블록(13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2 스프링(162)의 배치 구조와 제2 홀더블록(130)을 이동시키는 랙기어블록(166) 및 홀더기어(164) 배치구조 및 제2 홀더블록(130)의 이동방향을 안내하는 가이드홈(165)과 가이드빔(169) 배치구조를 확인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1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방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사용자가 네일 홀더 모듈(100)에 손가락을 투입하기 위해 우선 제1 홀더블록(120)을 누른다.
제1 홀더블록(120)을 누르면, 제1 사이드블록(122)의 하단부가 누름홈(155)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안착블록(150)이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안착블록(150)의 하단에는 제1 경사부(167)가 형성되어 있고, 제1 경사부(167)는 맞닿아 있는 제2 경사부(168)를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경사부(168)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이 개방부(119)의 내부에서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안착블록(150)은 하방향으로 내려가 있어 개구홀(112)은 크기가 넓어진 상태이고,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이 서로 멀어지는 외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므로, 개방부(119)의 내부는 비교적 넓어진 상태이다.
이후 사용자는 개구홀(112)로 손가락을 넣으면, 손가락은 개방부(119) 내부까지 투입되고 안착블록(150)의 안착부(151)에 안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제 사용자는 누르고 있던 제1 홀더블록(120)에서 힘을 빼면, 제1 스프링(161)의 복원력에 의해 안착블록(150)은 다시 상방향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한 쌍의 제2 스프링(162)이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을 서로 가까워지는 내측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은 개방부(119)의 내부에서는 한 쌍의 제2 홀더블록(130)에 의해 손가락의 양측부가 고정되고, 개구홀(112)에서는 안착블록(150)이 상방향으로 이동했으므로, 손가락의 하부는 안착부(151), 손가락의 상부는 아치부(113)에 의해 각각 고정된다.
상술한 작동방식을 통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100)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설명하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 및 프린터 모듈(300)을 포함하여 네일 아트 장치(400)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구동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1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데크케이싱과 데크하판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부재 및 이동블록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이동블록과 프린터데크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 및 프린터 구동 모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 및 프린터 구동 모듈의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전면부에는 네일 홀더 모듈(100)이 장착되고, 상부에는 프린터 모듈(300)이 배치되는 장치로서, 데크케이싱(210), 데크상판(220), 가이드패널(230), 프린터데크(240), 이동부재(270) 및 이동블록(2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네일 홀더 모듈(100) 및 프린터 구동 모듈(200)을 포함하여 데크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데크케이싱(21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전반적인 외관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전면부에는 네일 홀더 모듈(100)이 투입될 수 있는 절개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절개부(211)는 사각 단면 형상일 수 있으나, 네일 홀더 모듈(100)의 형상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데크케이싱(210)의 하부에는 데크하판(214)이 결합될 수 있다. 데크케이싱(210)의 하부에는 이동부재(270)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217)와 이동부재(270)를 제어하는 제어기판(216)이 배치될 수 있으며, 데크하판(214)은 데크케이싱(210)의 하부를 개폐할 수 있다.
이때 데크케이싱(210)의 하단에는 제1 마그네틱(215a)이 배치될 수 있으며, 데크하판(214)에는 마그네틱 수용홈(214a)이 형성되고, 마그네틱 수용홈(214a)에는 제1 마그네틱(215a)에 자기적으로 결합되는 제2 마그네틱(215b)이 배치될 수 있다.
데크상판(220)은 데크케이싱(21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전면부에는 절개부(211)에 연결되는 홀더장착부(221)가 형성될 수 있다. 홀더장착부(221)는 네일 홀더 모듈(100)이 장착되는 공간일 수 있으며, 네일 홀더 모듈(100)의 홀더 케이싱 외관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데크상판(220)은 프린터데크(240)와 데크케이싱(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홀더장착부(221)에는 결합바(222) 및 걸림블록(223)이 배치될 수 있다. 결합바(222)는 홀더장착부(221)의 내측면에 제1 방향(X)으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블록(223)은 결합바(222)의 단부에 연결되고, 홀더장착부(221)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걸림블록(223)의 양측면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바(222)는 네일 홀더 모듈(100)의 홀더 케이싱(110)의 외측면에 형성된 사이드홈(111)에 끼워질 수 있으며, 걸림블록(223)은 고정홈(111b)에 삽입될 수 있으며, 걸림블록(223)의 돌출된 양측부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경사면을 따라 고정홈(111b)에 삽입 또는 분리가 원활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홈(111b)은 걸림블록(223)의 돌출된 양측 경사면에 대응하여 함몰된 양측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홀더장착부(221)의 내측 단부에는 네일 홀더 모듈(100)의 홀더 케이싱(110)에 형성된 블록지지부(115)가 안착되는 홀더안착판(2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결합바(222), 걸림블록(223) 및 홀더안착판(228)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네일 홀더 모듈(100)은 홀더장착부(221)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데크상판(220)에는 가이드패널(230)이 배치되는 패널안착부(229)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패널안착부(229)의 양측단에는 패널고정홀(229a)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패널(230)은 데크상판(220)과 프린터데크(240) 사이에 배치되되 데크상판(220)의 상단부에 형성된 패널안착부(229)에 안착될 수 있으며, 제2 방향(Y)으로 형성된 한 쌍의 이동홀(231)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 12를 참고하면, 가이드패널(230)의 양측단에는 패널피스(233)가 형성될 수 있으며, 패널피스(233)가 패널고정홀(229a)에 삽입될 수 있다.
패널피스(233)의 제1 방향(X)으로 형성된 길이는, 패널고정홀(229a)의 제1 방향(X)으로 형성된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패널(230)의 제2 방향(Y)의 길이는 패널안착부(229)의 제2 방향(Y)의 길이에 대응(동일하거나 약간 큼)되고, 가이드패널(230)의 제1 방향의 크기는 패널안착부(229)의 제1 방향(X)의 크기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이드패널(230)은 프린터데크(240)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는 경우 프린터데크(240)와 함께 패널안착부(229) 내에서 이동하면서 프린터데크(2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패널피스(233) 및 패널고정홀(229a)의 제1 방향 길이 차이와 가이드패널(230)과 패널안착부(229)의 제1 방향(X)의 크기 차이 때문에 가이드패널(230)은 패널안착부(229) 내에서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패널(230)과 패널안착부(229)의 제2 방향(Y)의 크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가이드패널(230)은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때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이드패널(230)은 프린터데크(24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홀(231)에 삽입된 이동핀(244)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프린터데크(2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패널(230)과 패널안착부(229)의 제2 방향(Y)의 크기 차이가 없기 때문에 가이드패널(230)은 패널안착부(229)내에서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이동핀(244)이 이동홀(231) 내에서 제2 방향(Y)으로 이동하여 프린터데크(2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프린터데크(240)는 데크상판(220)에 배치될 수 있고, 하부에는 이동홀(231)에 삽입되는 한 쌍의 이동핀(244)이 형성될 수 있다. 프린터데크(240)는 이동블록(26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동블록(260)이 이동부재(270)에 의해 이동되면, 한 쌍의 이동핀(244) 각각은 한 쌍의 이동홀(231) 각각을 따라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린터데크(240)는 프린터안착홈(241), 탈착바(242), 핀홀(245) 및 결합블록(243)을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안착홈(241)은 프린터데크(240)의 상부에 형성되고 이하 검토할 프린터 모듈(300)이 안착되는 부분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프린터안착홈(241)은 하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 형상이 볼록한 곡면으로 이뤄진 곡면부(314)를 형성하고 있어,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 형상이 변경되면 프린터안착홈(241)의 형상도 이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
탈착바(242)는 프린터안착홈(241)에 배치되고, 이하 검토할 프린터 모듈(300)을 프린터안착홈(241)에 고정할 수 있다. 탈착바(242)의 하부는 프린터안착홈(241)에 연결되어 있으며, 탈착바(242)의 양측과 상부는 프린터안착홈(241)과 절개되어 있어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탈착바(242)의 일면에는 걸림턱(242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하 검토할 프린터 모듈(300)에 마련된 탈착홈(315)이 걸림턱(242a)에 걸리며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안착홈(241)에 고정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안착홈(241)에 안착된 상태에서, 걸림턱(242a)은 프린터 모듈(300)의 양측에 구비된 탈착홈(315)을 가압하여 프린터 모듈(300)을 고정할 수 있다.
프린터안착홈(241)에서 프린터 모듈(300)을 분리할 때는 자유단인 탈착바(242)의 상단을 하방향으로 누르면, 프린터 모듈(300)의 탈착홈(315)이 걸림턱(242a)에서 분리되며 프린터안착홈(241)에서 프린터 모듈(300)을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걸림턱(242a)은 걸림턱(242a)이 프린터 모듈(300)의 탈착홈(315)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에서 탈착바(242)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탈착홈(315)에서 이탈될 수 있다. 프린터 모듈(300)은 걸림턱(242a)이 탈착홈(315)에서 이탈하는 경우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분리 가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탈착바(242)의 상부를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프린터 모듈(300)을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핀홀(245)은 프린터안착홈(241)에 형성되고, 프린터 모듈(300)과 신호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핀(250)이 배치될 수 있다. 이하 검토할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에는 인터페이스부(363)가 배치될 수 있으며, 프린터안착홈(241)에 프린터 모듈(300)이 안착되면 인터페이스부(363)와 커넥터핀(25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블록(243)은 도 17을 참고하면, 프린터데크(24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동블록(260)에 형성되는 링크블록(26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프린터데크(240)의 상부에는 체결홀(243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홀(243a)을 통해 볼트 등의 체결구(미도시)로 프린터데크(240)의 결합블록(243)과 이동블록(260)의 링크블록(264)을 결합할 수 있다.
도 12, 도 14 내지 도 17를 참고하면, 이동부재(270)는 데크케이싱(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프린터데크(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재(270)는 제1 이동유닛(280) 및 제2 이동유닛(29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린터데크(240)는 제1 이동유닛(280) 및 제2 이동유닛(290)의 이동에 따라 이동블록(260)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이동유닛(280)은 이동블록(26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프린터데크(240)를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이동유닛(290)은 제1 이동유닛(280)에 연결될 수 있으며, 프린터데크(240)를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이동유닛(290)은 제2 바디(291), 제2 리니어빔(292), 제2 모터(293), 제2 기어조립체(294) 및 제2 사이드판(297)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291)는 데크케이싱(210)의 내부 하단에 볼트(B)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제2 방향(Y)으로 바디관통홀(295)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리니어빔(292)은 제2 바디(291)에서 바디관통홀(295)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터(293)는 제2 바디(29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모터(293)의 구동축은 제2 바디(291)를 관통하며 상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어조립체(294)는 제2 바디(29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모터(293)의 구동축과 제1 이동유닛(28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기어조립체(294)는 제2 모터(293)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2-1 기어(294a), 제2-1 기어(294a)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2-2 감속기어(294b), 제2-2 감속기어(294b)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2-3 감속기어(294c), 제2-3 감속기어(294c)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2-4 기어(294d)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감속기어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원주방향으로 기어이가 많이 형성된 하단기어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원주방향으로 기어이가 적게 형성된 상단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모터(293)의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제2 기어조립체(294)는 복수개의 감속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배치하여 제2 모터(293)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제1 이동유닛(28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제2 모터(293)의 구동에 따라 제1 이동유닛(280)은 제2 리니어빔(292)을 따라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이드판(297)은 제2 바디(291)의 측부에 제2 방향(Y)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2 바디(291)상에서 제2 리니어빔(292)의 반대편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이동유닛(280)은 제1 바디(281), 제1 랙기어(283), 기어판(284), 제1 모터(285), 제1 기어조립체(287), 제1 리니어빔(288) 및 제1 사이드판(2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281)는 제2 바디(29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제2 리니어빔(292)에 연결되는 제1 링크피스(282)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피스(282)는 제1 바디(281)의 하부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 제2 리니어빔(292)에 연결되며 제1 바디(281)가 제2 리니어빔(292)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랙기어(283)는 제1 바디(281)의 하부에서 제2 리니어빔(292)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기어조립체(294)에 맞물려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기어조립체(294)의 제2-4 기어(294d)와 제1 랙기어(283)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모터(293)가 회전하면 제2 기어조립체(294)에서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제1 랙기어(283)에 전달하고, 제1 바디(281)가 제2 리니어빔(292)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기어판(284)은 제1 바디(281)의 하부에 볼트(B) 체결되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터(285)는 제1 바디(281)의 하부에서 기어판(284)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1 모터(285)의 구동축은 기어판(284)을 관통하며 제1 바디(281)의 상부로 연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어조립체(287)는 제1 바디(281)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모터(285)의 구동축과 이동블록(260)을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어조립체(287)는 제1 모터(285)의 구동축에 연결되는 제1-1 기어(287a), 제1-1 기어(287a)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1-2 감속기어(287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15 및 도 16을 참고하면, 제1-2 감속기어(287b)의 하단기어(287b-1)는 제1 바디(281)에 형성된 기어수용홈(281a)과 기어판(284)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2 감속기어(287b)의 상단기어(287b-2)는 제1 바디(281)를 관통하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기어조립체(294)는 제1-2 감속기어(287b)의 상단기어(287b-2)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1-3 감속기어(287c), 제1-3 감속기어(287c)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1-4 감속기어(287d) 및, 제1-4 감속기어(287d)와 맞물려 배치되는 제1-5 기어(287e)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감속기어는 상대적으로 직경이 크고 원주방향으로 기어이가 많이 형성된 하단기어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고 원주방향으로 기어이가 적게 형성된 상단기어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기어조립체(287) 또한 제1 모터(285)의 회전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복수개의 감속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배치하여 제1 모터(285)의 회전속도를 감속하여 이동블록(260)에 전달할 수 있다.
제1 리니어빔(288)은 제1 바디(281)의 측부에서 제1 방향(X)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는 제1 바디(281)의 양측부에 제1 리니어빔(288)이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동블록(260)의 이동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제1 모터(285)의 구동에 따라 이동블록(260)은 제1 리니어빔(288)을 따라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데크(240)는 이동블록(260)과 함께 제1 방향(X)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고하면, 제1 사이드판(286)은 제1 바디(281)의 하단에 연결되고, 제2 사이드판(297) 방향으로 절곡되며 제2 사이드판(297)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사이드판(286)은 제2 사이드판(297)의 하단에 배치되며 제1 바디(28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1 바디(281)의 일측은 제1 링크피스(282)에 의해 제2 리니어빔(292)에 연결되어 있고, 제1 바디(281)의 타측부는 제1 사이드판(286)이 제2 사이드판(297)의 하단으로 절곡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 바디(281)는 제2 이동유닛(29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제2 기어조립체(294)와 제1 랙기어(283)간의 맞물림이 유지될 수 있어 제2 모터(293)의 회전력은 제1 랙기어(283)로 안정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동블록(260)은 이동부재(270)와 상기 프린터데크(240)를 연결하고, 상기 이동부재(270)의 동작에 따라 상기 프린터데크(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블록(260)은 블록바디(261), 링크블록(264), 블록랙기어(263) 및 블록링크피스(262)를 포함할 수 있다.
블록바디(261)는 판 형상일 수 있으며, 블록바디(261)의 상부에는 링크블록(264)이 배치될 수 있다. 링크블록(264)은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터데크(240)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블록(243)과 체결될 수 있다.
블록링크피스(262)는 블록바디(261)의 하부에 배치되고, 제1 리니어빔(288)에 연결될 수 있다. 블록링크피스(262)에는 관통된 홀이 형성되고, 관통된 홀로 제1 리니어빔(288)이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리니어빔(288)은 제1 바디(281)의 양측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한 쌍의 제1 리니어빔(288)에 연결되는 블록링크피스(262)도 블록바디(261)의 하부 양측에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이동안정성을 위함이다.
블록랙기어(263)는 블록바디(261)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기어조립체(287)의 제1-5 기어(287e)에 맞물려 배치될 수 있다. 블록랙기어(263)는 제1 리니어빔(288)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모터(285)가 회전하면 제1 기어조립체(287)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블록바디(261)를 제1 리니어빔(288)의 길이방향, 즉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방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고하면, 사용자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손가락을 고정하고, 네일 홀더 모듈(100)을 홀더장착부(221)에 장착한다. 이때 네일 홀더 모듈(100)의 사이드홈(111)을 따라 결합바(222)가 삽입되고, 고정홈(111b)에는 걸림블록(223)이 끼워지며 네일 홀더 모듈(100)은 홀더장착부(221)에 고정된다.
그리고 사용자는 프린터데크(240)의 상부에 프린터 모듈(300;도 28 참고)를 안착시킨다.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는 탈착바(242)에 의해 고정된다.
이후 사용자는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배치될 수 있는 동작버튼 또는 단말기에 설치된 앱 등을 통해 이동부재(270)를 작동시킨다.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고 싶을 때는 제2 모터(293)를 구동하여 제1 이동유닛(280)과 이동블록(26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킨다. 프린터데크(240)는 이동블록(260)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프린터데크(240)도 제2 방향(Y)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경우, 프린터데크(240)는 이동블록(260) 및 제1 이동유닛(280)과 함께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프린터데크(240)의 이동핀(244)은 가이드패널(230)의 이동홀(231)을 따라 이동하며, 프린터데크(240)가 정확하게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사용자가 프린터데크(240) 및 프린터 모듈(300)의 위치를 제1 방향(X)을 따라 변경하고 싶으면,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제1 모터(285)를 구동한다. 제1 모터(285)를 구동하면 이동블록(260)은 제1 방향(X)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프린터데크(240) 및 프린터 모듈(300)도 제1 방향(X)으로 이동한다.
이때 프린터데크(240)의 이동핀(244)이 가이드패널(230)의 이동홀(231)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프린터데크(240)의 이동시 가이드패널(230)도 함께 제1 방향(X)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방향(X) 또는 제2 방향(Y)으로 프린터데크(240)를 이동시키면서 네일 위치에 프린터 모듈(300)을 정확히 일치시키거나 또는 네일상의 위치를 변경하면서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한편, 도 2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2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장치리드와 장치케이싱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도이고, 도 2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동작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4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측사시도이고, 도 25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프린터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하면도이다. 도 26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제1 롤러의 회전 수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엔코더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27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네일 아트 장치를 구성하는 프린터 구동 모듈과 프린터 모듈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8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의 네일에 프린터 모듈이 모양을 프린팅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0 내지 도 26을 참고하면,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300)은 장치케이싱(310), 장치프레임(350), 장치리드(320) 및 동작부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케이싱(310)은 내부에는 일정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개구부(317)가 형성될 수 있다. 장치케이싱(310)의 측면에는 고정구홀(31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장치케이싱(310)의 측면 하부에는 탈착홈(315)이 형성될 수 있다. 탈착홈(315)은 프린터데크(240)에 형성된 탈착바(242)에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장치케이싱(310)의 하부 둘레에는 볼록한 곡면으로 이뤄진 곡면부(314)가 형성될 수 있다. 곡면부(314)는 이에 대응되게 하방향으로 함몰된 곡면을 형성하는 프린터안착홈(241)에 안착될 수 있다.
장치케이싱(310)의 하단에는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381)는 회전축(381a)에 의해 장치케이싱(310)의 하단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롤러(382)는 회전축(382a)에 의해 장치케이싱(310)의 하단에서 개구부(317)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롤러(381)는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에 접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움직임을 보조할 수도 있고, 프린터 모듈(300)이 이동한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감지센서(364) 및 프린팅부(341)와 동일 수직 선 상에 중심 축(L)이 배치되도록 제1 롤러(381)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롤러(382)는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에 접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한 롤러일 수 있다. 따라서, 개구부(317)의 양측에 제2 롤러(382)가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가 배치되는 경우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 상에서 제2 방향(Y)으로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다.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의 재질일 수 있다. 사용자가 종이, 피부 등에 프린터 모듈(300)을 누르고 디자인을 프린팅할 때,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가 재질적 특성상 눌려지며 회전하고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가 종이, 피부 등의 프린팅대상물에 접촉되며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사용자가 프린터 모듈(300)을 누르지 않으면,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는 눌려진 상태가 아닌 원통 형상을 유지하고,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는 종이, 피부 등의 프린팅대상물로부터 떨어져 있게 되므로, 디자인이 프린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롤러(381)는 제1 롤러(381)의 회전 수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엔코더 모듈(36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장치케이싱(310)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엔코더 모듈(365)은 프린터 모듈(300)이 기 설정된 거리(예를 들어, 1인치(inch))만큼 이동할 때 제1 롤러(381)가 회전하는 회전 수에 대응하여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600개)의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엔코더 모듈(365)이 생성한 펄스를 이용하여 프린터 모듈(30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제어부(360)는 엔코더 모듈(365)에서 생성한 펄스의 개수를 확인하여 프린터 모듈(300)이 이동한 거리를 인식할 수 있고, 이동한 거리에 따라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펄스 1개당 동기하여 600DPI(Dots Per Inch)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프린터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장착된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제1 롤러(381)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가이드패널(230)과 접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381)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프린터데크(24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패널(2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즉,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 구동 모듈(200)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제1 롤러(381)가 가이드패널(230)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제1 롤러(381)가 회전하는 경우 엔코더 모듈(365)은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엔코더 모듈(365)이 생성한 펄스를 분석하여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 구동 모듈(200) 상에서 이동한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이 프린터 구동 모듈(200) 상에서 움직인 거리에 따라 디자인을 프린팅하도록 프린터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별개로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분리된 상태에서 인쇄 매체(예를 들어, 종이 등)에 인쇄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제1 롤러(381)는 인쇄 매체와 접하게 된다. 그리고,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제1 롤러(381)는 인쇄 매체에 의해 회전할 수 있고, 제1 롤러(381)가 회전하는 경우 엔코더 모듈(365)은 펄스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엔코더 모듈(365)이 생성한 펄스를 분석하여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 상에서 움직인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이 인쇄 매체 상에서 움직인 거리에 따라 디자인을 프린팅하도록 프린터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 24를 참조하면, 제1 롤러(381)의 중심 축(L)은 감지센서(364) 및 프린팅부(341)와 동일 선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제1 롤러(381)의 중심 축(L)이 감지센서(364) 및 프린팅부(341)와 동일 수직 선 상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프린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381)의 중심 축(L)은 감지센서(364) 및 프린팅부(341)와 동일 수직 선 상에 존재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 장치프레임(350)은 장치케이싱(3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장치프레임(350)에는 잉크부재(340)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351)가 형성될 수 있다. 잉크부재(340)는 수용부(351)에 배치되고, 잉크부재(340)의 하단에 형성된 프린팅부(341)는 장치케이싱(310)의 개구부(317)를 통해 장치케이싱(310)의 하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장치프레임(350)의 둘레에는 잉크부재(3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36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60)는 인터페이스부(363)와 연결될 수 있으며, 인터페이스부(363)와 커넥터핀(250)이 연결되면 프린터데크(240)에 프린터 모듈(300)이 안착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감지센서(364)와 연결될 수 있으며, 감지센서(364)와 광 반사 플레이트(140)간의 센싱을 통해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하면, 이를 연산하여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센서(364)는 장치케이싱(310)의 하부 즉, 하단 중앙부에서 제1 롤러(381)와 개구부(317) 사이에 배치되고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네일 프린팅을 진행할 프린팅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고,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이용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30 및 도 3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감지센서(364)는 광센서일 수 있으며, 광 반사 플레이트(140)는 반사판일 수 있다. 이 경우 감지센서가 빛을 쏘았을 때 광 반사 플레이트(140)에서 반사되는 범위를 확인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할 수 있다.
장치프레임(350)의 측면에는 고정구(359)가 배치될 수 있으며, 고정구(359)가 고정구홀(311)에 삽입되며 장치프레임(350)이 장치케이싱(310)의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구홀(311)에서 고정구(359)를 눌러 빼면, 장치프레임(350)을 장치케이싱(310)에서 간단하게 분리할 수 있다.
장치리드(320)는 장치케이싱(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장치리드(320)상에는 버튼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장치리드(320)의 내측면에는 소정 각도로 절곡된 절곡 부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리드탈착블록(327)이 배치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에에서는 90도 각도로 절곡될 수 있다. 리드탈착블록(327)은 장치프레임(350)의 상단에 형성된 리드고정홈(352)에 삽입되며 장치리드(320)와 장치프레임(350)을 결합시킬 수 있다. 이때 리드탈착블록(327)의 절곡 부위가 리드고정홈(352)의 연장부(352a)로 삽입되며 장치리드(320)와 장치프레임(350)을 결합할 수 있다.
동작부재(330)는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동작부재(330)는 베이스판(331), 버튼블록(332), 승강블록(333), 누름돌기(334), 결합유닛(335) 및 리드탈착부(336)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331)은 장치리드(320)의 내부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으며, 베이스판(331)의 일측 상부에는 버튼블록(332)이 배치될 수 있다.
승강블록(333)은 베이스판(331)에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승강블록(333)의 단부(333a)는 베이스판(33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승강블록(333) 사이에는 버튼블록(33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승강블록(333)과 버튼블록(332)의 내측부(332b)와 외측부(332a)는 각각 베이스판(331)으로부터 절개되어 있어 버튼블록(332)과 승강블록(333)은 자유단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버튼블록(332)을 누르면 버튼블록(332)은 승강블록(333)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누름돌기(334)는 승강블록(333)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장치프레임(350)의 상단부에는 돌기홈(3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돌기홈(353)의 내부에는 동작버튼(361)이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블록(332)을 누르면 승강블록(333)에 의해 하강하고, 이때 승강블록(333)의 하단에 형성된 누름돌기(334)가 돌기홈(353)의 내부에서 동작버튼(361)을 누르게 된다.
동작버튼(361)이 눌러지면 제어부(360)가 사전에 입력되어 있는 프린팅 디자인을 선택하고 잉크부재(340)가 디자인을 프린팅하도록 제어한다. 디자인은 종이, 피부 등에 프린팅될 수 있거나 또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프린터 모듈(300)이 결합되는 경우에는 네일에 프린팅될 수 있다.
리드탈착부(336)는 베이스판(33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리드탈착부(336)는 손잡이판(336a), 신장판(3360b) 및 연결판(336c)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판(336c)은 베이스판(331)과 손잡이판(336a)을 연결할 수 있으며, 연결판(336c)의 양측면과 베이스판(331)간에는 절개 부위(336d)가 형성될 수 있다. 신장판(3360b)은 연결판(336c)상에서 장치프레임(350)에 격벽(354a)으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판삽입홈(354)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장치리드(320)의 후단부에는 내측 방향으로 함몰된 리드홈(322)이 형성될 수 있으며, 리드홈(322)에는 관통된 리드홀(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가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동작부재(330)를 결합할 때는, 동작부재(330)를 장치리드(320)의 내부로 밀어넣으면, 리드탈착부(336)의 손잡이판(336a)이 리드홀(322a)에 끼워지며 동작부재(330)를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결합시키기 된다.
이때 손잡이판(336a)이 리드홀(322a)에 끼워지기 위해서 연결판(336c)이 약간 휘어지게 된다.
반대로 사용자가 장치리드(320)의 내부에서 동작부재(330)를 분리할 때는 손잡이판(336a)을 리드홀(322a)의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연결판(336c)이 약간 휘어지면서 장치리드(320)의 내부에서 동작부재(330)를 분리할 수 있다.
신장판(3360b)은 장치리드(320)에 형성된 리드탈착블록(327)을 장치프레임(350)에 형성된 리드고정홈(352)에 삽입하면, 판삽입홈(354)에 삽입될 수 있다.
한편, 결합유닛(335)은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베이스판(331)을 고정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합유닛(335)은 결합볼트(335a), 와셔(335b) 및 탄성체(335c)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331)에는 복수개의 볼트홀(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으며, 볼트홀에 와셔(335b) 및 결합볼트(335a)를 삽입하고 장치리드(320)의 내부에 나사산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다.
이때 결합볼트(335a)의 외측 둘레에는 탄성체(335c)가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체(335c)는 장치리드(320)와 베이스판(331)에 각각 미는 힘을 인가하여 장치리드(320)와 베이스판(331)이 단단히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결합유닛(335)에 의해 장치리드(320)와 베이스판(331)이 단단히 결합됨에 따라 사용자가 버튼블록(332)을 눌렀을 때, 베이스판(331)이 움직이지 않고 버튼블록(332), 승강블록(333) 및 누름돌기(334)만이 하방향으로 눌리게 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 따른 프린터 모듈(300)의 구성은 상술한 바와 같으며, 이하에서는 작동방식을 살펴보도록 한다.
일 작동방식으로는, 사용자가 종이, 피부 등 프린팅대상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고자 할 때, 우선 버튼블록(332)을 누른다. 버튼블록(332)을 누르면 잉크부재(340)가 동작하거나 또는 버튼블록(332)을 누르면 기 입력된 다수의 디자인 중 특정 디자인을 변경, 선택할 수 있다.
다음 사용자는 프린터 모듈(300)을 프린팅대상물에 눌러 이동시킨다. 이때 제1 롤러(381) 및 제2 롤러(382)가 눌려지면 이동하게 되므로,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는 프린팅대상물에 접촉하게 된다.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0는 종이, 피부 등의 프린팅대상물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하며 선택된 디자인을 프린팅하게 된다.
다른 작동방식으로는, 도 27 및 도 28을 참고하면 사용자는 손가락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자인이 잘 프린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의 네일을 잘 고정할 수 있어야 하고, 또한 손가락의 네일 위치에 정확하게 디자인이 프린팅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사용자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상부에 배치되어 있는 프린터데크(240)에 프린터 모듈(300)을 고정한다. 탈착바(242)의 걸림턱(242a)은 프린터 모듈(300)의 탈착홈(315)에 끼워지며 프린터 모듈(300)을 프린터데크(240) 상부에 고정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손가락을 투입하고 고정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네일 홀더 모듈(100)에는 사용자가 손가락의 투입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표시가 있을 수 있다. 이 표시는 숫자, 눈금 등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는 지시선(도 33의 E)의 위치까지 손가락을 투입할 수 있다.
네일 홀더 모듈(100)에 손가락을 고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설명을 참고한다.
다음으로, 네일 홀더 모듈(100)을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홀더장착부(221)에 밀어서 장착한다. 장착방식은 상술한 설명을 참고하도록 한다.
이후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버튼블록(332) 또는 단말기 앱 등을 통해 제1 이동유닛(280)을 작동하면, 프린터데크(240)가 제2 방향(Y)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프린터 모듈(300)의 하단에 배치된 감지센서(364)가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와 연동되며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자동으로 확인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우선 프린터데크(240)가 한번 제2 방향(Y)의 좌우로 이동한다. 첫 번째 이동은 프린터데크(240)에 결합되어 있는 프린터 모듈(300)의 감지센서(364)가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와 반응하며 네일 홀더 모듈에 삽입되는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하기 위한 동작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364)는 광센서일 수 있고, 광 반사 플레이트(140)는 반사판일 수 있으며, 감지센서(364)가 빛을 쏘았을 때,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에 반사되는 신호를 통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확인한 다음, 프린터데크(240)는 두 번째 제2 방향(Y)의 좌우이동을 한다. 두 번째 이동은 사용자의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동작이다. 이때 디자인은 사용자가 버튼블록(332)을 눌러 변경,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단말기 앱 등을 이용하여 변경, 선택할 수도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첫 번째 제2 방향(Y)의 좌우 이동을 통해 확인한 삽입체의 너비에 기초하여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더불어,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두 번째 이동을 통해 위치와 크기가 결정된 프린팅 영역 상에 디자인을 프린팅할 수 있다. 이는 도 30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프린터데크(240)의 제2 방향(Y) 이동에 따라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는 네일의 표면을 지나가면서 선택된 디자인을 프린팅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네일 아트를 실행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제1 방향(X)을 기준으로 하여 네일의 위치와 잉크부재(340)의 프린팅부(341)의 위치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투입한 손가락의 깊이를 스스로 조절할 수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의 크기가 긴 경우,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의 두 번째 제2 방향(Y)의 좌우 이동 후에 제2 이동유닛(290)을 작동하여 프린터데크(240) 및 프린터 모듈(300)의 위치를 제1 방향(X)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을 세 번째 제2 방향(Y)의 좌우 이동을 통해 두번째 이동으로 그리지 못한 디자인을 마자 프린팅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획득한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이와 같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가 기 설정된 길이를 초과하는 경우 제2 이동유닛(290)이 작동하고, 프린터데크(240) 및 가이드패널(230)의 위치가 제1 방향(X)으로 이동된 후 프린팅을 마자 진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의 네일의 세로 길이가 긴 경우에도 디자인이 제대로 프린팅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의 네일은 손가락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발가락 등 다른 부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9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팅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9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28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9를 참조하면, 프린팅 모듈(300)은 제어부(360), 통신부(362), 인터페이스부(363) 및 감지센서(36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프린터 모듈(300)을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프린터 모듈(300)은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300)의 구성 요소들을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 등을 처리하거나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적절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하나 이상의 코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상용 프로세서들 중 임의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중앙 처리 장치(CPU: Central Processing Unit),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 Processor), 범용 그래픽 처리 장치 (GPUGP: General Purpose Graphics Processing Unit), 텐서 처리 장치(TPU: Tensor Processing Unit)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362)는 프린터 모듈(300)과 사용자 단말기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기는 프린터 모듈(300)을 통해 네일 아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기로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통신부(362)는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및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만,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통신부(362)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더불어, 통신부(362)는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통신부(362)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62)는 근거리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프린터 모듈(300)은 통신부(36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다양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근거리 통신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 및 프린팅 할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이용되는 통신 기술은 근거리 통신 기술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탈착 가능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구비된 프린터데크에 탈착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한편,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게 구동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 즉, 프린터 모듈(300)의 하부에 배치된 인터페이스부(363)에 커넥터핀(250)이 결합되는 경우,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프린터 모듈(300)로부터 구동 제어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363)는 외부 기기와 프린터 모듈(300) 사이의 통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363)는 데이터 포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린터 모듈(300)의 인터페이스부(363)에 프린터 구동 모듈(200)의 커넥터핀(250)이 연결되는 경우,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과 관련된 적절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린터 모듈(300)의 제어부(360)는 1차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가로 방향인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송할 수 있다. 제1 구동 제어 신호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기 위해 프린터 구동 모듈(200)을 움직이는 구동 제어 신호일 수 있다.
한편, 프린터 모듈(300)의 제어부(360)는 2차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송할 수도 있다. 제2 구동 제어 신호는 프린팅 영역 내에 디자인(이미지)을 프린팅하기 위해 프린팅 구동 모듈(200)을 움직이는 구동 제어 신호일 수 있다.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제1 구동 제어 신호 또는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수신한 경우, 프린터데크(240)의 위치를 이동시켜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제어부(360)는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하는 것과 연동하여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프린팅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의 네일 상에 디자인이 프린팅될 수 있다.
감지센서(364)는 빛을 쏜 후에 반사되는 빛의 양 또는 빛의 세기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센싱 값을 센싱하는 센서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네일 홀더 모듈(100)은 한쌍의 제2 홀더블록(130)에 한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1을 참조하면, 프린터 구동 모듈(200)은 네일 홀더 모듈(100)을 장착할 수 있는 홀더장착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는 손가락을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한 후에 홀더장착부(221)에 네일 홀더 모듈(100)을 장착시킬 수 있다. 네일 홀더 모듈(100)이 장착된 상태에서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제1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하면에 구비된 감지센서(364)는 한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에서 반사된 빛을 통해 변화하는 센싱 값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 모듈(300)의 제어부(360)는 센싱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네일 홀더 모듈에 삽입되는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이용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는 도 30 및 도 33을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도 30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0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29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으며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0을 참조하면,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 및 프린팅할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10).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에 구비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를 사용자 단말기가 분석하여 생성되는 정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정 길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에 출력되는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또는 프리뷰 이미지) 상에 표시되는 두 개의 가로선 및 두 개의 세로선의 위치에 기초하여 산출되는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와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정 너비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측정되는 네일의 가로 방향 길이 즉 네일의 폭을 의미할 수 있고, 추정 세로 길이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측정되는 네일의 세로 방향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2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한편,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자신의 네일에 디자인할 이미지의 크기와 네일 상에서 이미지의 프린팅 위치를 입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모듈(300)의 통신부(362)가 수신하는 이미지 데이터는 이미지의 프린팅 위치와 이미지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단계(S110)에서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 및 프린팅 할 이미지와 관련된 이미지 데이터를 수신한 경우,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전달할 수 있다(S120).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이미지 데이터 및 추정 길이 정보를 수신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동작버튼(361)을 누르는 사용자의 입력에 기초하여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도 있다.
다만,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불과할 뿐 본 개시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360)는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한 후에 제1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움직이는 경우 감지센서(364)를 통해 획득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네일 홀더 모듈에 삽입되는 삽입체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S130). 여기서, 네일 홀더 모듈에 삽입되는 삽입체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일 수 있다. 즉, 제어부(360)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인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감지센서(364)를 통해 획득된 센싱 값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제1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프린터 모듈(200)에 구비된 감지센서(364)는 센싱 값을 획득할 수 있다. 프린터 모듈(200)의 제어부(360)는 감지센서(364)로부터 획득된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 변화하는 두 시점을 인식할 수 있다. 여기서, 두 시점은 한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 각각이 위치하는 지점에 감지센서(364)가 위치하는 시점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두 시점에 의해 산출된 시간 정보인 프린터 모듈(300)이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가로방향 일 말단에서 가로방향 타 말단으로 이동 시 소요되는 소요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60)는 프린터 모듈의 이동 속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터 모듈의 이동 속도 정보는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프린터 모듈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속도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프린터 모듈의 이동 속도 정보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저장부에 저장된 이동 속도 정보와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360)는 이동 속도에 소요 시간을 곱해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산출할 수 있다. 다만,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은 상술한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어부(360)는 다양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0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감지센서(364)를 통해 센싱된 값의 변화에 기초하여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를 결정하는 경우 네일 아트 장치(400)는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때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를 이용하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3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31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하여 네일 프린팅를 수행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1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30과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1을 참조하면, 제어부(360)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 및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이미지를 프린팅 할 프린팅 영역의 위치 및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S140). 여기서, 프린팅 영역은 네일 아트 디자인과 관련된 이미지를 프린팅할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즉, 프린팅 영역은 프린터 모듈(300)이 실제로 프린팅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산출되는 네일의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와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정 너비와 추정 세로 길이를 산출하는 방법은 도 32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후술한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360)는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와 네일의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네일의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세로 길이를 결정할 수 있고, 네일의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가로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 단말기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네일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기에서 결정된 사용자의 네일의 크기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네일 아트 장치(400)는 네일 아트를 수행할 프린팅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한편, 제어부(360)는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에 기초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의 세로 중심 선의 위치를 조절하여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세로 중심 선은 프린팅 영역의 중심점을 수직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가상의 선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의 세로 중심 선의 위치가 센싱 값이 기 설정된 임계 값 이상 변화하는 두 시점 중 최초 시점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의 절반만큼 제2 방향(Y)으로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프린팅 영역의 위치가 결정되는 경우, 프린팅 영역의 중심을 세로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 선은,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중심을 세로 방향으로 통과하는 가상의 수직선과 일치할 수 있다.
만약, 기 설정된 위치에 프린팅 영역을 배치시킨다면 네일 아트를 위한 이미지가 제대로 프린팅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삽입 위치가 변경될 수도 있고,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크기는 사용자에 따라 다르기 때문이다. 다만, 본 개시와 같이 중심 선의 위치가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60)는 단계(S140)에서 프린팅 영역의 크기 및 위치가 결정된 경우, 프린팅 영역 내에 이미지를 프린팅하기 위해 프린터 구동 모듈을 움직이는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인터페이스부(363)를 통해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구동 제어 신호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되는 것과 연동하여 제어부(360)는 통신부(362)를 통해 수신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에 대한 프린팅을 수행하도록 프린터 모듈(300)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제2 구동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프린터 모듈(300)을 움직일 수 있고, 프린터 모듈(300)은 제2 방향(Y)으로 움직이면서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프린팅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프린터 모듈(300)이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프린팅할 때 사용자 단말기에 입력한 이미지의 크기 및 이미지의 위치에 기초하여 프린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2는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2와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31과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를 자신이 소유한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촬영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기(U)는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U)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용자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생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경우, 사용자 단말기(U)는 카메라를 활성화시키고 카메라를 통해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U)는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또는 프리뷰 이미지)를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는 두 개의 세로선(L1, L2) 및 두 개의 가로선(L3, L4)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두 개의 세로선(L1, L2) 각각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이미지 상에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가로선(L3, L4) 각각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이미지 상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네일이 포함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상에서 두 개의 세로선(L1, L2)과 두 개의 가로선(L3, L4)의 위치를 변경시켜 자신의 네일의 말단 부분에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네일의 가로 방향 일 말단 부분에 두 개의 세로선(L1, L2) 중 어느 하나(L1)를 배치시키고, 네일의 가로 방향 타 말단 부분에 두 개의 세로선(L1, L2) 중 다른 하나(L2)를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네일의 세로 방향 일 말단 부분에 두 개의 가로선(L3, L4) 중 어느 하나(L3)를 배치시키고, 네일의 세로 방향 타 말단 부분에 두 개의 가로선(L3, L4) 중 다른 하나(L4)를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측정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단말기(U)는 두 개의 세로선(L1, L2) 및 두 개의 가로선(L3, L4)의 위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U)는 두 개의 가로선(L3, L4)의 위치에 기초하여 추정 세로 길이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고, 두 개의 세로선(L1, L2)의 위치에 기초하여 추정 너비에 대한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추정 너비는 두 개의 세로선(L1, L2) 사이의 제1 거리(X1)와 카메라와 네일 사이의 제2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고, 추정 세로 길이는 두 개의 가로선(L3, L4) 사이의 제3 거리(Y1)와 상기 제2 거리에 기초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거리는 사용자 단말기(U)에 구비된 적외선 센서 등을 통해 산출되거나 이미지를 분석하여 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네일의 크기를 산출하고, 프린터 모듈(300)은 통신부(362)를 통해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수신하기 때문에 네일 아트 장치(400)는 별도의 카메라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 33은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방법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3과 관련하여 도 1 내지 도 32와 관련하여 상술한 바와 중복되는 내용은 다시 설명하지 않고 이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33을 참조하면, 네일 홀더 모듈(100)에 구비된 한쌍의 제2 홀더블록(130)에 한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140)가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을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한 상태에서 네일 홀더 모듈(100)을 네일 구동 모듈(200)에 구비된 홀더장착부에 장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지시선(E) 위치에 네일의 세로 방향의 일 말단(손가락 부분의 말단)이 오도록 네일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팅이 수행되는 경우, 프린팅 모듈(300)은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1차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프린터 구동 모듈(200)이 1차적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제2 방향(Y)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프린터 모듈(300)의 제어부(360)는 감지센서(364)를 통해 획득되는 센싱 값(S)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센싱 값(S)이 기 설정된 임계 값(V) 이상 변화하는 두 시점(t1, t2)을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센싱 값(S)이 기 설정된 값(V) 이상 상승했다가 감소하는 제1 시점(t1)과 제1 시점(t1) 이후에 센싱 값(S)이 기 설정된 값(V) 이상 다시 상승하는 제2 시점(t2)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6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을 이용하여 프린팅 모듈(300)이 이동하는데 소요된 시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제어부(360)는 제1 시점(t1)과 제2 시점(t2)을 이용하여 인식된 시간 정보와 저장부에 저장된 프린터 모듈의 이동 속도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d)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R)의 크기 및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린팅 영역(R)의 크기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정보인 사용자의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팅 영역(R)의 위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d)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R)의 위치를 결정할 때 프린팅 영역의 세로 중심 선(C)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프린팅 영역(R)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좀더 구체적으로, 제어부(360)는 프린팅 영역의 세로 중심 선(C)의 위치가 두 시점(t1, t2) 중 최초 시점인 제1 시점(t1)에 대응하는 지점으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d)의 절반만큼 제2 방향(Y)으로 이동한 위치에 배치되도록 프린팅 영역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프린터 모듈(300)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네일의 추정 길이 정보를 수신하여 프린팅 영역을 결정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네일이 세로 방향으로 길더라도 네일 아트 프린팅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지시선(E) 위치에 네일의 세로 방향 일 말단(손가락과 연결되는 부분)이 오도록 네일을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프린터 모듈(300)은 네일 프린팅 영역에 프린팅이 진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린터 구동 모듈이 제1 방향(X)과 제2 방향(Y)으로 프린터 모듈(3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네일이 세로 방향으로 길더라도 네일 프린팅이 제대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네일 아트 장치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네일 아트 장치의 내부로 넣으면, 네일 아트 장치의 내부에 카메라가 배치되어 있다.
사용자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통해 네일이 제대로 삽입된 것을 확인할 수 있고, 네일 아트 장치는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네일에 디자인을 프린팅하는 방식으로 구동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경우, 카메라가 반드시 필요하기 때문에 네일 아트 장치의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가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네일 홀더 모듈(100)은 사용자의 네일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고, 프린터 모듈(300)에 장착된 감지센서(364)와 광 반사 플레이트(140)의 연동에 의해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된 삽입체)의 너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네일 프린팅을 진행할 프린팅 영역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의 네일 아트 장치에 비해 카메라가 필요없어, 제품 가격이 절감되고 상용성이 개선된 특징이 있다.
또한 종래의 네일 아트 장치는 프린터가 내장되어 있어 별도로 활용이 불가하지만,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모듈(300)은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장착했을 때는 네일 아트 장치(400)로 사용할 수 있고, 프린터 구동 모듈(200)에 결합하지 않고 독자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핸드 헬드 프린터(hand-held printer)와 같이 활용할 수 있다. 즉 네일 아트뿐만 아니라 종이, 직물 등에도 디자인 프린팅이 가능하고, 사용자의 피부에 사용하는 경우 타투 등의 디자인 프린팅이 가능하여, 종래에 비해 프린터 모듈(300) 자체의 활용성도 개선된 특징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인쇄 시작 점을 기 설정된 지점으로 고정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네일 홀더 모듈(100)에 삽입되는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크기가 달라지더라도 영향을 받지 않고 네일의 중심 부분을 기점으로 네일 프린팅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가 존재하지 않지만 네일 프린팅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네일 홀더 모듈, 프린터 구동 모듈 및 프린터 모듈은 상기 설명된 몇몇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몇몇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네일 홀더 모듈
110:홀더 케이싱 111:사이드홈
111a:홈확장부 112:개구홀
113:아치부 114:케이싱홈
115:블록지지부 116:홀더하판
117:스프링 지지피스 118;기어 고정피스
120:제1 홀더블록 121:제1 상단블록
122:제1 사이드블록 130:제2 홀더블록
131:제2 상단블록 132:제2 링크블록
133:제2 신장블록 134:제2 하단블록
140:광 반사 플레이트 150:안착블록
151:안착부 152:투입부
153:블록이동홈 160:이동수단
161:제1 스프링 162:제2 스프링
163:리미트블록 164:홀더기어
165:가이드홈 166:랙기어블록
167:제1 경사부 168:제2 경사부
169:가이드빔 170:홀더부
200:프린터 구동 모듈
210:데크케이싱 214:데크하판
220:데크상판 221:홀더장착부
222:결합바 223:걸림블록
228:홀더안착판 229:패널안착부
230:가이드패널 231;이동홀
240:프린터데크 241:프린터안착홈
242:탈착바 243:결합블록
244:이동핀 250:커넥터핀
260:이동블록 261:블록바디
262:블록링크피스 263:블록랙기어
264:링크블록 270:이동부재
280:제1 이동유닛 281:제1 바디
282:제1 링크피스 283:제1 랙기어
284:기어판 285:제1 모터
286:제1 사이드판 287:제1 기어조립체
288:제1 리니어빔 290:제2 이동유닛
291:제2 바디 292:제2 리니어빔
293:제2 모터 294:제2 기어조립체
295:바디관통홀 297:제2 사이드판
300:프린터 모듈
310:장치케이싱 311:고정핀홀
315:탈착홈 317:개구부
320:장치리드 321:버튼홀
322:리드홈 322a:리드홀
327:리드탈착블록 330:동작부재
331:베이스판 332:버튼블록
333:승강블록 334:누름돌기
335:결합유닛 335a:결합볼트
335b:와셔 335c:탄성체
336:리드탈착부 336a:손잡이판
336b:신장판 336c:연결판
340:잉크부재 350:장치프레임
351:수용부 352:리드고정홈
353:돌기홈 354:판삽입홈
359:고정구 360:제어부
361:동작버튼 363:인터페이스부
364:감지센서 365: 엔코더 모듈
381:제1 롤러 382:제2 롤러
400:네일 아트 장치

Claims (11)

  1. 프린터 구동 모듈에 탈착 가능한 프린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모듈은:
    장치케이싱; 및
    상기 장치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고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기 위한 센싱 값을 생성하는 감지센서;
    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값은,
    상기 감지센서가 조사한 빛이 네일 홀더 모듈에 구비된 한 쌍의 광 반사 플레이트에서 반사됨에 따라 변화하는,
    프린터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케이싱의 하부에 잉크부재의 프린팅부를 노출시키는 개구부;
    상기 장치케이싱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롤러; 및
    상기 제1 롤러의 회전 수에 따라 펄스를 생성하는 엔코더 모듈;
    을 포함하는,
    프린터 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의 중심 축은,
    상기 감지센서 및 상기 프린팅부와 동일 수직 선상에 존재하는,
    프린터 모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센서는,
    상기 장치케이싱의 하단 중앙부에서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개구부 사이에 배치되는,
    프린터 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펄스에 기초하여 상기 프린터 모듈의 이동 거리를 산출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장착된 경우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의 가이드패널과 접하고,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상기 가이드패널에 의해 회전하는,
    프린터 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는,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과 분리된 상태에서 인쇄 매체에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인쇄 매체와 접하고,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인쇄 매체 상에서 움직이는 경우 상기 인쇄 매체에 의해 회전하는,
    프린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터 모듈이 상기 인쇄 매체와 접한 상태에서 움직이는 경우 상기 프린터 모듈의 움직임을 보조하도록 상기 개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롤러;
    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케이싱은,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의 프린터데크에 형성되는 탈착바의 걸림턱에 탈착되는 탈착홈을 측부에 형성하는,
    프린터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프린터 모듈(300)을 가로 방향(X)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전달하는 인터페이스부;
    상기 제1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전달한 후에 상기 센싱 값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손가락 또는 상기 발가락의 너비를 결정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너비를 결정한 후에 상기 프린터 모듈을 다시 가로 방향(X)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전달하고,
    상기 제2 구동 제어 신호를 상기 프린터 구동 모듈에 전달한 후에 상기 너비에 기초하여 결정된 프린팅 영역 내에 이미지 프린팅을 수행하는,
    프린터 모듈.
KR1020220037037A 2022-03-25 2022-03-25 프린터 모듈 KR10245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037A KR102450156B1 (ko) 2022-03-25 2022-03-25 프린터 모듈
KR1020220122388A KR20230139284A (ko) 2022-03-25 2022-09-27 프린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7037A KR102450156B1 (ko) 2022-03-25 2022-03-25 프린터 모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388A Division KR20230139284A (ko) 2022-03-25 2022-09-27 프린터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0156B1 true KR102450156B1 (ko) 2022-10-04

Family

ID=8360031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7037A KR102450156B1 (ko) 2022-03-25 2022-03-25 프린터 모듈
KR1020220122388A KR20230139284A (ko) 2022-03-25 2022-09-27 프린터 모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388A KR20230139284A (ko) 2022-03-25 2022-09-27 프린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501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1418S1 (en) * 2023-07-11 2024-01-16 Guangzhou Sanshu Technology Co., Ltd Multifunction print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0173A (ja) * 2017-06-29 2019-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ネイルプリント装置及びネイルプリント装置の制御方法
KR20200116305A (ko) *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네일프린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010173A (ja) * 2017-06-29 2019-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ネイルプリント装置及びネイルプリント装置の制御方法
KR20200116305A (ko) * 2019-04-01 2020-10-12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네일프린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1011418S1 (en) * 2023-07-11 2024-01-16 Guangzhou Sanshu Technology Co., Ltd Multifunction prin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9284A (ko)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389B1 (ko) 프린터 구동 모듈
KR102441817B1 (ko) 네일 홀더 모듈
KR102450156B1 (ko) 프린터 모듈
EP3238615B1 (en) Watch typ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41826B1 (ko) 네일 아트 장치
US8646898B2 (en) Nail print apparatus
US116900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earable initiated handshaking
KR102415655B1 (ko) 이동 단말기
KR20170123205A (ko) 와치타입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451390B1 (ko) 프린터 구동 모듈에 탈착 가능한 프린팅 모듈을 통한 네일 프린팅 기법
CN111026103B (zh) 手柄组件及遥控器
CN211273204U (zh) 脱毛仪及脱毛系统
CN102944921B (zh) 能快速连接光纤的光收发组件
KR101405844B1 (ko) 휴대용 무선 복합기
CN107864254A (zh) 手机支架及具有该手机支架的遥控器
CN213092317U (zh) 翻译设备
KR20150004419U (ko) 다양한 기능성 모듈의 결합이 가능한 다기능 일체형 포스 기기
JPS63197682A (ja) パ−ソナルワ−ドプロセツサ
KR20120102920A (ko) 휴대용 자동 인쇄 장치
JP6517403B1 (ja) ゲームコントローラ
JP2024043240A (ja) 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788550B1 (ko)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및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CN208861414U (zh) Pos机终端
KR101788548B1 (ko)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표시 방법
KR101788552B1 (ko) 광원의 시각적 잔상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