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2673B1 -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2673B1
KR102212673B1 KR1020190093251A KR20190093251A KR102212673B1 KR 102212673 B1 KR102212673 B1 KR 102212673B1 KR 1020190093251 A KR1020190093251 A KR 1020190093251A KR 20190093251 A KR20190093251 A KR 20190093251A KR 102212673 B1 KR102212673 B1 KR 102212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mmunication
parking management
communication connection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3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용
이화진
Original Assignee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신상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신상용 filed Critical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93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26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2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2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의 획득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이 설명된다. 일 예시적인 방법은 차량과 연관된 디지털키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상기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FOR PARKING MANAGEMENT USING DIGITAL KEY FOR VEHICLE}
본 개시는 차량의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스마트 도어에서 송출되는 신호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차량용 스마트 키(리모트 컨트롤러)를 소지한 사용자가 별도의 키 삽입이나 조작 없이도 차량 도어를 개폐하거나 엔진을 시동시킬 수 있는 스마트 키 시스템은 이미 많은 차량에 보급되어 있다. 스마트 키는 그 크기가 작고 휴대가 간편하나 사용자가 이를 분실하거나 다른 곳에 두고 온 경우 차량의 구동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에는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폰이 일반인들에게 광범위하게 보급되었으며, 이에 발맞춰 자동차 제조업계에서도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스마트 폰을 차량용 디지털 키로 이용하는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 키'가 개발되고 있다. 디지털 키를 이용하면 사용자는 기존의 스마트 키를 지니고 있지 않아도 스마트폰만으로도 차량의 출입과 시동, 운행, 차량 제어가 가능하며, 다른 사용자에 차량을 작동할 수 있는 권한을 공유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폰 기반 디지털 키를 지원하는 차량은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는 통신수단들을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디지털 키로서의 스마트폰이 간단히 접촉하면 스마트폰과 통신할 수 있는 안테나가 설치된 스마트도어를 포함한다. 스마트도어는 접촉한 스마트폰이 적합한 차량 이용자의 소유임을 확인하여 잠기거나 열릴 수 있다.
기존의 주차 관리 방식은 주차장의 진출입로에서 차량을 촬상하여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이러한 방식은 과정이 복잡하여 시간이 오래 걸리고, 차량의 이미지를 촬상하는 과정, 촬상된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여 인식 정확도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개시는 차량에 포함된 디지털 키와 통신 연결을 위한 장치, 예를 들어 스마트도어로부터 직접적으로 차량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의 획득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이 설명된다. 일 예시적인 방법은 차량과 연관된 디지털키와 통신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상기 통신 장치 사이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와,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차량에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상기 로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의 통신 연결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안테나를 이용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 또는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의 통신 연결은 Wi-Fi, 블루투스,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 또는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제1 통신 장치와 Wi-Fi, 블루투스,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 연결이 수립된 후,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차량과 다른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다른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촬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 정보의 획득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로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는 수신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장 진입 시간 및 진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방법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이용자 단말에 확인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과 연관된 디지털 키와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장치,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장의 로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주차장에 입출하는 차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하여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도록 구성되어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에 차량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상기 로컬 서버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의 통신 연결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안테나를 이용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 또는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의 통신 연결은 Wi-Fi, 블루투스,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 또는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제1 통신 장치와 Wi-Fi, 블루투스,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연결은 상기 제1 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수립되고, 상기 차량 정보는, 상기 통신 연결이 수립된 후, 상기 제2 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과 수립한 다른 통신 연결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촬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 정보의 획득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로컬 서버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수신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장 진입 시간 및 진출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단말에 확인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주차 관리 시스템의 로컬 서버에 의해 실행되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시된다.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어 차량 정보의 획득을 위한 통신 장치와, 차량과 연관된 디지털키와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사이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및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개시의 특징들과 기타 추가적인 특징들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자세하게 설명한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키로 기능하는 사용자 단말과 차량 간의 상호작용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키로 기능하는 사용자 단말과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통신 장치를 통하여 차량과 상호 작용하는 사용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환경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환경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환경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키로 기능하는 사용자 단말과 차량 간의 상호작용을 간략히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키로 기능하는 사용자 단말이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통신 회로를 통하여 차량과 상호 작용하는 사용 예를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헤드 유닛(110)과 디지털 키 유닛(120)을 포함할 수 있다. 헤드 유닛(110)은 차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고, 차량(100) 내부에 구비된 디지털 키 유닛(120)과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헤드 유닛(110)과 디지털 키 유닛(120) 간의 연결은 자동차 통신 기술, 예를 들어LIN(Local Interconnect Network), CAN(Controller Area Network), FlexRay과 같은 표준 통신 규격으로 이뤄 질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디지털 키 유닛(120)은 헤드 유닛(110) 내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차량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용 단말(140)은 차량(100)에 대한 디지털 키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140)은 차량(100)(예를 들어, 헤드 유닛(110) 또는 디지털 키 유닛(120))과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단말(140)은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서버(200)와도 무선통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통신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 RFID, Wi-Fi, 블루투스, 및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이뤄질 수 있다. 차량(100)은 이러한 무선통신을 위해 통신 모듈(미도시)을 구비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차량(100)의 헤드 유닛(110)과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직접(예: 유선) 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무선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통신 모듈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은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근거리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140)과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근거리 통신 회로(131)가 차량(100)의 도어(130)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근거리 통신 회로(131)는 도어(130)의 손잡이에 설치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회로(131)는 차량(100)의 하나의 도어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복수의 도어, 또는 트렁크 도어와 같이 차량(100)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회로(131)는 예를 들어, NFC 안테나, 비콘 또는 적외선 통신을 위한 송수신기 일 수 있다.
디지털 키 유닛(120)은 근거리 통신 회로(131)를 통해 단말(140)과 무선통신(101)을 수립할 수 있다. 단말(140)과 차량(100)은 이러한 제1 무선통신(101)을 통해 단말(140)이 디지털 키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도 2는 차량 사용자가 단말(140)을 도어(130)의 손잡이에 접촉하여 도어(130)의 손잡이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차량(100)(예를 들어, 헤드 유닛(110) 또는 디지털 키 유닛(120))과 무선통신을 수립하는 사용 예를 도시한다. 디지털 키 유닛(120)은 수립된 제1 무선통신(101)에 기반하여 단말(140)이 디지털 키로서 적합한 지, 다시 말하면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도어(130)를 열거나 잠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0)은 다른 통신 방식(예를 들어, Wi-Fi, 셀룰러 네트워크, 블루투스 등)을 통해 단말(140)과 제2 무선통신(102)을 수립할 수 있다. 단말(140)과 차량(100)은 이러한 제2 무선통신(102)을 통해 단말(140)이 디지털 키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각종 신호 및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무선통신(102)으로 차량(100)과 연결된 단말(140)은 단말(140)이 디지털 키로서 적 적합한 지, 다시 말하면 차량(100)을 제어할 수 있는 권한이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고, 권한이 있는 경우 단말(140)은 도어(130)의 개폐는 물론, 시동, 운행 등의 차량 제어가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40)에는 디지털 키로서 기능하기 위해 적합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지털 키로서 기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은 차량(100)의 제조자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차량 사용자는 단말(140)에서 실행되는 단말(140)을 디지털 키로서 기능하게 하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조작(예를 들어, 아이콘에 대한 터치 입력)으로 도어(130)의 개폐, 자동차 경적의 동작 및 중지, 주차를 위한 전진 또는 후진 등의 차량(100)에 대한 다양한 제어가 가능하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300)를 설명한 예시적인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환경도이며, 도 5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환경도이다. 도 4 및 도 5(그리고 이하의 도 8)의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환경도에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해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는데, 이는 단지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동일 도면 부호의 구성들의 기능 또는 작동에 일부 차이가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이들 환경도에 도시되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들 중 일부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해당 주차 관리 시스템의 일부가 아닐 수도 있다. 예컨대, 통합 관리 서버(230)는 본 개시에서 설명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의 프로세스(300)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의 로컬 서버(200), 차량(100)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통신 장치(210),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된 차단기(220), 및 통합 관리 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210)는 차량(100)의 도어에 설치된 통신 회로(131)와 제1 무선통신(101a)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 장치(210)는 도어에 설치된 통신 회로(131), 예를 들어 NFC, 비콘,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주차장에 진입하거나 주차장으로부터 진출하려는 차량(100)은 통신 장치(21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있는 위치에서 정차되거나 그 위치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통신 장치(210)는 도시된 바와 달리, 주차장에 포함된 주차면 각각에 설치될 수도 있다.
로컬 서버(200)는 통신 장치(210) 및 차단기(220)와 통신적 및/또는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로컬 서버(200), 통신 장치(210), 및 차단기(220)의 상호 연결은 유선 연결은 물론 무선 연결도 가능하다. 로컬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통합 관리 서버(23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 전화 네트워크, TCP/IP 데이터 네트워크(WAN, LAN, VPN 등을 포함) 및 기타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의 로컬 서버(200),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된 차단기(220), 및 차량(100)에 포함된 디지털 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다른 통신 장치(221)를 포함할 수 있다. 차량(100)이 다른 통신 장치(221)와 통신 연결을 수립할 수 있는 거리만큼 근접하면, 제2 통신 연결(102a)이 수립될 수 있다. 제2 통신 연결(102a)은 Wi-Fi, 블루투스,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다른 통신 장치(221)는 차단기(22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시 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로컬 서버(200)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제, 도 3을 참조하여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다. 이 프로세스(300)는 단계 S301에서 시작한다. 단계 S301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100)(또는, 디지털 키 유닛(12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과 차량(100) 간의 통신 연결은 도 4에 도시된 통신 장치(210)와 차량(100)의 도어에 설치된 근거리 통신을 위한 통신 회로(131)와의 제1 통신 연결(101a), 또는 도 5에 도시된 주차 관리 시스템이 포함하는 통신 회로(421)와 차량(100)과의 제2 통신 연결(102a) 중 하나일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302로 진행된다. 단계 S302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정보의 획득은 단계 S301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과 차량(100)과의 통신 연결(제1 무선통신(101a) 또는 제2 통신 연결(102a))의 수립에 응답하여 수행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차량 정보의 획득은, 주차 관리 시스템과 차량(100)과의 통신 연결이 수립이 감지되면, 이에 따라 주차 관리 시스템의 일 구성(예를 들어, 로컬 서버(200))에 의해 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302를 개시하도록 하는 통신 연결의 수립은 통신 연결 그 자체, 임의의 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 또는 수신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S302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 다음 S303 단계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획득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서버(200)는 획득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차량을 식별하고 식별된 차량이 주차장에 입차한 시간 및/또는 출차한 시간을 기록하여 주차 시간을 확인하고 확인된 주차 시간에 기반하여 주차 요금을 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한 차량 정보가 차량 번호이고 차량 번호로 차량을 식별하여 주차 시간을 기록하거나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로컬 서버(200)는 차량 정보에서 직접적으로 해당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차량 식별자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차량 식별자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을 식별할 수 있는 차량 식별자가 차량 번호인 경우를 상정하면, 차량 정보가 차량 번호가 아닌 다른 고유 정보로서 차량으로부터 제공되고, 로컬 서버(200)는 자체적으로 구비한 데이터베이스에서 고유 정보와 매칭되는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로컬 서버(200)는 차량 정보에서 직접적으로 차량 번호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고유 정보로서 제공된 차량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예를 들어 도 3의 230)에 전송하여, 통합 관리 서버에 구비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고유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번호의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로컬 서버(200)는 통합 관리 서버로부터 차량 번호를 제공받아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로서 차량 번호를 이용하여 설명되나, 차량 번호는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형식의 데이터, 정보, 신호가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 장치(예를 들어, 도 3의 210) 또는 차량에 포함된 디지털 키와 연결하기 위한 다른 통신 장치(예를 들어, 도 5의 221)는 주차장의 입출차로가 아닌, 주차면에 설치될 수 있고, 이 때, 차량으로부터 획득되는 차량 정보는, 주차 위치 확인을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제공될 수 있다.
로컬 서버(200) 또는 통합 관리 서버(230)는 이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이 서버에 등록된 차량인지 여부를 판별하고, 서버에 등록된 차량인 경우 해당 차량과 연계된 이용자의 휴대 전화 번호를 추출하여 해당 이용자의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예를 들어, 도 1의 140)로 입차에 관한 안내 메시지 혹은 모바일 주차권을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다시 말하면, 도 6은 도 4에서 설명된,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S302)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프로세스(600)는 단계 S601에서 시작한다. 단계 S601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100)에게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100)에게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관리 시스템이 차량(100)과 제1 통신 연결(도 4의 101a)이 수립된 경우, 통신 장치(210)가 제1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에게 차량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주차 관리 시스템이 차량(100)과 제2 통신 연결(도 5의 102a)이 수립된 경우, 다른 통신 장치(221)가 제2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에게 차량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602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100)으로부터 수립된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100)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관리 시스템이 차량(100)과 제1 통신 연결(도 4의 101a)이 수립된 경우, 통신 장치(210)가 제1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주차 관리 시스템이 차량(100)과 제2 통신 연결(도 5의 102a)으로 통신 연결이 수립된 경우, 다른 통신 장치(221)가 제2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 단계 S603에서 차량으로부터 수신된 차량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버에 송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장치(210) 또는 다른 통신 장치(221)는 차량(100)으로부터 수신한 차량 정보를 로컬 서버(200)에 송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로컬 서버(200)는 수신한 차량 정보를 통합 관리 서버(230)에 송신할 수 있으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 정보는 로컬 서버(200)를 거치지 않고 통신 장치(210 또는 221)로부터 곧바로 통합 관리 서버(230)에 송신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며,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을 도시한 예시적인 환경도이다.
먼저, 도 8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 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은 주차장의 로컬 서버(200), 차량(100)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통신 장치(210), 주차장의 출입구에 설치된 차단기(220), 차량(100)에 포함된 디지털 키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다른 통신 장치(221) 및 통합 관리 서버(23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210)는 차량(100)이 통신 장치(210)에 대하여 적절한 위치에 위치하면, 차량(100)의 도어에 설치된 통신 회로(131)와 제1 무선통신(101a)을 수립할 수 있고, 다른 통신 장치(221)는 차량(100)과 제2 통신 연결(102a)을 수립될 수 있다.
이제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700)를 설명하기로 한다.
프로세스(700)는 단계 S701에서 시작한다. 단계 S701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통신 장치(210)와 차량(100)의 도어에 설치된 통신 회로(131)와의 제1 통신 연결(101a)을 수립할 수 있다. 통신 장치(210)는 도어에 설치된 통신 회로(131), 예를 들어 NFC, 비콘,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 연결이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주차장의 진출입로에서 차량(100)은 통신 장치(210)와의 통신 연결이 수립될 수 있는 위치에서 정차되거나 그 위치를 통과할 수 있도록 유도될 수 있다.
그 다음 단계 S702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수립된 제1 통신 연결(101a)을 이용하여, 다른 통신 장치(221)와 차량(100) 간의 제2 통신 연결(102a)을 수립할 수 있다. 제2 통신 연결(102a)은 Wi-Fi, 블루투스,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연결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7은 다른 통신 장치(221)는 차단기(220)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실시 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로컬 서버(200)에 구비되거나,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 통신 연결(101a)을 이용하여 제2 통신 연결(102a)을 수립한다는 것은, 제1 통신 연결(101a)을 통하여 제2 통신 연결(102a)의 수립을 위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교환하고 이에 기초하여 차량(100)과 주차 관리 시스템이 제2 통신 연결(102a)을 수립한다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차량(100)과 주차 관리 시스템 사이에 수립된 제1 통신 연결(101a)의 방식이, 차량 정보를 전달하기에 연결 시간이 부족한 경우, 교환 데이터 형식(예를 들어 패킷)이 차량 정보를 교환하기에 적절하지 않는 경우, 일방향 통신 방식인 경우, 차량(100)으로부터 차량 정보의 획득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제1 통신 연결(101a)으로는 차량 정보를 교환하기에 적절한 제2 통신 연결(102a)의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연결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 또는 데이터, 제2 통신 연결(102a)을 수립하라는 명령 신호 중 적어도 하나를 교환할 수 있다. 그 다음, 차량 정보는 2차로 수립되는 제2 통신 연결(102a)을 통해 획득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703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수립된 다른 통신 연결(예를 들어, 제2 통신 연결(102a))을 통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단계 S704에서 획득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한 예시적인 흐름도이다. 도 9에서 설명되는 프로세스는 도 3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된 프로세스들(300, 700)에서 수립된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2, S703)와 획득한 차량 정보를 이용에 기초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303, S704) 사이에 부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는 프로세스이다.
프로세스(900)는 단계 S901에서 시작할 수 있다. 주차 관리 시스템은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302, S703)를 수행한 다음, 차량 정보의 획득이 유효한지 판단할 수 있다. 차량 정보의 획득이 유효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프로세스(900)는 획득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S303, S704)로 곧바로 진행될 수 있다. 차량 정보의 획득이 유효하다고 판단되지 않는 경우, 프로세스(900)는 단계 S902로 진행될 수 있다.
차량 정보의 획득이 유효한지 판단하는 과정은, 차량(100)으로부터 차량 정보 자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와,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하였지만, 수신된 차량 정보가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없는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 관리 시스템과 차량(100)과의 통신 연결이 수립되지 못하는 경우, 통신 연결은 수립되었으나, 기 설정된 시간 내에 차량(100)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수신 받지 못하는 경우가 차량 정보 자체를 수신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수신된 차량 정보가 훼손되어 있거나, 차량을 식별하기 위한 차량 식별자를 포함하지 못하거나, 차량 정보에 접근할 권한이 인증되지 못하는 경우 등이 수신된 차량 정보가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사용될 수 없는 경우로 분류할 수 있다.
단계 S902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촬상 장치로 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5, 및 8을 참조하면, 주차 관리 시스템은 촬상 장치(22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222)는 차단기(220)에 설치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 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촬상 장치(222)는 별도의 장치로서 존재하거나, 통신 장치(2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단계 S903에서 주차 관리 시스템은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획득된 이미지는 차량(100)의 차량 번호판의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고, 차량 정보로서의 차량 번호가 문자 인식 기술(예를 들어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인식 기술)을 통해 획득될 수 있다. 여기에서 획득된 차량 정보는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단계 S303, S704).
본 실시 예는 주차 관리 시스템이 디지털 키를 위한 통신 회로와의 통신 연결을 이용하여 디지털 키가 적용된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고,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키가 적용되지 않은 차량에 대한 차량 정보를 획득할 수 있음으로써, 디지털 키 적용여부에 관계없이 모든 차량에 대한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범용성을 제공한다.
실시 예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먼저 모든 차량에 대하여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를 획득하되, 디지털 키를 위한 통신 회로와의 통신 연결을 통해서는 촬상 장치를 이용하여 획득된 차량 정보의 신뢰도를 확인하도록 구성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프로그램 제품(1000)을 도시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신호 포함 매체(1002)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1000)의 신호 포함 매체(1102)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1106), 기록 가능 매체(1108) 및/또는 통신 매체(111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포함 매체(1102)에 포함된 명령어(1104)는, 예컨대, 도 1 내지 도 9에서 설명되는 차량(100)(또는 헤드 유닛(110)), 로컬 서버(200) 및/또는 통합 관리 서버(230)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어(1004)는 실행되면,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차량에 관한 결제 서비스를 차량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명령어(1004)는 도1 내지 도 8에서 설명된 차량(100), 통신 장치(210), 로컬 서버(200), 및 통합 관리 서버(230)가 수행하는 각종 확인, 분석, 저장, 송신, 수신 동작 등, 본 개시에서 설명된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모든 동작들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서, 디지털 키로서 기능하는 사용자 단말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디지털 키로써 차량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와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차량과의 통신 연결의 수립에 응답하여, 상기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되; 상기 결제 서비스의 제공하기 위해, 상기 차량의 차량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차량정보를 이용하여 서버로부터 상기 차량의 결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결제정보에 기초하여 결제를 처리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DRAM),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시스템을 하드웨어로 구현할 것인지 아니면 소프트웨어로 구현할 것인지는, 일반적으로 비용 대비 효율의 트레이드오프를 나타내는 설계상 선택 문제이다. 본 개시에서는 프로세스, 시스템, 기타 다른 기술들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수단(예를 들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이 있으며, 선호되는 수단은 프로세스 및/또는 시스템 및/또는 다른 기술이 사용되는 맥락(context)에 따라 변경될 것이다. 예를 들어, 구현자가 속도 및 정확성이 가장 중요하다고 결정한다면, 구현자는 주로 하드웨어 및/또는 펌웨어 수단을 선택할 수 있으며, 유연성이 가장 중요하다면, 구현자는 주로 소프트웨어 구현을 선택할 수 있으며; 또는, 다른 대안으로서, 구현자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어떤 결합을 선택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나아가, 본 개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차량 정보의 획득을 위한 통신 장치 및 주차장 관리를 위한 로컬 서버를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차량과 연관된 디지털키와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상기 통신 장치에 포함된 제1 통신 장치 사이의 제1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연결이 수립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장치에 포함된 제2 통신 장치와 상기 차량 사이의 제2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연결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 또는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차량과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제2 통신 연결은 Wi-Fi, 블루투스,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차량과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것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차량에 차량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상기 로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촬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 정보의 획득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상기 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해 상기 획득된 이미지를 상기 로컬 서버에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장 진입 시간 및 진출 시간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이용자 단말에 확인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주차 관리 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방법.
  10. 주차 관리 시스템으로서,
    차량과 연관된 디지털 키와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과 제1 통신 연결을 수립하도록 구성된 제1 통신 장치;
    상기 제1 통신 연결이 수립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과 제2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상기 제2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제2 통신 장치; 및
    상기 차량이 주차되는 주차장의 로컬 서버
    를 포함하며,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통신 연결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 또는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차량과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고, 제2 통신 연결은 Wi-Fi, 블루투스,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상기 차량과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것인,
    주차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차량에 차량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차량으로부터 상기 차량 정보를 수신하고, 그리고 상기 수신된 차량 정보를 상기 로컬 서버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주차 관리 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은 촬상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통신 장치에 의한 상기 차량 정보의 획득이 유효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량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것인,
    주차 관리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차량에 대한 이미지를 상기 로컬 서버에 송신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차량에 대한 이미지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의 차량 정보를 획득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주차 관리 시스템.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장 진입 시간 및 진출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주차 관리 시스템.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차량의 이용자의 단말에 확인된 위치 정보를 송신하여 상기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더 구성되는 것인,
    주차 관리 시스템.
  19. 주차 관리 시스템의 로컬 서버에 의해 실행되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주차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어 차량 정보의 획득을 위한 통신 장치와, 차량과 연관된 디지털키와 통신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회로 사이의 통신 연결을 수립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및
    상기 로컬 서버가 상기 획득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비콘 또는 RFID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제1 통신 장치와 Wi-Fi, 블루투스, 또는 네트워크 사업자가 제공하는 통신망을 이용한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통신 연결을 수립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연결을 수립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상기 차량의 도어에 설치된 안테나를 이용하여 상기 통신 연결을 수립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 및 상기 통신 연결이 수립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차량과 다른 통신 연결을 수립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장치가 상기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다른 통신 연결을 통해 상기 차량으로부터 차량 정보를 획득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90093251A 2019-07-31 2019-07-31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12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51A KR102212673B1 (ko) 2019-07-31 2019-07-31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3251A KR102212673B1 (ko) 2019-07-31 2019-07-31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2673B1 true KR102212673B1 (ko) 2021-02-05

Family

ID=74558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3251A KR102212673B1 (ko) 2019-07-31 2019-07-31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267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7208A (ko) * 2010-02-25 2011-08-31 박해성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차 통합 관제 시스템
JP2012215922A (ja) * 2011-03-31 2012-11-08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カーシェアリング方法
KR101743878B1 (ko) * 2016-07-29 2017-06-0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1146B1 (ko) * 2018-11-22 2019-07-18 이종섭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97208A (ko) * 2010-02-25 2011-08-31 박해성 알에프아이디 스마트키를 이용한 주차 통합 관제 시스템
JP2012215922A (ja) * 2011-03-31 2012-11-08 Japan Research Institute Ltd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カーシェアリング方法
KR101743878B1 (ko) * 2016-07-29 2017-06-07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01146B1 (ko) * 2018-11-22 2019-07-18 이종섭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72515C2 (ru) Управление доступом, используя портативные электронные устройства
KR20190038550A (ko) 확인 및 식별 검사 중 통신 흐름
US20200062215A1 (en) Method for authorizing access to a motor vehicle for use by a third party, and system
JP5707604B2 (ja) 認証方法、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プログラム
KR20220002720A (ko) 차량 액세스 제어 서비스 및 플랫폼
CN108377260B (zh) 展示车辆信息的系统和方法
WO2020082882A1 (zh) 停车收费系统及方法、装置、电子设备
EA038553B1 (ru)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доступом к зоне с ограниченным доступом
JP2011166283A (ja) 電気自動車への給電システム
CN109446767A (zh) 车辆人员身份安全验证方法、设备及系统
JP6401849B1 (ja) 駐車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8737090B (zh) 用于动态车辆密匙生成和处理的方法和设备
JP6324578B1 (ja) 出庫支援システム
US1014701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rowdsourced vehicle identification
KR102084583B1 (ko)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결제를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12673B1 (ko)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01146B1 (ko)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단말 기반 주차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5316771A (ja) 車両及び駐車場管理システム及び車両駐車位置特定方法
KR102490018B1 (ko) 무인 차량 대여 시스템
CN112602299B (zh) 通用个人识别信号
JP2018178619A (ja) 情報システム、車載機器、第一キー、解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00006479A (ko) 차량차단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623535B1 (ko)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US20230267182A1 (en) Extendable Vehicle Electronics System, Extension Module, and Associated Methods
KR102221446B1 (ko) 클라우드를 이용한 무인 주차 관제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