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878B1 -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878B1
KR101743878B1 KR1020160096988A KR20160096988A KR101743878B1 KR 101743878 B1 KR101743878 B1 KR 101743878B1 KR 1020160096988 A KR1020160096988 A KR 1020160096988A KR 20160096988 A KR20160096988 A KR 20160096988A KR 101743878 B1 KR101743878 B1 KR 101743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management service
parking management
service providing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Priority to KR1020160096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8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8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06Q50/3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08G1/0175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by photographing vehicles, e.g. when violating traffic ru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9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coupled to means for restricting the access to the parking space, e.g. authorization, access barriers, indicative ligh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519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0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Bluetooth inte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차량 정보 및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설치된 제 1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 1 차량 소유주의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 및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제 1 차량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고, 상기 제 1 차량이 등록된 차량인 경우, 상기 차단기의 제어부로 제 1 메시지를 송출하여 상기 차단기를 오픈 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는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이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에 근접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의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것이다.

Description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SYSTEM FOR PROVIDING SERVICES OF PARKING MANAGEMENT}
본 발명은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수 및 건물 등이 증가함에 따라, 제한된 공간에 차량을 주차하는 주차장의 수가 증가되었고, 이에 따라 다수의 차량을 주차할 수 있는 대형 주차장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대형 주차장의 경우, 주차장에 진입하는 차량의 관리를 위해 등록된 차량인 경우에만 차단기를 동작시켜 입차를 허용하는 주차 차단기가 널리 활용되고 있다.
종래의 주차 차단기는 차단기에 설치된 리더기가 RFID와 같은 근거리 통신 태그를 인식하여 입차를 허용하기 위해 차단기를 동작시키는 구성으로 등록이 허여된 차량에게만 입차를 허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출입 차량의 입출차 관리는 불가능하므로 효율적인 주차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유료 주차장과 같이 주차장을 단기적으로 이용하는 번호 인식기와 같은 장치가 필요하고, 번호 인식기가 없는 경우 관리 인원이 일일이 확인하여 주차권을 발행하여야 하므로 설치 비용 또는 관리 운용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대형 주차장의 경우, 한정된 국토 면적 때문에 복수의 층으로 구비된 지하 또는 지하 주차장이 주를 이루며, 주차장을 이용하는 차량 소유주는 주차 위치를 망각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어려움이 따른다.
이와 관련되어,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9686호(발명의 명칭: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 및 방법")는 차단바와, 상기 차단바를 회동시키는 모터와,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상기 모터의 신호의 체계로 변환하는 디코딩부를 포함하는 주차차단기; 상기 차단바의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 상기 센서들로부터 입력받은 감지신호를 분석하는 분석부와, 상기 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감지데이터를 통해 상기 차단바가 '승강'상태인지 또는 '하강'상태인지를 포함하는 차단기정보를 생성하는 차단기정보 생성부와, 상기 주차차단기의 디코딩부로 구동명령을 입력하는 모터구동부와, 데이터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주차차단기 제어장치; 상기 주차차단기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차단기정보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관리자 휴대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차단기 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96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통합 주차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차량이 입차 시 차량의 차종 및 번호판을 인식함과 동시에 저전력 블루투스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차단기를 개폐 시키고 주차장에 입차된 차량을 자동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차된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를 차량 소유주의 사용자 단말 또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의 휴대 단말로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는 복수의 차량 정보 및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설치된 제 1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 1 차량 소유주의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 및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제 1 차량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고, 상기 제 1 차량이 등록된 차량인 경우, 상기 차단기의 제어부로 제 1 메시지를 송출하여 상기 차단기를 오픈 시키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는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이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에 근접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의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수신것이다.
한편,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고, 상기 제 1 차량이 등록되지 않은 차량인 경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차종, 차량 번호, 상기 차량 소유주의 휴대폰 번호, 상기 제 1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의 MAC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한다.
또는,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를 상기 제 1 차량의 위치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차량을 소유하는 소유주의 휴대단말로 상기 제 1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전송한다.
이때, 상기 주차정보는 상기 제 1 차량이 주차된 주차 시간정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은 상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에 근접한 제 1 차량 내에 설치된 제 1 사용자 단말 및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 상기 제 1차량의 차종 및 제 1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영상획득 모듈, 및 상기 네트워크 통신모듈 및 영상획득 모듈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이때,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양방향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정보 및 상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제공 단말로 전송한다.
여기서, 네트워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 및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은 카메라 영상 검지 방법, 루프코일을 이용한 방법,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 지자기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레이져를 이용하는 방법, 압력식 센서를 이용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은 차량 내에 구비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과 근접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 및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네트워크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 및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한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 중,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MAC 주소, 상기 사용자 단말이 구비된 상기 차량의 차종, 및 상기 차량 번호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은 USB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USB단자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시가렛잭(Cigarette jack)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차량이 입차 시 차량의 차종 및 번호판을 인식함과 동시에, 저전력 블루투스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을 인식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차량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차단기를 개폐 시킴으로써, 주차장에 입차된 차량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차된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를 차량 소유주의 사용자 단말 또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의 휴대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영상 획득 모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모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100),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 및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를 포함한다. 그러나,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차량 내에 설치되는 사용자 단말(100)은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매체 재생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적용되는 사용자 단말의 블록 구성도이다.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사용자 단말이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100)과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 단말(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저전력 블루투스(Bluetooth low energy) 통신을 이용하여,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과 양방향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은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cation), 송출되는 블루투수 신호의 출력 세기, 및 MAC 주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00)은 무선 통신부(110)의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 또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사용자 단말(100)이 설치된 차량의 차종, 차량 번호, 및 사용자의 휴대폰 번호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사용자 단말(100)의 개폐 상태, 사용자 단말(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사용자 단말(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햅틱 모듈(154) 및 프로젝터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사용자 단말(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이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사용자 단말(100)이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100)은 사용자 입력부(130) 또는 디스플레이(151)의 터치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사용자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사용자 단말(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사용자 단말(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사용자 단말(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사용자 단말(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사용자 단말(100)을 이용하여 이미지 프로젝트(project)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상에 디스플레이되는 영상과 동일하거나 적어도 일부가 다른 영상을 외부 스크린 또는 벽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젝터 모듈(155)은, 영상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빛(일 예로서, 레이저 광)을 발생시키는 광원(미도시), 광원에 의해 발생한 빛을 이용하여 외부로 출력할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영상 생성 수단 (미도시), 및 영상을 일정 초점 거리에서 외부로 확대 출력하기 위한 렌즈(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터 모듈(155)은, 렌즈 또는 모듈 전체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영상 투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치(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 모듈(155)은 디스플레이 수단의 소자 종류에 따라 CRT(Cathode Ray Tube) 모듈,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및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모듈 등으로 나뉠 수 있다. 특히, DLP 모듈은, 광원에서 발생한 빛이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칩에 반사됨으로써 생성된 영상을 확대 투사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터 모듈(151)의 소형화에 유리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로젝터 모듈(155)은, 사용자 단말(100)의 측면, 정면 또는 배면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프로젝터 모듈(155)은,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100)의 어느 위치에라도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메시지, 오디오,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데이터들 각각에 대한 사용 빈도(예를 들면, 각 전화번호, 각 메시지, 각 멀티미디어에 대한 사용빈도)도 함께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사용자 단말(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사용자 단말(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특히, 사용자 단말(100)은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된 포트를 통해, 차량의 전원잭(jack), 시가렛잭(Cigarette jack) 또는 USB포트와 연결되며, 차량이 운행시 자동 충전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 단말(100)은 차량의 전원잭, 시가렛잭, 또는 휴대폰 충전기, USB포트 등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인터페이스부(170)를 통해, 휴대폰 또는 다른 전자기기를 충전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사용자 단말(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사용자 단말(100)이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사용자 단말(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사용자 단말(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영상 획득 모듈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은 영상 획득 모듈(210), 네트워크 통신모듈(220), 및 영상 획득 모듈(210) 및 네트워크 통신모듈(220)을 제어하는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먼저, 영상 획득 모듈(210)은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시스템을 이용한 것일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획득 모듈(210)의 LPR 시스템은 촬영모듈(211), 번호 인식 모듈(212), 및 차량 인식 모듈(2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LPR 시스템이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상호 의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 구성요소가 도 5에 도시된 것과 달리 별도로 또는 통합하여 구현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각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촬영모듈(211)은 차량을 촬영하기 위하여 LPR 시스템에 설치되며, 기 설정된 구간에 위치하는 차량을 촬영하여 원영상을 생성한다. 촬영모듈(211)에 의하여 촬영된 원영상에는 차량과 차량의 번호판이 촬영되어 있으며, 원영상은 번호 인식 모듈(212)로 전달되어 차량의 번호판 인식에 이용되고, 차량 인식 모듈(215)로 전달되어 차량의 종류 인식에 이용된다.
촬영모듈(211)은 x축, y축, z축 방향으로 각각 틸팅할 수 있는 틸팅장치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촬영모듈(211)은 지정된 x, y 좌표로 카메라를 회전시켜 차량에 대해 줌인(zoom-in) 영상 또는 줌아웃(zoom-out)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구성을 갖고 있다.
촬영모듈(211)은 어안렌즈(Fisheye Lens)가 장착된 카메라를 사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넓은 화각을 갖는 어안렌즈를 사용하면 촬영모듈(211)을 중심으로 전방위(360˚) 영역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촬영모듈(211)은 CCD 센서 또는 CMOS 센서를 장착하고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CD 센서를 이용한다. CCD형 이미지 센서와 CMOS형 이미지 센서는 공통적으로 빛을 받아들여 전기신호로 전환하는 수광부를 가지고 있다. CCD형 이미지 센서는 전기신호를 CCD를 통해 전달하며 마지막 단계에서 전압으로 변환을 하게 된다. 반면 CMOS형 이미지 센서는 각 픽셀에서 전압으로 신호를 변환하여 외부로 전달한다. 즉, CCD형 이미지 센서는 빛에 의해 발생한 전자를 그대로 게이트 펄스를 이용하여 출력부까지 이동시키며, CMOS형 이미지 센서는 빛에 의해 발생한 전자를 각 픽셀 내에서 전압으로 변환한 후에 픽셀 수만큼의 CMOS 스위치를 통해 출력하는 차이점이 있다.
CCD형 이미지 센서는 그 신호처리방식에 의하여 스미어 현상이 발생되기도 한다. 상기 스미어 현상은 광원이나 조명등의 강한 반사광을 촬영했을 때 화면의 수직으로 한 줄의 선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주로 고속셔터를 사용할 때 많이 나타나며, 광원과 같이 매우 밝은 물체를 촬영할 때 흔히 볼 수 있다. CCD형 이미지 센서는 한셀에 하나의 빛만이 존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셀간의 반사 현상과 간섭 현상 등이 영향을 미쳐 한 셀에 저장할 수 있는 전하량이 흘러 넘치는 경우 스미어 현상이 발생된다.
스미어 현상은 고속 셔터 설정인 경우 빛의 노출에 따라 이미지 센서에 저장 또는 전송하기 위한 버퍼 영역에서 쉽게 발생된다. CCD의 고속 셔터는 CCD의 노출시간이 카메라 몸체의 셔터를 통해서 이루어지고, 동조속도 이상의 셔터속도에서 CCD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노출을 조절한다. CCD의 전자 셔터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경우 카메라 몸체의 셔터가 열려 있다면, 포토다이오드에는 계속 빛이 입사되어 저장된 공간에서 전하가 넘치게 되고, 종 배열로 구성된 CCD의 전하를 읽어낸다면 넘치는 전하들로 인해 밝은 줄이 생겨나게 됨으로써 스미어 현상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렇게 발생된 스미어 현상은 촬영된 이미지를 왜곡하고, 차량 검지 혹은 단속하는 시스템에서 차량 형태파악, 차량의 번호인식을 방해하는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LPR 시스템의 번호 인식 모듈(212)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판별부(213), 영상 처리부(2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판별부(213)는 원영상과 관련된 판별인자에 기초하여 촬영모듈(211)에서 생성된 원영상을 저조도 영상, 고조도 영상 및 미처리 영상 중 하나로 분류한다. 여기서, 원영상과 관련된 판별인자는 그레이 스케일(Gray Scale)로 변환된 원영상의 빛의 강도(Intensity)이다.
구체적으로, 원영상의 빛의 강도가 소정의 임계치보다 높은 경우, 판별부(213)는 원영상을 미처리 영상으로 분류한다. 원영상의 빛의 강도가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에는, 원영상의 빛의 강도에 따라 원영상을 저조도 영상 및 고조도 영상 중 하나로 분류한다. 즉, 원영상의 빛의 강도가 기 설정된 제 1 수치 이하이면 원영상은 저조도 영상으로 분류되고, 원영상의 빛의 강도가 제 1 수치보다 높으면 원영상은 고조도 영상으로 분류된다.
한편, 영상 처리부(214)는 저조도 영상이나 고조도 영상으로 분류된 원영상의 영상을 개선한다. 영상 처리부(214)에는 저조도 영상으로 분류된 원영상을 대상으로 하는 저조도 영상 처리부(214a)와 고조도 영상으로 분류된 원영상을 대상으로 하는 고조도 영상 처리부(214b), 영상을 복원하는 영상 복원부(214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조도 영상 처리부(214a)는 원영상이 저조도 영상으로 분류된 경우, 개선된 절단 히스토그램 평활화(Advanced Clipped Histogram Equalization: A_CHE) 방식을 이용하여 원영상으로부터 보정영상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개선된 절단 히스토그램 평활화 방식에 따르면, 원영상에 대한 적응적 절단비율을 결정하고, 결정된 적응적 절단비율에 따라 원영상의 히스토그램의 상단영역이 제거된 절단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며, 상단영역 중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여 절단 히스토그램에 재할당하게 된다.
단, LPR 시스템을 이용하는 방식은 전술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출원번호 1020150057097, 1020060035180, 1020150050779, 1020040069107, 1020040100238, 1020070087392, 1020130103651, 1020130047465, 1020150032491, 1020140151298, 1020140001336, 1020130130131, 1020130109702, 1020130099774, 1020130057752, 1020130012960, 1020080043838, 1020070007861, 1020100015924의 내용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은 네트워크 통신 모듈(220)을 포함하며, 네트워크 통신모듈(220)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송출되는 저전력 블루투스 신호를 수신하고 양방향 통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통신모듈(220)은 사용자 단말의 무선통신부(110)와 마찬가지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과 사용자 단말(100) 사이 또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과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 통신모듈(220)은 무선 인터넷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은 근거리 통신 모듈 중,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00)이 송출하는 블루투스신호를 수신한다.
프로세서(230)는 영상 획득 모듈(210) 및 네트워크 통신모듈(220)을 제어하며, 도시되지 않았으나, 신호처리부 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신호처리부는 네트워크 통신모듈(220)을 통해 수신된 블루투스 신호를 파싱하여, 사용자 단말(100)의 UUID(Universally Unique Identification), 및 MAC 주소를 추출한다.
따라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제어부(230)는 영상 획득 모듈(210)로부터 인식된 사용자 단말(100)이 장착된 차량의 차량 인식정보, 사용자 단말(100)의 UUID, MAC주소, 및 사용자 단말(100) 또는 인식된 차량의 위치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에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은 도 2의 200a a및 20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획득 모듈(210) 및 네트워크 통신모듈(220)이 별도로 각각 구성된 별도의 단말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a)은 영상 획득 모듈(210)하고, 제 2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b)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22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10)이 적용되는 주차장은 해당 주차장이 복수의 구역으로 나뉘고, 각 구역의 기둥면 각각에 제 2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b)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차량이 해당 구역에 근접하는 경우, 해당 구역에 설치된 제 2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b)이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과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UUID) 또는 MAC 주소를 획득할 수 있다. 이어서, 제 2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b)는 획득한 사용자 단말(100)의 식별정보(UUID) 또는 MAC 주소와 함께, 제 2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b)의 식별정보를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메모리(310), 네트워크 통신모듈(320) 및 프로세서(330)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도 6에 도시된 구성에 제한 되는 것은 아니며,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먼저, 메모리(310)에는 복수의 차량 정보 또는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100) 정보 및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모듈(320)을 통해,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100)이 장착된 차량의 차종 및 차량 번호를 포함하는 차량의 인식 정보 및 해당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식별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30)는 수신된 차량의 인식 정보를 메모리(310)에 저장된 차량 정보와 매칭시키고, 차량의 인식 정보가 메모리(310)에 저장된 차량 정보 중 어느 하나와 매칭되는 경우, 제어메시지를 차단기(400)의 제어부(40)로 송출하여 차단기(400)를 오픈시킬 수 있다.
반면,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로부터 수신된 차량의 인식정보가 메모리(310)에 저장된 차량 정보와 매칭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 단말(100)의 디스플레이(151)로 해당 차량의 등록을 위한 메시지를 출력하도록 하여, 사용자 단말(100)로부터 해당 사용자 단말(100)이 설치된 차량의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310)에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300)은 수신한 차량의 정보 및 사용자 정보를 웹서버(미도시됨)로 전송하거나, 웹페이지를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해당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수신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차량이 어느 위치에 주차되었는지 위치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서(330)는 위치 정보 및 해당 차량의 주차 정보가 포함된 제 2 메시지를 해당 차량 내에 사용자 단말(100) 또는 해당 차량을 소유한 사용자의 휴대단말로 전송한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시스템의 주차관리 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주차관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은,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로부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 인식된 차량정보 및 차량에 설치된 제1 사용자 단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0);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단말의 위치 검출하는 단계(S200); 수신된 차량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이 등록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고 제 1 사용자 단말이 등록된 단말인 경우, 차단기를 오픈시키는 제 1 메시지를 차단기 제어부로 송출하여 입차 또는 출차를 허가하는 단계(S410);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고 제 1 사용자 단말이 등록되지 않은 단말인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을 등록하는 단계(S420); 및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지 않은 경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위치를 인식된 차량의 위치로 판별하고 제 1 사용자 단말 또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의 휴대단말로 차량의 위치 및 주차정보를 전송하는 단계(S430)을 포함한다.
먼저,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 통신 모듈(320)을 통해,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로부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식별정보, 인식된 차량정보 및 차량에 설치된 제1 사용자 단말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인식된 차량정보 및 차량에 설치된 제1 사용자 단말정보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이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에 근접한 차량 내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과 저전력 블루투스 양방향 통신을 통하여 수신된 정보이다(S100).
이어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프로세서(330)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를 통해, 해당 단말의 위치 검출하는 단계(S200); 및 수신된 차량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이 등록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0)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서버(300)의 메모리(310)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와 차량정보와 해당 차량에 설치된 사용자 단말정보 등이 기 저장된다.
따라서, 프로세서(330)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식별정보를 메모리(310)에 기저장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 별 위치정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에 매칭시켜,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이 어느 위치에 설치된 것인지 판별할 수 있다(S200).
또한, 프로세서(330)는 수신된 차량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정보에 기초하여, 차량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이 등록된 단말인지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300).
이후, 프로세서(330)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위치가 차단기(400)와 근접하고 제 1 사용자 단말(100)이 등록된 단말인 경우, 차단기를 오픈시키는 제 1 메시지를 차단기 제어부(410)로 송출하여 입차 또는 출차를 허가할 수 있다(S410).
한편, 프로세서(330)는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위치가 차단기(400)와 근접하나, 제 1 사용자 단말(100)이 등록되지 않은 단말인 경우, 제 1 사용자 단말의 등록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제 1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고, 해당 차량의 차종, 차량 번호, 차량 소유자의 개인 정보 등을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 및 등록한다(S420)
또는,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위치가 차단기(400)와 근접하지 않은 경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의 위치를 인식된 차량의 위치로 판별하고 제 1 사용자 단말 또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의 휴대단말로 차량의 위치 및 주차정보를 전송한다 (S430). 예를 들어, 차단기(400)와 근접하지 않은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200)에 제 1 차량이 근접하는 경우, 제 1 차량은 등록된 차량이다. 즉,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300)의 메모리에 제 1 차량 정보 및 제 1 차량에 설치된 제 1 사용자 단말정보가 이미 저장된 상태로,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300)는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제 1 차량의 차종 및 차량 번호, 또는 제 1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MAC 주소 중 어느 하나의 정보를 이용하여, 제 1 차량과 매칭되는 제 1 사용자 단말, 제 1 차량의 소유주의 개인 정보 등을 추출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통신모듈(310)을 통해, 제 1 차량의 주차된 위치 및 주차된 시간 등에 관한 정보를 제 1 차량의 소유주의 휴대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차량이 입차 시 차량의 차종 및 번호판을 인식함과 동시에, 저전력 블루투스 비콘 기술을 이용하여 해당 차량을 인식함으로써 더욱 정확하게 차량을 인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자동으로 차단기를 개폐 시킴으로써, 주차장에 입차된 차량을 자동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입차된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위치를 차량 소유주의 사용자 단말 또는 해당 차량의 소유주의 휴대 단말로 전송함으로써, 주차장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주차된 차량의 위치를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재소자의 위치를 설치된 카메라 또는 영상 센서의 IP 또는 및 Mac Address(고유값) 형태로 관리되기 때문에, 어느 위치 변화에서도 재소자의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교정시설 이외의 시설(법원, 외래 진료 및 입원, 및 타 교정시설의 호송 등)까지도 포함된 통합적인 이력 현황 관리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사용자 단말
200: 통합 서비스 제공 단말
300: 통합 서비스 제공 서버
400: 차단기

Claims (16)

  1.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있어서,
    복수의 차량 정보 및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상기 복수의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 중,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이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에 근접한 제 1 사용자 단말과의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설치된 제 1 차량의 위치정보를 제 1 차량 소유주의 휴대단말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통신모듈 및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기저장된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제 1 차량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고, 상기 제 1 차량이 등록된 차량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차단기의 제어부로 제 1 메시지를 송출하여 상기 차단기를 오픈 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지 않은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를 상기 제 1 차량의 위치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차량을 소유하는 소유주의 휴대단말로 상기 제 1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고, 상기 제 1 차량이 등록되지 않은 차량인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차종, 상기 제 1 차량 번호, 상기 제 1 차량 소유주의 휴대폰 번호,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의 MAC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고,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1 차량의 차종, 상기 제 1 차량 번호, 상기 제 1 차량 소유주의 휴대폰 번호,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MAC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정보는
    상기 제 1 차량이 주차된 주차 시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은
    상기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에 근접한 제 1 차량 내에 설치된 제 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와 통신하는 제 2 네트워크 통신모듈,
    상기 제 1 차량의 차종 및 상기 제 1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는 제 2 영상획득 모듈, 및
    상기 제 2 네트워크 통신모듈 및 상기 제 2 영상획득 모듈을 제어하는 제 2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양방향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수행하여,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 1 사용자 단말정보 및 상기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를 상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 및 무선 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며,
    상기 무선 통신모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획득 모듈은
    카메라 영상 검지 방법, 루프코일을 이용한 방법, 초음파를 이용한 방법, 지자기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방법, 레이져를 이용하는 방법, 압력식 센서를 이용한 방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상기 제 1 차량 내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과 근접한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 및 상기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와 통신하는 제 3 네트워크 통신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3 네트워크 통신모듈은
    근거리 통신모듈 및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근거리 통신모듈 중,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MAC 주소,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이 구비된 상기 제 1 차량의 차종, 및 차량 번호 중 어느 하나를 전송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USB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USB단자를 통해, 상기 차량의 시가렛잭(Cigarette jack)에 연결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은
    복수의 USB 단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USB 단자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전자 기기의 충전 기능을 제공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서버.
  12.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의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 중,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이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에 근접한 제 1 사용자 단말과의 저전력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수신한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단말의 식별정보를 메모리에 기저장된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정보를 메모리에 기저장된 차량정보와 매칭시켜, 상기 제 1 차량의 등록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고, 상기 제 1 차량이 등록된 차량인 경우, 상기 차단기의 제어부로 제 1 메시지를 송출하여 상기 차단기를 오픈 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지 않은 경우,
    상기 차단기를 오픈 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를 상기 제 1 차량의 위치로 인식하고, 상기 제 1 차량을 소유하는 소유주의 휴대단말로 상기 제 1 차량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주차정보를 전송하는 것이고,
    상기 검출된 제 1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단말의 위치가 차단기와 근접하고, 상기 제 1 차량이 등록되지 않은 차량인 경우,
    상기 차단기를 오픈 시키도록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 1 차량의 차종, 상기 제 1 차량 번호, 상기 제 1 차량 소유주의 휴대폰 번호,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제 1 사용자 단말의 MAC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이고,
    웹페이지를 통해,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제 1 차량의 차종, 상기 제 1 차량 번호, 상기 제 1 차량 소유주의 휴대폰 번호,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및 상기 제 1 사용자 단말의 MAC주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검색할 수 있는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정보는
    상기 제 1 차량이 주차된 주차 시간정보를 더 포함하는 것인,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방법.
  16. 삭제
KR1020160096988A 2016-07-29 2016-07-29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1743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988A KR101743878B1 (ko) 2016-07-29 2016-07-29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6988A KR101743878B1 (ko) 2016-07-29 2016-07-29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3878B1 true KR101743878B1 (ko) 2017-06-07

Family

ID=5922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988A KR101743878B1 (ko) 2016-07-29 2016-07-29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8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342B1 (ko) * 2017-12-19 2018-05-17 김항중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위반 차량 단속 방법
CN110062024A (zh) * 2019-03-14 2019-07-2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车载终端的车辆控制方法及装置
KR20200004477A (ko) * 2018-07-03 2020-01-14 (주) 하나텍시스템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874931A (zh) * 2018-08-29 2020-03-10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识别车辆车牌的方法、系统及装置
CN110874935A (zh) * 2018-08-29 2020-03-10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识别车辆车牌的方法、系统及装置
KR102212673B1 (ko) * 2019-07-31 2021-02-05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53B1 (ko) * 2010-10-29 2012-04-04 주식회사 비티컴퍼스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광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5153B1 (ko) * 2010-10-29 2012-04-04 주식회사 비티컴퍼스 주차 관리 시스템의 전광판을 이용한 정보 제공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9342B1 (ko) * 2017-12-19 2018-05-17 김항중 장애인 전용 주차 구역 위반 차량 단속 방법
KR20200004477A (ko) * 2018-07-03 2020-01-14 (주) 하나텍시스템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090203B1 (ko) 2018-07-03 2020-03-18 (주)하나텍시스템 주차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N110874931A (zh) * 2018-08-29 2020-03-10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识别车辆车牌的方法、系统及装置
CN110874935A (zh) * 2018-08-29 2020-03-10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识别车辆车牌的方法、系统及装置
CN110874931B (zh) * 2018-08-29 2021-06-15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识别车辆车牌的方法、系统及装置
CN110874935B (zh) * 2018-08-29 2021-09-17 北京万集科技股份有限公司 识别车辆车牌的方法、系统及装置
CN110062024A (zh) * 2019-03-14 2019-07-26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车载终端的车辆控制方法及装置
CN110062024B (zh) * 2019-03-14 2022-08-12 西安艾润物联网技术服务有限责任公司 一种基于车载终端的车辆控制方法及装置
KR102212673B1 (ko) * 2019-07-31 2021-02-05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차량용 디지털 키를 이용한 주차 관리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878B1 (ko) 통합 주차관리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20120049588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691312B1 (ko) 주차지역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101575159B1 (ko) 주차 정보 제공을 위한 모바일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의 동작방법
KR2012005186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메타데이터 설정 방법
KR201400082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1563542B1 (ko)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주차 정보 제공 시스템
CN110311976B (zh) 服务分发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1998052B1 (ko) 빅데이터 기반 객체 인식을 이용한 전방위 카메라 1대 다면 주차장 관리 시스템 및 관리방법
KR101802498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 터치 패턴 인식에 따른 지도 위치 검색 방법
KR102355855B1 (ko) 각 Vid-Fence 별 이벤트 룰 및 서비스 설정을 통한 객체 추적 및 서비스 실행 시스템
KR2012007613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101986463B1 (ko) 주차유도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271894B1 (ko) 전방위 카메라를 이용한 지능형 led조명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20062165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302619B1 (ko) 장애인 주차 구역 위반 단속 방법 및 시스템
US11751060B2 (en) Identity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KR2013004391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이를 위한 기록매체
KR20120076147A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200494836Y1 (ko) 비접촉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주차요금 무인정산 시스템
KR101604698B1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N110717365B (zh) 一种获取图片的方法及装置
KR10163891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것의 영상 디스플레이 방법
KR101495793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에서의 화면 표시 제어 방법
KR101781863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