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3535B1 -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Google Patents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3535B1
KR102623535B1 KR1020230087010A KR20230087010A KR102623535B1 KR 102623535 B1 KR102623535 B1 KR 102623535B1 KR 1020230087010 A KR1020230087010 A KR 1020230087010A KR 20230087010 A KR20230087010 A KR 20230087010A KR 102623535 B1 KR102623535 B1 KR 102623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vehicle
parking lot
user
phot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은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도트
이화진
구은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도트, 이화진, 구은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도트
Priority to KR1020230087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35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3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35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 G08G1/141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 G08G1/144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indicating individual free spaces in parking areas with means giving the indication of available parking spaces on portable or mobile units,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3Querying
    • G06F16/90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G06V20/625License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ultimedia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중앙 서버에서 수행되는 주차 위치 결정 방법이 설명된다. 주차 위치 결정 방법은 주차 결정 단계; 사진 요청 단계; 사진 수신 단계; 사진 분석 단계; 차량번호 결정 단계; 주차장 이용 확인 단계; 및 주차 위치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DEVICE,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O DETERMINE PARKED LOCATION IN A PARKING LOT}
본 개시는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언급하지 않으면 본 섹션에서 기술되는 내용은 본 출원에서의 청구범위의 선행 기술이 아니며, 본 섹션에 기재하였다는 이유로 선행 기술로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대형 마트나 복합 쇼핑몰에 부속된 대형 주차장에 차량을 주차하는 경우, 차량 이용자는 종종 자신의 차량의 주차 위치를 찾지 못하고 헤매는 경우가 있다. 최근의 대형 주차장들은 각 주차 위치마다 카메라를 설치하여 카메라로 촬영한 차량번호판 이미지로부터 차량번호판 인식 기술을 통해 주차 차량의 번호를 추출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한 주차장에서는 차량번호 조회를 위한 키오스크를 설치하여, 차량 이용자로 하여금 이 키오스크에서 자신의 차량번호를 입력하여 주차 위치를 검색 가능하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차량번호의 오인식 또는 미인식이 종종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시스템을 믿고서 자신의 주차 위치를 기억하지 않은 차량 이용자가 주차 위치를 찾는 데에 곤혹을 치르는 경우가 발생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 및 키오스크가 설치되지 않은 주차장에서는 여전히 차량 이용자가 주차 위치를 찾기에 불편할 수 있으며,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62458호에서는 운전자와 같은 사용자가 차량을 주차장에 주차한 이후, 차량에서 내리고, 주차한 차량의 주변에 위치하여 주차장의 특정 위치에 부착된 소정의 이미지를 촬영하면, 촬영된 이미지의 회전각과 거리에 기초하여, 주차 위치를 추정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선행특허문헌은 차량에 별도의 장비나 구성을 설치할 필요 없이, 사용자는 주차장의 특정 이미지를 촬영하는 것만으로 주차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주차장이나 차량번호를 잘못 기억하여, 여전히 차량의 주차 위치를 찾는 것에 어려움을 느낄 가능성이 있다.
본 개시는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차량의 실제 주차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가 주차장을 알지 못하는 경우에도 차량의 위치를 찾을 수 있도록 차량의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 장치,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를 제시한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주차 위치 결정 방법이 설명된다. 예시적인 주차 위치 결정 방법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중앙 서버에서 수행될 수 있다. 주차 위치 결정 방법은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알림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주차 결정 단계; 주차 결정 단계에 응답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을 모바일 장치에 송신하는 사진 요청 단계; 사진 요청 단계에 응답하여, 모바일 장치로부터, 주차장 내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하는 사진 수신 단계; 주차 연관 사진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진 분석 단계;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는 차량번호 결정 단계;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장 이용 확인 단계; 및 주차장 이용 확인 단계에서 차량번호가 차량에 매칭한다고 결정한 경우, 주차 위치 정보를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키는 주차 위치 결정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주차 알림은 모바일 장치가 차량의 주차를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송신된 것이거나,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송신된 것일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주차장 이용 확인 단계는 주차장의 로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차량번호를 질의하는 단계 또는 주차장의 로컬 서버에 연결된 내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결정된 차량번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추가적인 예시에서, 주차 위치 결정 방법은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차량의 차량번호를 수신하는 외부 요청 접수 단계; 및 외부 요청 접수 단계에 응답하여, 주차 위치 정보 및 주차 위치 정보에 연동된 주차장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주차 데이터를 외부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는 주차 데이터 제공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추가적인 예시에서, 주차 위치 결정 방법은 결정된 주차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사용자의 주차장 내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주차장 안내 단계를 더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주차 위치 결정 장치가 설명된다. 예시적인 주차 위치 결정 장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 및 와 상기 주차장과 연관된 로컬 서버와 통신 가능하게 동작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알림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주차 결정 동작; 주차 결정 동작에 응답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을 상기 모바일 장치에 송신하는 사진 요청 동작; 사진 요청 동작에 응답하여, 모바일 장치로부터, 주차장 내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하는 사진 수신 동작; 주차 연관 사진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진 분석 동작;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는 차량번호 결정 동작;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 및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에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에 매칭한다고 결정한 경우, 주차 위치 정보를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키는 주차 위치 결정 동작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 내에 주차된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주차 위치 결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설명된다. 예시적인 주차 위치 결정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알림을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주차 결정 동작; 주차 결정 동작에 응답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을 모바일 장치에 송신하는 사진 요청 동작; 사진 요청 동작에 응답하여, 모바일 장치로부터, 주차장 내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하는 사진 수신 동작; 주차 연관 사진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진 분석 동작;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는 차량번호 결정 동작;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 및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에서 차량번호가 차량에 매칭한다고 결정한 경우, 주차 위치 정보를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키는 주차 위치 결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의 간단한 요약 및 효과에 관한 설명은 단순히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개시에서 의도한 기술적 사항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함으로써,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들과 기술적 특징들에 더하여, 추가적인 실시예와 기술적 특징들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전술한 특징들 및 기타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충분히 분명해질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은 본 개시에 따르는 단지 몇 가지의 실시예만을 도시한 것이고, 따라서 그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되는 것을 이해하면서, 본 개시는 첨부된 도면의 사용을 통하여, 더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 위치가 결정되는 예시적인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환경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주차 위치 결정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주차 위치 결정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른 주차 데이터를 외부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는 추가적인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 위치를 결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구현예 및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현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주차장에 주차된 차량의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시스템, 방법, 장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및 이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에서, "주차장"은 펜스, 벽, 경계선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의하여 경계지어지고, 주차장으로의 진출입이 관리되는 통상의 주차 시설뿐만 아니라 물리적인 경계 없이 개념적으로만 분리되어 관리되는 노상 주차장도 포함하는 포괄적인 의미의 주차장을 지칭한다. 또한, "주차장 내"라는 용어는 주차장으로 정의되는 공간의 내부뿐만 아니라, 주차장과 연관되는 것으로 볼 수 있는 주차장 시설의 근방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차량은 주차장을 이용하기 위하여 주차장에 진입하거나 주차장의 이용을 마치고 주차장으로부터 진출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 위치가 결정되는 예시적인 환경을 설명하기 위한 환경도이다. 도 1a는 예시적인 환경에서 주차 위치 결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100)을 도시하고, 도 1b는 사용자(122)가 차량(124)을 주차장(110)에 주차하는 예시를 나타낸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100)은 사용자(122)의 차량(124), 사용자(122)의 모바일 장치(120), 주차장(110)을 관리하는 로컬 서버(130) 및 중앙 서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시스템(100)은 외부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모바일 장치(120)는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휴대 전화기,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특정 용도 장치 또는 상기 기능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하는 융합 장치와 같은 소형 폼팩터 휴대용(모바일) 전자 장치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부 선택적인 예시에서, 모바일 장치(120)는 차량(124)과 근거리 무선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선택적인 일부 예시에서, 모바일 장치(120)는 예컨대, 블루투스(Bluetooth), 와이파이(WiFi), 지그비(Zig 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20)는 또한, 네트워크를 통하여 중앙 서버(140)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20)와 중앙 서버(140) 간의 통신을 수립하는 네트워크는, 예컨대, 위성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네트워크, 5세대 통신 네트워크, WiMax(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한다.
중앙 서버(140)는 단일 컴퓨팅 장치와 같은 독립형 서버,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팜(server farm), 분산형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 구성 및 기타 데이터 송수신 기능, 데이터 식별 기능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춘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로컬 서버(130) 및/또는 외부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15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와 서버(130, 150) 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 전화 네트워크, TCP/IP 데이터 네트워크(WAN, LAN, VPN 등을 포함) 및 기타 통신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122)는 모바일 장치(120)를 가지고 차량(124)에 탑승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12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개시에 따른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이하, "어플리케이션"이라 함)을 구동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사용자(122)는 중앙 서버(140)의 운용자에 의해 운용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모바일 장치(120)에 설치할 수 있으며, 해당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중앙 서버(140)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의 사용자로서 등록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사용자(122)를 포함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예컨대, 멤버십 식별자, 패스워드, 해당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차량번호를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122)는 주차장(110)에 차량(124)을 주차하기 위하여, 차량(124)을 운전하여 주차장(110)에 진입할 수 있다. 차량(124)이 주차장(110)에 진입하기 위해, 주차장(110)의 입구에 설치된 차단 장치(112)를 통과하는 경우, 차단 장치(112)에 설치된 카메라와 같은 식별 장치는 잘 알려진 차량번호 인식(License Plate Recognition; LPR) 기법을 이용하여, 차량(124)의 차량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 차단 장치(112)는 식별된 차량번호를 주차장(110)의 로컬 서버(13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구현예에 따라, 식별된 차량번호를 주차장(110)의 진입 시각과 함께 저장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로컬 서버(130)는 식별된 차량번호를 차량(124)의 주차장(110)으로의 진입 시각과 함께 내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거나 중앙 서버(140)와 연관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중앙 서버(140)로 전송할 수 있다. 차단 장치(112)가 차량번호를 인식하여 로컬 서버(130)로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차단 장치(112)가 설치되지 않은 주차장의 경우에는 소정의 카메라나 인식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예시에서, 차량(124)이 차단 장치(112)를 통과하여 주차장(110) 내에 진입하는 경우 또는 차량(124)이 주차장(110)이 있는 좌표에 도달하거나 미리 정해진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등과 같이 차량(124)이 주차장(110)을 이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사용자(122)의 모바일 장치(120)는 차량(124)의 주차를 감지하기 위한 예비 동작을 수행하거나 차량(124)이 주차되었다는 입력 또는 신호를 수신하는 것을 대기할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122)는 차량(124)을 주차면(116) 상에 주차하고, 차량(124)의 시동을 끌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120)는 차량(124)이 주차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차량(124)이 주차되면, 모바일 장치(120)는 차량(124)의 주차를 감지하여 차량(124)이 주차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차량(124)은 시동이 켜져 있는 동안 근거리 통신 신호,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120)는 차량(124)의 시동이 켜져있는 동안 차량(124)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근거리 통신 신호, 예컨대, 블루투스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모바일 장치(120) 차량(124)으로부터의 근거리 통신 신호를 계속해서 모니터링하거나 차량(124)에 근거리 통신을 수립할 수 있다. 일부 선택적인 예시에서, 모바일 장치(120)는 차량(124)이 주차장(110)에 진입한 것에 응답하여, 차량(124)으로부터의 근거리 통신 신호를 이용한 모니터링 또는 통신 수립을 개시할 수 있다. 이후, 차량(124)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 차량(124)으로부터 생성되는 근거리 통신 신호 또한 브로드캐스트되지 않을 수 있다. 모바일 장치(120)는 차량(124)로부터의 근거리 통신 신호가 끊기는 이벤트에 응답하여, 차량(124)이 주차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124)의 시동이 꺼지는 경우, 모바일 장치(120)는 모니터링하고 있는 근거리 통신 신호가 없다는 사실을 감지하거나 수립된 근거리 통신이 해제되는 이벤트를 감지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시에서, 차량(124)의 시동이 꺼지면, 차량(124)에 설치된 소정의 통신 단말이 주차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120)는 이러한 주차 신호를 차량의 통신 단말로부터 수신하고, 이러한 수신에 응답하여 차량(124)의 주차를 감지할 수 있다. 모바일 장치(120)가 차량(124)이 주차되었음을 감지하는 것은 사용자(122)와 모바일 장치(120)가 차량(124)에 내부에 있을 때 수행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122) 및 모바일 장치(120) 중 적어도 하나가 차량(124)의 외부에 있을 때 수행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점에서, 도 1b가 사용자(122)와 모바일 장치(120)가 차량(124)의 외부에 있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이는 각 구성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전술한 바와 같은 차량의 주차 감지는 모바일 장치(120)가 차량(124)의 내부에 있을 때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통상의 기술자는 도 1b가 본 개시의 실시예를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이해할 것이다.
추가적이거나 대안적인 일부 실시예에서, 차량(124)이 주차되면, 사용자(122)는 차량(124)이 주차되는 경우, 모바일 장치(120)에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수동으로 입력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120)는 사용자(122)로부터 입력을 받으면 차량(124)이 주차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도 1a로 돌아가, 모바일 장치(120)는, 차량(124)이 주차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차량(124)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알림을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중앙 서버(140)에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모바일 장치(120)로부터 주차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주차 알림의 수신에 응답하여, 차량(124)의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 예컨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모바일 장치(120)에 송신할 수 있다. 이러한 메시지는 모바일 장치(120) 상에서 구동되는 어플리케이션 상의 푸시 메시지, 팝업 메시지 등과 같은 메시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나, 다른 유형의 인스턴트 메신저 어플리케이션 상의 메시지인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모바일 장치(120)는 주차 알림의 송신에 응답하여,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을 서버(140)로부터 수신할 수 있으며,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122)는 모바일 장치(120)를 이용하여, 차량(124)의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102)을 촬영할 수 있다. 도 1a에서는 일 예시적인 사진(102)이 도시된다. 예시적인 사진(102)은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특징(114)을 포함할 수 있다. 특징(114)은 예컨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 기둥 상에 표시된 주차 구역의 식별자, 인코딩된 코드(예컨대, QR 코드, 바코드 등), 기타 식별 가능한 표지를 포함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현예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분석 기법에 따라 주차장(110) 내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이 사진(102)에 포함되면 충분하다.
한편, 도 1a의 예시에서는 사용자(122)자에 의해 사진(102)에 차량(124)이 포함되도록 촬영되었으나, 이용되는 이미지 분석 기법에 따라, ,사진(102)에 차량(124)이 포함되지 않아도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후, 모바일 장치(120)는 촬영된 사진(102)을 주차 연관 사진으로서, 중앙 서버(140)에 전송하며, 중앙 서버(140)는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주차장(110)을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주차장, 각 주차장 내 하나 이상의 주차 구역, 하나 이상의 주차 구역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주차면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거나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140)는 수신된 주차 연관 사진(102)을 분석하여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차 연관 사진의 분석에는 잘 알려진 다양한 이미지 분석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서버(140)는 주차 연관 사진으로부터 주차장(110) 내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차 구역의 식별자, 인코딩된 코드(예컨대, QR 코드, 바코드 등), 기타 식별 가능한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시에서, 주차장(102) 내 촬영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 예컨대, 기둥의 위치, 주차장(110) 내 소정의 시설물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추가적이거나 대안적인 일부 예시에서, 서버(140)는 식별된 표지 또는 임의의 표지로부터 모바일 장치(120) 까지의 거리, 방향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방향 등을 추정하는 기법은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62458호에 개시된 사항이 참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주차 위치 정보는 주차장(110) 내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부 예시에서, 중앙 서버(140)가 주차 연관 사진(102)으로부터 차량(124)이 주차된 주차면(116)에 대한 정보 또한 식별 또는 추정 가능하다면, 주차면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주차 위치 정보는 예컨대, 주차구역, 주차면 번호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중앙 서버(140)는 모바일 장치(120)로부터 주차 알림을 수신한 이후 소정의 시점에 사용자(120)의 차량(124)이 주차장(110)을 이용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중앙 서버(140)는 모바일 장치(120)로부터 주차 알림을 수신한 경우, 주차 알림뿐만 아니라, 모바일 장치(120)의 사용자(122)에 관한 사용자 정보도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122)의 식별자, 예컨대, 멤버십 식별자일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122)의 차량의 차량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122)의 차량이 둘 이상 등록된 경우에는 등록된 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122)의 차량번호를 획득한 이후,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110)을 이용하고 있는 차량(124)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중앙 서버(140)는 로컬 서버(130)에 결정된 차량번호에 대한 질의를 송신할 수 있다. 로컬 서버(130)는 중앙 서버(140)로부터 결정된 차량번호에 대한 질의를 수신하면, 로컬 서버(130)의 데이터베이스에 질의할 수 있다. 질의에 포함된 차량번호가 현재 주차장(110)을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중앙 서버(140)로 회신할 수 있으며, 중앙 서버(140)는 이러한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시에서, 로컬 서버(130)는 주차장의 이용 데이터를 로컬 서버(140)에 연결된 중앙 서버(130)의 내부 데이터베이스에 송신하고, 중앙 서버(140)가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중앙 서버(140)는 결정된 차량번호가 현재 주차장(110)을 이용중인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 서버(140)는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110)을 이용하고 있는 차량(124)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차량번호가 차량(124)에 매칭한다고 결정된 경우, 중앙 서버(140)는 획득된 주차 위치 정보를 해당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중앙 서버(140)는 사용자(122)의 차량(124)의 주차 위치로서, 주차 위치 정보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결정된 차량번호가 차량(124)에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중앙 서버(140)는 결정되었던 차량 번호를 사용자(122)의 차량 중 다른 차량의 차량번호로 변경하고, 다시, 주차장(110) 내 실제로 주차된 차량(124)과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매칭을 수행할 다른 차량이 더 이상 없는 경우, 중앙 서버(140)는 매칭 실패에 관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서버(140)는 결정된 주차 위치 정보를 모바일 장치(120)에 전송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120)는 서버(140)로부터 주차 위치 정보를 수신 및/또는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122)는 주차장(110)의 출구로 향하고자 하거나 주차장(110)의 외부의 소정의 장소를 방문한 후에 다시 주차장(110)으로 돌아와 주차면(116)으로 향하고자 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사용자(122)는 모바일 장치(120)를 이용하여, 주차장(110) 내에서의 이동을 위한 경로 안내를 요청할 수 있으며, 모바일 장치(120)는 그러한 경로 안내에 대한 요청을 중앙 서버(140)로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모바일 장치(120)는 주차 위치 정보의 수신에 응답하거나(주차장(110)의 출구로의 경로 안내의 경우) 모바일 장치(120)의 주차장(110) 내 진입에 응답하여(주차장(110)의 입구로부터의 경로 안내의 경우), 경로 안내를 개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중앙 서버(140)는 결정된 주차 위치에 기초하여, 주차 위치, 예컨대, 주차면(116)로부터 주차장(110)의 출구 까지의 경로 또는 주차장(110)의 입구로부터 주차 위치, 예컨대, 주차면(116)까지의 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모바일 장치(120)는 주차장(110)의 지도를 미리 저장할 수 있으며, 그러한 지도 상에서 출력되는 경로를 표시할 수 있다.
일부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서버(150)는 예컨대, 중앙 서버(140)의 운용자와 구별되는 외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 따르면, 중앙 서버(140)에 차량의 주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일 예시에서, 서버(150)는 쇼핑 몰, 백화점 등의 편의 시설이나 이와 연관된 주차장 관련 시설에 설치된 키오스크와 같은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으며, 그러한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차량번호를 직접 입력 받고, 이러한 차량번호를 서버(150)를 거쳐 중앙 서버(140)에 전달할 수 있다. 서버(150)는 중앙 서버(140)와 마찬가지로, 단일 컴퓨팅 장치와 같은 독립형 서버,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팜(server farm), 분산형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 구성 및 기타 데이터 송수신 기능, 데이터 식별 기능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춘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서버(14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이면, 제한이 없다.
일 예시에서, 사용자(122)가 주차장 관련 시설에 설치된 키오스크(도시되지 않음)에서 차량의 위치를 찾기 위해, 차량번호를 입력하는 경우, 키오스크는 서버(150)에 입력된 차량번호를 전송할 수 있으며, 서버(150)는 입력된 차량번호를 포함하는 외부 요청을 생성하고 외부 요청을 중앙 서버(140)에 송신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수신된 외부 요청으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이에 응답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입력된 차량번호와 매칭하는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중앙 서버(140)는 해당 입력된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 및 주차 위치 정보에 연관된 주차장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주차 데이터를 서버(150)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150)는 주차 데이터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 정보, 예컨대, 차량이 주차된 주차장(110)의 정보와 주차장(110) 내 주차 구역 및/또는 주차면 정보를 키오스크로 전달할 수 있으며, 키오스크는 이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주차장, 주차 구역 및/또는 주차면 정보를 가공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 따르면, 사용자(122)가 모바일 장치(120)를 이용하여 주차 연관 사진을 촬영하는 행위만 수행하면, 차량(124)이 주차장(110)에 실제로 주차했는지 여부를 검증하면서, 주차장(110)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여, 이를 사용자(122)나 사용자(122)와 연관된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결정된 주차 위치에 기초하여 경로 안내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사용자의 주차장 이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다른 서비스 제공 개체에도 주차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주차장을 명확히 알고 있지 못한 경우에도, 자신의 차량이 주차된 위치를 주차장 정보와 함께 알아낼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주차 위치 결정 장치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주차 위치 결정 장치(200)는 예컨대, 도 1의 중앙 서버(140)에 관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주차 위치 결정 장치(200)는 예컨대, 단일 컴퓨팅 장치와 같은 독립형 서버, 복수의 서버를 포함하는 서버 팜(server farm), 분산형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 구성 및 기타 데이터 송수신 기능, 데이터 식별 기능 및 데이터 처리 기능을 갖춘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주차 위치 결정 장치(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차장 모듈(210), 모바일 통신 모듈(220), 서비스 통신 모듈(230), 프로세서(240) 및 메모리(250)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부 실시예에서, 주차 위치 결정 장치(200)는 센서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차장 통신 모듈(210)은 각 주차장의 로컬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며, 서비스 통신 모듈(230)은 외부 서비스 제공자의 서버와 통신을 수행한다. 주차장 통신 모듈(210)과 서비스 통신 모듈(230)은 컴퓨터 네트워크, 인터넷, 전화 네트워크, TCP/IP 데이터 네트워크(WAN, LAN, VPN 등을 포함) 및 기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유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모바일 통신 모듈(220)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위성 네트워크, 셀룰러 네트워크,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네트워크,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네트워크, 5세대 통신 네트워크, WiMax(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Wi-Fi(Wireless Fidelity)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주차장 통신 모듈(210)과 모바일 통신 모듈(220)과 서비스 통신 모듈(230)이 별개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개념적인 것이며, 요구되는 구현예에 따라, 하나의 하드웨어에서 구현되어도 된다.
프로세서(2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250) 또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50)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3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프로세서(320)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주차 결정부(251), 사진 처리부(253), 주차 위치 결정부(255) 및 서비스 제공부(257)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들 컴포넌트들(251, 253, 255 및 257)은 개별적인 컴포넌트로 도시되었으나, 개시된 대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추가적인 컴포넌트로 분리될 수 있거나 더 적은 컴포넌트로 조합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컴포넌트가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되지만, 당업자라면 컴포넌트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그들의 임의의 조합을 통하여 개별적으로 및/또는 종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메모리는 데이터베이스(2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에 관한 정보, 예컨대, 멤버십 식별자, 패스워드, 해당 사용자의 하나 이상의 차량번호를 데이터베이스(도시되지 않음)에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의 주차면 상에 주차되는 경우,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는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알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모바일 통신 모듈(220)은 이러한 주차 알림을 수신할 수 있다. 주차 결정부(251)는 수신된 주차 알림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 예컨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모바일 통신 모듈(220)은 생성된 요청을 모바일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이후, 모바일 통신 모듈(220)은 송신한 요청에 응답하여 모바일 장치로부터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사진 처리부(253)는 수신된 주차 연관 사진을 분석할 수 있다. 주차 연관 사진은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사용자 혹은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의 위치이지만, 차량의 주차 위치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적어도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에 실제로 있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해당 주차장에서의 주차 여부를 보장할 수 있다. 특징은 예컨대, 주차장 내 건물 기둥 상에 표시된 주차 구역의 식별자, 인코딩된 코드(예컨대, QR 코드, 바코드 등), 기타 식별 가능한 표지를 포함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현예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분석 기법에 따라 주차장 내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 예컨대, 주차장 내 출입구, 표지판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적 특징이 사진에 포함되면 충분하다.
사진 처리부(253)는 주차 연관 사진에 대하여 잘 알려진 다양한 이미지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주차 연관 사진의 분석에는 잘 알려진 다양한 이미지 분석 기법이 이용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사진 처리부(253)는 주차 연관 사진으로부터 주차장 내 위치를 식별할 수 있는 주차 구역의 식별자, 인코딩된 코드(예컨대, QR 코드, 바코드 등), 기타 식별 가능한 표지를 인식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시에서, 주차장 내 촬영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 예컨대, 기둥의 위치, 출입구, 표지판과 같은 주차장(110) 내 소정의 시설물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추가적이거나 대안적인 일부 예시에서, 사진 처리부(253)는 식별된 표지 또는 임의의 표지로부터 모바일 장치, 즉 촬영자인 사용자까지의 거리, 방향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거리, 방향 등을 추정하는 기법은 예컨대,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162458호에 개시된 사항이 참조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주차 위치 정보는 주차장 내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부 예시에서, 사진 처리부(253)가 주차 연관 사진으로부터 차량이 주차된 주차면에 대한 정보 또한 식별 또는 추정 가능하다면, 주차면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주차 위치 정보는 예컨대, 주차구역, 주차면 번호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사진 처리부(253)에 의해 획득된 주차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주차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모바일 통신 모듈(220)이 주차 알림을 수신할 때, 사용자 정보도 함께 수신할 수 있다.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주차 알림을 송신한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획득되는 사용자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자, 예컨대, 멤버십 식별자일 수 있다.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259)로부터 사용자의 등록된 차량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등록된 차량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등록된 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사용자의 차량번호를 획득한 이후,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실제 이용하고 있는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결정된 차량번호에 대한 질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주차장 통신 모듈(210)은 생성된 질의를 주차장의 로컬 서버에 송신할 수 있다. 주차장 통신 모듈(210)은 송신한 질의에 응답하여, 질의에 포함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실제로 이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베이스(259)는 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일부 다른 예시에서, 로컬 서버는 주차장의 이용 데이터를 로컬 서버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259)에 송신하고, 데이터베이스(259)는 이를 관리할 수 있다. 이러한 예시에서,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실제로 이용중인지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된 차량번호가 차량에 매칭한다고 결정된 경우,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사진 처리부(253)에 의해 획득된 주차 위치 정보를 해당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켜 데이터베이스(259)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 위치로서, 주차 위치 정보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결정된 차량번호가 차량에 매칭되지 않는다고 결정된 경우,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결정되었던 차량 번호를 사용자의 차량 중 다른 차량의 차량번호로 변경하고, 다시, 주차장 내 실제로 주차된 차량과의 매칭을 수행할 수 있다. 매칭을 수행할 다른 차량이 더 이상 없는 경우, 주차 위치 결정부(255)는 매칭 실패에 관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모바일 통신 모듈(210)은 결정된 주차 위치를 포함하는 주차 위치 정보를 모바일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추가적이고 선택적인 일부 실시예에서, 서비스 제공부(257)는 주차 위치 결정부(257)에 의해 결정된 주차 위치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 이동 경로에 대한 안내를 생성할 수 있다.
추가적이고 선택적인 다른 일부 예시에서, 서비스 제공부(257)는 외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용되는 서버로부터, 차량의 주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요청은 차량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257)는 수신된 요청으로부터 차량번호를 획득하고, 데이터베이스(259)로부터 획득된 차량번호와 매칭하는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257)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 및 주차 위치 정보에 연관된 주차장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주차 데이터를 생성하고, 모바일 통신 모듈(220)을 통하여 외부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주차장 내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주차 위치 결정 방법의 예시적인 프로세스(3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고, 도 4는 주차 데이터를 외부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는 추가적인 프로세스(400)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예컨대, 프로세스(300)와 프로세스(400)는 도 1의 중앙 서버(140) 및 도 2의 주차 위치 결정 장치(2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제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의 중앙 서버(140)와 도 2의 주차 위치 결정 장치(200)에 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3에서 적용 가능하다. 도 3에 도시된 프로세스(300)와 도 4에 도시된 프로세스(400)는 각각 블록(310, 320, 330, 340, 350, 360 및/또는 370) 및 블록(410, 420 및/또는 430)에 의하여 예시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능 또는 작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 예시된 개략적인 동작들은 예시로서만 제공되고,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동작들 중 일부가 선택적일 수 있거나, 더 적은 동작으로 조합될 수 있거나, 추가적인 동작으로 확장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블록들은 순차적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개시된 실시예의 본질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블록(350)의 수행은 블록(310)과 블록(320) 사이에서 개시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블록(310) 이후의 임의의 시점에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 3으로 돌아가, 프로세스(300)는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주차 알림을 수신"하는 블록(310)에서 시작할 수 있다. 블록(310)에서, 주차 알림에 기초하여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스(300)는 블록(310)으로부터 "주차 연관 사진을 요청"하는 블록(32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2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10)에서의 주차 알림의 수신 또는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되었다는 결정에 응답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 예컨대,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요청을 모바일 장치로 송신할 수 있다. 프로세스(300)는 블록(320)으로부터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하는 블록(33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3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20)의 수행에 응답하여, 모바일 장치로부터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할 수 있다. 주차 연관 사진은 사진이 촬영된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차량의 주차 위치와 연관이 있다고 생각될 수 있다. 특징은 예컨대, 주차장 내 건물 기둥 상에 표시된 주차 구역의 식별자, 인코딩된 코드(예컨대, QR 코드, 바코드 등), 기타 식별 가능한 표지를 포함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구현예에서 사용하는 이미지 분석 기법에 따라 주차장 내 위치를 특정할 수 있는 임의의 특징, 예컨대, 주차장 내 출입구, 표지판 등과 같은 다양한 환경적 특징이 사진에 포함되면 충분하다. 프로세스(300)는 블록(330)으로부터 "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블록(34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4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30)에서 수신된 주차 연관 사진에 대하여, 잘 알려진 다양한 이미지 분석 기법을 적용하여,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주차 위치 정보는 주차장 내 주차 구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부 예시에서, 주차 위치 정보는, 획득 가능하다면, 주차면 번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주차 위치 정보는 예컨대, 주차구역, 주차면 번호에 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프로세스(300)는 블록(310)이 수행된 이후에, 임의의 시점에 "사용자의 차량 번호 중 하나를 결정"하는 블록(350)을 수행할 수 있다. 블록(35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10)에서 주차 알림을 수신할 때, 모바일 장치의 사용자 정보도 함께 수신/획득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획득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259)로부터 사용자의 등록된 차량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의 등록된 차량이 둘 이상인 경우에는 등록된 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할 수 있다. 블록(350)은 "결정된 차량번호의 차량이 주차장을 이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블록(36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6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50)에서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실제 이용하고 있는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블록(360)에서의 결정은 로컬 서버에 질의를 송신하거나,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로컬 서버 또는 컴퓨팅 장치의 데이터베이스는 주차장에 설치된 차량번호 인식기에 의해 진입된 차량을 인식함으로써 획득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한다.
블록(360)에서 컴퓨팅 장치가 블록(350)에서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실제 이용하고 있는 차량에 매칭하는 경우(블록(360)의 '예'), 프로세스(300)는 블록(340 및 360)으로부터 "주차 위치 정보를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하는 블록(37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7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40)에서 획득된 주차 위치 정보를 해당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켜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의 차량의 주차 위치로서, 주차 위치 정보를 최종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블록(360)에서, 컴퓨팅 장치가 블록(350)에서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실제로 이용하고 있는 차량에 매칭하지 않는 경우(블록(360)의 '아니오'), 프로세스(300)는 블록(350)으로 돌아가 사용자의 차량 중 다른 차량의 차량번호로 변경한다. 다른 차량이 더 이상 없는 경우, 컴퓨팅 장치는 매칭 실패에 관한 메시지를 생성한다.
도 4의 프로세스(400)는 도 3의 프로세스(300)의 수행과 독립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차량번호를 수신"하는 블록(410)에서 시작할 수 있다. 블록(410)에서, 컴퓨팅 장치는 외부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운용되는 서버로부터, 차량의 주차 위치에 대한 정보를 요구하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요청은 차량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이러한 요청으로부터 차량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스(400)는 블록(410)으로부터, "주차 정보를 조회"하는 블록(42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42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410)에서 획득된 차량번호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된 차량번호와 매칭하는 차량을 검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차량번호에 대응하는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 및 주차 위치 정보에 연관된 주차장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주차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후, 블록(430)에서, 컴퓨팅 장치는 주차 데이터를 외부 컴퓨팅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블록(310)에서,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차량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근거리 통신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는 블록(410)에서, 차량으로부터 근거리 통신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후, 블록(420)에서, 차량으로부터의 근거리 통신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블록(430)에서, 컴퓨팅 장치는 차량으로부터의 근거리 통신 신호의 끊김을 감지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의 시동이 꺼지면, 차량은 근거리 통신 신호를 브로드캐스트 하지 않을 수 있다. 컴퓨팅 장치는 모니터링하는 근거리 통신 신호가 끊기는 것을 감지할 수 있으며, 블록(440)에서는, 블록(430)에 응답하여, 차량이 주차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차량의 시동이 꺼지지 않고 주차되는 경우라도, 컴퓨팅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입력을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차량이 주차되었다고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스(300)는 블록(310)으로부터 "복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블록(32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2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10)에서의 결정에 응답하여, 주차장에 설치된 복수의 무선 신호 장치로부터 복수의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부 예시에서, 컴퓨팅 장치는 수신되는 복수의 무선 신호 중 미리 정해진 수의 무선 신호를 선별할 수 있다. 프로세스(300)는 블록(320)으로부터 "수집 데이터를 생성"하는 블록(33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3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20)에서 수신된 복수의 무선 신호에 대한 신호 정보를 포함하는 수집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수집 데이터는 복수의 무선 신호 각각의 식별자 및 해당 무선 신호의 강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인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컴퓨팅 장치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센싱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는 예컨대, 지자기 센서, 가속 센서 및 자이로스코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센싱된 정보를 수집 데이터에 더 포함시킬 수 있다. 프로세스(300)는 블록(330)으로부터 "생성된 수집 데이터를 송신"하는 블록(34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4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30)에서 생성된 수집 데이터를 외부의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서버는 수신된 수집 데이터에 기초하여, 컴퓨팅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에 대응하는 주차장 내 주차면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결정된 주차면에 대한 정보를 컴퓨팅 장치에 송신할 수 있으며, 프로세스(300)는 블록(340)으로부터 "주차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블록(35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5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40)에서의 송신에 응답하여, 서버로부터 주차면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후, 프로세스(300)는 블록(350)으로부터 "주차 위치를 결정"하는 블록(360)으로 이어질 수 있다. 블록(360)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50)에서 수신된 주차면에 대한 정보를 차량의 주차 위치로서 결정할 수 있다. 추가적이고 선택적인 일부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는 블록(360)이 수행된 이후, 블록(360)에서 결정된 주차 위치에 기초하여 주차장 내 이동 경료에 대한 안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적어도 일부 실시예에 따라 메시지를 제공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500)을 도시한다. 예시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신호 베어링 매체(510)를 이용하여 제공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500)의 신호 베어링 매체(510)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530) 및/또는 기록 가능 매체(540)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베어링 매체(510)에 포함된 명령어(520)는 도 1의 중앙 서버(140) 및 도 2의 주차 위치 결정 장치(200)와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명령어(520)는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알림을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차량의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을 모바일 장치에 송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모바일 장치로부터, 주차장 내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주차 연관 사진을 분석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결정된 차량번호가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및 차량번호가 차량에 매칭한다고 결정한 경우, 주차 위치 정보를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도 있다.
이상, 본 개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 보았다. 본 개시에서 청구된 대상은 앞서 기술한 특정 구현예로 그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예컨대, 어떤 구현예에서는 장치 또는 장치의 조합 상에서 동작 가능하게 사용되는 하드웨어의 형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에서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또 다른 구현예에서는 신호 베어링 매체, 저장 매체와 같은 하나 이상의 물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CD-ROM, 컴퓨터 디스크,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 매체는, 예컨대 컴퓨팅 시스템, 컴퓨팅 플랫폼 또는 기타 시스템과 같은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실행될 때 앞서 설명한 구현예에 따라 해당 프로세서의 실행을 야기시킬 수 있는 명령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는 하나 이상의 처리 유닛 또는 프로세서, 디스플레이, 키보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 및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동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및/또는 하드 드라이브와 같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상세한 설명에서는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를 통해 장치 및/또는 프로세스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다. 그러한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을 포함하게 되며, 당업자라면 블록도, 흐름도 및/또는 기타 예시 내의 각각의 기능 및/또는 동작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에 의해 개별적으로 혹은 집합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본 개시에 기재된 대상의 몇몇 부분은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또는 다른 집적의 형태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실시예의 일부 양상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 상에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실질적으로 임의의 조합으로써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균등하게 집적 회로에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 및/또는 펌웨어를 위한 코드의 작성 및/또는 회로의 설계는 본 개시에 비추어 당업자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이다. 또한, 당업자라면, 본 개시의 대상의 매커니즘들이 다양한 형태의 프로그램 제품으로 분배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며, 본 개시의 대상의 예시는 분배를 실제로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신호 베어링 매체의 특정 유형과 무관하게 적용됨을 이해할 것이다.
특정 예시적 기법이 다양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여 여기에서 기술되고 도시되었으나, 당업자라면, 청구된 대상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기타의 수정 또는 등가물로의 치환 가능성을 이해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여기에 기술된 중심 개념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특정 상황을 청구된 대상의 교시로 적응시키도록 많은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청구된 대상이 개시된 특정 예시로 제한되지 않으나, 그러한 청구된 대상은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균등의 범위 내에 들어가는 모든 구현예를 포함할 수 있음이 의도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1)

  1.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 내에 주차된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와 통신하는 중앙 서버에서 수행되는 주차 위치 결정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알림을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주차 결정 단계;
    상기 주차 결정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을 상기 모바일 장치에 송신하는 사진 요청 단계;
    상기 사진 요청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주차장 내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하는 사진 수신 단계;
    상기 주차 연관 사진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진 분석 단계;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는 차량번호 결정 단계;
    결정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상기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장 이용 확인 단계;
    상기 주차장 이용 확인 단계에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에 매칭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 중 다른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주차장 이용 확인 단계에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에 매칭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키는 주차 위치 결정 단계
    를 포함하는 주차 위치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알림은 상기 모바일 장치가 상기 차량의 주차를 감지한 것에 응답하여 송신된 것인, 주차 위치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 알림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송신된 것인, 주차 위치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이용 확인 단계는 상기 주차장의 로컬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상기 차량번호를 질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위치 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장 이용 확인 단계는 상기 주차장의 로컬 서버에 연결된 내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결정된 상기 차량번호를 검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주차 위치 결정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수신하는 외부 요청 접수 단계; 및
    상기 외부 요청 접수 단계에 응답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에 연동된 상기 주차장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주차 데이터를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는 주차 데이터 제공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차 위치 결정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주차 위치에 기초하여 생성된 상기 사용자의 주차장 내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주차장 안내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주차 위치 결정 방법.
  9.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 내에 주차된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주차 위치 결정 장치로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및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 및 와 상기 주차장과 연관된 로컬 서버와 통신 가능한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알림을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주차 결정 동작;
    상기 주차 결정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을 상기 모바일 장치에 송신하는 사진 요청 동작;
    상기 사진 요청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주차장 내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하는 사진 수신 동작;
    상기 주차 연관 사진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진 분석 동작;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는 차량번호 결정 동작;
    결정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상기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
    상기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에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에 매칭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 중 다른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에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에 매칭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키는 주차 위치 결정 동작
    을 포함하는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인, 주차 위치 결정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통신 모듈은 외부 컴퓨팅 장치와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며,
    상기 동작들은
    외부 컴퓨팅 장치로부터 상기 차량의 차량번호를 수신하는 외부 요청 접수 동작; 및
    상기 외부 요청 접수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주차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차 위치 정보에 연동된 상기 주차장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주차 데이터를 상기 외부 컴퓨팅 장치에 제공하는 주차 데이터 제공 동작을 더 포함하는, 주차 위치 결정 장치.
  11. 사용자의 차량이 주차장 내에 주차된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주차 위치 결정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주차 위치 결정 프로그램은 컴퓨팅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차량이 주차되었음을 나타내는 주차 알림을 상기 사용자의 모바일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주차 결정 동작;
    상기 주차 결정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와 연관된 사진을 촬영하도록 하는 요청을 상기 모바일 장치에 송신하는 사진 요청 동작;
    상기 사진 요청 동작에 응답하여, 상기 모바일 장치로부터, 상기 주차장 내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주차 연관 사진을 수신하는 사진 수신 동작;
    상기 주차 연관 사진을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사진 분석 동작;
    상기 사용자의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하나 이상의 차량 중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는 차량번호 결정 동작;
    결정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주차장을 이용하고 있는 상기 차량에 매칭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
    상기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에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에 매칭하지 않는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사용자에 대해 등록된 상기 하나 이상의 차량 중 다른 하나의 차량번호를 결정하는 동작; 및
    상기 주차장 이용 확인 동작에서 상기 차량번호가 상기 차량에 매칭한다고 결정한 경우, 상기 주차 위치 정보를 상기 주차장의 식별자와 연동시키는 주차 위치 결정 동작
    을 수행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30087010A 2023-07-05 2023-07-05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KR102623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010A KR102623535B1 (ko) 2023-07-05 2023-07-05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010A KR102623535B1 (ko) 2023-07-05 2023-07-05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3535B1 true KR102623535B1 (ko) 2024-01-11

Family

ID=89533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010A KR102623535B1 (ko) 2023-07-05 2023-07-05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353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7712A (ja) * 2007-12-27 2009-07-16 Omron Corp 駐車場システム
KR20180060152A (ko) * 2016-11-28 2018-06-07 (주) 플래누리 클라우드 기반의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122B1 (ko) * 2019-07-31 2021-01-0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의 기둥 번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62458A (ko) * 2021-06-01 2022-12-0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57712A (ja) * 2007-12-27 2009-07-16 Omron Corp 駐車場システム
KR20180060152A (ko) * 2016-11-28 2018-06-07 (주) 플래누리 클라우드 기반의 무인 주차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00122B1 (ko) * 2019-07-31 2021-01-0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주차장의 기둥 번호에 기초하여 차량의 주차 위치 정보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서버, 시스템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220162458A (ko) * 2021-06-01 2022-12-08 파킹클라우드 주식회사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5648B2 (en)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EP3497590B1 (en) Distributed video storage and search with edge computing
US981201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etermining parking information for a vehicle using vehicle data and external parking data
US10268192B1 (en)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0794714B2 (en)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0466057B1 (en) Self-driv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KR101906709B1 (ko) 커넥티드 블랙박스
US20150058101A1 (en) Managing personal parking space
Elsonbaty et al. The smart parking management system
KR102585581B1 (ko) 주차관리시스템
US11709220B2 (en) Geographic positioning using short-range transmissions
US20170313353A1 (en) Parking Space Determining Method and Apparatus, Parking Space Navig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System
US20210014678A1 (en) Proximity-based shared transportation reservations
WO2022133356A1 (en) Contactless identification and payment
US20170364942A1 (en) Discovering and interacting with proximate automobiles
CN114554391A (zh) 一种停车场寻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Fernando et al. Smart transportation tracking systems based on the internet of things vision
US2018024753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perating a parking area
KR20150092402A (ko) 영상 메타데이터 태깅 및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 차량용 카메라 기술과 그 장치를 이용한 정보 거래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623535B1 (ko) 주차장 내 주차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장치, 방법,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CN113781792B (zh) 停放检测系统、方法及相关设备
KR102654579B1 (ko) 비전 분석을 이용한 차량의 주차 위치 확인 서비스를 차량 이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0708235B2 (en) System and devices for enabling anonymous communication based on motor vehicle identifiers
CN112312078A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非暂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50518B1 (ko) 차량번호를 이용한 입주자 확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